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퉁구스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퉁구스어족은 북방계와 남방계로 분류되며, 만주어, 시버어, 나나이어, 에벤키어 등을 포함하는 언어 집단이다. 퉁구스어족은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이며 모음조화, 격 체계, 시제/상 표시 체계를 갖는 특징이 있다. 퉁구스어족의 기원은 만주 지역으로 추정되며, 퉁구스조어를 재구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퉁구스어족은 과거 알타이어족 가설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된다. 17세기 네덜란드 여행가 니콜라스 비첸에 의해 서구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빌헬름 그루베 등의 학자들이 연구를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구스어족 - 여진어
    여진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 언어로, 금나라 시대에 여진 문자가 창제되어 사용되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네 가지 방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현대 언어학자들은 명나라 시대의 사전과 금사의 「금국어해」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 퉁구스어족 - 만주어
    만주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교착어로, 과거 여진어와 관련이 깊었으며 청나라 황실의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한화로 인해 사용자가 감소하여 현재는 소수 지역에서만 사용되고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인 언어이다.
  • 몽골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몽골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퉁구스어족
개요
어족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사용 지역시베리아, 만주
민족퉁구스족
언어 분류
하위 어파북퉁구스어파 (에벤어군–우데게어군)
남퉁구스어파 (여진어군–나나이어군)
조어퉁구스조어
언어 코드
ISO 639-5tuw
Glottologtung1282
Glottolog 명칭Tungusic
분포
퉁구스어족의 지리적 분포
퉁구스어족의 지리적 분포

2. 분류

퉁구스어족의 분류는 학자마다 이견이 있지만, 대체로 북방계와 남방계로 나뉜다. 알렉산더 보빈[3]만주어여진어가 남부 퉁구스어에 속하지만, 파라몽골어 계열의 거란어, 고대 한국어, 추코트카-캄차카어족 및 소속 불명의 언어들의 영향으로 이례적인 특징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Hölzl (2018)[2]은 에벤어파, 우데게어파, 나나이어파, 여진어파의 네 가지 중간 수준의 아족을 인정한다.

2. 1. 북퉁구스어파

북퉁구스어파에는 에벤어(람무트어), 에벤키어, 네기달어, 오로첸어가 속한다.[2] 퉁구스어족 분류는 형태론적, 어휘적, 음운론적 특징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분류가 제시되어 왔다. 일부 학자들은 퉁구스어족 분류의 계통수 모델을 비판하고, 퉁구스어들 간의 오랜 접촉 역사 때문에 방언 연속체로 취급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한다.[1]

퉁구스어족 언어의 현재 지리적 분포


주요 분류는 북부 계통과 남부 계통으로 나뉘지만, 두 계통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고 중간 그룹의 분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2. 1. 1. 에벤어군

2. 1. 2. 우데게어군

'''우데게어군'''은 오로치-우데게어군이라고도 하며, 남퉁구스어파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2. 2. 남퉁구스어파

남퉁구스어파는 여진어군과 나나이어군으로 나뉜다. 여진어군은 남서퉁구스어, 또는 만주어군이라고도 하며, 나나이어군은 남동퉁구스어, 또는 아무르군이라고도 한다.

  • '''남부 퉁구스어족 (여진어파–나나이어파)'''



2. 2. 1. 여진어군

여진어[38]

만주어

시버어

중국 캬칼라어

발라어

알추카어

2. 2. 2. 나나이어군

남동퉁구스어, 또는 아무르군이라고도 한다.
나나이
아카니
비라르
사마기르
킬리어[38]

3. 특징

형태론적으로 퉁구스어는 교착어이며, 일부는 복잡한 체계와 시제/ 표시 체계를 갖고 있다.[1] 모음의 원순성과 긴장도에 따른 모음조화가 나타나며, 어휘에서도 공통점이 있다.[1]

퉁구스어족 언어는 교착어적 형태론적 유형에 속하며, 일부 언어는 복잡한 격 변화 체계와 정교한 시상 표시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어떤 언어도 문법적 성이나 명사류를 가지고 있지 않다. 모든 퉁구스어족 언어는 조사를 뒤에 붙여 사용한다. 셈은 십진법으로 이루어지며, 1부터 10까지의 기수는 대부분의 경우 공통 기원을 가진다.[18]

모든 언어의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이다.[19]

퉁구스어족은 모음 조화의 복잡한 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두 가지 매개변수, 즉 모음의 입술 모양과 모음의 장단(에벤키어에서는 앞/뒤의 대립)을 기반으로 한다. 장모음과 단모음은 같은 단어에 나타나지 않으며, 접미사를 포함한 단어의 모든 모음은 장모음 또는 단모음 중 하나이다. 어근의 둥근 모음은 단어의 뒤에 오는 모든 모음을 둥근 모음으로 만드는 반면, 둥근 모음 앞의 모음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규칙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많은 예외가 존재한다.[19]

대부분의 퉁구스어에서 모음의 길이는 음소적이며, 많은 단어들이 단모음과 장모음의 차이를 통해 구별된다.[19] 장모음이 없는 언어로는 여진어파(여진어, 만주어, 시베어)와 헤제어가 있다. 모든 언어에서 이중모음도 나타난다.[18]

퉁구스어 단어는 간단한 음절 종지(coda)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간단한 음절 초성(onset)을 가지는데, 단어 끝에서 자음 군집은 허용되지 않으며, 단어 시작에서도 드물다.[19]

다음은 찐치우스(1949)가 재구성한 원퉁구스어 자음과 벤징(1955)에 따른 모음이다.[20]

자음
| 순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파열음무성t | | k
유성d | | ɡ
파찰음무성| t͡ʃ ⟨č⟩ |
유성| d͡ʒ ⟨ǯ⟩ |
마찰음s | ʃ ⟨š⟩ | x
비음n | ɲ ⟨ń⟩ | ŋ
측음l | |
유음r | |
유성 접근음| j |



모음
전설모음 | 중설모음 | 후설모음
고모음ɨ ⟨ï⟩ | u
중모음| o
저모음a |


4. 역사

몇몇 문헌에는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만주에 거주했던 동호가 퉁구스 조어를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35] 다른 문헌에서는 “동호”와 “퉁구스”의 발음 유사성은 우연이라며 동호=퉁구스설을 강하게 비판하지만, 이 비판 또한 실제로는 근거가 없다.[36]

백제신라의 역사 기록에는 1세기와 2세기 만주에서 말갈과 싸운 기록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말갈이 후의 여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지만, 이는 논쟁 중이다.

아바르 카간국을 건설한 유럽의 아바르의 언어가 퉁구스어족이라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37]

4. 1. 퉁구스조어

퉁구스조어의 개략적인 형태는 자매 언어들의 유사성으로 비교적 명확하게 추론할 수 있지만, 세부적인 재구성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학자들은 여전히 퉁구스조어 재구성을 위한 공유 어휘 목록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7]

일부 언어학자들은 퉁구스조어가 기원전 500년에서 기원후 500년 사이에 만주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여기서 퉁구스어족의 여러 언어들이 갈라져 나왔다고 추정한다.[7]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카 호 지역이 퉁구스조어의 기원지로 유력하다.[8]

퉁구스조어의 음운 변화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이 있다. 예를 들어, 노먼(Norman, 1977)은 같은 어근에서 '*j'가 뒤따르는 경우 원시 퉁구스어 '*t'가 만주어에서 's'로 변화한다고 주장하며, 예외는 차용어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9]

일부 학자들은 퉁구스조어의 모음 조화가 원시 한국어, 원시 몽골어 등 인접한 다른 어족의 모음 조화와 연관성이 있다고 본다. 이들은 원래의 RTR 조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적 또는 유전적 대응 관계를 제시한다.[10] 그러나 이는 여러 가설 중 하나이며, RTR 조화 없이 퉁구스조어를 재구성하는 학자들도 있다.[10]

알렉산더 보빈 (2015)은 북부 퉁구스어족 언어에 남부 퉁구스어족에는 없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차용어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이 과거 시베리아 동부에서 훨씬 더 널리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13] 보빈은 이 차용어가 2,000년 전 이전에 퉁구스어족이 아무르 강 중류 지역에서 북쪽으로 확산되던 시기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Wang과 Robbeets (2020)는 원시 퉁구스어의 기원지를 한카 호 지역으로 추정한다.[8]

Liu 등 (2020)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C-F5484와 그 하위 분류가 퉁구스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유전적 표지자임을 밝혔다. C-F5484는 3,300년 전에 출현하여 1,900년 전에 분화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퉁구스어족 언어의 분화 시기를 나타낸다.

4. 2. 여진-만주어

여진어는 1115년부터 1234년까지 존속했던 금나라의 언어로, 여진 문자로 기록되었다.[15] 여진족은 거란 문자를 기반으로 자신들의 언어를 위한 여진 문자를 만들었다. 이 시기 만주와 한국에는 여러 개의 비석이 세워졌다.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여진어 기록 중 하나는 1161년부터 1189년까지의 대정 연간에 세워진 "금 승전비"(大金德勝陀頌碑) 뒷면의 비문이다. 이는 비석 앞면의 중국어 텍스트를 축약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16] 여진 문자의 마지막 기록은 1526년에 쓰였다.

만주어는 1616년부터 1626년까지 통치한 누르하치의 여진 부족 통일 이후 역사 기록에 다시 등장한다. 누르하치는 몽골 문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만주 문자를 만들었고, 그의 후계자들은 청나라를 건국했다. 1636년, 홍타이지 황제는 민족명 "여진"을 "만주"로 바꿀 것을 선포했다. 현대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여진어와 만주어를 같은 언어의 서로 다른 단계로 간주한다.

오늘날 만주어는 중국 치치하얼에 사는 10여 명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소멸 위기 언어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여진-만주어의 다른 방언으로 여겨졌던 신강 위구르 자치구의 시버어(시베어)는 문자의 문학적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약 3만 명의 화자가 있다. 오랜 기록을 가진 퉁구스어족 유일의 언어로서, 여진-만주어는 원퉁구스어 재구성에 매우 중요하다.

4. 3. 기타 퉁구스어

다른 퉁구스어들은 비교적 짧거나 전혀 없는 서면 전통을 가지고 있다. 20세기 무렵부터는 이들 언어 중 일부가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한 키릴 문자로 표기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주로 구어로만 사용된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퉁구스어족은 오늘날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된다. 과거 일부 언어학자들은 퉁구스어족을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등과 함께 알타이어족 또는 트란스유라시아어족으로 묶기도 했으나,[21] 단순한 지역적 연관성이 아닌 유전적 연관성이 있다는 제안은 매우 논란의 여지가 있다.[22][23]

일부 학자들은 퉁구스어족, 한국어족, 일본어족, 아이누어족이 (아마도 측계통군으로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2017년 마틴 로베츠는 퉁구스어족을 "트란스유라시아어족"(거대 알타이어족의 다른 이름)으로 다시 튀르크어족몽골어족과 관련지었으며, 퉁구스어족은 몽골어족과 가장 가깝다고 주장했다.[33]

퉁구스어족과 한국어족 사이에는 몇 가지 유사점이 있지만, 알렉산더 보빈 (2013)은 고구려어여진어의 상호 영향을 통해 계통적 공통성이 아니라 지역적 특징을 공유하는 별개의 무관한 언어 그룹으로 간주하고 있다.[34]

알렉산더 보빈 (2015)은 북부 퉁구스어족에 남부 퉁구스어족에는 없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차용어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13] 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이 과거 시베리아 동부에서 훨씬 더 널리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보빈은 이 차용어가 2,000년 전 이전에 퉁구스어족이 아무르 강 중류 지역의 기원지에서 북쪽으로 확산되던 시기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6. 연구사

네덜란드 여행가 니콜라스 비첸은 1692년, 1705년, 1785년에 걸쳐 출판된 자신의 저서 『북방과 동방 타타리아』(Noord en Oost Tartarye)에서 러시아 극동 지역의 여러 민족들과 그 언어에 대한 단어 목록을 기록했다. 이 책에는 당시 "퉁구스어"로 불렸던 에벤키어의 단어와 문장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17]

독일 언어학자 빌헬름 그루베(1855~1908)는 1900년에 나나이어(골드어) 사전을 출판했고, 중국 자료를 이용하여 현대 독자들이 여진어를 해독할 수 있도록 연구했다.

참조

[1] 논문 Revisiting Tungusic Classification from the Bottom up: A Comparison of Evenki and Oroqen 1999-06-01
[2] 간행물 The Tungusic language family through the ages: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Introduction 2018-08-29
[3] 웹사이트 Why Manchu and Jurchen Look so Un-Tungusic https://www.academia[...]
[4] 서적 Balayu 巴拉语 1987
[5] 논문 Bala (China) – Language Snapshot http://www.elpublish[...] 2020
[6]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08-29
[7] 웹사이트 Book Reviews 161 Andrej L. Malchukov and Lindsay J. Whaley (eds.), Recent advances in Tungusic linguistics (Turcologica 89). Wiesbaden: Harrassowitz, 2012. vi + 277 pages, ISBN 978-3-447-06532-0, EUR 68. http://www.marumaru.[...] 2016-11-25
[8] 논문 The homeland of Proto-Tungusic inferred from contemporary words and ancient genomes 2020
[9] 논문 THE EVOLUTION OF PROTO-TUNGUSIC *t TO MANCHU s
[10] 웹사이트 Paradigm Change: In the Transeurasian languages and beyond (Ch. 7) http://conf.ling.cor[...] 2014
[11]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0-05-19
[12] 서적 The Chinese and Their Neighbors in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 China https://books.google[...]
[13] 서적 Eskimo Loanwords in Northern Tungusic Brill 2015
[14] 논문 Paternal origin of Tungusic-speaking populations: Insights from the updated phylogenetic tree of Y-chromosome haplogroup C2a-M86 https://onlinelibrar[...] 2021-03-01
[15] 웹사이트 Manchu-Tungus language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06-18
[16] 서적 China Under Jurchen Rule: Essays on Chin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17] 서적 Noord en oost Tartaryen https://books.google[...] 1785
[18]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Northern Asia De Gruyter 2024-02-19
[19] 웹사이트 Basic Typological Features of Tungusic Languages http://www.dartmouth[...]
[20] 논문 Die tungusischen Sprachen: Versuch einer vergleichenden Grammatik 1955
[21] 논문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https://www.research[...] 2017-01-01
[22] 서적 The Uralic Languages Routledge 2023
[23] 웹사이트 Triangulation fails when neither linguistic, genetic, nor archaeological data support the Transeurasian narrative https://www.biorxiv.[...]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2022-06-12
[24] 논문 Die Sprache(n) der Awaren: Die mandschu-tungusische Alternative 2004
[25]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https://books.google[...] 2014-08-29
[26] 웹사이트 Book Reviews 161 Andrej L. Malchukov and Lindsay J. Whaley (eds.), Recent advances in Tungusic linguistics (Turcologica 89). Wiesbaden: Harrassowitz, 2012. vi + 277 pages, ISBN 978-3-447-06532-0, EUR 68 2016-11-25
[27] 웹사이트 Eskimo Loanwords in Northern Tungusic https://www.research[...] Brill 2015
[28] 논문 The homeland of Proto-Tungusic inferred from contemporary words and ancient genomes https://www.cambridg[...] 2020
[29] 논문 Millet agriculture dispersed from Northeast China to the Russian Far East: Integrating archaeology, genetics, and linguistics https://www.scienced[...] 2020
[30] 논문 Paternal origin of Tungusic-speaking populations: Insights from the updated phylogenetic tree of Y-chromosome haplogroup C2a-M86 https://onlinelibrar[...] 2020
[31] 논문 THE EVOLUTION OF PROTO-TUNGUSIC *t TO MANCHU s
[32] 웹사이트 Paradigm Change: In the Transeurasian languages and beyond (Ch. 7) http://conf.ling.cor[...]
[33] 웹사이트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https://www.research[...]
[34] 간행물 Why Koreanic is not demonstrably related to Tungusic? 2013-11-15
[35]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2010-05-19
[36] 서적 The Chinese and Their Neighbors in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37] 논문 Die Sprache(n) der Awaren: Die mandschu-tungusische Alternative 2004
[38] 문서 최근에는 북퉁구스어파 에벤키어의 일종으로 분류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