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오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오(Io)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르고스(Argos)의 왕 이나코스(Inachus)의 딸이다. 제우스(Zeus)와 사랑에 빠진 이오는 헤라(Hera)의 질투를 사 암소로 변신하여 고통받는 여정(방랑)을 겪는다. 제우스는 헤르메스(Hermes)를 보내 아르고스(Argos)를 죽이고 이오를 구출하려 했지만, 헤라는 등에를 보내 이오를 괴롭혔다. 이오는 보스포루스 해협, 이오니아 해를 거쳐 이집트까지 도망쳤고, 그곳에서 제우스에 의해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에파포스(Epaphus)를 낳았다. 이오는 이집트 여신 이시스(Isis)와 동일시되기도 하며, 여러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시스 -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은 로마에 있는 고딕 양식의 바실리카로, 미네르바 신전 위에 세워졌고 13세기에 도미니코회에 의해 재건축되었으며, 미켈란젤로의 작품과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자설 포기 장소로 유명하고, 베르니니가 디자인한 코끼리 오벨리스크가 있는 곳이다.
  • 이시스 - 필라이
    필라이는 이집트 아스완 남쪽의 고대 도시 섬으로, 이시스 여신을 숭배하는 종교 중심지였으나 아스완 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처해 아길키아 섬으로 이전 및 재건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이나코스 가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이나코스 가 - 리비아 (신화)
    리비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이나코스의 후손이며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벨로스와 아게노르를 낳았다.
  • 그리스 신화의 여자 - 인어
    인어는 사람의 상반신과 물고기의 하반신을 가진 신화적 존재로,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며, 불길한 징조, 유혹하는 존재, 또는 도움을 주는 존재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의 소재로 널리 활용된다.
  • 그리스 신화의 여자 - 메타네이라
    메타네이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데메테르가 아들 데모폰을 불멸로 만들려는 것을 방해하고, 트립톨레모스에게 농업 기술을 가르치게 하는 엘레우시스 신화와 관련된 인물이다.
이오 (신화)
신화 정보
소의 뿔을 쓰고 아르고스에게 감시받는 이오, 폼페이 벽화
이오, 아르고스에게 감시받는 모습 (폼페이 벽화)
관장해당 사항 없음
거주지아르고스
이집트
배우자제우스
텔레고노스
자녀케로에사
에파포스
부모이나코스
로마 신화이오
다른 이름포로니스

2. 신화

제우스이오와 사랑을 나누던 중 헤라에게 들켰다. 헤라는 이오가 변한 암소를 자신에게 달라고 요구했고, 제우스는 어쩔 수 없이 이오를 넘겨주었다.[5][12][14][15] 헤라는 눈이 백 개나 달린 거인 아르고스에게 이오를 맡겼다. 아르고스는 잠잘 때도 모든 눈을 감지 않았고, 이오를 철저히 감시했다. 이오는 자신의 처지를 알리려 했지만 실패하고, 아르고스에 의해 더 높은 산으로 끌려갔다.[38]



제우스는 아들 헤르메스를 시켜 이오를 구출하게 했다. 헤르메스는 목동으로 변장하여 피리를 불며 아르고스에게 접근했다. 헤르메스는 아르고스가 잠들 때까지 잔잔한 곡을 연주했고, 마법 지팡이로 아르고스의 눈을 모두 감게 한 후 그를 죽이고 이오를 풀어주었다.[18] 헤라는 아르고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의 눈을 공작새의 깃털에 붙여 화려한 무늬를 만들었다.[38]

헤라는 복수를 위해 등에에게 이오를 괴롭히라고 명령했다. 등에에게 쫓긴 이오는 온 세상을 방랑하게 되었다. 이오는 보스포루스 해협(암소의 통로)을 건넜고,[31] 코카서스 산에서 프로메테우스를 만나 위로를 받았다. 프로메테우스는 이오가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가 헤라클레스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오는 이오니아 해를 건너[30] 이집트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제우스에 의해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왔다.[39] 이오는 이집트에서 제우스의 아들 에파푸스와 딸 케로에사를 낳았고, 이집트 왕 텔레고노스와 결혼했다. 아이스킬로스의 희곡 ''탄원자''에 이오의 신화가 회상된다.[40] 이집트 사람들은 이오를 여신으로, 소를 신으로 숭배하게 되었다.[40] 이오는 아르고스에 있는 여신 헤라의 여사제였으며,[5][12] 그녀의 아버지 이나코스가 아르고스에 그녀의 숭배를 도입했다고 여겨진다.[5]



고대인들은 이오를 달과 연결시켰으며,[20]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이오는 자신을 "뿔이 달린 처녀"라고 부른다.[21]

2. 1. 제우스와 이오

제우스이오와 사랑을 나누던 중 헤라에게 들키자 이오를 암소로 변신시켰다. 헤라가 나타나자 제우스는 새로운 품종을 만들었다고 둘러댔지만, 헤라는 이오가 변한 암소를 자신에게 달라고 요구했다. 제우스는 헤라의 질투를 두려워하여 어쩔 수 없이 이오를 넘겨주었다.[5][12][14][15]

헤라는 눈이 백 개나 달린 거인 아르고스에게 이오를 맡겼다. 아르고스는 잠잘 때도 모든 눈을 감지 않았고, 낮에는 이오가 풀을 뜯게 하고 밤에는 묶어 두었다. 이오는 슬픔에 빠져 매일 눈물을 흘렸다. 어느 날, 이오의 아버지의 목소리가 들려왔고, 이오는 아버지에게 다가가 혀로 손을 핥는 등 애원했지만 소용없었다. 결국 이오는 발굽으로 땅에 자신의 이름을 써서 자신이 이오임을 알렸지만, 아르고스는 이오를 더 높은 산으로 끌고 가 버렸다.[38]

헤라(상), 제우스(좌), 암소로 변한 이오(우). 조반니 암브로조 피지노 (en) 그림 (1599년). 파비아, 마라스피나 회화관 (it) 소장


올림포스에서 이 광경을 지켜보던 제우스는 아들 헤르메스에게 이오를 풀어주라고 명령했다. 헤르메스는 목동으로 변장하여 피리를 불며 아르고스에게 접근했다. 아르고스는 헤르메스의 피리 소리에 매료되어 그를 불러들였고, 헤르메스는 아르고스가 잠들 때까지 잔잔한 곡을 연주했다. 아르고스의 눈이 감기기 시작했지만, 많은 눈이 여전히 이오를 감시하고 있었다. 헤르메스는 마법 지팡이로 아르고스의 눈을 모두 감기게 한 후, 그를 죽이고 이오를 풀어주었다. 헤라는 아르고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의 눈을 자신이 사랑하는 공작새의 깃털에 붙여 화려한 무늬를 만들었다.[18][38]

헤라는 분노하여 등에에게 이오를 괴롭히라고 명령했다. 등에가 이오의 피를 빨아먹자 이오는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온 세상을 헤맸다. 보스포루스( "암소의 통로"라는 뜻) 해협을 건너고, 이오니아 해를 지나 이집트나일강까지 다다랐다.[38] 지친 이오가 하늘을 보며 울자, 제우스는 다시는 이오를 만나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헤라와 화해했다.[39] 제우스는 이오를 다시 요정의 모습으로 되돌려 주었고, 이집트 사람들은 이오를 여신으로, 소를 신으로 숭배하게 되었다.[40] 이오는 아르고스에 있는 여신 헤라의 여사제였으며,[5][12] 그녀의 아버지 이나쿠스가 아르고스에 그녀의 숭배를 도입했다고 여겨진다.[5]

고대인들은 이오를 달과 연결시켰으며,[20]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이오는 자신을 "뿔이 달린 처녀"라고 부른다.[21]

2. 2. 암소로 변한 이오

제우스헤라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이오와 사랑을 나누던 중 이오를 암소로 변신시켰다. 헤라가 구름을 헤치고 내려오자 제우스는 새로운 품종을 만들었다고 둘러댔지만, 헤라는 이오가 변한 암소를 자신에게 달라고 요구했다. 제우스는 헤라의 질투를 두려워하여 어쩔 수 없이 이오를 넘겨주었다.[5]

헤라는 이오를 데려와 온몸에 눈이 백 개나 달린 거인 아르고스에게 맡겼다. 아르고스는 잠잘 때도 모든 눈을 감지 않았고, 낮에는 이오가 풀을 뜯게 하고 밤에는 묶어 두었다. 이오는 슬픔에 빠져 매일 눈물을 흘렸다. 어느 날, 이오의 아버지의 목소리가 들려왔고, 이오는 아버지에게 다가가 눈물을 흘리며 혀로 손을 핥는 등 자신의 존재를 알리려 애썼다. 답답한 마음에 이오는 발굽으로 땅에 자신의 이름을 써서 자신이 이오임을 알렸지만, 아르고스는 이오를 더 높은 산으로 끌고 갔다.

이 광경을 지켜보던 제우스는 아들 헤르메스에게 이오를 풀어주라고 명령했다. 헤르메스는 목동으로 변장하여 양을 몰고 피리를 불며 아르고스에게 접근했다. 아르고스는 헤르메스에게 피리를 불어달라고 부탁했고, 헤르메스는 아르고스가 잠들 때까지 잔잔한 곡을 연주했다. 아르고스의 눈이 감기기 시작했지만, 많은 눈이 이오를 매섭게 지켜보고 있었다. 헤르메스는 마법 지팡이를 흔들어 아르고스의 모든 눈을 감게 한 후, 아르고스를 죽이고 이오를 풀어주었다. 헤라는 아르고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의 눈을 자신이 사랑하는 공작새의 꼬리에 붙여 화려한 무늬를 만들었다.

헤라는 분노하여 등에에게 이오를 괴롭히라고 명령했다. 등에는 이오의 피를 빨아먹으며 고통을 주었고, 이오는 등에를 떨쳐내기 위해 필사적으로 달렸다. 들, 강, 산, 넓은 바다와 긴 해협을 건너 마침내 이집트 나일강에 도착했다.[38] 지친 이오가 하늘을 보며 울자, 제우스는 다시는 이오를 만나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헤라와 화해했다.[39] 제우스는 이오를 요정의 모습으로 되돌려 주었고, 이집트 사람들은 이오를 여신으로 숭배하고 소를 신으로 모셨다.[40] 이오는 아르고스에 있는 여신 헤라의 여사제였으며,[5][12] 그녀의 아버지 이나쿠스가 아르고스에 그녀의 숭배를 도입했다고 여겨진다.[5]

몇몇 이야기에 따르면, 제우스는 아내로부터 그녀를 숨기기 위해 이오를 암소로 변신시켰다.[5] 다른 사람들은 헤라 자신이 이오를 변신시켰다고 주장한다.[14][15]

복수를 하기 위해 헤라는 이오를 끊임없이 쏘아 세계를 쉴 새 없이 떠돌게 하는 등에를 보냈다. 이오는 결국 프로폰티스와 흑해 사이를 건넜고, 그 결과 보스포루스라는 이름을 얻었다( "암소의 통로"를 의미).

2. 3. 아르고스의 감시

제우스헤라에게 이오와 사랑을 나누는 장면을 들키자, 이오를 암소로 변신시켰다. 헤라는 이오가 변한 암소를 자신에게 달라고 요구했고, 제우스는 어쩔 수 없이 이오를 헤라에게 넘겨주었다.[14][15] 헤라는 눈이 백 개나 달린 거인 아르고스에게 이오를 맡겼다. 아르고스는 잘 때도 모든 눈을 감지 않았고, 이오를 낮에는 풀어주고 밤에는 묶어 두었다. 이오는 아버지에게 자신의 이름을 써서 자신이 이오임을 알렸지만, 아르고스는 이오를 더 높은 산으로 데려가 버렸다.

제우스는 헤르메스를 시켜 이오를 구출하게 했다. 헤르메스는 목동으로 변장하여 피리를 불며 아르고스에게 접근했다. 헤르메스는 아르고스가 잠들 때까지 잔잔한 곡을 연주했고, 마법 지팡이로 아르고스의 눈을 모두 감게 한 후 그를 죽이고 이오를 풀어주었다.[18] 헤라는 아르고스의 눈을 떼어 자신이 사랑하는 공작새의 깃털에 붙여 화려한 무늬를 만들었다.

복수심에 불탄 헤라는 등에를 보내 이오를 괴롭혔다. 등에에게 쫓긴 이오는 보스포루스( "암소의 통로"라는 뜻)를 건너고, 코카서스 산에 묶여 있던 프로메테우스를 만났다. 프로메테우스는 이오에게 그녀가 인간으로 돌아가 헤라클레스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오는 이오니아 해를 건너 이집트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제우스에 의해 다시 인간의 모습을 되찾았다.[38]

2. 4. 헤르메스의 도움과 아르고스의 죽음

제우스헤라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이오를 암소로 변신시켰지만, 헤라는 이오가 변한 암소를 자신에게 달라고 요구했다. 헤라의 질투를 두려워한 제우스는 이오를 헤라에게 넘겨준다.[5]

헤라는 온몸에 눈이 백 개나 달린 거인 아르고스에게 이오를 맡겼다. 아르고스는 잠잘 때도 모든 눈을 감지 않았고, 이오를 철저히 감시했다. 이오는 아버지에게 자신의 이름을 발굽으로 써서 알리려 했지만, 아르고스에게 제지당하고 더 높은 산으로 끌려갔다.[14][15]

이 광경을 지켜보던 제우스는 아들 헤르메스를 시켜 이오를 구출하게 했다. 헤르메스는 목동으로 변장하여 피리를 불며 아르고스에게 접근했다. 헤르메스는 아르고스가 잠들 때까지 잔잔한 곡을 연주했고, 마법 지팡이로 아르고스의 눈을 모두 감게 한 후 그를 죽이고 이오를 풀어주었다.[18] 헤라는 아르고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의 눈을 자신이 사랑하는 공작새의 깃털에 붙여 화려한 무늬를 만들었다.

2. 5. 헤라의 복수와 이오의 방랑

제우스헤라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이오를 암소로 변신시켰지만, 헤라는 이오가 변한 암소를 자신에게 달라고 요구했다. 제우스는 헤라의 질투를 두려워하여 어쩔 수 없이 이오를 헤라에게 넘겨주었다.[5][14][15] 헤라는 눈이 백 개나 달린 거인 아르고스에게 이오를 맡겼다. 아르고스는 잠잘 때도 모든 눈을 감지 않았고, 이오를 철저히 감시했다.[38] 이오는 아버지에게 자신의 정체를 알리려 했지만 실패하고, 아르고스에 의해 더 높은 산으로 끌려갔다.

제우스는 아들 헤르메스를 시켜 이오를 구출하게 했다. 헤르메스는 목동으로 변장하여 피리를 불며 아르고스에게 접근했다. 헤르메스는 아르고스가 잠들 때까지 잔잔한 곡을 연주했고, 마법 지팡이로 아르고스의 눈을 모두 감게 한 후 그를 죽이고 이오를 풀어주었다.[18] 헤라는 아르고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의 눈을 자신이 사랑하는 공작새의 깃털에 붙여 화려한 무늬를 만들었다.[38]

헤라는 복수를 위해 등에에게 이오를 괴롭히라고 명령했다. 등에는 이오의 피를 빨아먹으며 괴롭혔고, 이오는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온 세상을 방랑하게 되었다.[38] 이오는 보스포루스 해협(암소의 통로)을 건넜고,[31] 프로메테우스를 만나 위로를 받았다. 프로메테우스는 이오가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가 헤라클레스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오는 이오니아 해를 건너[30] 이집트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제우스에 의해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왔다.[39] 이오는 이집트에서 제우스의 아들 에파푸스와 딸 케로에사를 낳았고, 이집트 왕 텔레고누스와 결혼했다. 이오의 신화는 아이스킬로스의 희곡 ''탄원자''에서 회상된다.[40]

2. 6. 이집트에서의 정착과 여신 숭배

제우스헤라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이오를 암소로 변신시켰지만, 헤라는 이오를 아르고스에게 맡겨 감시하게 했다.[38] 헤르메스가 아르고스를 죽이고 이오를 풀어주자, 헤라는 등에를 보내 이오를 괴롭혔다.[38] 등에를 피해 도망치던 이오는 이집트나일강까지 건너게 되었고, 제우스는 이오를 다시는 만나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헤라와 화해하고 이오를 원래 모습으로 되돌려 놓았다.[39]

이집트 사람들은 이오를 여신으로 받아들이고 소를 신으로 숭배하게 되었다.[40] 이오는 아르고스에 있는 여신 헤라의 여사제였으며,[5][12] 그녀의 아버지 이나코스가 아르고스에 그녀의 숭배를 도입했다고 여겨진다.[5]

헤라는 복수를 위해 등에를 보내 이오를 끊임없이 쏘아 세계를 떠돌게 했다. 이오는 프로폰티스와 흑해 사이를 건너 보스포루스( "암소의 통로"라는 뜻)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오는 이오니아 해를 건너 이집트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제우스에 의해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거기서 그녀는 제우스의 아들 에파푸스와 딸 케로에사를 낳았다. 그녀는 나중에 이집트 왕 텔레고노스와 결혼했다.

이오는 나일강 강가에서 제우스와의 아들인 에파푸스를 낳았다. 이집트로 돌아온 이오는 이 땅의 왕 텔레고노스와 결혼했다. 이오는 이곳에 데메테르의 상을 세웠고, 이집트인들은 데메테르와 이오를 이시스라고 불렀다.[32]

3. 역사적 기록

헤로도토스의 책 《역사》에 따르면, 페르시아페니키아 측 기록은 이오가 페니키아인들에게 납치되었거나, 혹은 자발적으로 아르고스를 떠났다고 주장하여 그리스 측 기록과 상반된다.[41][42]

3. 1. 페르시아 측 기록

헤로도토스가 인용한 페르시아 측 기록에 따르면, 그리스 기록과는 달리 이오는 페니키아인들에게 납치되어 이집트로 끌려갔다고 한다.[41]

헤로도토스의 책 《역사》에 따르면, 이오는 원래 헬라스(그리스) 아르고스 지역 지도자 이나코스의 딸로, 일행과 해변을 산책하고 있었다. 해변에는 아르고스에서 교역 중이던 포이니케(페니키아)인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이오를 비롯한 여인들을 납치해서 이이귑토스(이집트)로 도망쳤다고 한다. (1권 1~2장)[41]

한편, 같은 책에 인용된 포이니케인들의 기록은 또 다르다. 이오는 납치된 것이 아니라, 아르고스에서 포이니케인 선장과 사귀던 중 혼전 임신을 하게 되었고, 이 사실이 부모에게 들킬까 두려워 선장과 함께 몰래 도망쳤다고 주장한다.(1권 5장)[42]

3. 2. 페니키아 측 기록

헤로도토스가 인용한 페르시아쪽 기록에 따르면 그리스 기록과 달리 이오는 페니키아인들에게 납치되어 이집트로 끌려온 것이라고 주장한다.[41]

헤로도토스의 책 역사에 따르면 원래 이오는 헬라스(그리스) 아르고스 지역의 지도자 이나코스의 딸로 일행과 해변을 산책하고 있었는데, 해변에는 아르고스에서 교역 중이던 포이니케(페니키아)인들이 있었고 포이니케인들은 이오를 비롯한 여인들을 납치해서 이이귑토스(이집트)로 도망쳤다는 기록이 있다.[41]

한편 같은 책에 인용된 포이니케인들의 기록은 또 달라서 이오는 납치된 것이 아니라 아르고스에서 포이니케인 선장과 사귀던 중 혼전임신을 하게 되었고, 이것이 부모에게 들킬까 두려워 선장과 같이 몰래 도망쳤다고 주장한다.[42]

4. 가족 관계

대부분의 전설에서 이오는 이나쿠스의 딸이었다.[4][5] 이오의 아버지가 이나쿠스였다면, 어머니는 이나쿠스의 아내이자 누이인 오케아니스 님프 멜리아였을 것이며, 멜리아는 오케아노스의 딸이다.

''여인들의 목록''에서 이오의 아버지는 페이렌으로 불렸고,[6] 아쿠실라오스에 따르면[7], 이는 아르구스의 아들일 것이다.[8][9]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이오가 페이랜투스의 딸 칼리튀이아와 동일인물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10]

파우사니아스포로네우스의 후손이자 이아소스의 딸인 또 다른 이오를 언급한다.[11] 이아소스는 아르구스와 이스메네(아소포스의 딸)의 아들이거나,[12] 트리오파스와 소시스의 딸이었다. 후자의 경우 이오의 어머니는 레우카네였다.[13]

4. 1. 이나코스의 딸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이오는 헬라스(그리스) 아르고스의 지도자 이나코스의 딸이었다. 페르시아 측 기록에는 이오가 페니키아인들에게 납치되어 이집트로 끌려갔다고 되어 있지만, 포이니케인들의 기록은 다르다. 이오는 납치된 것이 아니라, 아르고스에서 포이니케인 선장과 사귀던 중 혼전 임신을 하여 부모에게 들킬까 두려워 선장과 함께 도망쳤다고 한다.[41][42]

대부분의 전설에서 이오는 이나코스의 딸이며,[4][5] 어머니는 이나코스의 아내이자 누이인 오케아니스 님프 멜리아(오케아노스의 딸)로 추정된다. ''여인들의 목록''에서 이오의 아버지는 페이렌으로 불렸고,[6] 아쿠실라오스에 따르면 아르구스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7][8][9]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이오가 페이랜투스의 딸 칼리튀이아와 동일인물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10]

2세기 AD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포로네우스의 후손이자 이아소스의 딸인 또 다른 이오를 언급한다.[11] 이아소스는 아르구스와 이스메네(아소포스의 딸)의 아들이거나, 트리오파스와 소시스의 딸이었다. 후자의 경우 이오의 어머니는 레우카네였다.[12][13]

이오는 아르고스에서 헤라 여신의 여사제였으며,[5][12] 아버지 이나쿠스가 아르고스에 헤라 숭배를 도입했다고 여겨진다.[5] 제우스는 이오에게 욕정을 느꼈고,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는 이오가 처음에는 제우스의 접근을 거절하여 아버지의 조언에 따라 집에서 쫓겨났다고 묘사된다.[14]

몇몇 이야기에서 제우스는 아내로부터 이오를 숨기기 위해 암소로 변신시켰지만,[5] 다른 이야기에서는 헤라 자신이 이오를 변신시켰다고 한다.[14][15] 제우스가 변신시킨 이야기에서는 속임수가 실패하여 헤라가 암소를 선물로 요구했고, 제우스는 거절할 수 없어 승낙했다.

가이아는 불쌍한 이오를 위해 제비꽃(ἴον|iongrc)을 만들어 먹게 했고, 제비꽃은 "이름을 얻은 그녀로부터" 자라게 되었다. 이는 잘못된 어원 민간전승이다. 제비꽃의 다양한 색깔(빨간색, 보라색, 흰색)은 이오의 삶(부끄러운 처녀, 암소, 별)을 의미했다.[16][17]

헤라는 이오를 감시하기 위해 100개의 눈을 가진 거인 아르고스를 보냈고, 제우스는 헤르메스를 보내 아르고스를 죽였다.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헤르메스는 팬파이프를 연주하고 이야기를 들려주어 아르고스를 잠들게 했다.[18] 풀려난 이오는 여전히 암소 모습이었다. 헤라는 아르고스의 눈을 공작 깃털에 장식하여 그의 도움에 감사했다는 신화도 있다.

헤라는 복수를 위해 등에를 보내 이오를 끊임없이 쏘아 세계를 떠돌게 했다. 이오는 프로폰티스와 흑해 사이를 건너 보스포루스(암소의 통로)라는 이름을 얻었고, 코카서스 산에 묶인 프로메테우스를 만났다. 프로메테우스는 이오가 인간 모습으로 돌아가 헤라클레스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위로했다.

이오는 이오니아 해를 건너 이집트로 도망쳐 제우스에 의해 인간 모습으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제우스의 아들 에파푸스와 딸 케로에사를 낳고, 이집트 왕 텔레고누스와 결혼했다. 그들의 손자 다나오스는 50명의 딸들(다나에스)과 함께 그리스로 돌아왔다. 이 이야기는 아이스킬로스의 ''탄원자''에서 회상된다.

호메로스는 이오 신화를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호메로스는 헤르메스를 "아르게이폰테스"라고 부르는데, 이는 "아르고스 살해자"로 번역되지만 로버트 비크스는 이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다. 발터 부르케르트[19]는 이오 이야기가 ''다나이스'', ''포로니스''(포로네우스는 헤라 숭배를 창시), 헤시오도스의 ''아이기미오스'' 단편, 헤시오도스의 ''여인들의 목록'' 등 고대 서사시 전통에서 최소 4번 언급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오를 기리는 애도는 고전 시대까지 아르고스의 헤라 신전에서 행해졌다.

고대인들은 이오를 달과 연결시켰으며,[20]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이오는 자신을 "뿔 달린 처녀"라고 부른다. 포로네우스와의 관계에서 이오는 자매(또는 후손)로서 포로니스라고 불리기도 한다.[21] 이오는 다말리스에 상륙했고, 칼케돈 사람들은 그 자리에 청동 암소를 세웠다.[22]

4. 2. 다른 전승들

대부분의 전설에서 이오는 이나쿠스의 딸이었다.[4][5] 만약 이오의 아버지가 이나쿠스였다면, 그녀의 어머니는 이나쿠스의 아내이자 누이인 오케아니스 님프 멜리아였을 것이다.

이오의 아버지는 ''여인들의 목록''에서 페이렌으로 불렸고,[6] 아쿠실라오스에 따르면[7], 이는 아르구스의 아들일 것이다.[8][9]

파우사니아스는 포로네우스의 후손이자 이아소스의 딸인 또 다른 이오를 언급한다.[11] 이아소스는 아르구스와 이스메네의 아들이거나,[12] 트리오파스와 소시스의 딸이었다.[13]

헤라는 복수를 위해 이오를 끊임없이 쏘아 세계를 떠돌게 하는 등에를 보냈다. 이오는 프로폰티스와 흑해 사이를 건너 보스포루스( "암소의 통로"라는 의미)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오는 코카서스 산에 묶여 있던 프로메테우스를 만났고, 프로메테우스는 이오에게 그녀가 인간 모습으로 돌아가 헤라클레스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위로했다. 이오는 이오니아 해를 건너 이집트로 도망쳐 제우스에 의해 인간 모습으로 돌아왔다. 거기서 제우스의 아들 에파푸스와 딸 케로에사를 낳았다. 그녀는 나중에 이집트 왕 텔레고누스와 결혼했다. 그들의 손자 다나오스는 50명의 딸들(다나에스)과 함께 그리스로 돌아왔다.

발터 부르케르트[19]는 이오 이야기가 고대 서사시 전통에서 최소 4번 언급되었다고 지적했다: ''다나이스'', ''포로니스'', 헤시오도스의 ''아이기미오스'' 단편, 헤시오도스의 ''여인들의 목록'' 단편.

고대인들은 이오를 달과 연결시켰으며,[20]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이오는 자신을 "뿔이 달린 처녀"라고 부른다.

이오는 어느 시점에서 다말리스에 상륙했고, 칼케돈 사람들은 그 자리에 청동 암소를 세웠다.[22]

5. 이오와 이시스의 동일시

헝가리의 신화 연구가 카를 케레니는 수다스를 인용하며 이오가 이집트 여신 이시스와 닮았다고 언급한다.[36]

영국의 시인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이오 신앙이 이집트의 이시스 신앙과 유사하다고 설명한다.[37]

6. 현대적 해석 및 평가

코레조의 『유피테르와 이오』(1531년경). , 미술사 미술관 소장


헝가리의 신화 연구가 카를 케레니는 이오를 "방황하는 달의 암소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보았으며, 유로파를 찾는 카드모스가 암소를 따라 카드메이아를 창건한 신화와 공통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헤로도토스는 이오가 헤라에 의해 쇠파리에 쫓겨 아르고스에서 이집트까지 쫓겨났으며, 에파포스는 이집트의 신성한 황소 아피스라고 기록했다. 이오가 이집트 여신 이시스와 닮았다는 점은 수다스를 출처로 언급한다.[36]

영국의 시인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아르고스 사람들이 초승달을 암소의 뿔에 비유하여 숭배했기 때문에 이오는 비를 가져오는 달의 여신이었다고 보았다. 또한 이오 이야기는 본래 관련이 없는 두 가지 이야기가 원형이 되어 여기에 몇 가지 요소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이라고 고찰했다. 하나는 달의 신성한 동물인 암소가 별들에게 보호받으며 하늘을 도는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스에 침입한 헬레네스의 지도자 (제우스)가 달의 무녀를 능욕한 이야기로, 이오는 "암소의 눈을 가진" 헤라의 다른 이름이라는 것이다. 등에에 쫓겨 소가 미친 듯이 날뛰는 모습은 비를 비는 의식이며, 아르고스인의 식민지가 에우보이아섬에서 보스포루스, 흑해, 시리아, 이집트로 퍼져나감에 따라 이 제사 의식도 동쪽으로 퍼져나갔다고 설명한다. 또한 그리스에서의 이오 신앙이 이집트의 이시스, 시리아의 아스타르테, 인도칼리 신앙과 유사하다고 덧붙였다.[37]

7. 갤러리

8. 계보

이나코스멜리아의 딸이자, 제우스의 연인이었다.[1] 그녀의 후손으로는 에파포스, 벨로스 등이 있다.[1]

가계도


참조

[1] 서적 A Latin Dictionary https://www.perseus.[...]
[2]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D. & G. Bruce
[3] 서적 L'Encyclopédie https://fr.wikisourc[...] 1751
[4] 문서 Prometheus Bound https://www.perseus.[...]
[5]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70
[6] 문서 Catalogue of Women
[7]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s://www.perseus.[...]
[8] 문서 The Hesiodic Catalogue of Women: Its Nature, Structure, and Origins Oxford 1985
[9]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10] 문서 Hesychius of Alexandria s. v. Ὶὼ Καλλιθύεσσα
[11]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12]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s://www.perseus.[...]
[13] 문서 Scholia on Euripides' Orestes
[14] 서적 The Oxford Concise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93
[15] 문서 The Suppliants (Aeschylus) https://www.loebclas[...]
[16] 문서 Geoponica https://archive.org/[...]
[17] 문서 Narrations
[18] 문서 Metamorphoses
[19] 문서 Homo Necans 1974
[20] 문서 commentary on Dionysius Periegetes
[21] 문서 Metamorphoses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Damalis https://www.perseus.[...]
[23] 서적 Ovid Metamorphoses
[24] 문서 イーアソスはアルゴスとイスメーネーの子であり、イスメーネーはアーソーポスの娘であるから、この説に従えば、アルゴスはイーオーの祖父に当たる。
[25] 서적 ギリシア神話 新潮社 1994
[26] 문서 普見者とはあまねく見る者(the All-seeing)の意。
[27] 문서 ヒエラクスについては他に言及がない。
[28] 문서 オウィディウスは、アルゴスについて頭の周囲に100の眼を持つとし、ヘルメースが葦笛(パンパイプ)を吹き鳴らし、シュリンクスの物語(葦笛が発明されたいきさつ)を語るなどしてアルゴスを眠らせる様子を詳述している。
[29] 문서 ヒュギーヌスはヘーラーが送ったのは「恐ろしい化け物」としているが、それが具体的になんなのかは示していない。また、オウィディウスはヘーラーがエリーニュスをけしかけたとする。
[30] 문서 ヒュギーヌスは「イオーニア海」(イーオーの海)と表現し、さらにアイスキュロスもイーオーをその名祖としているが、高津はイーオーでは母音の長さが異なることから、イオニオスを名祖としている。
[31] 문서 ギリシア語 Βόσπορος は通俗語源説で 「牝牛の渡し」 の意。牝牛に変身したイーオーが渡ったことから。
[32] 문서 高津によれば、イーオーは死後星になったと伝えられた。
[33] 문서 リビュエーはリビアの名の由来。なお、ヒュギーヌスはリビュエーをエパポスとカッシオペーの娘とする。
[34] 문서 プロメーテウスを解放するのは、ヘーラクレースである。
[35] 문서 この予言は、元はプロメーテウスの母テミスのものである。
[36] 서적 ゼウスとその妻たち
[37] 서적 イーオー
[38] 문서 이오가 건넌 바다을 이오니아해 소가 건넌 바다, 건넌 해협을 보스포로도 해협 이라고 한다.
[39] 문서 또는 '헤라의 복수가 끝났다'
[40] 문서 제우스와 이오의 아들 에파포스는 이집트의 왕이 되 아피스라고 불리게 된다.
[41] 문서 여담으로 이오의 납치를 시작으로 헬라스와 아나톨리아 지역사이의 보복 납치혼으로 확대되다가 결국 트로이 전쟁으로 확대되었다고 헤로도토스는 주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트로이아 전쟁 문서 참조
[42] 서적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