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경은 여성의 생식 주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자궁내막이 혈액과 함께 질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월경 주기는 약 28일이며, 난포기, 배란기, 황체기로 나뉜다. 초경은 여성이 처음으로 월경을 시작하는 것을 말하며, 폐경은 난소 기능 저하로 월경이 영구적으로 중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월경은 여성 건강의 중요한 지표이며, 월경 이상은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월경은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월경에 대한 인식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많은 문화권에서 월경을 특별하게 다루며, 특정 행동을 금지하거나 의식을 행하는 등의 전통이 존재한다.
월경 주기는 생리혈이 나오는 첫날부터 다음 월경 시작 전날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 주기는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한 달 간격으로 반복되며, 일반적으로 24일에서 38일 사이가 정상 범위로 간주된다[108][97][98]. 월경 주기는 크게 난포기, 배란기, 황체기의 세 단계로 나뉜다[109]. 각 단계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같은 여성 호르몬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된다[110]. 월경 전 식욕 변화 등 개인마다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월경 이상은 월경 주기, 기간, 양, 통증 등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의미한다.[135][126]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정의하는 정상 월경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2. 월경 주기
2. 1. 정의 및 특징
월경은 월경 주기에서 가장 가시적인 단계이며 생리혈이 나오는 첫날이 월경 주기의 시작이다. 보통 1달에 1번씩 월경을 한다. 월경 주기는 일반적으로 24~38일이다.[2][3] 성인 여성의 경우 21일에서 35일, 젊은 여성의 경우 21일에서 45일 사이이며,[2][3] 평균 기간은 28일(한 연구에서는 29.3일로 추산[10])이다. 월경 주기 길이의 변동성은 25세 미만 여성에게서 가장 크고, 25세에서 39세 사이 여성에게서 가장 규칙적이다.[11] 40세에서 44세 사이에는 변동성이 약간 증가한다.[11]
첫 월경은 사춘기 성장이 시작된 후에 나타나며 초경이라고 한다. 평균 초경 연령은 12세에서 15세 사이지만,[1][8] 8세 이전에 시작될 수도 있다.[2] 초경 연령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에서는 늦고 선진국에서는 빠르다.[3][9] 폐경은 월경이 완전히 멈추고 더 이상 생식 능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의학적으로는 1년 동안 월경이 없는 상태로 정의된다. 서구 국가에서는 보통 45세에서 55세 사이에 발생한다.[5][12] 45세 이전의 폐경은 조기 폐경으로 간주된다.[13] 폐경 전기는 생식 능력이 감소하고 월경이 불규칙해지는 시기이다.
월경은 보통 3~7일간 지속된다.[97] 한 달 동안 배출되는 월경혈의 평균량은 35ml이며, 10ml에서 80ml 사이가 일반적이다.[4]
월경혈은 정맥혈보다 약간 어두운 적갈색을 띤다.[4] 월경혈의 약 절반은 혈액이며, 여기에는 나트륨, 칼슘, 인산염, 철, 염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혈액 외에도 자궁경부 점액, 질 분비물 및 자궁내막 조직 등으로 구성된다.[15] 월경 중 질 분비물은 주로 물, 일반적인 전해질, 단백질 등을 포함한다.[15] 월경 중에는 조직처럼 보이는 혈액 덩어리인 혈전이 나타날 수 있다.[16] 자궁내막에 포함된 플라스민이라는 효소는 혈액의 응고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17] 대부분의 여성에게 월경으로 인한 철분 손실량은 비교적 적지만,[18] 과다한 월경 출혈은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20]
월경 주기 동안 호르몬 수치의 변동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는 월경 전이나 월경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자궁 근육 수축(월경통)이 포함된다. 많은 여성이 월경 중에 월경곤란증으로도 알려진 고통스러운 경련을 경험한다.[21] 성인 여성 중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한 통증을 경험하는 비율은 2%~28% 정도이다.[21] 일상생활과 기능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각한 증상은 월경전 불쾌 장애로 진단될 수 있다.[22] 이러한 증상은 일부 여성의 경우 직장, 학교, 일상 활동에서의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할 수 있다.[6]
월경 주기 중에 심한 골반 통증과 출혈이 갑자기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자궁외 임신 또는 유산 때문일 수 있다. 이상한 통증이 시작되는 즉시, 이상적으로는 임신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데, 자궁외 임신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23]
월경통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이다. NSAIDs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통증을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효과는 모두 비슷하다.[24] 여성 5명 중 1명은 NSAIDs에 반응하지 않아 아스피린이나 파라세타몰과 같은 간단한 진통제나 온열 찜질과 같은 대체 요법이 필요하다.[25] 통증 관리를 위한 다른 약물로는 복합 경구 피임약이 있다. 복합 경구 피임약이 사용될 수 있지만, 자궁 내 황체 호르몬의 효능에 대한 충분한 증거는 없다.[24] 한 검토 논문에서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침술이 유용할 수 있다는 잠정적인 증거를 발견했다.[26] 다른 검토 논문에서는 효과를 판단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27]
2. 2. 단계
월경 주기는 월경 시작일을 1일로 하여 다음 월경 시작 전날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약 28일이며, 24일에서 38일 사이가 정상 범위로 간주된다[108][97]. 일부 문헌에서는 25일에서 36일 사이를 정상으로 보기도 한다[98]. 월경 기간 자체는 보통 3일에서 7일간 지속된다[97].
월경 주기는 크게 난포기, 배란기, 황체기의 세 단계로 나뉜다[109]. 이 과정은 에스트로겐(난포 호르몬)과 프로게스테론(황체 호르몬)이라는 두 가지 여성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조절된다[110].3. 초경
처음으로 생리가 시작되는 것을 '''초경'''(初經, Menarche|메나키영어)이라고 한다. 옛날에는 “첫꽃(初花)”이라고도 불렀다.[111] 초경은 보통 사춘기 성장이 시작된 후에 일어나며, 평균 연령은 12세에서 15세 사이이다.[1][8] 하지만 개인차나 환경에 따라 8세 이전에 일어나기도 한다.[2]
=== 나이 ===
초경을 맞이하는 나이는 영양 상태와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영양과 건강 상태가 양호할수록 일찍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112] 초경 몇 달 전부터 투명하거나 흰색의 대하가 증가하는 변화를 겪은 후 초경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10세에서 15세 사이에 초경을 경험하며, 이는 음모가 나기 시작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고(타너 단계 2~3단계), 키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할 무렵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113]
평균 초경 연령은 영양 및 건강 상태 개선으로 인해 19세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3][9] 한국 역시 이러한 경향을 따라, 19세기 말에는 15세 전후였던 평균 초경 연령이 1997년에는 12세 2개월까지 낮아졌다.[114] 현재 한국 여성의 평균 초경 연령은 약 12.3세로 조사된다.[126] 첫 생리가 시작되는 평균 연령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에서는 늦고 선진국에서는 빠른 경향이 있다.[3][9]
초경 연령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분류 기준 연령 비고 조발월경 10세 미만 사춘기 조발증과 관련될 수 있음[115][116] 정상 범위 10세 ~ 15세 평균 12.3세[126] 지발월경 15세 이상 원발성 무월경 18세 이상 18세까지 초경이 없는 경우, 염색체 이상이나 성 발달 및 분화 이상 등을 의심해볼 수 있음[126]
=== 초경 후 변화 및 임신 가능성 ===
초경을 시작했다고 해서 바로 규칙적인 월경 주기나 배란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초경 후 1~2년 동안은 월경 주기가 불규칙하고 배란이 없는 '''무배란성 월경'''인 경우가 많다.[113] 따라서 임신 가능성은 비교적 낮지만, 배란이 일어난다면 임신은 가능하다.
=== 성장과의 관계 ===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유방 발달(Thelarche, 유방몽우리가 생기는 시기[117])과 외음부 발달 시작[118] 등 성인의 체형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초경 전후 1년 동안은 유방 전체가 부풀어 오르고(제1유방기, 이후 제2유방기), 골반이 앞쪽으로 기울어진 어린이 체형에 가깝지만, 점차 바로 서는 성인 여성 형태로 변화하면서 배가 들어가고 둔부가 커지는 등 체형 변화가 두드러진다.[119][120] 초경 약 1년 후에는 골반이 성인 여성 형태로 자리 잡고 성인 체형에 가까워진다. 유방은 초경 전후를 포함하여 약 4년에 걸쳐 발달한다.[121][122] 키 성장은 초경 시점에 이미 최고 속도를 지난 상태이므로, 초경 이후에는 키가 많이 자라지 않는 경향이 있다.[115]
=== 관련 질병 ===
초경 전후 시기에는 척추측만증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23]
=== 심리적 영향 ===
초경 당시의 경험이나 인상이 이후의 월경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예를 들어, 초경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가진 경우 월경전증후군(PMS)이나 월경통을 더 심하게 겪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111]
4. 월경 이상
구분 기준 월경 주기 25~38일 출혈 지속 기간 3~7일 출혈량 20ml~140ml 동반 증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미한 증상
월경을 경험하는 방식은 개인마다 다양하며, 정상 범주에서 벗어나는 여러 유형의 월경 이상이 있다.
용어 | 의미 |
---|---|
희발월경 | 드문 월경 (주기 35일 또는 39일 초과) |
과소월경 | 짧거나 양이 적은 월경 (10ml 또는 20ml 미만) |
빈발월경 | 잦은 월경 (주기 21일 또는 24일 미만) |
과다월경 | 양이 많거나 기간이 긴 월경 (매시간 생리대 또는 탐폰을 적시거나, 7일 이상 지속, 80ml 또는 140ml 이상) |
월경통 | 고통스러운 월경 |
월경 간 출혈 | 월경 기간 외 출혈 (돌파 출혈, 점상 출혈) |
무월경 | 월경 없음 |
- 무배란 월경
- 주기적인 출혈은 있지만 배란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무배란 월경주기라고도 한다.[36]
- 난포 발달이 시작되지만 완료되지 않아도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어 자궁내막을 자극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높은 에스트로겐 수치는 두꺼운 자궁내막을 형성하며, 이로 인한 출혈을 '에스트로겐 돌파 출혈'이라고 한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급격히 감소하여 발생하는 출혈은 탈출성 출혈이다.[36]
- 폐경 전이나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게서 흔히 나타난다.[37]
- 기초체온 측정 시 단상(monophasic) 패턴을 보인다. 엄밀히 월경은 아니며, 빈발 월경, 불규칙 월경, 과소 월경 등은 부정출혈로 취급되기도 한다.
- 무월경
- 임신하지 않은 가임기 여성이 3개월 이상[38] 또는 6개월 이상[39] 월경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 원발성 무월경: 만 18세까지 초경이 없는 경우. 염색체 이상, 성분화 장애, 내분비계 이상 등이 원인일 수 있다.[128]
- 속발성 무월경: 이전에 월경이 있던 여성이 3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 임신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그 외에 과도한 다이어트, 거식증, 과도한 운동(운동성 무월경)[127], 극심한 심리적 스트레스[40], 특정 질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월경통
- 월경 기간 중 발생하는 통증으로, 흔히 '생리통'이라고 부른다. 자궁 근육이 수축하여 박리된 자궁내막을 질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통이다.[135]
- 증상으로는 경련과 같은 복통,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메스꺼움(오심), 설사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21] 성인 여성의 2%~28%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심한 통증을 경험한다.[21] 젊은 여성에게 흔하며, 임신 경험 후 통증이 완화되는 경우도 있다.
-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이며, 중등도 이상의 통증 감소에 효과적이다.[24] 약 20%의 여성은 NSAIDs에 반응하지 않아 아스피린, 파라세타몰과 같은 진통제나 온열 찜질 등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25] 복합 경구 피임약도 사용될 수 있으나, 자궁 내 황체 호르몬 장치의 효과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24] 침술의 효과에 대해서는 잠정적인 증거가 있다는 연구[26]와 효과를 판단하기에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연구[27]가 있다.
- 월경전증후군(PMS) 및 월경전 불쾌 장애(PMDD)
- 월경 시작 며칠 전부터 나타나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말한다. 개인차가 크며, 요통, 복통, 두통, 부종, 메스꺼움, 식욕 변화, 유방 긴장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정신적으로 불안정해져 우울감이나 짜증을 느끼기도 한다. 이는 황체 호르몬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 증상이 매우 심하여 직장, 학교, 일상 활동에 지장을 줄 경우 월경전 불쾌 장애(PMDD)로 진단될 수 있다.[22][6][41]
- 기타
- 기능성 자궁 출혈: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출혈 이상으로, 주로 배란이 불규칙한(무배란) 폐경 전 여성에게 나타난다. 자궁근종 등 다른 원인일 수도 있으므로 의학적 진단이 필요하다. 비정상적인 출혈 시 임신 검사도 필요하다.
- 갑작스럽거나 심한 골반 통증 및 출혈은 자궁외 임신이나 유산의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즉시 의학적 확인이 필요하다. 자궁외 임신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23]
- 여성 성기 절제(특히 III형-음핵 절제술)를 받은 여성은 질구가 거의 막혀 월경혈 배출이 어렵고 극심한 통증을 겪는 등 심각한 월경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이는 아프리카 일부 지역 등에서 행해지는 인권 침해적인 관행이다.[42]
5. 폐경
폐경이란 난소 기능 저하로 인해 월경이 영구적으로 중단되는 생리적 또는 의원성 무월경 상태를 의미하며, 임신 능력이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129][130] 의학적으로는 월경이 없는 상태가 1년 이상 지속될 때, 1년 전을 기준으로 폐경으로 진단한다.[134] 일본에서는 "폐경"이나 한방에서 말하는 "혈의 도"라는 표현 대신 의료 현장이나 일상에서 "갱년기"라는 용어를 더 흔히 사용하며, 동사로는 "오르다"라고도 한다.
폐경은 나이가 들면서 난소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같은 호르몬 분비가 중단되기 때문에 발생한다.[130] 갱년기에 접어들면 여성의 몸은 호르몬 분비 변화를 겪고 월경은 불규칙해지며, 난소 속 난포가 소진되고 배란이 멈추면서 폐경에 이른다.[131][132][133][130]
월경 주기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40대에 시작되어 주기의 길이가 불규칙해진다.[129] 폐경 시기는 개인차가 커서 빠른 사람은 40대 초반, 늦은 사람은 50대 후반에 맞이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40세에서 55세 사이에 폐경을 맞이하는 것을 정상으로 간주한다.[130][134] 서구 국가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은 45세에서 55세 사이이며,[5][12] 미국 여성은 약 52세, 일본 여성은 약 50세이다.[130][134] 선진국에서는 45세 이전에 폐경이 오는 것을 조기 폐경으로 간주하며,[13] 질병, 특정 수술 또는 치료로 인해 폐경이 예상보다 일찍 발생할 수도 있다.[14]
폐경 전기는 여성의 생식능력이 감소하고 마지막 월경 전 몇 년 동안 월경이 불규칙해지는 시기를 말한다.[5] 폐경을 전후한 약 5년간의 시기를 "갱년기"라고 부른다.[135] 갱년기에는 월경 중단 외에도 호르몬 불균형과 심리적 영향으로 다양한 자각 증상을 겪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갱년기 장애라고 한다. 대표적인 증상인 열감(열기, 홍조)은 75~85%의 여성이 경험한다.[130]
폐경 후에는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골밀도가 저하되어 골다공증 위험이 커지고, 자궁, 질 등의 내생식기, 외음부, 유방 등이 위축된다.[130][136] 또한 피부와 점막이 얇아지고 건조해져 질의 저항력이 떨어지고 염증이 생기기 쉬워지며, 성교 시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증가한다.[136]
'''일본 산부인과학회 정의에 따른 월경 이상의 종류【폐지】와 문제점'''[126]
6. 월경과 건강
월경은 여성 건강의 중요한 지표로, 월경 주기에서 가장 눈에 띄는 단계이다. 생리혈이 나오는 첫날이 월경 주기의 시작이며, 보통 한 달에 한 번씩 찾아온다. 정상적인 월경 주기는 24일에서 38일 사이이다.
한 달 동안 배출되는 월경혈의 양은 평균적으로 35ml이며, 10ml에서 80ml 사이가 일반적이다. 월경혈은 정맥혈보다 약간 어두운 적갈색을 띠며,[4] 혈액 외에도 자궁경부 점액, 질 분비물, 자궁내막 조직 등으로 구성된다. 월경혈에 포함된 나트륨, 칼슘, 인산염, 철, 염화물 등의 함량은 개인마다 다르다.[15] 월경 중에는 조직처럼 보이는 혈액 덩어리(혈전)가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자궁내막에 포함된 플라스민이라는 효소가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17][16] 대부분의 여성에게 월경으로 인한 철분 손실량은 비교적 적지만,[18] 매달 과도한 월경 출혈이 있을 경우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20]
많은 여성이 월경 주기 동안 호르몬 변화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겪는다. 대표적인 것이 월경통으로, 이는 자궁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한다. 월경통이 심한 경우를 월경곤란증(dysmenorrhea)이라고 하며,[21] 성인 여성 중 약 2%~28%는 일상생활에 영향을 받을 정도로 심한 통증을 경험한다.[21] 증상이 매우 심각하여 일상생활과 기능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월경전 불쾌 장애(PMDD)로 진단될 수 있다.[22][6] 갑자기 심한 골반 통증과 출혈이 발생하거나 기존 증상이 악화될 경우, 자궁외 임신이나 유산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즉시 의학적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자궁외 임신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23]
월경통 완화를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치료법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이다. 이 약물들은 중등도에서 중증의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24] 하지만 일부 여성(약 5명 중 1명)은 NSAIDs에 반응하지 않아 진통제나 온찜질 같은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25] 아스피린이나 파라세타몰, 복합 경구 피임약 등도 통증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24] 침술이 단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잠정적인 증거도 있지만,[26]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다.[27]
월경 주기는 다른 건강 상태와 상호작용하기도 한다.
- 신경계 질환: 일부 여성은 에스트로겐 수치 변화와 관련하여 편두통 같은 증상이 특정 시기에 악화될 수 있다.[28]
- 간질: 간질이 있는 여성 중 상당수는 월경 주기와 관련하여 발작 빈도가 증가하는 '월경기 간질'을 경험할 수 있다.[29]
- 근골격계: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배란 전 단계에서 전방십자인대 손상 가능성이 더 높다.[30]
월경 주기, 양, 통증 등에 평소와 다른 변화가 있다면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6. 1. 월경 억제

프로게스테론 또는 프로게스틴을 사용하여 월경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배란기 20일째에 프로게스테론 또는 프로게스틴을 경구 복용하면 최소 20일 이상 월경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으며, 복용을 중단하면 2~3일 후에 월경이 시작된다.[50]
호르몬 피임법은 월경의 빈도, 기간, 심각도, 양, 규칙성 및 월경 관련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 가장 흔한 형태인 복합 경구 피임약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겐을 모두 포함하며, 주된 목적인 임신 예방 외에도 여러 월경 관련 증상 및 질환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무월경, 월경통(생리통), 월경 두통, 월경 과다(과다 월경), 월경 관련 또는 자궁근종 관련 빈혈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월경 주기를 규칙적으로 만들고 전반적인 월경량을 줄임으로써 가능하다.[51][52]
복합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여 여성이 의도적으로 월경을 지연시키거나 없애는 것을 월경 억제라고 한다.[53] 일부 여성은 단기적인 편의를 위해 월경을 미루기도 하고,[54] 다른 여성들은 가능하면 월경을 완전히 없애는 것을 선호하기도 한다. 이는 플라시보 알약을 건너뛰거나, 200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판매된 장기간 복용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시보 없이 활성 성분이 든 알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사용자 중 80%는 1년 이내에 무월경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55]
모유 수유 역시 월경을 억제할 수 있다. 모유 수유는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과 황체형성호르몬(LH)의 맥박성 분비에 대한 음성 피드백을 유발한다.[56] 이 피드백의 강도에 따라 모유 수유 여성은 난포 발달이 완전히 억제되거나, 난포는 발달하지만 배란은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정상적인 월경 주기가 재개될 수 있다.[57] 아기에게 젖을 자주 물릴수록 배란 억제 가능성이 높아진다.[58] 젖을 빠는 행위에 대한 반응으로 프롤락틴이 생성되는 것이 수유 중 무월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59] 평균적으로, 아기가 자주 젖을 빠는 완전 모유 수유 여성의 경우 출산 후 14.5개월 정도 지나면 월경이 다시 시작된다. 그러나 개인 간의 차이가 매우 커서, 출산 후 2개월 만에 월경이 재개되는 여성이 있는 반면, 최대 42개월까지 무월경 상태를 유지하는 여성도 있다.[60]
7. 월경 위생 관리
월경 중에는 배출되는 월경혈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월경 용품을 사용한다. 월경 용품은 월경혈을 흡수하거나 받아내도록 만들어졌으며, 다양한 종류가 있다. 크게 일회용 제품과 재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일회용 제품:
- 생리대: 속옷에 부착하여 월경혈을 흡수하는 패드 형태의 제품이다. 주로 목재 펄프나 젤 형태의 흡수체를 사용하며, 방수를 위해 플라스틱 안감을 덧대기도 한다.
- 탐폰: 레이온이나 면 혼방 소재로 만든 원통형 제품으로, 질 내부에 삽입하여 월경혈을 직접 흡수한다.
주요 재사용 가능 제품:
- 생리컵: 의료용 실리콘 등 인체에 안전한 재질로 만든 종 모양의 컵으로, 질 내부에 삽입하여 월경혈을 받아낸다. 일정 시간마다 비우고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 천 생리대: 면, 테리 클로스, 플란넬 등 천으로 만든 생리대이다. 세탁 후 재사용할 수 있으며, 직접 만들거나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다.
- 생리 속옷: 흡수층이 내장된 속옷 형태로, 생리대 없이 착용하거나 다른 월경 용품과 함께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세탁 후 재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어려움 등으로 인해 모든 여성이 이러한 시판 월경 용품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43][44] 이러한 상황을 월경 빈곤 또는 생리빈곤이라고 부르며, 이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월경 용품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한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47] 월경 용품을 구하기 어려운 여성들은 헝겊, 휴지 등 임시방편적인 재료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위생 문제나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45][46]
또한,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사용한 월경 용품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48] 사용한 생리대 등을 제대로 폐기하지 못하면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화장실이나 하수관 막힘 등 위생 시설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43] 영국의 텃밭 재배자 여성들처럼 특정 환경에 놓인 여성들이 월경 위생 관리에 필요한 시설 접근에 제한을 받는 경우도 보고되었다.[49] 월경 위생 관리는 단순히 개인의 청결 문제를 넘어 여성의 건강권 및 인권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다.
7. 1. 한국의 월경 위생 관리 현황
월경 기간 중에는 자궁에서 질을 거쳐 몸 밖으로 생리혈이 배출된다. 이 배출은 스스로 조절할 수 없으므로, 생리대, 탐폰, 생리컵과 같은 생리용품을 사용하여 흡수한다.개발원조 등에서는 “여성과 사춘기 소녀가 생리혈을 흡수하는 깨끗한 생리용품을 사용하고,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공간에서 월경 기간 중 필요한 만큼 교체할 수 있으며, 비누와 물로 필요할 때 몸을 씻고, 사용한 생리용품을 폐기하기 위한 시설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Menstrual hygiene management|월경 위생 관리영어(MHM)이라고 정의한다(WHO).[124]
유네스코는 여성과 소녀를 둘러싼 환경에서 월경 위생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괄호 안은 오사카 대학 스기타 에리에 의한 추가).[124]
-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월경에 관한) 지식
- 안전하고 적절한 가격으로 구입 가능한 생리용품
-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화장실과 (손과 몸을) 씻을 수 있는 시설
- 생리용품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폐기
- (월경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안심할 수 있는 (교사나 보건 의료 종사자 등) 전문가
- 보건 서비스 소개 및 접근
- (월경에 관한) 긍정적인 사회적 규범
- (월경에 관한) 옹호 활동과 정책[124]
(UNESCO, 2014년)
월경 위생에 대한 권리는 국제연합의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와 국제연합 조약에 명시된 권리에 근거한다.[125] 빈곤이나 주변의 이해 부족 등으로 충분한 생리용품을 이용할 수 없는 등 월경 위생 관리가 부족한 상태는 “생리빈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8. 월경과 사회문화
월경은 단순한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 각 사회와 문화 속에서 다양한 의미와 해석을 지니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역사적으로 월경은 여러 문화권에서 특별하게 다루어졌으며, 이는 금기나 의례, 축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현대 사회에서도 월경은 월경 교육, 생리 빈곤, 월경 휴가 등 여러 사회적 논의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8. 1. 명칭
영어의 “월경(menstruation)”이라는 단어는 어원적으로 “달(moon)”과 관련이 있다. “월경(menstruation)”과 “월경(menses)”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mensis|멘시스la (달)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고대 그리스어 μήν|메네grc (달)과 영어 단어 “month”와 “달”의 어근과 관련이 있다.[61]한국어에서는 '월경', '생리', '달거리' 등의 표현이 사용되며, 과거에는 '월수', '경수'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일본서기』의 야마토타케루가 미야스히메의 옷에 묻은 생리혈 자국을 발견하고 나눈 노래에 대한 설명에서 "月経"이라는 표현이 처음 등장하며[99], 이것이 일본에서의 첫 기록으로 여겨진다. 1872년, 오쿠야마 토라아키(奥山虎章)가 『[https://dl.ndl.go.jp/info:ndljp/pid/833035/108 의어류취(医語類聚)]』에서 영어 "Menses", "Menstruation"의 번역어로 "月経"을 채택했다.[100] 월경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기 전에는 "月水", "経水" 등으로 불렸지만, 시대나 사회 계급에 따라 "오마케(おまけ)", "오메구리(おめぐり)", "하츠하나(はつはな)", "메구리(めぐり)", "오테나시(おてなし)", "카리야(かりや)", "오테아이(おてあい)"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101] 대략 한 달 주기이기 때문에 예전부터 "달의 거리낌(月の障り)"이라고 불렸고, 다른 이름으로 "달의 것(月のもの)", "달의 재앙(月やく)", "달의 거리낌(月の障り)", "달님(お月様)"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102] 또한, 직접적인 표현을 금기어로 여겨 완곡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다른 이름이 존재한다.[103] 다이쇼 시대의 광고 등에는 "월역(月役)"이라는 명칭도 보인다.[100][104] 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생리(生理)"라는 표현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처음에는 완곡한 표현이었지만 점차 월경의 다른 명칭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다.[105] 이 외에도 같은 시기에 "멘스(メンス)"(menstruation, menses영어의 가타카나 표기 축약형)가 사용되었고, 종이 생리대 보급 이후에는 "안네(アンネ)"(생리용품 제조업체 이름에서 유래)[106], "손님" (나프킨을 방석에 비유하여 "미리 방석을 깔아 손님을 기다린다" 등으로 표현하기도 함), "도시락" (나프킨 포장 형태에서 유래) 등으로 불리게 되었고, 현대에는 "세일러문" {월경 주기가 달의 주기(29.5일)와 비슷하기 때문에} 등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려는 경향은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도 보여 "그것(あれ)", "그날(あの日)", "소녀의 날(女の子の日)", "여성의 날(女性の日)"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107]
한편, 일부 단체에서는 2010년 이후 사용되어 온 “월경하는 여성”이라는 용어 대신 “월경하는 사람(menstruator)”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62] 이 용어는 활동가와 학자들이 월경을 하지 않는 여성, 월경을 하는 트랜스젠더 남성, 그리고 간성 및 젠더퀴어 개인과의 연대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62] 이 용어는 서로 다른 페미니즘 사상 학파 간에 논쟁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페미니즘 학자들은 이 용어가 서로 다른 성별의 사람들이 월경을 한다는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본다.[62] “월경하는 사람들(people who menstruate)”이라는 용어도 사용된다.[63]
8. 2. 전통과 금기
월경이 주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많은 문화권에서는 이를 특별하게 다루며, 특정 행동을 금지하거나 특별한 의식을 치르기도 한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여자아이가 초경을 시작하면 가족들이 축하 파티를 열어주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여자아이가 초경을 맞으면 결혼하여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몸이 된 것을 축하하고 자신의 몸을 소중히 하도록 격려하는 의미에서, 팥을 넣어 지은 붉은 밥을 이웃과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었다.[143] 고대 일본에서는 피에 영적인 힘이 있어 풍요를 가져온다고 믿어 월경 중인 여성을 신성하게 여겼으나, 점차 월경을 꺼리는 인식이 생기면서도 '초경 축하 붉은 밥' 의례는 그 흔적으로 남게 되었다. 현대에는 이러한 의례가 점차 형식적인 이벤트로 변화하고 있다.여러 종교에서도 월경과 관련된 다양한 전통과 금기가 존재한다.
- 이슬람교에서는 꾸란 2장에서 월경 중인 여성과의 성관계를 금지한다.[64] 일부 학자들은 월경 중인 여성이 기도 전 정결 의식인 우두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꾸란의 아랍어 원본을 만지는 것도 금지된다고 본다.[65]
- 유대교에서는 월경 중인 여성을 '니다'라고 부르며 특정 행위를 금지하는데, 예를 들어 토라는 월경 중인 여성과의 성관계를 금한다.[66]
- 힌두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월경 중인 여성을 의식적으로 불결하다고 간주하며 지켜야 할 규칙들이 있다.[67][68]
-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여성의 월경이 9일 이상 지속되면 악마(다에바)의 소행으로 여겼다.[69]
- 불교는 인도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로 퍼지면서, 일부 경전에서는 여성(특히 여성에 대한 성욕)이 남성 수행자의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강조하며 여성 억압적인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여자는 부처가 될 수 없다는 여인오장설이나, 여성이 남성으로 변해야만 성불할 수 있다는 변성남자설 등이 나타나면서 불교 내 여성에 대한 불결 관념과 죄악관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반부터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월경을 더러운 것으로 여기는 관념이 정착되었는데, 이는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국을 거쳐 전래된 불교 종파인 밀교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월경 불결 관념은 지배층이나 권력층이 만들거나 중국에서 받아들인 사회 시스템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예로부터 일본에서는 월경 중인 여성이 신사 참배 등 신토 의례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다. 특히 무로마치 시대에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인 '혈분경'이 전래되면서 일본의 월경 불결 관념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144][148] 혈분경은 여성이 출산이나 월경 때 흘리는 피의 더러움 때문에 사후에 피의 지옥에 떨어지지만, 혈분경을 외우면 구원받을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44][148] 이는 일본 고유의 피를 꺼리는 사상과 불교의 여성 불결 관념이 합쳐져, 여성이 피를 흘리기 때문에 불결하다는 인식을 강화했다.[148] 현재도 일본에는 여성이 들어갈 수 없는 여인금제의 성지가 일부 존재하며, 스모(대일본상토)의 도효(土俵) 역시 여인금제인데, 이는 스모가 본래 신에게 바치는 의식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월경 중인 여성을 불결하거나 위험하며, 접촉하는 사람에게 불운을 가져온다고 여겨 금기시하고 격리하는 관습이 있다.[75] 이러한 관행은 인도를 포함한 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흔하게 나타난다.[76] 1983년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인도 여성들은 월경 기간 동안 가사 활동을 삼갔다.[77] 네팔 서부의 힌두교 공동체에서 행해지는 차우파디(Chhaupadi)는 월경 중인 여성이 일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대표적인 사회적 관습이다. 이 기간 동안 여성은 불결하다고 여겨져 집에서 쫓겨나 외딴 오두막(월경 오두막)에서 지내야 한다. 차우파디는 2005년 네팔 대법원에 의해 불법으로 규정되었고,[78][79] 2017년에는 관련 사망 사건 발생 후 범죄화되었지만, 이러한 전통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80] 일본에서도 월경 중인 여성을 격리하는 월경 오두막 관습이 비교적 최근까지 일부 지방에 남아 있었으며, 가족과 떨어져 식사하는 풍습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이어진 곳도 있었다.[145]
월경은 역사적으로 많은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월경 중인 여성이나 생리혈을 더럽고 두려운 대상으로 여기는 금기가 널리 퍼져 있으며, '타부(taboo)'라는 단어의 어원 자체가 월경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다. 세계적으로 "혈오(血穢, 피의 오염)" 사상에 기반한 "월경 불결시" 관념이 존재하며, 월경은 더럽고 부끄러운 것으로 여겨져 왔다.[144] 이러한 월경 금기는 여성의 행동을 제약하는 규칙으로 나타나기도 했다(예: 배 타기 금지, 음식 가공 금지 등).[144]
월경 금기와 젠더 규범은 깊이 연관되어, 여성이 특정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과 결합되기도 한다. 월경을 "부끄러운 것", "숨겨야 하는 것"으로 여기는 시각은 여성의 신체를 성적인 대상으로 보는 시선과 연결된다는 지적도 있다. 역사적으로 월경은 여성이 선거나 정치, 시민 사회 참여에 생리적으로 부적합하다는 주장의 근거로 악용되기도 했다. 월경은 여성에게 젠더에 따른 사회적 낙인과 불명예로 작용하며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2010년대 이후, 특히 영국의 긴축 재정 정책과 페미니즘 운동의 부상 속에서 저소득층 여성들이 생리용품을 구하기 어려운 생리 빈곤(period poverty) 문제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문제는 "빈곤에 대한 편견"과 "월경에 대한 편견"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을 안고 있다. 생리 빈곤을 겪는 여성들은 기본적인 필수품 부족으로 인한 신체적 불편함뿐 아니라, 월경을 숨겨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 속에서 수치심과 굴욕감을 경험하게 된다.[149]
월경은 여성 특유의 현상이라는 이유로 남성에게 숨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월경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유럽이나 일본 등지에서 월경 관련 활동을 펼치는 데 어려움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모든 문화권에서 월경을 부정적으로만 보는 것은 아니다. 서아프리카의 벵(Beng) 사람들은 월경혈을 신성하게 여기며 생식에서의 중요성을 인정한다.[81] 또한 고대 일본에서도 월경 중인 여성을 신성시했던 흔적이 있다. 세계적으로 월경을 더러운 것으로 여기는 관념은 지역에 따라 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점차 희미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남성과 여성의 월경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8. 3. 월경에 대한 인식
월경이 갖는 주기성 때문에 많은 문화권에서는 이를 특별하게 다루어 특정 행동을 금지하거나 특별한 의식을 치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여자아이가 초경을 시작하면 가족들이 축하 파티를 열어주기도 한다.월경에 대한 인식은 문화적 측면이 강하며, 지역과 사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여성들은 각 사회의 문화적, 사회적 가치관 속에서 월경을 경험한다. 많은 사회에서 월경 중인 여성이나 생리혈을 부정적으로 보거나 두려움의 대상으로 여기기도 했다. '타부'라는 단어의 어원 자체가 월경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을 정도이다. 세계적으로 "혈오(피의 오염)" 사상에 기반한 "월경 불결시" 관념이 존재했으며, 이로 인해 월경은 더럽고 부끄러운 것으로 여겨져 왔다.[144]
여러 종교적 전통 역시 월경에 대한 인식과 규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이슬람교에서는 꾸란 2장에서 월경 중인 여성과의 성관계를 금지한다.[64] 일부 학자들은 월경 중인 여성이 우두(청결 의식)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꾸란 원본을 만지는 것이 금지된다고 보기도 한다.[65]
- 유대교에서는 월경 중인 여성을 '니다'라고 부르며 특정 행위를 금지하는데, 토라는 월경 중인 여성과의 성관계를 금한다.[66]
- 힌두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월경 중인 여성을 의식적으로 불결하다고 간주하며 관련 규율이 존재한다.[67][68]
-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월경이 9일 이상 지속될 경우 악령(다에바)의 소행으로 여겼다.[69]
- 불교에서는 특히 남성 수행자에게 여성(에 대한 성욕)이 수행의 방해가 된다고 강조하며 여성 억압적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여인오장설(여성은 부처가 될 수 없음)과 변성남자설(여성은 남성으로 변해야 성불 가능) 등이 등장하며 여성에 대한 불결관 및 죄악관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종교적, 문화적 배경 속에서 월경 중인 여성을 격리하는 관습(월경 오두막)이 유대교, 힌두교, 일본 등 여러 문화권에서 나타났다.[145] 월경 중인 여성이 만진 물건이나 생리혈이 묻은 옷 등은 불결하게 취급되었다.[145] 네팔 서부 힌두교도의 차우파디(Chhaupadi) 관습처럼 월경 오두막은 현재도 일부 지역에 남아있다.[146][147]
일본의 경우, 고대에는 월경을 신성시하는 경향도 있었으나 헤이안 시대 중기부터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월경을 불결하게 여기는 관념이 정착했다. 이는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국을 거쳐 전래된 밀교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의 월경 불결시는 지배층이 만들거나 중국에서 도입한 사회 시스템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과거 일본에서는 월경 중인 여성이 신궁 참배 등 신사 관련 행사에 참여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인 "혈분경"이 전래되어 일본의 월경 불결 관념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144][148] 혈분경은 여성이 출산과 월경의 피로 인한 죄업으로 사후 피지옥에 떨어지지만, 경전을 외우면 구제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44][148] 이는 일본 고유의 피를 꺼리는 사상과 불교의 여성 불결관이 결합하여, 여성이 피를 흘리기 때문에 불결하다는 인식을 강화했다.[148] 현재도 일본에는 여인금제의 성지가 일부 존재하며, 스모 경기장의 토俵가 여인금제인 것은 스모가 본래 신사 의식이었던 흔적이다. 일본에서는 월경 대처법을 주로 어머니에게 배우는데, 이 과정에서 혈오나 혈분경 신앙의 영향으로 형성된 월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숨겨야 하는 것", "더러운 것")이 세대 간에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추측도 있다.
월경에 대한 타부와 젠더 규범은 깊은 관련이 있다. 월경을 "부끄러운 것", "비밀"로 여기는 시각은 여성의 신체를 성적인 대상으로 보는 사회적 시선과 연결된다고 지적된다. 역사적으로 월경은 여성이 선거나 정치 참여 등 공적 영역에 부적합하다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되며 여성의 사회 참여를 제한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했다. 즉, 월경은 여성에게 "젠더의 낙인과 사회적 불명예"로 작용해왔다.
월경 교육은 서구 국가에서는 성교육의 일환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여전히 많은 소녀들은 어머니를 월경 관련 정보의 주요 출처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70] 친구나 또래 집단과의 정보 공유는 월경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71] 사회 전체의 월경 교육 수준은 월경 현상에 대한 이해의 정확성을 좌우한다.[72] 월경이 금기시되는 사회에서는 소녀들이 월경 사실을 숨기려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명확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월경 교육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며, 학교, 또래 집단, 또는 제3자 기관이 교육 주체가 될 수 있다.[73] 특히 저소득층 소녀들은 적절한 교육 기회를 얻기 어려워 월경의 생리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이는 월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로 이어질 수 있다.[74]
최근에는 '생리빈곤' 문제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2016년 영국에서 긴축 재정 정책과 페미니즘의 부상 속에서 저소득층 여성 및 소녀들이 생리용품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부각되면서 이 용어가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2010년대 이후 SNS의 확산은 생리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정보를 공유하는 데 기여했으며, 생리빈곤 운동은 경제적 문제를 넘어 월경과 관련된 여러 비물질적 문제까지 다루는 페미니즘 운동의 일환으로 성장했다. 생리빈곤 문제는 "빈곤에 대한 편견"과 "월경에 대한 편견"이라는 이중의 타부를 안고 있다. 생리용품 지원을 받는 것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월경을 숨겨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은 월경을 경험하는 여성에게 신체적 불편함뿐 아니라 수치심과 굴욕감을 안겨주는 이중고가 된다.[149]
월경은 여성 특유의 생리 현상이라는 이유로 남성에게 숨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월경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타부시되는 경향이 유럽이나 일본 등지에서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하지만 월경을 불결하게 여기는 관념은 지역별로 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세계적으로 점차 희미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성별에 따라 월경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으며, 남성의 인식은 여성과 다르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명의 여성이 월경과 관련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장벽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8. 4. 월경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
월경은 단순한 생리 현상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며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월경이 갖는 주기성 때문에 많은 문화권에서는 이를 특별히 다루어 특정 행동을 금지하거나 특별한 의식을 치르게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여자아이가 초경을 시작하면 가족들이 축하 파티를 열어주기도 한다. 그러나 동시에 월경을 불결하고 부끄러운 것으로 여기는 부정적인 인식도 널리 퍼져 있다.[144] 이러한 인식은 '타부'라는 단어의 어원이 월경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깊게 자리 잡고 있다. 세계적으로 피의 오염에 기반한 월경을 불결하게 여기는 관념이 존재하며, 월경 중인 여성을 오두막(월경 오두막)에 격리하거나 특정 활동(배 타기, 식품 가공 등)을 제한하는 관습이 일부 지역에 남아있다.[144] 네팔 서부 힌두교도의 '차우파디' 관습이 대표적인 예이다.[146][147]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주요 종교에서도 월경과 관련된 규율이나 금기가 존재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월경 타부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이슬람교에서는 꾸란 2장에 월경 중인 여성과의 성관계를 금하며,[64] 일부 학자들은 월경 중인 여성이 꾸란 원본을 만지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5] 유대교에서는 월경 중인 여성을 '니다'라 부르며 토라에서 성관계를 금지한다.[66] 힌두교에서도 월경 중인 여성을 전통적으로 의식적으로 불결하게 여긴다.[67][68] 불교 역시 일부 경전에서 여성을 수행의 방해물로 묘사하거나, 여인오장설, 변성남자설 등을 통해 여성 불결관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이후 불교의 영향 등으로 월경을 불결하게 여기는 관념이 정착했으며,[144][148] 무로마치 시대에 전래된 위경 "혈분경"은 이러한 인식 강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144][148] 이 경전은 여성이 출산과 월경의 피로 인한 업으로 사후 피지옥에 떨어지지만 경전을 외우면 구제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44][148] 이러한 영향으로 일본에서는 월경 중 여성의 신사 참배를 금지하는 등의 관습이 있었고, 일부 여인금제 성지는 현재까지 남아있다. 월경을 "숨겨야 하는 것", "더러운 것"으로 여기는 부정적 인식은 현대에도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월경 교육의 부재나 부족 역시 사회적 문제로 지적된다. 서구 국가에서는 성교육 시간에 월경을 다루지만, 많은 소녀들이 여전히 어머니나 친구들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70][71] 그러나 사회 전반의 월경에 대한 터부 때문에 정확하고 긍정적인 정보 전달이 어려우며, 소녀들은 월경 사실을 숨기려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저소득층 소녀들은 적절한 성교육을 받지 못해 월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쉽다.[74] 효과적인 월경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강조된다.[73]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필요한 월경용품을 구매하지 못하는 생리빈곤 문제도 심각하다. 2016년 영국의 긴축 재정 정책 상황에서 저소득층 여성과 소녀들의 어려움이 부각되며 "생리빈곤"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이 문제는 SNS 확산과 함께 페미니즘 운동의 중요한 의제로 떠올랐으며,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 월경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타부라는 이중고를 드러낸다. 생리빈곤을 겪는 여성들은 신체적 불편함과 더불어 생활필수품 원조를 받는 것에 대한 사회적 오명과 굴욕감을 경험하기도 한다.[149]
일부 국가에서는 월경으로 인해 근무가 어려운 여성을 위해 월경 휴가 제도를 도입했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일본, 대한민국, 대만, 인도네시아 등에서 유급 또는 무급 휴가를 제공하고 있다.[91][92][93] 일본은 근로기준법 제68조에 이를 규정하고 있으며, 근대 이후 생리휴가를 법제화한 것은 일본이 처음이다.[151] 그러나 이 제도는 여성을 약하고 비효율적인 존재로 보는 시각을 강화하거나[91] 남성에게 불공평하다는 비판,[94][95] 성 고정관념을 조장하고 월경을 과도하게 의학적 문제로 취급한다는 우려 등으로 인해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일본 내에서도 여성차별철폐협약 비준 이후 제도의 존폐를 둘러싼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152]
역사적으로 월경은 여성을 사회적으로 배제하고 정치 참여 등을 막는 구실로 이용되어 왔다. 월경은 여성에게 젠더의 낙인처럼 작용하며 사회적 불명예를 안겨주기도 한다. 월경 타부와 젠더 규범은 깊이 연관되어, 월경을 "부끄러운 것", "비밀로 해야 하는 것"으로 여기는 시각은 여성을 성적인 대상으로만 보는 시선과 연결된다고 지적된다.
월경은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본 경제산업성의 2019년 추계에 따르면, 월경 관련 증상으로 인한 노동 손실액은 연간 4.911조엔, 관련 의료 및 의약품 비용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총비용은 연간 6.828조엔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0] 직장 내에서 월경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성희롱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남녀 동료 간 소통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153]
월경을 불결하게 여기는 관념은 지역에 따라 속도 차이는 있지만 세계적으로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9. 월경 중 성관계
월경 주기에 따라 성적 감정과 행동이 변화하기도 한다. 배란 전과 배란 중에는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 수치가 높아져 여성의 성적 활동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증가하고, 월경 직전과 월경 중에는 관심이 비교적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31] 하지만 다른 포유류와 달리 여성은 생식 능력과 관계없이 월경 주기의 모든 시기에 성적 활동에 관심을 보일 수 있다.[32]
의학적으로 월경 중 성교를 금지할 만한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과거 가톨릭에서는 서로마 제국의 신학자 아우구스티누스의 결혼론에 영향을 받아, 생식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월경 중 성관계는 교리상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보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에는 부부 관계 증진을 위한 성관계의 의미 또한 인정받고 있다.
일부 여성은 월경 중에 오히려 성욕 증가를 느끼기도 한다.[137][138] 일본의 산부인과 의사 河野美代子|고노 미요코일본어는 월경혈 처리가 가능하다면 성관계 자체에는 문제가 없으며, "월경 중에 성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에 의학적 근거가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39] 성관계로 인해 월경혈이 역류한다는 우려도 있지만,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aecologists|영국 왕립 산부인과 의사 협회영어에 따르면 월경혈 역류는 성관계 유무와 관계없이 월경 중 여성의 90%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140]
그러나 월경 중 성관계라도 임신 가능성은 있으므로, 임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평소와 같이 피임이 필요하다.[138][139][141] 또한 월경 중에는 자궁경부가 평소보다 열려 있어 감염 위험이 다소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파트너의 성감염증 감염 여부를 알 수 없다면 콘돔 등을 사용하여 안전한 성관계(safer sex|세이퍼 섹스영어)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141] HIV(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와 같은 성감염증 바이러스는 혈액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므로, 파트너에게 전염시키지 않기 위해서도 안전한 성관계는 중요하다.[138]
한편,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 공중보건학부의 Debby Herbenick|데비 허베닉영어 박사는 오르가슴 시 근육 수축이 월경통이나 불쾌감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142] 하지만 생리통 완화 방법은 다양하며, 성관계는 여성이 원할 때 하고 원하지 않을 때는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142]
10. 다른 포유류의 월경
대부분의 암컷 포유류는 발정 주기를 가지지만, 월경을 초래하는 월경 주기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포유류의 월경은 침팬지와 같은 일부 가까운 진화적 친척에서 발생한다.[96]
참조
[1]
서적
Women's Gynecologic Health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
[2]
웹사이트
Menstruation and the menstrual cycle fact sheet
https://web.archive.[...]
2015-06-25
[3]
논문
Menstruation in girls and adolescents: using the menstrual cycle as a vital sign
2006-11
[4]
웹사이트
Pregnancy: Physical Changes After Delivery
https://my.cleveland[...]
2024-08-16
[5]
웹사이트
Menopause: Overview
http://www.nichd.nih[...]
2013-06-28
[6]
논문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2011-10
[7]
웹사이트
Premenstrual syndrome (PMS) fact sheet
https://web.archive.[...]
2014-12-23
[8]
논문
Determinants of menarche
2010-09
[9]
논문
Is Female Health Cyclical? Evolutionary Perspectives on Menstruation
2018-06
[10]
논문
Real-world menstrual cycle characteristics of more than 600,000 menstrual cycles
2019-08-27
[11]
논문
The length and variability of the human menstrual cycle
1968-02
[12]
서적
The new Harvard guide to women's health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Clinical topic — Menopause
https://web.archive.[...]
[14]
논문
EMAS position statement: Predictors of premature and early natural menopause
2019-05
[15]
서적
The Vulva: Anatomy, Physiology, and Pathology
CRC Press
2013-03-22
[16]
웹사이트
Menstrual blood problems: Clots, color and thickness
http://women.webmd.c[...]
[17]
논문
The fibrinolytic enzyme system in normal menstruation and excessive uterine bleeding and the effect of tranexamic acid
https://pubmed.ncbi.[...]
1987-04
[18]
웹사이트
Iron-deficiency is not something you get just for being a lady
http://blogs.scienti[...]
SciAm
2011-07-27
[19]
논문
A prospective,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of premenopausal women with iron-deficiency anemia
1999-01
[20]
논문
A Review of Clinical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Iron Deficiency and Iron-Deficiency Anemia in Women with Heavy Menstrual Bleeding
2021-01
[21]
논문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ysmenorrhea
2014-01-01
[22]
웹사이트
Premenstrual syndrome (PMS)
https://www.womenshe[...]
2017-07-12
[23]
웹사이트
Ectopic Pregnancy Clinical Presentation: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http://emedicine.med[...]
[24]
논문
Dysmenorrhoea
2014-10
[25]
논문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resistance in dysmenorrhea: epidemiology, causes, and treatment
2018-04
[26]
논문
The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in women with primary dysmenorrh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6
[27]
논문
Acupuncture for dysmenorrhoea
2016-04
[28]
논문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strogen and migraines: a scoping review
2021-03
[29]
논문
Catamenial epilepsy: definition, prevalenc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2008-03
[30]
논문
Non-contact ACL injuries in female athletes: an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current concepts statement
2008-06
[31]
서적
Discovering Human Sexuality
Sinauer Associates, Inc.
[32]
서적
The Evolutionary Biology of Human Female Sex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My Fertile Period
https://web.archive.[...]
Cambridge Temperature Concepts Limited
[34]
논문
How regular is regular? An analysis of menstrual cycle regularity
2004-10
[35]
웹사이트
Oligoovulation
https://web.archive.[...]
about.com
2008-04-16
[36]
서적
Taking Charge of Your Fertility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37]
EMedicine
Anovulation
[38]
EMedicine
Menstruation Disorders
[39]
논문
Abnormal uterine bleeding
http://www.aafp.org/[...]
1999-10-01
[40]
논문
Functional hypothalamic amenorrhea and its influence on women's health
2014-11-01
[41]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1-01
[42]
웹사이트
Health risk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FGM)
https://www.who.int/[...]
[43]
논문
Menstrual Hygiene, Management, and Waste Disposal: Practices and Challenges Faced by Girls/Women of Developing Countries
2018-01-01
[44]
뉴스
Girls 'too poor' to buy sanitary protection missing school
https://www.bbc.com/[...]
2017-03-14
[45]
논문
Period of shame - The effects of menstrual hygiene management on rural women and girls' quality of life in Savannakhet, Laos
https://www.lunduniv[...]
2014-01-01
[46]
논문
Menstrual Hygiene Matters: a resource for improving menstrual hygiene around the world
2013-01-01
[47]
웹사이트
Period poverty
https://www.actionai[...]
[48]
보고서
Global Review of Sanitation System Trends and Interactions with Menstrual Management Practices: Report for the Menstrual Management and Sanitation Systems Project.
https://www.susana.o[...]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SEI)
[49]
논문
Leaks and pees: How women allotment gardeners manage bodily mess and the remains of early loss
https://thesociologi[...]
2023-12-12
[50]
논문
Progestin potency – Assessment and relevance to choice of oral contraceptives
2011-12-01
[51]
웹사이트
Medical Uses of the Birth Control Pill
http://www.youngwome[...]
2011-10-18
[52]
논문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16
2016-07-01
[53]
웹사이트
Delaying your period with birth control pill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54]
웹사이트
How can I delay my period while on holiday?
http://www.nhs.uk/ch[...]
National Health Service, United Kingdom
[55]
논문
Monthly Periods--Are They Necessary?
2015-09-01
[56]
웹사이트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https://www.ncbi.nl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01-01
[57]
논문
Lactational control of reproduction
[58]
서적
The Art of Natural Family Planning
The Couple to Couple League
[59]
논문
Prolactin response to suckling and maintenance of postpartum amenorrhea among intensively breastfeeding Nepali women
1996-02-01
[60]
웹사이트
Breastfeeding: Does It Really Space Babies?
http://www.ccli.org/[...]
Internet Archive
2008-01-17
[61]
서적
The Reluctant Hypothesis: A History of Discourse Surrounding the Lunar Phase Method of Regulating Conception
Lacuna Press
[62]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Critical Menstruation Studies
Springer Singapore
2020-01-01
[63]
뉴스
J.K. Rowling accused of transphobia after mocking 'people who menstruate' headline
https://www.nbcnews.[...]
2020-06-07
[64]
웹사이트
Surah Al-Baqarah - 222
https://quran.com/al[...]
[65]
웹사이트
Chapter: 6, Menstrual Periods
http://ahadith.co.uk[...]
[66]
성경
Leviticus 15:19-30, 18:19, 20:18
[67]
논문
Restriction and renewal, pollution and power, constraint and community: The paradoxes of religious women's experiences of menstruation.
2013-01-01
[68]
논문
Menstruation related myths in India: strategies for combating it
2015-01-01
[69]
서적
Avesta: The Sacred Books Parsen
[70]
논문
The Role of Mother in Informing Girls About Puberty: A Meta-Analysis Study
2016-03-01
[71]
논문
Effect of peer education in school on sexu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in girl adolescents
2015-12-30
[72]
논문
More than just a punctuation mark: How boys and young men learn about menstruation
2011-02
[73]
논문
The impact of schools and school programs upon adolescent sexual behavior
2002-02
[74]
논문
Puberty Experiences of Low-Income Girls in the United States: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Literature From 2000 to 2014
2017-04
[75]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Critical Menstruation Studies
Palgrave Macmillan
2021-02-27
[76]
서적
Culture and Depression: Studies in the Anthropology and Cross-Cultural Psychiatry of Affect and Disor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7]
서적
The Curse: A Cultural History of Menstru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78]
웹사이트
Nepal: Emerging from menstrual quarantine
http://www.refworld.[...]
2021-02-23
[79]
웹사이트
Women hail menstruation ruling
http://news.bbc.co.u[...]
2005-09-15
[80]
웹사이트
Menstrual Health and the Problem with Menstrual Stigma
https://www.fawco.or[...]
2019-09
[81]
웹사이트
Egyptians used papyrus—and other ways of handling periods through the years
https://www.national[...]
2023-11-29
[82]
서적
Vertebrate Endocrin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3
[83]
서적
1001 things everyone should know about the universe
Doubleday
1997
[84]
서적
How women got their curves and other just-so stories evolutionary enigma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85]
서적
Human Reproductive Bi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3
[86]
웹사이트
What's the link between the moon and menstruation?
http://www.straightd[...]
1999-09-24
[87]
웹사이트
The myth of moon phases and menstruation
https://helloclue.co[...]
Clue
2018-12-03
[88]
논문
Regulation of ovulation by human pheromones
1998-03
[89]
웹사이트
Does menstrual synchrony really exist?
http://www.straightd[...]
The Chicago Reader
2002-12-20
[90]
논문
Darwin's legacy: an evolutionary view of women's reproductive and sexual functioning
[91]
뉴스
Should Paid 'Menstrual Leave' Be a Thing?
https://www.theatlan[...]
2014-05-16
[92]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Critical Menstruation Studies
Palgrave Macmillan
[93]
서적
Menstrual Leave: Good Intention, Poor Solution
Springer
2021
[94]
웹사이트
Should women get paid menstruation leave?
http://www.salon.com[...]
2006-10-11
[95]
웹사이트
Menstrual Leave: Delightful or Discriminatory?
http://lipmag.com/cu[...]
2013-08-04
[96]
논문
The evolution of endometrial cycles and menstruation
1996-06
[97]
서적
生化学辞典 第2版
[98]
웹사이트
月経周期
https://www.msdmanua[...]
[99]
논문
景行記の歌と散文(I): 表現空間の解読と注釈
https://hdl.handle.n[...]
明治大学教養論集刊行会
[100]
논문
月経の名称 : 現代の月経
http://id.nii.ac.jp/[...]
跡見学園女子大学
[101]
논문
<資料>御所ことば語彙の調査研究 : 続編食物を除く
http://id.nii.ac.jp/[...]
京都府立大学学術報告委員会
[102]
서적
おんなの身体論 月経・産育・暮らし
岩田書院
2018-10-11
[103]
서적
おんなの身体論 月経・産育・暮らし
岩田書院
2018-10-11
[104]
논문
大正期の「母親による性教育モデル」の形成
https://hdl.handle.n[...]
首都大学東京人文科学研究科
[105]
서적
おんなの身体論 月経・産育・暮らし
岩田書院
2018-10-11
[106]
논문
人間発達における女性の特質:思春期と月経
http://id.nii.ac.jp/[...]
1998-03-15
[107]
서적
おんなの身体論 月経・産育・暮らし
岩田書院
2018-10-11
[108]
웹사이트
月経周期 - 22. 女性の健康上の問題
https://www.msdmanua[...]
MSD
2022-04
[109]
웹사이트
女性の生殖内分泌学 - 18. 婦人科および産科
https://www.msdmanua[...]
[110]
웹사이트
卵胞ホルモン・黄体ホルモン配合製剤の解説
https://medical.nikk[...]
2024-03-31
[111]
서적
布ナプキン:こころ、からだ、軽くなる
産経新聞出版
2010
[112]
논문
日本における初潮年齢の推移
https://doi.org/10.3[...]
1980
[113]
논문
思春期の発現
https://doi.org/10.3[...]
山梨大学看護学会
2004
[114]
서적
おんなの身体論 月経・産育・暮らし
岩田書院
2018-10-11
[115]
웹사이트
思春期早発症
http://jspe.umin.jp/[...]
[116]
논문
早発月経・遅発月経
1992-11
[117]
웹사이트
バストの先が痛がゆい|からだの疑問|小学生・中学生女の子下着の悩み解決
https://www.wacoal.j[...]
ワコール
2021-08-03
[118]
웹사이트
三宅婦人科内科医院・外陰部の発育
http://www.miyake-cl[...]
2015-11-21
[119]
웹사이트
バストと初経のヒミツの関係
https://www.wacoal.j[...]
ワコール
2021-08-27
[120]
웹사이트
『初経』をキーにした現代ティーンの成長と体型変化について
http://www.cocoros.j[...]
2019-04-17
[121]
웹사이트
ワコール探検隊|「少女」から「おとな」へ約4年間で変化する成長期のバスト
http://www.wacoal.jp[...]
ワコール
2021-01-15
[122]
웹사이트
バストの発育、形態とブラジャーの関係
http://www.wacoal.jp[...]
2016-05-11
[123]
웹사이트
脊柱側わん症-現状と治療
https://www.yobouiga[...]
[124]
웹사이트
グローバル化時代の月経(生理)と人類学
https://ic.hus.osaka[...]
2024-01-24
[125]
웹사이트
The Right to Menstrual Hygiene: Period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lawblogs.uc.[...]
2021-11-01
[126]
논문
研修コーナー:症候論(その1)
http://fa.kyorin.co.[...]
[127]
논문
一流柔道選手の体重管理と月経現象の現状
https://doi.org/10.2[...]
2002
[128]
논문
性早熟・男性化
https://doi.org/10.2[...]
1992
[129]
웹사이트
閉経
https://www.msdmanua[...]
2024-03-31
[130]
웹사이트
閉経
https://www.msdmanua[...]
2024-03-31
[131]
웹사이트
更年期の身体の変化|更年期障害・更年期の悩みのことなら更年期ラボ
https://ko-nenkilab.[...]
2024-03-31
[132]
웹사이트
女性のライフサイクルと閉経後の体の変化
https://mirrazatsuru[...]
ミラザ新宿 つるかめクリニック
2024-03-31
[133]
웹사이트
これは閉経ですか? {{!}} 公益社団法人女性の健康とメノポーズ協会
https://www.meno-sg.[...]
2024-03-30
[134]
웹사이트
更年期障害
https://www.jsog.or.[...]
2024-03-31
[135]
웹사이트
経異常・排卵障害
https://kompas.hosp.[...]
[136]
웹사이트
萎縮性腟炎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https://www.jaog.or.[...]
2024-03-30
[137]
웹사이트
Is it weird to feel hornier than usual during my period?
https://goaskalice.c[...]
コロンビア大学
2003-09-19
[138]
웹사이트
Is It Safe to Have Sex During Your Periods? Tips, Benefits, and Side Effects
https://www.healthli[...]
Healthline
2018-09-29
[139]
웹사이트
心と体の交差点
https://www1.e-shoga[...]
小学館
2014-08-12
[140]
서적
Management of Infertility for the MRCOG and Beyond
ケンブリッジ大学出版局
[141]
웹사이트
6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Having Sex During Your Period
https://www.health.c[...]
메레디스・코포레이션
2015-02-09
[142]
웹사이트
Q&A: Can Having Sex Help To Alleviate Menstrual Cramps?
https://kinseyconfid[...]
Kinsey Institute for Research in Sex, Gender, and Reproduction
2008-07-07
[143]
웹사이트
世界中の女の子が「初めての生理」を経験したとき
https://www.buzzfeed[...]
BuzzFeed Japan
[144]
웹사이트
「虚偽の強姦」多発の真相…「女は嘘つき」はなぜ“定説”となったのか
https://gendai.media[...]
2020-12-18
[145]
웹사이트
いまどき島根の歴史 第16話 生理をめぐる風習
https://shimane-koda[...]
2022-01-30
[146]
웹사이트
生理中の女性隔離、ネパールの15歳少女が死亡
https://www.cnn.co.j[...]
CNN.co.jp
2016-12-23
[147]
웹사이트
【ネパール】女子生徒の月経衛生事業
https://www.gnjp.org[...]
[148]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旧版)内の血の池地獄の言及
https://kotobank.jp/[...]
[149]
웹사이트
‘My Charity Shouldn’t Exist In Two Years’: What Happens Next To Truly Eradicate Period Poverty?
https://eachother.or[...]
2021-01-18
[150]
간행물
健康経営における女性の健康の取り組みについて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ヘルスケア産業課
2019-03-00
[151]
서적
생리휴가의 탄생
청궁사
[152]
웹사이트
雇用における男女の機会の均等及び待遇の平等の確保のための法的整備について - 婦人少年問題審議会建議
https://www.ipss.go.[...]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1984-03-26
[153]
뉴스
性ホルモンを学ぶ④職場で話せる?女性の体調 理解したい男性に「セクハラ懸念」の壁
https://www.sankei.c[...]
산케이 디지털
2021-12-28
[154]
웹인용
산부인과에서 말하는 숫자들
http://www.ysjoy.co.[...]
2020-08-14
[155]
웹인용
암의 진화발생생물학(2) – Sciencetimes
https://www.sciencet[...]
사이언스타임즈
2009-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