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예(六藝)는 주나라 시대에 학생들이 숙달해야 했던 여섯 가지 예능으로,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를 의미한다. 육예는 유교 철학의 일부가 되었으며, 군사적, 문민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군자 양성에 기여했다. 육예에 대한 강조는 중국의 수학, 천문학,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나, 원나라 이후 신유학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국자감에서 법, 수학, 서예, 승마, 궁술 등이 강조되었고, 과거 시험에도 반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학 - 이이
이이는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 교육자로, 이황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양대 거봉으로 평가받으며 이기론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과 십만양병설 주장 등으로 알려져 있고, 신사임당을 어머니로 둔 인물이다. - 유학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교 - 사대부
사대부는 중국에서 유래하여 학자적 관료 또는 관료적 학자를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현직 또는 퇴직 관리와 그들의 혈연 관계에 있는 계층을 지칭하며 고려 말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성리학을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학자 관료 계층이다. - 유교 - 이여빈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 학자인 이여빈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고, 광해군 때 이이첨과 김개시를 탄핵하고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는 등 강직한 성품을 드러냈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후학 양성과 《영주지》 편찬에 힘썼다. - 명수 6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명수 6 - 육분의
육분의는 존 해들리와 토마스 고드프리가 개발한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도구로, 넓은 시야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특히 해군에서 백업 항해 도구로 사용된다.
육예 | |
---|---|
개요 | |
정의 | 유교에서 이상적인 선비가 갖추어야 할 여섯 가지 기본적인 교양 |
내용 | 예, 악, 사, 어, 서, 수 |
상세 내용 | |
예 (禮) | 오례(五禮)를 포함한 사회 질서 및 에티켓 |
악 (樂) | 음악을 통한 심성 수양 및 예악사상 구현 |
사 (射) | 활쏘기를 통한 심신 단련 및 무예 습득 |
어 (御) | 말을 다루는 기술 및 전차 운전 |
서 (書) | 글쓰기, 서예, 문학적 소양 함양 |
수 (數) | 수학적 능력, 셈, 계산 능력 |
역사적 배경 | |
기원 | 주나라 시대 귀족 자제 교육에서 유래 |
발전 | 공자에 의해 체계화, 유교 경전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 |
영향 |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인재 양성의 핵심 가치로 기능 |
2. 역사
육예(六藝)라는 용어는 전국 시대에 처음 등장하였다. 전한 무제 시대까지는 주로 시경, 서경, 예기 또는 의례, 악경, 주역, 춘추의 여섯 경전을 의미했다.[11]
기예(技藝)로서의 육예 개념은 전한 무제 시대에 "발견"된 주례에서 처음 나타났다.[12] 이후 주례의 권위가 높아지면서, 경전은 오경(五経)으로, 기예는 육예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2. 1. 주나라 시대
주나라 시대(기원전 1122–256년)에는 학생들이 "육예"(六藝)를 숙달해야 했다.[1]이 여섯 가지 예능에 뛰어난 남자는 완벽한 경지에 도달하여 군자가 된다고 여겨졌다.
육예는 학자들이 수련했으며 공자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유교 철학의 일부가 되었다. 서간 (170–217 CE)은 그의 저서 《중론》에서 이를 논하고 있다.
육예는 공자의 72 제자가 수련했다.[2]
육예 개념은 제국 이전 시대에 발전했다. 군사적 요소와 문민적 요소를 모두 포함했다. 문민적 측면은 나중에 '''사예''' (금 연주, 바둑, 서예 및 그림)와 관련되었다. 그러나 후자는 제국 말기에는 더욱 여가의 특징을 띠었다. 이는 육예와 분명히 중복되는데, 금은 음악을 상징했고, 바둑(일본어로 알려진 보드 게임)은 군사 전략과 관련이 있으며, 서예는 글쓰기의 미학과 인격 수양(예)을 다루었다. 육예(六芸)라는 말은 전국 시대에 나타났으며, 전한의 무제 시대까지는 주로 여섯 개의 경전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11]。시(『시경』), 서(『서경』), 예(『예기』 또는 『의례』), 악(『악경』), 역(『주역』), 춘추 (전이 세 개 있음)로 육예를 구성한다. 기예(技芸)의 의미로 육예의 의미가 나타난 최초의 예는 전한 무제 시대에 "발견"된 『주례』이다[12]。이후 『주례』의 권위가 높아지면서, 경전은 오경(五経), 기예는 육예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2. 2. 유교의 영향
육예에 대한 강조는 경전 연구 이상의 지식을 갖춘 유교적 군자를 길러냈다. 학생들이 육예를 숙달해야 한다는 요구는 서양의 르네상스적 인간 개념과 유사하다. 고전적 실용 학문에 대한 관심은 중국의 수학, 천문학, 과학을 활성화시켰다(예: 유휘, 조충지, 심괄, 양휘, 주세걸). 이 전통은 원나라(1271–1368) 이후 쇠퇴했는데, 신유학이 다른 예술과 기술 분야보다 ''논어''의 중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이다.국자감에서는 유교 경전 외에도 명나라 홍무제에 의해 법, 수학, 서예, 승마, 궁술이 강조되었으며, 과거 시험에도 요구되었다.[3][4][5][6][7][8] 1370년 홍무제는 시험에 궁술과 승마를 추가했고, 1162년 송나라 효종은 무과 대학에서 비군사 관리에게 궁술과 승마를 요구했다.[9] 난징의 오문 주변 지역은 홍무제 치하의 경비병과 장군들이 궁술 연습에 사용했다.[10]
청나라 시대에 이르러 중국의 전문가들은 음력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게 되었고, 달력은 자연과 어긋나게 되었다. 이는 중국 조정에 큰 수치였는데, 종속국들이 음력을 따르는 것은 중국 조정의 주권을 인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서양 천문학 전문 지식(예수회 중국 선교 참조)은 고전 육예 의제에서 부분적으로 공식화된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중국의 관심의 결과로 환영받았다.
육예(六芸)라는 말은 전국 시대에 나타났으며, 전한 무제 시대까지는 주로 여섯 개의 경전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11] 시경, 서경, 예기 또는 의례, 악경, 주역, 춘추 (전이 세 개 있음)로 육예를 구성한다. 기예(技芸)의 의미로 육예가 나타난 최초의 예는 전한 무제 시대에 "발견"된 주례이다.[12] 이후 주례의 권위가 높아지면서, 경전은 오경(五経), 기예는 육예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2. 3. 『주례』의 육예
주나라(기원전 1122–256년)에는 학생들이 여섯 가지 예술, 즉 육예(六藝)를 숙달해야 했다.[1]이 여섯 가지 예능에 뛰어난 남자는 완벽한 경지에 도달하여 군자가 된다고 여겨졌다.
육예는 공자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유교 철학의 일부가 되었다. 공자의 72 제자가 육예를 수련했다.[2]
육예(六芸)라는 말은 전국 시대에 나타났으며, 전한 무제 시대까지는 주로 여섯 개의 경전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11] 기예(技芸)의 의미로 육예가 나타난 최초의 예는 전한 무제 시대에 "발견"된 『주례』이다.[12]
『주례』는 주나라 시대의 제도를 후대에 상상하고 이상화하여 저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 속에서 신분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했던 6가지 기본 교양을 육예(六芸)로 묶었다. "지관(地官)·대사도(大司徒)"에서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를 육예로 칭한다. 각각 예의, 음악, 궁술, 마차를 다루는 기술, 서예, 산술이다.[13] 같은 내용을 "지관·보씨(保氏)"에서는 오례(五禮), 육악(六樂), 오사(五射), 오어(五馭), 육서, 구수(九數)로 열거한다.[14]
대사도, 보씨는 『주례』에 등장하는 관직이다. 대사도는 만민에게 육예를 포함한 기예와 도덕을 널리 알리는 것을 책무로 한다. 그 휘하에 있는 보씨는 귀족의 자제들을 모아 육예를 가르친다. 이러한 직무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주례』의 창작이다. 하지만 한(漢)대 이후 오랫동안 주나라 시대의 실제 제도라고 믿어졌다.
2. 4. 청나라 시대
신유학이 다른 예술과 기술 분야보다 ''논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원나라(1271–1368) 이후 육예 전통은 쇠퇴하였다.청나라 시대에 이르러 중국 전문가들은 음력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게 되었고, 달력은 자연과 어긋나게 되었다. 이는 중국 조정에 큰 수치였는데, 종속국들이 음력을 따르는 것은 중국 조정의 주권을 인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서양 천문학 전문 지식(예수회 중국 선교 참조)은 고전 육예 의제에서 부분적으로 공식화된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중국의 관심의 결과로 환영받았다.
3. 구성 요소
주나라 시대(기원전 1122–256년)에는 학생들이 "육예"(六藝)를 숙달해야 했다.[1] 육예는 예(禮), 악(樂), 궁술(射), 마술 또는 기마술(御), 서예(書), 수학(數)으로 구성되었다. 이 여섯 가지 예능에 뛰어난 사람은 군자가 된다고 여겨졌다.
육예는 공자 이전부터 학자들이 수련했으며, 유교 철학의 일부가 되었다. 서간 (170–217)은 그의 저서 《중론》에서 육예를 논하고 있다. 공자의 72 제자도 육예를 수련했다.[2]
육예는 제국 이전 시대에 발전했으며, 군사적 요소와 문민적 요소를 모두 포함했다. 문민적 측면은 나중에 '''사예''' (금 연주, 바둑, 서예 및 그림)와 관련되었으나, 제국 말기에는 여가의 특징을 띠었다.
3. 1. 예 (禮)
주나라 시대(기원전 1122–256년)에 학생들은 여섯 가지 예능, 즉 "육예"(六藝)를 숙달해야 했다.[1] 그중 예(禮)는 예절과 의례를 의미한다. 육예에 능통한 사람은 완벽한 경지에 도달하여 군자가 된다고 여겨졌다.육예는 공자 이전부터 학자들이 수련했으며, 유교 철학의 일부가 되었다. 서간 (170–217)은 그의 저서 《중론》에서 육예를 논하고 있다. 육예는 공자의 72 제자가 수련했다.[2]
육예 개념은 제국 이전 시대에 발전했으며, 군사적 요소와 문민적 요소를 모두 포함했다. 문민적 측면은 나중에 '''사예''' (금 연주, 바둑, 서예 및 그림)와 관련되었는데, 이는 제국 말기에는 더욱 여가의 특징을 띠었다. 금은 음악, 바둑은 군사 전략, 서예는 글쓰기의 미학과 인격 수양(예)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육예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
『주례』는 주나라 시대의 제도를 후대에 상상하고 이상화하여 저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 속에서 신분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했던 6가지 기본 교양을 육예(六芸)로 묶었다. "지관(地官)·대사도(大司徒)"에서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를 육예로 하며, 각각 예의, 음악, 궁술, 마차 다루는 기술, 서예, 산술을 의미한다.[13] "지관·보씨(保氏)"에서는 오례(五禮), 육악(六樂), 오사(五射), 오어(五馭), 육서, 구수(九數)로 열거한다.[14]
대사도, 보씨는 『주례』 속 관직으로, 대사도는 만민에게 육예를 포함한 기예와 도덕을 널리 알리는 것을 책무로 하며, 휘하의 보씨는 귀족 자제들에게 육예를 가르쳤다. 이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주례』의 창작이지만, 한(漢)대 이후 오랫동안 주나라 시대의 실제 제도라고 믿어졌다.
3. 2. 악 (樂)
주나라 시대에는 학생들이 익혀야 할 여섯 가지 예술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악(樂), 즉 음악이었다.[1]육예는 공자 이전부터 존재했고 학자들이 수련했으며, 유교 철학의 일부가 되었다. 공자의 72 제자도 육예를 수련했다.[2]
육예 개념은 제국 이전 시대에 발전했으며, 군사적 요소와 문민적 요소를 모두 포함했다. 문민적 측면은 나중에 '''사예''' (금 연주, 바둑, 서예 및 그림)와 관련되었는데, 제국 말기에는 여가의 특징을 띠었다. 금은 음악을 상징했고, 바둑은 군사 전략과 관련이 있으며, 서예는 글쓰기의 미학과 인격 수양(예)을 다루었다.
『주례』는 주나라 시대의 제도를 후대에 상상하고 이상화하여 저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 속에서 신분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했던 6가지 기본 교양을 육예(六芸)로 묶었다. "지관(地官)·대사도(大司徒)"에서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를 육예로 하며, 각각 예의, 음악, 궁술, 마차를 다루는 기술, 서예, 산술이다.[13] "지관·보씨(保氏)"에서는 오례(五禮), 육악(六樂), 오사(五射), 오어(五馭), 육서, 구수(九數)로 열거한다.[14]
대사도와 보씨는 『주례』에 나오는 관직으로, 대사도는 만민에게 육예를 포함한 기예와 도덕을 널리 알리는 것을 책무로 한다. 보씨는 대사도의 휘하에서 귀족 자제들을 모아 육예를 가르쳤다. 이러한 직무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주례』의 창작이다.
3. 3. 사 (射)
사(射)는 궁술을 의미한다. 주나라 시대에는 학생들이 익혀야 할 여섯 가지 기예, 즉 육예(六藝) 중 하나였다.[1] 육예는 공자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유교 철학의 일부가 되었으며, 공자의 72 제자들이 수련했다.[2]육예는 군사적 요소와 문민적 요소를 모두 포함했는데, 문민적 측면은 나중에 사예(四藝)와 관련되었다. 그러나 사예는 제국 말기에는 여가 활동의 성격이 강했다. 사예 중 금(琴)은 음악, 바둑은 군사 전략, 서예는 글쓰기의 미학과 인격 수양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육예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
『주례』는 주나라 시대의 제도를 이상화하여 저술한 것으로, 신분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했던 6가지 기본 교양을 육예(六芸)로 묶었다. 『주례』의 "지관(地官)·대사도(大司徒)"에서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를 육예로 칭하며, 각각 예의, 음악, 궁술, 마차 다루는 기술, 서예, 산술을 의미한다.[13] "지관·보씨(保氏)"에서는 오례(五禮), 육악(六樂), 오사(五射), 오어(五馭), 육서, 구수(九數)를 열거한다.[14]
『주례』에서 대사도는 백성에게 육예를 포함한 기예와 도덕을 널리 알리고, 보씨는 귀족 자제들에게 육예를 가르치는 직무를 맡았다. 이는 『주례』의 창작이지만, 한나라 이후 오랫동안 주나라 시대의 실제 제도로 여겨졌다.
3. 4. 어 (御)
마술 또는 기마술을 의미한다.[1] 주나라 시대 귀족 자제들은 말을 다루는 기술을 익혀야 했으며, 이는 육예 중 하나로 여겨졌다.[13] 『주례』에 따르면, 대사도는 만민에게, 보씨는 귀족 자제들에게 오어(五馭)를 가르쳤다.[14]사기 공자세가에는 공자가 한 가지 재주로 이름을 떨치지 못하고 여러 재주를 익혔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공자는 이 중 어(御)로 이름을 떨쳐볼까라고 겸손하게 말했는데, 정현의 주석에 따르면 당시 어(御)가 육예 중 격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3. 5. 서 (書)
서예(書)는 글쓰기의 미학과 인격 수양을 다루는 학문이다.[1] 『주례』의 "지관(地官)·대사도(大司徒)"에서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를 육예로 칭하며, 서예는 이 중 하나이다.[13] "지관·보씨(保氏)"에서는 육서로 언급된다.[14]3. 6. 수 (數)
수(數)는 주나라 시대 육예(六藝) 중 하나였다. 『주례』에 따르면, 주나라 시대에는 신분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한 여섯 가지 기본 교양으로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를 육예로 묶었다. 이 중 수는 산술을 의미한다.[13] 『주례』 "지관·보씨(保氏)"에서는 오례(五禮), 육악(六樂), 오사(五射), 오어(五馭), 육서, 구수(九數)를 열거한다.[14]대사도와 보씨는 『주례』에 나오는 관직이다. 대사도는 만민에게 육예를 포함한 기예와 도덕을 널리 알리는 것을 책무로 하며, 그 휘하의 보씨는 귀족 자제들을 모아 육예를 가르쳤다. 이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주례』의 창작이지만, 한(漢)나라 이후 오랫동안 주나라 시대의 실제 제도라고 믿어졌다.
4. 영향
육예는 경전 연구뿐 아니라 그 이상의 지식을 갖춘 유교적 군자를 양성하는 데 기여했다. 육예를 모두 숙달해야 한다는 요구는 서양의 르네상스적 인간 개념과 유사하다. 고전적 실용 학문에 대한 관심은 중국의 수학, 천문학, 과학 발전을 이끌었다. 유휘, 조충지, 심괄, 양휘, 주세걸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원나라(1271–1368) 이후 신유학이 ''논어''를 강조하면서 이러한 전통은 쇠퇴하였다.
명나라 홍무제는 국자감에서 유교 경전 외에 법, 수학, 서예, 승마, 궁술을 강조하고 과거 시험에도 반영했다.[3][4][5][6][7][8] 송나라 효종 또한 1162년 무과 대학에서 비군사 관리에게 궁술과 승마를 요구했으며, 홍무제는 1370년 이를 시험에 추가했다.[9] 난징의 오문 주변은 홍무제 시기 경비병과 장군들의 궁술 연습 장소로 활용되었다.[10]
청나라 시대에는 음력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달력이 자연과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중국 조정의 권위에 큰 타격을 주었는데, 주변국들이 음력을 따르는 것이 중국의 주권을 인정하는 의미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양 천문학 지식( 예수회 중국 선교 참조)은 중국의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환영받았다.
4. 1. 군자 양성
육예를 강조함으로써 경전 연구뿐 아니라 그 이상의 지식을 갖춘 유교적 군자를 길러낼 수 있었다. 학생들이 육예를 모두 숙달해야 한다는 점은 서양의 르네상스적 인간 개념과 유사하다. 고전적 실용 학문에 대한 관심은 중국의 수학, 천문학, 과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예: 유휘, 조충지, 심괄, 양휘, 주세걸). 그러나 이 전통은 원나라(1271–1368) 이후 쇠퇴하였는데, 신유학이 다른 예술과 기술 분야보다 ''논어''의 중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이다.국자감에서는 유교 경전 외에도 명나라 홍무제에 의해 법, 수학, 서예, 승마, 궁술이 강조되었으며, 과거 시험에도 이러한 능력이 요구되었다.[3][4][5][6][7][8] 1370년 홍무제는 궁술과 승마를 시험에 추가했으며, 1162년 송나라 효종은 무과 대학에서 비군사 관리에게 궁술과 승마를 요구했다.[9] 난징의 오문 주변 지역은 홍무제 치하의 경비병과 장군들이 궁술 연습에 사용했다.[10]
청나라 시대에는 중국 전문가들이 음력을 정확하게 관리하지 못했고, 달력은 자연과 맞지 않게 되었다. 이는 중국 조정에 큰 문제였는데, 주변 국가들이 음력을 따르는 것은 중국의 주권을 인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서양 천문학 지식( 예수회 중국 선교 참조)은 고전 육예에서 부분적으로 공식화된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중국의 관심 덕분에 환영받았다.
『주례』는 주나라 시대의 제도를 후대에 이상화하여 저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주례』에서는 신분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한 6가지 기본 교양을 육예(六芸)로 묶었다. "지관(地官)·대사도(大司徒)"에서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를 육예로 한다. 각각 예의, 음악, 궁술, 마차 다루기, 서예, 산술을 의미한다.[13] "지관·보씨(保氏)"에서는 오례(五禮), 육악(六樂), 오사(五射), 오어(五馭), 육서, 구수(九數)를 열거한다.[14]
대사도와 보씨는 『주례』에 등장하는 관직이다. 대사도는 백성에게 육예를 포함한 기예와 도덕을 널리 알리는 것을, 보씨는 귀족 자제들을 모아 육예를 가르치는 것을 책무로 한다. 이러한 직무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주례』의 창작이지만, 한(漢)대 이후 오랫동안 주나라 시대의 실제 제도라고 믿어졌다.
『사기』 공자세가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진다. 공자가 한 가지 재주로 이름을 떨치지 못한 것은 세상에 쓰이지 못하고, 여러 재주를 익혀 다재다능한 사람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달항의 마을 사람들에게 "(공자는) 한 가지 재주로 이름을 떨치지 못했다"라는 말을 들었다. 그것을 들은 공자는 "어(말타기)라도 이름을 떨쳐볼까"라고 말했다. 정현의 주석에 따르면, 이것은 육예 중에서 어(말타기)가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공자가 겸손하게 말한 것이라고 한다.
4. 2. 과학 기술 발전
육예에 대한 강조는 경전 연구 이상의 지식을 갖춘 유교적 군자를 길러냈다. 학생들이 육예를 숙달해야 한다는 요구는 서양의 르네상스적 인간 개념과 유사하다. 고전적 실용 학문에 대한 관심은 중국의 수학, 천문학, 과학을 활성화시켰다(예: 유휘, 조충지, 심괄, 양휘, 주세걸). 이 전통은 원나라(1271–1368) 이후 쇠퇴했는데, 신유학이 다른 예술과 기술 분야보다 ''논어''의 중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이다.국자감에서는 유교 경전 외에도 명나라 홍무제에 의해 법, 수학, 서예, 승마, 궁술이 강조되었으며, 과거 시험에도 요구되었다.[3][4][5][6][7][8] 궁술과 승마는 1370년 홍무제에 의해 시험에 추가되었고, 1162년 송나라 효종에 의해 무과 대학에서 비군사 관리에게 궁술과 승마가 요구되었다.[9] 난징의 오문 주변 지역은 홍무제 치하의 경비병과 장군들이 궁술 연습에 사용했다.[10]
청나라 시대에 이르러 중국의 전문가들은 음력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게 되었고, 달력은 자연과 어긋나게 되었다. 이는 중국 조정에 큰 수치였는데, 종속국들이 음력을 따르는 것은 중국 조정의 주권을 인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서양 천문학 전문 지식(예수회 중국 선교 참조)은 고전 육예 의제에서 부분적으로 공식화된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중국의 관심의 결과로 환영받았다.
참조
[1]
서적
Intellectuals at a Crossroads: The Changing Politics of China's Knowledge Worker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02-01
[2]
서적
Modern Chinese Religion I (2 vol.set): Song-Liao-Jin-Yuan (960-1368 AD)
https://books.google[...]
BRILL
2014-12-08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4]
서적
Chinese Archery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0-01-01
[5]
서적
Zhu Yuanzhang and Early Ming Legislation: The Reordering of Chinese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Mongol Rule
https://books.google[...]
BRILL
[6]
서적
Community Schools and the State in Ming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Ming Empire 1368-1644 by Sanderson Beck
http://www.san.beck.[...]
[8]
웹사이트
Chinese archery training background text
http://www.atarn.org[...]
2010-12-17
[9]
서적
China as a Sea Power, 1127-1368: A Preliminary Survey of the Maritime Expansion and Naval Exploits of the Chinese People During the Southern Song and Yuan Periods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2-01-01
[10]
웹사이트
Hongwu Reign|The Palace Museum
http://en.dpm.org.cn[...]
[11]
문서
福井重雅『漢代儒教の史的研究』、142 - 144頁。
[12]
문서
福井重雅『漢代儒教の史的研究』、145 - 146頁。
[13]
문서
福井重雅『漢代儒教の史的研究』、144頁。
[14]
문서
福井重雅『漢代儒教の史的研究』、145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