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세아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세아서는 개신교와 천주교에서 사용되는 성경의 한 책으로, 예언자 호세아가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세아는 기원전 8세기에 북 이스라엘 왕국에서 활동하며, 이스라엘의 타락과 멸망, 그리고 하나님의 사랑과 회복에 대한 메시지를 전했다. 책은 크게 호세아의 결혼과 가족, 이스라엘에 대한 경고와 심판, 회개와 회복의 약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과 이스라엘의 배신, 회개를 통한 회복을 핵심 주제로 다룬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설명하는 데 호세아서의 구절이 인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세아서 - 호세아 (선지자)
    호세아는 '구원'을 의미하는 이름의 북이스라엘 예언자로, 고멜과의 결혼과 자녀들의 이름을 통해 이스라엘의 불충실함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우상 숭배를 경고하고 회개를 촉구하는 호세아서의 배경이 되었고, 기독교에서는 그의 이야기를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로 해석한다.
  • 기원전 8세기 책 - 일리아스
    《일리아스》는 호메로스에 의해 쓰여진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로, 트로이 전쟁 막바지를 배경으로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과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 기원전 8세기 책 - 오디세이아
    《오디세이아》는 트로이 전쟁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는 오디세우스의 모험을 다룬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이며, 24권으로 구성되어 귀향, 시련과 극복, 복수 등을 주제로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소예언서 - 말라기서
    말라기서는 구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포로 귀환 후 이스라엘 백성의 종교적, 사회적 타락을 지적하며 회개를 촉구하고, 익명의 예언자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의문, 제사장들의 타락, 이혼 문제, 십일조 소홀 등의 문제를 제기하며 백성과의 논쟁 형태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메시아 도래와 엘리야의 재림을 예언하는 기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소예언서 - 요나서
    요나서는 구약성서의 소예언서로, 요나가 하나님의 명령을 거부하고 도망치지만 결국 순종하여 니느웨에 심판을 선포하고, 니느웨 백성들의 회개를 통해 하나님의 자비와 선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호세아서
성경 정보
책 이름 (한국어)호세아서
책 이름 (히브리어)סֵפֶר הוֹשֵׁעַ
책 이름 (로마자 표기)Sēfer Hōšēaʿ
구분네비임
하위 구분예언서
연대기원전 760–720년경
관련 성경 구절호세아 8:7 (NKJV)

2. 한국식 이름 및 약칭

이 책의 이름은 번역본에 따라 다르게 표기된다. 개신교의 한글개역판, 공동번역성서에서는 호세아로, 천주교 성경에서는 호세아서로 표기한다.

2. 1. 개신교

한글개역판에서는 '''호세아'''(약칭 '호', 예: 호 1:1-9)로, 공동번역성서에서는 '''호세아'''(약칭 '호세', 예: 호세 1:1-9)로 표기한다.[1]

2. 2. 천주교

2005년 천주교주교회의에서 발간된 천주교 “성경”에서는 호세아서(書)라고 이름을 붙이고 있다.[1] 천주교 성경에서의 약칭은 ‘호세’이며, 예로 호세 1,1-9와 같이 사용된다.[1]

3. 저자

호세아(הוֹשֵׁעַhe, Ὠσηέ|Ōsēegr)는 브에리의 아들이며, 기원전 8세기에 이스라엘에서 활동한 예언자이다.[21] 호세아서에 따르면, 그는 북왕국 이스라엘 예로보암 2세 시대에 예언 활동을 시작했다. 사회적 지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야훼의 명령에 따라 음란한 여인 고멜(고메르)과 결혼했다. 기원전 740년부터 720년 사이에 북왕국 이스라엘에서 생존했으며, 아시리아 제국에 의한 북왕국 멸망 직전인 기원전 721년까지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22] 동방 정교회 교회력으로는 10월 17일이 그의 축일이다.[23]

호세아서 1장 1절에는 저자가 호세아이며, 그의 예언 기간이 웃시야부터 히스기야 통치 기간까지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성경에는 출신 부족 등 이 예언자에 대한 추가 정보는 없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각 왕의 통치 기간은 다음과 같으며, 호세아의 예언 활동 기간은 요담과 아하스의 통치 기간을 합한 31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통치 기간즉위년
유다 왕국
웃시야(아사랴)52년여로보암 27년 - 열왕기하 15:1
요담16년베가 2년 - 열왕기하 15:32
아하스16년베가 17년 - 열왕기하 16:1
히스기야29년호세아 3년 - 열왕기하 18:1
이스라엘 왕국
여로보암 2세41년아마샤(웃시야의 아버지) 15년 - 열왕기하 14:23
스가랴6개월아사랴 38년 - 열왕기하 15:8
살룸1개월웃시야 39년 - 열왕기하 15:13
므나헴10년아사랴 39년 - 열왕기하 15:17
베가히야2년아사랴 50년 - 열왕기하 15:23
베가20년아사랴 52년 - 열왕기하 15:27
호세아9년아하스 12년 - 열왕기하 17:1
북이스라엘 왕국 멸망 - 열왕기하 17:18



4. 배경

호세아가 활동하던 시기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정치적, 종교적, 도덕적 타락이 극심했던 때였다. 왕과 사제들을 비롯한 지도층은 백성들을 모세의 율법에서 벗어나 바알 등 가나안 토속신을 숭배하도록 종용했다.[4] 사회적으로는 살인, 위증, 절도, 성적 문란 등 죄악이 만연했다.[5] 이러한 상황에서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죄악을 질타하고 회개를 촉구하며, 아시리아에 의한 멸망을 예언했다.[6] 실제로 기원전 722년, 앗시리아는 북왕국의 수도 사마리아를 점령하고 이스라엘 백성을 포로로 끌고 갔다.

호세아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쇠퇴와 멸망이 있었던 기원전 8세기, 어둡고 침울했던 이스라엘 역사의 시대에 예언했다. 백성들의 배교가 만연하여 하느님을 버리고 여로보암[3]의 송아지들과 바알(가나안 신)을 섬겼다.[4]

호세아서에는 호세아가 살았던 시대에 북이스라엘 왕들과 그들의 귀족 지지자들, 그리고 제사장들이 토라에 나와 있는 하느님의 율법에서 백성들을 이끌었다고 나온다. 하느님을 섬기는 것을 버리고, 특히 가나안의 폭풍의 신인 바알과 가나안의 다산의 여신인 아세라를 비롯한 다른 신들을 숭배했다고 한다.[5]

호세아의 예언은 죄 많은 이스라엘에 대한 하느님의 끝없는 사랑에 중점을 둔다. 이 글에서 하느님은 이스라엘의 배신에 대한 고통을 표현한다.[7][8][9] 호세아의 임무는 "내가 애굽 땅에서부터 너희의 주 너희의 하나님이 되었나니 너희는 나 외에는 다른 신을 알지 못하였고 나 외에는 구원자가 없느니라"라는 구절이 본질적으로 잊혀졌던 시대에 이 말씀을 전하는 것이었다.[10]

두초 디 부오닌세냐의 ''호세아 예언자'', 시에나 대성당 (1309~1311년)


1372년 《성서 역사 이야기》에 나오는 호세아와 고멜(호세아의 아내) 삽화


호세아 2장에서 결혼의 비유에 나오는 여인은 호세아의 아내 고멜일 수도 있고, 하나님의 신부로서 이스라엘 민족을 가리키는 비유일 수도 있다. 이 여인은 긍정적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이는 호세아 2장 서두에 “내가 그의 옷을 벗기고 그를 낳던 날처럼 벌거벗게 하리라”[21]; “그의 자녀들에게는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이 음행의 자녀임이니라”[22]; “그가 이르기를 내가 나의 연인들을 따르리라…”[23] 와 같은 구절에서 나타난다.

성서 학자 에후드 벤츠비(Ehud Ben Zvi)는 결혼 비유에서 고멜의 역할을 "남성 저자와 주된 의도된 남성 독자들이 그들의 관계를 상상하기 위한 기본 구성 요소로 공유한 인간 결혼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의 중심 속성" 중 하나로 묘사한다.[24]

트리스탄 J. 코놀리(Tristanne J. Connolly)는 남편과 아내의 모티브는 당시 이해되던 결혼을 반영한다고 말한다.[25] 코놀리는 또한 맥락상 결혼의 비유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불평등한 상호 작용을 실제로 보여주었기 때문에 필요했다고 제안한다.[26] 성서 학자 마이클 D. 쿠건(Michael D. Coogan)은 호세아서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이 이전에 맺은 계약을 어겼다고 비난하는 "언약 소송"이라는 독특한 장르에 속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하나님의 이스라엘에 대한 실망은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맺은 깨진 결혼 언약을 통해 표현된다.[27]

브래드 E. 켈리(Brad E. Kelle)는 호세아 2장에서 많은 학자들이 바알 숭배에서 성적 의식에 대한 언급을 찾아 이스라엘 백성이 야훼 숭배를 버리고 바알을 숭배하거나, 두 가지를 혼합하는(종교 혼합) 역사적 상황의 증거로 보고 있으며, 호세아가 성행위를 이스라엘의 배교에 대한 은유로 사용했다고 언급한다.[28]

호세아 13장 1-3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야훼를 버리고 바알을 숭배하며, 우상 숭배를 위해 우상을 만들거나 사용했다고 비난한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북쪽 베델 신전의 황소상으로, 호세아 시대에는 바알의 형상으로 숭배되었다.[29]

『호세아서』에 동시대인으로 언급된 왕들은 이스라엘 왕국유다 왕국 말기의 인물이며, 이를 믿는다면 기원전 8세기 말의 인물이다.

1장 1절에는 저자가 호세아이며, 그의 예언 기간이 웃시야의 통치에서 히스기야의 통치까지 미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성경은 출신 부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 예언자에 대한 정보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 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각 왕의 통치 기간은 다음과 같으므로, 예언자로서의 활동 기간은 요담과 아하스의 통치 기간 합계인 31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통치 기간즉위년
유다 왕국
웃시야(아사랴)52년여로보암의 제27년 - 열왕기하 15:1
요담16년베가의 제2년 - 열왕기하 15:32
아하스16년베가의 제17년 - 열왕기하 16:1
히스기야29년호세아의 제3년 - 열왕기하 18:1
이스라엘 왕국
여로보암 2세41년아마샤(웃시야의 아버지)의 제15년 - 열왕기하 14:23
스가랴6개월아사랴의 제38년 - 열왕기하 15:8
살룸1개월웃시야의 제39년 - 열왕기하 15:13
므나헴10년아사랴의 제39년 - 열왕기하 15:17
베가히야2년아사랴의 제50년 - 열왕기하 15:23
베가20년아사랴의 제52년 - 열왕기하 15:27
호세아9년아하스의 제12년 - 열왕기하 17:1
북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 열왕기하 17:18


5. 내용

호세아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내용
1장 - 3장호세아의 결혼과 가족
4장 - 13장이스라엘에 대한 경고 및 심판 예언 (아시리아 제국에 멸망당할 것)
14장회개와 회복에 대한 약속 예언



호세아서에는 유다와 북이스라엘(사마리아) 모두를 위한 여러 예언과 메시지가 담겨 있으며(1장 1절, 2절),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으로 말하고 있다. 이들은 예언자 호세아에 의해 전달되었다. 그 맥락은 주로 북왕국에 있지만, 유다에 대한 몇몇 언급이 있다.[1] 호세아서의 내용은 하나님에게 여러 차례 반항한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의 메시지이며,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버리기로 하셨다는 내용이다.[31][32][33][34][35][36]

5. 1. 호세아의 결혼과 가족 (1-3장)



호세아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음란한 여인 고멜과 결혼하여 세 자녀를 낳았다.[11] 이 결혼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버리고 우상 숭배를 함으로써 영적 간음을 저질렀다.

  • 첫째 아들의 이름은 이스르엘인데, 이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왕들이 많은 피를 흘렸던 골짜기를 가리키며[15], "하나님이 뿌리다"라는 뜻을 가진다. 이 이름은 북왕국의 통치 가문에 대한 심판을 예언한다.
  • 둘째 딸의 이름은 로루하마인데, "사랑받지 못하는" 또는 "불쌍히 여김을 받지 못하는"이라는 뜻이다.[16] 이는 하나님께서 남왕국은 불쌍히 여기시겠지만, 북왕국은 더 이상 불쌍히 여기지 않으실 것임을 보여준다.
  • 셋째 아들의 이름은 로암미인데, "내 백성이 아니다"라는 뜻이다. 이 이름은 북왕국 백성이 더 이상 하나님의 백성으로 알려지지 않을 것이며, 하나님께 버림받았음을 의미한다.


호세아 2장에서 결혼 비유에 나오는 여인은 호세아의 아내 고멜일 수도 있고, 하나님의 신부로서 이스라엘 민족을 가리키는 비유일 수도 있다. 이 여인은 긍정적으로 묘사되지 않는데, “내가 그의 옷을 벗기고 그를 낳던 날처럼 벌거벗게 하리라”[21], “그의 자녀들에게는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이 음행의 자녀임이니라”[22], “그가 이르기를 내가 나의 연인들을 따르리라…”[23] 와 같은 구절에서 나타난다.

3장에서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호세아는 다시 고멜을 찾는다. 그녀는 빚 때문에 노예로 팔렸거나, 그녀를 내주기 위해 돈을 요구하는 애인과 함께 있었기 때문에 호세아가 그녀를 다시 사들여야 한다. 그는 그녀를 집으로 데려오지만, 이스라엘이 여러 해 동안 왕이 없을 것이지만 하나님은 비용을 치르더라도 이스라엘을 되찾을 것이라는 사실을 상징하기 위해 여러 날 동안 그녀와 성적인 친밀함을 갖지 않는다.

5. 2. 이스라엘에 대한 경고와 심판 (4-13장)

호세아서 4장부터 13장까지는 북이스라엘(사마리아)에 대한 경고와 심판의 예언이 주를 이룬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에게 여러 차례 반항하며 죄를 지었고, 결국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버리기로 결정하셨다.[31][32][33][34][35][36]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죄악상을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 우상 숭배: 이스라엘 백성은 야훼를 버리고 바알을 숭배하며, 우상을 만들거나 사용했다. 특히 북쪽 베델 신전의 황소상은 바알의 형상으로 숭배되었다.[29]
  • 종교 혼합: 이스라엘 백성은 야훼 숭배와 바알 숭배를 혼합하는 종교 혼합주의에 빠졌다.[28]
  • 하나님과의 언약 파기: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이전에 맺은 계약을 어겼다고 비난한다.[27]


이러한 죄악으로 인해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심판하시고, 아시리아의 침략으로 멸망당할 것이라고 경고한다.[1]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에 대한 배신을 음행에 빗대어 말하며, 하나님이 신실하지 못한 자기 백성을 멸망당하게 버려 두신다고 선포하였다.[1]

5. 3. 회개와 회복의 약속 (14장)

호세아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진심으로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아올 것을 촉구했다.[1] 이스라엘 백성이 형벌을 통해 정화되고 하나님께로 돌아오면, 하나님이 그들을 다시 회복시켜 주실 것이라고 약속했다.[1]

6. 주제

호세아서의 핵심 주제는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과 이스라엘의 배신, 그리고 회개를 통한 회복이다. 호세아는 자신의 결혼 생활을 통해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애끓는 사랑을 보여준다.


  • 야훼는 이스라엘을 사랑하며, 이는 마치 남자가 그의 아내를 사랑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는 호세아 자신의 결혼을 통해 비유로서 표현된다.
  • 야훼의 사랑에 대한 이스라엘의 죄악과 그에 대한 단죄를 표현하고 있다. 야훼는 이스라엘을 사랑했으나, 이스라엘은 야훼에게로 돌아가지 않았다. 이는 계속되는 우상 숭배와 범죄, 성적인 범죄의 만연을 통해 상징된다. 따라서 야훼는 이스라엘을 버려두게 되고, 이는 호세아가 자신의 아내를 광야로 내쫓는 것을 통해 표현된다.
  • 광야에 내팽겨쳐진 이스라엘이 가혹한 형벌을 통해 정화되어 야훼에게 돌아오게 될 때 다시 그들을 회복시켜 줄 약속을 선언한다. 이는 집을 나간 아내를 다시 데리고 오는 호세아의 모습을 통해 비유된다.[4]


호세아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쇠퇴와 멸망이 있었던 기원전 8세기, 어둡고 침울했던 이스라엘 역사의 시대에 예언했다. 책에 따르면, 백성들의 배교가 만연하여 하느님을 버리고 여로보암[3]의 송아지들과 바알(가나안 신)을 섬겼다.

호세아서에는 호세아가 살았던 시대에 북이스라엘 왕들과 그들의 귀족 지지자들, 그리고 제사장들이 토라에 나와 있는 하느님의 율법에서 백성들을 이끌었다고 나온다. 하느님을 섬기는 것을 버리고, 특히 가나안의 폭풍의 신인 바알과 가나안의 다산의 여신인 아세라를 비롯한 다른 신들을 숭배했다고 한다. 책에는 그 외에도 살인, 위증, 절도, 종교와 성 등의 다른 들이 따랐다고 나온다.[5] 호세아는 이러한 죄를 회개하지 않으면 하느님께서 그들의 나라가 멸망하도록 허락하시고, 백성들은 당시 가장 강력한 나라였던 아시리아에 포로로 잡혀갈 것이라고 선언한다.[6]

호세아의 예언은 죄 많은 이스라엘에 대한 하느님의 끝없는 사랑에 중점을 둔다. 이 글에서 하느님은 이스라엘의 배신에 대한 고통을 표현한다.[7][8][9] 호세아는 예레미야와 같은 후대 예언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초기의 저술 예언자들 중 한 명이다.[30]

아모스와 마찬가지로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종교를 윤리적 일신론의 경지로 끌어올렸으며, 하나님의 본성의 도덕적 측면을 처음으로 강조한 예언자이다.

7. 신약성경과의 연관성

마태복음 2장 13절은 호세아 11장 1절의 "내가 내 아들을 이집트에서 불러내었다"는 예언을 인용하여, 예수의 이집트 피난과 요셉, 마리아, 유아 예수의 이스라엘 귀환을 예언한 것으로 해석한다.[17][18]

누가복음 23:30에서 예수는 "그 때에 사람들이 산들에게 이르기를 우리 위에 무너져 내려라 하고 작은 산들에게 이르기를 우리를 덮어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시며 호세아 10장 8절을 인용하였다.[19] 이 구절은 요한계시록 6:16에도 반복된다.[20]

로마서 9장 25-26절은 호세아 2장 1절과 25절을 인용하며, 베드로전서 2장 10절은 호세아 2장 25절을 인용한다. 고린도전서 15장 54-55절은 호세아 13장 14절을 인용한다.

호세아서신약성경
2:01로마서 9:26
2:25로마서 9:25, 베드로전서 2:10
6:06마태복음 9:13, 마태복음 12:7
10:08누가복음 23:30, 요한계시록 6:16
11:01마태복음 2:15
13:14고린도전서 15:54-55


7. 1. 마태복음

마태복음 2:13은 호세아 11장 1절("내가 내 아들을 이집트에서 불러내었다")을 인용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이집트 피난과 귀환을 예언한 것으로 해석한다.[17][18]

마태복음 9장 13절과 12장 7절은 호세아 6장 6절("나는 인애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며")을 인용하여, 예수 그리스도가 율법의 형식보다 사랑과 자비를 더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준다.[19]

호세아서인용된 곳
6:06마태복음 9:13, 마태복음 12:7
11:01마태복음 2:15


7. 2. 누가복음

누가복음 23장 30절에서 예수는 "그 때에 사람들이 산들에게 이르기를 우리 위에 무너져 내려라 하고 작은 산들에게 이르기를 우리를 덮어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시며 호세아서 10장 8절을 인용하였다.[19] 이 구절은 요한계시록 6:16에도 반복된다.[20]

7. 3. 로마서, 고린도전서, 베드로전서

로마서 9장 25-26절은 호세아서 2장 1절과 25절을 인용하여,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백성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1] 고린도전서 15장 54-55절은 호세아서 13장 14절을 인용하여, 죽음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를 말한다.[1] 베드로전서 2장 10절은 호세아서 2장 25절을 인용하여,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이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음을 강조한다.[1]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the Prophets Darton, Longman & Todd Ltd and Doubleday and Co. Inc. 1966
[2] 성경
[3] 성경
[4] 서적 HarperCollins Study Bible;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With the Apocryphal/Deuterocanonical Books Student Edition Harper Collins Publishers 1989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성경
[9] 성경
[10] 성경
[11] 성경
[12] 성경
[13] 서적 Jerusalem Bible 1966
[14]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 성경
[16] 서적 Hosea SCM 1969
[17] 성경
[18] 성경
[19] 성경
[20] 성경
[21] 성경
[22] 성경
[23] 성경
[24] 논문 Observations on the marital metaphor of YHWH and Israel in its ancient Israelite context: general considerations and particular images in Hosea 1.2 2004
[25] 논문 Metaphor and Abuse in Hosea 1998
[26] 논문 Metaphor and Abuse in Hosea 1998
[27]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Bible in Its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8] 서적 Hosea 2: Metaphor and Rhetoric in Historical Perspective Society of Biblical Lit 2005
[29] 서적 The Social Roots of Biblical Yahwism, Part 2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04
[30] 웹사이트 HOSEA, BOOK OF - JewishEncyclopedia.com http://www.jewishenc[...]
[31] 성경
[32] 성경
[33] 성경
[34] 성경
[35] 성경
[36] 성경 ホセア書(口語訳)#13:9 s:ホセア書(口語訳)#13:9 口語訳聖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