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리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리간은 필리핀 북민다나오 지역의 도시로, "웅장한 폭포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아구스 강을 활용한 수력 발전과 철강 산업이 발달했다. 히가오논족의 언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방어 요새를 의미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통치를 거쳐 1950년 시로 승격되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철강 산업 재개와 독자적인 하원 선거구 설치를 통해 회복을 시도했다.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일리간 공과대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일리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2023년 이리간 시가지 풍경, 렐롱 산 조망
2023년 렐롱 산에서 바라본 이리간 시가지 풍경
공식 명칭이리간 시
로마자 표기Iligan
별칭남부의 산업 중심지
장엄한 폭포의 도시
이리간의 기
이리간의 문장
문장
국가필리핀
지방북부 민다나오 지방
라나오델노르테 주 (지리적으로만 해당)
구역구역
하원 의원셀소 G. 레겐시아 (Lakas)
시장프레데릭 W. 시아오 (NP)
부시장마리아니토 D. 알레마니아 (NP)
시의회베르나르드 Y. 파카냐
심플리시오 N. 라라자발 3세
로세비 퀸 C. 벨몬테
미셸 E. 스위트
사무엘 P. 후에르타스
프로비덴시오 A. 아브라간 주니어
제시 레이 N. 발라나이
란디 라이언 프란시스 A. 옹
말렌 L. 영
라밀 C. 엠보롱
마. 파스 테레사 살소스-우치아트
니콜 B. 카팡팡안
유권자234,765 명 (2022년)
설립1609년
자치1914년
시 승격1950년 6월 16일
고도 도시1983년 11월 22일
면적813.37 제곱킬로미터
최대 고도1195 m
최소 고도0 m
시간대필리핀 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9200
PSGC103503000
지역 번호63
웹사이트이리간 시 공식 웹사이트
인구
총 인구 (2020년)363,115 명
가구 수87,455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이리가논
경제
총 국내 생산 (2022년)₱770억 1500만
미화 환산 (2022년)$13억 6000만
소득 등급1등급
빈곤율25.7% (2018년)
기후
기후몬순 기후
기타 정보
토착 언어세부아노어
주요 종교로마 가톨릭, 이슬람교
노래
노래 제목Martsa Iliganon (이리가논 행진)

2. 어원

일리간(Iligan)이라는 이름은 히가우논족(일리간의 루마드/원주민)의 단어 "일리그(Ilig)"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하류로 가다"를 의미한다.[6] 그러나 일리간의 이름은 히가우논족의 용어 "일리간(iligan)" 또는 "일리얀(ilijan)"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는 방어 요새를 의미하며, 해적과 다른 민다나오 부족들의 잦은 공격으로 인해 적절한 용어였다.[7]

3. 역사

=== 히가오논 마노보족 정착지 (바유그) ===

일리간은 현재 시내 중심에서 북쪽으로 4km 떨어진 바라가이 히나플라논에 위치한 바유그 섬에 히가오논 마노보족이 처음 정착한 곳이다. 이곳은 바다 거주민들의 정착지였다.[8]

16세기 후반, 원주민은 비사야 제도의 보홀 섬 앞바다에 있던 팡라오 왕국(Panglao)에서 온 이주민에 의해 정복되었다.[8] 다피탄에서 팡라오의 ''다투'' 파그부아야는 1565년 스페인 사람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요원을 맞이했다. 이후 파그부아야의 아들 마노옥은 ''돈 페드로 마누엘'' 마노옥으로 세례를 받았다. 마노옥은 바유그의 히가오논족 마을을 정복하고 여기에 기독교도 정착지를 건설했다.[8] 그들은 신과 수호성인 미카엘을 숭배하며 정착지를 공격으로부터 지켰고, 나중에 바유그에서 일리간으로 이전했다. 일리간의 이름은 히가오논어로 "수비의 요새"를 의미하는 "iligan" 또는 "ilijan"에서 유래했으며, 해적과 다른 부족의 공격에 맞서 왔다.[8]

예수회 역사가 프란시스코 콤베스(Francisco Combes)에 따르면, 몰루카 제도의 테르나테 왕국이 팡라오를 공격했고, 많은 사람들이 민다나오 섬 북서부, 현재 삼보앙가델노르테 주의 다피탄(Dapitan)으로 피신했다.[8]

1850년 대홍수가 발생하여 일리간의 지도자 돈 레미기오 카빌리(Don Remigio Cabili)는 다른 요새를 만들었다. 투보드 강(Tubod) 하구의, 현재 올드 마켓 서쪽에 있던 오래된 일리간은 이렇게 현재 도시 중심부 근처로 이전되었다. 성 프란시스 하비에르 요새라는 이름의 돌 요새는 1642년 일리간 사람들이 습격에서 피난처를 찾고 있을 때 건설되었지만, 요새는 홍수로 물에 잠겼고, 빅토리아 요새 또는 코타 데 일리간(Cota de Iligan)이라고 불리는 요새가 생겼다.

=== 스페인 통치 시대 ===

일리간의 기원은 현재 포블라시온(Poblacion) 지역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바유그(Bayug) 마을에 있는데, 이곳은 스페인 식민지화 이전, 마라갓족(Maragat, 히가오논족)으로 알려진 해양 민족의 거주지였다.[9] 16세기 후반, 원주민은 비사야 제도의 보홀 섬 앞바다에 있던 팡라오 왕국(Panglao)에서 온 이주민에 의해 정복되었다.

예수회 역사가 프란시스코 콤베스(Francisco Combes)에 따르면, 몰루카 제도의 테르나테 왕국이 팡라오를 공격했고, 많은 사람들이 민다나오 섬 북서부, 현재 삼보앙가델노르테 주의 다피탄(Dapitan)으로 피신했다. 1565년, 다피탄에서 팡라오 왕국의 생존 왕자 파그부아야(Pagbuaya)는 필리핀 정복 과정에 있던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를 만났고, 이후 아들 마노크(Manook)는 기독교도로 세례를 받아 페드로 마누엘 마노크가 되었다. 마노크는 바유그의 히가오논족 마을을 정복하고 여기에 기독교도 정착지를 건설했다. 그들은 신과 수호성인 미카엘을 숭배하며 정착지를 공격으로부터 지켰고, 나중에 바유그에서 일리간으로 이전했다.[9] 일리간의 이름은 히가오논어로 "수비의 요새"를 의미하는 "iligan" 또는 "ilijan"에서 유래했으며, 해적과 다른 부족의 공격에 맞서 왔다.

초기 정착민들과 기독교 개종자들은 1609년에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사들이 설립한 일리간으로 정착지를 옮겼다.[9] 기독교화 과정에서 스페인군은 일리간에서 100명의 스페인 군인을 지원받았다.[10] 1639년, 예수회는 수도사들을 대체했다. 일리간은 역사상 라나오 호수 지역을 정복하고 기독교화하려는 스페인군의 작전 기지였다.

1642년, 일리간인들이 도적들의 습격을 피해 피난처로 삼았던, 성 프란시스 자비에르 요새라고 불리는 석조 요새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요새는 홍수로 인해 침수되었다. 또 다른 요새가 건설되었고, 이 요새는 빅토리아 요새 또는 코타 데 일리간으로 명명되었다.

1850년 대홍수가 발생하여 일리간의 지도자 돈 레미기오 카빌리(Don Remigio Cabili)는 다른 요새를 만들었다. 투보드 강(Tubod) 하구의, 현재 올드 마켓 서쪽에 있던 오래된 일리간은 이렇게 현재 도시 중심부 근처로 이전되었다.

북민다나오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인 일리간은 이미 1832년에 한때 분할되지 않았던 미사미스 주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당시 교구가 주도인 미사미스에 기반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독립적인 종교 행정을 갖지 못했다. 이곳은 미사미스 주의 가장 큰 자치구 중 하나였다.

스페인군은 1899년에 일리간을 버리고, 1900년 미국군이 상륙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 미국 통치 시대 ===

1900년 일리간의 미국 육군 캠프 ''오버튼''


일리간, c. 1903-1913


1903년, 모로 지방이 설립되면서 일리간은 모로족 거주민들 때문에 미사미스 지방에서 분리되었다.[11] 그 후 일리간은 라나오 구의 수도가 되었고, 미국 관리들이 거주하며 집무를 보는 정부 소재지가 되었다. 그러나 1907년, 라나오 구의 수도는 단살란으로 이전되었다.[11]

1914년, 모로 지방이 종결되고 모로랜드의 재구성에 따라 일리간은 8개의 바리오와 만둘로그 시립 지구로 구성된 자치구가 되었다. 약 40년 동안 평화와 번영을 누린 후, 1942년 일리간은 일본군에 의해 침략을 받았다.

필리핀 연방군에 의한 일리간 해방은 1944년부터 1945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군이 지배하던 도시를 공격하면서 이루어졌다. 1944년 11월 15일, 도시는 일본의 잔혹 행위와 점령의 종식을 기념하기 위해 연방 기념일 퍼레이드를 개최했다.[12]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일리간은 1950년 6월 16일, 시(市)와 동일한 자치 구역 정의를 사용하여 북라나오 주의 자치 도시가 되었다.[14] 1969년에는 1등급 도시로 선언되었고, 1977년 7월 1일에 1등급 도시 "A"로 재분류되었다. 1983년, 일리간은 다시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재분류되었다.

2017년 5월 23일, 마라위 시에서 이슬람 무장 단체와 필리핀 치안 부대의 전투가 격화되었다. 같은 날 민다나오 섬 전역에 계엄령이 발령되었다. 일리간 시에는 마라위 시로부터의 피난민이 몰려들고 있다.

=== 일리간 철강 공장 설립 ===

1952년 국립 조선소 및 철강 공사(NASSCO)의 정부 주도 사업으로 일리간 철강 공장이 설립되었다.[13] NASSCO는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해 미국에 본사를 둔 수출입 은행(Eximbank)으로부터 6,230만 달러의 대출을 신청하였고, 수출입 은행은 시설 관리를 민간 기업으로 이전할 것을 제안했다. 이 회사는 1963년 자친토 가문의 일리간 통합 철강 공장(Iligan Integrated Steel Mills, Inc.)에 매각되었다.[13] 1963년, 필리핀 정부는 "경제 사회 종합 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했고, 민다나오 섬 북부에 일리간 제철소를 건설하는 계획이 수립되어, 일리간은 남부의 산업 도시가 되었다.

=== 1960년대 후반의 분쟁 심화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필리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많은 기독교 단체가 민다나오에 정착하여 많은 지역 주민들을 몰아내고 수많은 토지 소유 분쟁을 야기했다.[15][16] 마르코스 행정부는 이러한 새로운 정착민들에게 민병대를 조직하도록 장려했고, 이들은 결국 일라가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일라가는 종종 모로와 루마드족을 대상으로 한 인권 침해와 연관되었다. 이로 인해 모로족과 기독교 공동체 사이에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뿌리 깊은 적대감과 폭력의 악순환이 발생했다.[17][18] 이러한 지역 폭력에도 불구하고, 1968년 자비다 학살 소식이 모로 반란을 촉발하기 전까지 저명한 모로 사상가들은 대부분 정치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다. 모로족 남성들이 필리핀 육군에 징집된 후 지휘관과의 분쟁으로 학살당했다는 보고는 모로족이 2등 시민으로 취급받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했다. 이로 인한 민족적 긴장은 코타바토 주지사 다투 우드토그 마탈람의 무슬림 독립 운동과 라나오델수르 하원 의원 하룬 알-라시드 루크만의 방사모로 해방 기구와 같은 분리주의 정치 운동의 형성을 이끌었다.[18]

또한, 1969년 필리핀 국제 수지 위기는 전국적인 사회 불안을 야기했고, 시위에 대한 폭력적인 탄압은 많은 학생들을 급진화시켰으며,[20] 일부는 신인민군에 가담하여 신인민군 반란을 처음으로 민다나오로 가져왔다.[21]

=== 마르코스 계엄령 하의 일리간 ===

필리핀 헌법에 따라 허용된 마지막 임기 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72년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했고, 이는 민다나오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18] 이는 마르코스 독재의 인권 침해로 역사에 기록된 14년의 1인 통치의 시작을 알렸다.[22][23][24] 일리간에서는, 1975년 국제앰네스티의 진상조사단에 의해 기록된 한 사건으로 12명의 구금자 살해가 있었는데, 이는 탈옥으로 보이도록 연출되었다.[25] 당시 증인은 영장 없이 구금되었으며, 고문과 강제 노동에 정기적으로 시달렸다.[25]

계엄령 선포는 또한 정당과 단체를 금지함으로써 모로 분리주의 상황을 악화시키는 데 일조했다.[18]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한 달 후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의 공식적인 설립은 모로 분쟁의 보다 군사적인 국면으로의 전환을 의미했으며, 이전 BMLO의 회원들을 흡수하고 MIM에 불만을 품은 회원들을 끌어들였다.[18] 라나오델수르와 일리간 자체는 MNLF와 이후 분파인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와의 필리핀군(Armed Forces of the Philippines)의 갈등으로 전투원과 민간인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분쟁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18]

정치 단체 외에도,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는 일리간과 라나오델수르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텔레비전 방송국, 전국 신문, 주간 잡지, 지역 신문, 라디오 방송국과 같은 언론 매체를 폐쇄했다.[26] 마르코스 독재 14년 동안 많은 민다나오 언론인들이 살해되었으며,[27] 주요 사례로는 Bulletin Today의 라나오 지방 특파원 데모스테네스 딩콩,[28][29] 필리핀 포스트 일리간 특파원이자 라디오 해설가 제프리 시아오,[30][31] 그리고 DXWG 일리간 해설가 찰리 아베릴라가 있다.[30][32]

1970년대 일리간에서는 심각한 개인적 위험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활동가들이 일어섰다. 여기에는 저명한 간호사 권익 옹호자 민다 루스 케사다 (나중에 필리핀 1987년 헌법 제정에 초청될 예정)와 같은 일리간 출신들이 포함되었다;[33] 전기 노동자 노조 지도자 데이비드 S. 보르자;[34] 종교 청년 조직가 에드윈 라게르데르;[35] MSU 일리간 기술 연구소의 활동가 교수이자 작가 에스터 킨타나르;[36] 그리고 야당 지도자 니노이 아키노의 주요 지지자였던 마시딩 알론토 시니어와 같은 활동가 정치인도 있었다.[37] 이들 활동가 중 일부는 결국 그들의 신념을 추구하다 살해되었는데, 여기에는 농장 노동자 조직가 제임스 오르베[38]와 허버트 카윤다[39]가 포함된다.

딩콩, 케사다, 보르자, 킨타나르, 라게르데르, 알론토 시니어, 오르베, 카윤다는 모두 나중에 민주주의 회복과 당시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싸운 사람들을 기리는 필리핀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의 추모의 벽에 그들의 이름이 새겨지면서 인정받았다.[40]

=== 아시아 금융 위기와 회복 ===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동안 일리간시는 심각한 경제 침체를 겪었다. 국립철강공사를 비롯한 여러 산업 시설이 폐쇄되었다.[41]

2004년 글로벌 철강 인프라(GSII)로 이름이 변경된 국립철강공사가 재개장하면서 일리간시의 경제 회복이 시작되었다.[42] 이 재개장은 일리간시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는데, 이는 상당한 수의 일자리를 회복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켰기 때문이다. 철강 생산 재개는 지역 사회에 새로운 희망과 안정을 가져다주었으며, 이 지역의 추가 투자와 사업 활동을 장려했다.

2005년 10월, GSII는 공식적으로 새로운 회사명인 글로벌 철강 필리핀(SPV-AMC)로 변경했다.[43] 이러한 브랜드 변경은 회사의 운영을 활성화하고 국내 및 국제 철강 산업에서 입지를 재확립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이 전환은 단순한 이름 변경뿐만 아니라 공장 시설을 현대화하고 생산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경쟁하겠다는 의지를 의미했다.

=== 독립 선거구 ===

공화국법 제9724호는 2009년 10월 20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일리간시를 라나오델노르테주 제1선거구로부터 분리하는 법안이다. 이 입법 변화는 일리간시를 단독 하원 선거구로 격상시켜 더 큰 정치적 자율성과 대표성을 부여했다. 별도의 하원 선거구의 설치는 일리간시가 필리핀 국회에 자체적인 대표자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도시의 특정한 요구와 이익이 국가 차원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보장했다.

이러한 조치는 더 나은 지방 정부와 개발을 육성하는 단계로 여겨졌다. 이는 도시가 국가 정부로부터 더 집중적인 관심과 자원을 받을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다시 경제 회복과 성장을 더욱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자체적인 하원 선거구를 가짐으로써, 일리간시는 독특한 경제 및 사회적 환경에 맞춰진 정책과 프로그램을 더 잘 옹호할 수 있었고, 지속 가능한 개발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촉진했다.

3. 1. 히가오논 마노보족 정착지 (바유그)

일리간은 현재 시내 중심에서 북쪽으로 4km 떨어진 바라가이 히나플라논에 위치한 바유그 섬에 히가오논 마노보족이 처음 정착한 곳이다. 이곳은 바다 거주민들의 정착지였다.[8]

16세기 후반, 원주민은 비사야 제도의 보홀 섬 앞바다에 있던 팡라오 왕국(Panglao)에서 온 이주민에 의해 정복되었다.[8] 다피탄에서 팡라오의 ''다투'' 파그부아야는 1565년 스페인 사람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요원을 맞이했다. 이후 파그부아야의 아들 마노옥은 ''돈 페드로 마누엘'' 마노옥으로 세례를 받았다. 마노옥은 바유그의 히가오논족 마을을 정복하고 여기에 기독교도 정착지를 건설했다.[8] 그들은 신과 수호성인 미카엘을 숭배하며 정착지를 공격으로부터 지켰고, 나중에 바유그에서 일리간으로 이전했다. 일리간의 이름은 히가오논어로 "수비의 요새"를 의미하는 "iligan" 또는 "ilijan"에서 유래했으며, 해적과 다른 부족의 공격에 맞서 왔다.[8]

예수회 역사가 프란시스코 콤베스(Francisco Combes)에 따르면, 몰루카 제도의 테르나테 왕국이 팡라오를 공격했고, 많은 사람들이 민다나오 섬 북서부, 현재 삼보앙가델노르테 주의 다피탄(Dapitan)으로 피신했다.[8]

1850년 대홍수가 발생하여 일리간의 지도자 돈 레미기오 카빌리(Don Remigio Cabili)는 다른 요새를 만들었다. 투보드 강(Tubod) 하구의, 현재 올드 마켓 서쪽에 있던 오래된 일리간은 이렇게 현재 도시 중심부 근처로 이전되었다. 성 프란시스 하비에르 요새라는 이름의 돌 요새는 1642년 일리간 사람들이 습격에서 피난처를 찾고 있을 때 건설되었지만, 요새는 홍수로 물에 잠겼고, 빅토리아 요새 또는 코타 데 일리간(Cota de Iligan)이라고 불리는 요새가 생겼다.

3. 2. 스페인 통치 시대

일리간의 기원은 현재 포블라시온(Poblacion) 지역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바유그(Bayug) 마을에 있는데, 이곳은 스페인 식민지화 이전, 마라갓족(Maragat, 히가오논족)으로 알려진 해양 민족의 거주지였다.[9] 16세기 후반, 원주민은 비사야 제도의 보홀 섬 앞바다에 있던 팡라오 왕국(Panglao)에서 온 이주민에 의해 정복되었다.

예수회 역사가 프란시스코 콤베스(Francisco Combes)에 따르면, 몰루카 제도의 테르나테 왕국이 팡라오를 공격했고, 많은 사람들이 민다나오 섬 북서부, 현재 삼보앙가델노르테 주의 다피탄(Dapitan)으로 피신했다. 1565년, 다피탄에서 팡라오 왕국의 생존 왕자 파그부아야(Pagbuaya)는 필리핀 정복 과정에 있던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를 만났고, 이후 아들 마노크(Manook)는 기독교도로 세례를 받아 페드로 마누엘 마노크가 되었다. 마노크는 바유그의 히가오논족 마을을 정복하고 여기에 기독교도 정착지를 건설했다. 그들은 신과 수호성인 미카엘을 숭배하며 정착지를 공격으로부터 지켰고, 나중에 바유그에서 일리간으로 이전했다.[9] 일리간의 이름은 히가오논어로 "수비의 요새"를 의미하는 "iligan" 또는 "ilijan"에서 유래했으며, 해적과 다른 부족의 공격에 맞서 왔다.

초기 정착민들과 기독교 개종자들은 1609년에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사들이 설립한 일리간으로 정착지를 옮겼다.[9] 기독교화 과정에서 스페인군은 일리간에서 100명의 스페인 군인을 지원받았다.[10] 1639년, 예수회는 수도사들을 대체했다. 일리간은 역사상 라나오 호수 지역을 정복하고 기독교화하려는 스페인군의 작전 기지였다.

1642년, 일리간인들이 도적들의 습격을 피해 피난처로 삼았던, 성 프란시스 자비에르 요새라고 불리는 석조 요새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요새는 홍수로 인해 침수되었다. 또 다른 요새가 건설되었고, 이 요새는 빅토리아 요새 또는 코타 데 일리간으로 명명되었다.

1850년 대홍수가 발생하여 일리간의 지도자 돈 레미기오 카빌리(Don Remigio Cabili)는 다른 요새를 만들었다. 투보드 강(Tubod) 하구의, 현재 올드 마켓 서쪽에 있던 오래된 일리간은 이렇게 현재 도시 중심부 근처로 이전되었다.

북민다나오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인 일리간은 이미 1832년에 한때 분할되지 않았던 미사미스 주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당시 교구가 주도인 미사미스에 기반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독립적인 종교 행정을 갖지 못했다. 이곳은 미사미스 주의 가장 큰 자치구 중 하나였다.

스페인군은 1899년에 일리간을 버리고, 1900년 미국군이 상륙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3. 3. 미국 통치 시대



1903년, 모로 지방이 설립되면서 일리간은 모로족 거주민들 때문에 미사미스 지방에서 분리되었다.[11] 그 후 일리간은 라나오 구의 수도가 되었고, 미국 관리들이 거주하며 집무를 보는 정부 소재지가 되었다. 그러나 1907년, 라나오 구의 수도는 단살란으로 이전되었다.[11]

1914년, 모로 지방이 종결되고 모로랜드의 재구성에 따라 일리간은 8개의 바리오와 만둘로그 시립 지구로 구성된 자치구가 되었다. 약 40년 동안 평화와 번영을 누린 후, 1942년 일리간은 일본군에 의해 침략을 받았다.

필리핀 연방군에 의한 일리간 해방은 1944년부터 1945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군이 지배하던 도시를 공격하면서 이루어졌다. 1944년 11월 15일, 도시는 일본의 잔혹 행위와 점령의 종식을 기념하기 위해 연방 기념일 퍼레이드를 개최했다.[12]

3.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리간은 1950년 6월 16일, 시(市)와 동일한 자치 구역 정의를 사용하여 북라나오 주의 자치 도시가 되었다.[14] 1969년에는 1등급 도시로 선언되었고, 1977년 7월 1일에 1등급 도시 "A"로 재분류되었다. 1983년, 일리간은 다시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재분류되었다.

일리간의 기원은 현재 포블라시온(Poblacion) 지역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바유그(Bayug) 마을에 있다. 이곳은 스페인 식민지화 이전, 마라갓족(Maragat, 히가오논족)으로 알려진 해양 민족의 거주지였다. 16세기 후반, 원주민은 비사야 제도의 보홀 섬 앞바다에 있던 팡라오 왕국(Panglao)에서 온 이주민에 의해 정복되었다.

예수회 역사가 프란시스코 콤베스(Francisco Combes)에 따르면, 몰루카 제도의 테르나테 왕국이 팡라오를 공격했고, 많은 사람들이 민다나오 섬 북서부, 현재 삼보앙가델노르테 주의 다피탄(Dapitan)으로 피신했다. 1565년, 다피탄에서 팡라오 왕국의 생존 왕자 파그부아야(Pagbuaya)는 필리핀 정복 과정에 있던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를 만났고, 이후 아들 마노크(Manook)는 기독교도로 세례를 받아 페드로 마누엘 마노크가 되었다. 마노크는 바유그의 히가오논족 마을을 정복하고 여기에 기독교도 정착지를 건설했다. 그들은 신과 수호성인 미카엘을 숭배하며 정착지를 공격으로부터 지켰고, 나중에 바유그에서 일리간으로 이전했다. 일리간의 이름은 히가오논어로 "수비의 요새"를 의미하는 "iligan" 또는 "ilijan"에서 유래했으며, 해적과 다른 부족의 공격에 맞서 왔다.

1850년 대홍수가 발생하여 일리간의 지도자 돈 레미기오 카빌리(Don Remigio Cabili)는 다른 요새를 만들었다. 투보드 강(Tubod) 하구의, 현재 올드 마켓 서쪽에 있던 오래된 일리간은 이렇게 현재 도시 중심부 근처로 이전되었다.

성 프란시스 하비에르 요새라는 이름의 돌 요새는 1642년, 일리간 사람들이 습격에서 피난처를 찾고 있을 때 건설되었지만, 요새는 홍수로 물에 잠겼고, 빅토리아 요새 또는 코타 데 일리간(Cota de Iligan)이라고 불리는 요새가 생겼다.

스페인 통치자들은 1899년에 일리간을 포기하고, 1900년에 미군이 상륙했다. 이 지역은 모로 주(1903년 - 1913년)의 일부가 되었지만, 1914년 모로 지방의 재편으로 일리간은 8개의 마을이 모인 도시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중인 1942년, 일본군은 일리간을 점령했지만, 1944년에 철수했다. 1944년 11월 15일, 시민들은 일본군으로부터의 해방을 기념하여 커먼웰스 데이 퍼레이드를 열었다.

일리간은 1950년 6월 16일, 마을과 같은 구역으로 라나오델노르테 주의 시(chartered city)가 되었다. 1963년, 필리핀 정부는 "경제 사회 종합 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했다. 민다나오 섬 북부에 일리간 제철소를 건설하는 계획이 수립되어, 일리간은 남부의 산업 도시가 되었다.

2017년 5월 23일, 마라위 시에서 이슬람 무장 단체와 필리핀 치안 부대의 전투가 격화되었다. 같은 날 민다나오 섬 전역에 계엄령이 발령되었다. 일리간 시에는 마라위 시로부터의 피난민이 몰려들고 있다.

3. 4. 1. 일리간 철강 공장 설립

1952년 국립 조선소 및 철강 공사(NASSCO)의 정부 주도 사업으로 일리간 철강 공장이 설립되었다.[13] NASSCO는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해 미국에 본사를 둔 수출입 은행(Eximbank)으로부터 6,230만 달러의 대출을 신청하였고, 수출입 은행은 시설 관리를 민간 기업으로 이전할 것을 제안했다. 이 회사는 1963년 자친토 가문의 일리간 통합 철강 공장(Iligan Integrated Steel Mills, Inc.)에 매각되었다.[13] 1963년, 필리핀 정부는 "경제 사회 종합 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했고, 민다나오 섬 북부에 일리간 제철소를 건설하는 계획이 수립되어, 일리간은 남부의 산업 도시가 되었다.

3. 4. 2. 1960년대 후반의 분쟁 심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필리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많은 기독교 단체가 민다나오에 정착하여 많은 지역 주민들을 몰아내고 수많은 토지 소유 분쟁을 야기했다.[15][16] 마르코스 행정부는 이러한 새로운 정착민들에게 민병대를 조직하도록 장려했고, 이들은 결국 일라가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일라가는 종종 모로와 루마드족을 대상으로 한 인권 침해와 연관되었다. 이로 인해 모로족과 기독교 공동체 사이에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뿌리 깊은 적대감과 폭력의 악순환이 발생했다.[17][18] 이러한 지역 폭력에도 불구하고, 1968년 자비다 학살 소식이 모로 반란을 촉발하기 전까지 저명한 모로 사상가들은 대부분 정치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다. 모로족 남성들이 필리핀 육군에 징집된 후 지휘관과의 분쟁으로 학살당했다는 보고는 모로족이 2등 시민으로 취급받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했다. 이로 인한 민족적 긴장은 코타바토 주지사 다투 우드토그 마탈람의 무슬림 독립 운동과 라나오델수르 하원 의원 하룬 알-라시드 루크만의 방사모로 해방 기구와 같은 분리주의 정치 운동의 형성을 이끌었다.[18]

또한, 1969년 필리핀 국제 수지 위기는 전국적인 사회 불안을 야기했고, 시위에 대한 폭력적인 탄압은 많은 학생들을 급진화시켰으며,[20] 일부는 신인민군에 가담하여 신인민군 반란을 처음으로 민다나오로 가져왔다.[21]

3. 4. 3. 마르코스 계엄령 하의 일리간

필리핀 헌법에 따라 허용된 마지막 임기 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72년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했고, 이는 민다나오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18] 이는 마르코스 독재의 인권 침해로 역사에 기록된 14년의 1인 통치의 시작을 알렸다.[22][23][24] 일리간에서는, 1975년 국제앰네스티의 진상조사단에 의해 기록된 한 사건으로 12명의 구금자 살해가 있었는데, 이는 탈옥으로 보이도록 연출되었다.[25] 당시 증인은 영장 없이 구금되었으며, 고문과 강제 노동에 정기적으로 시달렸다.[25]

계엄령 선포는 또한 정당과 단체를 금지함으로써 모로 분리주의 상황을 악화시키는 데 일조했다.[18]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한 달 후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의 공식적인 설립은 모로 분쟁의 보다 군사적인 국면으로의 전환을 의미했으며, 이전 BMLO의 회원들을 흡수하고 MIM에 불만을 품은 회원들을 끌어들였다.[18] 라나오델수르와 일리간 자체는 MNLF와 이후 분파인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와의 필리핀군(Armed Forces of the Philippines)의 갈등으로 전투원과 민간인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분쟁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18]

정치 단체 외에도,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는 일리간과 라나오델수르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텔레비전 방송국, 전국 신문, 주간 잡지, 지역 신문, 라디오 방송국과 같은 언론 매체를 폐쇄했다.[26] 마르코스 독재 14년 동안 많은 민다나오 언론인들이 살해되었으며,[27] 주요 사례로는 Bulletin Today의 라나오 지방 특파원 데모스테네스 딩콩,[28][29] 필리핀 포스트 일리간 특파원이자 라디오 해설가 제프리 시아오,[30][31] 그리고 DXWG 일리간 해설가 찰리 아베릴라가 있다.[30][32]

1970년대 일리간에서는 심각한 개인적 위험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활동가들이 일어섰다. 여기에는 저명한 간호사 권익 옹호자 민다 루스 케사다 (나중에 필리핀 1987년 헌법 제정에 초청될 예정)와 같은 일리간 출신들이 포함되었다;[33] 전기 노동자 노조 지도자 데이비드 S. 보르자;[34] 종교 청년 조직가 에드윈 라게르데르;[35] MSU 일리간 기술 연구소의 활동가 교수이자 작가 에스터 킨타나르;[36] 그리고 야당 지도자 니노이 아키노의 주요 지지자였던 마시딩 알론토 시니어와 같은 활동가 정치인도 있었다.[37] 이들 활동가 중 일부는 결국 그들의 신념을 추구하다 살해되었는데, 여기에는 농장 노동자 조직가 제임스 오르베[38]와 허버트 카윤다[39]가 포함된다.

딩콩, 케사다, 보르자, 킨타나르, 라게르데르, 알론토 시니어, 오르베, 카윤다는 모두 나중에 민주주의 회복과 당시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싸운 사람들을 기리는 필리핀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의 추모의 벽에 그들의 이름이 새겨지면서 인정받았다.[40]

3. 5. 현대

1850년 대홍수가 발생하여 일리간의 지도자 돈 레미기오 카빌리(Don Remigio Cabili)는 다른 요새를 만들었다. 투보드 강(Tubod) 하구의, 현재 올드 마켓 서쪽에 있던 오래된 일리간은 이렇게 현재 도시 중심부 근처로 이전되었다.

성 프란시스 하비에르 요새라는 이름의 돌 요새는 1642년, 일리간 사람들이 습격에서 피난처를 찾고 있을 때 건설되었지만, 요새는 홍수로 물에 잠겼고, 빅토리아 요새 또는 코타 데 일리간(Cota de Iligan)이라고 불리는 요새가 생겼다.

스페인 통치자들은 1899년에 일리간을 포기하고, 1900년에 미군이 상륙했다. 이 지역은 모로 주(1903년 - 1913년)의 일부가 되었지만, 1914년 모로 지방의 재편으로 일리간은 8개의 마을이 모인 도시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중인 1942년, 일본군은 일리간을 점령했지만, 1944년에 철수했다. 1944년 11월 15일, 시민들은 일본군으로부터의 해방을 기념하여 커먼웰스 데이 퍼레이드를 열었다.

일리간은 1950년 6월 16일, 마을과 같은 구역으로 라나오델노르테 주의 시(chartered city)가 되었다. 1963년, 필리핀 정부는 "경제 사회 종합 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했다. 민다나오 섬 북부에 일리간 제철소를 건설하는 계획이 수립되어, 일리간은 남부의 산업 도시가 되었다.

2017년 5월 23일, 마라위 시에서 이슬람 무장 단체와 필리핀 치안 부대의 전투가 격화되었다. 같은 날 민다나오 섬 전역에 계엄령이 발령되었다. 일리간 시에는 마라위 시로부터의 피난민이 몰려들고 있다.

== 아시아 금융 위기와 회복 ==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동안 일리간시는 심각한 경제 침체를 겪었다. 국립철강공사를 비롯한 여러 산업 시설이 폐쇄되었다.[41]

2004년 글로벌 철강 인프라(GSII)로 이름이 변경된 국립철강공사가 재개장하면서 일리간시의 경제 회복이 시작되었다.[42] 이 재개장은 일리간시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는데, 이는 상당한 수의 일자리를 회복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켰기 때문이다. 철강 생산 재개는 지역 사회에 새로운 희망과 안정을 가져다주었으며, 이 지역의 추가 투자와 사업 활동을 장려했다.

2005년 10월, GSII는 공식적으로 새로운 회사명인 글로벌 철강 필리핀(SPV-AMC)로 변경했다.[43] 이러한 브랜드 변경은 회사의 운영을 활성화하고 국내 및 국제 철강 산업에서 입지를 재확립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이 전환은 단순한 이름 변경뿐만 아니라 공장 시설을 현대화하고 생산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경쟁하겠다는 의지를 의미했다.

== 독립 선거구 ==

공화국법 제9724호는 2009년 10월 20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일리간시를 라나오델노르테주 제1선거구로부터 분리하는 법안이다. 이 입법 변화는 일리간시를 단독 하원 선거구로 격상시켜 더 큰 정치적 자율성과 대표성을 부여했다. 별도의 하원 선거구의 설치는 일리간시가 필리핀 국회에 자체적인 대표자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도시의 특정한 요구와 이익이 국가 차원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보장했다.

이러한 조치는 더 나은 지방 정부와 개발을 육성하는 단계로 여겨졌다. 이는 도시가 국가 정부로부터 더 집중적인 관심과 자원을 받을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다시 경제 회복과 성장을 더욱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자체적인 하원 선거구를 가짐으로써, 일리간시는 독특한 경제 및 사회적 환경에 맞춰진 정책과 프로그램을 더 잘 옹호할 수 있었고, 지속 가능한 개발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촉진했다.

3. 5. 1. 아시아 금융 위기와 회복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동안 일리간시는 심각한 경제 침체를 겪었다. 국립철강공사를 비롯한 여러 산업 시설이 폐쇄되었다.[41]

2004년 글로벌 철강 인프라(GSII)로 이름이 변경된 국립철강공사가 재개장하면서 일리간시의 경제 회복이 시작되었다.[42] 이 재개장은 일리간시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는데, 이는 상당한 수의 일자리를 회복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켰기 때문이다. 철강 생산 재개는 지역 사회에 새로운 희망과 안정을 가져다주었으며, 이 지역의 추가 투자와 사업 활동을 장려했다.

2005년 10월, GSII는 공식적으로 새로운 회사명인 글로벌 철강 필리핀(SPV-AMC)로 변경했다.[43] 이러한 브랜드 변경은 회사의 운영을 활성화하고 국내 및 국제 철강 산업에서 입지를 재확립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이 전환은 단순한 이름 변경뿐만 아니라 공장 시설을 현대화하고 생산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경쟁하겠다는 의지를 의미했다.

3. 5. 2. 독립 선거구

공화국법 제9724호는 2009년 10월 20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일리간시를 라나오델노르테주 제1선거구로부터 분리하는 법안이다. 이 입법 변화는 일리간시를 단독 하원 선거구로 격상시켜 더 큰 정치적 자율성과 대표성을 부여했다. 별도의 하원 선거구의 설치는 일리간시가 필리핀 국회에 자체적인 대표자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도시의 특정한 요구와 이익이 국가 차원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보장했다.

이러한 조치는 더 나은 지방 정부와 개발을 육성하는 단계로 여겨졌다. 이는 도시가 국가 정부로부터 더 집중적인 관심과 자원을 받을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다시 경제 회복과 성장을 더욱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자체적인 하원 선거구를 가짐으로써, 일리간시는 독특한 경제 및 사회적 환경에 맞춰진 정책과 프로그램을 더 잘 옹호할 수 있었고, 지속 가능한 개발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촉진했다.

4. 지리

일리간은 북쪽으로 미사미스 오리엔탈의 3개 자치구(루가이트, 만티카오, 오폴)와 접하고, 남쪽으로는 라나오델노르테의 3개 자치구(발로이, 리나몬, 타고로안)와 라나오델수르의 2개 자치구(카파이, 타고로안 II)와 접하며, 북동쪽으로는 카가얀데오로시, 동쪽으로는 부키드논의 탈라카그, 서쪽으로는 일리간 만과 접한다.

서쪽의 일리간 만은 페리 및 컨테이너선 운송을 제공한다. 도시 동쪽의 평평한 경작지 해안은 가파른 화산 언덕과 산으로 이어지며, 이 지역이 잘 알려진 폭포와 찬 샘물을 제공한다.

4. 1. 기후

일리간은 계절이 뚜렷하지 않은 세 번째 유형의 기후에 속하며, 연중 강우량이 고르게 분포한다.[44][45] 열대 지역에 위치하여 춥거나 강한 기상 이변이 드물다. 이는 도시가 태풍 벨트 밖에 위치하고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44][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30.630.931.832.832.732.231.932.131.931.931.731.132.8
평균 최저 기온 (°C)21.721.822.022.623.122.822.422.522.422.422.222.021.7
평균 강수량 (mm)106.190.588.280.2145.1217.7247.9342.0578.1780.0299.3208.13183.2
평균 강수일수 (≥ 0.1 mm)23.219.522.022.829.628.929.029.828.128.826.124.1311.9
평균 일조 시간390.6370.1545.6573.0378.2225.0229.4254.2246.0294.5360.0421.64288.2


4. 2. 바랑가이

일리간은 정치적으로 44개의 바랑가이로 세분된다.[46][47] 바랑가이에 따라 푸로크 또는 구역으로 세분된다.

  • 아부노
  • 악막-마리아노 바델레스 시니어
  • 바공 실랑
  • 본보논
  • 부나완
  • 부루-운
  • 달리푸가
  • 델 카르멘
  • 디길라안
  • 디투칼란
  • 둘라그
  • 푸엔테스
  • 히나플라논
  • 힌당
  • 카바크사난
  • 칼리랑안
  • 키왈란
  • 라니파오
  • 루이나브
  • 마하야하이
  • 마이니트
  • 만둘로그
  • 마리아 크리스티나
  • 팔라-오
  • 파노로그난
  • 포블라시온
  • 푸가-안
  • 로공곤
  • 산 미겔
  • 산 로케
  • 산타 엘레나
  • 산타 필로메나
  • 산티아고
  • 산토 로사리오
  • 사레이
  • 수아레즈
  • 탐바칸
  • 티반가
  • 티파노이
  • 토마스 L. 카빌리 (토미노보 프로퍼)
  • 어퍼 토미노보
  • 투보드
  • 우발도 라야
  • 어퍼 히나플라논
  • 빌라 베르데

Lluch 거리


에치베리 거리

5. 인구

일리간 인구 조사
연도인구±% p.a.
19032,872
19184,976+3.81%
193928,273+8.75%
194825,726−0.99%
196058,433+7.08%
197089,949+4.40%
1975118,778+5.73%
1980167,358+7.08%
1990226,568+3.08%
1995273,004+3.54%
2000285,061+0.92%
2007308,046+1.06%
2010322,821+1.73%
2015342,618+1.18%
2020363,115+1.16%
출처: 필리핀 통계청



일리간은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다수와 현지 소수 민족, 주로 마라나오족과 기타 소수 민족 및 이민자로 구성되어 있다. 천연자원과 산업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라나오델수르주의 마라나오족, 부키드논주의 히가오논족,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 온 많은 정착민과 이주민 등 다양한 문화의 고향이기도 하다. 다양한 문화로 유명하다.

일리간은 수력 자원과 공업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면에서도 풍요로운 도시이다. 남쪽의 라나오델수르주의 마라나오족과, 인접한 히가오논족과 부키드논족, 그 외 필리핀 북부·중부로부터의 대량의 이주민의 문화가 혼합되어 있다.

일리간은 기독교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인구의 93.61%). 일리간의 주민은 무슬림인 현지 마라나오족과 필리핀 중부의 기독교도 세부아노어 사용자의 혼합으로, 필리핀 북부의 타갈로그어 사용자나, 그 외 현지 소수 민족 및 타 지역의 이민은 소수이다.

시 인구의 93%는 세부아노어를 사용한다. 나머지는 타갈로그어, 마라나오어, 일롱고어, 일로카노어, 차바카노어, 와라이어를 사용한다. 시민의 대부분은 영어도 구사한다.

=== 언어 ===

일리간에서는 세부아노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92.27%가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답했다.[48] 소수 언어로는 마라나오어, 힐리가이논어, 일로카노어, 차바카노어, 와라이와라이어가 있다. 대다수의 인구는 타갈로그어(필리피노)와 영어를 구사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이 나라의 공식 언어이다.[48] 타갈로그어(필리피노)와 영어는 도시의 학교에서 가르친다.

=== 종교 ===

일리간 시민의 대다수는 기독교인(주로 로마 가톨릭)이다.[49] 이 도시는 일리간 시와 북라나오 주 12개 지방 자치 단체(리나몬, 카우스와간, 바콜로드, 마이고, 콜람부간, 투보드, 바로이, 라라, 카파타간, 사파드, 살바도르 및 막사이사이)에 25개 교구를 둔 일리간 로마 가톨릭 교구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면적은 3,092km²이며 인구는 1,551,000명이며, 이 중 65.5%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49]

일리간의 성 미카엘 대성당 내부


무슬림은 인구의 11.48%를 차지하는 가장 큰 소수 민족이다. 그들은 주로 수니파이다.[50]

5. 1. 언어

일리간에서는 세부아노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92.27%가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답했다.[48] 소수 언어로는 마라나오어, 힐리가이논어, 일로카노어, 차바카노어, 와라이와라이어가 있다. 대다수의 인구는 타갈로그어(필리피노)와 영어를 구사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이 나라의 공식 언어이다.[48] 타갈로그어(필리피노)와 영어는 도시의 학교에서 가르친다. 시 인구의 93%는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며, 나머지는 타갈로그어, 마라나오어, 일롱고어, 일로카노어, 차바카노어, 와라이어를 사용한다. 시민의 대부분은 영어도 구사한다.

5. 2. 종교

일리간 시민의 대다수는 기독교인(주로 로마 가톨릭)이다.[49] 이 도시는 일리간 시와 북라나오 주 12개 지방 자치 단체(리나몬, 카우스와간, 바콜로드, 마이고, 콜람부간, 투보드, 바로이, 라라, 카파타간, 사파드, 살바도르 및 막사이사이)에 25개 교구를 둔 일리간 로마 가톨릭 교구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면적은 3,092km²이며 인구는 1,551,000명이며, 이 중 65.5%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49]

무슬림은 인구의 11.48%를 차지하는 가장 큰 소수 민족이다. 그들은 주로 수니파이다.[50]

6. 경제

'''일리간 시 빈곤율'''

{| style="font-size:85%;"

|

연도빈곤율
2006
2009
2012
2015
2018
2021



|}

'''출처:''' 필리핀 통계청[51]

일리간 시내


=== 산업 ===

일리간은 경제가 중공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남부의 산업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민다나오 지역에 국립 전력 공사(NAPOCOR)를 통해 수력 발전을 제공하며, 아구스 V, VI, VII 수력 발전소를 수용하는 민다나오 지역 센터(MRC)가 위치해 있다.[59] 또한, 홀심 필리핀(Holcim Philippines)의 민다나오 최대 시멘트 공장이 이 도시에 있다. 이 도시에는 철강, 주석 도금, 시멘트, 제분소와 같은 산업 시설도 있다.

1950년 국립 전력 공사(NPC, NAPOCOR)가 마리아 크리스티나(아구스 VI) 수력 발전소를 건설한 후, 이 도시는 급속한 산업화를 경험했으며 1980년대 후반까지 지속되었다. 1962년에는 국내 최대 철강 공장인 국립 철강 공사(NSC)도 설립되었다.[59]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동안 이 도시는 심각한 경제 침체를 겪었다. 특히 국립 철강 공장을 포함하여 많은 산업 공장이 폐쇄되었다.[60]

2004년 국립 철강 공장이 글로벌 스틸웍스 인프라스트럭쳐스(GSII)로 개명하여 재개장하면서 도시의 경제 부흥을 보았다.[61] 2005년 10월, GSII는 공식적으로 새로운 회사명인 글로벌 스틸 필리핀(SPV-AMC)으로 변경했다.[62]

국영 전력 공사(National Power Corporation, NAPOCOR)는 민다나오 섬의 전원 기지이며, 급경사의 아구스강 수계에 아구스 4, 아구스 6, 아구스 7 등 다수의 수력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아구스 6은 1950년에 가동되었다.

국영 제철 공사(National Steel Corporation, 현재의 글로벌 스틸 필리핀 주식회사 Global Steel Philippines Incorporated)는 아세안 유수의 제철소이며, 1.4제곱 킬로미터의 부지에 펼쳐져 있다. 1980년대에 일본의 엔 차관 등으로 확대되었지만, 이후 경영난으로 인도계 제철 회사에 의해 재건되었다. 빌릿, 열연 코일, 냉연 코일, 박판 등을 생산하며, 3,800명 이상이 근무한다.

마부하이 비닐(Mabuhay Vinyl Corporation)은 1935년 마닐라의 마부하이 고무 신발 회사의 일족이 건설했다. 현재의 공장은 1964년에 건설되어 1965년에 가동되었다. 비누, 섬유, 살충제, 폭발물, 폴리에스터, 신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을 제조하고 있다.

그 외 코코넛 오일, 식품, 시멘트 등 많은 공장이 전후에 가동되었다.

=== 농업 ===

일리간은 중공업 외에도 다양한 식물과 작물의 주요 수출국이자 생산지이기도 하다.

일리간의 현지 레스토랑 ''가스파초''


바나나 농장은 12,780.40헥타르, 코코넛 농장은 11,036.95헥타르, 옥수수 농장은 4,193.86헥타르에 달한다. 커피 생산은 969.43헥타르에서 이루어지며, 가축은 28,992마리, 가금류는 17,728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 금융 ===

2018 회계연도 기준, 일리간의 현재 운영 수입은 20억 5,289만 페소로, 2017 회계연도의 19억 페소보다 8% 증가했다. 감사원의 2017년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일리간의 총자산은 102억 7천만 페소였다.

국영 전력 공사(National Power Corporation, NAPOCOR)는 민다나오섬의 전원 기지 역할을 하며, 급경사의 아구스강 수계에 아구스 4, 아구스 6, 아구스 7 등 다수의 수력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아구스 6은 1950년에 가동되었다.

국영 제철 공사(National Steel Corporation, 현재의 글로벌 스틸 필리핀 주식회사 Global Steel Philippines Incorporated)는 아세안 유수의 제철소로, 1.4제곱 킬로미터의 부지에 있다. 1980년대에 일본의 엔 차관 등으로 확대되었지만, 이후 경영난으로 인도계 제철 회사에 의해 재건되었다. 빌릿, 열연 코일, 냉연 코일, 박판 등을 생산하며, 3,800명 이상이 근무한다.

마부하이 비닐(Mabuhay Vinyl Corporation)은 1935년 마닐라의 마부하이 고무 신발 회사의 일족이 건설했다. 현재의 공장은 1964년에 건설되어 1965년에 가동되었다. 비누, 섬유, 살충제, 폭발물, 폴리에스터, 신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을 제조하고 있다.

그 외 코코넛 오일, 식품, 시멘트 등 많은 공장이 전후에 가동되었다.

6. 1. 산업

일리간은 경제가 중공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남부의 산업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민다나오 지역에 국립 전력 공사(NAPOCOR)를 통해 수력 발전을 제공하며, 아구스 V, VI, VII 수력 발전소를 수용하는 민다나오 지역 센터(MRC)가 위치해 있다.[59] 또한, 홀심 필리핀(Holcim Philippines)의 민다나오 최대 시멘트 공장이 이 도시에 있다. 이 도시에는 철강, 주석 도금, 시멘트, 제분소와 같은 산업 시설도 있다.

1950년 국립 전력 공사(NPC, NAPOCOR)가 마리아 크리스티나(아구스 VI) 수력 발전소를 건설한 후, 이 도시는 급속한 산업화를 경험했으며 1980년대 후반까지 지속되었다. 1962년에는 국내 최대 철강 공장인 국립 철강 공사(NSC)도 설립되었다.[59]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동안 이 도시는 심각한 경제 침체를 겪었다. 특히 국립 철강 공장을 포함하여 많은 산업 공장이 폐쇄되었다.[60]

2004년 국립 철강 공장이 글로벌 스틸웍스 인프라스트럭쳐스(GSII)로 개명하여 재개장하면서 도시의 경제 부흥을 보았다.[61] 2005년 10월, GSII는 공식적으로 새로운 회사명인 글로벌 스틸 필리핀(SPV-AMC)으로 변경했다.[62]

국영 전력 공사(National Power Corporation, NAPOCOR)는 민다나오 섬의 전원 기지이며, 급경사의 아구스강 수계에 아구스 4, 아구스 6, 아구스 7 등 다수의 수력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아구스 6은 1950년에 가동되었다.

국영 제철 공사(National Steel Corporation, 현재의 글로벌 스틸 필리핀 주식회사 Global Steel Philippines Incorporated)는 아세안 유수의 제철소이며, 1.4제곱 킬로미터의 부지에 펼쳐져 있다. 1980년대에 일본의 엔 차관 등으로 확대되었지만, 이후 경영난으로 인도계 제철 회사에 의해 재건되었다. 빌릿, 열연 코일, 냉연 코일, 박판 등을 생산하며, 3,800명 이상이 근무한다.

마부하이 비닐(Mabuhay Vinyl Corporation)은 1935년 마닐라의 마부하이 고무 신발 회사의 일족이 건설했다. 현재의 공장은 1964년에 건설되어 1965년에 가동되었다. 비누, 섬유, 살충제, 폭발물, 폴리에스터, 신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을 제조하고 있다.

그 외 코코넛 오일, 식품, 시멘트 등 많은 공장이 전후에 가동되었다.

6. 2. 농업

일리간은 중공업 외에도 다양한 식물과 작물의 주요 수출국이자 생산지이기도 하다.

바나나 농장은 12,780.40헥타르, 코코넛 농장은 11,036.95헥타르, 옥수수 농장은 4,193.86헥타르에 달한다. 커피 생산은 969.43헥타르에서 이루어지며, 가축은 28,992마리, 가금류는 17,728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6. 3. 금융

2018 회계연도 기준, 일리간의 현재 운영 수입은 20억 5,289만 페소로, 2017 회계연도의 19억 페소보다 8% 증가했다. 감사원의 2017년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일리간의 총자산은 102억 7천만 페소였다.

국영 전력 공사(National Power Corporation, NAPOCOR)는 민다나오섬의 전원 기지 역할을 하며, 급경사의 아구스강 수계에 아구스 4, 아구스 6, 아구스 7 등 다수의 수력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아구스 6은 1950년에 가동되었다.

국영 제철 공사(National Steel Corporation, 현재의 글로벌 스틸 필리핀 주식회사 Global Steel Philippines Incorporated)는 아세안 유수의 제철소로, 1.4제곱 킬로미터의 부지에 있다. 1980년대에 일본의 엔 차관 등으로 확대되었지만, 이후 경영난으로 인도계 제철 회사에 의해 재건되었다. 빌릿, 열연 코일, 냉연 코일, 박판 등을 생산하며, 3,800명 이상이 근무한다.

마부하이 비닐(Mabuhay Vinyl Corporation)은 1935년 마닐라의 마부하이 고무 신발 회사의 일족이 건설했다. 현재의 공장은 1964년에 건설되어 1965년에 가동되었다. 비누, 섬유, 살충제, 폭발물, 폴리에스터, 신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을 제조하고 있다.

그 외 코코넛 오일, 식품, 시멘트 등 많은 공장이 전후에 가동되었다.

7. 관광

일리간은 이 지역에 위치한 수많은 폭포 때문에 "웅장한 폭포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많은 폭포들은 아름다움과 힘으로 인해 전 세계에서 온 관광객들을 끌어들인다. 이 도시에는 약 24개의 폭포가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폭포는 마리아 크리스티나 폭포이다. 마리아 크리스티나 폭포는 아구스 VI 수력 발전소에서 활용되어 이 도시의 주요 전력원 역할을 한다.

마리아 크리스티나 폭포


바라가이 디투칼란의 300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티나고 폭포, 바라가이 부루-운의 밈발룻 폭포, 바라가이 수아레즈의 아바가 폭포, 바라가이 본보논의 도디온간 폭포 등이 있다.

일리간 시내에서 약 50km 떨어진 바라가이 로공곤에는 리문수단 폭포가 있는데, 이곳은 265m로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폭포이다.

일리간은 유명한 일리간의 산 미겔의 고향이다.[64] 이 조각상은 대천사 미카엘의 이미지로, 특히 사탄과의 전투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머리 장식을 착용한다.[63] 애니미즘 신봉자인 루마드, 이슬람교도인 모로, 기독교도인 비사야, 차바카노, 그리고 일리간에서 평화롭게 함께 사는 라틴 아메리카인들은 모두 산 미겔에게 헌정된 이 축제를 기념하며, 그를 위한 에스크리마 춤을 춘다.[64] 산 미겔 에스크리마라고 불리는 에스크리마 무술은 이 성인과 관련이 있다.[64]

8. 행정

일리간은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이며 북라나오주로부터 정치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1950년대에 도시 헌장을 받은 결과로, 도시의 등록 유권자들은 주지사 및 부지사와 같은 지방 후보에게 더 이상 투표하지 않는다. 이는 지방을 구성하는 인근 도시들과는 다르다.

일리간 시청


일리간의 정부 청사인 시청은 바랑가이 팔라-오의 부항기난 언덕에 위치해 있다. 지방 정부 구조는 1명의 시장, 1명의 부시장, 12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된다. 각 공무원은 3년 임기로 공개적으로 선출되며, 최대 3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도시의 일상적인 행정은 시 행정관이 처리한다.

역대 시장

  • 1988–1992: 카밀로 P. 카빌리
  • 1992–1998: 알레호 A. 야녜스
  • 1998–2004: 프랭클린 M. 퀴자노
  • 2004–2013: 로렌스 Ll. 크루즈
  • 2013–2022: 셀소 G. 레겐시아
  • 2022–현재: 프레데릭 W. 시아오


역대 부시장

  • 1998–2001: 페드로 B. 제네랄라오
  • 2001–2004: 로렌스 Ll. 크루즈
  • 2004–2013: 헨리 C. 다이
  • 2013–2016: 루데릭 C. 마르조
  • 2016–2022: 제마르 L. 베라 크루즈
  • 2022–현재: 마리아니토 도동 D. 알레마니아

9. 교통

9. 1. 항구

일리간 항구는 민다나오 북중부 해안 지역의 일리간 만을 마주보는 곳에 위치하며, 대략 북위 8° 13′ 56″ 동경 124° 13′ 54″ / 북위 8.23222° 동경 124.23167°  / 8.23222; 124.23167의 지리적 좌표를 갖는다.[65]

이 항구는 라나오델노르테주, 라나오델수르주, 미사미스오리엔탈주 일부, 일리간시와 마라위시의 내륙 지역에서 오는 항구 이용자 및 승객을 위해 운영된다.[65]

일리간 항구에서 운영되는 여객 및 화물 선박 노선은 마닐라, 세부시, 오자미스시를 운항한다.

일리간에는 각 중공업 회사에서 운영하는 약 7개의 사설 항만이 있다. 이 사설 항만은 마리아 크리스티나, 수아레즈, 토마스 L. 카빌리, 산타 필로메나, 키왈란 바랑가이에 위치해 있다.

9. 2. 공항

라구인딩간 공항은 일리간시와 북 민다나오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공항은 2013년 6월 15일에 개항한 라구인딩간 공항이며, 미사미스 오리엔탈 주 라구인딩간에 위치해 있다.[66] 이 공항은 미사미스 오리엔탈과 북 민다나오의 주요 공항으로서 룸비아 공항을 대체했다.[67] 필리핀 항공과 세부 퍼시픽 항공을 통해 마닐라, 세부, 다바오, 일로일로, 클라크에서 출발하는 상업 항공편이 매일 운항된다.

마리아 크리스티나 공항은 라나오델노르테 주 발로이에 위치해 있으며, 1980년대 후반 일리간의 주요 공항이었다. 현재는 폐지된 지역 항공사인 에어로리프트 필리핀은 1990년 마닐라 국내 공항 활주로 끝에서 여객기가 구조물에 추락하여 파산하면서 운행을 중단했다.[68][69] 따라서 발로이에 있는 일리간 공항에 대한 서비스도 중단되었고, 이로 인해 공항이 폐쇄되었다. 필리핀 항공은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1998년에 운항을 종료하기 전까지 수년 동안 이 도시를 운항했다.

9. 3. 버스 터미널

일리간에는 두 개의 주요 버스 터미널이 있다.

  • 통합 버스 및 지프니 터미널(IBJT)은 카가얀데오로, 다바오 및 미사미스 오리엔탈의 여러 지역으로 오가는 서쪽 방향 노선을 처리한다.
  • 남부 버스 및 지프니 터미널은 디폴로그, 파가디안, 코타바토 시, 오자미스 시, 삼보앙가 시 및 북라나오와 마라위의 여러 지역으로 오가는 동쪽 방향 노선을 처리한다.


농촌 교통 (RTMI) 및 수퍼 5 랜드 교통 및 서비스 Inc.는 일리간에서 오가는 일일 노선을 운영하는 주요 대중 버스 회사이다. 승합차와 지프니는 또한 북라나오, 남라나오, 미사미스 오리엔탈의 여러 지방 자치 단체를 운행한다.

9. 4. 시내 교통

일리간 시내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지프니(전통 및 현대식)와 삼륜차가 있다. 타르타닐라스는 팔라오 바랑가이와 탐바칸 바랑가이의 주요 도로를 운행한다.

10. 교육

일리간시는 1개의 국립 대학교와 7개의 사립 대학이 있으며, 이들 대학은 공학 및 정보 기술, 보건 서비스, 해양 과학, 비즈니스 및 행정, 초등 및 중등 교육, 예술 및 사회 과학을 전문으로 한다.

직업 학교와 기술 학교를 포함하여 총 181개 학교(공립 106개, 사립 75개, 마드라사 17개)가 있는 일리간시는 평균 94.71%의 문맹률을 보이며, 이는 필리핀 전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 일리간 시립 고등학교는 일리간에서 가장 큰 고등학교이다.
  • 1938년 11월 12일에 설립된 일리간 최초이자 유일한 중국 학교인 라나오 중화 학교.
  • 라 살 아카데미는 라살 학교이다. 이 학교는 필리핀에서 드 라 살 형제단에 의해 설립된 3세대 라 살 학교 중 첫 번째 학교이다.
  • 일리간 코퍼스 크리스티 교구 학교는 1964년 션 J. 맥그래스 신부와 전 교장 이노센시아 L. 타픽에 의해 설립된 가톨릭 사립 학교이다.
  • 일리간 시립 동부 고등학교는 이전에는 제12지역 과학 고등학교로 알려졌으나, 카가얀 데 오로로 이전되어 일리간 시립 동부 고등학교로 변경되었다. 이 학교는 1986년 2월에 설립되었다. 연구, 과학, 수학, 기술 교육 등을 전문으로 한다.
  • [https://web.archive.org/web/20160415084026/http://www1.msuiit.edu.ph/academics/schools/ids/ 통합 개발 학교]는 일리간 고등학교로 1946년에 설립되었다. 1968년 7월 12일, 이 학교는 R.A. No. 5363에 따라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 - 일리간 기술 연구소에 부속되었다.
  • 델 카르멘 통합 학교
  • 수아레즈 국립 고등학교

주요 교육 기관민다나오 주립 대학교 - 일리간 공과대학(Mindanao State University – Iligan Institute of Technology, MSU-IIT)은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Mindanao State University, MSU)의 자율적인 외부 캠퍼스 중 하나이며 "MSU 시스템의 여러 캠퍼스의 빛"으로 여겨진다.[70] 과학 기술, 공학, 수학, 정보 기술, 자연 과학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필리핀 최고의 대학교 중 하나로 손꼽힌다.[71]

일리간 성 미카엘 대학교(St. Michael's College, Iligan City)는 1914년 펠릭스 코르도바 신부(Fr. Felix Cordova, S.J.)가 설립한 Lanao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이다.[72] 1915년 수호성인인 대천사 미카엘을 기리기 위해 Escuela de San Miguel로 정식 설립되었다.[72] 경영학, 회계학, 호텔 및 레스토랑 관리, 공학 및 컴퓨터 연구, 간호학, 범죄학, 교육학, 인문학 및 과학, 기초 교육 등 8개의 학문을 제공한다.[72]

일리간 성 베드로 대학교(St. Peter's College, Iligan City)는 1952년에 설립된 공학, 회계학, 경영학 학교이다. 일리간 캐피톨 칼리지 주식회사(Iligan Capitol College Inc.)는 1963년 설립된 사립, 비종파, 남녀공학 교육 기관이다.[72] 1964년 2월 12일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되었다.[72]

일리간 의학 센터 칼리지(Iligan Medical Center College)는 1975년에 설립된 사립, 비종파 의학 및 보건 서비스 학교이다. 어드벤티스트 의료 센터 칼리지 – 일리간(Adventist Medical Center College – Iligan)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칼리지 중 하나로, 간호학, 영양학 및 식이요법, 의학 기술, 물리 치료, 약학, 방사선학 등 의료 관련 과정을 중점으로 하는 의과대학이다. 일리간 리세움 재단은 해양 및 공학 과정에 중점을 둔다.

기타 주목할 만한 칼리지 및 기술 학교로는 일리간 컴퓨터 연구소(ICI), 산타 모니카 기술 연구소(SMIT), STI 칼리지, 피카달 기술 연구소(PISTEch), 성 로렌스 기술 연구소, 민다나오 석사 기술 연구소, ICTI 폴리텍 칼리지 주식회사(구 일리간 시 기술 연구소(ICTI)) 등이 있다.

10. 1. 주요 교육 기관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 - 일리간 공과대학(Mindanao State University – Iligan Institute of Technology, MSU-IIT)은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Mindanao State University, MSU)의 자율적인 외부 캠퍼스 중 하나이며 "MSU 시스템의 여러 캠퍼스의 빛"으로 여겨진다.[70] 과학 기술, 공학, 수학, 정보 기술, 자연 과학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필리핀 최고의 대학교 중 하나로 손꼽힌다.[71]

일리간 성 미카엘 대학교(St. Michael's College, Iligan City)는 1914년 펠릭스 코르도바 신부(Fr. Felix Cordova, S.J.)가 설립한 Lanao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이다.[72] 1915년 수호성인인 대천사 미카엘을 기리기 위해 Escuela de San Miguel로 정식 설립되었다.[72] 경영학, 회계학, 호텔 및 레스토랑 관리, 공학 및 컴퓨터 연구, 간호학, 범죄학, 교육학, 인문학 및 과학, 기초 교육 등 8개의 학문을 제공한다.[72]

일리간 성 베드로 대학교(St. Peter's College, Iligan City)는 1952년에 설립된 공학, 회계학, 경영학 학교이다. 일리간 캐피톨 칼리지 주식회사(Iligan Capitol College Inc.)는 1963년 설립된 사립, 비종파, 남녀공학 교육 기관이다.[72] 1964년 2월 12일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되었다.[72]

일리간 의학 센터 칼리지(Iligan Medical Center College)는 1975년에 설립된 사립, 비종파 의학 및 보건 서비스 학교이다. 어드벤티스트 의료 센터 칼리지 – 일리간(Adventist Medical Center College – Iligan)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칼리지 중 하나로, 간호학, 영양학 및 식이요법, 의학 기술, 물리 치료, 약학, 방사선학 등 의료 관련 과정을 중점으로 하는 의과대학이다. 일리간 리세움 재단은 해양 및 공학 과정에 중점을 둔다.

기타 주목할 만한 칼리지 및 기술 학교로는 일리간 컴퓨터 연구소(ICI), 산타 모니카 기술 연구소(SMIT), STI 칼리지, 피카달 기술 연구소(PISTEch), 성 로렌스 기술 연구소, 민다나오 석사 기술 연구소, ICTI 폴리텍 칼리지 주식회사(구 일리간 시 기술 연구소(ICTI)) 등이 있다.

11. 자매 도시

11. 1. 필리핀 국내

일리간은 필리핀 카가얀데오로, 제너럴 산토스, 마카티, 디폴로그, 오자미즈, 부투안, 타그빌라란 등에 취항한다.[77][78]

참조

[1] DILG detail
[2] 웹사이트 All Provinces and HUCs in Northern Mindanao Continue to Expand in 2022; City of Cagayan de Oro Records the Fastest Growth with 9.4 Percent https://psa.gov.ph/c[...] 2023-12-09
[3] 웹사이트 PH₱56.598 per dollar (per International Monetary Fund on Representative Exchange Rates for Selected Currencies for December 2022) https://www.imf.org/[...] 2023-12-09
[4] 간행물 Iligan City 'moves' to Northern Mindanao, Philippine Daily Inquirer 2001-09-09
[5] 웹사이트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p[...]
[6] 웹사이트 ILIGAN: The City of Failing Waters https://www.pressrea[...] SunStar Davao 2022-08-07
[7] 웹사이트 ILIGAN CITY https://region10.dil[...] DILG REGION 10 2022-08-07
[8] 웹사이트 History of Iligan during Spanish times http://www.iligan.go[...] 2022-07-28
[9] 문서 All About Iligan http://allaboutiliga[...] 2022-07-28
[10] 문서 San Agustín, Conquistas, lib. 2 cap 37: 545
[11] 문서 Iligan During the American Period http://www.iligan.go[...]
[12] 문서 Japanese Occupation in Iligan City http://www.iligan.go[...]
[13] 뉴스 SteelAsia offers to revive defunct National Steel https://www.rappler.[...] 2019-01-27
[14] 웹사이트 R.A. No. 525, Iligan City Charter http://lawph.com/sta[...] LawPH.com 2011-04-09
[15] 서적 History of the Philippines: From Indios Bravos to Filipinos https://books.google[...] Overlook Press 2013
[16]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Ancestral Lands and Human Rights in the Philippines https://www.cultural[...] 1994-06
[17] 문서 The Bangsamoro Struggle for Self-Determintation: A Case Study http://manoa.hawaii.[...] 2020-09-25
[18] 서적 Ethnicity i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Curzon 2004
[19] 서적 Revolt in Mindanao: The Rise of Islam in Philippine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20] 뉴스 Remembering the First Quarter Storm https://globalnation[...] 2020-09-15
[21] 서적 Turning Rage Into Courage: Mindanao Under Martial Law MindaNews Publications, Mindanao News and Information Cooperative Center 2002
[22]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23]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24]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25] 문서 Amnesty 1975 https://www.amnesty.[...]
[26]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day Marcos declared Martial Law http://www.officialg[...] 2018-10-26
[2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Philippine community newspapers Published by the Philippine Press Institute with funding from Konrad Adenauer Foundation
[28] 뉴스 Florante de Castro, killed 1984, not 1986 https://cmfr-phil.or[...] 2022-10-25
[29] 웹사이트 The Marcos Regime and the Making of a Subservient Philippine Press (Part 2) https://hrvvmemcom.g[...]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2-10-25
[30] 뉴스 More Than a Dozen Journalists Killed in Philippines in a Year https://apnews.com/a[...] 2022-10-27
[31] 뉴스 Journalists Appeal to Marcos https://www.washingt[...] 2022-10-27
[32] 뉴스 Radioman shot dead in Iligan City https://newsinfo.inq[...] 2022-10-24
[33] 웹사이트 Minda Luz Quesada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31
[34] 웹사이트 David Borja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31
[35] 웹사이트 Edwin Laguerder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6-11
[36] 웹사이트 Ester Kintanar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6-11
[37] 웹사이트 Datu Masiding Alonto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31
[38] 웹사이트 James Orbe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6-20
[39] 웹사이트 Herbert Cayunda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27
[40] 웹사이트 Iligan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41] 웹인용 A Giant Awakens http://www.philippin[...] 2008-02-28
[42] 뉴스 National Steel Plant reopens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43] 웹사이트 GSII Changes Name to Global Steel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05-08-19
[44] 웹사이트 Climate: Iligan https://en.climate-d[...] Climate Data Organization 2019-06-10
[45] 웹사이트 Climate of Iligan City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19-06-10
[46]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11902 https://lawphil.net/[...] 2022-12-05
[47] 웹사이트 Batas Pambansa Blg. 196 https://lawphil.net/[...] 2021-03-06
[48] 웹사이트 Lakbay Pilipinas Iligan City http://lakbaypilipin[...] Lakbay Pilipinas
[49] 웹사이트 Diocese of Iligan Statistics http://www.catholic-[...] 2017-07-26
[50] 웹사이트 Muslim Population in Mindanao (based on POPCEN 2015 http://rssoarmm.psa.[...] 2017-07-26
[51]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52] 문서 2000
[53] 문서 2003
[54] 문서 2006
[55] 문서 2012
[56] 문서 2015
[57] 문서 2018
[58] 문서 2021
[59] 문서 Iligan: A History of the Phenomenal Growth of an Industrial City http://www.iligan.go[...]
[60] 웹인용 A Giant Awakens http://www.philippin[...] 2008-02-28
[61] 뉴스 National Steel Plant reopens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62] 웹사이트 GSII Changes Name to Global Steel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05-08-19
[63] 웹사이트 San Miguel Arcangel de Iligan - The Powerful Patron of Iligan City https://pintakasiph.[...]
[64] 웹사이트 Saint Michael the Archangel Cathedral & Diyandi Festival of Iligan https://www.phtourgu[...]
[65] 웹사이트 PMO Iligan Website http://www.ppa.com.p[...] 2013-04-18
[66] 뉴스 Gov't defers transfer of flights to Laguindingan Airport until after summer https://web.archive.[...] 2013-04-16
[67] 뉴스 Laguindingan airport to open in April http://www.sunstar.c[...] 2013-02-27
[68] 웹사이트 Aviation Safety Database, Accident Description http://aviation-safe[...] Aviation-safety.net 1990-05-18
[69]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Air Accidents 1990-1999 http://www.baaa-acro[...] Baaa-acro.com
[70] 간행물 Commencement Address MSU-IIT's 38th Commencement Exercises, MSU-IIT Gymnasium, Iligan City 2008-04-04
[71] 웹사이트 Recognitions ! MSU-Iligan Institute of Technology https://www.msuiit.e[...] 2024-06-01
[72] 웹사이트 Iligan City Schools http://www.cdsea.org[...]
[73] 뉴스 GLORIA MACAPAGAL ARROYO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2001-2010) https://www.councilw[...] 2023-10-24
[74] 웹사이트 Gloria Macapagal-Arroyo http://www.hwwilson.[...] The H. W. Wilson Company 2007-06-04
[75] 간행물 Glory, Gloria! http://www.time.com/[...] 2001-01-29
[76] 뉴스 Bb. Pilipinas Pia Alonzo Wurtzbach: Cdeo is my second home http://www.sunstar.c[...] 2015-03-23
[77] 웹사이트 Makati and Iligan Sign Sister-City Pact http://www.makati.go[...] Makati city government
[78] 웹사이트 Bohol Sunday Post - June 19, 2011 - Tagbilaran is now Iligan's sister city http://www.discoverb[...]
[79] 뉴스 フィリピン南部で軍とIS系武装勢力が市街戦、市民に犠牲か https://www.afpbb.co[...] AFP 2017-05-25
[80] 웹인용 Climate: Iligan https://en.climate-d[...] Climate Data Organization 2019-06-10
[81] 웹인용 Climate of Iligan City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19-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