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귀는 원한을 품고 복수를 추구하는 망령을 의미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초자연적인 존재이다. 고대 시대부터 존재해 온 개념으로, 억울한 죽음이나 부당한 대우를 받은 영혼이 살아있는 세상에 나타나 보복하려 한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원귀는 종교적 의식이나 매체를 통해 다루어지며,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각 문화권마다 원귀의 형태와 특징은 다르며,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원귀 관련 전설과 이야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령 - 잭오랜턴
    잭오랜턴은 할로윈의 상징으로, 속을 파내고 얼굴을 새긴 호박 등불을 가리키며,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유래하여 악령을 쫓거나 초자연적 존재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녔고, 미국에서는 19세기부터 호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유령 - 영혼
    영혼은 육체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인격적 실재 또는 영원불멸의 존재를 의미하며,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뤄지고 사후 세계와 관련되어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해석되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탐구되고 철학적으로도 논의되는 개념이다.
원귀
일반 정보
다른 이름원한령, 원령
종류유령, 언데드
관련 문화권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유사한 존재레버넌트
특징
목적복수
기원부당하게 죽거나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영혼

2. 문화적 배경

원한을 품은 망령이 살아있을 때 겪었던 해악에 대한 보복을 추구한다는 개념은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 존재해 왔다. 이러한 전설과 믿음에 따르면, 원귀는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살아있는 세계를 돌아다니는 불안한 영혼이며, 살인자나 고문자에게 처벌을 성공적으로 가할 때까지 만족하지 못한다.[2]

특정 문화에서 원한을 품은 귀신은 대부분 생전에 부당한 대우를 받은 여성이라고 한다. 그러한 여성이나 소녀는 절망 속에서 죽었거나, 그들이 겪은 학대나 고문으로 인해 일찍 사망했을 수 있다.[3][4]

엑소시즘과 달램은 원한을 품은 귀신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화에서 행해지는 종교적, 사회적 관습 중 하나이다. 파라과이 북부의 아체족은 위험한 원한을 품은 영혼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노인들을 관습적인 매장 대신 화장했다.[5] 사람이 살해당하고 시신이 함부로 처리된 경우, 영혼을 달래기 위해 시체를 발굴하여 적절한 장례 의식에 따라 다시 매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유해(뼈)에 소금을 뿌리고 태우는 것이다.

3. 대중 매체

원한을 품은 원귀는 《캔디맨》, 《그루지》, 《고문》, 《대부분 유령: 누가 유령을 풀어줬나?》, 《폴터가이스트》, 《사랑과 영혼》, 《안개》, 《황야의 결투》, 《병동》, 《카사데가》, 《칼》, 《죽을 뻔한 서부 영화》, 《20년 후》, 《달링》, 《파라노만》, 《라기니 MMS》, 《스트리》, 《다크 섀도우》, 《트러블 나이트》 등 다양한 국가의 현대 영화에 등장했다.

《스푸키 발렌타인》, 《스푸키 나이츠》, 《마녀》, 《고스트 위스퍼러》, 《수퍼내추럴》, 태국 텔레비전 드라마 《라엥 응아오》, 한국 텔레비전 시리즈 《호텔 델루나》 등 텔레비전 시리즈에도 등장했다.

또한 《타미르 트리애드》, 《탬신》과 같은 소설, 젠틀맨 고스트와 같은 만화, 《대니 팬텀》과 같은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 모험 게임 초조 신화와 같은 게임의 테마이기도 하다. MOBA 비디오 게임 도타 2에는 여성 원귀 캐릭터가 등장한다.

4. 세계 각국의 원귀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원귀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지역원귀 이름설명
아프리카마담 코이 코이아프리카 도시 전설에 등장하는 여성 교사의 유령으로, 몇몇 학생들이 그녀의 죽음을 초래한 후 기숙 학교를 떠돈다.
유럽녹색 여인스코틀랜드의 크래시스 성, 녹 성 (스카이 섬), 애신털리 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출몰한다고 알려진 불안정한 여성 유령. 어떤 이야기에서는 그녀가 녹색 드레스를 입고 살해당했으며, 하인에 의해 굴뚝에 억지로 쑤셔 넣었다고 전해진다. 그녀가 슬픔에 잠겨 성을 거닐면서 발소리가 아직도 들린다고 한다.[8]
드레카바크(Drekavac)
쿠쿠드(Kukudh)
루갓(Lugat)
모로이(Moroi), 스트리고이(Strigoi), 스트리지(Strzyga)
아시아모과이중국 신화에 나오는 원한을 품은 유령 또는 악마.
여귀중국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원한을 품은 여성 유령. 머리를 풀고 나타난다.[9]
원귀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의 영혼.[10]
추다일인도 신화에 나오는 여성 유령으로, 북인도파키스탄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 정령은 출산 중이거나 임신 중, 또는 월경 중에 의례적 부정한 상태로 사망한 여성에게서 기원한다고 한다.[11][12][13][14]
원령일본 민속에서 유래된 일반적인 이름으로, 생전에 부당한 일을 겪고 연옥에서 돌아온 유령(유령, yūrei). 대부분 여성의 모습이며, 유령의 형태보다는 육체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후나유레이(민속), 고료(일본 신화), 구치사케-온나
아메리카다마 브란카브라질 신화에 등장하는 젊은 여인의 유령으로, 출산이나 폭력적인 원인으로 사망했다.[16]
코르푸-세쿠생전에 너무 악하여 악마에게 영혼을 거부당하고, 브라질 신화에서 산 사람들을 언데드 시체로 괴롭히도록 저주받은 남자의 유령.[17]
라 요로나남편이 다른 여자와 바람을 피우고 자신을 떠난 후 자신의 아이들을 익사시킨 멕시코 출신의 여성 유령.
라 사요나베네수엘라콜롬비아에서 남편이 자신의 어머니와 불륜을 저질렀다고 믿는 여성 유령.
파타솔라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남아메리카 출신의 여성 유령. 남자를 유혹하여 열대 우림 깊숙한 곳으로 유인한 다음, 짐승으로 변해 남자를 잡아먹는다.
시우아나바불륜을 저지른 남자를 공격하는 엘살바도르과테말라 출신의 여성 유령.
실본, 툴레비에하, 친디
오세아니아Dambir ow아스맛족 신화에서 서부 뉴기니의 출산 중 사망한 여성의 유령. 인류학자 얀 포우어는 "무시무시한 외모, 날카로운 코, 날카로운 이빨, 긴 손톱, 머리카락처럼 붉은 눈을 가지고 있다. 남자를 저승으로 데려가 가시로 고문하여 죽임으로써 복수한다"고 기록했다.[18]
끄라쑤캄보디아에서는 Ap, 라오스에서는 Kasu, 인도네시아에서는 Palasik, Kuyang, Leyak으로 알려진 동남아시아 민간 전승의 야행성 여성 정령
피 타이 홍태국 민간 전승에서 잔혹하거나 폭력적인 죽음을 맞이한 사람의 불안한 영혼[19]
피 타이 통 끌롬태국 유령으로, 연인에게 배신당하고 버려진 후 자살한 임산부의 분노한 영혼.[20]
수앙기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 민간 전승의 사악한 정령
순델 볼롱, 웨웨 곰벨


4. 1. 고대

원한을 품은 망령이 살아있을 때 겪었던 나쁜 일에 대한 복수를 한다는 개념은 고대 시대부터 여러 문화권에 존재해 왔다.[2] 이러한 전설과 믿음에 따르면, 원귀는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살아있는 세계를 끊임없이 돌아다니는 불안한 영혼이며, 살인자나 고문자에게 벌을 줄 때까지 만족하지 못한다.[2]

특정 문화에서 원한을 품은 귀신은 대부분 생전에 부당한 대우를 받은 여성이라고 한다. 그러한 여성이나 소녀는 절망 속에서 죽었거나, 학대나 고문으로 인해 일찍 사망했을 수 있다.[3][4]

엑소시즘과 달램은 다양한 문화에서 원한을 품은 귀신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종교적, 사회적 관습이다. 파라과이 북부의 아체족은 위험한 원한을 품은 영혼이 있다고 생각되는 노인들을 관습적인 매장 대신 화장했다.[5] 사람이 살해당하고 시신이 함부로 처리된 경우, 영혼을 달래기 위해 시체를 발굴하여 적절한 장례 의식에 따라 다시 매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유해(뼈)에 소금을 뿌리고 태우는 것이다.

로마 신화에서 ''레무레스''(Lemures)는 적절한 매장, 장례 의식 또는 산 자들의 애정 어린 숭배를 받지 못한 자들의 떠돌아다니며 복수심에 불타는 영혼이다.[6]

  • '''케레스(Κῆρες)'''는 그리스 신화에서 폭력적이거나 잔인한 죽음의 정령이다.[7]
  • '''브리콜라스'''는 좀비와 유사한 존재이다.

4. 2. 유럽

원한을 품은 망령이 살아있을 때 겪었던 해악에 대한 보복을 추구한다는 개념은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 존재해 왔다. 이러한 전설과 믿음에 따르면, 원귀는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산 자들의 세계를 돌아다니는 불안한 영혼이며, 살인자나 고문자를 처벌할 때까지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2]

특정 문화권에서는 원한을 품은 귀신은 대부분 생전에 부당한 대우를 받은 여성으로 여겨진다. 그러한 여성이나 소녀는 절망 속에서 죽었거나, 학대나 고문으로 인해 일찍 사망했을 수 있다.[3][4]

엑소시즘과 달램은 원한을 품은 귀신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행해지는 종교적, 사회적 관습이다. 파라과이 북부의 아체족은 위험한 원한을 품은 영혼이 있다고 생각되는 노인들을 관습적인 매장 대신 화장했다.[5] 사람이 살해당하고 시신이 함부로 처리된 경우, 영혼을 달래기 위해 시체를 발굴하여 적절한 장례 의식에 따라 다시 매장하기도 한다. 또 다른 방법은 유해(뼈)에 소금을 뿌리고 태우는 것이다.

  • 녹색 여인은 스코틀랜드의 크래시스 성, 녹 성 (스카이 섬), 애신털리 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출몰한다고 알려진 불안정한 여성 유령이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그녀가 녹색 드레스를 입고 살해당했으며, 하인에 의해 굴뚝에 억지로 밀어 넣어졌다고 전해진다. 그녀가 슬픔에 잠겨 성을 거닐면서 내는 발소리가 아직도 들린다고 한다.[8]
  • ''드레카바크''(Drekavac)
  • ''쿠쿠드''(Kukudh)
  • ''루갓''(Lugat)
  • ''모로이''(Moroi)
  • ''스트리고이''(Strigoi)
  • ''스트리지''(Strzyga)

4. 3. 아시아


  • '''모과이'''는 중국 신화에 나오는 원한을 품은 유령 또는 악마이다.
  • '''여귀''' (女鬼|nǚ guǐ|female ghost중국어)는 중국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원한을 품은 여성 유령으로, 머리를 풀고 나타난다.[9]
  • '''원귀''' (冤鬼|yuān guǐ|ghost with grievance중국어)는 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의 영혼이다.[10]
  • '''추다일'''(چڑیل|추다일ur, 데바나가리: चुड़ेल)은 인도 신화에 나오는 여성 유령으로, 북인도파키스탄에서 잘 알려져 있다.[11] 이 정령은 출산 중이거나 임신 중, 또는 월경 중에 의례적 부정한 상태로 사망한 여성에게서 기원한다고 한다.[12][13][14]
  • '''원령'''(Onryō)은 일본 민속에서 유래된 일반적인 이름으로, 생전에 부당한 일을 겪고 연옥에서 돌아온 유령('''유령''', yūrei)을 가리킨다. 원령은 대부분 여성의 모습이며, 유령의 형태보다는 육체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후나유레이'''(船幽霊 or 舟幽霊)는 바다에서 원한을 품은 유령이 된 존재로, 일본 여러 지역의 민속에서 언급된다.
  • 고료(Goryō)는 특정 종류의 영혼으로, 주로 일본 신화에서 순교자의 유령을 가리킨다.[15]
  • 구치사케-온나(Kuchisake-onna)는 남편에게 훼손된 여인의 원령이다.

4. 4. 아메리카

여러 문화권에서 엑소시즘과 달램은 원한을 품은 귀신과 관련된 종교적, 사회적 관습이다. 사람이 살해당하고 시신이 함부로 처리된 경우, 영혼을 달래기 위해 시체를 발굴하여 적절한 장례 의식에 따라 다시 매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유해(뼈)에 소금을 뿌리고 태우는 것이다.[5]

  • '''다마 브란카'''(포르투갈어로 '하얀 여인', ''Mulher de Branco''라고도 함): 브라질 신화에 등장하는 젊은 여인의 유령으로, 출산이나 폭력적인 원인으로 사망했다.[16]
  • '''코르푸-세쿠'''('말린 시체'): 생전에 너무 악하여 악마에게 영혼을 거부당하고, 브라질 신화에서 산 사람들을 언데드 시체로 괴롭히도록 저주받은 남자의 유령이다.[17]
  • '''라 요로나'''('우는 여자'): 남편이 다른 여자와 바람을 피우고 자신을 떠난 후 자신의 아이들을 익사시킨 멕시코 출신의 여성 유령일 수 있다.
  • '''라 사요나''': 베네수엘라콜롬비아에서 남편이 자신의 어머니와 불륜을 저질렀다고 믿는 여성 유령이다.
  • '''파타솔라''':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남아메리카 출신의 여성 유령이다. 그녀는 남자를 유혹하여 열대 우림 깊숙한 곳으로 유인한 다음, 짐승으로 변해 남자를 잡아먹는다.
  • '''시우아나바''': 불륜을 저지른 남자를 공격하는 엘살바도르과테말라 출신의 여성 유령이다.
  • '''실본''': 아버지와 그의 아내를 강간한 아버지를 살해한 젊은 남자의 유령이다. 그의 할아버지는 그에게 아버지의 뼈를 가지고 영원히 지구를 떠돌도록 저주를 걸었다. 그래서 그 청년의 유령은 그를 해친 두 남자(바람둥이와 술꾼)와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을 죽인다.
  • '''툴레비에하''': 멕시코의 라 요로나와 유사한 파나마코스타리카 출신의 여성 유령으로, 젊고 아름다운 여성이었는데, 강가에 버린 아이를 영원히 찾아 헤매야 하는 저주를 받아 박쥐 날개, 부풀어 오른 젖, 털이 있는 역발톱 다리, 털이 덮인 구멍이 있는 얼굴,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진 흉측한 짐승으로 변했고 낡은 툴레 모자를 쓰고 다닌다.
  • '''친디''': 나바호 신화에서 먼지 악마를 일으키는 원한 맺힌 유령이다.

4. 5. 아프리카

특정 문화에서 원귀는 대부분 생전에 부당한 대우를 받은 여성이라고 한다. 그러한 여성이나 소녀는 절망 속에서 죽었거나, 그들이 겪은 학대나 고문으로 인해 조기 사망했을 수 있다.[3][4]

엑소시즘과 달램은 원귀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화에서 행해지는 종교적, 사회적 관습 중 하나이다. 파라과이 북부의 아체족은 위험한 원귀를 품고 있다고 생각되는 노인들을 관습적인 매장 대신 화장했다.[5]

  • '''마담 코이 코이'''는 아프리카 도시 전설에 등장하는 여성 교사의 유령으로, 몇몇 학생들이 그녀의 죽음을 초래한 후 기숙 학교를 떠돈다.

4. 6. 오세아니아


  • 아스맛족 신화에서 서부 뉴기니의 ''Dambir ow''는 출산 중 사망한 여성의 유령이다. 인류학자 얀 포우어는 "무시무시한 외모, 날카로운 코, 날카로운 이빨, 긴 손톱, 머리카락처럼 붉은 눈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남자를 저승으로 데려가 가시로 고문하여 죽임으로써 복수한다"고 기록했다.[18]
  • 동남아시아 민간 전승에 나오는 야행성 여성 정령인 ''끄라쑤''(กระสือth)는 캄보디아에서는 ''Ap'' (អាបkm), 라오스에서는 ''Kasu'', 인도네시아에서는 Palasik, Kuyang, Leyak으로 알려져 있다.
  • 태국 민간 전승에서 ''피 타이 홍''(ผีตายโหงth)은 잔혹하거나 폭력적인 죽음을 맞이한 사람의 불안한 영혼이다.[19]
  • ''피 타이 통 끌롬''(ผีตายทั้งกลม) 또는 ''피 타이 통 끌롬''(ผีตายท้องกลม)은 태국 유령으로, 연인에게 배신당하고 버려진 후 자살한 임산부의 분노한 영혼이다.[20]
  • ''수앙기''는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 민간 전승의 사악한 정령이다.
  • ''순델 볼롱''은 인도네시아 신화에서 임신 중에 사망하여 무덤에서 출산하여 아기가 등에서 커다란 상처를 통해 나온 여성의 유령이다.[21]
  • ''웨웨 곰벨''은 인도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여성 유령으로, 아이들을 납치한다고 전해진다.[22]

5. 한국의 원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어야 '한국의 원귀' 섹션 내용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Ghosts of War in Vietn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Modern Goth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04
[3] 서적 The Village Gods of South India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88
[4] 서적 The Maldive Islanders, A Study of the Popular Culture of an Ancient Ocean Kingdom 1999
[5] 서적 Chronique des indiens Guayaki. Ce que savent les Aché, chasseurs nomades du Paraguay. Plon 1972
[6] 문서 The City of God
[7] 문서 Theogony
[8] 웹사이트 Crathes Castle http://www.aboutaber[...]
[9] 웹사이트 Nu Gui (女鬼) at the anime festival in Shenzhen, China http://store.steampo[...]
[10] 웹사이트 左傳中的厲鬼問題及其日後之演變 (The ideas of vengeful spirits in the Zuo Zhuan and later developments) https://web.archive.[...] 2013-03-04
[11] 서적 Child-bearing and culture: women centered revisioning of the traditional midwife : the dai as a ritual practitioner Indian Social Institute
[12] 서적 The Element Encyclopedia of the Psychic World Harper Element
[13] 간행물 The Female Element in Indian Culture
[14] 서적 Encyclopedia of Vampire Mythology McFarland
[15] 서적 Ghosts and the Japanese: Cultural Experiences in Japanese Death Legends Utah State University Press 1994
[16] 웹사이트 É de arrepiar: Mulheres de Branco - Supernatural Brasil http://www.supernatu[...]
[17] 웹사이트 Corpo-seco: quem é, origem e o que faz - Brasil Escola https://brasilescola[...]
[18] 서적 Gender, Ritual and Social Formation in West Papua: A Configurational Analysis Comparing Kamoro and Asmat https://books.google[...] Brill
[19] 웹사이트 Phi Tai Hong Thai book http://www.weloveboo[...]
[20] 웹사이트 Ghosts in Thai Culture https://archive.toda[...]
[21] 서적 The religion of Jav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웹사이트 Indonesian Ghosts https://archive.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