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어아를베르크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어아를베르크주는 오스트리아 서부에 위치한 주로, 독일, 스위스, 리히텐슈타인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로마 시대부터 알레만니족의 지배를 거쳐 합스부르크가의 통치를 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스위스 합병 국민투표가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현재는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독일 관광객의 방문이 잦으며, 오스트리아에서 두 번째로 인구 밀도가 높은 주이다. 주요 산업으로는 관광, 농업, 제조업이 있으며, 특히 알프스 산맥의 스키 리조트와 보덴 호수를 활용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또한 알레만어 방언을 사용하며, 독특한 전통 의상과 음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주 - 빈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연방 주이며 다뉴브 강에 위치한 빈은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중심지로서 정치,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빈 회의 개최와 음악 발전, 국제 기구 유치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 유럽 연합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주 - 잘츠부르크주
잘츠부르크주는 오스트리아 중앙 서쪽에 위치하며 알프스 산맥 북동부에 자리 잡은 주로, 다채로운 역사를 거쳐 현재는 1개의 헌장 도시와 5개의 구로 이루어져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 - 마이들링
마이들링은 오스트리아 빈의 12구역으로, 1892년 빈에 통합되어 주거 지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빈 메들링 역 등 주요 건축물과 대중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 - 잘츠부르크주
잘츠부르크주는 오스트리아 중앙 서쪽에 위치하며 알프스 산맥 북동부에 자리 잡은 주로, 다채로운 역사를 거쳐 현재는 1개의 헌장 도시와 5개의 구로 이루어져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포어아를베르크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포어아를베르크 |
현지어 명칭 | 로마자 표기법: Vorarlbearg 알레만어: Voralbärg, Voraadelbearg |
다른 명칭 | Land |
위치 | 오스트리아의 주 |
수도 | 브레겐츠 |
최대 도시 | 도른비른 |
주지사 | 마르쿠스 발너 |
정부 정당 | ÖVP, 녹색당 |
면적 | 2,533.84 km² |
육지 면적 | 2,533.84 km² (97.4 %) |
수면 면적 | 67.64 km² (2.6 %) |
최고점 | 피츠 부인 (3,312 m) |
최저점 | 보덴 호 (395.23 m) |
인구 | 401,674 명 (2022년 1월 1일) |
인구 밀도 | auto |
시간대 | CET |
시간대 (여름) | CEST |
ISO 코드 | AT-8 |
HDI (2022년) | 0.917 |
HDI 등급 | 매우 높음, 9개 중 6위 |
NUTS 지역 | AT3 |
연방 상원 의석수 | 3 (총 62석 중) |
공식 웹사이트 | 포어아를베르크 공식 웹사이트 |
깃발 및 문장 | |
![]() | |
![]() | |
![]() | |
정치 | |
정부 | 포어아를베르크 주의회 |
주지사 | 마르쿠스 발너 (ÖVP) |
이전 선거 | 2019년 10월 13일 |
다음 선거 | 2024년 |
연방 상원 의석 | 3석 |
경제 | |
GDP (총액, 2021년) | 207억 1,600만 유로 |
GDP (1인당, 2021년) | 51,700 유로 |
행정 구역 | |
총 시/읍/면 수 | 96 |
시 | 5 |
읍 | 11 |
기타 | |
국가 | 오스트리아 |
국가 | 오스트리아 |
지역 | 오스트리아 |
노래 |
2. 역사
포어아를베르크는 '아를(Arl) 산 앞'이라는 뜻으로, 1218년부터 다양한 철자로 기록되었다. 이 지명은 이 지역에 많이 서식하는 구상나무에서 유래했다.[7] '렌틀레'(Ländle, '작은 땅')라는 별명은 티롤 백작령에서 분리되려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8]
843년 카롤링거 왕조의 동프랑크 왕국(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거쳐 14세기에는 신성 로마 제국(오스트리아 제국 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들어가, 인접한 리히텐슈타인 가문과도 관계를 맺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포어아를베르크는 오스트리아로부터 분리되어 스위스 연방 가입을 포어아를베르크 주의회에서 결의했으나,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스위스 연방 가입은 거부되었다.[127]
현재는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독일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여 상호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2. 1. 선사 시대 및 로마 시대
기원전 1500년경부터 브레겐츠와 그 주변 지역에 최초의 정착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원전 500년경 켈트족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로마 제국이 포어아를베르크를 정복하기 전, 이 지역에는 두 개의 켈트족 부족이 정착해 있었다. 고지대에는 레티족이, 저지대(보덴호 지역과 라인 계곡)에는 빈델리키족이 살았다. 빈델리키족의 중요한 정착지 중 하나는 기원전 500년경에 건설된 브리가티온(현재의 브레겐츠)이었다. 스트라보는 알프스 지역의 하위 부족으로 "브리가티이"라는 켈트족 부족을 언급했다.[14] 기원전 15년, 포어아를베르크 지역은 로마 제국에 정복당하여 레티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260년에는 프랑켄 지역을 포함한 라인강 상류에 있던 알레만니족의 침략을 받아 켈트족, 보이족, 로마인과 혼혈을 거듭하여 450년경에는 "포어아를베르크인"이 형성되었다.2. 2. 중세 시대
로마 제국이 포어아를베르크를 정복하기 전, 이 지역에는 두 개의 켈트족 부족이 정착해 있었다. 고지대에는 레티족이, 저지대( 보덴호 지역과 라인 계곡)에는 빈델리키족이 살았다. 빈델리키족의 중요한 정착지 중 하나는 기원전 500년경에 건설된 브리가티온(현재의 브레겐츠)이었다. 브레겐츠와 그 주변의 최초 정착지는 기원전 1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트라보는 알프스 지역의 하위 부족으로 "브리가티이"라는 켈트족 부족을 언급했다.[14] 포어아를베르크 지역은 기원전 15년에 로마에 정복당하여 로마 속주인 레티아의 일부가 되었고, 약 450년경에는 알레만니족에게 정복당했다.이후 바이에른인의 지배하에 들어가 바이에른인과 롬바르드족이 정착했다. 그 후 1160년까지 브레겐츠 백작의 지배를 받았고, 1525년 합스부르크가 통치권을 장악할 때까지 몬트포르트 백작의 통치를 받았다.[15]
2. 3. 근세 및 현대
이 지역은 로마 제국에 정복되기 전, 고지대에는 레티족, 저지대에는 빈델리키족 등 두 켈트족 부족이 정착해 있었다. 빈델리키족의 중요한 정착지 중 하나는 기원전 500년경에 건설된 브리가티온(현재의 브레겐츠)이었다. 브레겐츠와 그 주변의 최초 정착지는 기원전 1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트라보는 알프스 지역의 하위 부족으로 "브리가티이"라는 켈트족 부족을 언급했다.[14] 포어아를베르크 지역은 기원전 15년에 로마에 정복당하여 로마 속주인 레티아의 일부가 되었고, 약 450년경에는 알레만니족에게 정복당했다.이후 바이에른인의 지배하에 들어가 바이에른인과 롬바르드족이 정착했다. 그 후 1160년까지 브레겐츠 백작의 지배를 받았고, 1525년 합스부르크 가문이 통치권을 장악할 때까지 몬트포르트 백작의 통치를 받았다.[15]
과거 여러 주교구를 통합한 역사적으로 게르만 지역인 이 지역은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소규모의 반자치 백작과 생존해 있던 주교 공작의 지배를 일부 받았다. 포어아를베르크는 오스트리아 후방 지역의 일부였으며, 이 지역의 일부는 몬트포르트 백작(포어아를베르크)의 통치를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포어아를베르크의 많은 사람들은 스위스에 합병되기를 원했다.[16] 1919년 5월 11일에 실시된 포어아를베르크 합병 국민투표에서 투표자의 80.75%가 스위스 연방에 합류하는 제안을 지지했다. 그러나 제안된 합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스위스 내에서는 프랑스어권 지역인 로망디와 이탈리아어권 지역이 또 다른 독일어 사용 지역을 받아들이는 것을 꺼렸고, 스위스 외부에서도 반대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는 스위스 동부 국경에 변화가 있을 경우 스위스가 티치노를 포기하기를 원했다. 중앙 유럽의 세력 균형을 우려한 비엔나와 연합국도 반대했다. 포어아를베르크 정부는 스위스와의 합병에 반대했지만, 국민투표 결과가 압도적이었기에 베른과 소극적인 협상을 시작했다. 스위스가 포어아를베르크의 합병에 대해 최소한 미온적이라는 것이 분명해지자 포어아를베르크는 오스트리아에 남았다.[17][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포어아를베르크는 티롤과 마찬가지로 1945년부터 1955년까지 프랑스군의 점령을 받았다.
3. 지리
빈 주 다음으로 두 번째로 면적이 작은 주이며, 2013년 말 기준 인구는 37만 6347명, 면적은 2601km2이다.
주도는 브레겐츠이며, 최대 도시는 도른비른이다. 동쪽으로는 티롤 주의 로이테 구와 란덱 구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독일 바이에른 주 남서부의 바이에른 슈바벤 지역과 접한다. 서쪽으로는 리히텐슈타인 공국, 서쪽과 남쪽으로는 스위스의 산트갈렌 주와 그라우뷘덴 주(독일어권, 라틴어권(로만슈어, 롬바르드어 등))와 접한다. 지역권으로는 바덴 지역과 슈바벤 지역의 중간에 속한다.
알프스 산맥의 스키 리조트로 유명하며, 북서쪽에는 보덴호가 있다. 보덴호는 라인 강 수계에 속한다.
3. 1. 지형
오스트리아 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은 독일, 서쪽은 스위스·리히텐슈타인, 남쪽은 스위스와 국경을 이룬다. 아를베르크 고개를 경계로 티롤주의 서쪽에 있다. 라인강의 상류지역과 알프스산맥 사이에 위치하며, 서북쪽은 보덴호에 면한다.포어아를베르크주의 주요 강은 일 강(몬타폰(Montafon)과 발가우(Walgau) 계곡을 지나 라인 강으로 흘러들어감), 라인 강(Rhine)(스위스와의 국경을 이룸), 브레겐츠 아흐(Bregenzer Ache) 강, 도른비른 아흐(Dornbirner Ach) 강이다. 가장 짧은 강 중 하나는 갈리나 강이다. 보덴 호를 제외하고 중요한 호수로는 뤼너 호(Lüner Lake), 실브레타 저수지(Silvretta Reservoir), 페르문트 호(Vermunt Lake), 슈풀러 호(Spuller Lake), 콥스 분지(Kops Basin), 포르마린 호가 있다. 처음 네 개의 호수는 수력 발전을 위해 조성되었다. 그러나 발전소 댐이 건설되기 전에도 뤼너 호는 알프스에서 가장 큰 산악 호수였다. 이 수력 에너지의 대부분은 최고 수요 시간대에 독일로 수출된다. 야간에는 독일의 발전소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일부 호수로 물을 다시 퍼 올린다.
포어아를베르크주에는 산맥이 여러 개 있는데, 잘 알려진 스키 지역과 스키 리조트가 많은 실브레타(Silvretta), 레티콘(Rätikon), 페르발, 아를베르크(Arlberg) 등이 있다.
가장 높은 산은 피츠 부인(Piz Buin)으로, 3312m의 암봉은 빙하로 둘러싸여 있다. 보덴 호와 알프스 라인 계곡의 평원에서 중간 고도와 고지대 알프스 지대를 지나 실브레타 산맥의 빙하까지의 거리는 단지 90km에 불과하다.
보덴 호(Lake Constance)는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 접해 있으며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 가장 큰 호수이다. 매년 브레겐츠 페스티벌(Bregenzer Festspiele)이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3. 2. 수계
포어아를베르크주의 주요 강은 일 강(몬타폰(Montafon)과 발가우(Walgau) 계곡을 지나 라인 강으로 흘러들어감), 라인 강(스위스와의 국경을 이룸), 브레겐츠 아흐(Bregenzer Ache) 강, 도른비른 아흐(Dornbirner Ach) 강이다. 가장 짧은 강 중 하나는 갈리나 강이다. 보덴 호를 제외하고 중요한 호수로는 뤼너 호(Lüner Lake), 실브레타 저수지(Silvretta Reservoir), 페르문트 호(Vermunt Lake), 슈풀러 호(Spuller Lake), 콥스 분지(Kops Basin), 포르마린 호가 있다. 처음 네 개의 호수는 수력 발전을 위해 조성되었다. 그러나 발전소 댐이 건설되기 전에도 뤼너 호는 알프스에서 가장 큰 산악 호수였다. 이 수력 에너지의 대부분은 최고 수요 시간대에 독일로 수출된다. 야간에는 독일의 발전소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일부 호수로 물을 다시 퍼 올린다.3. 3. 기후
포어아를베르크주는 라인강 상류 지역과 알프스산맥 사이에 위치하며, 서북쪽은 보덴호에 면한다. 기후는 온화하며, 오스트리아 내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 속한다.3. 4. 자연 보호
포어아를베르크주에는 그로세스 발저탈 생물권보전지역과 나겔플루케테 자연공원이 있다.그로세스 발저탈 생물권보전지역은 약 19,200ha의 면적에 3,420명의 주민과 약 180개의 농장(2022년 기준 42%가 유기농)[9]이 있는 곳이다. 이 보전지역은 지역의 지속 가능한 경제와 관광을 추구하며 사회, 정치, 과학에 대한 논의의 장을 제공한다. 2000년부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 교육 및 연구, 그리고 자연 다양성 보호를 목표로 한다.[10][11]
나겔플루케테 자연공원은 독일 알고이와 오스트리아 브레겐체르발트 사이의 국경을 넘나드는 자연공원으로, 면적은 24,700ha이다. 알프스 지역의 유목과 지질학적 다양성의 결과로 생물다양성이 높으며, 가이드가 동반하는 하이킹 투어를 제공한다.[12][13]
4. 행정 구역
포어아를베르크주는 4개의 군(Bezirk; 행정구역)으로 나뉜다. 군은 지방자치단체가 아니며,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주의 지방 행정 기관이다. 군 아래에는 총 96개의 기초자치단체(Gemeinde)가 있으며, 그중 5개는 시(Stadtgemeinde), 12개는 마을(Marktgemeinde; 마켓타운)로 지정되어 있다.[1]
포어아를베르크주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브레겐츠군, 도른비른군, 펠트키르히군, 블루덴츠군의 네 개의 큰 구로 나뉜다. 이 구들은 자동차 번호판에 약어 형태(B, DO, FK, BZ)로 표시된다.[1]
번호판 | 군명 | 위치 | 군청 소재지 | 면적 (km2) | 인구 (2020년 1월 1일) | 인구밀도 | 자치체 수 |
---|---|---|---|---|---|---|---|
B | 브레겐츠군 | 브레겐츠 | 863.34km2 | 134,987 | 156 | 40 | |
BZ | 블루덴츠군 | 블루덴츠 | 1287.52km2 | 64,107 | 50 | 29 | |
DO | 도른비른군 | 도른비른 | 172.37km2 | 89,912 | 521 | 3 | |
FK | 펠트키르히군 | 펠트키르히 | 278.26km2 | 108,133 | 389 | 24 |
5. 인구와 사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 공화국이 출범하면서 포어아를베르크는 독립된 주가 되었다. 이후 스위스 연방 편입을 결정하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는데, 스위스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 주민 대다수가 스위스 편입에 찬성하였다. 1919년 5월 11일에 실시된 포어아를베르크 합병 국민투표에서 투표자의 80.75%가 스위스 연방 합류 제안을 지지했다.[16] 그러나 연합국,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반대로 합병은 무산되었다.[17][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포어아를베르크는 티롤주와 마찬가지로 1945년부터 1955년까지 프랑스군의 점령을 받았다.
5. 1. 인구 통계
포어아를베르크주의 인구는 2020년 1월 1일 기준 397,094명이다.[20] 주민 대다수(86%)는 서쪽의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북쪽의 독일과 문화적으로 연관 있는 오스트리아-게르만계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19세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초청받아 이주한 발제르인을 포함하여 스위스 발레주 출신 조상을 두고 있다. 1960년대 이후로는 터키계 주민이 상당한 소수 민족을 형성하고 있다.포어아를베르크는 km²당 약 150명의 주민이 거주하여 빈 다음으로 오스트리아에서 두 번째로 인구 밀도가 높은 주이다. 펠트키르히와 허어브란츠 사이의 도시권은 유럽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에 속한다. 다른 오스트리아 주들에 비해 조기에 산업화가 이루어져, 19세기 초부터 전형적인 이민 주(州)로 발전했다. 면적이 작은 이 주는 빈 다음으로 이민자 비율이 가장 높으며, 2015년 기준 전체 인구의 약 16%를 차지했다. 독일 출신 주민이 가장 큰 이민자 집단을 구성하고, 터키 이민자들이 그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전 유고슬라비아 국가 출신 사람들은 포어아를베르크에서 세 번째로 큰 이민자 집단이다.
오스트리아 통계청(Statistics Austria)의 2021년 통계에 따르면, 포어아를베르크 주민의 60.7%가 가톨릭 신자이고, 7.6%는 다른 기독교 종파(정교회 신자 3.8%, 개신교 신자 2.5%, 기타 기독교 신자 1.3%)에 속한다.[21] 이슬람교는 13%의 비율로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21] 포어아를베르크 주민의 0.6%는 다른 종교를 믿고 있으며, 18.9%는 어떤 종교나 종파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다고 밝혔다.[22]
5. 2. 민족 구성

포어아를베르크 주민의 대다수(86%)는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독일과 문화적으로 연관된 오스트리아-게르만계이다. 상당수 주민의 조상은 19세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이주한 발제르인을 포함하여 스위스 발레주에서 왔다. 1960년대 이후 터키계 주민이 상당한 소수 민족을 형성하고 있다.
포어아를베르크는 km²당 약 150명의 주민으로 빈 다음으로 오스트리아에서 두 번째로 인구 밀도가 높은 주이다. 펠트키르히와 허어브란츠 사이의 도시권은 유럽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다른 오스트리아 주들에 비해 조기에 산업화되었기 때문에 19세기 초부터 전형적인 이민 주로 발전했으며, 빈 다음으로 이민자 비율(2015년 기준 약 16%)이 가장 높다. 가장 큰 이민자 집단은 독일인이며, 터키 이민자들이 그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전 유고슬라비아 국가 출신 사람들은 세 번째로 큰 이민자 집단이다.
오스트리아 통계청(Statistics Austria)의 2021년 통계에 따르면, 주민의 60.7%가 가톨릭 신자이고, 7.6%가 다른 기독교 종파(3.8% 정교회 신자, 2.5% 프로테스탄트, 1.3% 기타 기독교) 신자이다.[21] 13%를 차지하는 두 번째로 큰 종교는 이슬람교이다.[21] 포어아를베르크 주민의 0.6%는 다른 종교를 믿고 있으며, 18.9%는 어떤 종교나 종파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다고 밝혔다.[22]
2001년 오스트리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로마 가톨릭이 78%, 프로테스탄트 계열인 복음주의 교회가 2.2%이다. 이슬람교를 믿는 터키인은 8.4%를 차지한다. 2015년 통계에서는 포어아를베르크 주 로마 가톨릭 신자가 전체 주민의 64%인 241,037명으로 나타났다.[128]
복음주의 교회 신자들은 아우크스부르크에 본거지를 둔 루터파인 오스트리아 복음주의 교회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파와 제2스위스 신앙고백파(개혁파 교회)에 속한다.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파 교회 공동체는 클라인발서탈 지역 미텔베르크(브레겐츠구)의 히르슈에크 크로이츠 교회뿐이다. 이 교회는 앙슐루스 이후 독일 측 바이에른 복음 루터교회에 속하게 되었지만, 오스트리아인 복음 신자들을 교인으로 두고 있다. 제2스위스 신앙고백파 개혁파 교회 공동체는 블루덴츠, 브레겐츠, 도른비른, 펠트키르히에 있다.
5. 3. 언어
오스트리아의 다른 지역들과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어, 포어아를베르크 주민들은 매우 독특한 독일어 방언을 사용한다. 오스트리아 다른 지역의 방언들이 바이에른-오스트리아 방언군에 속하는 반면, 포어아를베르크 방언은 알레만 방언 연속체에 속하기 때문에 다른 오스트리아인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알레만 방언은 리히텐슈타인, 스위스(스위스 독일어)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바이에른 남서부, 프랑스 알자스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포어아를베르크 방언은 몬타폰, 브레겐츠발트, 루스테나우 등 여러 지역적 하위 방언으로 더 세분화되며, 이들 지역 방언은 서로 상당히 다르다. 사실 이러한 지역 내에서도 마을이나 촌락마다 방언이 다를 수 있다.[7]포어아를베르크주는 스위스의 독일어권과 리히텐슈타인과 마찬가지로 알레만어 계통의 방언이 사용된다는 점에서 다른 오스트리아 주들과 구별된다. 북부에서는 저지 알레만어에 속하는 보덴 호수 알레만어가, 중부와 남부에서는 고지 알레만어와 최고지 알레만어 등이 지역에 따라 사용된다. 이들을 통칭하여 포어아를베르크어(오스트리아 알레만어)라고도 부른다.
5. 4. 종교
오스트리아 통계청(Statistics Austria)의 2021년 통계에 따르면 포어아를베르크 주민의 60.7%가 가톨릭 신자이고, 7.6%는 다른 기독교 종파(3.8% 정교회 신자, 2.5% 개신교, 1.3% 기타 기독교) 신자이다.[21] 13%의 비율을 차지하는 두 번째로 큰 종교는 이슬람교이다.[21] 포어아를베르크 주민의 0.6%는 다른 종교를 믿고 있으며, 18.9%는 어떤 종교나 종파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22]2015년 통계에 따르면, 포어아를베르크 주에서 로마 가톨릭 신자는 241,037명으로 전체 주민의 64%를 차지한다.[128]
복음주의 교회 신자들은 본거지를 아우크스부르크에 두고 있는 루터파인 오스트리아 복음주의 교회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파와 제2스위스 신앙고백파(개혁파 교회)에 속해 있다.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파 교회 공동체는 클라인발서탈 지역 미텔베르크(브레겐츠구)에 있는 히르슈에크 크로이츠 교회뿐이다. 이 히르슈에크 크로이츠 교회는 앙슐루스 이후 독일 측 바이에른 복음 루터교회에 속하게 되었지만, 오스트리아인 복음 신자들을 교인으로 두고 있다. 제2스위스 신앙고백파 개혁파 교회 공동체는 블루덴츠, 브레겐츠, 도른비른, 펠트키르히에 있다.
6. 경제
포어아를베르크주의 경제는 오스트리아 평균보다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라인 계곡 지역은 높은 생활 수준을 자랑한다. 2018년 포어아를베르크주의 국내총생산(GDP)은 191억유로로 오스트리아 전체의 4.9%를 차지했다. 같은 해 구매력을 고려한 1인당 GDP는 43,000 유로로 EU27 평균의 143%에 달해 오스트리아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24]
포어아를베르크주는 2050년까지 에너지 자급자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28] 수력 발전이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일베르케(Illwerke AG)는 수력 발전을 통해 포어아를베르크 전력의 75%를 생산한다.[32]
6. 1. 산업
포어아를베르크주의 경제는 수년 동안 오스트리아 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성과를 보였다. 수출 비율은 약 66%로 오스트리아 주들 중 가장 높다. 2004년 오스트리아 전체 국내총생산(GDP)이 실질적으로 2.0% 증가한 반면, 포어아를베르크주는 2.9% 증가했다. 주요 교역국인 독일과 이탈리아의 경제 성적이 좋지 않았던 것을 고려하면 놀라운 결과였다. 이러한 견고한 경제 성과 덕분에 포어아를베르크주는 2014년 지역 총생산을 152억유로로 증가시켰다. 이는 명목상 3.4% 증가한 것이다(오스트리아 전체 +5.2% 비교).[23] 2018년 포어아를베르크주의 국내총생산(GDP)은 191억유로로 오스트리아 경제 생산량의 4.9%를 차지했다. 같은 해 구매력을 고려한 1인당 GDP는 43000EUR로 EU27 평균의 143%였다. 포어아를베르크주는 오스트리아에서 1인당 GDP가 세 번째로 높은 주이다.[24] 특히 포어아를베르크주 라인 계곡은 매우 높은 생활 수준을 가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알플라(Alpla)(플라스틱 포장)이며, 그 뒤를 블룸(Blum), 그라스(Grass), 게브뤼더 바이스(Gebrüder Weiss)(운송 및 물류), 춤토벨 그룹(Zumtobel Group)(조명 시스템), 도플마이어(Doppelmayr)(케이블카), 라우히(Rauch)(음료), 볼포드(Wolford)(섬유)가 잇고 있다.
포어아를베르크주에는 현재 5개의 양조장이 있다: 모렌 양조장 아우구스트 후버(Mohrenbrauerei August Huber)(도른비른, 1834년 설립),[25] 포렌부르크 양조장(Brauerei Fohrenburg)(블루덴츠, 1881년 설립),[26] 에그 양조장(Brauerei Egg)(에그, 1894년 설립), 포어아를베르거 브라우어라이게노센샤프트 – 프라스탄츠 양조장(Vorarlberger Brauereigenosschenschaft – Brauerei Frastanz)(프라스탄츠, 1902년 설립), 그라버 수드베르크(Grabhers Sudwerk)(브레겐츠, 2016년 설립).
전반적으로 포어아를베르크주의 경제 확장은 "매우 긍정적이며 미래를 다른 주들보다 더 역동적으로 평가된다".[27] 포어아를베르크주는 2050년까지 에너지 자급자족을 목표로 하고 있다.[28]
6. 2. 농업


포어아를베르크주에는 알프스 라인 계곡의 번영하는 섬유, 의류, 전자, 기계 및 포장재 산업 외에도 광범위한 농업 기반이 존재하며, 특히 유제품과 관광으로 유명한 브레겐츠발트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29]
3단계 이동 농업("Dreistufenwirtschaft")은 포어아르베르크 산악 지역 경제에 필수적이다. 이는 알파인 전이 목축(Alpine transhumance)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겨울철 계곡과 여름철 고산 목초지(pasture) 사이에서 방목하는 가축(livestock)의 계절적 몰이(droving)을 의미한다.[29]
알파인 전이 목축은 알프스의 치즈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가축이 천연 초지의 특별한 사료를 기반으로 고품질의 향긋한 우유, 소위 "하이밀히(Heumilch)"(건초 우유)를 생산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일리지(silage)와 비교된다. 치즈 생산에 건초 우유를 사용하면 포어아르베르크 알프카제(Vorarlberger Alpkäse), 포어아르베르크 베르카제(Vorarlberger Bergkäse), 그로스발저탈러 베르카제(Großwalsertaler Bergkäse), 수라 케스(Sura Kees)를 포함한 30가지 이상의 알프스 치즈의 독특한 풍미를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30]
지역 유제품 생산과 전통적인 농업 유산을 지원하고 보존하기 위해 1998년 브레겐체르발트 치즈길이 설립되었다. 이는 농부, 상인, 장인을 연결하는 조직이다. 치즈길을 따라 방문객들은 치즈 생산 과정을 관람하고 요리 시식에 참여할 수 있다.[30]
요들송(Yodel), 알프호른(Alphorn), 슈빙겐(Schwingen)과 같은 많은 문화적 습관이 이 기간 동안 발전했다. 이 계절적 유목민(nomad) 생활은 포어아르베르크에서 발견되는 풍부한 문화, 건축 및 자연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졌다. 이 지역 특유의 중요한 문화적 아이콘은 가을에 목초지에서 마을로 가축을 이동하는 축제이다. 이 전통은 특히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31]
6. 3. 에너지
포어아를베르크주는 2050년까지 에너지 자급자족을 목표로 하고 있다.[28] 에너지 부문은 포어아를베르크 경제의 기반 산업 중 하나이며, 수력 발전이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이는 주로 피크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포어아를베르크는 유럽에서 소비량보다 더 많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생산한 최초의 지역이었다. 따라서 포어아를베르크의 친환경 전력은 독일 서부 알가우(Westallgäu), 스위스, 그리고 다른 오스트리아 주들에도 판매된다. 포어아를베르크에서 가장 큰 전력 생산업체는 일베르케(Illwerke AG)이며, 주로 수력 발전을 통해 포어아를베르크 전력의 75%를 생산한다.[32]7. 교통
포어아를베르크주의 주요 교통 수단은 도로와 철도이다.
포어아를베르크 철도 노선은 주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북쪽으로는 독일까지 이어진다. 브레겐츠 남쪽에서는 스위스로 향하는 생트 마르그레텐-라우테라흐 노선과 연결된다. 펠트키르히에서는 리히텐슈타인과 스위스로 향하는 펠트키르히-부흐스 철도 노선과 만난다. 포어아르베르크 철도 노선의 남쪽 종착역은 블루덴츠이며, 이곳에서 티롤로 향하는 아를베르크 철도와 몬타폰 계곡의 슈룬스로 향하는 블루덴츠-슈룬스 철도(몬타포너반) 노선과 만난다. 이러한 노선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BB)가 소유 및 운영한다. 2023년 12월부터 WESTbahn도 빈 서역과 브레겐츠 사이를 운행한다. 지역 열차 서비스는 포어아르베르크 S-반이 제공하며, 일부 노선은 보덴제 S-반의 일부이기도 하다.
브레겐츠 숲 철도와 국제 라인 규제 철도 두개의 유산 철도 노선이 있다.
포어아를베르크에서 운영 중인 철도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알타흐 | 알텐슈타트 | 블루덴츠 |
블루덴츠-모스 | 브레겐츠 | 브레겐츠 하펜 |
브레겐츠 리덴부르크 | 브루넨펠트-슈탈레어 | 도른비른 |
도른비른-쇼렌 | 펠트키르히 | 펠트키르히 암베르크 |
프라스탄츠 | 기징엔 | 괴츠이스 |
하르트-푸사흐 | 하젤슈타우덴 | 하틀러도르프 |
호헨엠스 | 칼텐브루넨 | 클라우스 인 포어아르베르크 |
랑엔 암 아를베르크 | 라우테라흐 | 라우테라흐 운터펠트 |
로카우-허르브란츠 | 로룬스 | 루데슈 |
루스테나우 | 넨칭 | 뉘치더스 |
랑크바일 | 슐린스-베슐링 | 슈룬스 |
슈바르차흐 인 포어아르베르크 | 생트 안톤 임 몬타폰 | 줄츠-뢰티스 |
티시스 | 차군스 | 반단스 |
볼푸르트 |
아를베르크 철도 노선에는 브라츠, 달라스, 힌터가세, 클뢰스터레, 발트 암 아를베르크 5개의 운영이 중단된 철도역이 있다.
7. 1. 도로
포어아를베르크주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라인탈/발가우 고속도로(A14)가 통과한다. 이 도로는 호어브란츠 인근 오스트리아-독일 국경에서 분데스아우토반 96호선과 연결되며, 남쪽으로 알프스 라인 계곡을 따라 펠트키르히까지 이어진다. 그 후 남동쪽으로 일 강을 따라 블루덴츠까지 계속되며, 아를베르크 고속도로(S16)와 연결되어 티롤의 아를베르크를 넘는다. A14는 루스테나우/아우에서 오스트리아-스위스 국경을 넘는 도로를 통해 스위스의 A13 고속도로와 연결된다.7. 2. 철도
주요 노선은 포어아르베르크 철도 노선으로, 주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북쪽으로는 독일까지 이어진다. 브레겐츠 남쪽에서는 스위스로 향하는 생트 마르그레텐-라우테라흐 노선과 연결된다. 펠트키르히에서는 리히텐슈타인과 스위스로 향하는 펠트키르히-부흐스 철도 노선과 만난다. 포어아르베르크 철도 노선의 남쪽 종착역은 블루덴츠이며, 이곳에서 티롤로 향하는 아를베르크 철도와 몬타폰 계곡의 슈룬스로 향하는 블루덴츠-슈룬스 철도(몬타포너반) 노선과 만난다. 이러한 노선의 대부분은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BB)가 소유 및 운영한다. 2023년 12월부터 WESTbahn도 빈 서역과 브레겐츠 사이를 운행한다. 지역 열차 서비스는 포어아르베르크 S-반이 제공하며, 일부 노선은 보덴제 S-반의 일부이기도 하다.
또한, 유산 철도 노선 두 개가 있는데, 브레겐츠 숲 철도와 국제 라인 규제 철도가 그것이다.
다음은 포어아를베르크에서 운영 중인 철도역의 알파벳순 목록이다.
알타흐 | 알텐슈타트 | 블루덴츠 |
블루덴츠-모스 | 브레겐츠 | 브레겐츠 하펜 |
브레겐츠 리덴부르크 | 브루넨펠트-슈탈레어 | 도른비른 |
도른비른-쇼렌 | 펠트키르히 | 펠트키르히 암베르크 |
프라스탄츠 | 기징엔 | 괴츠이스 |
하르트-푸사흐 | 하젤슈타우덴 | 하틀러도르프 |
호헨엠스 | 칼텐브루넨 | 클라우스 인 포어아르베르크 |
랑엔 암 아를베르크 | 라우테라흐 | 라우테라흐 운터펠트 |
로카우-허르브란츠 | 로룬스 | 루데슈 |
루스테나우 | 넨칭 | 뉘치더스 |
랑크바일 | 슐린스-베슐링 | 슈룬스 |
슈바르차흐 인 포어아르베르크 | 생트 안톤 임 몬타폰 | 줄츠-뢰티스 |
티시스 | 차군스 | 반단스 |
볼푸르트 |
또한, 아를베르크 철도 노선에는 운영이 중단된 철도역 5개가 있는데, 브라츠, 달라스, 힌터가세, 클뢰스터레, 발트 암 아를베르크가 그것이다.
8. 문화
포어아를베르크주의 별명은 '작은 땅'이라는 뜻의 '렌틀레(Ländle)'이다. 이는 티롤 백작령에서 분리되려는 시도에서 유래되었으며, 1861년 포어아를베르크가 자체 주 의회를 가진 왕국령으로 승격되면서 티롤과의 분리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8] '포어아를베르크'라는 지명은 문자 그대로 '아를(Arl) 산 앞'이라는 뜻으로, 1218년부터 다양한 철자로 기록되었으며, 이 지역에 많은 아를 관목, 즉 구상나무에서 유래한다.[7]
8. 1. 전통 의상
포어아르베르크주에는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 의상("트라흐트(Tracht)")이 있다. 많은 계곡과 마을이 각기 특정 양식 시대의 특징을 지닌 자신들만의 의상을 가지고 있다. 브레겐츠발트 의상은 가장 오래된 것으로, 15세기/16세기에 유래했으며 "주페(d'Juppô)"(Juppeby)라고도 불린다. 몬타폰 의상은 바로크 시대에서 영감을 받았다. 트라흐트 한 벌은 "주페"(앞치마), 머리 장식(모자, 햇), 블라우스, "초파(Tschopa)"(자켓), 스타킹 등 여러 요소로 구성된다. 헤어스타일(예: 땋은 머리)도 트라흐트의 일부가 될 수 있다.1970년대에는 포어아르베르크 주민 중 트라흐트를 착용하는 사람이 매우 적었다. 그 이유는 트라흐트 착용자에 대한 엄격한 규정 때문이었다. 예를 들어, 짧은 머리의 브레겐츠발트 여성들은 적절한 헤어스타일("발더쩾페(Wälderzöpfe)")에 맞는 머리카락 길이가 아니기 때문에 트라흐트를 착용해서는 안 되었다.[59] 1990년대에 규정이 완화되고 의복이 개별화되면서 트라흐트 착용이 더욱 인기를 얻었다. 오늘날 전통 의상은 주로 축제 행사에서 착용된다. 리펜스베르크(Riefensberg)의 주펜베르크슈타트(Juppenwerkstatt Riefensberg)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으로 트라흐트를 제작하고 있다.[60][61] 포어아르베르크주의 트라흐트 착용 주민과 음악단을 지원하는 "전통 의상 착용자 협회"(Landestrachtenverband)가 있다.[62]
8. 2. 음식
인접 국가의 알레만 요리의 영향은 오스트리아 요리보다 포어아를베르크 요리에 더 많이 작용한다. 치즈와 기타 유제품은 전통적인 포어아를베르크 음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어아를베르크 지역의 대표적인 요리는 다음과 같다.[63]- '''케제슈페츨레('''Käsespätzle''')''' 또는 '''케스크뇌플레('''Käsknöpfle''')''': 치즈와 양파를 곁들인 밀가루와 계란 국수
- '''리벨('''Riebel''')''': 옥수수와 밀기울로 만든 요리, 매운 맛 또는 단 맛으로 제공
- '''플레들레주페('''Flädlesuppe''')''': 짭짤한 팬케이크 조각이 들어간 수프
- '''그룸파라 미트 케스('''Grumpara mit Käs''')''': 치즈가 들어간 파이
- '''외펠쿠아클레('''Öpfelküachle''')''': 팬케이크 반죽에 구운 사과, 설탕과 계피를 얹음
- '''모스트브뢰클레(Mostbröckle)''': 원래 스위스에서 온 절인 훈제 소시지로 매우 인기 있는 음식이다.[63]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 생산되는 치즈는 다음과 같다.
8. 3. 건축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는 문화, 관광, 레저를 위한 여러 공공 건물들이 국내외 건축상을 수상했다.[42]주요 건축물 |
---|
안젤리카 카우프만 박물관 (슈바르첸베르크) |
크룸바흐 버스 정류장 |
호숫가 축제 및 컨벤션 센터 |
히티사우 여성박물관, 소방서 및 문화센터 |
린드베르크 지오 트레일 |
이나투라 체험 박물관 |
이슬람 묘지 |
잘겐로이테 예배당 |
블루메네크 문화 파빌리온 |
브레겐츠 미술관 |
도른비른 전시장 9-12 |
몬트포르트하우스 |
프로프스타이 |
도른비른 공공 도서관 |
도른비른 실내 수영장 |
포어아를베르크 박물관 |
베르크라움하우스 |
포어아를베르크 건축 연구소(VAI)와 포어아를베르크 관광청은 "새로운 인상", "예술과 문화", "목재와 흙", "옛것과 새것", "재생된 마을", "건축과 풍경" 등 다양한 주제로 건축 트레일을 개발했다. 이 투어는 도시와 시골 지역을 방문하여 포어아를베르크의 건축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례는 기능적 혼합, 공간적 다양성, 형식적 급진성, 생태적 선견지명, 사회적 통합을 특징으로 한다.[111][112]
8. 4. 축제 및 행사
브레겐츠 페스티벌(Bregenzer Festspiele)은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이며, 1946년부터 오스트리아의 주요 문화 행사 중 하나이다. 매년 7월과 8월에 열리며, ''마술피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West Side Story)'', ''카르멘(Carmen)''과 같은 오페라와 뮤지컬 공연으로 매년 수십만 명의 관객을 끌어들인다. 특히 보덴 호수에 있는 인상적인 무대인 '제뷔네(Seebühne)'가 주목할 만하다.[66]브레겐츠 슐룽은 브레겐츠(Bregenz)에서 1987년부터 봄에 열리는 무용 축제이다.[67] 전 세계 무용단이 새로운 작품을 공연하고 오스트리아 초연도 선보이는데,[68] 매년 5개의 무용단이 공연한다.[67]
몬타폰 레조난젠(Montafoner Resonanzen)은 몬타폰(Montafon) 지역에서 열리는 음악 축제이다. 8월과 9월 주말마다 매년 개최되며, 매주 다른 장르(클래식, 재즈, 오스트리아 민속 음악, 오르간, 크로스오버)를 주제로 한다. 장소는 매년 바뀌는데, 투빙거 휘테(Tübinger Hütte, 2191m, 가슈른)나 파노라마가스토프 크리스트베르크(Panoramagasthof Kristberg)와 같이 특별한 장소에서 공연이 열려 관광객들은 하이킹과 식사를 공연과 함께 즐길 수 있다.[69][70]
풀바르 페스티벌(Poolbar Festival)은 펠트키르히에서 열리는 현대 음악 및 문화 축제이다. 7월과 8월 사이에 매년 열리며, 음악, 전시회, 시 낭송(poetry slam), 패션, 건축상 등을 특징으로 약 2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한다.[71]

슈바르첸베르크에서 매년 열리는 슈베르티아데(Schubertiade)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프란츠 슈베르트(Franz Schubert) 축제이다. 슈베르티아데는 프란츠 슈베르트 또는 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하며, 친구나 음악가들이 모여 전문가와 아마추어 수준에서 편안하게 음악을 연주하거나 낭송하는 비공식적인 모임이다. 최초의 슈베르티아데는 1976년 포어아르베르크주 호엔엠스(Hohenems)에서 열렸다.[72][73]
매년 8월, 블루덴츠(Bludenz)의 알피날레 단편영화제(Alpinale Short Film Festival)에서는 약 30편의 국제 단편 영화(short film)가 상영된다.[74]
클라인발저탈 문학축제는 강연, 워크숍, 시 낭송, 전시회로 구성된 문학 축제(literary festival)이며 가을에 열린다.[75][76]
빛 예술(light art) 축제인 리히트슈타트 펠트키르히(Lichtstadt Feldkirch)에서는 국제적인 예술가들이 펠트키르히 시를 빛나는 물체, 영상, 조각으로 채운다. 2018년에 열린 첫 번째 행사는 3만 명의 관람객을 유치했으며, 격년으로 개최된다.[77][78]
FAQ 브레겐츠발트(FAQ Bregenzerwald)는 축제 형식의 사회 포럼으로, 강연, 패널 토론, 콘서트, 가이드 투어, 요리 시음회를 통해 사회 문제를 광범위한 맥락에서 조명한다.[79]
몬트포르터 츠비셴퇴네(Montforter Zwischentöne)는 펠트키르히에서 1년에 세 번 열리는 학제 간 축제이다. 각 시리즈는 특정 주제를 기반으로 하며 음악, 시, 건축, 과학, 무용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여를 통해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예술적, 연출적으로 해석된다. 이 축제는 현장에서 사회적, 개인적 발전 문제를 다루고 도시 및 지역 개발에 대한 자극을 제공한다.[80][81]
탄츠카페 아를베르크(Tanzcafé Arlberg)는 봄에 2주 동안 레히/추어스(Zürs)의 스키 헛에서 열리는 일련의 콘서트이다. 스키 슬로프 옆에서 팝, 스윙, 록앤롤, 스카 등 다양한 장르의 라이브 음악을 제공하여 스키어들을 즐겁게 하며, 린디 홉(Lindy Hop) 워크숍도 포함된다.[82][83]
베자우 비츠(Bezau Beatz)는 2008년부터 8월에 베자우에서 열리는 음악 축제이다.[84][85][86]
블루덴츠 현대음악제는 1988년에 설립된 블루덴츠(Bludenz)의 현대 음악 축제이다.[87] 이 축제의 목표는 블루덴츠에서 현대 음악을 들려주는 것이다.[88]
이 외에도 포어아르베르크주는 공중 보건 행사인 메디치니쿰 레히(Medicinicum Lech), 문학 축제인 리테라리쿰 레히(Literaricum Lech), 연례 학제 간 심포지엄인 필로소피쿰 레히(Philosophicum Lech), 펠트키르히의 디자인 박람회 및 축제인 POTENTIALe 등 다양한 박람회, 컨벤션, 전시회를 개최한다.[89][90]
8. 5. 박물관
브레겐츠 미술관(Kunsthaus Bregenz), 포어아르베르크 박물관(vorarlberg museum), 도른비른에 있는 이네이투라(inatura)(대화형 자연 모험 쇼 및 자연사 박물관) 그리고 호헨엠스 유대인 박물관(Jewish Museum of Hohenems)은 포어아르베르크주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박물관이다.[91][92]규모가 더 작은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 슈바르첸베르크에 있는 안젤리카 카우프만 박물관(Angelika Kauffmann Museum)
- 히티자우 여성 박물관(Hittisau Women's Museum)
- 도른비른에 있는 롤스로이스 박물관(Rolls-Royce Museum)과 모렌 비어어르레브니스벨트(Mohren Biererlebniswelt)
- 에크에 있는 에크 박물관(Egg Museum)
- 전통 여성 의복 제조업체인 유펜베르크슈타트 리펜스베르크(Juppenwerkstatt Riefensberg)
- 쇼퍼나우(Schoppernau)에 있는 펠더 박물관
- 샤텐부르크(Schattenburg) 박물관
- 베자우 향토 박물관(Heimatmuseum Bezau)[91][92]
벨더뱌닐레(Wälderbähnle) 또는 브레겐츠발트 박물관 철도는 오늘날 슈바르첸베르크와 베자우(Bezau)를 그림 같은 알프스 풍경 속에서 연결하는 협궤 유산 철도이다.[93] 알프스 라인의 직선화에 사용되었던 국제 라인 규제 철도는 오늘날 유산 철도이기도 하다.
포어아르베르크 박물관 목록(List of museums in Vorarlberg)에서 개요를 참조할 수 있다.

9. 스포츠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는 다양한 스포츠가 활성화되어 있다. 특히 겨울에는 스키, 스노보드 등 동계 스포츠가, 여름에는 하이킹, 산악자전거 등 하계 스포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
주요 스포츠 행사로는 하이포-미팅, 몬타폰-아를베르크 마라톤, 세계 체조 페스티벌 등이 있다.
이 지역 출신 스포츠 선수로는 빌트루트 드렉셀(알파인 스키 선수), 마르크 지라르델리(알파인 스키 선수), 카타리나 린스베르거(알파인 스키 선수), 크리스티네 샤이어(알파인 스키 선수), 아니타 바흐터(알파인 스키 선수) 등이 있다.
9. 1. 동계 스포츠
포어아를베르크는 겨울철 관광지로 유명하며, 많은 주민들이 관광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관광 산업 종사자는 약 1만 2천 명으로, 전체 고용 인구의 약 11%를 차지한다. 겨울철 숙박일수는 511만 일로 여름철 370만 일보다 훨씬 많아 겨울 스포츠의 중심지임을 알 수 있다.[39]
포어아를베르크주에는 산악 지대와 다양한 스키 리조트가 있어 겨울 스포츠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라이딩, 스노보드, 아이스 스케이팅, 썰매 개 썰매, 마차 타기, 썰매 타기, 눈놀이, 테라인 파크 등 다양한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43]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 가장 큰 스키 리조트는 다음과 같다.[44][45]
스키 리조트 |
---|
스키 아를베르크 |
슈투벤 암 아를베르크 |
레흐-추어스 및 오버레흐 |
바르트 및 슈뢰켄 |
실브레타 몬타폰 |
클라인발저탈 |
브란트너탈 |
다뮐스-멜라우 |
디에담스코프프 |
그로세 발저탈/폰타넬라-파시나 |
클로스터탈 |
실브레타 몬타폰과 스키 아를베르크(일부는 티롤에 위치)는 포어아를베르크에서 가장 큰 두 개의 스키 지역이다. 특히 스키 아를베르크는 2016/17 시즌부터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큰 연결된 스키 지역으로, 305km의 슬로프와 111개의 리프트를 제공하며, 레흐, 추어스, 오버레흐, 바르트, 슈뢰켄, 슈투벤, 생탄톤(티롤 소재)과 생트크리스토프를 포함한다.[46]
레흐와 추어스는 고급스러움과 사치스러움으로 유명하여, 네덜란드 왕실을 비롯한 많은 저명인사들이 찾는 곳이다.[47][48] 레흐에서 추어스까지 이어지는 유명한 스키 경주로인 ''데어 바이세 링''('화이트 링')은 22km 길이의 고리 모양 트랙으로, 어려운 코스로 알려져 있다.[49]
''스키 라이드 포어아를베르크''는 포어아를베르크를 가로지르는 스키, 투어링, 프리라이딩 코스로, 클라인발저탈에서 시작하여 브레겐츠 숲을 지나 아를베르크와 클로스터탈을 넘어 몬타폰 계곡까지 이어진다. 가이드 투어는 보통 7일 정도 소요되며, 숙련된 스키어를 대상으로 한다.[50][51]
다뮐스-멜라우는 2007년 '세계에서 가장 눈이 많이 오는 마을'로 선정될 정도로 눈이 많이 오는 지역이다.[52] 겨울철 평균 적설량은 약 9.3m였다.[53]
이 지역 출신의 유명 스키 선수로는 아니타 바흐터, 에곤 짐머만, 게르하르트 네닝, 마리오 라이터, 후베르트 스트롤츠, 하네스 슈나이더 등이 있으며, 스키 점프 선수로는 토니 이나우어가 있다.[15]
화이트 링은 스키 아를베르크 스키 지역에서 열리는 스키 경주로, 2009년 기네스 세계 기록에 22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스키 지역으로 등재되었다.[113] 5개의 활강 코스, 6개의 리프트, 크로스컨트리 트레일로 구성되어 있다.[114]
2012/13 시즌부터 매년 12월 몬타폰 계곡에서 FIS 스노보드 월드컵의 일환으로 SBX 월드컵 몬타폰이 개최되고 있다. 경주는 실브레타 몬타폰 스키 지역의 호흐요흐 정상 바로 아래에서 시작하여 케이블카 산악 역 근처에서 끝나며, 출발점과 도착점의 고도 차이는 약 200m이다.[115][116]
2017년부터 오픈 페이스 프리라이드 콘테스트가 열리고 있으며, 가장 최근 대회는 2022년 2월 24일부터 27일까지 실브레타 몬타폰 스키 지역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2022 시즌의 첫 번째 4성급 예선이었으며, 프리라이드 슬로프의 길이는 450m, 수직낙차는 350m, 최대 경사도는 60°이다.[117][118]
9. 2. 하계 스포츠
여름에는 하이킹, 산악 자전거, 등반, 트레일 러닝과 같은 산악 스포츠가 포어아를베르크주 관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어아를베르크주에는 경험이 많은 하이커와 초보 하이커 모두를 위한 다양한 고도의 5,500킬로미터가 넘는 하이킹 코스가 있다. 많은 스키장에서는 여름에도 케이블카를 운영하여 등산객들에게 이상적인 장소가 된다.[54]
포어아를베르크주 전역에서는 미식 하이킹, 허브 산책, 어린이를 위한 교육 하이킹, 야간 하이킹 등 다양한 테마 하이킹이 제공된다. 레티콘 산맥의 몽타폰 문화 경관을 가로지르는 "가우어털러 알프쿨투어" 테마 루트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도보 여행 코스이다. 보덴 호수는 하이커, 순례자, 어부, 조류 관찰자들에게 중심지이다. 오랫동안 보덴 호수는 보덴 호수 산책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일부, 그리고 유럽 하이킹 루트 E1, E4, E5를 포함한 중요한 순례길의 기준점 역할을 해왔다.[55][56]
약 1,500킬로미터의 표지된 산악 자전거 트레일을 제공하는 포어아를베르크주는 모든 수준의 사이클리스트를 유치한다. 브란트너탈과 클로스터탈에서는 가이드 산악 자전거 투어가 진행된다. 브레겐츠발트 자전거 학교는 자전거 캠프, 기술 강좌, 경주용 자전거 투어 등 다양한 자전거 관련 활동을 제공한다.[57]
포어아를베르크 순환 하이킹 트레일("Min Weag" - 나의 트레일/길)은 6개 지역의 다양한 문화 및 자연 공간을 제공한다. 고도 프로필은 브레겐츠발트의 구릉지대부터 실브레타와 레티콘의 고산 지대까지 다양하다. 이 트레일은 조 메즐러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포어아를베르크 관광청이 현지 산악 가이드 마르쿠스 무스브루거, 하노 됭츠, 헬무트 뒤링거와 협력하여 개발했다.[58]
9. 3. 주요 스포츠 행사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스포츠 행사가 열린다.- 화이트 링: 스키 아를베르크 스키 지역에서 열리는 스키 경주이다. 2009년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22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스키 지역이다.[113] 5개의 활강 코스, 6개의 리프트, 크로스컨트리 트레일로 구성된다.[114]
- SBX 월드컵 몬타폰: FIS 스노보드 월드컵의 일환으로 매년 12월 몬타폰 계곡에서 열린다. 경주는 실브레타 몬타폰 스키 지역에서 진행된다.[115][116]
- 오픈 페이스 프리라이드 콘테스트: 2017년에 처음 열렸으며, 가장 최근 대회는 2022년 2월 실브레타 몬타폰 스키 지역에서 개최되었다.[117][118]
- 하이포-미팅: 매년 5월/6월 괴치스의 Mösle 경기장에서 열리는 육상 경기 대회이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주최한다.[119]
- 몬타폰-아를베르크 마라톤: 유럽 보호 지역인 페르발에서 열리는 산악 마라톤이다.[120]
- 세계 체조 페스티벌: 2007년[121]과 2019년[121] 도른비른에서 개최되었다.
10. 유명 인물
다음은 포어아를베르크주 출신의 저명한 인물들이다.[122][123]
이름 | 출생-사망 | 설명 |
---|---|---|
![]() | 1357-1423 | 오스트리아 음유시인 |
프란츠 안톤 베어 | 1688-1749 | 바로크 건축가 |
로렌츠 뵈러 | 1885-1973 | 외과의 |
프란츠 미하엘 펠더 | 1839-1869 | 작가, 농부, 사회 개혁가 |
아르투어 도플마이어 | 1922-2017 | 기업가이자 케이블카 선구자 (도플마이어 참조) |
미하엘 쾰마이어 | 1949년생 | 작가 |
한스 바이스(작가) | 1950년생 | 작가, 언론인 |
한스-요르크 셸링 | 1953년생 | ÖVP 정치인이자 오스트리아 재무부 장관(2014-2017) |
슈테판 자그마이스터 | 1962년생 |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타이포그래퍼 |
인그리드 투른허 | 1962년생 | ORF 앵커우먼 |
파트릭 오르틀리프 | 1967년생 | 알파인 스키 선수이자 국회의원(자유당 (FPÖ), 1999-2002) |
마티아스 스트롤츠 | 1973년생 | NEOS 정치인(2013-2018) |
참조
[1]
웹사이트
Basisdaten Bundesländer
http://wko.at/statis[...]
2023-09-01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https://hdi.globalda[...]
Global Data Lab
2018-09-13
[3]
백과사전
Vorarlberg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4]
사전
Vorarlberg
2021-09-04
[5]
웹사이트
Vorarlberg Bevölkerung, Einwohner, Fläche
http://bevoelkerung.[...]
2019-02-08
[6]
웹사이트
Daten und Fakten
https://www.waldvere[...]
Waldverein
2020-07-30
[7]
웹사이트
Geschichte der Arlberg-Region in Österreich
http://www.arlberg-p[...]
2020-07-30
[8]
웹사이트
War Vorarlberg immer schon ein "Ländle"?
https://themavorarlb[...]
2016-05-07
[9]
웹사이트
Kurz gesagt
https://www.grossesw[...]
2022-05-11
[10]
뉴스
Biosphere Park Concept
http://www.grosseswa[...]
2018-08-13
[11]
웹사이트
Kurz gesagt
https://www.grossesw[...]
2022-05-11
[12]
뉴스
Naturpark Nagelfluhkette
https://www.bregenze[...]
2022-08-20
[13]
웹사이트
Naturpark Nagelfluhkette
https://web.archive.[...]
2022-08-20
[14]
서적
Geographia
[15]
웹사이트
Dictionary, Encyclopedia and Thesaurus - The Free Dictionary
https://www.thefreed[...]
[16]
백과사전
History of Austria
Encyclopædia Britannica
1982
[17]
뉴스
The 'Kanton Übrig' – Switzerland's 'leftover' Canton
https://blog.nationa[...]
Swiss National Museum
2019-05-00
[18]
웹사이트
C2D – Centre d'études et de documentation sur la démocratie directe
https://web.archive.[...]
2007-02-27
[19]
웹사이트
Historic Censuses - STATISTICS AUSTRIA
https://www.statisti[...]
Statistics Austria
[20]
웹사이트
Bevölkerungsstand Verwaltungszählung
https://vorarlberg.a[...]
2019-02-08
[21]
웹사이트
Religious Affiliations in Austria at the Provincial Level: Estimates for Vorarlberg, 2001-2018
https://www.oeaw.ac.[...]
2023-01-06
[22]
웹사이트
Bevölkerung 2021 nach ausgewählter Religion bzw. Kirche und Religionsgesellschaft und Bundesland
https://www.statisti[...]
Statistics Austria
2022-07-17
[23]
웹사이트
Vorarlberg in Figures 2016 Edition
https://web.archive.[...]
2017-02-24
[24]
웹사이트
Regional GDP per capita ranged from 30% to 263% of the EU average in 2018
https://ec.europa.eu[...]
[25]
웹사이트
Mohrenbrauerei – Baujahr 2017{{!}} Dornbirn/Österreich
https://tvthek.orf.a[...]
2019-09-13
[26]
웹사이트
– Brauerei Fohrenburg GmbH & CO KGLehre im Walgau
https://www.lehre-im[...]
2020-08-02
[27]
웹사이트
Leitbild 2010+ / Wirtschaft / Vorarlberg
https://web.archive.[...]
2018-08-14
[28]
웹사이트
Living Space Vorarlberg
https://www.vorarlbe[...]
2024-07-31
[29]
웹사이트
Bregenzerwald (Bregenz Forest)
https://whc.unesco.o[...]
2021-04-01
[30]
뉴스
KäseStrasse Bregenzerwald
https://www.vorarlbe[...]
2021-04-01
[31]
뉴스
Montafoner Maisäß – Teil 1
https://huetten.wand[...]
2014-04-08
[32]
웹사이트
Vorarlberger Illwerke AG
https://www.illwerke[...]
2018-08-14
[33]
웹사이트
FH Vorarlberg –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https://www.fhv.at/e[...]
2019-02-08
[34]
웹사이트
Top Universities in Austria {{!}} 2019 Austrian University Ranking
https://www.4icu.org[...]
2019-02-08
[35]
웹사이트
PH Vorarlberg: Profil und Geschichte
https://www.ph-vorar[...]
[36]
웹사이트
PH Vorarlberg: Studium
https://www.ph-vorar[...]
[37]
웹사이트
PH Vorarlberg: Praxisschulen
https://www.ph-vorar[...]
[38]
웹사이트
Short information in english
https://v-a-i.at/ueb[...]
2023-09-30
[39]
웹사이트
Vorarlberg in Figures 2016 Edition
https://web.archive.[...]
2017-02-24
[40]
웹사이트
Urlaub + Architektur
https://www.vorarlbe[...]
2023-09-30
[41]
웹사이트
Vacation + Architecture
https://www.vorarlbe[...]
[42]
웹사이트
Ausgezeichnete Architektur für Kultur und Tourismus
https://www.vorarlbe[...]
2023-09-30
[43]
웹사이트
Ski Holidays in the Alpenregion Vorarlberg
https://www.vorarlbe[...]
2019-07-08
[44]
웹사이트
Berffex: Top ski resorts Vorarlberg: Ski resort test Vorarlberg – Ski resort comparison
https://www.bergfex.[...]
2019-07-08
[45]
웹사이트
Ski areas in Vorarlberg – Ski resorts from 1,400 m to 2,400 m elevation – Winter Holidays in Vorarlberg Austria
https://www.vorarlbe[...]
2019-07-08
[46]
웹사이트
Ski Arlberg
https://www.vorarlbe[...]
2019-07-08
[47]
웹사이트
Lech ist in Vorarlberg der Promi-Hotspot
https://www.vol.at/l[...]
2017-01-06
[48]
웹사이트
Hotel Post Lech – koninklijke familie jaarlijks eregast
https://web.archive.[...]
2019-07-08
[49]
웹사이트
The White Ring
https://www.skiarlbe[...]
[50]
웹사이트
Auf Skiern quer durch Vorarlberg
https://web.archive.[...]
2018-11-03
[51]
웹사이트
Ski Ride Vorarlberg
https://www.vorarlbe[...]
[52]
웹사이트
Skiresort Damuels Mellau Faschina {{!}} Snowiest village in the world
https://www.damuels.[...]
2019-07-08
[53]
웹사이트
The Village of Damüls {{!}} The Villages {{!}} REGION
https://www.damuels.[...]
2019-07-08
[54]
웹사이트
Chancenland Vorarlberg. Location Brochur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Vorarlberg, Its Economy, Companies, Culture, Sports, and Lifestyle. 2018/2019
https://web.archive.[...]
2019-08-01
[55]
뉴스
Vorarlberg – best suggestions for hiking and enjoying nature in Austria
https://www.vorarlbe[...]
2018-08-13
[56]
웹사이트
9 breathtaking walking trails in Vorarlberg, Austria
https://www.wanderlu[...]
2016-02-18
[57]
웹사이트
Mountainbiking, Bike Tours, Bike Trails and Parks – Holidays in Vorarlberg
https://www.vorarlbe[...]
2019-08-01
[58]
웹사이트
Min Weag - Der Vorarlberg-Rundwanderweg
https://www.vorarlbe[...]
2023-09-30
[59]
웹사이트
Erhaben und aufrecht, verspielt und gewagt
https://www.bregenze[...]
2021-08-07
[60]
웹사이트
Bregenzerwälder Tracht – Tourismus Schwarzenberg
https://www.schwarze[...]
2018-07-19
[61]
웹사이트
Regionalentwicklung Vorarlberg
https://www.regio-v.[...]
2021-08-07
[62]
웹사이트
Vorarlberger Landestrachtenverband: Welcome
http://www.trachtenv[...]
2018-08-13
[63]
뉴스
Vorarlberg recipes
https://www.vorarlbe[...]
2018-08-13
[64]
웹사이트
Vorarlberger Alpkäse g.U.
https://info.bml.gv.[...]
2022-07-25
[65]
뉴스
Cheese specialities from Vorarlberg – A mini study of cheeses
https://www.vorarlbe[...]
2018-08-13
[66]
웹사이트
Bregenz Festival {{!}} 18 July to 20 August 2018
https://bregenzerfes[...]
2018-08-13
[67]
웹사이트
kultur-online – Bregenzer Frühling 2021
https://web.archive.[...]
2021-02-27
[68]
웹사이트
Tanzfestival Bregenzer Frühling – Festspielhaus Bregenz, Vorarlberg
https://www.vorarlbe[...]
2021-08-08
[69]
웹사이트
Montafoner Resonanzen 2021
https://www.montafon[...]
2021-05-24
[70]
웹사이트
kultur-online – Jazz auf der Schutzhütte
https://web.archive.[...]
2018-08-10
[71]
웹사이트
poolbar.at
http://poolbar.at/
2018-08-13
[72]
웹사이트
Schubertiade –Announcements
https://web.archive.[...]
2018-08-13
[73]
웹사이트
Schubertiade – Über uns > Geschichte > Schubertiade-Chronik > Chronik
https://www.schubert[...]
2022-07-25
[74]
웹사이트
Alpinale kehrt nach Bludenz zurück
https://vorarlberg.o[...]
2020-06-29
[75]
웹사이트
Literaturfest Kleinwalsertal
http://www.literatur[...]
2020-07-30
[76]
웹사이트
Medicinicum Lech {{!}} arlberg.com
https://web.archive.[...]
2020-07-30
[77]
웹사이트
Lichtstadt Feldkirch – das neue Lichtkunstfestival im Oktober
https://www.vorarlbe[...]
2020-09-08
[78]
웹사이트
"Lichtstadt Feldkirch" auf Oktober 2021 verschoben
https://web.archive.[...]
2020-09-08
[79]
웹사이트
Das FAQ
https://web.archive.[...]
2021-07-24
[80]
웹사이트
Über
https://www.montfort[...]
2021-08-08
[81]
웹사이트
Montforter Zwischentöne
https://www.bodensee[...]
2021-08-08
[82]
웹사이트
Tanzcafé Arlberg Music Festival
https://www.vorarlbe[...]
2021-06-16
[83]
웹사이트
Tanzcafé Arlberg – Musikfestival
https://www.lechzuer[...]
2021-06-16
[84]
웹사이트
Bezau Beatz – Bezau im Bregenzerwald
https://www.bezau.at[...]
2021-08-07
[85]
웹사이트
BEZAU BEATZ
http://www.bezaubeat[...]
2021-08-07
[86]
웹사이트
Festival "Bezau Beatz"
https://www.bezau-br[...]
2021-08-07
[87]
웹사이트
Bludenzer Tage zeitgemäßer Musik (2014) – Leaflet
http://claraiannotta[...]
2021-08-08
[88]
웹사이트
Bludenzer Tage zeitgemäßer Musik 2021 / Remise, Bludenz » CREATIVE AUSTRIA – Contemporary Culture
https://www.creative[...]
2021-08-08
[89]
웹사이트
POTENTIALe Messe & Festival 2020
https://www.messen.d[...]
2020-07-30
[90]
웹사이트
Philosophicum Lech – Modern Philosophical Exchange – Aurora
https://www.aurora-l[...]
2020-09-08
[91]
웹사이트
Museen {{!}} Museen in Vorarlberg
http://www.vorarlber[...]
2019-05-01
[92]
웹사이트
Museums and Exhibitions – eine Übersicht der Museen in Vorarlberg
https://www.vorarlbe[...]
2019-05-01
[93]
웹사이트
Strecke {{!}} Bezau – Schwarzenberg und zurück
https://waelderbaehn[...]
Bregenzerwaldbahn-Museumsbahn Betriebsgesellschaft mbH
[94]
웹사이트
Zunftverein Au
https://www.gemeinde[...]
2022-07-25
[95]
웹사이트
Von "Akurat" bis "Dornbirn plus" – alle ehren die Barockbaumeister — Zeitschrift fur Kultur und Gesellschaft
https://www.kulturze[...]
2022-07-25
[96]
웹사이트
Vorarlberger Bauschule
https://deu.archinfo[...]
2018-08-11
[97]
웹사이트
Gemeinde AU: Im Überblick
http://www.gemeinde-[...]
2018-08-11
[98]
뉴스
Designer Hotels Modern Architecture – Vorarlberg Tourism, Austria
http://www.austria-h[...]
2017-02-24
[99]
웹사이트
Mein Österreich – Das Bregenzerwaldhaus
https://www.mein-oes[...]
2022-05-12
[100]
웹사이트
Jugendstilbauten in Vorarlberg
https://www.austria.[...]
2019-09-16
[101]
서적
Sustainable Architecture in Vorarlberg: Energy Concepts and Construction Systems
Birkhäuser
[102]
웹사이트
vai
https://v-a-i.at/
2018-08-11
[103]
웹사이트
Architektur / vorarlberg museum
https://www.vorarlbe[...]
2022-07-25
[104]
웹사이트
Kunsthaus Bregenz
https://web.archive.[...]
2022-07-25
[105]
웹사이트
LCT ONE – LifeCycle Tower, Dornbirn {{!}} Architekten Hermann Kaufmann ZT GmbH
https://www.hkarchit[...]
2018-08-11
[106]
웹사이트
Der Staatspreis PR 2014 geht an BUS:STOP Krumbach – PRVA Public Relations Verband Austria
https://prva.at/news[...]
2018-06-26
[107]
웹사이트
Skyspace Lech • Skyspace Lech
https://www.skyspace[...]
2019-04-09
[108]
뉴스
Montforthaus Feldkirch HASCHER JEHLE Architektur
https://archello.com[...]
2022-05-20
[109]
웹사이트
Werkraum Bregenzerwald – Werkraum
http://werkraum.at/w[...]
2021-03-08
[110]
뉴스
Getting Things Done: Exhibition description
http://www.gettingth[...]
2018-06-26
[111]
뉴스
Vorarlberg, Austria: Art, Architecture and the Culture of Craftsmanship
https://www.borderso[...]
2018-08-11
[112]
웹사이트
7 recommended individual architecture trails in Vorarlberg
https://www.vorarlbe[...]
2021-03-08
[113]
웹사이트
Die Legende: Weißer Ring
https://www.vol.at/d[...]
2022-05-05
[114]
웹사이트
Der Weiße Ring skiarlberg.at
https://www.skiarlbe[...]
2022-05-05
[115]
웹사이트
Weltcup Montafon im Dezember 2019
https://www.montafon[...]
2019-03-24
[116]
웹사이트
Weltcup in Montafon – The world's top-ranking ski- and snowboard-crossathletes
https://www.vorarlbe[...]
2019-03-24
[117]
웹사이트
Archiv
https://www.open-fac[...]
2022-05-05
[118]
웹사이트
4* FWQ Silvretta-Montafon
https://www.open-fac[...]
2022-04-28
[119]
웹사이트
Founding History
https://meeting-goet[...]
2019-08-01
[120]
웹사이트
Montafon Arlberg Marathon 2021 – Der Berglauf in Vorarlberg und Tirol!
https://www.montafon[...]
2021-08-07
[121]
웹사이트
16th WORLD GYMNAESTRADA 2019 Dornbirn Vorarlberg Austria
https://www.wg2019.a[...]
2020-04-30
[122]
웹사이트
Vorarlberger Persönlichkeiten
https://www.vorarlbe[...]
2022-05-05
[123]
웹사이트
Prominente Vorarlberger: ''An Eigensinn mangelt es uns nicht''
https://www.diepress[...]
2022-05-05
[124]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1
[125]
문서
フォアアールベルク州の説明
[126]
문서
レンドレの説明
[127]
서적
オーストリア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
[128]
뉴스
Leichter Rückgang bei Kirchenaustritten
http://vorarlberg.or[...]
2016-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