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파-아밀레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파-아밀레이스는 녹말을 말토스와 덱스트린으로 분해하는 효소로, 인체에서는 침과 이자액에서 주로 발견된다. 침샘 아밀레이스(프티알린)는 침에서 녹말을 분해하며, 위산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췌장 아밀레이스는 아밀로스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절단하여 덱스트린, 말토스, 말토트리오스를 생성한다. 아밀레이스 검사는 췌장염 진단에 사용되며, 타액 아밀레이스는 스트레스의 생체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알파-아밀레이스는 에탄올 생산, 고과당 옥수수 시럽 제조, 세제 등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세균 생물막 분해를 통해 의학적 활용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3.2.1 - 리소자임
    리소자임은 펩티도글리칸의 β-1,4-글리코사이드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로,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 분해를 통한 항균 작용을 하며, 질병 예방 및 치료, 식품 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EC 3.2.1 - 락테이스
    락테이스는 유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하는 효소로, 유당 불내증 치료 보충제나 유당 분해 우유 제조에 사용되며, 효모와 곰팡이에서 얻을 수 있고 일부 인구 집단에서는 락타아제 지속성이 나타난다.
알파-아밀레이스
효소 정보
이름α-아밀레이스
EC 번호3.2.1.1
CAS 번호9000-90-2
인간 침 α-아밀레이스: 엷은 카키색으로 보이는 칼슘 이온, 녹색으로 보이는 염화물 이온. PDB 1SMD
인간 침 α-아밀레이스: 엷은 카키색으로 보이는 칼슘 이온, 녹색으로 보이는 염화물 이온. PDB
단백질 군 정보 (GH13 촉매 도메인)
심볼Alpha-amylase
이름GH13 촉매 도메인
시클로덱스트린 글루칸전이효소 (e.c.2.4.1.19) (cgtase)
시클로덱스트린 글루칸전이효소 (e.c.2.4.1.19) (cgtase)
PfamPF00128
Pfam 클랜CL0058
InterProIPR006047
SCOP1ppi
OPM 패밀리117
OPM 단백질1wza
CAZyGH13
CDDcd11338
단백질 군 정보 (알파-아밀레이스 C-말단 베타-시트 도메인)
심볼Alpha-amyl_C2
이름알파-아밀레이스 C-말단 베타-시트 도메인
맥주보리 알파-아밀레이스 아이소자임 1 (amy1) 불활성 돌연변이 d180a와 말토헵타오스의 복합체 결정 구조
맥주보리 알파-아밀레이스 아이소자임 1 (amy1) 불활성 돌연변이 d180a와 말토헵타오스의 복합체 결정 구조
PfamPF07821
InterProIPR012850
단백질 군 정보 (알파 아밀레이스, C-말단 올-베타 도메인)
심볼Alpha-amylase_C
이름알파 아밀레이스, C-말단 올-베타 도메인
전처리된 시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전이효소 돌연변이체의 말토트라이오스 복합체
말토트라이오스 복합체로 전처리된 시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전이효소 돌연변이체
PfamPF02806
Pfam 클랜CL0369
InterProIPR006048
SCOP1ppi
일반 정보
설명큰 α-연결 다당류의 α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다.
참고

2. 인체 생물학

아밀레이스는 여러 조직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이자액에서 많이 발견되며, 각각 인간 α-아밀레이스의 고유한 동형효소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등전점 전기영동에서 다르게 반응하며, 특정 단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검사 시 분리할 수도 있다. 인간의 경우, 모든 아밀레이스 동형효소는 1번 염색체 p21에 연결되어 있다(AMY1A 참조).

침샘 아밀레이스(프티알린)는 녹말말토스덱스트린으로 분해하며, 이자 α-아밀레이스는 아밀로스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무작위로 절단하여 덱스트린, 말토스, 말토트리오스를 생성한다.

아밀레이스 검사는 췌장염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며, 췌장염, 유행성 이하선염, 신부전 등에서 혈장 아밀레이스 수치가 증가한다.[10][11]

2. 1. 침샘 아밀레이스 (프티알린)

에서 발견되는 아밀레이스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에 의해 "프티알린"이라고도 불린다. π|프티알린grc은 그리스어 πτυω (나는 침을 뱉는다)에서 유래되었는데, 침에서 얻어졌기 때문이다.[4] 프티알린은 녹말말토스덱스트린으로 분해한다. 선형 α(1,4) 글리코시드 결합에 작용하지만, 가지가 있는 생성물에는 다른 효소가 필요하다.

침샘 아밀레이스는 에서 위산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pH 3.3 위액에서는 20분 만에 완전히 비활성화되지만, pH 4.3에서는 150분 후에도 활성의 50%가 남는다.[5] 녹말과 그 생성물(짧은 포도당 사슬)은 위산으로부터 프티알린을 부분적으로 보호한다. pH 3.0 완충액에서 120분 만에 불활성화되지만, 0.1% 녹말 첨가 시 활성의 10%가, 1.0% 첨가 시 약 40%가 유지된다.[6]

2. 1. 1. 프티알린의 최적 조건

프티알린은 pH 7.0에서 가장 잘 작용한다.[7]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섭씨 37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반응한다.[8]

프티알린이 작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음이온과 활성제가 필요하다. 염화물과 브로민 이온이 가장 효과적이며, 요오드 이온은 그보다 덜 효과적이다. 황산염인산염 이온은 가장 덜 효과적인 활성제이다.[8]

2. 1. 2. 인간 타액 아밀레이스의 유전적 변이

타액 아밀레이스 유전자는 진화 과정에서 중복을 겪었으며, DNA 혼성화 연구에 따르면 많은 개인이 해당 유전자의 여러 직렬 반복을 가지고 있다. 유전자 복제본 수는 사람 아밀레이스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단백질 블롯 분석으로 측정한 타액 아밀레이스의 수준과 상관관계가 있다. 유전자 복제본 수는 높은 전분 식단에 대한 명백한 진화적 노출과 관련이 있다.[9] 예를 들어, 한 일본인은 아밀레이스 유전자 복제본을 14개(10개의 복제본을 가진 하나의 대립 유전자와 4개의 복제본을 가진 두 번째 대립 유전자) 가지고 있었다. 일본 식단은 전통적으로 많은 양의 전분을 포함해 왔다. 반면, 비아카인은 6개의 복제본(각 대립 유전자당 3개의 복제본)을 가지고 있었다. 비아카는 전통적으로 전분 함량이 낮은 식단을 섭취해 온 열대 우림 수렵 채집인이다. 페리 등은 타액 아밀레이스 유전자의 복제본 수 증가가 인간 진화 과정에서 전분 식단으로의 변화와 일치하여 생존을 향상시켰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2. 2. 췌장 아밀레이스

췌장 α-아밀레이스는 아밀로스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무작위로 절단하여 덱스트린, 말토스, 말토트리오스를 생성한다. 이는 아노머 배위를 유지하면서 이중 변위 메커니즘을 채택한다. 인간의 타액 아밀레이스는 이 효소의 복제본에서 진화했다.[9]

2. 3. 병리학

아밀레이스 검사는 췌장염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췌장염, 유행성 이하선염, 신부전 등에서 혈장 아밀레이스 수치가 증가한다.[10][11]

2. 3. 1. 해석

아밀레이스 검사는 리파아제 검사보다 수행하기 쉬워 췌장염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의학 실험실에서는 일반적으로 췌장 아밀레이스 또는 총 아밀레이스를 측정한다. 췌장 아밀레이스만 측정하는 경우 볼거리 또는 기타 침샘 손상으로는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소량의 아밀레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측정을 위한 혈액 채취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 췌장염 통증이 발생한 직후에 혈액을 채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신장에 의해 빠르게 배설된다.

타액 α-아밀레이스는 스트레스의 생체 지표로 사용되었으며[10][11], 혈액 채취가 필요 없는 교감 신경계 활동의 대리 지표로 사용된다.[12]

다음과 같은 경우 사람의 혈장 수치가 증가한다.

  • 타액 외상 (마취 기관 내 삽관 포함)
  • 유행성 이하선염 – 타액선의 염증으로 인한 것
  • 췌장염 – 아밀레이스를 생성하는 세포 손상으로 인한 것
  • 신부전 – 배설 감소로 인한 것


총 아밀레이스 수치가 정상 상한치(ULN)의 10배 이상이면 췌장염을 시사한다. ULN의 5~10배는 장폐색 또는 십이지장 질환 또는 신부전을 나타낼 수 있으며, 더 낮은 수치는 일반적으로 타액선 질환에서 발견된다.

2. 4. 관련 유전자

구분관련 유전자
타액AMY1A, AMY1B, AMY1C
췌장AMY2A, AMY2B


3. 곡물

알파-아밀레이스는 곡물, 특히 에서 그 활성이 측정되며, 싹 손상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그버그-페르텐 폴링 넘버[13] 또는 파데바스 방법이 사용된다.

4. 산업적 이용

알파-아밀레이스는 에탄올 생산과 고과당 옥수수 시럽 제조, 그리고 세제 등에 사용된다.[14]


  • 에탄올 생산 과정에서 곡물의 전분을 발효 가능한 당으로 분해한다.
  • 고과당 옥수수 시럽 제조 시 첫 단계에서 옥수수 전분을 처리하여 긴 전분 중합체를 짧은 올리고당 사슬로 자른다.
  • 일부 세제, 특히 식기 세척 및 전분 제거 세제에 사용되며,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추출한 "Termamyl"이라는 α-아밀레이스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아밀레이스 계열의 더 많은 용도에 대해서는 아밀레이스 문서를 참조.

4. 1. 에탄올 생산

알파-아밀레이스는 곡물의 전분을 발효 가능한 당으로 분해하기 위해 에탄올 생산에 사용된다.[14]

4. 2. 고과당 옥수수 시럽 생산

고과당 옥수수 시럽 생산의 첫 단계는 옥수수 전분을 α-아밀레이스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α-아밀레이스는 긴 전분 중합체를 짧은 올리고당 사슬로 절단한다.[14]

4. 3. 세제

알파-아밀레이스는 일부 세제, 특히 식기 세척 및 전분 제거 세제에 사용된다.[14]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추출한 "Termamyl"이라고 불리는 α-아밀레이스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14]

5. 의학적 활용 가능성

알파-아밀레이스는 세균 생물막의 구조와 매트릭스 세포 외 고분자 물질(EPS) 내의 α(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여러 미생물 생물막을 분해하는 데 효과가 있다.[15][16]

6. 질병 및 건강 관련성

α-글루코시다아제 및 알파-아밀레이스 억제제는 계피[17]아카보스를 함유한 박테리아[18]와 같은 여러 생약/약초에서 발견된다. 이는 항당뇨병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복합 탄수화물을 함유한 식사 전에 단일 용량을 섭취하면 혈당 급증을 명확하게 억제하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식후 고혈당증(140mg/dL 초과, 7.8mmol/L 초과)을 감소시킬 수 있다.[17]

7. 완충액 억제

트리스 분자는 다수의 세균 알파-아밀레이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므로,[19][20] 트리스 완충액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8. 측정 방법

α-아밀레이스 활성 측정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각 산업 분야에서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요오드 검사의 발전된 형태인 전분 요오드 검사는 색상 변화를 기반으로 하며, α-아밀레이스가 전분을 분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흔히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지만 산업적으로 생산된 검사법으로는 파데바스 아밀레이스 검사가 있으며, 이는 세제, 다양한 밀가루, 곡물, 맥아 식품, 법의학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정성 및 정량 검사로 사용된다.

변형된 비색법을 이용한 아밀레이스 미량 측정법도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전분-요오드 색상의 감소를 통해 전분의 소화를 측정한다.[21]

9. 도메인 구조

알파-아밀레이스는 여러 개의 뚜렷한 단백질 도메인을 포함한다. 촉매 도메인은 활성 부위를 포함하는 8가닥 α/β 배럴로 구성된 이차 구조를 가지며, 이는 β-가닥 3과 α-나선 3 사이에 돌출된 약 70개의 아미노산 칼슘 결합 도메인과 카르복시 말단 그리스 키 β-배럴 도메인에 의해 중단된다.[22] 여러 알파-아밀레이스는 보통 C 말단에 β-시트 도메인을 포함한다. 이 도메인은 5가닥 역평행 β-시트로 구성된다.[23][24] 여러 알파-아밀레이스는 보통 C 말단에 모든 β 도메인을 포함한다.[25]

참조

[1] 논문 Structure of human salivary α-amylase at 1.6 Å resolution: implications for its role in the oral cavity 1996-05
[2] 웹사이트 Amylase https://sml.snl.no/a[...] Store Norske Leksikon 2021-01-24
[3] 서적 Biochimie De Boeck 2005
[4] 간행물 Traité de Chimie https://books.google[...] Firmin Didot Frerès 1833
[5] 논문 Passage of salivary amylase through the stomach in humans 1987-10
[6] 논문 Starch and glucose oligosaccharides protect salivary-type amylase activity at acid pH 1988-05
[7] 웹사이트 Amylase, Alpha – Worthington Enzyme Manual http://www.worthingt[...]
[8]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amylase from saliva and detergent: Laboratory practicals for studying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amylase from saliva and various commercial detergents 2012-07
[9] 논문 Diet and the evolution of human amylase gene copy number variation 2007-10
[10]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biomarkers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ore under mental arithmetic stress: a pilot study 2005-12
[11] 논문 Salivary α-amylase in biobehavioral research: recent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2007-03
[12] 논문 Salivary α-amylase as a non-invasive biomarker for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current state of research 2009-05
[13] 웹사이트 Falling Number – Introduction http://www.perten.co[...] Perten Instruments 2005
[14] 웹사이트 The use of enzymes in detergents http://www1.lsbu.ac.[...] Faculty of Engineering, Science and the Built Environment, London South Bank University 2004-12-20
[15] 논문 Approaches to Dispersing Medical Biofilms 2017-04
[16] 논문 Glycoside Hydrolases Degrade Polymicrobial Bacterial Biofilms in Wounds 2017-02
[17] 논문 Suppression of the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by a raw medicinal herb powder is weakened when consumed in ordinary hard gelatin capsules: A randomized crossover clinical trial https://dx.plos.org/[...] 2024-10-09
[18] 논문 Cinnamon Shows Antidiabetic Properties that Are Species-Specific: Effects on Enzyme Activity Inhibition and Starch Digestion http://link.springer[...] 2019-12
[19] 논문 Binding of Tris to Bacillus licheniformis alpha-amylase can affect its starch hydrolysis activity 2008
[20] 논문 Crystal structures of the psychrophilic α-amylase from Alteromonas haloplanctis in its native form and complexed with an inhibitor 1998-03
[21] 논문 A Study of the Starch-Iodine Complex: A Modified Colourimetric Micro Determination of Amylase in Biological Fluids https://academic.oup[...] American Association for Clinical Chemistry 1964
[22] 논문 Complexes of ''Thermoactinomyces vulgaris'' R-47 alpha-amylase 1 and pullulan model oligossacharide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mechanism for recognizing substrates with α-(1,6) glycosidic linkages 2005-12
[23] 논문 Molecular structure of a barley alpha-amylase-inhibitor complex: implications for starch binding and catalysis 1998-04
[24] 논문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barley α-amylase 1994-05
[25] 논문 Crystal structure of calcium-depleted ''Bacillus licheniformis'' α-amylase at 2.2 Å resolution 199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