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무라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무라고래는 긴수염고래속에 속하는 수염고래의 일종으로, 일본의 고래 연구자 오무라 히데오를 기려 명명되었다. 브라이드고래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며, 최대 12m까지 성장한다. 1970년대 표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2003년 'Balaenoptera omurai'로 공식 명명되었다. 인도-태평양과 대서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크릴, 작은 갑각류, 물고기 등을 먹고 산다.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으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서는 정보부족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왕고래속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대왕고래속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2003년 기재된 포유류 - 카즈빈밭쥐
- 2003년 기재된 포유류 - 긴혀나무쥐
페루와 볼리비아에 서식하는 긴혀나무쥐는 수목 생활에 적응한 설치류로 추정되며, 곤충을 잡는 데 사용되는 긴 혀와 올리브 갈색 등, 황갈색 아랫부분 털을 가지고 있고, IUCN에 의해 "관심 필요"종으로 지정되었다. - 대서양의 고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대서양의 고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오무라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alaenoptera omurai |
명명자 | 와다, 오이시 & 야마다, 2003 |
영명 | Omura’s Whale (오무라 고래) |
![]() | |
분포도 설명 | 방소 반도(일본)와 도야마 만(일본) 등 확인된 해역은 포함되지 않았고, 뉴질랜드처럼 불확실한 목격 정보가 보고된 해역도 존재함.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고래우제목 |
아목 | 수염고래아목 |
과 | 수염고래과 |
속 | 밍크고래속 |
보존 상태 | |
IUCN | 정보 부족 |
CITES | 부록 I |
IUCN 평가자 | Cooke, J.G., Brownell Jr., R.L. |
특징 | |
학문적 설명 | 새로 발견된 수염고래 종 |
서식지 | 주로 열대 해역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Thomas, Jefferson, Marc A. Webber, Robert L. Pitman, Marine Mammal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Academic, London, 2008, ISBN 978-0-12-383853-7 Wada, S., Oishi, M., Yamada, T.K., A newly discovered species of living baleen whale, Nature, 426, 278–281, 2003 Weintraub, Karen, An Elusive Whale Is Found All Around the World - Researchers are learning about a newly identified species of baleen whales, tracing sightings and sounds to learn that they stay mainly in tropical waters., The New York Times, 22 March 2019 Sasaki, T., Nikaido, M., Wada, S., Yamada, T.K., Cao, Y., Hasegawa, M., Okada, N., Balaenoptera omurai is a newly discovered baleen whale that represents an ancient evolutionary lineag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1, 1, 40–52, 2006 |
2. 명칭
학명 ''Balaenoptera omurai''와 영명 "Omura's Whale"은 일본의 저명한 고래 연구자인 오무라 히데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61][62] 영어에서는 "Dwarf Fin Whale"(드워프 밍크고래) 또는 "Pygmy Bryde's Whale"(피그미 브라이드 고래)라고도 불린다.[61][62]
오무라고래는 긴수염고래속(Balaenoptera)에 속하며, 형태적으로 브라이드고래와 유사하다. 분자 계통 분석 결과, 오무라고래는 긴수염고래, 보리고래, 혹등고래와 근연 관계이며, 이들 중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나타났다.[64]
오무라고래는 수염고래 중 가장 작은 종 중 하나로, 밍크고래와 남극밍크고래만이 이보다 작다. 몸길이는 최대 12m 정도이다. 몸은 유선형이며, 머리는 몸길이의 약 1/4을 차지한다.
오무라고래는 인도-태평양과 대서양에서 발견되며, 주로 북위 35°에서 남위 35° 사이의 대륙붕 해역에 서식한다. 기록의 대부분은 열대 지역(북위 23° 26'에서 남위 23° 26' 사이)에서 발견된다.[28] 이들의 서식 범위는 다음과 같다.
오무라고래의 생태는 아직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들은 보통 단독 또는 2마리가 함께 행동하지만, 무리를 짓거나 특정 범위 내에서 소규모 집단을 이루기도 한다. 이러한 소규모 집단의 경우, 서로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면서 머물거나 먹이 활동, 번식 활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62]
오무라고래는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58]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는 정보부족(DD)종으로 등재되어 있어, 개체수와 분포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다.[58]
1970년대 일본의 과학적 포경 과정에서 오무라고래의 표본이 처음 수집되었으나, 당시에는 브라이드고래의 소형 개체군으로 오인되었다.[1] 1976년 솔로몬 해에서 얻은 6개의 표본과 1978년 코코스-킬링 제도 근해에서 잡힌 2마리의 표본은 브라이드고래와 구별되지 않았다. 와다 시로와 누마치 겐이치는(1991) 이 8마리가 새로운 수염고래 종의 구성원이라고 판단했지만, 국제 포경 위원회는 이들을 "작은 형태의 브라이드고래"로 간주했다.[1]
[1]
간행물
"''Balaenoptera omurai''"
2021-05-03
일본명 쓰노시마고래(ツノシマクジラ)는 모식표본이 발견된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구 도요우라군 호쿠보쿠정)의 쓰노시마(角島)에서 유래되었다.
3. 분류
오무라고래는 상악골, 전상악골, 두정골, 접형골, 첫 번째 갈비뼈 등에서 브라이드고래 및 참고래와 구별되는 독특한 골격 특징을 가진다.[5][14]특징 오무라고래 브라이드고래 참고래 상악골 상행 돌기의 후단부가 넓어져 사각형을 이루며, 이 부분은 전상악골을 가린다. 길이 전체에 걸쳐 가늘고 둥글며, 전상악골이 전두골에 닿는다. 해당사항 없음 두정골 등쪽에서 보면 측면으로 넓어진다. 북태평양 형태에서는 등쪽에서 보이지 않는다. 해당사항 없음 측두와 후벽에서 두정골과 측두골 사이의 봉합을 따라 두 개의 작은 구멍이 있다. 없다. 해당사항 없음 상악골 (등쪽 면) 주둥이 기저부 근처에 비스듬한 융기가 있다. 없다. 해당사항 없음 접형골 큰 날개가 측두골과 분리되어 있다. 해당사항 없음 큰 날개가 측두골과 연결되어 있다. 첫 번째 갈비뼈 머리가 두 갈래로 갈라지지 않는다. 머리가 두 갈래로 갈라진다. 해당사항 없음
오무라고래는 총 53개의 척추뼈를 가지고 있으며, 7개의 경추(포유류의 표준 수), 13개의 흉추, 12개의 요추, 21개의 미추로 구성된다. 각 가슴지느러미의 손에는 4개의 손가락만 있다(세 번째 손가락은 없음). 지골 공식은 다음과 같다: I-5, II-7, IV-6, V-3.[5][15]
와다 등의 연구에 따르면, 혹등고래, 브라이드고래(니타리고래), 보리고래(가쓰오고래), 오무라고래(츠노시마고래)는 근연 관계이며, 오무라고래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고, 그 다음이 보리고래, 그리고 브라이드고래와 혹등고래가 자매군을 이룬다.[64] 2021년에는 멕시코만에 서식하는 고래가 '''라이스고래'''(英語版)로 분류되어 신종으로 인정되었다.
4. 형태
외관은 더 큰 참고래를 닮았으며, 체색은 좌우 비대칭이다. 등쪽은 짙은 회색, 배면은 흰색이다. 왼쪽 아래턱은 어두운 회색이고, 오른쪽 아래턱은 흰색 반점이 있다. 참고래와 마찬가지로 왼쪽 입은 흰색이고 오른쪽 입은 어두운색으로, 아래턱의 비대칭 색상이 반전되어 나타난다.
등지느러미는 낫 모양이며, 다른 긴수염고래류보다 비교적 작고 덜 직립적이다. 등지느러미의 높이는 7.5cm에서 20cm이며, 부리의 끝에서부터 몸 길이의 약 57% 지점에 위치한다. 가슴지느러미는 짧고 가늘며, 앞쪽 가장자리와 안쪽 표면은 흰색이다. 가슴 지느러미는 몸 길이의 약 13~15% 정도이다. 배에는 45개에서 95개의 홈이 있으며 배꼽을 넘어 확장된다. 꼬리 지느러미의 폭은 몸 길이의 약 1/4에서 1/5 정도이다.
수염판은 한쪽에 약 200개 정도 있으며, 오른쪽 수염판 앞부분만 황백색이고 나머지는 검은색이다.
뉴칼레도니아, 솔로몬 제도, 서수마트라, 동칼리만탄 앞바다에서 관찰된 오무라고래는 쿠키커터 상어의 물린 자국으로 인한 광범위한 흉터를 보였는데, 이는 이들이 깊은 물까지 갔음을 나타낸다.
5. 분포
지역 상세 위치 및 기록 일본 3월 및 5월부터 10월까지 좌초 및 얽힘 기록; 야마구치현,[29] 미야자키현,[30] 가가와현,[31] 미에현, 시즈오카현, 지바현[28]; 보소반도, 도쿄만, 사가미만, 이세만, 세토 내해(아와시마), 휴가나다[68] 대한민국 12월에서 1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28] 중국 11월부터 2월까지, 8월에 좌초 기록; 저장성, 푸젠성, 광둥성,[35] 광시성[36] 대만 11월부터 3월, 5월에 좌초 기록, 4월부터 5월, 7월부터 8월까지 관찰 기록[14][37]; 동해안[68] 홍콩 3월[38][39] 필리핀 마닐라만, 부수앙가,[28] 보홀해[19] 베트남 꽝응아이 성[28] 말레이시아 파항주[41] 태국 2월, 5월부터 6월, 11월부터 12월 관찰 및 좌초 기록; 팡응아, 푸껫,[14] 쁘라쭈압키리칸, 송클라[28] 인도네시아 2월, 4월부터 6월, 9월부터 11월 관찰 및 좌초 기록; 서수마트라, 남부 자바해, 발리,[28] 코모도,[25] 솔로 제도, 세람섬, 라자 암팟 제도, 동칼리만탄[28] 코코스 제도 [5] 안다만 제도 4월[28]; 인도[68]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엑스마우스에서 노던 준주의 다윈 북쪽 약 9° 30' S - 10° S, 130° E,[43]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44] (1월, 세인트 빈센트 만), 퀸즐랜드주 (11월부터 12월, 포트 더글러스 및 미션 비치)[45]; 북서부[67] 솔로몬 제도 [52] 누벨칼레도니 [46] 스리랑카 2월[47]; 2017년 최초 생존 개체 관찰[68] 차고스 제도 [28] 이란 9월, 호르무즈 해협[48] 이집트 4월, 북부 홍해[28]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12° 01 S에서 19° 23 S, 연구원 관찰은 8월, 10월에서 12월, 고래 관찰 운영자의 관찰은 4월에서 12월, 음향 감지는 연중 내내[49]; 노시베 주변 정착[62] 모리타니 11월, 트라르자 지역[50] 브라질 9월, 세아라주[51] 상페드루 이 상파울루 군도 주변 [28]
2015년 마다가스카르 앞바다에서 어린 개체를 포함한 약 25마리의 무리가 목격되었고, 이후 이 해역(노시베 주변)에 정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62] 또한 음향 조사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북서부에도 개체군이 존재함이 밝혀졌다.[67]
과거 상업 포경으로 포획된 수염고래과에 본 종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확인된 개체 수가 적어 정확한 분포는 알려져 있지 않다. 상업 포경 이전의 분포와 현재의 분포 상황에 차이가 있는지도 불분명하다.
6. 생태
뉴칼레도니아, 솔로몬 제도, 서수마트라, 동칼리만탄 앞바다에서 관찰된 오무라고래는 쿠키커터 상어에게 물린 자국으로 인한 흉터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이들이 깊은 물까지 이동했음을 나타낸다.[28] 반면, 마다가스카르 앞바다에서 발견된 고래는 이러한 흉터를 보이지 않았다.[26]
1976년 솔로몬 해에서 포획된 6마리의 오무라고래 위장에서는 크릴(''Euphausia diomedeae'')만이 발견되었으며,[1][27] 일본에서 발견된 7m 크기의 암컷에서는 갑각류와 물고기가 발견되었다. 마다가스카르에서 관찰된 개체들은 크릴 ''Pseudeuphausia latifrons''를 급강하하며 먹이를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다.[49]
오무라고래는 15-50 진폭 변조된 노래를 만들어내며, 최고 주파수는 36.1Hz이고 평균 지속 시간은 9.2초이다.[26] 이어서 때때로 17Hz의 음조 신호가 4초 동안 이어진다. 이러한 노래는 2~3분마다 반복되며, 때로는 13시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노래는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해역에서 연중 녹음되었으며, 10월 말부터 1월 말, 그리고 5월 말부터 6월 말까지 활동이 가장 활발했다. 여러 개체가 동시에 노래하는 합창도 연중 녹음되었다.[49] 여러 수컷이 암컷을 향해 구애의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추정된다.[62]
2016년 11월, 4마리의 오무라고래에게 위성 추적 장치가 부착되어 마다가스카르 북서쪽 해안에서 추적되었다. 추적 장치는 평균 42일 동안 부착되었으며(범위: 30~58일), 추적된 고래는 평균 2530km(범위: 2148km~3181km)를 이동했지만, 섬 북서쪽 해안에서 230km~405km(평균: 283km)의 좁은 연안 범위 내에 머물렀다. 모든 고래는 개별적인 이동 범위를 여러 번 왕복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대륙붕 해역에서 보내고 깊은 바다로는 거의 나가지 않았다.[49] 다른 많은 수염고래류와는 달리 대규모 회유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74]
7. 위협 요인 및 보존
오무라고래는 야생동물 이동 종의 보존에 관한 협약(CM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다.[58] 이 협약은 보존 상태가 좋지 않거나 국제 협력이 필요한 종을 보호한다. 오무라고래는 태평양 제도 해양 포유류 보존 양해각서(태평양 해양 포유류 MOU)의 적용도 받는다.[59]
8. 발견
1998년 동해에서 어선과 충돌하여 사망한 채 쓰노시마로 예인된 정체불명의 고래를 국립과학박물관의 야마다 타다스가 검사하면서 이 8개 표본의 정체가 밝혀졌다. 이 표본은 1970년대에 잡힌 개체와 외관상 매우 유사했으며, 형태, 골격,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로 와다, 오이시 마사유키, 야마다는 2003년 11월 20일자 학술지 ''네이처''에 ''Balaenoptera omurai''를 기술했다.[1] 표본의 살점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 쓰노시마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일본어 방언 이름으로 ''쓰노시마 쿠지라''(영어: Horn Island whale)가 붙여졌다.
1970년대 말, 와다 시로는 원양 수산 연구소에서 조사 포경으로 포획된 남반구산 브라이드고래의 장기 표본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던 중, 1976년 태평양 열대 해역(솔로몬 해)산 암컷, 수컷 각 3마리와 1978년 코코스 제도 근해 인도양산 암컷 2마리의 표본에서 독특한 유전자를 발견했다. 이들은 체장이 약 9.6m - 11.5m로 소형이었지만 성숙한 개체였다. 신종 가능성이 있어 영국의 종합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논문을 투고했으나 형태 정보 부족 등을 지적받았다. 와다는 국립과학박물관의 야마다 이타루의 협력을 얻어 8마리의 고래를 신종으로 공표할 예정이었다.[71]
1998년 9월 11일, 동해를 항해 중이던 어선이 야마구치현쓰노시마 근해에서 고래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수염고래는 체장 약 11m의 수염고래과였으며, 사고 당시 이미 죽었거나 빈사 상태였을 가능성이 있었다. 이 고래는 야마다가 확보하여 수산종합연구센터중앙수산연구소, 이와테현립박물관, 일본고래연구소 등에서 조사되었다.[71] 연조직 등 부패하기 쉬운 부위의 상세한 조사가 어려웠지만, 관골과 두개골의 형태가 특이하여 미지의 종일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 등으로부터 이 개체가 앞선 8마리의 표본과 마찬가지로 신종이라고 결론지어져, "''Balaenoptera omurai''"로 명명되어 11월 20일 발행된 『네이처』에서 논문이 발표되었다.[75] 수염고래류에서 신종의 발견은 1913년 이후 90년 만이었다.[76]
참조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Academic
[4]
문서
Ohsumi 1978, Wada and Numachi 1991, Carwardine 1995, Perrin et al. 1996, Kahn 2001, LeDuc and Dizon 2002, Kato 2002, and many others
[5]
논문
A newly discovered species of living baleen whale
[6]
뉴스
An Elusive Whale Is Found All Around the World - Researchers are learning about a newly identified species of baleen whales, tracing sightings and sounds to learn that they stay mainly in tropical waters.
https://www.nytimes.[...]
2019-03-22
[7]
논문
"''Balaenoptera omurai'' is a newly discovered baleen whale that represents an ancient evolutionary lineage"
[8]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9]
문서
"{{{taxon=''Balaenoptera omura'' Wada, Oishi, and Yamada, 2003 }}}"
[10]
논문
Provisional report on Bryde's whales caught under special permit in the Southern Hemisphere
[11]
문서
Wada, S., & Numachi, K. I. (1991). "Allozyme analyses of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e populations and species of the Balaenoptera". ''Genetic ecology of whales and dolphins''. ''Reports of th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Special''' (13): 125-154.
[12]
웹사이트
Japanese Scientists Identify New Species of Whale
http://www.babec.org[...]
2004-07-07
[1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Bryde's whal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and adjacent water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s
[14]
문서
Yamada, T. K., L.-S. Chou, S. Chantrapornsyl, K. Adulyanukosol, S. K. Chakravarti, M. Oishi, S. Wada, C.-J. Yao, T. Kakuda, Y. Tajima, K. Arai, A. Umetani & N. Kurihara (2006). "Middle sized balaenopterid whale specimens (Cetacea: Balaenopteridae) preserved at several institutions in Taiwan, Thailand, and India". ''Memoir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44: 1–10.
[15]
서적
Wha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6]
서적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a natural history and species guid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l.
[17]
서적
Biology and exploitation of the minke whale
https://books.google[...]
CRC Press
[18]
논문
Directed fisheries for cetaceans in the Philippines
[19]
문서
Yamada, T. K., T. Kakuda & Y. Tajima, 2008. "Middle sized balaenopterid whale specimens in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Memoir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45: 75–83.
[20]
서적
The Book of Whales
Alfred Knopf, New York.
[21]
문서
Two Allopatric Forms of Bryde's Whale off South Africa
"''Reports of th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2]
문서
Review of the Occurrence of the Bryde's Whale in the Northwest Pacific
"''Rep. Int. Commn.''"
[23]
문서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pp. 799–801. In Perrin, W.F.P., B. Würsig, and J.G.M. Thewissen, eds.,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2n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1315 pp.
[24]
웹사이트
Balaenoptera omurai (M-816)
http://svrsh2.kahaku[...]
Marine Mammals Stranding Database,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Tokyo
2013-09-15
[25]
문서
Komodo National Park Cetacean Surveys: April 2001 and 1999–2001 survey synopsis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UNEP/CMS)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Marine Mammals of Southeast Asia. July 22–23, 2002. Demaguette, Philippines.
[26]
논문
Omura's whales (''Balaenoptera omurai'') off northwest Madagascar: 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needs
2015-10-14
[27]
문서
On the food of Bryde's whales caught in the South Pacific and Indian Oceans
"''Scientific Reports of the Whales Research Institute''"
[28]
논문
Global distribution of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and assessment of range-wide threats
[29]
웹사이트
Balaenoptera omurai (32505)
http://db.kahaku.go.[...]
Marine Mammals Stranding Database,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Tokyo
2020-09-12
[30]
웹사이트
Balaenoptera omurai (34053)
http://db.kahaku.go.[...]
Marine Mammals Stranding Database,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Tokyo
2020-09-12
[31]
웹사이트
Balaenoptera omurai (32992)
http://db.kahaku.go.[...]
Marine Mammals Stranding Database,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Tokyo
2020-09-12
[32]
문서
First record of the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in Korean waters
"''Anim. Syst. Evol. Divers''."
[33]
논문
Identification of a ''Balaenoptera edeni'' specimen by using mitochondrial DNA sequences
[34]
논문
Description of a new record species of whales from Chinese coastal waters
http://www.airitilib[...]
[35]
문서
A stranding of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Wada, Oishi and Yamada, 2003) in the Taiwan Strait, China
"''Aquat. Mamm''."
[36]
논문
"First record of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in the Beibu Gulf, China."
[37]
웹사이트
我国沿海鲸类(一)——须鲸篇(上)_科学公园_传送门
https://web.archive.[...]
2016-03-05
[38]
웹사이트
巨鯨屍擱淺紅石門 - 東方日報
http://orientaldaily[...]
[39]
웹사이트
角島鯨煲骨去油 標本重現城大
http://hk.apple.next[...]
[40]
논문
The Philippine Marine Mammal Strandings from 1998 to 2009: Animals in the Philippines in Peril?.
[41]
논문
Opportunistic observations on the distribution of cetaceans in the Malaysian South China, Sulu and Sulawesi Seas and an updated checklist of marine mammals in Malaysia
[42]
논문
"Stranding of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in Western Australia"
[43]
간행물
"Passive Acoustic Monitoring of Ambient Noise and Marine Mammals—Barossa Field: JASCO Document 00997, Version 1.0"
JASCO Applied Sciences for Jacobs
[44]
간행물
"Marine mammal collections in Australia"
[45]
뉴스
Rare omura whale spotted inside 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for the first time
http://www.abc.net.a[...]
ABC News
2016-12-14
[46]
웹사이트
Extraordinarily Rare Whale Sighting –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http://mersociety.wo[...]
Marine Education and Research Society
2012-11
[47]
논문
"First record of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in Sri Lankan waters"
https://mbr.biomedce[...]
[48]
논문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stranding on Qeshm Island, Iran: further evidence for a wide (sub)tropical distribution, including the Persian Gulf
[49]
간행물
"Residency, feeding ecology, local movements and potential isolation of the Madagascar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population"
[50]
논문
Omura's whale off West Africa: autochthonous population or inter-oceanic vagrant in the Atlantic Ocean?
https://www.research[...]
Marine Biology Research
[51]
논문
Rare or cryptic? The first report of an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in the South Atlantic Ocean
[52]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Dolphin Project – Progress report on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http://www.iucn-csg.[...]
2011-06-24
[53]
웹사이트
Video shows first confirmed wild sighting of Omura's whale
http://www.abc.net.a[...]
2015-11-01
[54]
논문
"A feeding aggregation of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off Nosy Be, Mozambique Channel."
[55]
웹사이트
Rare whale spotted in Taiwan for the first time – Taiwan News
http://www.taiwannew[...]
2017-05-22
[56]
논문
Osteological comparison of Bryde's whales from the Philippines with specimens from other regions
[57]
논문
Population study of the Bryde's whale in the Southern Hemisphere under scientific permit in the three seasons, 1976/77 – 1978/79".
[58]
웹사이트
Appendix II
http://www.cms.int/d[...]
2011-06-11
[59]
웹사이트
Pacific Cetaceans
http://www.pacificce[...]
[60]
문서
房総半島や富山湾など確認されている海域も含まれておらず、他にもニュージーランドの様に不確実な目撃情報が報告されている海域も存在する。
[61]
포브스
From Hunted To Loved: Unlocking Shy Whale Secrets In The Philippines
https://www.forbes.c[...]
フォーブス
2024-07-28
[62]
웹사이트
Omura's whale
https://us.whales.or[...]
2024-08-01
[63]
서적
『鯨類学』 図鑑/世界の鯨類8
[64]
뉴스
BBC NEWS Whale species is new to science
http://news.bbc.co.u[...]
BBC NEWS
[65]
웹사이트
海棲哺乳類情報データベース アーカイブ 宮崎県宮崎市でツノシマクジラの漂着
http://svrsh1.kahaku[...]
[66]
간행물
『富山湾における鯨類の記録(2018年)』
富山市科学博物館
[67]
논문
Distribution and Seasonality of the Omura’s Whale (Balaenoptera omurai) in Australia Based on Passive Acoustic Recordings
https://www.mdpi.com[...]
MDPI
[68]
논문
Global Distribution of Omura’s Whales (Balaenoptera omurai) and Assessment of Range-Wide Threats
https://www.frontier[...]
Frontiers Media
2019-03-15
[69]
서적
『鯨類学』 図鑑/世界の鯨類10
[70]
웹사이트
http://www.pbase.com[...]
[71]
웹사이트
中央水研ニュース
http://nrifs.fra.aff[...]
[72]
웹사이트
Whale sighting near Phuket could be world first: biologist
https://www.bangkokp[...]
2024-01-07
[73]
웹사이트
Thailand Surveys Omura's Whales In The Andaman Sea
https://www.khaosode[...]
2024-01-09
[74]
문서
[75]
웹사이트
ツノシマクジラ 日本で発見された新種のヒゲクジラ
http://svrsh2.kahaku[...]
[76]
뉴스
2003年11月20日中国新聞1面
中国新聞
2003-11-20
[77]
저널
Cetacean Update of the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cmsdata.iucn.[...]
2008-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