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일은 대한민국의 피리 연주자, 작곡가, 음악감독이다.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나 국립국악고등학교에서 피리를 전공하고,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이며, 월드뮤직 그룹 푸리 대표, 국립무용단 음악감독, 한국예술종합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폐막식 음악감독,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예술감독 등으로 활동하며 영화, 드라마 음악 작업과 방송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연출가 - 김현준 (연출가)
- 무형유산 - 공옥진
공옥진은 1931년 출생하여 판소리와 춤을 결합한 1인 창무극을 개척하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80세에 사망했다. - 무형유산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국가가 지정한 무형의 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 협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전승자 지원과 젊은 세대 관심 유도 등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회적 합의 부족, 전승 체계 유지의 어려움, 정부 예산 축소 등 과제도 안고 있다.
원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원일 |
로마자 표기 | Won Il |
한글 표기 | 원일 |
한자 표기 | 元一 |
출생일 | 1967년 10월 19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직업 | 한국 전통 음악 연주자, 작곡가, 지휘자, 프로듀서 |
악기 | 피리, 타악기, 전자 악기 |
웹사이트 | 원일 페이스북 |
경력 | |
관련 활동 | 월드뮤직그룹 푸리 대표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음악극집단 바람곶 대표 화엄음악제 총감독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여우락 예술감독 2018 동계 올림픽 개폐막식 음악감독 2019년 전국체육대회 100회 개폐막식 총감독 |
소속 그룹 |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현재) |
학력 | |
학력 | 추계예술대학교 피리/타악 전공 중앙대학교 대학원 작곡 전공 UCLA 민족음악학 객원 연구원 |
활동 시기 | 1986년 ~ |
2. 학창시절
원일은 1967년 10월 1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1] 초등학교 시절부터 주변의 깨진 항아리, 찌그러진 냄비, 판자, 막대기, 쇠파이프, 대나무 등 소리가 나는 모든 것을 악기처럼 두드리며 남다른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40] 특히 스네어 드럼과 리코더 연주를 즐겨 했으며, 중학교에 진학해서는 밴드부에 들어가 클라리넷을 연주하기 시작했다. 그는 클라리넷의 매력에 깊이 빠져 입이 부을 정도로 연습에 매진했다.[40][1] 이러한 음악 활동은 어린 시절 겪었던 개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음악적 에너지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41][2]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이다.[9]
원일은 작곡가, 연주가, 음악 감독으로서 폭넓은 음악 활동을 펼쳤다. 그는 솔로 음반을 발표하고 푸리, 바람곶, 어어부 프로젝트, 도시락특공대 등 여러 음악 그룹 활동에 참여하였다. 또한 영화 음악과 드라마 음악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꽃잎, 아름다운 시절, 황진이 등의 작품으로 대종상 음악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음악성을 인정받았다.[32][46] 그의 주요 작품 활동은 음반 발매와 영화 및 드라마 음악 작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세한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악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밴드부 선배의 영향으로 국립국악고등학교에 입학하여 피리를 전공하게 되었다. 어릴 적부터 타악기에 재능을 보였던 그는 국악고에서 사물놀이를 접하게 되었고, 당시 사물놀이를 지도하던 '사물놀이'의 원년 멤버이자 쇠잡이였던 김용배(작고)는 그의 재능을 알아보았다.[40][3] 김용배와 강대근 선생과의 만남은 단순한 타악기 지도를 넘어, 음악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눈뜨게 하는 중요한 경험이었다. 특히 김용배의 음악과 존재는 원일의 음악적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42][43] 국악고등학교에서 반장과 전교회장을 역임하며 학업에도 충실했지만, 서울대학교 진학에는 실패했다.[4]
이후 당대 피리 명인 정재국 선생이 있는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에 1986학번으로 입학하여 피리를 전공하고, 사물놀이를 포함한 타악기를 부전공하며 본격적인 전통음악 연주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4] 대학 시절에는 전통춤 공연의 반주 음악을 실황으로 연주하자는 취지로 여러 대학 국악과 학생들과 함께 '소리사위'라는 연주 단체를 결성했다. '소리사위'는 대금 변제남, 해금 박경숙, 거문고 허윤정, 타악 유경화, 타악·노래 김용우, 가야금·타악 권성택, 피리·타악 원일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시대적 고민을 한국 전통음악으로 표현하고 실천하고자 했다.[44][5]
이 시기에 박치음[45][6], 김민기, 유인택 등 당시 운동권으로 분류되던 문화계 인사들과 교류하기도 했다. 특히 1988년 서울 올림픽이 열리던 해인 1988년 광복절에는 마당극 전용극장으로 개관한 '예술극장 한마당'(대표 유인택)에서 박치음의 주도로 '통일노래 한마당'[7] 행사가 열렸는데, '소리사위'가 전체 음악 반주를 맡아 민중가요를 국악기로만 연주하는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다.[8]관련 기사
3. 주요 활동
기간 활동 내용 1993–2004 월드뮤직그룹 푸리 대표 [10] 2000–2002 국립무용단 음악감독 2002–2015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작곡(지휘)과 교수 [11] 2004–2011 한국음악앙상블 바람곶 대표 [12] 2006–2018 화엄음악제 음악감독 → 총감독 [13] 2009–2010 21세기 한국음악 프로젝트 음악감독 2010 예술의전당 공연분과 자문위원 [14] 2012–2015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2017–2018 국립극장 여우락 페스티벌 예술감독 [15]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폐막식 음악감독 [16] 2019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개·폐막식 총감독 [17] 2020–현재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예술감독 [18]
4. 수상 이력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 비고 1990 국립국악원 전국 국악 경연 대회 대상 (피리 부문)[19] 원일 1994 한국무용협회 서울 무용제 음악상[20][21] 족보 1995 한국문예진흥원 신세대 최우수 작곡가 선정[22] 꽃상여 1996 대종상 음악상[23] 꽃잎 1999 대종상 음악상[24] 아름다운 시절 춘사영화제 음악상[25]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음악상[26]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제35회 올해의 최우수 예술가 음악 부문 원일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작곡 부문[27] 원일 2000 대종상 음악상[28] 이재수의 난 KBS 국악대상 작곡상[29] 원일 2008 대종상 음악상[30] 황진이 2015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올해의 최우수 예술가상 음악 부문[31] 원일
5. 작품
5. 1. 음반
연도 | 아티스트 | 음반명 | 음반사 | 비고 |
---|---|---|---|---|
1996 | 원일 | 꽃잎 | 삼성뮤직 | 영화 꽃잎 사운드트랙[46] |
1997 | 어어부 프로젝트 | 손익분기점 | 동아기획 | 1집, 편곡 및 연주 참여 (북, 장고, 꽹과리, 바라, 비브라 슬랩, 아프리카북)[46] |
원일 | Asura | AK | 1집 솔로 앨범[46] | |
도시락특공대 | 맛있는 옴니버스 도시락특공대 | 동아기획/킹레코드 | 1집, 연주 참여 (불 (연주곡))[46] | |
1998 | 원일 | 아름다운 시절 | 웅진미디어 | 영화 아름다운 시절 사운드트랙[46] |
1999 | 푸리 | 移動 | 예전미디어 | 1집[46] |
원일 | 이재수의 난 | 소니 뮤직 | 영화 이재수의 난 사운드트랙[46] | |
원일 | 링 | 소니 뮤직 | 영화 링 사운드트랙[46] | |
2000 | 도시락특공대 | 圖時樂特功隊2 Behind Story | 도레미 레코드 | 2집, 연주 참여 (유위자연 (有爲自然) (연주곡))[46] |
2003 | 원일 | 원더풀 데이즈 | 플럭서스 뮤직/서울음반 | 애니메이션 원더풀 데이즈 사운드트랙[46] |
원일 | 원더풀 데이즈 [Special Edition] | 플럭서스 뮤직 | 애니메이션 원더풀 데이즈 사운드트랙 스페셜 에디션[46] | |
2007 | 푸리 | Neo Sound Of Korea | 엠넷 미디어 | 2집[46] |
2011 | 바람곶 | 바람곶 | 유니버설 뮤직 | 1집[46] |
5. 2. 영화/드라마 음악
wikitext연도 | 영화 (드라마) | 감독 | 수상 |
---|---|---|---|
1995 | 길 위에서 | 장선우 | |
1996 | 꽃잎 | 장선우 | 대종상 |
1998 | 강원도의 힘 | 홍상수 | |
1998 | 아름다운 시절 | 이광모 | 대종상 |
1998 | 내 마음의 풍금 | 대종상 | |
1999 | 링 | 김동빈 | |
1999 | 이재수의 난 | 박광수 | 대종상 |
1999 | 유령 | 대종상 | |
2002 | 생활의 발견 | 홍상수 | |
2002 | 나비 | ||
2003 | 원더풀 데이즈 | 김문생 | |
2003 | 오구 | 이윤택 | |
2003 | 거울 속으로 | 김성호 | |
2003 | 파란 하늘 | ||
2005 | 오늘이 | 이성강 | |
2006 | 불멸의 이순신 (드라마) | 이성주 | |
2007 | 황진이 | 장윤현 | 대종상 |
2011 | 혈투 | 박훈정 | |
2012 | 가비 | 장윤현 |
6. 방송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이 섹션에는 별도 내용 없음)
6. 1. 라디오
- 국악방송에서 '여시아문'(如是我聞)을 진행하였다.[47][48]
- 국악FM에서 '원일의 여시아문'을 2016년부터 진행하고 있다.[34]
6. 2. TV
7. 저서 (공저)
8. 예술적 지향성
원일의 예술 세계는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을 탐색하는 독창적인 지향성을 보여준다. 그의 음악은 국악의 대중화에 기여하는 대중성, 전통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창작성, 장르와 분야를 넘나드는 확장성, 열린 자세로 다양한 요소를 수용하는 개방성, 그리고 음악을 통한 정신적 경험을 추구하는 영성이라는 다섯 가지 핵심 요소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원일만의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하는 기반이 된다.
8. 1. 대중성
푸리 활동 초기부터 그의 공연은 기존 한국 음악 관객에게서 보기 드문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대중음악 그룹 넥스트, 패닉의 O.S.T. 음반 작업에 참여하는 등 기존 국악계에서는 보기 힘든 대중적 행보를 통해 젊은 음악 팬층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국악이라는 장르를 단순히 국가 정체성 강화 수단으로 여기던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창작자와 감상자가 함께 즐기는 창의적인 현대 음악의 한 분야로 대중의 인식을 넓히는 데 역할을 했다.8. 2. 창작성
그는 국가무형문화재 이수자이며, 정악 분야(자진한잎 계면두거)에서 국립국악원 주최 전국국악경연대회 대상을 수상하는 등 전통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그의 역할은 전통의 단순한 '수호'에 머무르지 않고 '창신(創新)'에 중점을 두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시작된 창작 활동은 계속해서 발전했으며,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며 국악 창작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현재 그는 한국 음악의 창작 원리를 즉흥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위에서 찾고, 이를 바탕으로 ‘신아위(神我爲)’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안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8. 3. 확장성
원일의 음악은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가는 확장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불특정 다수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다가가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어린 시절부터 소고, 리코더, 플루트, 클라리넷, 꽹과리, 장구 등 다양한 악기를 배우고 작곡과 제작을 경험한 것이 그의 음악적 자양분이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마치 신시사이저처럼 필요에 따라 결합되어 MIDI처럼 다양한 음악적 결과물로 나타난다.그의 초기 음악인 '신뱃놀이'를 비롯하여 수많은 영화 음악 OST 작업, 평창 동계 올림픽 및 전국체육대회 개·폐회식 음악감독 활동 등 그의 폭넓은 예술 활동은 이러한 확장성을 잘 보여준다. 그의 작업들은 과거와 미래, 동양과 서양이라는 경계를 넘어 다양한 음악적 정체성을 융합하는 시도였다.
8. 4. 개방성
원일은 한국 전통 음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공연의 '개방적 구조'를 자신의 음악 활동에서 꾸준히 추구해 왔다. 이러한 개방성은 그의 작품 속 음악 구조나 무대 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그의 전체적인 음악 활동 이력에서도 폭넓게 나타난다. 초기 그룹 '푸리'에서의 퓨전 음악 활동이나, 1990년대 초 일본 및 유럽 국가 투어를 진행하면서 전문적인 매니지먼트를 도입한 것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기존의 전통적인 원칙이나 형식에 얽매이기보다 새로운 요소를 받아들여 기존의 틀을 발전시키는 방식을 선호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음악적, 경험적 지평을 넓혀나갔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나 국립극장 산하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과 같이 안정적인 제도권 내 위치에 머무르기보다, 전라남도 구례 화엄사에서 열리는 '화엄음악제' 등을 통해 정신성과 월드 뮤직을 탐구하는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모습에서 그의 개방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다.8. 5. 영성
원일 음악의 궁극적인 가치이자 본질적인 특징은 정신성이다. 그의 음악은 단순히 듣는 것을 넘어, 연주자와 청중 모두에게 '음악을 함으로써' 주체의 정신적인 경험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경험이 공동으로 이루어질 때, 마치 자기장처럼 더 큰 영향력을 만들어낸다고 본다.이는 원일이 추구하고 재해석한 '시나위' 개념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는 한국 음악의 창의적 원리를 가장 오래된 음악 용어 중 하나인 '시나위'에서 찾으며, 이를 '신아위(神 我 爲)'라는 새로운 개념과 현상으로 확장하고자 했다. '시나위'는 본래 무속이나 연극에서 연주되던 즉흥적인 합주 음악으로, 여러 악기가 각자의 선율을 자유롭게 연주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특징을 지닌다. 원일은 이러한 시나위의 다성적이고 즉흥적인 흐름, 그리고 현장에서의 생생한 연주를 통해 음악적 '현상'을 만들어내려 시도한다.
그의 이러한 지향점은 실제 활동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나 국립극장 산하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과 같은 제도권 내에서의 안정적인 지위를 유지하는 대신, 전라남도 구례 화엄사에서 열리는 '화엄음악제'를 통해 정신성과 월드 뮤직을 탐구하는 새로운 길을 선택한 것이 대표적이다. 또한, 2020년 경기도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으로 부임한 직후, 25년 역사를 가진 악단의 이름을 '경기 시나위 오케스트라'로 변경한 것은 그의 음악적 지향점인 '시나위' 정신을 제도권 안에서도 구현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21세기 문화 문화인] 작곡가 원일씨"
https://zetawiki.com[...]
서울칼럼니스트모임
2000-10-16
[2]
웹사이트
국악인 원일, 한국 음악의 22세기 지도를 그리다 : COVER STORY
https://m.post.naver[...]
2020-03-18
[3]
웹사이트
The Timbre of Moonlight: Won Il on bringing traditional instruments to a modern audience
https://londonkorean[...]
2013-06-14
[4]
웹사이트
전통음악/전설의 풍물, 미래의 가락
http://legacy.h21.ha[...]
2020-03-19
[5]
간행물
그들의 이력서 : 젊은 베르테르, 다르게 쓰는 결말 - 예술감독 원일
https://webzine.kotp[...]
[6]
간행물
"[인터뷰] 운동권 가요의 숨은 거물 박치음 교수"
http://weekly.chosun[...]
2020-03-19
[7]
웹사이트
예술극장 한마당 8월15일 개관
https://www.mk.co.kr[...]
2020-04-27
[8]
웹사이트
마당극 전용공연장 생긴다
https://news.joins.c[...]
2020-04-27
[9]
웹사이트
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피리正樂 및 大吹打)
http://www.heritage.[...]
2020-04-27
[10]
웹사이트
"[원일 타악그룹 '푸리'] 두드려서 여는 화음의 세계"
https://news.chosun.[...]
2020-04-27
[11]
웹사이트
"[한국의 성공사례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http://monthly.chosu[...]
2020-04-27
[12]
웹사이트
국립극장 - 바람곶
https://www.ntok.go.[...]
2020-04-27
[13]
웹사이트
원일식 하드코어
http://www.noblessem[...]
2020-04-27
[14]
뉴스
예술의전당 공연자문위원 김덕기 교수 등 20명 위촉
https://m.fnnews.com[...]
2010-06-13
[15]
웹사이트
국립극장 - 공연 > 여우樂
https://www.ntok.go.[...]
2020-04-27
[16]
웹사이트
"[평창]'강남스타일'과 '이매진', 개막식 음악 선곡 이유 있었다"
https://www.edaily.c[...]
2020-04-27
[17]
웹사이트
제100회 전국체전 서울개최 D-100…성화 첫 전국 봉송
https://www.yna.co.k[...]
2020-04-27
[18]
웹사이트
예술감독
http://gugak.ggac.or[...]
2020-04-27
[19]
웹사이트
국악경연 대상에 원일씨
https://news.joins.c[...]
2020-04-27
[20]
웹사이트
(제16회) 서울무용제 ; 족보 ; 토템
https://www.daarts.o[...]
2020-05-17
[21]
웹사이트
역대참가팀/수상자
http://sdf1979.korea[...]
2020-05-17
[22]
웹사이트
국립국악관현악단 제56회 정기연주회 <新, 들림>
https://blog.naver.c[...]
2020-04-27
[23]
웹사이트
제34회 대종상 「애니깽」작품-감독상
https://newslibrary.[...]
2020-05-17
[24]
웹사이트
'아름다운 시절'작품상
https://newslibrary.[...]
2020-05-17
[25]
웹사이트
아름다운 시절 또 "償"
http://www.incheonil[...]
2020-05-17
[26]
웹사이트
映評賞 최우수작품상에 「아름다운 시절」
http://www.munhwa.co[...]
2020-05-17
[27]
웹사이트
안치환씨 등 8명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수상
http://www.busan.com[...]
2020-05-17
[28]
웹사이트
박하사탕 대종상 휩쓸어
http://legacy.www.ha[...]
2020-05-17
[29]
웹사이트
"'2000 KBS 국악대상' 수상자 선정"
http://www.kyeonggi.[...]
2020-05-17
[30]
웹사이트
"'추격자' 대종상 작품상 등 5개 부문 석권"
https://www.yna.co.k[...]
2020-05-17
[31]
웹사이트
올해 최우수 예술가에 한명옥 예술감독 등 8명
https://www.yna.co.k[...]
2020-05-17
[32]
웹사이트
원일 (Won, Il)
http://www.maniadb.c[...]
[33]
웹사이트
"'불멸의 이순신' 시청자들, OST 발매 서명운동"
https://star.mt.co.k[...]
2020-04-27
[34]
웹사이트
원일의 여시아문
https://www.igbf.kr/[...]
2020-04-27
[35]
웹사이트
특집 다큐 매혹의 실크로드 4부작
http://vod.kbs.co.kr[...]
2020-04-27
[36]
웹사이트
KBS 특집 다큐 <매혹의 실크로드> 4부작 (1TV, 10월3일) 4편 바람의 길
http://mylovekbs.kbs[...]
2019-10-01
[37]
웹사이트
차이나는 클라스 142회 다시보기
http://tv.jtbc.joins[...]
2020-01-29
[38]
논문
동해안 진오귀굿 중 장수굿의 짜임새와 장단구조
http://www.riss.kr/l[...]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39]
논문
음악적 발상의 원천으로서의 굿
http://www.riss.kr/l[...]
민족미학회
2011
[40]
웹인용
"[21세기 문화 문화인] 작곡가 원일씨"
https://zetawiki.com[...]
서울칼럼니스트모임
2020-04-19
[41]
웹인용
국악인 원일, 한국 음악의 22세기 지도를 그리다 : COVER STORY
https://m.post.naver[...]
2020-03-18
[42]
문서
김용배가 국립국악고등학교에 출강하면서 새끼사물을 키웠으니 이들이 곧 원일, 허윤정, 김웅식 등이다. 이들을 사랑해서 쇠에다 이름까지 써서 주었다.
http://legacy.h21.ha[...]
[43]
웹인용
전통음악/전설의 풍물, 미래의 가락
http://legacy.h21.ha[...]
2020-03-19
[44]
간행물
그들의 이력서 : 젊은 베르테르, 다르게 쓰는 결말 - 예술감독 원일
https://webzine.kotp[...]
[45]
간행물
"[인터뷰] 운동권 가요의 숨은 거물 박치음 교수"
http://weekly.chosun[...]
2020-03-19
[46]
웹인용
원일 Won, Il
http://www.maniadb.c[...]
[47]
문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이름 : 여시아문(如是我聞) 불교개념용어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는 뜻으로, 아난다가 붓다의 가르침을 사실 그대로 전한다는 의미로 경전의 첫머리에 쓰는 불교용어. 아문여시·문여시.
[48]
문서
진행 : 원일 / 연출 : 김연주 (토~일 | 22:00 ~ 23:00)
[49]
서적
전통의 길을 걸으며 새로움을 꿈꾸다 13 원일 작곡가, 연주자
안그라픽스
[50]
간행물
동해안 진오귀굿 중 장수굿의 짜임새와 장단구조
null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51]
간행물
음악적 발상의 원천으로서의 굿
null
민족미학회
2011
[52]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10
[53]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09
[54]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10
[55]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10
[56]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10
[57]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10
[58]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10
[59]
웹인용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