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를란도 디 라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를란도 디 라소는 16세기 후반 르네상스 시대의 다작 작곡가로, 현재 벨기에 지역에서 태어났다. 뛰어난 노래 실력으로 어릴 적 납치되기도 했던 그는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음악적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다. 라소는 2,000곡이 넘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했는데, 종교 음악으로는 미사곡, 모테트, 수난곡 등을, 세속 음악으로는 마드리갈, 샹송, 리트 등을 남겼다. 그는 유럽 각지에서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종교음악과 세속음악 모두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벨기에 사람 - 시몬 스테빈
    시몬 스테빈은 네덜란드의 수학자, 물리학자, 기술자로서 소수 계산법을 체계화하고 힘의 평행사변형 법칙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네덜란드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벨기에의 작곡가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작곡가 - 앙리 비외탕
    앙리 비외탕은 1820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유럽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치고 러시아 궁정 음악가로 활동하며 7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요하네스 오케겜
    요하네스 오케겜은 15세기 후기 부르고뉴 및 초기 네덜란드 악파의 벨기에 출신 작곡가로서 프랑스 궁정을 섬겼으며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로 미사곡, 모테트, 샹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특히 《Missa prolationum》과 《Missa cuiusvis toni》는 15세기 대위법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오를란도 디 라소
기본 정보
오를란도 디 라소, 볼로냐 시립 음악 서지 박물관 소장품
오를란도 디 라소, 볼로냐 시립 음악 서지 박물관 소장품
본명오를란도 디 라소
다른 이름롤랑 드 라스 (프랑스어: Roland de Lassus)
오를란도 라수스 (Orlando Lassus)
출생약 1532년
몽스, 에노 백국,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사망1594년 6월 14일
사망 장소뮌헨, 바이에른 공국
국적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직업작곡가
음악가
활동 시기르네상스 음악 시대
장르르네상스 음악
영향조스캥 데 프레
아드리안 빌라르트
피영향조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주요 작품
프랑스어 이름
프랑스어롤랑 드 라스 (프랑스어: Roland de Lassus)

2. 생애

오를란도 디 라소


오를란도 디 라소는 벨기에 에노주(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에서 태어났다. 그의 생애는 크게 초기, 뮌헨 궁정 활동, 그리고 말년으로 나눌 수 있다.

  • 초기: 어린 시절 라소는 뛰어난 노래 실력으로 세 번이나 납치당했다는 일화가 전해질 만큼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다. 페란테 곤자가를 따라 이탈리아 여러 도시를 방문하며 음악 경험을 쌓았고, 나폴리로마에서 활동하며 초기 작품을 작곡했다. 21세에 라테라노 성당 합창단장이라는 명예로운 직책을 맡았지만, 1년 만에 사임하고 프랑스, 잉글랜드를 여행했다.
  • 뮌헨 궁정 활동: 1556년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의 초청으로 뮌헨 궁정에 합류, 궁정 악장으로 활동했다. 뮌헨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하며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고, 안드레아 가브리엘리, 조반니 가브리엘리 등 뛰어난 음악가들을 양성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말년: 1570년대부터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얻어 황제 막시밀리안 2세로부터 귀족 작위를,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는 등 영예를 누렸다. 여러 궁정으로부터 더 좋은 조건을 제안받았지만, 뮌헨에 남아 창작 활동에 전념했다. 말년에는 건강이 악화되었지만, 걸작 ''라그리메 디 산 피에트로''를 작곡하는 등 창작열을 불태웠다.


라소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출생 및 초기 경력

오를란도 디 라소는 벨기에 에노주(합스부르크 네덜란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뛰어난 노래 실력 때문에 세 번이나 납치당했다는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가 전해진다.[1] 12세에 페란테 곤자가와 함께 저지대를 떠나 만투아, 시칠리아, 밀라노(1547년~1549년)로 갔다.[1] 밀라노에서 마드리갈 작곡가 스피리토 로스테 다 레지오와 친분을 맺었는데, 이는 그의 초기 음악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1]

1550년대 초 나폴리에서 코스탄티노 카스트리오토를 위해 가수이자 작곡가로 활동했으며, 초기 작품들은 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1] 이후 로마로 이주하여 토스카나 대공 코지모 1세 데 메디치를 위해 일했으며, 1553년 라테라노 성당의 합창단장이 되었다.[1] 당시 21세의 젊은 나이였지만, 이 직책은 로마에서 매우 권위 있는 자리였다. 그러나 라소는 1년 만에 이 자리를 떠났고, 1555년 팔레스트리나가 후임으로 임명되었다.[1]

1554년 라소의 행적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프랑스와 잉글랜드를 여행했다는 주장이 있다.[1]

2. 2. 뮌헨 궁정에서의 활동

1555년 저지대로 돌아와 앤트워프(1555-1556)에서 초기 작품들을 출판했다.[1] 1556년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Albert V, Duke of Bavaria)의 궁정에 합류했는데, 알브레히트 5세는 이탈리아의 주요 궁정들과 견줄 만한 음악 기관을 만들고자 했다.[1] 라소는 그곳에서 일한 여러 네덜란드인 중 한 명이었고, 가장 유명했다.[1] 그는 뮌헨에서 행복했고 그곳에 정착하기로 결심했다.[1] 1558년 그는 공작비의 시녀의 딸인 레기나 벡킹거(Regina Wäckinger)와 결혼했다.[1] 그들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둘 다 작곡가가 되었고, 그의 딸은 화가 한스 폰 아헨(Hans von Aachen)과 결혼했다.[1] 1563년 라소는 루트비히 다서(Ludwig Daser)의 후임으로 합창단장이 되었다.[1] 라소는 알브레히트 5세와 그의 상속자인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5세(William V, Duke of Bavaria)를 섬겼다.[1]

1560년대에 라소는 매우 유명해졌고, 작곡가들이 그와 함께 공부하기 위해 뮌헨으로 오기 시작했다.[1] 안드레아 가브리엘리(Andrea Gabrieli)는 1562년에 그곳에 갔고, 1년 동안 예배당에 머물렀을 것이다.[1] 조반니 가브리엘리(Giovanni Gabrieli) 또한 1570년대에 그와 함께 공부했을 가능성이 있다.[1]

2. 3. 명성과 말년

1570년대에 오를란도 디 라소는 유럽 전역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1570년 황제 막시밀리안 2세(Emperor Maximilian II)는 그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했는데, 이는 작곡가에게는 드문 일이었다.[1]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Pope Gregory XIII)는 그에게 기사 작위를 수여했고, 1571년과 1573년에는 프랑스 국왕 샤를 9세(Charles IX of France)의 초청을 받았다.[1] 다른 궁정으로부터 더 매력적인 제안도 있었지만, 라소는 재정적 이익보다는 자신의 지위의 안정성과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Albert V, Duke of Bavaria) 궁정의 훌륭한 공연 기회에 더 관심이 있었던 것 같다. 1580년 작센 선제후(Electorate of Saxony) 공작으로부터 드레스덴(Dresden)의 직책 제안을 받았을 때 그는 "나는 내 집과 정원, 그리고 뮌헨의 다른 좋은 것들을 떠나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답했다.[1]

1570년대 후반과 1580년대에 라소는 이탈리아를 여러 차례 방문하여 가장 현대적인 스타일과 경향을 접했다. 에스테 가문(House of Este) 궁정을 위해 작곡된 마드리갈(Madrigal (music))을 들었을 페라라에서 그는 아방가르드 활동을 접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자신의 스타일은 보수적인 채로 남아 있었고, 나이가 들면서 더욱 단순하고 세련되게 되었다.[1] 1590년대에 그의 건강은 악화되기 시작했고, 그는 "우울증성 히포콘드리아"라고 불리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토마스 머만(Thomas Mermann)이라는 의사를 찾았다.[1] 그럼에도 그는 여전히 작곡을 할 수 있었고 때때로 여행도 할 수 있었다. 그의 마지막 작품은 종종 그의 최고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지는데, 21개의 영적 마드리갈(madrigali spirituali) 세트인 ''라그리메 디 산 피에트로''("성 베드로의 눈물")이다.[1] 그는 이 작품을 교황 클레멘스 8세(Pope Clement VIII)에게 헌정했으며, 1595년 사후에 출판되었다.[1] 라소는 1594년 6월 14일 뮌헨에서 사망했다. 그는 뮌헨의 알터 프란치스카너 프릿호프(Alter Franziskaner Friedhof)에 묻혔으나, 이 묘지는 1789년에 묘비가 제거되었고 현재는 막스-요제프 광장(Max-Joseph-Platz)이 있는 곳이다.[1]

3. 음악과 영향력

라소는 후기 르네상스 시대에 가장 다재다능하고 많은 작품을 남긴 작곡가 중 한 명이다. 그는 당시 알려진 모든 라틴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성악 장르에서 2,000곡이 넘는 작품을 작곡하여, 당대 유럽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에는 530곡의 모테트, 175곡의 이탈리아어 마드리갈 및 빌라넬라, 150곡의 프랑스어 샹송, 그리고 90곡의 독일어 리트가 포함된다. 기악곡이 유럽 전역에서 점점 더 중요한 표현 수단이 되던 시대에, 라소의 순수 기악곡은 전해지는 것이 없거나 존재했던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부분이다.

라소의 음악은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모두에서 뛰어난 업적을 보여준다. 종교 음악에서는 모방 기법을 사용한 미사와 모테트가, 세속 음악에서는 마드리갈, 샹송, 리트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그의 모테트는 다양한 스타일과 표현 기법을 사용하여 르네상스 다성 음악의 정점을 보여준다.

독일 바로크 시대 작곡가 베네딕트 안톤 아우프슈나이터는 라소를 이상적인 음악 중 하나로 꼽았다.

3. 1. 작품 개요

후기 르네상스 시대 가장 다작적이고 다재다능하며 보편적인 작곡가 중 한 명인 라소는 당시 알려진 모든 라틴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성악 장르에서 2,000곡이 넘는 작품을 작곡했다. 여기에는 530곡의 모테트, 175곡의 이탈리아어 마드리갈 및 빌라넬라, 150곡의 프랑스어 샹송, 그리고 90곡의 독일어 리트가 포함된다. 라소의 순수 기악곡은 전해지는 것이 없거나 존재했던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악곡이 유럽 전역에서 점점 더 중요한 표현 수단이 되던 시대에 그렇게 폭넓고 다작적인 작곡가에게는 흥미로운 생략이다. 독일 음악 출판업자 아담 베르크는 그의 ''Patrocinium musicum''(1573년~1580년 출판) 5권을 라소의 음악에 헌정했다.

라소는 당대 유행하던 모든 주요 세속 음악 형식으로 작곡했다. 그의 독일 가곡집 서문에서 라소는 자신의 세속 작품으로 이탈리아어 마드리갈과 프랑스어 샹송, 독일어와 네덜란드어 노래를 열거한다. 그는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 중 위 언급된 언어들 외에 라틴어를 포함하여 다섯 가지 언어로 다작한 거의 유일한 작곡가일 것이며, 각 언어로 동등한 유창함을 보였다. 그의 많은 노래는 엄청난 인기를 얻어 유럽 전역에 널리 퍼졌다. 이러한 다양한 세속 노래에서 그는 여전히 그의 독창성, 재치, 간결한 표현을 보여주면서도 원산지 국가의 방식을 따른다.[1]

3. 2. 종교 음악

라소는 종교적 분쟁이 심했던 시대에도 가톨릭 신앙을 유지했다. 그러나 세속적인 노래를 작곡하거나, 모방 기법을 사용한 미사에서 음란한 가사를 사용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6세기 후반 바이에른에서 절정에 달했던 가톨릭 반종교개혁은 라소의 후기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로마 예식을 위한 전례 음악, 마니피카트, 가톨릭 울렌베르크 시편집(1588년), 영적인 마드리갈의 위대한 참회곡인 성 베드로의 눈물 (Lagrime di San Pietro)(1594년)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2]

라소는 가톨릭 신자였지만, 알프스 너머에서 열린 트리엔트 공의회의 엄격한 공식 성명에 얽매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비교적 관용적인 지역에 살았으며, 그의 전임자는 프로테스탄트였다.

3. 2. 1. 미사곡

약 60곡의 미사곡이 남아 있으며, 대부분은 자신이나 다른 작곡가가 작곡한 세속 음악을 선율적 원천 자료로 사용한 모방 미사곡이다. 기술적으로는 인상적이지만, 그의 작품 중 가장 보수적인 부분이다. 그는 보통 그레고리오 성가에서부터 당대 마드리갈에 이르기까지 원천 자료의 스타일을 미사곡 스타일에 맞추었지만, 최종 작품에서는 항상 표현적이고 경건한 성격을 유지했다.

그의 여러 미사곡은 극도로 세속적인 프랑스 샹송을 기반으로 한다. 어떤 원천 자료는 노골적으로 음란했다.[2] 야코프 클레멘스 농 파파의 "오, 15세 소녀들이여"(Entre vous filles de quinze ans)는 1581년 그의 ''Missa entre vous filles''의 원천 자료가 되었는데, 아마도 가장 파격적인 작품일 것이다. 이러한 관행은 그의 고용주에 의해 받아들여질 뿐만 아니라 장려되었다.

전통적인 모방 미사곡 외에도 그는 상당한 양의 ''missae breves''(짧은 미사곡), 즉 짧은 예배를 위해 의도된 음절적인 짧은 미사곡을 작곡했다. 이 중 가장 극단적인 작품은 실제로 ''Jäger Messe''(''Missa venatorum'')— "사냥꾼 미사"로 알려진 작품이다.

그의 미사곡 중 일부는 특히 베네치아 악파의 다성 합창 기법을 사용하는 점에서 베네치아 악파의 영향을 보여준다(예를 들어, 그의 모테트를 기반으로 한 8성부 ''Missa osculetur me''). 그의 미사곡 중 세 곡은 이중 합창을 위한 것인데, 안드레아 가브리엘리는 1562년 뮌헨에서 라소를 방문했고, 라소의 많은 작품이 베네치아에서 출판되었다. 라소는 당대의 웅장한 베네치아 스타일을 사용했지만, 이 작품들에서 그의 화성 언어는 보수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그는 베네치아 악파의 질감을 자신의 예술적 목적에 맞게 조정했다.

3. 2. 2. 모테트 및 기타 종교 음악

라소는 “레제르바타 음악” 양식의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의 정확한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음악학자들은 텍스트의 강렬한 표현, 색채주의를 포함하며, 음악 애호가들을 위해 작곡된 음악을 가리킨다는 데 대략적으로 동의한다. 이러한 양식을 대표하는 라소의 유명한 작품은 12개의 모테트로 구성된 "시빌라의 예언" 시리즈로, 제수알도의 작품을 연상시키는 매우 색채적인 기법을 사용한다. 이 곡의 일부 화성 진행은 20세기까지 다시 들을 수 없었다.

라소는 마태, 마가, 누가, 요한의 네 복음사가 각각을 위한 수난곡을 작곡했다. 이 곡들은 모두 무반주 합창을 위한 작품이다. 그는 그리스도의 말씀과 복음사가의 서술을 성가로 설정하고, 여러 음성의 음악구절은 다성적으로 설정한다.

모테트 작곡가로서 라소는 르네상스 시대에 가장 다양하고 방대한 작품을 남긴 작곡가 중 한 명이다. 그의 작품은 숭고한 것부터 우스꽝스러운 것까지 다양하며, 때로는 유머 감각을 보여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의 모테트 중 하나는 서투른 가수들을 풍자하며, 더듬거림, 멈춤과 시작, 혼란 등을 묘사한다. 이는 모차르트의 "음악적 농담"과 유사하다. 그의 모테트 중 많은 수는 고위 인사의 방문, 결혼식, 조약 등 의례적인 행사를 위해 작곡되었다. 하지만 라소는 종교 모테트 작곡가로서 가장 큰 명성을 얻었다.

라소의 1584년 다윗의 7개 통회의 시편(Psalmi Davidis poenitentialesla) 설정은 르네상스 시대 시편 설정의 정점 중 하나로 여겨진다.[3] 다성 음악은 자유롭고, 곰베르와 같은 네덜란드 작곡가들의 모방을 피하며, 때때로 팔레스트리나에게는 낯선 표현 기법을 사용한다. 라소는 감정적 영향을 주려고 노력하며, 다양한 질감과 세심한 텍스트 설정을 사용한다. 이 모음집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곡인 "심연에서"(시편 129편/130편) 설정은 르네상스 다성 음악의 정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의 다른 전례 작품으로는 찬송가, 성가(100개가 넘는 마니피카트 포함), 성주간 응답시, 수난곡, 애가 등이 있다.

3. 3. 세속 음악

라소는 당대 유행하던 모든 주요 세속 음악 형식으로 작곡했다. 그의 독일 가곡집 서문에서 자신의 세속 작품으로 이탈리아마드리갈, 프랑스샹송, 독일어와 네덜란드어 노래를 열거한다.[5] 그는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 중 위에 언급된 언어들 외에 라틴어를 포함하여 다섯 가지 언어로 다작한 거의 유일한 작곡가일 것이며, 각 언어로 동등한 유창함을 보였다. 그의 많은 노래는 엄청난 인기를 얻어 유럽 전역에 널리 퍼졌다. 이러한 다양한 세속 노래에서 그는 원산지 국가의 방식을 따르면서도 독창성, 재치, 간결한 표현을 보여주었다.

그의 세속음악 작품으로는 마드리갈, 샹송, 리트 등이 유명하다.

3. 3. 1. 마드리갈

라소는 로마 체류 기간에 많은 마드리갈을 작곡했다. 그의 마드리갈은 명료하고 간결하며, 기억하기 쉬운 선율을 특징으로 한다.[4] 그는 '라소(lasso)'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고, C장조에서 A-G 음(라-솔)을 사용하여 자신의 작품에 '서명'을 남기기도 했다. 그의 시 선택은 다양하여, 페트라르카의 시를 사용한 진지한 작품부터 가벼운 칸초네타까지 폭넓게 아울렀다.

라소는 여러 편의 시를 묶어 하나의 음악 작품으로 만드는 순환 마드리갈을 선호했다. 예를 들어, 그의 5성부 마드리갈 제4권은 페트라르카의 시스티나로 시작하여 2부 소네트가 이어지고, 다시 다른 시스티나로 끝맺는다. 따라서 이 책 전체는 각 마드리갈이 보조적인 부분이 되는 통합된 작품으로 들을 수 있다.[4]

3. 3. 2. 샹송

라소는 약 150곡의 샹송을 작곡했다. 대부분은 1550년대 작품이지만, 독일에서도 샹송 작곡을 계속하여 1580년대에 마지막 작품을 남겼다. 그의 샹송은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모든 작품 중에서도 특히 류트와 건반악기 등 악기 편곡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샹송은 1570년대와 1580년대에 세 권의 출판물로 모아졌다.

라소의 샹송은 스타일이 다양하여, 위엄 있고 진지한 작품부터 장난스럽고 음란하며 애정 어린 작품, 그리고 선술집에 어울리는 술주정뱅이 노래까지 포함한다. 그는 클레망 자네캥의 기획적인 스타일보다는 클로드 드 세르미지의 세련되고 서정적인 스타일을 따랐다.[2]

라소의 가장 유명한 술주정뱅이 노래 중 하나는 셰익스피어의 헨리 4세 2부에서 사용되었다. 프랑스어 가사 "Un jour vis un foulon qui fouloit"("몽슈 밍고"로 알려짐)에 영어 가사가 붙여져 5막 3장에서 술에 취한 사일런스 판사가 부른다.[3]

3. 3. 3. 독일 리트

라소는 샹송이나 마드리갈과는 다른 어조와 스타일을 지닌 독일 가곡(Lied)을 작곡했다. 그는 뮌헨에 정착한 1567년 이후에 이러한 작품들을 작곡했는데, 대부분 종교적인 주제를 다루지만 경쾌하고 유머러스한 시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독일어로 된 술자리 노래와 과음의 불행한 측면을 다룬 노래도 작곡했다.

3. 3. 4. 네덜란드 노래

라소는 독일어 노래 모음집 서문에서 자신이 네덜란드어 노래를 작곡했다고 밝혔지만, 현재 남아있는 네덜란드어 노래는 없다.[5]

참조

[1] 서적 Schilder-boeck http://www.dbnl.org/[...] (Unspecified) 1604
[2] 웹사이트 The woman at the well: Divine and earthly love in Orlando di Lasso's parody masses https://radar.brooke[...] RADAR, Oxford Brookes University 2020-01-31
[3] 서적 Great Italian and French Composers Dodo Press
[4] 간행물 Illuminated Codex of the Penitential Psalms https://daten.digita[...] Bavarian State Library Munich 1559-1570
[5] 서적 De meerstemmige Nederlandse liederen van de vijftiende en zestiende eeuw https://books.google[...] Uitgeverij Verlor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