알비치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기원과 직업
- 3. 피렌체 지도부로 부상
- 4. 문화 및 예술적 영향
- 5. 주요 인물
- 5.1. 마소 델리 알비치 (Maso degli Albizzi, 1347-1417)
- 5.2. 리날도 델리 알비치 (Rinaldo degli Albizzi, 1370-1442)
- 5.3. 루카 델리 알비치 (Luca degli Albizzi)
- 5.4. 오르마노 델리 알비치 (Ormanno degli Albizzi)
- 5.5. 마리아 오르마니 (Maria Ormani, 1428-1470)
- 5.6. 안토니오 델리 알비치 (Antonio degli Albizzi, 1547-1627)
- 5.7. 조반나 델리 알비치 토르나부오니 (Giovanna degli Albizzi Tornabuoni, 1468-1488)
- 5.8. 루크레치아 디 마테오 알비치 리카솔리 (Lucrezia di Matteo Albizzi Ricasoli)
- 5.9. 프란체스코 알비치 (Francesco Albizzi, 1593-1684)
- 5.10. 엘레오노라 델리 알비치 (Eleonora degli Albizzi, 1543-1634)
- 5.11. 필리포 델리 알비치 (Filippo degli Albizzi)
- 참조
1. 개요
알비치 가문은 12세기 아레초에서 피렌체로 이주하여 14세기에 권력을 잡은 가문이다. 모직 길드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상업, 금융업, 정치에 걸쳐 활동했다. 1360년대 피렌체에서 메디치 가문과 권력 다툼을 벌였으며, 치옴피 반란 이후 과두 정치 체제를 주도했다. 예술 후원에도 기여했으며, 조반나 데글리 알비치 토르나부오니의 초상화가 유명하다. 주요 인물로는 마소 데글리 알비치, 리날도 데글리 알비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비치가 - 리날도 델리 알비치
리날도 델리 알비치는 알레산드라 데 리코와의 결혼으로 8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을 두었으며, 그의 자녀 중 오르마노 델리 알비치는 외교관이자 군인, 마소 델리 알비치는 포데스타를 역임했고, 로베르토 로셀리니와 프랭크 스포트니츠의 드라마에서 배우들에 의해 연기되었다. - 이탈리아의 성씨 - 라니에리
라니에리는 이탈리아 성씨로, 추기경 테오도리코 라니에리, 가수 마시모 라니에리, 축구 감독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과 성 라니에리, 몽페라토 후작 라이니에르와 같이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 피렌체의 가문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피렌체의 가문 - 바르디가
바르디 가문은 1164년 시작된 이탈리아의 유서 깊은 가문으로, 금융업과 무역으로 부를 축적하고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채무 불이행으로 파산하여 몰락했다.
알비치가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가문 정보 | |
이름 | 알비치 가문 |
유형 | 귀족 명문 가문 |
문장 | Arm of Albizzi.svg |
국가 | 피렌체 공화국 [[File:Flag of the Grand Duchy of Tuscany (1562-1737).svg|24px]] 피렌체 공국 [[File:Flag of the Grand Duchy of Tuscany (1562-1737).svg|24px]] 토스카나 대공국 이탈리아 왕국 |
창립 | 서기 1000년경, 오토 3세의 수행원이었던 독일 기사에 의해 설립 (996년 로마에서 황제로 즉위) |
창립자 | 아레초의 라이몬디노 |
현 수장 | 없음, 20세기 초 레오니아 데글리 알비치와 함께 절멸 |
해산 | 1877년 |
마지막 수장 | 비토리오 데글리 알비치 |
로마자 표기 | Albizzi (알비치) |
2. 기원과 직업
알비치 가문은 12세기 무렵 아레초에서 피렌체로 이주했으며, 14세기에 피렌체 정치와 관료 기구에 대한 영향력 확대와 다양한 사업을 통해 권력을 잡았다.[1] 1300년대 초, 상인과 금융업자로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피렌체 귀족 가문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가문으로 자리 잡았다.[2]
2. 1. 모직 산업과 상업 활동
알비치 가문은 12세기 무렵 아레초에서 피렌체로 이주했으며, 피렌체 정치와 관료 기구에 대한 영향력 확대와 다양한 사업을 통해 14세기에 권력을 잡았다.[1] 이 가문은 모직 길드에서 강력한 입지를 차지했으며, 길드의 정책과 법률을 형성하는 데 자주 기여했다. 길드 기록에 따르면 알비치 가문은 아르테 델라 라나(Arte della Lana)의 통치에도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했는데, 길드 내각에 소속된 구성원의 수가 상당했다는 점(1332년 21명, 1353년 18명)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1300년대 초에 알비치 가문은 상인과 금융업자로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피렌체 귀족 가문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가문으로 자리 잡았다.[2]알비치 가문의 주요 사업은 양모의 생산, 정제 및 상업이었다. 피렌체 안팎에서 무역을 했지만, 가장 활발한 시장은 베네치아, 플랑드르, 잉글랜드였다. 사업은 [https://en.wiktionary.org/wiki/fondaco 폰다코](창고)와 두 개의 [https://en.wiktionary.org/wiki/bottega 보테게](상점)에서 운영되었다. 알비치 가문은 천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 외에도 다른 가문과 기업에 대출을 시작했으며, 방축 공장과 토스카나에 위치한 공장, 토지를 판매하고 임대하기도 했다. 또한 알비치 가문은 피렌체 통치, 특히 자신들의 구역 통치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했다.[3]
2. 2. 금융업과 정치 참여
알비치 가문은 12세기 무렵 아레초에서 피렌체로 이주했으며, 피렌체 정치와 관료 기구에 대한 영향력 확대와 다양한 사업을 통해 14세기에 권력을 잡았다.[1] 이 가문은 모직 길드에서 강력한 입지를 차지했으며, 길드의 정책과 법률을 형성하는 데 자주 기여했다. 길드 기록에 따르면 알비치 가문은 아르테 델라 라나(Arte della Lana)의 통치에도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했는데, 길드 내각에 소속된 구성원의 수가 1332년 21명, 1353년 18명으로 상당했다는 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1300년대 초에 알비치 가문은 상인과 금융업자로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피렌체 귀족 가문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가문으로 자리 잡았다.[2]알비치 가문의 주요 사업은 양모의 생산, 정제 및 상업이었다. 피렌체 안팎에서 무역을 했지만, 가장 활발한 시장은 베네치아, 플랑드르, 잉글랜드였다. 사업은 [https://en.wiktionary.org/wiki/fondaco 폰다코](창고)와 두 개의 [https://en.wiktionary.org/wiki/bottega 보테게](상점)에서 운영되었다. 알비치 가문은 천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 외에도 다른 가문과 기업에 대출을 시작했으며, 방축 공장과 토스카나에 위치한 공장, 토지를 판매하고 임대하기도 했다. 또한 알비치 가문은 피렌체 통치, 특히 자신들의 구역 통치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했다.[3]
3. 피렌체 지도부로 부상
1360년대 피렌체에는 알비치 가문과 리치 가문이라는 두 라이벌 파벌이 있었다. 알비치 가문은 교황청, 나폴리와의 동맹을 지지했고, 리치 가문은 평민들의 더 많은 대표성을 옹호했다. 1372년 피렌체 시뇨리아는 알비치 가문을 5년간 공직에서 배제했고, 마소 데글리 알비치는 피스토이아에서 물러났지만, 1382년 치옴피 반란 이후 권력에 복귀했다.[4]
8성인 전쟁(1375년~1378년)은 교황청에 대한 실패한 군사 작전으로, 피렌체 재정 고갈과 종교적 처벌로 인해 정부에 대한 불만을 초래했다. 이후 마소 데글리 알비치가 이끄는 과두 정치 정권이 들어섰고, 부유한 귀족들이 상업과 정부 결정을 통제했다.[5]
3. 1. 치옴피 봉기 전후의 권력 투쟁
1360년대에 들어 피렌체에는 두 개의 라이벌 파벌이 등장했다. 하나는 교황청과 나폴리와의 동맹을 지지하고 선호했던 알비치 가문이었고, 다른 하나는 평민들의 더 많은 대표성을 옹호했던 리치 가문이었다. 이 파벌들은 1372년까지 싸웠고, 당시 피렌체 시뇨리아는 알비치 가문을 5년 동안 공직에서 배제했다.[4] 이 금지 기간 동안, 이 가문의 저명한 일원인 마소 데글리 알비치는 피렌체가 통제하는 지역인 피스토이아에서 그의 지위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그의 좌절은 짧았다. 1382년에 치옴피 반란이 끝난 후 마소는 권력으로 돌아왔다.[4]알비치 가문은 어렵고 종종 폭력적인 시기 이후 도시의 통제권을 되찾았다. 이 혼란은 8성인 전쟁(1375년 - 1378년) 이후에 벌어졌는데, 이는 교황청에 대한 실패한 군사 작전으로 피렌체의 재정을 고갈시키고 주민들에게 가혹한 종교적 처벌을 가하여 정부에 대한 광범위한 불만을 초래했다. 치옴피 반란 이후 과두 정치 정권이 피렌체를 장악했다. 이 정권은 상업과 정부 결정을 모두 통제하는 도시의 부유한 귀족들이 지배했으며, 마소 데글리 알비치가 이끌었다.[5]
3. 2. 과두 정치 주도
1382년 치옴피 반란 이후, 알비치 가문은 8성인 전쟁(1375년-1378년)이후 피렌체의 통제권을 되찾았다. 8성인 전쟁은 교황청에 대한 실패한 군사 작전으로 피렌체의 재정을 고갈시키고 주민들에게 가혹한 종교적 처벌을 가하여 정부에 대한 광범위한 불만을 초래했다. 치옴피 반란 이후 과두 정치 정권이 피렌체를 장악했으며, 이 정권은 마소 데글리 알비치가 이끄는 상업과 정부 결정을 모두 통제하는 도시의 부유한 귀족들이 지배했다.[5]4. 문화 및 예술적 영향
알비치 가문은 치옴피의 난 이후 피렌체를 통치하면서 승진과 후원 등을 통해 피렌체 내 영향력을 강화했다. 1382년부터 1392년까지는 기사도적인 궁정 축제와 같은 의식과 행사를 마련하여 공적 이미지와 다른 유력 가문과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켰다. 1390년 이후에는 마상 시합과 토너먼트가 포함되기도 했지만, 자주 열리지는 않았다.[6]
알비치 가문은 중요한 손님들을 사저에 초대하여 행사를 관람하게 하거나 참여시키는 등 특별 대우를 하고 편안한 숙식을 제공하며 정치적 관계를 맺기도 했다.[6]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그린 조반나 데글리 알비치 토르나부오니의 초상화는 르네상스 미술의 상징적인 전형이 되었고, 알비치 가문이 예술을 지원하고 피렌체의 문화 유산에 기여한 역할을 보여주었다.[7][8]
4. 1. 예술 후원
알비치 가문은 치옴피의 난 이후 피렌체를 통치하면서 승진과 후원 등을 통해 피렌체 내 영향력을 강화했다. 특히 1382년부터 1392년까지 알비치 가문은 공적 이미지와 다른 유력 가문과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기사도적인 궁정 축제와 같은 의식 및 행사를 마련했다.[6] 1390년 이후에는 마상 시합과 토너먼트가 점점 더 포함되었지만, 이는 덜 일반적이었다.[6] 알비치 가문이 강력한 정치적 관계를 맺는 또 다른 방법은 중요한 손님들을 사저에 초대하는 것이었다. 이 손님들은 교회 계단이나 창문과 같은 주요 지점에서 행사를 관람하거나, 심지어 관람객이나 참가자로 참여하는 등 특별 대우를 받았고, 근처에서 편안하게 숙식을 제공받았다.[6]알비치 가문의 인기가 높았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화가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그린 조반나 데글리 알비치 토르나부오니의 초상화 때문이다.[7][8] 조반나의 초상화는 르네상스 미술의 상징적인 전형이 되었고, 조반나를 포함한 알비치 가문이 예술을 지원하고 피렌체의 문화 유산에 기여한 역할을 보여주었다.
4. 2. 메디치 가문과의 관계
1382년부터 1392년까지 알비치 가문은 공적 이미지와 유력 가문과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기사도적인 궁정 축제와 같은 의식 및 행사를 마련했다. 1390년 이후에는 마상 시합과 토너먼트가 포함되기도 했지만, 자주 열리지는 않았다.[6] 알비치 가문은 중요한 손님들을 사저에 초대하여 정치적 관계를 강화하기도 했다. 이 손님들은 교회 계단이나 창문과 같은 주요 지점에서 행사를 관람하거나, 관람객 또는 참가자로 참여하는 등 특별 대우를 받았고, 근처에서 편안하게 숙식을 제공받았다.[6]알비치 가문의 인기가 높았던 이유 중 하나는 화가 도메니코 기를란다요가 그린 조반나 데글리 알비치 토르나부오니의 초상화 때문이다.[7][8] 조반나의 초상화는 르네상스 미술의 상징적인 전형이 되었고, 조반나를 포함한 알비치 가문이 예술을 지원하고 피렌체의 문화 유산에 기여한 역할을 보여주었다.
5. 주요 인물
마소 데글리 알비치(1347년-1417년)와 리날도 데글리 알비치(1370년-1442년)는 피렌체 공화국의 과두제를 이끈 주요 인물들이다. 마소는 뛰어난 정치 감각과 카리스마로, 리날도는 군사적 능력과 메디치 가문과의 대립으로 유명하다. 마소의 차남 루카 데글리 알비치는 갤리선의 수장이자 코시모 데 메디치의 충실한 조력자였다. 리날도의 아들 오르마노 데글리 알비치는 아버지와 함께 코시모의 귀환에 반대하다 추방되었다.
오르마노 데글리 알비치의 딸 마리아 오르마니(1428년-1470년)는 어거스틴회 수녀이자 필사본 삽화가로, 1453년 제작된 성무일도서 자화상으로 알려져 있다.
안토니오 데글리 알비치(1547년-1627년)는 루터교로 개종한 학자이자 정치가였다.
조반나 데글리 알비치 토르나부오니(1468년-1488년)는 도메니코 기를란다요의 초상화로 유명한 인물이다.
루크레치아 디 마테오 알비치 리카솔리는 15세기 말 피렌체의 귀족 여성으로, 가족 사업을 관리하고 아들들과 서신을 주고받았다. 프란체스코 알비치(1593년-1684년)는 추기경이자 로마 종교 재판의 일원으로, 사법 기준 확립에 기여했다. 엘레오노라 데글리 알비치(1543년-1634년)는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정부였으며, 돈 조반니 데 메디치를 낳았다. 필리포 데글리 알비치는 18세기 피렌체 출신의 박물학자로, 자귀나무의 학명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1. 마소 델리 알비치 (Maso degli Albizzi, 1347-1417)
마소 데글리 알비치(1347년-1417년)는 피렌체의 정치가였다. 1382년 이후 피렌체 공화국의 과두 정치 체제를 이끌었으며, 그의 지도력과 권위는 확고했다. 1406년 피사 작전을 계획하기도 했다.[9]피스토이아에서 정치적 지위에서 쫓겨나면서 처음으로 정치적 패배를 경험했지만, 1382년 치옴피 반란이 끝난 후 시뇨리아로 복귀했다.[10]
마소는 매력, 카리스마, 외교적 우아함으로 명성이 자자했으며, 뛰어난 정치 감각을 가진 정치가로 알려져 있다. 마소와 그의 동료 귀족들은 치옴피 시대에 이루어진 평등주의적 변화를 무너뜨리고 상위 길드 회원들에게 더 많은 권력과 위원회 내 과반수를 부여하는 체제를 복원했다.[11] 1417년 마소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리날도 데글리 알비치가 망명하기 전까지 도시를 장악했다.
5. 2. 리날도 델리 알비치 (Rinaldo degli Albizzi, 1370-1442)
'''리날도 데글리 알비치'''(1370년 - 1442년)는 마소 데글리 알비치의 장남으로,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훈련받았다. 그의 주요 목표는 알비치 가문이 피렌체 공화국의 과두 정치를 유지하는 것이었다.[12] 1417년 부친이 사망하자 알비치 가문의 수장이 되었으며, 루카를 정복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 전쟁은 예상보다 어려웠고 피렌체에 막대한 비용을 초래했다.리날도는 메디치 가문, 특히 코시모 데 메디치와의 적대 관계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1433년 코시모 데 메디치가 시뇨리아에 소환되었을 때, 리날도는 코시모가 피렌체에 대항하여 외국의 도움을 받았다는 허위 혐의로 그를 참수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시뇨리아 다수의 반대로 코시모는 추방되었다.[12]
그동안 리날도는 피렌체에서 지지를 잃었고, 밀라노와의 어려운 전쟁은 그의 인기를 더욱 떨어뜨렸다. 코시모가 피렌체로 돌아왔을 때, 그는 리날도에게 관대했고 시뇨리아의 도움으로 리날도와 그의 지지자들을 추방했다.[13] 망명 후 리날도는 밀라노와 동맹을 맺고 피렌체에 음모를 꾸몄다. 이에 대응하여 메디치 가문의 시뇨리아는 리날도를 비난했다.[14] 그는 1442년 안코나에서 사망했다.
5. 3. 루카 델리 알비치 (Luca degli Albizzi)
마소 데글리 알비치의 차남이자 피렌체 갤리선의 수장이었다. 메디치-알비치 가문의 갈등 시기에 루카는 항상 메디치 가문을 지지했다. 코시모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그는 1434년 가족이 추방된 후 피렌체에 남을 수 있었다. 루카는 곧 코시모의 오른팔이 되었고, 밀라노, 로마, 베네치아에 대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1442년 정의의 곤팔로니에르가 되었고, 때때로 10인 위원회의 일원이었다.5. 4. 오르마노 델리 알비치 (Ormanno degli Albizzi)
오르마노 데글리 알비치는 리날도 데글리 알비치의 아들이었다. 1433년 베네치아 대사로 파견되었다.[14] 1434년 부친과 함께 코시모 데 메디치의 귀환에 반대했지만 실패했고, 코시모는 피렌체로 돌아왔다. 리날도가 망명한 지 2년 후, 오르마노는 반역자로 선포되어 추방되었고 트라파니로 도망쳤다. 이후 밀라노의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궁정으로 가서 그를 피렌체에 대항하도록 선동했다. 1455년과 1457년에 피렌체에 대사를 보내 귀환 허가를 요청했지만, 코시모 데 메디치는 그의 추방을 확고히 했다. 1457년 이후 그에 대한 소식은 더 이상 없었다.5. 5. 마리아 오르마니 (Maria Ormani, 1428-1470)
1428년-1470년경 활동한 마리아 오르마니는 어거스틴회 수녀이자 필사본 삽화가였다. 본명은 마리아 디 오르마노 데글리 알비치로, 오르마노 데글리 알비치의 딸이었다. 1434년 가문이 추방될 때 가족과 함께 망명하지 않고, 1438년 산 가조에서 견습 수녀가 되었다.[15]마리아는 메디치 가문, 오르시니 가문, 리누치니 등 다른 귀족 가문의 딸들과 함께 1471년 이전에 수녀원 거주자 명단에서 사라질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그녀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1453년에 직접 서명하고 날짜를 표기한 성무일도서의 자화상이다.
5. 6. 안토니오 델리 알비치 (Antonio degli Albizzi, 1547-1627)
'''안토니오 데글리 알비치'''(1547년 - 1627년)는 피사에서 학업을 마치고 아카데미아 델리 알테라티의 섭정을 지냈다. 그의 삶은 지적, 정치적 활동과 더불어 루터교로 개종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젊은 시절 알비치는 단테에 관한 글을 쓰고, 카니발 시를 작곡했으며, 피에트로 스트로치의 전기 작성을 맡았다. 1576년 안토니오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 젊은 추기경 안드레아스 폰 합스부르크의 시종으로 들어가 비서, 고문, ''camerarius aulicus''로 봉사했다. 1585년경 카르니올라 (슬로베니아)에서 합스부르크 코미사르로 봉사하던 중 질병, 예수회의 편지, 바울의 편지를 읽고 루터교로 개종했다.[15]
개종 후에도 안토니오는 니고데모주의를 실천하며 겉으로는 가톨릭 의식에 참여하면서도 개신교 신념을 은밀히 지켰다. 1600년 안드레아스 추기경 사망 후, 가톨릭 종교 재판을 피해 루터교 도시인 켐튼으로 이주했다. 이곳에서 정치 고문, 자선가, 교구 학교 후원자로 활동하며 남은 생을 보냈다. 알비치는 1616년-1617년 ''Exercitationes theologicae''를 비롯한 여러 루터교 신학 작품을 저술했다. 1627년 사망했다.
5. 7. 조반나 델리 알비치 토르나부오니 (Giovanna degli Albizzi Tornabuoni, 1468-1488)
1486년, 20세의 조반나는 로렌초 토르나부오니와 결혼했다. 조반나는 1488년 출산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추정되는 이유로 짧은 생을 마감했다.[7][8] 조반나는 유명한 피렌체 화가 도메니코 기를란다요의 초상화에 묘사되어 르네상스 예술과 문화에 흔적을 남겼다. 조반나는 기를란다요가 피렌체 산타 마리아 노벨라에 있는 토르나부오니 예배당에 그린 프레스코화에도 등장하는데, 이는 그녀의 죽음 이후 기념물 역할을 한다.[7][8]5. 8. 루크레치아 디 마테오 알비치 리카솔리 (Lucrezia di Matteo Albizzi Ricasoli)
루크레치아 디 마테오 알비치 리카솔리는 15세기 말 피렌체에서 태어난 귀족 여성이다. 아버지는 마테오 디 안드레아 데글리 알비치, 어머니는 나나 디 니콜로 토르나부오니였다. 1513년 루크레치아는 필리포 디 피에르조반니 리카솔리와 결혼했으나 남편이 사망한 후 재혼하지 않고 과부로서 가정을 관리했다. 슬하에 마테오, 브라치오, 마달레나, 피에르조반니, 알레산드라, 라파엘로 등 최소 6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녀의 서신은 주로 아들들, 특히 마테오와 브라치오에게 보낸 것이다.[16]과부가 된 루크레치아는 가족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농산물 발송 및 판매를 조정하고, 아들들에게 보고하며 가문의 재정을 관리했다. 그녀의 편지에는 가족이 겪는 재정적 어려움, 특히 체면 유지와 부채 관리에 대한 좌절감이 종종 드러난다. 루크레치아는 40대 무렵인 1530년대 후반부터 직접 편지를 쓰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전에는 대필 작가에게 의존했다. 그녀의 첫 자필 서신은 1539년에 작성되었다.[16]
5. 9. 프란체스코 알비치 (Francesco Albizzi, 1593-1684)
체세나에서 태어나 로마 종교 재판의 일원으로 활동한 추기경이다. 그는 로마의 사법 기준, 특히 마녀 혐의와 관련된 사건에서 "엄격한 증거 및 증명 기준"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15] 1684년 90세의 나이로 로마에서 사망했다.5. 10. 엘레오노라 델리 알비치 (Eleonora degli Albizzi, 1543-1634)
엘레오노라 델리 알비치(1543년 – 1634년)는 루이지 델리 알비치와 난니나 소데리니의 딸이었다. 1565년까지 부친의 동의를 얻어 토스카나의 대공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정부가 되었다.[15] 1567년 코시모 1세와의 사이에서 사생아 돈 조반니 데 메디치를 낳았다. 1634년에 사망했다.5. 11. 필리포 델리 알비치 (Filippo degli Albizzi)
필리포 데글리 알비치는 18세기 피렌체 출신의 박물학자이다. 그의 이름을 따서 자귀나무의 학명이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으로 명명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Albizzi Family, Florence As It Was
http://florenceasitw[...]
2021-02
[2]
서적
Chapter 7: Editing the Albiz[z]i Memorial Book
https://books.google[...]
2021
[3]
서적
Chapter 7: Editing the Albiz[z]i Memorial Book
https://books.google[...]
2021
[4]
웹사이트
Albizzi Family, Florence As It Was
http://florenceasitw[...]
2021-02
[5]
웹사이트
Albizzi Family, Florence As It Was
http://florenceasitw[...]
2021-02
[6]
학술지
Politica e spettacolo a Firenze: la festa cavalleresca al tempo degli Albizzi (1382-1434)
2018-11-06
[7]
학술지
Giovanna and Ginevra: Portraits for the Tornabuoni Family by Ghirlandaio and Botticelli
2011
[8]
학술지
"'No painting on earth would be more beautiful': an analysis of Giovanna degli Albizzi's portrait inscription"
2008-11
[9]
학술지
A Note on the Albizzi and the Florentine Conquest of Pisa
1967
[10]
웹사이트
Albizzi Family, Florence As It Was
http://florenceasitw[...]
2021-02
[11]
웹사이트
Albizzi Family, Florence As It Was
http://florenceasitw[...]
2021-02
[12]
웹사이트
Rinaldo degli Albizzi – the enemy of Cosimo the Elder
https://lovefromtusc[...]
[13]
웹사이트
Rinaldo degli Albizzi – the enemy of Cosimo the Elder
https://lovefromtusc[...]
[14]
학술지
Severing the Neck of Pride: Donatello's ''Judith and Holofernes'' and the Recollection of Albizzi Shame in Medicean Florence
2001
[15]
학술지
Antonio degli Albizzi and Lutheran Propaganda in Early Seventeenth-Century Italy
2022-04
[16]
학술지
Learning to Write Letters in Sixteenth-Century Florence: Epistolary Formulae in the Correspondence of Lucrezia Albizzi Ricasoli
2023-12-27
[17]
서적
Dalla republica fiorentina alla signoria Medicea: Maso degli Albizzi e il partito oligarchico in Firenze dal 1382 al 1393
1926
[18]
서적
The Florentine Galleys in the Fifteenth Century: with the diary of Luca di Maso degli Albizzi, Captain of the Galleys, 1429–1430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