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은 1962년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근거하여 지정되며,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한 제도이다. 1960년대부터 지정이 시작되어, 2012년 4월 기준으로 14개의 한국 무형문화재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 현재까지 다양한 종목들이 지정되었으며, 종목에는 춤, 음악, 공예, 음식, 놀이 등이 포함된다. 국가는 이러한 무형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문화 다양성 증진, 지역 경제 활성화, 문화 콘텐츠 산업 발전 등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형유산 - 공옥진
    공옥진은 1931년 출생하여 판소리와 춤을 결합한 1인 창무극을 개척하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80세에 사망했다.
  • 무형유산 - 원일
    원일은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로서 전통 음악에 뿌리를 두고 월드 뮤직, 영화 음악, 행사 음악 감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국악의 현대화와 대중화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 막걸리
    막걸리는 쌀을 발효시켜 만든 한국 전통 술로, 탁주 또는 농주라고도 불리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고 건강에 좋다는 인식과 함께 최근 다양한 맛과 형태로 개발되어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개요
명칭국가무형문화재
로마자 표기Gukga Muhyeong Munhwajae
영문 표기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상세 정보
지정 기준문화재보호법에 의거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무형의 문화적 유산
내용전통 공예 기술
예술
의식
무예
관리문화재청
지정 번호지정 번호는 폐지됨
역사
연혁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무형문화재 보호 정책 시작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시작 (현재의 국가무형문화재)
2024년 5월 17일: 문화재 명칭이 '국가유산'으로 변경됨에 따라 '국가무형유산'으로 명칭 변경
참고
관련 법률문화재보호법

2. 역사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제도는 1962년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법은 일본의 1950년 문화재 보호법을 모델로 한 것으로, 인간문화재 지정 제도를 포함하고 있다.[2] 이러한 국가적 노력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접근 방식에 영향을 주었으며, 2003년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 채택으로 이어졌다.[4] 2012년 4월 기준으로, 14개의 한국 무형문화재가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5][6]

2. 1. 지정 초기 (1960년대 ~ 1970년대)

2. 2. 지정 확대기 (1980년대 ~ 1990년대)

2. 3. 현대 (2000년대 ~ 현재)

3. 지정 목록

번호등록 명칭소재지
제001호종묘 제례악서울
제002호양주 별산대놀이경기도양주시
제003호남사당놀이서울
제004호 제작
제005호판소리
제006호통영오광대경상남도통영시
제007호고성오광대경상남도고성군
제008호강강술래전라남도진도군
제009호은산 별신제충청남도부여군
제010호나전강원도원주시
제011호농악
제011호-1진주삼천포농악경상남도사천시
제011호-2평택농악경기도평택시
제011호-3이리농악전라북도익산시
제011호-4강릉농악강원도강릉시
제011호-5임실필봉농악전라북도임실군
제011호-6구례잔수농악전라남도구례군
제011호-7김천금릉빗내농악경상북도김천시
제011호-8남원농악전라북도남원시
제012호진주검무경상남도진주시
제013호강릉단오제강원도강릉시
제014호한산모시짜기충청남도서천군
제015호북청사자놀음서울
제016호거문고산조서울
제017호봉산탈춤서울
제018호동래야류부산동래구
제019호선소리 산타령서울
제020호대금정악서울은평구
제021호승전무경상남도통영시
제022호매듭경기도
제023호가야금산조 및 병창
제024호안동차전놀이경상북도안동시
제025호영산쇠머리대기경상남도창녕군
제026호영산줄다리기경상남도창녕군
제027호승무서울
제028호나주 세골 장전라남도나주시
제029호서도소리
제030호가곡
제031호낙죽장전라남도보성군
제032호곡성 석곡 면방전라남도곡성군
제033호광주 칠석 고싸움놀이광주남구
제034호강령탈춤서울
제035호조각
제036호판소리 심청가 (제5호에 통합)서울
제037호화혜장서울
제038호궁중 음식서울
제039호처용무서울
제040호학연화대합설무서울
제041호가사서울
제042호악기서울
제043호수영야류부산수영구
제044호경산자인단오제경상북도경산시
제045호대금산조서울
제046호피리정악 및 대취타서울
제047호궁시
제048호단청경상남도양산시
제049호송파산대놀이서울송파구
제050호영산재서울서대문구
제051호남도들노래전라남도진도군
제052호시나위서울
제053호채상장전라남도담양군
제054호금음질 (제10호에 통합)
제055호소목
제056호종묘 제례서울종로구
제057호경기민요경기도
제058호줄타기경기도과천시
제059호판소리 고법 (제5호에 통합)서울
제060호장도전라남도
제061호은율탈춤인천미추홀구
제062호좌수영 어방놀이부산수영구
제063호 수리 (제42호에 통합)
제064호두석장
제065호백동 연죽장전라북도남원시
제066호망건제주제주시
제067호탕건제주도제주시
제068호밀양백중놀이경상남도밀양시
제069호하회별신굿탈놀이경상북도안동시
제070호양주 소놀이굿경기도양주시
제071호제주칠머리당 영등굿제주도제주시
제072호진도씻김굿전라남도진도군
제073호가산오광대경상남도사천시
제074호대목장
제075호기지시줄다리기충청남도당진시
제076호택견충청북도충주시
제077호유기
제078호입사서울강남구
제079호발탈
제080호자수부산금정구
제081호진도 다시래기전라남도진도군
제082호풍어제
제082호-1동해안별신굿부산기장군
제082호-2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인천
제082호-3위도띠뱃놀이전라북도부안군
제082호-4남해안별신굿경상남도통영시
제083호향제 줄풍류
제083호-1구례향제줄풍류전라남도구례군
제083호-2이리향제줄풍류전라북도익산시
제084호농요
제084호-1고성농요경상남도고성군
제084호-2예천통명농요경상북도예천군
제085호석전대제서울종로구
제086호향토술 제조
제086호-1문배주경기도김포시
제086호-2면천두견주충청남도당진시
제086호-3경주교동법주경상북도경주시
제087호명주짜기경상북도경주시
제088호바디장
제089호침선장서울강동구
제090호황해도평산소놀음굿인천
제091호제와장전라남도장흥군
제092호태평무
제093호전통 활장경상북도경주시
제094호서울
제095호제주민요제주도서귀포시
제096호옹기
제097호살풀이춤
제098호경기도도당굿경기도
제099호소반장
제100호옥석장전라남도목포시
제101호금속활자장충청북도괴산군
제102호배첩장
제103호완초장인천강화군
제104호서울새남굿서울
제105호사기경상북도문경시
제106호각자장서울서초구
제107호누비경상북도경주시
제108호목조각장
제109호화각인천남동구
제110호윤도전라북도고창군
제111호사직대제서울종로구
제112호주철장충청북도진천군
제113호칠장서울
제114호렴장경상남도통영시
제115호염색전라남도나주시
제116호화혜장서울송파구
제117호한지
제118호불화경기도고양시
제119호금박서울종로구
제120호석공경기도
제121호번와장서울성북구
제122호연등회서울종로구
제123호법성포단오제전라남도함평군
제124호궁중채화경상남도양산시
제125호삼화사수륙재강원도동해시
제126호진관사 수륙재서울은평구
제127호아리랑 수륙재경상남도창원시
제128호선자장전라북도전주시
제129호아리랑
제130호제다
제131호씨름
제132호해녀
제133호김치 만들기
제134호제염
제135호온돌 문화
제136호낙화충청북도보은군
제137호 만들기
제138호전통어업 방식 - 어살
제139호불복장 작법서울
제140호상주 삼베경상북도안동시
제141호사경장전라북도전주시
제142호양궁
제143호인삼 재배 및 약용 문화
제144호막걸리
제145호갯벌 어업
제주큰굿제주도제주시
한복 생활
윷놀이


3. 1. 1960년대 ~ 1970년대 (1964년 ~ 1979년)

1964년 종묘 제례악(서울)[7]과 양주 별산대놀이(경기도양주시)[8], 남사당 놀이(서울)[9]가 지정되었다. 같은 해 갓일[10], 판소리[11], 통영 오광대(경상남도통영시)[12], 고성 오광대(경상남도고성군)[13]가 지정되었다.

1966년에는 강강술래(전라남도진도군)[14], 은산 별신제(충청남도부여군)[15], 나전장(강원도원주시)[16]이 지정되었다.

1967년에는 진주 검무(경상남도진주시)[25], 강릉 단오제(강원도강릉시)[26], 한산모시짜기(충청남도서천군)[27], 북청 사자놀음(서울)[28], 거문고 산조(서울)[29], 봉산 탈춤(서울)[30]이, 1968년에는 동래 야류(부산동래구)[31], 선소리 산타령(서울)[32], 대금 정악(서울은평구)[33], 승전무(경상남도통영시)[34], 매듭장(경기도)[35], 가야금산조 및 병창[36]이 지정되었다.

1969년 안동 차전놀이(경상북도안동시)[37], 영산 쇠머리대기(경상남도창녕군)[38], 영산 줄다리기(경상남도창녕군)[39], 승무[40], 나주 세골 장(전라남도나주시)[41], 서도 소리[42], 가곡[43], 낙죽장(전라남도보성군)[44]이 지정되었다.

1970년대에는 곡성 돌실나이(전라남도곡성군)[45], 광주 칠석 고싸움놀이(광주남구)[46], 강령 탈춤(서울)[47], 조각장[48], 조선왕조 궁중 음식(서울)[51]이 지정되었다.

1971년 처용무(서울)[52], 학연화대합설무(서울)[53], 가사(서울)[54], 악기장(서울)[55], 수영 야류(부산수영구)[56], 경산 자인 단오제(경상북도경산시)[57], 대금 산조(서울)[58], 피리정악 및 대취타(서울)[59], 궁시장[60]이 지정되었다.

1972년 단청장(경상남도양산시)[61]이, 1973년 송파 산대놀이(서울송파구)[62], 영산재(서울서대문구)[63], 남도 들노래(전라남도진도군)[64]가 지정되었다.

1975년 채상장(전라남도담양군)[66], 소목장[68], 종묘 제례(서울종로구)[69], 경기 민요(경기도)[70]가, 1976년 줄타기(경기도과천시)[71], 1978년 장도장(전라남도)[73], 은율 탈춤(인천미추홀구)[74], 좌수영 어방놀이(부산수영구)[75]가 지정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농악 관련 종목으로는 진주 삼천포 농악(경상남도사천시)[17], 평택 농악(경기도평택시)[18], 이리 농악(전라북도익산시)[19], 강릉 농악(강원도강릉시)[20], 임실 필봉 농악(전라북도임실군)[21],구례잔수농악(전라남도구례군)[22],김천금릉빗내농악(경상북도김천시)[23],남원농악(전라북도남원시)[24] 등이 지정되었다.

3. 2.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 ~ 1999년)

1980년대에는 매듭장(1968년 지정)[35], 망건장(1980년 지정)[79], 탕건장(1980년 지정)[80], 하회 별신굿 탈놀이(1980년 지정)[82] 등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83년에는 택견이 지정되었고,[82] 1985년에는 평택 농악[18], 이리 농악[19], 강릉 농악[20]이, 1988년에는 임실 필봉 농악[21]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3. 3. 2000년대 ~ 2010년대 (2000년 ~ 2019년)

2000년대에서 2010년대에는 다양한 무형유산들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71][22][23][24]

2001년에는 종묘 제례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7]

줄타기는 197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71] 줄타기는 줄 위에서 여러 가지 재주를 부리는 놀이이다.

김치 담그기는 2013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22]

해녀는 201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씨름은 2017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3. 4. 2020년대 (2020년 ~ 현재)

2020년대에는 막걸리[24], 갯벌 어업[24]등이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No.이름소재지지정일참고
144호막걸리
145호갯벌 어업


4. 보존 및 전승

4. 1. 전승 교육

4. 2. 정책 및 지원

5. 비판 및 과제

5. 1. 지나치게 포괄적인 종목

5. 2. 공동체 종목 지정의 어려움

5. 3. 전승 지원의 한계

6.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6. 1. 문화 다양성 증진

6. 2. 지역 경제 활성화

6. 3. 문화 콘텐츠 산업 발전

7.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현황

참조

[1] 웹사이트 The Act for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http://www.unesco.or[...] UNESCO Cultural Heritage Laws Database 2012-04-16
[2] 서적 Cultural Protection Policy in Korea: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Living National Treasures Jimoondang International
[3] 웹사이트 '::: Cultural Heritage, the source for Koreans'' Strength and Dream :::' http://www.cha.go.kr[...]
[4] 서적 The Subtle Power of Intangible Heritage: Legal and Financial Instruments for Safeguarding Intangible Heritage http://www.wipo.int/[...] Human Sciences Research Council 2012-04-16
[5] 웹사이트 Intangible Heritage Lists http://www.unesco.or[...] UNESCO 2012-04-16
[6] 웹사이트 UNESCO World Heritage –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04-16
[7] 웹사이트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 http://www.heritage.[...] 2024-02-02
[8] 웹사이트 양주별산대놀이 (楊州別山臺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9] 웹사이트 남사당놀이 (男寺黨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10] 웹사이트 갓일 http://www.heritage.[...] 2024-02-02
[11] 웹사이트 판소리 http://www.heritage.[...] 2024-02-02
[12] 웹사이트 통영오광대 (統營五廣大) http://www.heritage.[...] 2024-02-02
[13] 웹사이트 고성오광대 (固城五廣大) http://www.heritage.[...] 2024-02-02
[14] 웹사이트 강강술래 http://www.heritage.[...] 2024-02-02
[15] 웹사이트 은산별신제 (恩山別神祭) http://www.heritage.[...] 2024-02-02
[16] 웹사이트 나전장 (螺鈿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7] 웹사이트 진주삼천포농악 (晋州三千浦農樂) http://www.heritage.[...] 2024-02-02
[18] 웹사이트 평택농악 (平澤農樂) http://www.heritage.[...] 2024-02-02
[19] 웹사이트 이리농악 (裡里農樂) http://www.heritage.[...] 2024-02-02
[20] 웹사이트 강릉농악 (江陵農樂) http://www.heritage.[...] 2024-02-02
[21] 웹사이트 임실필봉농악 (任實筆峰農樂) http://www.heritage.[...] 2024-02-02
[22] 웹사이트 구례잔수농악 (求禮潺水農樂) http://www.heritage.[...] 2024-02-02
[23] 웹사이트 김천금릉빗내농악 http://www.heritage.[...] 2024-02-02
[24] 웹사이트 남원농악 http://www.heritage.[...] 2024-02-02
[25] 웹사이트 진주검무 (晋州劍舞) http://www.heritage.[...] 2024-02-02
[26] 웹사이트 강릉단오제 (江陵端午祭) http://www.heritage.[...] 2024-02-02
[27] 웹사이트 한산모시짜기 (韓山모시짜기) http://www.heritage.[...] 2024-02-02
[28] 웹사이트 북청사자놀음 (北靑獅子놀음) http://www.heritage.[...] 2024-02-02
[29] 웹사이트 거문고산조 (거문고散調) http://www.heritage.[...] 2024-02-02
[30] 웹사이트 봉산탈춤 (鳳山탈춤) http://www.heritage.[...] 2024-02-02
[31] 웹사이트 동래야류 (東萊野遊) http://www.heritage.[...] 2024-02-02
[32] 웹사이트 선소리산타령 (선소리山打令) http://www.heritage.[...] 2024-02-02
[33] 웹사이트 대금정악 (大笒正樂) http://www.heritage.[...] 2024-02-02
[34] 웹사이트 승전무 (勝戰舞) http://www.heritage.[...] 2024-02-02
[35] 웹사이트 매듭장 (매듭匠) http://www.heritage.[...] 2024-02-02
[36] 웹사이트 가야금산조및병창 (伽倻琴散調및倂唱) http://www.heritage.[...] 2024-02-02
[37] 웹사이트 안동차전놀이 (安東車戰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38] 웹사이트 영산쇠머리대기 (靈山쇠머리대기) http://www.heritage.[...] 2024-02-02
[39] 웹사이트 영산줄다리기 (靈山줄다리기) http://www.heritage.[...] 2024-02-02
[40] 웹사이트 승무 (僧舞) http://www.heritage.[...] 2024-02-02
[41] 웹사이트 나주의샛골나이 (羅州의샛골나이) http://www.heritage.[...] 2024-02-02
[42] 웹사이트 서도소리 (西道소리) http://www.heritage.[...] 2024-02-02
[43] 웹사이트 가곡; 한국 음악 (歌曲) http://www.heritage.[...] 2024-02-02
[44] 웹사이트 낙죽장 (烙竹匠) http://www.heritage.[...] 2024-02-02
[45] 웹사이트 곡성의돌실나이 (谷城의돌실나이) http://www.heritage.[...] 2024-02-02
[46] 웹사이트 광주칠석고싸움놀이 (광주칠석고싸움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47] 웹사이트 강령탈춤 (康翎탈춤) http://www.heritage.[...] 2024-02-02
[48] 웹사이트 조각장 (彫刻匠) http://www.heritage.[...] 2024-02-02
[49] 웹사이트 판소리심청가 http://www.heritage.[...] 2024-02-02
[50] 웹사이트 화장 (靴匠) http://www.heritage.[...] 2024-02-02
[51] 웹사이트 조선왕조 궁중음식 (朝鮮王朝宮中飮食) http://www.heritage.[...] 2024-02-02
[52] 웹사이트 처용무 (處容舞) http://www.heritage.[...] 2024-02-02
[53] 웹사이트 학연화대합설무 (鶴蓮花臺合設舞) http://www.heritage.[...] 2024-02-02
[54] 웹사이트 가사 (歌詞) http://www.heritage.[...] 2024-02-02
[55] 웹사이트 악기장 (樂器匠) http://www.heritage.[...] 2024-02-02
[56] 웹사이트 수영야류 (水營野遊) http://www.heritage.[...] 2024-02-02
[57] 웹사이트 경산자인단오제 (慶山慈仁端午祭) http://www.heritage.[...] 2024-02-02
[58] 웹사이트 대금산조 (大笒散調) http://www.heritage.[...] 2024-02-02
[59] 웹사이트 피리정악및대취타 (피리정악및大吹打) http://www.heritage.[...] 2024-02-02
[60] 웹사이트 궁시장 (弓矢匠) http://www.heritage.[...] 2024-02-02
[61] 웹사이트 단청장 (丹靑匠) http://www.heritage.[...] 2024-02-02
[62] 웹사이트 송파산대놀이 (松坡山臺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63] 웹사이트 영산재 (靈山齋) http://www.heritage.[...] 2024-02-02
[64] 웹사이트 남도들노래 (南道들노래) http://www.heritage.[...] 2024-02-02
[65] 웹사이트 시나위 http://www.heritage.[...] 2024-02-02
[66] 웹사이트 채상장 (彩箱匠) http://www.heritage.[...] 2024-02-02
[67] 웹사이트 끊음질 http://www.heritage.[...] 2024-02-02
[68] 웹사이트 소목장 (小木匠) http://www.heritage.[...] 2024-02-02
[69] 웹사이트 종묘제례 (宗廟祭禮) http://www.heritage.[...] 2024-02-02
[70] 웹사이트 경기민요 (京畿民謠) http://www.heritage.[...] 2024-02-02
[71] 웹사이트 줄타기 (줄타기) http://www.heritage.[...] 2024-02-02
[72] 웹사이트 판소리고법 (판소리鼓法) http://www.heritage.[...] 2024-02-02
[73] 웹사이트 장도장 (粧刀匠) http://www.heritage.[...] 2024-02-02
[74] 웹사이트 은율탈춤 (殷栗탈춤) http://www.heritage.[...] 2024-02-02
[75] 웹사이트 좌수영어방놀이 (左水營漁坊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76] 웹사이트 북메우기 http://www.heritage.[...] 2024-02-02
[77] 웹사이트 두석장 (豆錫匠) http://www.heritage.[...] 2024-02-02
[78] 웹사이트 백동연죽장 (白銅煙竹匠) http://www.heritage.[...] 2024-02-02
[79] 웹사이트 망건장 (網巾匠) http://www.heritage.[...] 2024-02-02
[80] 웹사이트 탕건장 (宕巾匠) http://www.heritage.[...] 2024-02-02
[81] 웹사이트 밀양백중놀이 (密陽百中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82] 웹사이트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83] 웹사이트 양주소놀이굿 (楊州소놀이굿) http://www.heritage.[...] 2024-02-02
[84] 웹사이트 제주칠머리당영등굿 (濟州칠머리당영등굿) http://www.heritage.[...] 2024-02-02
[85] 웹사이트 진도씻김굿 (珍島씻김굿) http://www.heritage.[...] 2024-02-02
[86] 웹사이트 가산오광대 (駕山五廣大) http://www.heritage.[...] 2024-02-02
[87] 웹사이트 대목장 (大木匠) http://www.heritage.[...] 2024-02-02
[88] 웹사이트 기지시줄다리기 (機池市줄다리기) http://www.heritage.[...] 2024-02-02
[89] 웹사이트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 (택견) http://www.heritage.[...] 2024-02-02
[90] 웹사이트 유기장 (鍮器匠) http://www.heritage.[...] 2024-02-02
[91] 웹사이트 입사장 (入絲匠) http://www.heritage.[...] 2024-02-02
[92] 웹사이트 발탈 http://www.heritage.[...] 2024-02-02
[93] 웹사이트 자수장 (刺繡匠) http://www.heritage.[...] 2024-02-02
[94] 웹사이트 진도다시래기 (珍島다시래기) http://www.heritage.[...] 2024-02-02
[95] 웹사이트 동해안별신굿 (東海岸別神굿) http://www.heritage.[...] 2024-02-02
[96] 웹사이트 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 (西海岸배연신굿및大同굿) http://www.heritage.[...] 2024-02-02
[97] 웹사이트 위도띠뱃놀이 (蝟島띠뱃놀이) http://www.heritage.[...] 2024-02-02
[98] 웹사이트 남해안별신굿 (南海岸別神굿) http://www.heritage.[...] 2024-02-02
[99] 웹사이트 구례향제줄풍류 (求禮鄕制줄風流) http://www.heritage.[...] 2024-02-02
[100] 웹사이트 이리향제줄풍류 (裡理鄕制줄風流) http://www.heritage.[...] 2024-02-02
[101] 웹사이트 고성농요 (固城農謠) http://www.heritage.[...] 2024-02-02
[102] 웹사이트 예천통명농요 (醴泉通明農謠) http://www.heritage.[...] 2024-02-02
[103] 웹사이트 석전대제 (釋奠大祭) http://www.heritage.[...] 2024-02-02
[104] 웹사이트 문배주 (문배酒) http://www.heritage.[...] 2024-02-02
[105] 웹사이트 면천두견주 (沔川杜鵑酒) http://www.heritage.[...] 2024-02-02
[106] 웹사이트 경주교동법주 (慶州校洞法酒) http://www.heritage.[...] 2024-02-02
[107] 웹사이트 명주짜기 (明紬짜기) http://www.heritage.[...] 2024-02-02
[108] 웹사이트 바디장 (바디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09] 웹사이트 침선장 (針線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10] 웹사이트 황해도평산소놀음굿 (黃海道平山소놀음굿) http://www.heritage.[...] 2024-02-02
[111] 웹사이트 제와장 (製瓦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12] 웹사이트 태평무 (太平舞) http://www.heritage.[...] 2024-02-02
[113] 웹사이트 전통장 (箭筒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14] 웹사이트 벼루장 (벼루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15] 웹사이트 제주민요 (濟州民謠) http://www.heritage.[...] 2024-02-02
[116] 웹사이트 옹기장 (甕器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17] 웹사이트 살풀이춤 (살풀이춤) http://www.heritage.[...] 2024-02-02
[118] 웹사이트 경기도도당굿 (京畿道都堂굿) http://www.heritage.[...] 2024-02-02
[119] 웹사이트 소반장 (小盤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0] 웹사이트 옥장 (玉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1] 웹사이트 금속활자장 (金屬活字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2] 웹사이트 배첩장 (褙貼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3] 웹사이트 완초장 (莞草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4] 웹사이트 서울새남굿 http://www.heritage.[...] 2024-02-02
[125] 웹사이트 사기장 (沙器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6] 웹사이트 각자장 (刻字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7] 웹사이트 누비장 (縷緋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8] 웹사이트 목조각장 (木彫刻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29] 웹사이트 화각장 (華角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0] 웹사이트 윤도장 (輪圖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1] 웹사이트 사직대제 (社稷大祭) http://www.heritage.[...] 2024-02-02
[132] 웹사이트 주철장 (鑄鐵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3] 웹사이트 칠장 (漆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4] 웹사이트 염장 (簾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5] 웹사이트 염색장 (染色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6] 웹사이트 화혜장 (靴鞋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7] 웹사이트 한지장 (韓紙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8] 웹사이트 불화장 (佛畵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39] 웹사이트 금박장 (金箔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40] 웹사이트 석장 (石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41] 웹사이트 번와장 (翻瓦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42] 웹사이트 연등회 (燃燈會) http://www.heritage.[...] 2024-02-02
[143] 웹사이트 법성포단오제 (法聖浦端午祭) http://www.heritage.[...] 2024-02-02
[144] 웹사이트 궁중채화 (宮中綵花) http://www.heritage.[...] 2024-02-02
[145] 웹사이트 삼화사 수륙재 (三和寺水陸齋) http://www.heritage.[...] 2024-02-02
[146] 웹사이트 진관사 수륙재 (津寬寺水陸齋) http://www.heritage.[...] 2024-02-02
[147] 웹사이트 아랫녘 수륙재 (아랫녘 水陸齋) http://www.heritage.[...] 2024-02-02
[148] 웹사이트 선자장 (扇子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49] 웹사이트 아리랑 http://www.heritage.[...] 2024-02-02
[150] 웹사이트 제다 (製茶) http://www.heritage.[...] 2024-02-02
[151] 웹사이트 씨름 http://www.heritage.[...] 2024-02-02
[152] 웹사이트 해녀 (海女) http://www.heritage.[...] 2024-02-02
[153] 웹사이트 김치 담그기 http://www.heritage.[...] 2024-02-02
[154] 웹사이트 제염 (製鹽) http://www.heritage.[...] 2024-02-02
[155] 웹사이트 온돌문화 (溫突文化) http://www.heritage.[...] 2024-02-02
[156] 웹사이트 낙화장 (烙畵匠) http://www.heritage.[...] 2024-02-02
[157] 웹사이트 장 담그기 (醬 담그기) http://www.heritage.[...] 2024-02-02
[158] 웹사이트 전통어로방식-어살 http://www.heritage.[...] 2024-02-02
[159] 웹사이트 불복장작법 (佛腹藏作法) http://www.heritage.[...] 2024-02-02
[160] 웹사이트 文化財の総称が「国家遺産」に 国家遺産庁も発足=韓国 https://jp.yna.co.kr[...] 2024-05-17
[161] 웹사이트 문화재 검색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 국가무형문화재 https://www.heritage[...] 2023-02-10
[162] 뉴스 문화재 지정번호 없앤다…천연기념물·명승 지정 기준도 구체화 https://news.kbs.co.[...] KBS 뉴스 2024-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