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차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차용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의 어근을 기반으로 단어가 만들어지고, 이 복합어가 다시 차용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서구권에서는 라틴어 또는 고대 그리스어 어근으로 형성된 고전 복합어가 로망스어나 현대 그리스어로 차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중국어 어근을 기반으로 한 일본어에서 만들어진 단어가 중국어와 일본어로 역차용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과정은 문화적 교류, 언어적 접촉,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언어 변화, 문화 상호작용,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 강화 등 다양한 영향과 의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래어 - 일본어의 한글 표기
일본어의 한글 표기는 일본어 음운 체계와 한글 자모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표기 방식이 존재하며, 근대 이전부터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를 거듭해 왔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각각 외래어 표기법과 외국말적기법을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 사회에서는 다양한 표기가 통용되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 외래어 -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 어휘를 한국어로 표기하기 위한 규칙으로, 현지 발음을 존중하며 국어의 자모만 사용하고 1 음운을 1 기호로 표기하며 7개의 받침만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비교언어학 - 어족
어족은 공통 조상어에서 파생되어 계통적으로 관련된 언어들의 집합으로, 비교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분류되며, 언어 간섭, 차용, 고립어, 혼합어 등의 복잡성으로 인해 분류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인류 이동과 언어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비교언어학 - 고유어
고유어는 특정 언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어휘를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객관주의적 및 주관주의적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양하며, 언어 순화 운동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도 관련되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개념이다.
역차용 |
---|
2. 역차용의 개념 및 유형
역차용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의 어근을 기반으로 단어가 만들어지고, 이 복합어가 다시 차용되는 현상을 말한다. 서구권에서는 주로 라틴어 또는 고대 그리스어 어근으로 형성된 고전 복합어가 로망스어 또는 현대 그리스어로 차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어 어근을 기반으로 현대 그리스어에서 만들어진 τηλεγράφημα (''tilegráfima'', '전보')와 같은 용어가 이에 해당한다.[7] 이는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중국어 어근을 기반으로 한 일본어에서 만들어진 단어들이 중국어와 일본어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용어는 종종 한국어를 거쳐 전해졌다. 이러한 단어는 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중국어(그리고 종종 한국어)로 차용되어 해당 발음으로 사용된다. 20세기 중반부터는 이러한 차용이 드물어졌다. 이러한 단어들은 중국어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었지만, 우연히 일본어에서 먼저 만들어진 경우가 많으며, ''분카''('문화')와 ''가쿠메이''('혁명')가 대표적인 예이다.[7]
2. 1. 어원적 역차용
2. 2. 의미적 역차용
2. 3. 형태적 역차용
3. 역차용의 원인과 배경
3. 1. 문화적 교류 및 전파
3. 2. 언어적 접촉 및 혼성
3. 3. 사회적 요인 및 유행
4. 역차용의 예시
원어 | 최종 유입 언어 | |||||||||
---|---|---|---|---|---|---|---|---|---|---|
고대 노르드어: klubba | → | 영어: 클럽(club) | → | 노르웨이어: klubb [2] | ||||||
프랑스어: tenez[16] | → | 영어: 테니스 | → | 프랑스어: tennis [9] | ||||||
프랑스어: cotte | → | 영어: riding coat | → | 프랑스어: redingote | → | 영어: redingote | ||||
고대 프랑스어: | bacoun | → | 영어: | bacon | → | 프랑스어: | bacon | |||
그리스어: κίνημα | → | 프랑스어: cinéma(tographe) | → | 그리스어: σινεμά | ||||||
네덜란드어: bolwerk | → | 프랑스어: boulevard | → | 네덜란드어: boulevard | ||||||
네덜란드어: manneken [17] | → | 프랑스어: mannequin | → | 네덜란드어: mannequin [10] | ||||||
네덜란드어: koekje | → | 영어: cookie | → | 네덜란드어: cookie | ||||||
중세 네덜란드어: snacken[3] ("숨을 헐떡이다/물어뜯다")}} | → | 영어: to snack[4] | → | 네덜란드어: snacken }}[11][12] | ||||||
영어: crack | → | 아일랜드어: | craic | → | 영어: craic | |||||
영어: animation | → | 일본어: アニメ | → | 영어: anime [20] | ||||||
영어: professional wrestling | → | 일본어: プロレス | → | 영어: puroresu | ||||||
히브리어: תַּכְלִית (목적)}} | → | 이디시어: תכלית (결과; 목적; 진지한 일)}}[5] | → | 히브리어: תַּכְלֶס (직접적으로, 사실대로, 쓸데없는 소리 하지 않고)}} | ||||||
스페인어: tronada | → | 영어: tornado | → | 스페인어: tornado | ||||||
중국어: 革命 | → | 일본어: 革命일본어 | → | 중국어: 革命 [14] | ||||||
중국어: 共和 | → | 일본어: 共和일본어 | → | 중국어: 共和 | ||||||
중국어: 抹茶 | → | 일본어: 抹茶일본어 | → | 중국어: | |s=|t=|labels=no}} | |||||
민남어 또는 광동어: | |s=|t=|labels=no}} | → | 영어: | 케첩(ketchup) | → | 광동어: | |s=|t=|labels=no}} | |||
고대 튀르크어: | ülüş | → | 몽골어: | ulus | → | 튀르키예어: | ulus | |||
튀르키예어: | bey armudu | → | 이탈리아어: | bergamotto | → | 프랑스어: | bergamote | → | 튀르키예어: | bergamot |
중세 몽골어: | jarlig | → | 러시아어: | ярлык | → | 몽골어: | yarlyk | |||
중세 페르시아어: | handaz- | → | 아랍어: | مهندس | → | 페르시아어: | مهندس | |||
페르시아어: | زرناپا | → | 아랍어: | زرافة | → | 페르시아어: | زرافه | |||
일본어: | 가미카제 | → | 영어: | kamikaze | → | 일본어: | 가미카제 | |||
일본어: | 가라오케 | → | 영어: | karaoke | → | 일본어: | 가라오케 | |||
프랑스어: | magasin | → | 영어: | magazine | → | 프랑스어: | magazine | |||
고대 프랑스어: | estandard | → | 영어: | standard | → | 프랑스어: | standard | |||
중국어: | 과자 | → | 일본어: | 과자 | → | 중국어: | 과자 | |||
이탈리아어: | disegno | → | 영어: | design | → | 이탈리아어: | design | |||
고대 프랑스어: | desport | → | 영어: | sport | → | 프랑스어: | sport |
많은 언어에 존재하는 게릴라(guerilla)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werra(「전쟁」, <<게르만 조어 *werra-)가 로망스계 언어에 guerre나 guerra(「전쟁」)로 들어간 후, 나폴레옹 시대에 이베리아 반도의 소규모 충돌이 스페인어로 guerilla(「작은 전쟁」, -illa는 축소사)로 불리며, 그것이 각 언어에 전파된 것이며, 독일어에서 보면 werra→guerra→Guerilla로의 변천을 거쳐 돌아온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영어의 anthropology(「인류학」)는 근대에 (고대) 그리스어의 ἄνθρωπος(ánthrōpos,「인간」)와 λόγος(lógos,「학문」)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조어이며, 현대 그리스어에도 ανθρωπολογία (anthropolo'ía)로 차용・도입되었다.
아래는 그리스어 어휘의 변천 사례를 모아놓은 것이다.
- αμπανόζι (το) (abanózi,「흑단, = 가구용 목재」), ← 터키어: abanoz(「흑단」), ← 아랍어・페르시아어: abanus/abnus(「흑단」), ← 고대 그리스어: έβενος(ébenos,「흑단」. 현기: έβενος <évenos>「흑단」)
- γάμπα (η)(gámba,「종아리・하퇴부」), ← 이탈리아어: gamba(「인간의 하퇴부」,「(양말・바지로) 종아리 부분」), ← 라틴어: camba/gamba(「말의 다리, 사지 동물 다리」), ← 고대 그리스어: καμπή(kampḗ, 도리스 방언: καμπά
,「관절」, 현기: καμπή 「만곡・커브」)
- γκλαμουριά (η)/γκλάμουρ (το)(glamuriá/glámur,「매력」), ← 영어: glamor/glamour(「요염한 매력, 마력」), ← 스코틀랜드어: glammar(「마법, 마술, 매력」), ← 근대 영어: grammar/gramaryle(「학문, 박식, 비술의 수학」), ← 중세 영어: gramer, ← 고대 프랑스어: grammaire/grimoire, ← 라틴어: (ars) grammatica(「학문의 (기)」), ← 고대 그리스어: γραμματική (τέχνη)(grammatikḗ (téchnē),「쓰고 읽는 (기)」, 현기: γραμματικός
「문법의」)
- εγκυκλοπαιδεία (η)(enkiklopedía,「백과사전」), ← 프랑스어: encyclopédie(「백과사전」), ← 근대 라틴어: encyclopaedia(「백과사전」), ← 고대 그리스어(헬레니즘 시대): εγκύκλιος παιδεία(egkúklios paideía,「원환적인 교육」, < εν κύκλω παιδεία
,「전반에 걸친 학문 교육」, 현기: εγκύκλιος 「전반적인」, παιδεία 「교육」)
- καρότο (το)(karóto,「당근」), ←καρότα (η)(karóta,「당근」), ← 이탈리아어: carota(「당근」), 라틴어: carota –ae(「당근」), ← 고대 그리스어: καρωτόν(karōtón,「당근」)
- κόρδα (η)(kórda,「현, 거트・창자선」), ← 그리스어(이오니아 방언): κόρδα(kórda), ← 라틴어: chorda(「창자, 현・창자선」), ← 고대 그리스어: χορδή(chordḗ, 도리스 방언: χορδά
,「창자, 현・창자선」, 현기: χορδή 「현」)
- λιμάνι (το)(limáni,「항구」), ← 터키어: liman(「항구」), ← 그리스어(비잔틴 시대): λιμένι/λιμένιν(liméni/liménin), 고대 그리스어: *λιμένιον (liménion) < λιμήν (ο)(limḗn,「항구」, 속격: του λιμένος
, 대격: τον λιμένα , 현기: λίμνη 「호수」)
- μάκινα (η)(mákina, μάκενα
,「차」), ← 이탈리아어: macchina/macina(「차」), ← 라틴어: *macina < machina(「설비・기계」), ← 고대 그리스어(아르카이크 시대): μηχανή(mēchanḗ, 도리스 방언: μαχανά ,「설비・도구」, 현기: μηχανή 「기계」)
- μπάνιο (το)(bánio,「입욕・욕실」), ← 이탈리아어: bagno(「입욕・욕실」), ← 라틴어: banyum < banium < *baneum < *banneum < balneum < balineum(「목욕탕」), ← 고대 그리스어: βαλανείον(balaneíon,「공중 목욕탕」)
- μπιζέλι (το)(bizéli,「완두콩」), ← 이탈리아어: pisello(「완두콩」), ← 라틴어: *pisellum, ← 라틴어: pisum(「완두콩」), ← 고대 그리스어(아르카이크 시대): πίσος (ο)/πίσον (το)(písos/píson,「완두콩」)
- μπουτίκ (η)(boutík,「부티크, 사치품의 소점포」), ← 프랑스어: boutique, ← 프로방스어: botica, ← 이탈리아어: bottega(「상점」), ← 라틴어: apothēca –ae(「창고」), ← 고대 그리스어: αποθήκη(apothḗkē,「창고」, 현기: αποθήκη
「창고」)
- μπριγιάν (το)/μπριγιάντι (το)(bri'ián/bri'iánti,「특수한 컷팅을 한 다이아몬드」), ← 프랑스어: brilliant(「광채」「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 ← 라틴어: beryllus/beryllium(「녹주석, 베릴」), ← 고대 그리스어: βήρυλλος/βηρύλλιον(bḗrullos/bērúllion,「인도 기원의 보석」, 현기: βηρύλλιο
「녹옥석, 베릴」)
- μπριλλάντι (το)(brillánti,「특수한 컷팅을 한 다이아몬드」), ← 이탈리아어: brillante(「잘라서 연마한 다이아몬드」), ← 라틴어: beryllus/beryllium(「녹주석, 베릴」), ← 고대 그리스어: βήρυλλος/βηρύλλιον(bḗrullos/bērúllion,「인도 기원의 보석」, 현기: βηρύλλιο
「녹옥석, 베릴」)
- σενάριο (το)(senário,「각본・시나리오」), ← 영어: scenario(「각본」), ← 이탈리아어: scenario(「무대 장치, 각본」), ← 라틴어: scenarium < scena/scaena(「무대・정경」), ← 고대 그리스어: σκηνή(skēnḗ,「텐트・오두막・무대」, 현기: σκηνή
「텐트・무대・막」)
- σμιρίγλι (το)(smirígli,「사포」), ← 이탈리아어: smeriglio(「사포」), ← 근대 라틴어: smeriglion < *smirilium(「사포」), ← 고대 그리스어: σμιρίτης λίθος(smirítēs líthos <「금강사의 돌」>「사포」)(σμιρίτης의 다른 형태: σμίρις (η)
, 속격: της σμίριδος .σμύρις (η) , 속격: της σμύριδος , 현기: σμύρη 「사포」)
- τεφτέρι (το)(teftéri,「노트, 부기장」), ← 터키어: defter(「노트」), ← 아랍어・페르시아어: diftar(「노트」), ← 고대 그리스어: διφθέρα(difthéra,「동물의 가죽」, 현기: διφθέρα
「무두질한 가죽」)
- φανταστικός (ο)(fantastikós,「훌륭한, 인상적인」), ← 영어: fantastic(「훌륭한」), ← 고대 그리스어: φανταστικός(fantastikós,「실재하지 않는, 상상의」, 현기: 동일한 어형)
- φουντούκι (το)(fundúki,「개암」), ← 터키어: fındık(「개암」), ← 고대 그리스어: ποντικόν κάρυον(pontikón káruon <「폰토스 지방의 견과」>「개암」, 현기: ποντιακός
「폰토스 지방의」, καρύδι 「견과」)
4. 1. 한국어와 관련된 역차용
한국어를 거쳐 다른 언어로 차용되었다가 다시 한국어로 돌아온 사례는 현재 주어진 자료에 나타나 있지 않다. 다른 언어에서 한국어를 거쳐 다시 원래 언어로 돌아간 사례 또한 주어진 자료에 없다.4. 1. 1. 일본어를 통한 역차용
일본어의 경우, "가미카제(神風)", "가라오케" 등이 역차용의 사례로 언급될 수 있다.4. 1. 2. 중국어를 통한 역차용
주어진 `source`에는 중국어를 통한 역차용 사례가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summary`에 제시된 "말차" 등의 사례는 `source`에 기반하지 않으므로 출력할 수 없다. `source`는 주로 유럽어족 내에서의 역차용 사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일본어의 '아니메' 정도가 예외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4. 2. 유럽 언어 간 역차용
유럽 언어들 사이에서는 여러 역차용 사례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클럽(club)"은 고대 노르드어 ''klubba''에서 영어 ''club''으로, 다시 스웨덴어 ''klubb''로 역차용되었다.[2] "테니스(tennis)"는 프랑스어 ''tenez''[16]에서 영어 ''tennis''로 유입된 후 다시 프랑스어로 ''tennis''로 역차용되었다.[9]프랑스어 ''cotte''에서 유래한 영어 ''riding coat''는 다시 프랑스어 ''redingote''가 되었고, 이는 다시 영어 ''redingote''로 역차용되었다. 그리스어 ''κίνημα'' (kínēma, 운동)에서 유래한 프랑스어 ''cinéma''는 다시 그리스어 ''σινεμά'' (sinemá, 영화관)로 역차용되었다.
네덜란드어 ''bolwerk'' (방벽, 보루)는 프랑스어 ''boulevard''가 되었다가 다시 네덜란드어 ''boulevard'' (넓은 길)로 역차용되었다. 플라망어 ''manneken'' (작은 남자)[17]에서 유래한 프랑스어 ''mannequin''은 다시 네덜란드어 ''mannequin'' (패션 모델)으로 역차용되었다.[10] 중세 네덜란드어 ''snacken''[18]은 영어 ''to snack''[19]이 되었다가 다시 네덜란드어 ''snacken''으로 역차용되었다.[3][4][11][12]
영어 ''animation''은 일본어에서 アニメ[20]가 되었다가 다시 영어 ''anime'' (일본 애니메이션)로 역차용되었다.
스페인어 ''tronada''(뇌우)는 영어 ''tornado''가 된 후, 다시 스페인어 ''tornado''로 역차용되었다.
많은 언어에서 사용되는 "게릴라(guerilla)"는 고대 고지 독일어 ''werra''(전쟁)가 로망스계 언어에서 ''guerre''나 ''guerra''(전쟁)로 변형된 후, 나폴레옹 시대 이베리아 반도에서 발생한 소규모 충돌을 지칭하는 스페인어 ''guerilla''(작은 전쟁)에서 유래했다. 이는 다시 여러 언어로 전파되었는데, 독일어의 경우 ''werra''→''guerra''→''Guerilla''와 같은 변천을 거친 역차용 사례로 볼 수 있다.
4. 3. 그리스어와 관련된 역차용
고대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다른 언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다시 돌아온 사례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현상을 역차용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시네마(σινεμά)"는 고대 그리스어 "κίνημα (kínēma, movement)"에서 유래하여 프랑스어 "cinéma"를 거쳐 다시 그리스어로 들어왔다.다음은 그리스어와 관련된 역차용 사례들이다.
- αμπανόζι (το) (abanózi, "흑단, 가구용 목재"): ← 터키어: abanoz ("흑단") ← 아랍어・페르시아어: abanus/abnus ("흑단") ← 고대 그리스어: έβενος (ébenos, "흑단". 현대 그리스어: έβενος <évenos> "흑단")
- γάμπα (η) (gámba, "종아리・하퇴부"): ← 이탈리아어: gamba ("인간의 하퇴부", "(양말・바지로) 종아리 부분") ← 라틴어: camba/gamba ("말의 다리, 사지 동물 다리") ← 고대 그리스어: καμπή (kampḗ, 도리스 방언: καμπά
, "관절", 현대 그리스어: καμπή "만곡・커브") - γκλαμουριά (η)/γκλάμουρ (το) (glamuriá/glámur, "매력"): ← 영어: glamor/glamour ("요염한 매력, 마력") ← 스코틀랜드어: glammar ("마법, 마술, 매력") ← 근대 영어: grammar/gramaryle ("학문, 박식, 비술의 수학") ← 중세 영어: gramer ← 고대 프랑스어: grammaire/grimoire ← 라틴어: (ars) grammatica ("학문의 (기)") ← 고대 그리스어: γραμματική (τέχνη) (grammatikḗ (téchnē), "쓰고 읽는 (기)", 현대 그리스어: γραμματικός
"문법의") - εγκυκλοπαιδεία (η) (enkiklopedía, "백과사전"): ← 프랑스어: encyclopédie ("백과사전") ← 근대 라틴어: encyclopaedia ("백과사전") ← 고대 그리스어(헬레니즘 시대): εγκύκλιος παιδεία (egkúklios paideía, "원환적인 교육", < εν κύκλω παιδεία
, "전반에 걸친 학문 교육", 현대 그리스어: εγκύκλιος "전반적인", παιδεία "교육") - καρότο (το) (karóto, "당근"): ←καρότα (η) (karóta, "당근") ← 이탈리아어: carota ("당근") ← 라틴어: carota –ae ("당근") ← 고대 그리스어: καρωτόν (karōtón, "당근")
- κόρδα (η) (kórda, "현, 거트・창자선"): ← 그리스어(이오니아 방언): κόρδα (kórda) ← 라틴어: chorda ("창자, 현・창자선") ← 고대 그리스어: χορδή (chordḗ, 도리스 방언: χορδά
, "창자, 현・창자선", 현대 그리스어: χορδή "현") - λιμάνι (το) (limáni, "항구"): ← 터키어: liman ("항구") ← 그리스어(비잔틴 시대): λιμένι/λιμένιν (liméni/liménin), 고대 그리스어: *λιμένιον (liménion) < λιμήν (ο) (limḗn, "항구", 속격: του λιμένος
, 대격: τον λιμένα , 현대 그리스어: λίμνη "호수") - μάκινα (η) (mákina, μάκενα
, "차"): ← 이탈리아어: macchina/macina ("차") ← 라틴어: *macina < machina ("설비・기계") ← 고대 그리스어(아르카이크 시대): μηχανή (mēchanḗ, 도리스 방언: μαχανά , "설비・도구", 현대 그리스어: μηχανή "기계") - μπάνιο (το) (bánio, "입욕・욕실"): ← 이탈리아어: bagno ("입욕・욕실") ← 라틴어: banyum < banium < *baneum < *banneum < balneum < balineum ("목욕탕") ← 고대 그리스어: βαλανείον (balaneíon, "공중 목욕탕")
- μπιζέλι (το) (bizéli, "완두콩"): ← 이탈리아어: pisello ("완두콩") ← 라틴어: *pisellum ← 라틴어: pisum ("완두콩") ← 고대 그리스어(아르카이크 시대): πίσος (ο)/πίσον (το) (písos/píson, "완두콩")
- μπουτίκ (η) (boutík, "부티크, 사치품의 소점포"): ← 프랑스어: boutique ← 프로방스어: botica ← 이탈리아어: bottega ("상점") ← 라틴어: apothēca –ae ("창고") ← 고대 그리스어: αποθήκη (apothḗkē, "창고", 현대 그리스어: αποθήκη
"창고") - μπριγιάν (το)/μπριγιάντι (το) (bri'ián/bri'iánti, "특수한 컷팅을 한 다이아몬드"): ← 프랑스어: brilliant ("광채",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 ← 라틴어: beryllus/beryllium ("녹주석, 베릴") ← 고대 그리스어: βήρυλλος/βηρύλλιον (bḗrullos/bērúllion, "인도 기원의 보석", 현대 그리스어: βηρύλλιο
"녹옥석, 베릴") - μπριλλάντι (το) (brillánti, "특수한 컷팅을 한 다이아몬드"): ← 이탈리아어: brillante ("잘라서 연마한 다이아몬드") ← 라틴어: beryllus/beryllium ("녹주석, 베릴") ← 고대 그리스어: βήρυλλος/βηρύλλιον (bḗrullos/bērúllion, "인도 기원의 보석", 현대 그리스어: βηρύλλιο
"녹옥석, 베릴") - σενάριο (το) (senário, "각본・시나리오"): ← 영어: scenario ("각본") ← 이탈리아어: scenario ("무대 장치, 각본") ← 라틴어: scenarium < scena/scaena ("무대・정경") ← 고대 그리스어: σκηνή (skēnḗ, "텐트・오두막・무대", 현대 그리스어: σκηνή
"텐트・무대・막") - σμιρίγλι (το) (smirígli, "사포"): ← 이탈리아어: smeriglio ("사포") ← 근대 라틴어: smeriglion < *smirilium ("사포") ← 고대 그리스어: σμιρίτης λίθος (smirítēs líthos <"금강사의 돌"> "사포") (σμιρίτης의 다른 형태: σμίρις (η)
, 속격: της σμίριδος .σμύρις (η) , 속격: της σμύριδος , 현대 그리스어: σμύρη "사포") - τεφτέρι (το) (teftéri, "노트, 부기장"): ← 터키어: defter ("노트") ← 아랍어・페르시아어: diftar ("노트") ← 고대 그리스어: διφθέρα (difthéra, "동물의 가죽", 현대 그리스어: διφθέρα
"무두질한 가죽") - φανταστικός (ο) (fantastikós, "훌륭한, 인상적인"): ← 영어: fantastic ("훌륭한") ← 고대 그리스어: φανταστικός (fantastikós, "실재하지 않는, 상상의", 현대 그리스어: 동일한 어형)
- φουντούκι (το) (fundúki, "개암"): ← 터키어: fındık ("개암") ← 고대 그리스어: ποντικόν κάρυον (pontikón káruon <"폰토스 지방의 견과"> "개암", 현대 그리스어: ποντιακός
"폰토스 지방의", καρύδι "견과")
영어의 "anthropology"(인류학)는 근대에 (고대) 그리스어의 ἄνθρωπος(ánthrōpos, "인간")와 λόγος(lógos, "학문")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조어이며, 현대 그리스어에도 ανθρωπολογία (anthropolo'ía)로 차용・도입되었다.
4. 4. 네덜란드어와 관련된 역차용
네덜란드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다른 언어를 거쳐 다시 네덜란드어로 돌아온 사례는 다음과 같다:- 마네킹(mannequin): 플라망어에서 유래한 ''manneken''("작은 사람")[17]이 프랑스어 ''mannequin''을 거쳐 네덜란드어 ''mannequin''으로 역차용되었다.
- 스낵(snacken): 중세 네덜란드어 ''snacken''[18]이 영어 ''to snack''[19]을 거쳐 네덜란드어 ''snacken''으로 역차용되었다.
- 불레바드(boulevard): 네덜란드어 ''bolwerk''(성벽)이 프랑스어 ''boulevard''를 거쳐 네덜란드어 ''boulevard''("넓은 가로수 길")로 역차용되었다.
- 세리프(serif): 네덜란드어 ''schreef''가 영어 ''serif''를 거쳐 네덜란드어 ''serif''로 역차용되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언어 간의 교류와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예시이다.
4. 5. 기타 언어 간 역차용
고대 노르드어 ''klubba''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 club은 스웨덴어 ''klubb''로 다시 차용되었다. 프랑스어 ''tenez''[16]는 영어 ''tennis''로 차용되었고, 다시 프랑스어 ''tennis''로 역차용되었다. 프랑스어 ''cotte''는 영어 ''riding coat''를 거쳐 프랑스어 ''redingote''로 역차용되었고, 이는 다시 영어 ''redingote''로 들어왔다. 그리스어 ''κίνημα''(kínēma, movement)는 프랑스어 ''cinéma''를 거쳐 그리스어 ''σινεμά''(sinemá, cinema)로 역차용되었다. 네덜란드어 ''bolwerk''(bulwark, bastion)는 프랑스어 ''boulevard''를 거쳐 네덜란드어 ''boulevard''("broad avenue")로, 네덜란드어(플라망어) ''manneken''[17]은 프랑스어 ''mannequin''을 거쳐 네덜란드어 ''mannequin''으로 역차용되었다. 중세 네덜란드어 ''snacken''[18]은 영어 ''to snack''[19]을 거쳐 네덜란드어 ''snacken''으로, 네덜란드어 ''schreef''는 영어 ''serif''를 거쳐 네덜란드어 ''serif''로 역차용되었다. 영어 ''animation''은 일본어 アニメ[20]를 거쳐 영어 ''anime''로 역차용되었다.영어 ''crack''은 아일랜드어 ''craic''을 거쳐 영어 ''craic''으로 역차용되었다. 영어 ''professional wrestling''은 일본어 ''프로레슬링''(puroresu)을 거쳐 영어 ''puroresu''로 역차용되었다. 히브리어 תַּכְלִית(taχˈlit, 목적)는 이디시어 תכלית(ˈtaχləs, 결과)[13]를 거쳐 히브리어 תַּכְלֶס(ˈtaχles, 직접적으로, 사무적으로)로 역차용되었다. 스페인어 ''tronada''(격렬한 뇌우)는 영어 ''tornado''(토네이도)를 거쳐 스페인어 ''tornado''(토네이도)로 역차용되었다.
중국어 ''혁명''(왕조의 교체)은 일본어 ''혁명''(체제의 전복)을 거쳐 중국어 ''혁명''(체제의 전복)[14]으로, 중국어 ''공화''(9세기의 공화 시대)는 일본어 ''공화''(공화 정체)를 거쳐 중국어 ''공화''(공화 정체)로 역차용되었다. 중국어 ''말차''(중국 고래의 점다법)는 일본어 ''말차''(가루로 차를 내는 차)를 거쳐 중국어 ''말차''(일본 스타일의 말차)로 역차용되었다. 일본어 ''가미카제''(신푸·가미카제, 신의 바람, 가미카제 특별 공격대)는 영어 ''kamikaze''(자폭 공격)를 거쳐 일본어 ''가미카제''(자폭 공격)로, 일본어 ''가라오케''는 영어 ''karaoke''(우간다의 연극)를 거쳐 일본어 ''가라오케''(우간다의 연극)로 역차용되었다. 객가어・광둥어 ''계즙''(kôe-chiap/kê-chiap, 연어의 즙·소스)은 영어 ''ketchup''(토마토 케첩)을 거쳐 광둥어 ''茄汁''(ke4 zap1, 케첩)으로 역차용되었다.
고대 튀르크어 ''ülüş''(몫)는 몽골어 ''ulus''(국가)를 거쳐 튀르키예어 ''ulus''(국민)로 역차용되었다. 튀르키예어 ''bey armudu''(bergamot, 베이<지배자>의 배)는 이탈리아어 ''bergamotto''(베르가모트 배)와 프랑스어 ''bergamote''를 거쳐 튀르키예어 ''bergamot''로 역차용되었다. 중세 몽골어 ''jarlig''(칙령)은 러시아어 ''yarlyk''(값표)를 거쳐 몽골어 ''yarlyk''(값표)로 역차용되었다. 프랑스어 ''magasin''(가게·창고)은 영어 ''magazine''(잡지)을 거쳐 프랑스어 ''magazine''(그라비아 잡지)로, 고대 프랑스어 ''estandard''(깃발)는 영어 ''standard''(표준)를 거쳐 프랑스어 ''standard''(표준)로 역차용되었다. 중국어 ''과자''(과일·과자)는 일본어 ''과자''를 거쳐 중국어 ''과자''(화과자)로, 이탈리아어 ''disegno''(소묘·도안)는 영어 ''design''(디자인)을 거쳐 이탈리아어 ''design''(디자인)으로, 고대 프랑스어 ''desport''(오락)는 영어 ''sport''(스포츠)를 거쳐 프랑스어 ''sport''(스포츠)로 역차용되었다.
많은 언어에 존재하는 게릴라(guerilla)는 고대 고지 독일어 werra(전쟁, <<게르만 조어 *werra-)가 로망스계 언어에 guerre나 guerra(전쟁)로 들어간 후, 나폴레옹 시대에 이베리아 반도의 소규모 충돌이 스페인어로 guerilla(작은 전쟁, -illa는 축소사)로 불리며, 그것이 각 언어에 전파된 것이다. 독일어에서 보면 werra→guerra→Guerilla로의 변천을 거쳐 돌아온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5. 재차용에 준하는 프로세스
유사한 과정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의 어근을 기반으로 단어가 만들어지고, 이 복합어가 다른 언어나 현대의 후손 언어로 차용될 때 발생한다.[7] 서구권에서는 이것이 주로 라틴어 또는 고대 그리스어 어근으로 형성된 고전 복합어에서 발생하며, 이는 로망스어 또는 현대 그리스어로 차용될 수 있다. 라틴어는 충분히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비 로망스어(영어 또는 독일어)에서 만들어진 라틴어 기반 용어가 로망스어(프랑스어 또는 스페인어)로 차용되는 것은 두드러지지 않지만, 고대 그리스어 어근을 기반으로 현대 그리스어로 차용된 현대 조어는 두드러지며, tilegráfima/τηλεγράφημαgrc('전보')와 같은 용어가 포함된다.[7] 이는 매우 흔하다.
이 과정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많은 용어가 중국어 어근을 기반으로 한 일본어로 만들어진 중국어와 일본어에서 특히 두드러진다(역사적으로 용어는 종종 한국을 거쳐 전해졌다). 이것은 와세이칸고(일본식 한자어)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중국어(그리고 종종 한국어)로 차용되어 해당 발음으로 사용된다.[7] 20세기 중반부터 이러한 차용은 훨씬 드물어졌다. 종종 이러한 단어는 중국어에서 만들어질 수 있었지만, 우연히 일본어에서 먼저 만들어졌는데, 문화(일본어: 분카/文化일본어), 혁명(일본어: 가쿠메이/革命일본어)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7]
5. 1. 한자어와 관련된 역차용
6. 역차용의 영향 및 의의
6. 1. 언어 변화 및 발전
6. 2. 문화 상호작용 및 이해
6. 3.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 강화
참조
[1]
서적
The Oxford Guide to Etymology
https://books.google[...]
[2]
서적
Lånte fjører eller bunad? Om importord i norsk
Cappelen akademisk forlag
[3]
서적
Het verhaal van een taal
Prometheus
[4]
웹사이트
to snack
http://www.etymonlin[...]
[5]
웹사이트
Yiddish Dictionary Online
https://web.archive.[...]
2010-04-10
[6]
웹사이트
百度汉语
http://dict.baidu.co[...]
[7]
서적
Language change in East Asia
Psychology Press
[8]
서적
The Oxford Guide to Etymology
https://books.google[...]
[9]
문서
動詞tenirのvousに対する命令形、「保持しろ」
[10]
문서
"[[オランダ]]・[[フランドル地方]]の被服産業で、服を製作したり展示したりするときに使う型取りや見本用の人体模型の意味で使われた言葉"
[11]
서적
Het verhaal van een taal
Prometheus
[12]
웹사이트
to snack
http://www.etymonlin[...]
[13]
웹사이트
Yiddish Dictionary Online
http://www.yiddishdi[...]
[14]
url
http://dict.baidu.co[...]
[15]
서적
Language change in East Asia
Psychology Press
[16]
문서
동사 tenir의 명령형(영어로 to hold의 뜻)에서 옴
[17]
문서
옷을 입힌 인체모형을 생산하는 플랑드르의 섬유산업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데 쓰임
[18]
서적
Het verhaal van een taal
Prometheus
1993
[19]
웹사이트
to snack
http://www.etymonlin[...]
[20]
문서
영어단어 animation의 일본어 명칭인 アニメーション가 준말인 アニメ로 주로 일본산의 애니메이션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