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세관성 산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세관성 산증은 신장의 세뇨관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액의 산-염기 균형과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는 발생 부위와 기전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1형(원위 세뇨관성 산증), 2형(근위 세뇨관성 산증), 4형(고칼륨혈증성 세뇨관성 산증) 등이 있다. 요세관성 산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소변 pH 검사,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는 탄산수소나트륨이나 구연산나트륨 투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장 비뇨기 질환 - 신장염
    신장염은 콩팥에 발생한 염증으로, 자가면역질환, 요로감염, 루푸스, 격렬한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혈뇨, 핍뇨, 요독증, 고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 X레이, 초음파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
  • 신장 비뇨기 질환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요세관성 산증
질병 개요
분야신장학
증상해당 정보 없음
합병증해당 정보 없음
발병 시기해당 정보 없음
지속 기간해당 정보 없음
유형해당 정보 없음
원인해당 정보 없음
위험 요소해당 정보 없음
진단해당 정보 없음
감별 진단해당 정보 없음
예방해당 정보 없음
치료해당 정보 없음
약물해당 정보 없음
예후해당 정보 없음
빈도해당 정보 없음
사망해당 정보 없음
메쉬 아이디 (MeSH ID)D000141
메쉬 이름 (MeSH Name)Acidosis, Renal Tubular
유전 질환 리뷰 아이디 (GeneReviewsID)해당 정보 없음
유전 질환 리뷰 이름 (GeneReviewsName)해당 정보 없음
KEGG해당 정보 없음
식별
ICD-10N25.8
ICD-9해당 정보 없음
ICD-O해당 정보 없음
OMIM해당 정보 없음
질병 데이터베이스 (DiseasesDB)해당 정보 없음
메들라인플러스 (MedlinePlus)000493
eMedicine 주제해당 정보 없음
eMedicine 토픽해당 정보 없음
기타
동의어해당 정보 없음
양측 신석회화
원위 세뇨관성 산증에서 보이는 양측 신석회화

2. 유형

요세관성 산증(Renal Tubular Acidosis, RTA)은 발생 부위와 기전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크게 신장의 세뇨관 부위에 따라 근위 세뇨관성 산증과 원위 세뇨관성 산증으로 나뉘며, 발병 시기에 따라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제1형, 제2형, 제4형으로 분류하며, 제3형은 현재 잘 사용되지 않는다.


  • 제1형: 원위 세뇨관성 산증(dRTA)이라고도 하며, 원위 세뇨관에서 수소 이온(H+) 배설 장애가 원인이다. RTA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 제2형: 근위 세뇨관성 산증(pRTA)이라고도 하며, 근위 세뇨관에서 중탄산 이온(HCO3) 재흡수 능력 저하가 원인이다.
  • 제4형: 알도스테론 결핍 또는 작용 부전으로 인해 원위 세뇨관에서 칼륨(K+)과 수소 이온(H+) 배설 장애가 발생하며, 고칼륨혈증을 동반한다.
  • 제3형: 과거에는 제1형 RTA의 중증 형태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 분류이다.


아래는 제1형, 제2형, 제4형의 주요 특징을 요약한 표이다. (제3형은 현대 분류에서 일반적으로 제외된다)

요세관성 산증 유형별 비교
유형제1형 (원위)제2형 (근위)제4형
위치집합관, 원위 세뇨관근위 세뇨관부신 (알도스테론 관련)
산혈증예 (매우 심각)경미하거나 없음
칼륨저칼륨혈증저칼륨혈증고칼륨혈증
병태생리학알파 삽입 세포의 H+ 분비 및 K+ 재흡수 실패근위 세뇨관 세포의 HCO3 재흡수 실패알도스테론 결핍 또는 효과에 대한 저항 (저알도스테론증 또는 가성저알도스테론증)
유병률/발생률인구 100만 명당 46명[3]상염색체 우성: 1가족 보고됨[4]


2. 1. 제1형: 말단 (원위) 세뇨관성 산증

원위 세뇨관 산증(dRTA)은 요세관성 산증(RTA)의 전형적인 형태로, 처음으로 기술된 유형이다.[1] 이는 신장의 원위 네프론에 위치한 수질 집합관의 알파 삽입 세포가 네프론 내부로 수소 이온(H+)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산 분비 능력의 저하는 소변의 pH를 5.3 미만으로 낮추기 어렵게 만들어 산혈증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신장은 체내의 H+를 제거하는 주요 경로이기 때문이다. 또한, 알파 삽입 세포는 H+를 분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칼륨(K+) 이온을 재흡수하지도 못하여 저칼륨혈증을 함께 유발한다.[1]

dRTA의 주요 임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1]

심한 경우에는 아미노산뇨증이나 고암모니아혈증으로 증상이 진행될 수도 있다.[7]

dRTA는 유전적 원인(1차성) 또는 후천적 원인(2차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서구 국가에서는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RTA 형태이다.[1]

  • 1차성(유전성) dRTA: 주로 소아기에 발병하며, 원위 세뇨관에서 소변 산성화를 담당하는 단백질의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관련된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라 발병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TP6V1B1'' 또는 ''ATP6V0A4''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생후 첫 해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SLC4A1''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에는 약 10세 경으로 발병이 지연될 수 있다.[6] 소아 환자는 주로 생후 수개월 동안 성장 부전으로 나타나며, 다뇨증, 다음증, 변비, 설사, 탈수, 식욕 부진 등 다양한 위장 및 비뇨기 증상을 보일 수 있다.[10]
  • 2차성(후천성) dRTA: 주로 성인에게서 나타나며, 쇼그렌 증후군이나 전신성 홍반 루푸스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9] 또는 특정 약물 및 독소 노출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경우, 명백한 저칼륨성 주기성 마비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흔하다.[8]


dRTA의 유병률은 인구 100만 명당 약 46명으로 추정된다.[3]

2. 2. 제2형: 근위 세뇨관성 산증

방사선 사진은 근위 세뇨관성 산증(RTA)의 합병증인 구루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의 다리를 보여준다.


제2형 요세관성 산증(Renal Tubular Acidosis, RTA)은 근위 세뇨관성 산증(proximal RTA, pRTA)으로도 불린다. 이는 소변으로 여과된 중탄산염(HCO3-)을 재흡수하는 근위 세뇨관 세포의 기능 장애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소변으로 중탄산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결과적으로 산혈증이 나타난다.[11]

정상 상태에서 근위 세뇨관은 여과된 중탄산염의 80-90%를 재흡수한다.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체내 완충 능력이 감소하여 대사성 산증으로 이어진다.[11] 하지만 원위 세뇨관의 기능은 정상이어서, α-끼워넣은 세포가 수소 이온(H+)을 분비하여 소변의 pH를 5.3 미만으로 산성화시킬 수 있다.[12] 따라서 원위 세뇨관성 산증(제1형 RTA)보다는 덜 심각한 산증을 보인다.[12] 혈중 칼륨 농도는 저칼륨혈증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근위 세뇨관성 산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때로는 단독적인 결함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흔히 판코니 증후군이라 불리는 근위 세뇨관 세포의 전반적인 기능 장애와 동반된다. 판코니 증후군은 중탄산염 소실 외에도 인산뇨증(인산염 소실), 당뇨(포도당 소실), 아미노산뇨증(아미노산 소실), 요산뇨증(요산 소실), 세뇨관성 단백뇨 등을 특징으로 한다. 판코니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인산염 소실은 뼈의 탈회(미네랄 감소)를 유발하여 성인에게는 골연화증, 어린이에게는 구루병을 일으킬 수 있다.

유전성 근위 세뇨관성 산증의 경우, 상염색체 우성 유전 양상을 보이는 한 가족이 보고된 바 있다.[4]

2. 3. 제3형: 복합 근위 및 말단 세뇨관성 산증

제3형 요세관성 산증(RTA)은 원위 세뇨관성 산증(dRTA, 제1형)과 근위 세뇨관성 산증(pRTA, 제2형)의 특징을 모두 공유하는 드문 형태이다.[13] 과거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dRTA를 가진 유아어린이에게서 일시적인 현상으로 관찰되었으며(높은 염분 섭취와 같은 일부 외인성 요인과 관련되었을 수 있음), '소아 RTA'라고도 불렸다.[13][14] 그러나 현재는 거의 관찰되지 않으며, 현대 분류에서는 일반적으로 제외된다.[13][19] 일부에서는 제3형을 유아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제1형 RTA의 중증형으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분류이다.

혼합형(dRTA와 pRTA 특징 공유) RTA는 유전성 탄산 탈수 효소 II 결핍의 결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이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변이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방식으로 골경화증, 신세뇨관 산증, 대뇌 석회화, 정신 지체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을 일으킨다.[15][16][17] 이 증후군은 매우 드물며,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지만 약 70%는 마그레브 지역(북아프리카)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해당 지역의 높은 근친 결혼 유병률과 관련 있을 수 있다.[18] 신장 문제는 다른 RTA 유형과 유사하게 치료하지만, 골경화증이나 대뇌 석회화에 대한 특정 치료법은 없다.

현재 RTA에 대한 논의나 비교는 대부분 제1형, 제2형, 제4형으로 제한되며, 제3형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는다.[19]

2. 4. 제4형: 고칼륨혈증성 세뇨관성 산증

제4형 요세관성 산증(RTA)은 다른 유형의 RTA와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진다. 엄밀히 말해 세뇨관 자체의 질환이라기보다는 알도스테론의 부족이나 알도스테론에 대한 저항성 때문에 발생하는 상태이다.[19] 주요 특징인 고칼륨혈증 때문에 고칼륨혈증성 세뇨관성 산증 또는 세뇨관 고칼륨혈증이라고도 불린다.[19]

제4형 요세관성 산증은 알도스테론 결핍 또는 알도스테론 효과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알도스테론 결핍이나 저항성은 근위 세뇨관에서 암모늄 배설을 생리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는 소변의 완충 능력을 떨어뜨려 경미한 대사성 산증(정상 음이온 차이)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유형의 RTA와 달리 소변 산성화 자체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19]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알도스테론 결핍 (저알도스테론증)'''
  • * 일차성 부신 기능 저하
  • * 저레닌혈증성 저알도스테론증: 당뇨병성 신병증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 '''알도스테론 저항성'''
  • * 약물: NSAIDs, ACE 억제제, ARB, 에플레레논, 스피로노락톤, 트리메토프림, 펜타미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 가성저알도스테론증


제4형 RTA의 주요 특징
특징내용
관련 기관부신
산혈증없거나 경미함
혈중 칼륨 농도고칼륨혈증
주요 병태생리알도스테론 결핍 또는 저항성 (저알도스테론증 또는 가성저알도스테론증)


3. 원인

요세관성 산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크게 신장의 특정 부위 기능 이상에 따라 분류되며, 각 유형별로 발생 원인이 다르다.

주요 유형으로는 네프론의 원위 부분 문제로 발생하는 제1형 (원위) 세뇨관성 산증과 근위 부분 문제로 발생하는 제2형 (근위) 세뇨관성 산증이 있다.

각 유형의 원인은 선천적인 유전자 이상에 의한 일차성 원인과, 다른 질병(자가면역 질환 등), 약물, 독소 등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원인은 각 유형별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제1형 (원위) 세뇨관성 산증

원위 세뇨관 산증(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dRTA)은 요세관성 산증(RTA) 중 처음으로 기술된 전형적인 형태이다. 이는 신장의 원위 네프론에 위치한 수질 집합관의 알파 삽입 세포가 네프론 내부(루멘)로 수소 이온(H+)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산 분비 능력의 저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소변의 pH를 5.3 미만으로 낮추지 못하게 된다. 신장은 체내의 H+를 배출하는 주요 경로이므로, H+ 배출에 문제가 생기면 산혈증(체내 H+ 축적)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H+를 배출하지 못하는 동시에 칼륨 이온(K+)도 세포 내로 회수하지 못하게 되어(알파 세포에서 K+ 재흡수 불가), 저칼륨혈증이 동반된다.[1] 즉, 삽입 세포 막에 있는 H+/K+ 교환 수송체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H+는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며, K+는 소변으로 과도하게 배설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전으로 인해 dRTA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들이 나타난다.

  • 정상 음이온 차이 대사성 산증/산혈증
  •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고염소혈증
  • 요로 결석 형성: 소변이 알칼리성을 띠고, 소변 내 칼슘 배출이 증가하며(고칼슘뇨증),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 시트르산염 농도가 낮아져 발생한다.[5] 인산칼슘 결석은 pH가 높은(알칼리성) 환경에서 잘 침착되므로 양쪽 신장에 결석이 생기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다른 유형의 RTA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 신석회화증: 신장 조직 자체에 칼슘이 침착되는 현상.
  • 탈회: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 어린이에게는 구루병, 성인에게는 골연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성장 부전
  • 수질 낭종
  • 감각신경성 난청
  • 유전성 용혈성 빈혈


dRTA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어떤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지에 따라 발병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ATP6V1B1'' 또는 ''ATP6V0A4''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는 생후 첫 해에 증상이 나타나는 반면, ''SLC4A1''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는 약 10세 경으로 발병이 늦춰진다.[6] 전해질 불균형은 동일하게 나타나며, 심한 경우 아미노산뇨증이나 고암모니아혈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7]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 동반된 dRTA의 경우, 저칼륨혈증으로 인한 주기성 마비가 명백하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흔하다는 아시아 연구 결과가 있다.[8]

dRTA는 서구권에서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RTA 형태이며, 원인에 따라 유전적인 일차성과 후천적인 이차성으로 나뉜다. 일차성 dRTA는 주로 소아에서 발견되며, 원위 세뇨관에서 소변을 산성화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의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보통 생후 수개월 내에 발달 부전으로 나타나며, 그 외에도 다뇨증, 다음증, 변비, 설사, 탈수 발작, 식욕 부진 등 다양한 위장관계 및 비뇨기계 증상을 보일 수 있다.[10] 이차성 dRTA는 주로 성인에서 나타나며, 전신 질환, 자가면역 질환[9], 약물 또는 독소 노출 등이 원인이 된다.

dRTA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구분상세 원인예시
일차성 (유전성)유전자 이상Anion exchanger type 1 (SLC4A1) 이상, H+-ATPase (ATP6V1B1, ATP6V0A4) 이상 등
이차성 (후천성)자가면역 질환쇼그렌 증후군, 전신성 홍반 루푸스, 만성 활동성 간염,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만성 갑상선염, 혈관염, 크리오글로불린혈증
칼슘 대사 이상고칼슘뇨증,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비타민 D 중독, 해면 신장, 원발성 고옥살산뇨증, 파브리병
기타 신장 질환신우신염, 간질성 신염, 폐쇄성 요로 장애, 이식 신장 거부반응
유전성 질환 (동반)당뇨병,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마르판 증후군, 겸상 적혈구 빈혈증
약물성 신염암포테리신 B, 리튬, 진통제 남용, 톨루엔 중독


3. 2. 제2형 (근위) 세뇨관성 산증



근위 세뇨관성 산증(proximal Renal Tubular Acidosis, pRTA)은 소변으로 여과된 중탄산염을 재흡수하는 근위 세뇨관 세포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소변으로 중탄산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산혈증이 유발된다. 일반적으로 근위 세뇨관에서 중탄산염의 80-90%가 재흡수되는데,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체내 완충 능력이 감소하여 대사성 산증으로 이어진다.[11]

원위 세뇨관의 간질 세포는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pRTA에서의 산혈증은 원위 세뇨관성 산증(dRTA)보다 덜 심각한 경향이 있다. 알파 간질 세포는 수소 이온(H+)을 분비하여 소변의 pH를 5.3 미만으로 산성화시킬 수 있다.[12]

pRTA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때로는 단독적인 결함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개 판코니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근위 세뇨관 세포의 전반적인 기능 이상과 함께 나타난다. 판코니 증후군은 pRTA 외에도 인산뇨증(소변으로 인산염이 과도하게 배출되는 증상), 당뇨병, 아미노산뇨증, 요산뇨증, 세뇨관성 단백뇨 등을 동반한다. 판코니 증후군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인산염 소실로 인한 뼈의 탈회이며, 이는 골연화증이나 구루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pRTA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제2형 (근위) 세뇨관성 산증의 원인'''
구분상세 원인예시
일차성원발성-
산-염기 조절 효소의 유전자 이상CAII 활성 저하, NBC-1 활성 저하
이차성유전성 질환시스틴뇨증, 로위 증후군, 윌슨병, 티로신혈증, 갈락토스혈증, 유전성 과당 불내증
칼슘 대사 이상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비타민 D 결핍증, 비타민 D 의존증
기타 신장 질환다발성 골수종, 아밀로이드증, 이식 신장, 신증후군, 쇼그렌 증후군
약물성·중독성 신염변성 테트라사이클린, 스트렙토조신, , 수은, 카드뮴


4. 병태

신세뇨관 산증은 신장 세뇨관의 기능 장애로 인해 산-염기 균형 및 전해질 이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크게 원위 세뇨관성 산증(1형), 근위 세뇨관성 산증(2형), 4형으로 분류하며, 3형은 현대 분류에서 일반적으로 제외된다.[19] 각 유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형1형 (원위)2형 (근위)4형
위치집합관, 원위 세뇨관근위 세뇨관부신 (기능 이상)
산혈증예 (심각)존재하는 경우 경미함
칼륨저칼륨혈증저칼륨혈증고칼륨혈증
병태생리학집합관의 α-삽입 세포가 H+를 분비하고 K+를 재흡수하지 못함근위 세뇨관 세포가 중탄산 이온(HCO3-)을 재흡수하지 못함알도스테론 결핍 또는 저항 (저알도스테론증 또는 가성저알도스테론증)


원위 세뇨관성 산증 (제1형, dRTA)원위 세뇨관 및 집합관의 알파 삽입 세포(α intercalated cell)가 소변으로 수소 이온(H+)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신체의 주요 산 배설 경로 중 하나인 신장을 통한 H+ 제거를 방해하여 체내에 산이 축적되고 대사성 산증(산혈증)을 유발한다. 또한, H+ 분비 장애로 인해 소변을 pH 5.3 미만으로 산성화시키지 못한다. 동시에 이 세포의 정점에 위치한 H+/K+ 역수송체 기능 이상으로 칼륨 이온(K+) 재흡수도 저하되어 저칼륨혈증이 동반된다.[1]
근위 세뇨관성 산증 (제2형, pRTA)근위 세뇨관 세포가 혈액으로 중탄산 이온(HCO3-)을 재흡수하는 기능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다.[11] 정상적으로 근위 세뇨관에서 재흡수되어야 할 중탄산염의 상당 부분(80-90%)이 소변으로 소실되면서 체내 완충 능력이 감소하고 대사성 산증이 유발된다.[11] 하지만 원위 세뇨관의 기능은 정상이므로, 알파 삽입 세포가 H+를 분비하여 소변의 pH를 5.3 미만으로 산성화할 수는 있다.[12] pRTA는 때때로 단독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종종 판코니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근위 세뇨관의 전반적인 기능 장애의 일부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경우 인산뇨증, 당뇨병, 아미노산뇨증, 요산뇨증, 세뇨관 단백뇨 등 다른 근위 세뇨관 기능 이상을 동반할 수 있다.
제4형 신세뇨관 산증제4형은 다른 유형과 달리 직접적인 세뇨관 자체의 결함보다는 알도스테론 결핍이나 알도스테론 작용에 대한 저항성 때문에 발생한다.[19] 알도스테론 부족 또는 작용 저하는 근위 세뇨관에서 암모늄(NH4+) 생성 및 배설 능력을 감소시킨다. 이는 소변의 완충 능력을 떨어뜨려 경미한 (정상 음이온 간격)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제4형의 가장 특징적인 소견은 고칼륨혈증이며, 소변 산성화 능력 자체는 정상이어서 '고칼륨혈증성 RTA' 또는 '세뇨관 고칼륨혈증'이라고도 불린다.[19]
혼합형 및 제3형드물게 원위(1형)와 근위(2형)의 특징을 모두 보이는 혼합형 RTA가 보고된 바 있다. 이는 과거 1960년대와 1970년대에 dRTA를 가진 유아와 어린이에게서 일시적인 현상으로 관찰되었으며(높은 염분 섭취와 같은 외부 요인과 관련 가능성 있음), 현재는 잘 관찰되지 않는다.[13] 이러한 형태는 유전성 탄산 탈수 효소 II 결핍의 결과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골경화증, 대뇌 석회화, 정신 지체 등을 동반하는 상염색체 열성 증후군의 일부로 발생한다.[15][16][17] 제3형은 과거에 이러한 혼합형을 지칭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임상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RTA 분류에서 잘 논의되지 않는다.[19]
전해질 이상 및 산-염기 균형일반적으로 산증은 고칼륨혈증과, 알칼리증은 저칼륨혈증과 연관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알도스테론증에서는 대사성 알칼리증과 저칼륨혈증이 나타난다. 그러나 신세뇨관 산증, 특히 1형과 2형에서는 대사성 산증저칼륨혈증이 함께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대부분의 신세뇨관 산증에서는 사구체 여과율(GFR)이 정상이면서 음이온 간격이 정상인 고염소혈증성 대사성 산증을 나타낸다.

5. 검사

소변 pH 검사는 가장 간편한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산증 상태에서는 몸이 보상 작용으로 소변으로 산을 배출하고 알칼리를 재흡수하려 하므로 소변 pH가 낮아진다. 하지만 요세관성 산증, 특히 원위 세뇨관 산증(dRTA) 환자는 소변을 충분히 산성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산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변 pH가 5.3 이상으로 유지되는 특징을 보인다.[1] 근위 세뇨관 산증(pRTA)의 경우 원위 세뇨관 기능은 정상이므로 소변 pH를 5.3 미만으로 낮출 수 있다.[12]

염화 암모늄 부하 시험은 요세관성 산증의 유형을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유형 분류가 반드시 치료 방침 변경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검사를 통해 요세관성 산증을 유발한 근본 원인 질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혈액 검사를 통해 대사성 산증 여부와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고염소혈증 등 전해질 불균형 상태를 평가한다.[1][11]

신장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소변 내 β2-마이크로글로불린 수치를 측정하기도 한다.

6. 치료

요세관성 산증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현재까지 없으며,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 요법이 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유형에서는 산증을 교정하기 위해 탄산수소나트륨이나 구연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제제를 투여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칼륨 수치를 조절하기 위해 칼륨 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7. 역사

요세관성 산증은 1935년 라이트우드(Lightwood)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고, 이듬해인 1936년 버틀러(Butler) 등은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경우를 보고했다.[28][29][20][21] 성인의 경우는 1945년 베인스(Baines) 등이 처음으로 기술하였다.[30][22]

한편, 도널드 L. 루이스는 찰스 디킨스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에 등장하는 인물 타이니 짐이 이 질환을 앓았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23] 또한 2009년 과학 학술지 PLOS ONE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스페인의 카를로스 2세가 복합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증과 더불어 요세관성 산증을 앓았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4]

8. 관련 질환



요세관성 산증(RTA)은 크게 원위 세뇨관 산증(dRTA)과 근위 세뇨관 산증(pRTA)으로 나눌 수 있다.

'''원위 세뇨관 산증 (dRTA)'''

원위 세뇨관 산증은 RTA의 전형적인 형태로, 처음 기술된 유형이다. 이는 신장의 원위 네프론의 수질 집합관에 있는 알파 삽입 세포가 네프론 내부로 H+(수소 이온)를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산 분비 실패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소변의 pH를 5.3 미만으로 낮추는 능력에 문제를 일으킨다. 신장은 체내의 H+를 제거하는 주요 경로이므로,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산혈증(체내에 H+가 과도하게 쌓이는 상태) 경향이 나타난다. 또한, H+를 배출하지 못하는 동시에 K+ 이온도 세포에서 제대로 회수되지 않아(알파 세포에서 K+가 재흡수되지 못함) 저칼륨혈증(혈중 칼륨 농도가 낮은 상태)도 함께 발생한다.[1]

dRTA의 주요 임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는 dRTA의 발병 시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ATP6V1B1'' 및 ''ATP6V0A4''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는 생후 첫 해에 증상이 나타나는 반면, ''SLC4A1''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는 약 10세 경으로 발병이 늦어진다.[6] 전해질 불균형은 동일하게 나타나며, 심한 경우 아미노산뇨증이나 고암모니아혈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7]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 동반된 dRTA의 경우, 명백한 저칼륨성 주기성 마비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흔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8]

dRTA는 서구 국가에서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RTA 형태이며, 유전적 원인(1차성) 또는 후천적 원인(2차성)으로 나뉜다. 1차성 RTA는 주로 소아에서 원위 세뇨관의 소변 산성화 관련 단백질의 유전적 결함으로 발생하며, 성인의 경우 전신 질환, 자가면역 질환[9], 약물 또는 독소 노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유전성 dRTA는 보통 생후 수개월 내에 발달 부전으로 나타나며, 소아에서는 다뇨증, 다음증, 변비, 설사, 탈수, 식욕 부진 등 다양한 위장 및 비뇨기 증상을 보일 수 있다.[10]

'''근위 세뇨관 산증 (pRTA)'''

근위 세뇨관 산증은 근위 세뇨관 세포가 소변으로 여과된 중탄산염(HCO3-)을 제대로 재흡수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소변으로 중탄산염이 과도하게 배출되고 결과적으로 산혈증이 유발된다. 정상적으로 근위 세뇨관에서 중탄산염의 80-90%가 재흡수되는데,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체내 완충 능력이 감소하여 대사성 산증이 발생한다.[11] 하지만 원위 삽입 세포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므로 산혈증은 dRTA보다 덜 심각하며, 알파 삽입 세포는 H+를 생성하여 소변의 pH를 5.3 미만으로 산성화할 수 있다.[12]

pRTA 역시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개 판코니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근위 세뇨관 세포의 전반적인 기능 장애와 함께 나타난다. 판코니 증후군에는 pRTA 외에도 인산뇨증, 당뇨병, 아미노산뇨증, 요산뇨증, 세뇨관성 단백뇨 등이 동반될 수 있다.

판코니 증후군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인산염이 소변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 인산뇨증으로 인해 가 약해지는 탈회 현상(골연화증 또는 구루병)이 나타나는 것이다.

9. 진료과


  • 신장내과
  • 소아과

참조

[1] 논문 Renal tubular acidosis: development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basis 2005-06
[2] 논문 Review of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Renal Tubular Acidosis http://www.ochsnerjo[...] 2016-12-21
[3] 논문 Epidemiology of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A Study Using Linked UK Primary Care and Hospital Data. https://discovery.uc[...]
[4] 웹사이트 Prevalence and incidence of rare diseases: Bibliographic data https://www.orpha.ne[...] 2022-01-01
[5] 논문 Nephrolithiasis in renal tubular acidosis 1989-03
[6] 논문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Clinical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different underlying gene mutations 2018-09
[7] 논문 Hyperammonemia associated with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or urinary tract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2018-03
[8] 논문 Sjögren's, Renal Tubular Acidosis And Osteomalacia - An Asian Indian Series 2014-12-19
[9] 논문 Clinical and laboratory approaches in the diagnosis of renal tubular acidosis 2015-12
[10] 논문 Pathophysiology of Renal Tubular Acidosis: Core Curriculum 2016 2016-09
[11] 논문 Molecular pathophysiology of renal tubular acidosis 2009-03
[12] 논문 Proximal renal tubular acidosis. A defect in bicarbonate reabsorption with normal urinary acidification 1967-03
[13] 논문 Renal tubular acidosis: the clinical entity http://jasn.asnjourn[...] 2002-08
[14] 서적 Klinische Nefrologie Elsevier
[15] 논문 Carbonic anhydrase II deficiency in 12 families with the autosomal recessive syndrome of osteopetrosis with renal tubular acidosis and cerebral calcification 1985-07
[16] 논문 Carbonic anhydrase II deficiency syndrome (osteopetrosis with renal tubular acidosis and brain calcification): novel mutations in CA2 identified by direct sequencing expand the opportunity for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2004-09
[17] 논문 Molecular mechanism of kNBC1-carbonic anhydrase II interaction in proximal tubule cells http://www.jphysiol.[...] 2004-08
[18] 논문 Carbonic anhydrase II (CA II) deficiency in Maghrebian patients: evidence for founder effect and genomic recombination at the CA II locus 1997-05
[19] 문서 Hyporeninemic Hypoaldosteronism
[20] 논문 Communication no. 1
[21] 논문 Dehydration and acidosis with calcification at renal tubules
[22] 논문 Nephrocalcinosis associated with hyperchloremia and low plasma-bicarbonate
[23] 논문 What was wrong with Tiny Tim? 1992-12
[24] 논문 The role of inbreeding in the extinction of a European royal dynasty 2009-04-15
[25] 웹사이트 尿細管性アシドーシス https://www.shouman.[...] 小児慢性特定疾病情報センター 2021-08-30
[26] 논문 Renal tubular acidosis: development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basis
[27] 논문 Review of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Renal Tubular Acidosis http://www.ochsnerjo[...] 2016-12-21
[28] 논문 Communication no. 1 https://archive.org/[...]
[29] 논문 Dehydration and acidosis with calcification at renal tubules https://archive.org/[...]
[30] 논문 Nephrocalcinosis associated with hyperchloremia and low plasma-bicarbon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