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만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만겸은 유길준의 장남으로, 배재학당과 흥화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유학 후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조선총독부 관료로 활동하며 문경군수, 경상북도 서무과장, 충청북도 지사 등을 역임했고, 1935년 조선공로자명감에 수록되었다. 1940년 창씨개명을 거부한 후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1942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고, 2004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1944년 사망했으며, 감사원 제1국장 등을 역임한 유병덕이 그의 아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충청북도지사 - 장헌식
    장헌식은 대한제국 관료와 조선총독부 사무관,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하며 친일 행위를 했고, 청주상업고등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해방 후 공금횡령 혐의로 처벌받았으며,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충청북도지사 - 남궁영 (1887년)
    남궁영은 1887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태어나 일본 유학 후 조선총독부 관리가 되었으며, 진도군수, 함평군수, 충청북도 지사 등을 역임하고 중추원 참의를 지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어 1939년에 사망했다.
  • 유길준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유길준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일제강점기의 정치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정치인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유만겸
기본 정보
제목兪萬兼 (유만겸)
한글유만겸
한자兪萬兼
가타카나유・만기욤

2. 생애

배재학당흥화학교를 졸업하고, 아버지 유길준과 작은 아버지 유성준의 영향으로 일본 유학을 하여 1917년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한 뒤 엘리트 관료의 길을 걸었다.

조선총독부 관료, 친일 단체 임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며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적을 보였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1889년 유길준의 장남으로 한성부에서 태어났다.[1] 배재학당, 흥화학교를 졸업하고[1], 일본으로 유학을 갔다. 1913년(다이쇼 2년) 오카야마현의 구제 제6고등학교를 졸업하고[1],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경제학과에 입학하여[1] 1917년(다이쇼 6년) 졸업했다.[1] 대학원에 진학했지만[1], 1918년(다이쇼 7년) 조선으로 돌아와[1] 조선총독부에 봉직했다.[1]

2. 2. 조선총독부 관료 시절

1920년 조선총독부로부터 문경군 군수에 임명되었고, 경상남도 서무과장(1921), 경상북도 내무부 사회과장(1924)을 지냈다.[1][2] 이후 총독부 학무국 사무관(1926)을 거쳐 평안남도 참여관(1928), 경상북도 참여관(1930)으로 승진했으며, 학무국 사회과장(1932), 평안남도 참여관(1934), 충청북도 도지사를 역임했다.[1][2]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다.[3][4] 1940년 5월 창씨개명을 거부하였다가 조선총독부의 압력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관직 역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

기간직책
1920년문경군 군수
1921년경상남도 서무과장
1922년경상북도 사회과장
1924년조선총독부 학무국 종교과장
1928년평안북도 참여관
1930년경상북도 참여관 겸 산업부장
1932년총독부 학무국 사회과장
1934년평안남도 참여관
1936년충청남도 참여관 겸 산업부장
1939년충청북도 지사


2. 3. 창씨개명 거부와 이후 친일 행적

1940년 5월 창씨개명을 거부하였다가 조선총독부의 압력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얼마 뒤 유림 단체인 경학원 부제학을 맡았다.[3][4] 1940년 9월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임명되었고, 국민총력 조선연맹 평의원을 겸임했다.

1941년 윤치호흥아보국단 준비위원회, 조선임전보국단 등 친일 단체의 임원이 되어 활동했다. 경학원 부제학으로 있으면서 1941년 대제학 박상준한상룡, 고원훈 등과 함께 주최한 유림 전승기원제에 부회장으로 참여하였다. 일제로부터 훈3등 서보장을 수여받았다.

2. 4. 사망과 친일반민족행위자 규정

1940년 국민총력조선연맹, 1941년 윤치호흥아보국단 준비위원회, 조선임전보국단 등 친일 단체의 임원이 되어 활동했고, 1942년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임명되었다.[3] 경학원 부제학으로 있으면서 1941년 대제학 박상준한상룡, 고원훈 등과 함께 주최한 유림 전승기원제에 부회장으로 참여했다.[3] 일제로부터 훈3등 서보장을 받았다.[3] 1944년 12월 13일에 사망했다.[1]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3] 2004년 대한민국에서 제정된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증조부유치홍(兪致弘)1800년 - ?
종조부유진태(兪鎭泰)멕시코 이민[5]
조부유진수(兪鎭壽)1825년 - 1898년
조모전주 이씨이경직의 딸
숙부유회준(兪會濬)
사촌 형유옥겸(兪鈺兼)
숙부유성준(兪星濬)1860년 음력 9월 7일 ~ 1934년 양력 2월 27일
사촌 누이유각경(兪珏卿)1892년 ~ 1966년 9월 7일
유길준(兪吉濬)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
경주 김씨(慶州金氏)? - 1874년유길준의 본처
충주 이씨(忠州李氏)? - ?
동생유억겸(兪億兼)1896년 10월 23일 ~ 1947년 11월 8일
이름 미상함경북도 중인 출신, 유만겸의 본처
파평 윤씨
아들유병덕(兪炳德)1932년 - 2000년 6월 20일대한민국 감사원 제1국장[6], 제4국장, 심의실장 역임[7]


3. 1. 증조부, 조부


  • 증조할아버지 : 유치홍(兪致弘, 1800년 - ?)
  • 종조할아버지 : 유진태(兪鎭泰), 멕시코로 이민[5]
  • 할아버지 : 유진수(兪鎭壽, 1825년 - 1898년)
  • 할머니 : 전주 이씨, 이경직의 딸

3. 2. 부모와 숙부

3. 3. 형제 자매와 사촌

이름비고
유진태(兪鎭泰)멕시코로 이민[5]
유성준(兪星濬)1860년 음력 9월 7일 ~ 1934년 양력 2월 27일
유옥겸(兪鈺兼)사촌 형
유각경(兪珏卿)1892년 ~ 1966년 9월 7일
유억겸(兪億兼)1896년 10월 23일 ~ 1947년 11월 8일


3. 4. 처와 아들

참조

[1] 백과사전 유만겸(兪萬兼)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웹사이트 유만겸 ( 兪萬兼 )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3] 뉴스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4-03-18
[4] 뉴스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4-03-18
[5] 뉴스 상투 자른 외교관 유길준, 고교 입학 석 달 만에 영어회화 http://sunday.joins.[...] 중앙선데이
[6] 뉴스 갑오경장 세 주역의 문집 발굴 동아일보 1970-07-21
[7] 뉴스 감사원 인사 동아일보 1967-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