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바카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바카노어는 필리핀에서 사용되는 스페인어 기반의 크리올 언어로, 주요 방언으로는 루손 섬 기반의 카비테뇨, 테르나테뇨, 에르미테뇨와 민다나오 섬 기반의 삼보앙가뇨, 코타바테뇨, 카스테야노 아바카이가 있다. 차바카노어는 어휘의 대부분을 스페인어에서 차용했지만, 문법은 필리핀의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차바카노어는 필리핀 남부 삼보앙가 지역을 중심으로 약 6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교육, 출판,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현재 차바카노어의 보존과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특히 삼보앙가뇨 방언은 대중 매체와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스팽글리시
스팽글리시는 스페인어와 영어의 혼합으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으로, 주로 히스패닉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사용되며, 사용자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예술 분야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 스페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팔렌케로 크리올
팔렌케로 크리올은 콜롬비아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에서 스페인어와 아프리카 언어가 혼합되어 발생한 크리올 언어로, 문법적 성과 동사 활용이 없는 특징을 지니며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차바카노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차바카노어 |
다른 이름 | 차바카노 |
사용 국가 | 필리핀 |
사용자 | 삼보앙게뇨와 스페인계 필리핀인 |
모어 화자 수 | 삼보앙게뇨 차바카노 사용자 700,000명; 삼보앙게뇨어 제2언어 사용자 120만 명 |
추정 년도 | 1992년 |
참고 | HOLA Y BIENVENIDOS By Richard Collet. February 19, 2020. (Publisher: GLOBE) |
참고 | Número de hispanohablantes en países y territorios donde el español no es lengua oficial, Instituto Cervantes. |
업데이트 | 2023년 7월 |
언어 계통 | 크레올 언어 |
하위 분류 | 스페인어 기반 크레올 언어 |
사용 지역 | 삼보앙가 시, 바실란 주(삼보앙게뇨 및 바실레뇨), 카비테 시(카비테뇨), 테르나테, 카비테(테르나테뇨/바라) |
공용어 지정 국가 | 필리핀의 지역 언어 |
관리 기관 | 필리핀 언어 위원회 |
ISO 639-3 | cbk |
글롯톨로그 | chav1241 |
글롯톨로그 명칭 | 차바카노 |
링구아스피어 | 51-AAC-ba |
문자 | 라틴 문자(스페인어 알파벳) |
언어 지도 | |
![]() |
2. 분포 및 방언
차바카노어 사용자는 주로 필리핀 남부 삼보앙가 시와 인근 바실란 섬에 집중되어 있으며, 민다나오 섬과 루손 섬의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14]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 내 차바카노어 화자는 약 60만 7천 명으로 집계되었으나,[7] 실제 화자 수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언어학자들은 차바카노어를 '''필리핀 크리올 스페인어'''로 분류하며, 이는 다시 기층 언어와 지리적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6]
- 마닐라만 크리올: 루손 섬을 기반으로 하며 타갈로그어를 기층 언어로 한다. 카비테뇨, 테르나테뇨, 그리고 사멸한 에르미테뇨가 여기에 속한다.
- 민다나오 크리올: 민다나오 섬을 기반으로 하며 주로 비사야어군(특히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타우수그어, 수바논어, 사마어 등을 기층 언어로 한다. 삼보앙게뇨, 코타바테뇨, 다바오에뇨가 여기에 포함된다.
차바카노어의 주요 방언들은 다음과 같다.
방언 이름 | 주요 사용 지역 | 지리적 영역 | 기층 언어 기반 | 대체 이름 및 철자 |
---|---|---|---|---|
삼보앙게뇨 | 삼보앙가 시, 바실란 섬, 술루, 타위타위, 삼보앙가델술 주, 삼보앙가시부게이 주, 삼보앙가델노르테 주 | 민다나오 | 비사야어군 등 | Zamboangueñoes, Chavacano de Zamboangaes, 차바카노 |
카비테뇨 | 카비테 시 | 마닐라만 | 타갈로그어 | Caviteñoes, Chavacano de Cavitees, 차바카노 카비테뇨, Linguaje de Nisoes |
테르나테뇨 | 테르나테 (카비테 주) | 마닐라만 | 타갈로그어 | Ternateñoes, Bahraes, 테르나테뇨 차바카노, Linguaje di Bahraes |
코타바테뇨 | 코타바토 시 | 민다나오 | 비사야어군 등 | Cotabateñoes, 차바카노 코타바테뇨 |
다바오에뇨 | 다바오 시 | 민다나오 | 비사야어군 등 | Davaoeñoes, 차바카노 다바오에뇨, Castellano Abakayes, 다바오 차바카노 |
에르미테뇨 | 에르미타 (마닐라) | 마닐라만 | 타갈로그어 | Ermiteñoes, 에르미타 차바카노 (사멸) |
이 방언들 중 '''삼보앙게뇨'''는 화자 수가 가장 많으며, 삼보앙가 시의 주요 언어이자 민다나오 남서부 지역의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한다.[9] 삼보앙가 등지에서는 차바카노어가 교육, 출판, 방송 등 공적인 영역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각 방언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지칭할 때 해당 지역명을 붙여 부르는 경향이 있다.[14]
2. 1. 루손 섬 기반 방언
언어학자들은 필리핀의 스페인어 기반 크리올 중 루손 섬을 기반으로 하고 타갈로그어를 기층 언어로 하는 세 가지 방언을 확인했다.[6] 이들은 다음과 같다:
- '''Caviteño|카비테뇨spa''': 카비테 시와 카비테 주 일대에서 사용된다. 2013년 기준 모어 화자는 약 4,000명으로 추정된다.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921가구가 주요 언어로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6]
- '''Ternateño|테르나테뇨spa''': '''Bahra|바라spa'''라고도 불리며, 카비테 주 테르나테에서 사용된다. 2013년 기준 모어 화자는 약 3,000명으로 추정된다.
- '''Ermiteño|에르미테뇨spa''': 과거 마닐라의 에르미타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멸한 방언이다.
2. 2. 민다나오 섬 기반 방언
민다나오 섬을 기반으로 하는 차바카노어 방언들은 주로 세부아노어를 기층 언어(substrate languages)로 삼는다.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삼보앙가뇨어''' (Zamboangueño|삼보앙게뇨es / Chavacano de Zamboanga|차바카노 데 삼보앙가es): 삼보앙가 시, 바실란, 술루, 타위타위, 삼보앙가 델 수르, 삼보앙가 시부게이, 삼보앙가 델 노르테 등 민다나오 남서부와 인근 섬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필리핀의 크리올 스페인어 중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는 형태로, 해당 지역의 무슬림과 기독교 공동체 사이의 공용어 역할을 한다.[9] 그 영향력은 서쪽의 홀로 제도와 같은 섬들뿐만 아니라 민다나오의 코타바토 및 다바오 지역까지 확산되었다.[9] 삼보앙가뇨 차바카노어에는 비사야어군, 특히 힐리가이논어 단어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포트 필라르에 비사야 병사들이 주둔하면서 시작된 접촉과 20세기 중반 비사야 지역 및 삼보앙가 반도 내 다른 비사야어 사용 지역에서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가속화되었다.[8]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359,000명의 모어 화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7] 삼보앙가 등지에서는 교육, 출판물,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Castellano Abakay|카스테야노 아바카이es) 또는 '''차바카노 다바오에뇨''' (Chavacano Davaoeño|차바카노 다바오에뇨es): 다바오 시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필리핀 호키엔어와 일본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 특징이며,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치노'와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하폰'이라는 두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삼보앙가뇨어와 매우 유사하다.
- '''코타바테뇨어''' (Cotabateño|코타바테뇨es): 코타바토 시와 마긴다나오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 역시 삼보앙가뇨어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차바카노어 화자는 주로 삼보앙가 반도 끝자락의 삼보앙가 시와 그 맞은편의 바실란 섬에 집중되어 있으며, 삼보앙가 반도의 여러 주와 민다나오 섬 서부의 코타바토 시, 남동부의 다바오 시 등에서도 사용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 내 차바카노어 화자는 약 60만 명으로 집계되었으나, 삼보앙가 시민의 상당수가 차바카노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므로 실제 화자 수는 더 많을 수 있다.
2. 3. 기타 지역
차바카노어 화자는 필리핀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의 사바 주 (보르네오 섬 북동부)의 센포르나 마을에도 존재한다. 사바 주는 삼보앙가 반도 및 바실란 섬과 거리가 가깝고, 19세기 후반까지 술루 왕국의 지배가 보르네오 북부로도 뻗어나가는 등 민다나오 섬 서남부, 술루 제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삼보앙가 반도에서 술루 제도에 거주하는 타우스그족, 사말족(방기기족), 주로 바실란 섬에 거주하는 야칸족 등 무슬림의 여러 민족에게도 삼보앙가 차바카노어 화자가 있으며, 술루 주 및 타위타위 주에 걸쳐 차바카노어 무슬림이 분포하고 있다.
3. 역사적 배경
'차바카노'라는 이름은 스페인어 단어 chabacano|e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본래 "품위가 없는", "저속한", "흔한", "저품질의", 또는 "조잡한"이라는 의미를 가졌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언어 자체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자리 잡았고, 현재는 부정적인 의미 없이 사용된다(Banquicio, 2021).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차바카노어를 "거리의 언어"(lenguaje de la calle|es), "파리안(시장)의 언어"(lenguaje de parian|es), 또는 "부엌의 언어"(lenguaje de cocina|es)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이는 주로 마닐라의 에르미타 지역에서 사용되던 차바카노어를 상류층이나 교육받은 원주민들이 사용하던 스페인어와 구분하기 위함이었다.
언어학적으로 차바카노어는 '''필리핀 크리올 스페인어'''로 분류되며, 크게 두 가지 지리적 그룹으로 나뉜다. 하나는 마닐라만 크리올(테르나테뇨, 카비테뇨 포함)이고, 다른 하나는 민다나오 크리올(삼보앙게뇨 포함)이다. 마닐라만 크리올은 주로 타갈로그어를 기층 언어로 삼고 있으며, 민다나오 크리올은 비사야어군(특히 세부아노어, 타우수그어, 힐리가이논어)과 수바논어, 사마어 등을 기층 언어로 한다.
차바카노어는 본래 스페인 지배자와 현지 주민들 사이의 일상적인 소통을 위해 사용된 구어였으나, 점차 문자 언어로도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어휘는 대부분 스페인어에서 왔지만, 문법 구조는 세부아노어나 타갈로그어와 같은 말레이 계열 기층 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 때문에 현대 스페인어에서는 사라진 오래된 어휘가 남아있기도 하고, 스페인어 단어와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유사 외국어)도 많다.
차바카노어의 주요 변종들은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삼보앙가 지역의 차바카노어(삼보앙게뇨)는 1635년 6월 23일, 스페인이 산호세 요새(현 필라르 요새)를 건설하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요새 건설을 위해 루손섬의 카비테나 비사야 제도의 세부, 일로일로 등지에서 온 노동자들과 스페인 및 멕시코(누에바 에스파냐) 출신 병사들이 섞이면서 다양한 언어가 혼합되었고, 이후 스페인 선교사와 군인들의 영향으로 스페인어 기반의 크리올어가 발달했다.
카비테 지역의 차바카노어(카비테뇨, 테르나테뇨)는 몰루카 제도의 테르나테 섬 출신 메르디카스족(Merdicas)이 현재의 테르나테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1574년 중국인 해적 림홍(Limahong)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스페인의 요청으로 루손섬으로 건너왔거나, 혹은 1663년 네덜란드와의 경쟁 속에서 마닐라 방어를 위해 테르나테 주둔군이 철수할 때 함께 이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이 정착한 곳이 테르나테 마을이 되었고, 이들의 언어는 포르투갈어의 영향도 일부 받은 스페인어 크리올어로 발전했다.
차바카노/차바카노어 화자들은 언어 이름을 표기할 때 'Chavacano'(V 사용)와 'Chabacano'(B 사용) 사이에서 선호가 갈린다.[14] 특히 삼보앙가 시에서는 V를 사용한 'Chavacano' 표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언어 이름이 스페인어 단어 'chabacano'가 가진 부정적인 의미와 구분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2014년 차바카노어 정서법 회의에서는 V 표기를 사용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각 지역 변종은 해당 지역의 이름을 따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위치 | 지리적 영역 | 대체 이름 및 철자 |
---|---|---|
삼보앙가 | 민다나오 | 차바카노, 삼보앙게뇨, 삼보앙게뇨 차바카노 |
카비테 | 마닐라만 | 차바카노 데 카비테, 카비테뇨, 차바카노 카비테뇨, 린구아헤 데 니소 |
바실란 | 민다나오 | 삼보앙게뇨, 차바카노 데 삼보앙가 |
코타바토 | 민다나오 | 코타바테뇨, 차바카노 코타바테뇨 |
다바오 | 민다나오 | 다바오에뇨, 차바카노 다바오에뇨,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다바오 차바카노 |
에르미타 | 마닐라만 | 에르미텐세, 에르미타 차바카노 |
테르나테 | 마닐라만 | 테르나테뇨, 테르나테뇨 차바카노, 바하라, 린구아헤 디 바하라 |
3. 1. 삼보앙가뇨
Chavacano de Zamboanga|삼보앙가 차바카노ceb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서부의 삼보앙가 시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차바카노어의 주요 변종이다. 차바카노어의 여러 변종 중 화자 수가 가장 많으며, 삼보앙가 시의 주요 언어로 자리 잡았다. 민다나오 크리올로 분류되며, 주로 세부아노어를 기층 언어로 하지만 비사야어군의 다른 언어들(타우수그어, 힐리가이논어)과 수바논어, 사마어 등의 영향도 받았다.분포 및 화자삼보앙게뇨 화자는 주로 삼보앙가 반도 남단에 위치한 삼보앙가 시와 인근 바실란섬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삼보앙가델술주, 삼보앙가시부게이주, 삼보앙가델노르테주의 일부 지역과 민다나오섬의 코타바토, 다바오 등 다른 도시에서도 사용된다. 2000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서는 약 607,200명의 차바카노어 화자가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삼보앙게뇨가 그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화자 수는 이보다 더 많을 수 있으며, 말레이시아 사바주의 센포르나 지역에도 삼보앙게뇨 화자 공동체가 존재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술루 술탄국의 영향력이 보르네오섬 북부까지 미쳤던 것과 관련이 있다. 타우수그족, 사말족, 야칸족 등 무슬림 민족 중에도 삼보앙게뇨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기원삼보앙게뇨의 형성은 1635년 6월 23일, 스페인 제국이 전략적 요충지인 삼보앙가에 산호세 요새(오늘날의 필라르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한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요새 건설을 위해 루손섬의 카비테주나 비사야 제도의 세부, 일로일로 등지에서 온 필리핀인 노동자들과 스페인 및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멕시코) 출신 병사들이 함께 생활하면서 다양한 언어가 뒤섞이게 되었다. 이러한 언어 접촉 환경 속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 언어 형태가 발달했으며, 이후 스페인 선교사와 군인들의 지속적인 영향 아래 스페인어 어휘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 즉 삼보앙게뇨가 형성되고 발전하게 되었다.
언어적 특징삼보앙게뇨의 어휘는 대부분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지만, 문법 구조는 세부아노어를 비롯한 필리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열 토착 언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로 인해 스페인어 화자와는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어렵다. 현대 스페인어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고어(古語) 형태가 남아있기도 하며, 스페인어 단어와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게 사용되는 유사 외국어(false friends)도 상당수 존재한다. 또한, 필리핀 내 다른 언어들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그리고 멕시코를 통해 유입된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어의 영향도 발견된다.
표기법 및 현황삼보앙가 현지에서는 언어 명칭을 'Chabacano'가 아닌 'Chavacano'로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스페인어 단어 'chabacano'가 지닌 '저속한', '품위 없는' 등의 부정적인 의미와 거리를 두려는 지역 사회의 의지를 반영한다. 2014년에 열린 차바카노어 정서법 회의에서 새로 조직된 차바카노어 정서법 위원회는 교육부 관계자들과 회의를 갖고 V를 사용한 표기법에 합의했다.[14] 삼보앙게뇨는 단순한 구어를 넘어 교육, 서적,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등 다양한 공식적인 영역에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문자 언어로서의 표준화 작업도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3. 2. 카비테뇨/테르나테뇨
카비테뇨(Caviteño)와 테르나테뇨(Ternateño)는 마닐라만 지역에서 사용되는 차바카노어의 주요 변종으로, 언어학적으로는 마닐라만 크리올로 분류된다. 이 두 변종은 타갈로그어를 기층 언어로 삼고 있다.이 변종들의 기원은 17세기 필리핀의 역사적 사건과 깊은 관련이 있다. 몰루카스의 테르나테 섬과 티도레 섬에는 메르디카스(Mardicas 또는 Mardikas)라고 불리는 가톨릭교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다. 이들은 섬이 포르투갈 제국과 스페인 제국의 지배를 받을 때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개종했다.
1663년, 네덜란드 제국과의 경쟁 속에서 스페인은 대만의 새로운 통치자 거정의 침공 위협에 대비하여 마닐라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테르나테의 스페인 주둔군을 철수시켰다. 이때 많은 수의 메르디카스인들이 스페인을 돕기 위해 자원하여 루손섬으로 이동했고, 카비테 주의 마라곤돈 강 어귀 근처 모래톱과 탄자, 카비테 지역에 재정착했다.[18] 다른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1574년 스페인의 요청으로 중국인 해적 림홍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루손섬으로 건너와 카비테에 정착했다고도 한다.
거정의 침공은 그의 사망으로 인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고, 카비테에 정착한 메르디카스 공동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현지 주민들과 통합되었다. 오늘날 이들이 정착했던 지역은 그들의 고향 이름을 따 테르나테라고 불린다. 메르디카스의 후손들은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받은 스페인어 기반의 크리올어를 계속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카비테뇨 또는 테르나테뇨 차바카노로 알려지게 되었다.[18]
테르나테의 차바카노어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바하라'(Bahra) 또는 '린구아헤 디 바하라'(Linguaje di Bahra)라고 부르기도 한다. 각 변종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위치 | 대체 이름 및 철자 |
---|---|
카비테 | 차바카노 데 카비테, 카비테뇨, 차바카노 카비테뇨, 린구아헤 데 니소 |
테르나테 | 테르나테뇨, 테르나테뇨 차바카노, 바하라, 린구아헤 디 바하라 |
4. 특징
차바카노어는 필리핀 남부 삼보앙가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크리올어이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60만 명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휘의 대부분은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지만, 문법 구조는 필리핀의 다른 주요 언어들처럼 말레이어파 계열의 특징을 보인다.
이 언어는 17세기 스페인 식민 통치 시기에 형성되었다. 1635년 산 호세 요새 건설을 위해 스페인, 멕시코, 페루 군인뿐만 아니라 카비테 출신 석공, 세부, 일로일로 출신 노동자, 그리고 수바논족과 같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모였다.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이 소통하기 위해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한 피진이 생겨났고, 이것이 점차 완전한 크리올어인 차바카노어로 발전했다.
차바카노어는 잠보앙가 시티 등 일부 지역에서 공용어 및 공식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교육, 출판,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로마자로 표기하지만, 주로 구어로 사용되어 온 역사가 길어 통일된 표기법보다는 스페인어 기반, 필리핀어 기반 등 다양한 방식이 혼재한다.
4. 1. 어휘
차바카노어의 어휘는 대부분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지만, 문법 구조는 세부아노어나 타갈로그어와 같은 필리핀의 주요 말레이어파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다. 이 때문에 현대 스페인어에서는 사라진 옛 어휘나 표현이 남아있기도 하며, 스페인어와 형태는 비슷하지만 의미가 달라진 오해어(false friends)도 다수 존재한다.차바카노어 어휘에는 크게 두 가지 사회 방언이 존재한다: 일반적/구어적 등급과 공식적 등급이다.
- 일반적/구어적 등급 (Common/Colloquial/Vulgar/Familiar Register/Sociolect): 현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 유래한 단어나 현지어와 스페인어가 혼합된 단어가 주로 사용된다. 사회적 지위가 같거나 낮은 사람과 대화할 때, 또는 가족, 친구, 지인들과의 일상 대화에서 주로 쓰인다.
- 공식적 등급 (Formal Register/Sociolect):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주로 사용된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 어른(특히 가족 및 친척), 권위 있는 사람과 대화할 때 사용된다. 연설, 교육, 미디어, 글쓰기 등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형태이며, 노년층이나 삼보앙가의 메스티소 사이에서 더 흔하게 들을 수 있다. 실제 대화에서는 구어적 등급과 혼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 표는 공식적인 단어와 일반적인 단어의 사용 예를 보여준다.
의미 | 차바카노어 (공식) | 차바카노어 (일반/구어) | 스페인어 원형 |
---|---|---|---|
미끄러운 | resbalozo / resbaladizo | malandug | resbaloso / resbaladizo |
쌀 | morisqueta | kanon / arroz | morisqueta / arroz |
비 | lluvia / aguacero | aguacero / ulan | lluvia / aguacero |
요리(반찬) | vianda / comida | comida / ulam | vianda / comida |
허풍선이/과시하는 | orgulloso(a) | bugalon(a) / hambuguero(a) | orgulloso(a) |
자동차 | coche | auto | auto / coche |
하인/하녀 | muchacho(a) | ayudanta(e) | muchacha(o) / ayudante |
아버지 | papá (tata) | pápang (tata) | papá (padre) |
어머니 | mamá (nana) | mámang (nana) | mamá (madre) |
할아버지 | abuelo | abuelo / lolo | abuelo |
할머니 | abuela | abuela / lola | abuela |
작은 | chico(a) / pequeño(a) | pequeño(a) / diutay | pequeño / chico |
성가심 | fastidio | asarante / salawayun | fastidio |
고집 센 | testarudo | duro cabeza / duro pulso | testarudo / cabeza dura |
슬리퍼 | chancla | chinelas | chancla / chinelas |
결혼한 | de estado / de estao | casado / casao | casado |
(나의) 부모님 | (mis) padres | (mi) tata'y nana | (mis) padres |
장난꾸러기 | travieso(a) | guachi / guachinanggo(a) | travieso(a) |
미끄러지다 | rezbalasa / deslizar | landug | resbalar / deslizar |
못생긴 | feo(a) | malacara / malacuka | feo(a) |
소나기 | lluve | talítih | lluvia |
번개 | rayo | rayo / quirlat | rayo |
천둥/뇌우 | trueno | trueno | trueno |
토네이도 | tornado / remolino, remulleno | ipo-ipo | tornado / remolino |
마른 (사람) | delgado(a) / flaco(a) / chiquito(a) | flaco / flaquit | delgado / flaco / flaquito |
차바카노어는 현대 스페인어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고어 스페인어 단어나 구문을 다수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En denantes: '조금 전에' (스페인어: "hace un tiempo"). 현대 스페인어에서는 "hace poco tiempo" 또는 "hace un tiempo"라고 하지만, 차바카노어는 이 고어 표현을 유지하고 있다. 스페인 남부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사용된다.
- Masquen / Masquin: '비록 ~일지라도' (스페인어: "aunque"). 스페인어 "mas que"는 같은 의미의 오래된 표현이다.[24]
- Castellano: 차바카노어 화자, 특히 노년층은 스페인어를 "castellano"(카스티야의 언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반면 "español"은 스페인 사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 Vos: 2인칭 대명사 "vos"는 고전 스페인어에서는 존칭이었으나 현대 스페인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영어의 "thou"와 유사). 하지만 차바카노어에서는 일반적인 2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며(친한 사이에 쓰는 "tu"보다 격식 없는 수준), 이는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작품이나 일부 라틴 아메리카 국가(아르헨티나 등)에서의 용법(보세오)과 유사하다.
- Ansina: '그렇게' (스페인어: "así"). 현대 스페인어 "así"의 고어 형태이다. 멕시코의 노인들이나 유대 스페인어(라디노어)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반대로, 스페인어 단어가 차바카노어에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오해어)도 있다.
- Siguro / Seguro: '아마도' (스페인어: "seguro"는 '확실한', '안전한'을 의미하지만, "seguramente"는 '아마도'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Siempre: '물론' (스페인어: "siempre"는 '항상'을 의미한다).
- Firmi: '항상' (스페인어: "firme"는 '굳건한', '안정적인'을 의미한다).
삼보앙가의 차바카노어는 필리핀 내 다른 언어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영향도 받았다. 이는 스페인령 필리핀이 멕시코(누에바에스파냐)의 일부였던 역사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1635년 삼보앙가에 산 호세 요새 건설이 시작되면서 루손섬의 카비테주, 비사야 제도의 세부와 일로일로 등지에서 온 노동자들과 스페인, 멕시코 군인들이 함께 일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언어가 섞이며 차바카노어의 기반이 형성되었다. 이후 스페인 선교사, 군인, 교육 기관의 영향으로 스페인어화가 더욱 진행되었다.
카비테주 지역의 차바카노어는 몰루카 제도(현재 인도네시아)의 테르나테섬에서 온 말레이족 계열의 메르디카족이 현재의 테르나테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형성되었다. 테르나테 섬은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던 곳으로, 1574년 메르디카족 일부가 스페인의 요청으로 루손섬으로 건너와 중국인 해적 림홍과의 싸움에 대비했다. 림홍의 공격은 없었지만, 이들은 마라고돈강 하구에 정착하여 공동체를 이루었고, 이들의 언어는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받은 스페인 기반 크리올어로 발전했다.
4. 2. 문법
차바카노어의 어휘는 대부분 스페인어에서 비롯되었으나, 문법적 특징은 필리핀의 다른 주요 언어와 마찬가지로 말레이어 계열의 특징을 띤다.'''어순'''
차바카노어는 기본적으로 동사-주어-목적어(VSO) 어순을 따른다. 이는 힐리가이논어나 타갈로그어와 같은 필리핀 토착 언어의 문법 구조를 반영한다. 그러나 강조를 위해서는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영어의 영향으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SVO 어순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대중 매체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긍정 서술문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사-주어-목적어(VSO) 또는 동사-목적어-주어(VOS) 구조를 사용한다.
- '''Ta comprá''' (동사) '''el maga/mana negociante''' (주어) '''con el tierra''' (목적어).
- '''Ta comprá''' (동사) '''tierra''' (목적어) '''el maga/mana negociante''' (주어).
- 힐리가이논어 비교: Nagabakal (동사) ang mga manogbaligya (주어) sang duta (목적어). / Nagabakal (동사) sang duta (목적어) ang mga manogbaligya (주어).
- 타갈로그어 비교: Bumibili (동사) ang mga negosyante (주어) ng lupa (목적어). / Bumibili (동사) ng lupa (목적어) ang mga negosyante (주어).
- (의미: ‘사업가들이 땅을 사고 있다.’)
주어는 항상 동사 뒤에 위치하며, 인칭 대명사 주어는 동사 앞에 오지 않는다.
- '''Ya andá yo na iglesia enantes'''.
- (의미: ‘나는 아까 교회에 갔다.’)
'''부정문'''
문장의 서술어를 부정할 때는 시제에 따라 다른 단어를 사용한다.
- '''현재 시제''': '''hindê''' (타갈로그어 'hindi' 또는 힐리가이논어 'indi'에서 유래, '아니오' 의미)
- '''과거 시제''': '''no hay''' (문자 그대로 '없음' 의미)
- '''미래 시제''': '''hindê''' 또는 '''nunca''' ('아니오' 또는 '절대로' 의미)
이러한 부정어는 주로 동사-주어-목적어(VSO) 또는 동사-목적어-주어(VOS) 구조에서 동사 앞에 위치한다.
- '''현재 시제'''
- '''Hindê ta comprá''' el maga/mana negociante con el tierra.
- '''Hindê ta comprá''' tierra el maga/mana negociante.
- (의미: 사업가들은 땅을 사지 않는다.)
- '''과거 시제'''
- '''No hay comprá''' el maga/mana negociante con el tierra.
- '''No hay comprá''' tierra el maga/mana negociante.
- (의미: 사업가들은 땅을 사지 않았다.)
- '''미래 시제'''
- '''Ay hindê comprá''' el maga/mana negociante con el tierra.
- '''Ay hindê comprá''' tierra el maga/mana negociante.
- (의미: 사업가들은 땅을 사지 않을 것이다.)
- '''Nunca ay/Ay nunca comprá''' el maga/mana negociante con el tierra.
- '''Nunca ay/Ay nunca comprá''' tierra el maga/mana negociante.
- (의미: 사업가들은 절대로 땅을 사지 않을 것이다.)
부정어 '''hindê'''는 주어-동사-목적어(SVO) 구조에서 주어 앞에 와서 서술어가 아닌 주어를 부정할 수도 있다.
- '''현재 시제''': '''Hindê el maga/mana negociante''' ta comprá con el tierra '''sino el maga/mana empleados'''. (땅을 사는 것은 사업가가 아니라 직원들이다.)
- '''과거 시제''': '''Hindê el maga/mana negociante''' ya comprá con el tierra '''sino el maga/mana empleados'''. (땅을 산 것은 사업가가 아니라 직원들이었다.)
- '''미래 시제''': '''Hindê el maga/mana negociante''' ay comprá con el tierra '''sino el maga/mana empleados'''. (땅을 살 사람은 사업가가 아니라 직원들일 것이다.)
부정어 '''nunca'''는 SVO 구조에서 주어 앞에 와서 미래 시제의 주어를 강하게 부정할 수 있다.
- '''미래 시제''': '''Nunca el maga/mana negociante''' ay comprá con el tierra '''sino el maga/mana empleados'''. (땅을 살 사람은 절대로 사업가가 아니라 직원들일 것이다.)
부정어 '''no hay'''(과거)와 '''nunca'''(미래)는 SVO 구조에서 주어 앞에 와서 서술어를 부정할 수도 있다.
- '''과거 시제''': '''No hay el maga/mana negociante''' comprá con el tierra. (사업가들은 땅을 사지 않았다.)
- '''미래 시제''': '''Nunca el maga/mana negociante''' ay comprá con el tierra. (사업가들은 절대로 땅을 사지 않을 것이다.)
'''관사'''
차바카노어 관사 '''el'''은 단수 명사 또는 복수 표시어 앞에 온다. 부정관사 '''un'''은 성별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una'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el'과 'un'이 단수 명사 앞에 함께 쓰여 확실성과 수를 동시에 나타내는 경우도 흔하다.
- '''el cajón''' (상자) – '''el maga/mana cajón(es)''' (상자들)
- '''un soltero''' (총각) – '''un soltera''' (처녀)
- '''el un soltero''' (그 총각) – '''el un soltera''' (그 처녀)
명사 앞에 항상 관사가 오는 것은 아니며, 관사가 없으면 일반적인 지칭을 나타낸다.
- '''Hindê yo ta llorá lagrimas sino sangre'''. (나는 눈물이 아닌 피를 흘린다.)
- '''Ta cargá yo palo'''. (나는 나무를 들고 있다.)
인명 앞에는 정관사 '''si''' 또는 부정관사 역할을 하는 '''un tal'''이 붙는다.
- '''Un bonita candidata si Maria.'''. (마리아는 아름다운 후보자이다.)
- '''un tal Juancho''' (어떤 후안초)
'''명사'''
스페인어와 달리 차바카노어 명사는 일반적으로 성 규칙을 엄격히 따르지 않는다. 삼보앙게뇨 방언에서는 기본적으로 단수 명사 앞에 관사 'el'이 온다. 스페인어 여성 관사 'la'는 드물게 사용되며, 주로 격식적인 글(시, 가사)이나 성모 마리아를 지칭할 때('el La Virgen Maria') 나타난다.
영어 단수 명사 | 차바카노어 단수 명사 (일반적) | 차바카노어 단수 명사 (허용/드뭄) |
---|---|---|
the virgin | el virgen | la virgen (허용) |
the peace | el paz | la paz (허용) |
the sea | el mar | la mar (허용) |
the cat | el gato | el gato (la gata는 드뭄) |
the sun | el sol | el sol |
the moon | el luna | el luna (la luna는 드뭄) |
the view | el vista | la vista (허용) |
the tragedy | el tragedia | el tragedia (la tragedia는 드뭄) |
the doctor | el doctor | el doctora (la doctora는 드뭄) |
명사는 사람을 지칭할 때만 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관사 'el'이 앞에 붙는다. 남성형 명사의 -o를 탈락시키고 -a를 붙여 여성형을 만든다.
영어 단수 명사 | 차바카노어 단수 명사 (남성형) | 차바카노어 단수 명사 (여성형) |
---|---|---|
the teacher | el maestro | el maestra |
the witch | el burujo | el buruja |
the engineer | el engeniero | el engeniera |
the tailor/seamstress | el sastrero | el sastrera |
the baby | el niño | el niña |
the priest/nun | el padre/sacerdote | el madre/monja |
the grandson/granddaughter | el nieto | el nieta |
the professor | el profesor | el profesora |
the councilor | el consejal | el consejala |
모든 인명 명사가 여성형을 갖는 것은 아니다. '-o'로 끝나지 않는 남성형 명사도 있다 (예: '''el alcalde''', '''el capitan''', '''el negociante'''). 동물의 이름은 항상 남성형으로 간주된다 (예: '''el gato''', '''el puerco''', '''el perro'''). 장소와 사물의 이름은 성별 구분이 있지만 관사 'el'이 붙어 남성형으로 취급된다 (예: '''el cocina''', '''el pantalón''', '''el comida''').
복수 명사는 단수 명사 앞에 복수 표시어 '''maga''' 또는 '''mana'''를 붙여 만든다 ('el maga/mana' + 단수 명사). 'Maga'는 힐리가이논어 'maga' 또는 타갈로그어 'mga'에서 유래했으며, 'mana'는 주로 나이든 화자들이 사용한다. 스페인어 복수 관사 'los', 'las'나 복수 접미사(-s, -as, -os, -es)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허용되기도 한다.
영어 복수 명사 | 차바카노어 복수 명사 (남성) | 차바카노어 복수 명사 (여성) |
---|---|---|
선생님들 | el maga/mana maestro(s) | el maga/mana maestra(s) |
마녀들 | el maga/mana burujo(s) | el maga/mana buruja(s) |
기술자들 | el maga/mana engeniero(s) | el maga/mana engeniera(s) |
재단사/여성 재봉사들 | el maga/mana sastrero(s) | el maga/mana sastrera(s) |
아기들 | el maga/mana niño(s) | el maga/mana niña(s) |
신부/수녀들 | el maga/mana padre(s) | el maga/mana madre(s) |
손자/손녀들 | el maga/mana nieto(s) | el maga/mana nieta(s) |
교수들 | el maga/mana professor(es) | el maga/mana profesora(s) |
시의원들 | el maga/mana consejal(es) | el maga/mana consejala(s) |
스페인어식 복수형 사용 예시 (허용되나 일반적이지 않음): '''los caballeros''', '''los dias''', '''las noches''', '''las cosas'''.
정확한 복수형: '''el maga/mana caballero''', '''el maga/mana día''', '''el maga/mana noche''', '''el maga/mana cosa'''.
접미사 '-es' 추가 복수형 (비교적 흔함): '''el maga meses''', '''el maga mujeres''', '''el maga tentaciones'''.
정확한 복수형: '''el maga mes''', '''el maga mujer''', '''el maga tentación'''.
일부 명사는 복수화될 때 중복되기도 한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특징).
- '''el maga cosa-cosa''' (물건들, el maga cosa가 일반적)
- '''el maga casa casa''' (집들, el maga casa가 일반적)
때로는 중복이 의미 차이를 나타낸다. 예: '''el maga bata''' (아이들) vs '''el maga bata-bata''' (추종자, 부하).
'''대명사'''
차바카노어 대명사는 스페인어와 토착어(주로 힐리가이논어)에 기반한다. 삼보앙게뇨 방언은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 사회적 지위, 분위기에 따라 대명사 사용 수준을 세 가지(일반, 친밀, 격식)로 나눈다. 일반 형태는 세부아노어, 친밀/격식 형태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다. 또한 삼보앙게뇨는 포함적 '우리' ('''kitá''', 청자 포함)와 배타적 '우리' ('''kamé''', 청자 제외)를 구분한다 (격식 형태는 '''nosotros'''로 동일).
구분 | 삼보앙게뇨 | 카비테뇨 | 바하라 |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다바오) |
---|---|---|---|---|
1인칭 단수 | yo | yo | yo (중국, 일본) ako (중국) | |
2인칭 단수 | [e]vo[s] (일반/비격식) tú (친밀) usted (격식) | vo/bo tu usté | vo/bo usté | usted vos |
3인칭 단수 | él ele | eli | él | |
1인칭 복수 | kamé (배타적/일반/친밀) kitá (포괄적/일반/친밀) nosotros (격식) | nisos | mijotro mihotro motro | nosotros (중국, 일본) |
2인칭 복수 | kamó (일반) vosotros (친밀) ustedes (격식) | vusos busos | buhotro bujotro ustedi tedi | ustedes vosotros |
3인칭 복수 | silá (일반/친밀) ellos (격식) | ilos | lojotro lohotro lotro | ellos |
소유 대명사 중 '''amon''', '''aton''', '''ila''', '''inyo'''는 힐리가이논어에서 유래했으며 일반/친밀 형태로 쓰인다. 1인칭 복수에서는 포함/배타 구분이 유지된다.
구분 | 삼보앙가 차바카노어 | 다바오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
---|---|---|
1인칭 단수 | mi mío de mi de mío di mio/di mío | mi mío |
2인칭 단수 | de vos (일반) de tu (친밀) tuyo (친밀) de tuyo/di tuyo (친밀) de usted (격식) | de tu |
3인칭 단수 | su suyo de su de suyo/di suyo | ese (중국어, 일본어) de iya (중국어) |
1인칭 복수 | de amón/diamon (일반/친밀) (배타적) de atón/diaton (일반/친밀) (포괄적) nuestro (격식) de/di nuestro (격식) | nuestro |
2인칭 복수 | de iño/di inyo (일반) de vosotros (친밀) de ustedes (격식) | vos |
3인칭 복수 | de ila (일반/친밀) de ellos/di ellos (격식) | de ellos |
'''동사'''
삼보앙가 차바카노어 동사는 대부분 스페인어에서 유래했다. 동사의 기본 형태는 일반적으로 스페인어 동사 원형에서 마지막 /r/을 제외하고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둔다.
- continuar → continuá
- hablar → hablá
- poner → poné
- recibir → recibí
예외적으로 스페인어 구나 다른 동사에서 파생된 경우도 있다.
- dar (주다) → dale (그것을 주다)
- brincar (뛰다) → brinca
'''동사 시제'''
차바카노어 방언들은 동사 시제를 나타내기 위해 특정 단어를 사용한다.
- '''삼보앙게뇨:''' '''ya''' (과거), '''ta''' (현재, 스페인어 está에서 유래), '''ay''' (미래) + 동사 단순형
영어 부정사 | 스페인어 부정사 | 잠보앙게뇨 부정사 | 과거 시제 | 현재 시제 | 미래 시제 |
---|---|---|---|---|---|
노래하다 | cantar | cantá | ya cantá | ta cantá | ay cantá |
마시다 | beber | bebé | ya bebé | ta bebé | ay bebé |
자다 | dormir | dormí | ya dormí | ta dormí | ay dormí |
요청하다 | pedir | pedí | ya pedí | ta pedí | ay pedí |
- '''카비테뇨:''' '''ya''' (과거), '''ta''' (현재), '''di''' (미래) + 동사 단순형
영어 부정사 | 스페인어 부정사 | 카비테뇨 부정사 | 과거 시제 | 현재 시제 | 미래 시제 |
---|---|---|---|---|---|
노래하다 | cantar | cantá | ya cantá | ta cantá | di cantá |
마시다 | beber | bebé | ya bebé | ta bebé | di bebé |
자다 | dormir | dormí | ya dormí | ta dormí | di dormí |
요청하다 | pedir | pedí | ya pedí | ta pedí | di pedí |
- '''바흐라:''' '''a''' (과거), '''ta''' (현재), '''di''' (미래) + 동사 단순형
영어 부정사 | 스페인어 부정사 | 바흐라 부정사 | 과거 시제 | 현재 시제 | 미래 시제 |
---|---|---|---|---|---|
노래하다 | cantar | cantá | a cantá | ta cantá | di cantá |
마시다 | beber | bebé | a bebé | ta bebé | di bebé |
자다 | dormir | dormí | a dormí | ta dormí | di dormí |
요청하다 | pedir | pedí | a pedí | ta pedí | di pedí |
-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다바오에뇨):''' 'ya', 'ta' 접두사 없이 스페인어 활용형과 유사한 형태 사용 (단순화된 활용)
영어 부정사 | 스페인어 부정사 | 카스테야노 아바카이 부정사 | 과거 시제 | 현재 시제 | 미래 시제 |
---|---|---|---|---|---|
노래하다 | cantar | cantar | cantó | canta | cantá |
마시다 | beber | beber | bibío | bebe | bebé |
자다 | dormir | dormir | durmió | duerme | dormí |
요청하다 | pedir | pedir | pidió | pide | pedí |
'''태 (Voice)'''
차바카노어 능동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 + 동사구 + 전치사(con) + 목적어 순서로 구성된다.
- '''El maga soldao ya mata con el criminal''' (그 군인들이 그 범죄자를 죽였다.)
- 행위자: El maga soldao
- 동사구: ya mata
- 목적어: el criminal (전치사 con 사용)
전통적으로 차바카노어에는 고유한 수동태 구문이 없다.[23]
4. 3. 문자 체계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차바카노어는 주로 구어로 사용되었고 문어로서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다양한 차바카노어 방언을 표기하는 여러 방법이 존재한다. 출판된 대부분의 차바카노어 텍스트는 스페인어와 거의 동일한 철자 체계를 사용하며, 차바카노어 원어민의 발음을 반영하여 단어의 특정 철자를 조정한다. 필리핀어가 국어로서 교육 및 미디어에서 사용이 확산되면서, 필리핀어의 표기법은 일부 사람들이 차바카노어를 표기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최근 세대는 스페인어 표기법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출판물과 일반 미디어에서는 스페인어 기반 철자 체계를 더 자주 유지한다.차바카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표기 체계는 작성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모든 단어(지역 기원의 단어 포함)가 기본 스페인어 표기 규칙에 따라 표기되는 스페인어 파생 표기 체계를 사용할 수도 있고, 현대 필리핀어의 표기법과 유사하게 "음성적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표기 방식은 두 가지를 혼합하여 어원적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단어를 표기하며, 필리핀어 기원의 단어에는 음성적 표기법을 사용하고 스페인어 기원의 단어에는 스페인어 철자 규칙을 사용한다.
삼보앙가에서는 최근 어원 기반 접근 방식이 지방 자치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지지되었으며, 이는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의 교육부의 모국어 정책의 일환으로 공립학교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원칙적으로 스페인어 기원의 단어는 스페인어 규칙에 따라 표기하고, 지역 기원의 차바카노어 단어는 기원에 따라 표기한다. 따라서 문자 ''k''는 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기원의 단어나 다른 필리핀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예: ''kame'', ''kita'', ''kanamon'', ''kaninyo'')에 나타난다.
현대 문헌에서는 언어학적 또는 매우 형식화된 텍스트를 제외하고 급성 악센트와 트레마를 포함하는 경우가 드물다. 또한, 비공식 텍스트에서는 문자 ''ñ''와 ''ll''이 때때로 ''ny''와 ''ly''로 대체된다.
차바카노어 알파벳은 'ch', 'll', 'ñ', 'rr'를 포함하여 30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22]
'''a''', '''b''', '''c''', '''ch''', '''d''', '''e''', '''f''', '''g''', '''h''', '''i''', '''j''', '''k''', '''l''', '''ll''', '''m''', '''n''', '''ñ''', '''o''', '''p''', '''q''', '''r''', '''rr''', '''s''', '''t''', '''u''', '''v''', '''w''', '''x''', '''y''', '''z'''
문자 | 이름 | 발음 | 문자 | 이름 | 발음 | 문자 | 이름 | 발음 |
---|---|---|---|---|---|---|---|---|
A a | a | /a/ | J j | 호타 | /ˈxota/ | R r | 에레 | /ˈeɾe/ |
B b | 베 | /be/ | K k | 카 | /ka/ | Rr rr | 에레 | /ˈere/ |
C c | 세 | /se/ | L l | 엘레 | /ˈele/ | S s | 에세 | /ˈese/ |
Ch ch | 체 | /tʃe/ | Ll ll | 예 | /ˈeʎe/ | T t | 테 | /te/ |
D d | 데 | /de/ | M m | 에메 | /ˈeme/ | U u | 우 | /u/ |
E e | 에 | /e/ | N n | 에네 | /ene/ | V v | 우베 | /ˈube/ |
F f | 에페 | /ˈefe/ | Ñ ñ | 에녜 | /ˈeɲe/ | W w | 도블레 우 | /ˈuve doble/ |
G g | 헤 | /xe/ | O o | 오 | /o/ | X x | 에키스 | /ˈekis/ |
H h | 아체 | /ˈatʃe/ | P p | 페 | /pe/ | Y y | 예 | /ɟʝe/ |
I i | 이 | /i/ | Q q | 쿠 | /ku/ | Z z | 세타 세다 | /ˈseta/ /ˈseda/ |
다른 문자 조합으로는 /xr/ 또는 /r/로 발음되는 ''rr'' (에레)와 /ŋɡ/로 발음되는 ''ng''가 있다. 또 다른 조합은 ''ñg''였으며, /ŋ/로 발음되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으며, ''ng''로만 표기된다.
차바카노어 문어에서는 몇몇 소리가 표현되지 않는다. 이러한 소리들은 대부분 필리핀과 외래어에서 유래한 단어에 존재한다. 또한, 스페인어 기원의 일부 단어의 발음은 현대 차바카노어에서 왜곡되거나 필리핀화되었다. 일부 모음은 변이음화되었고('e'와 'o'는 일부 단어에서 'i'와 'u'가 됨), 일부 자음의 발음이 바뀌었다. (예: ''escoger''는 비공식적인 언어에서 ''iscují''가 되었고, ''tiene'' /tʃɛnɛ/; ''Dios'' /dʒɔs/; ''Castilla''는 /kastilla/가 되었다(/kastiʎa/ 대신)).
필리핀 언어와 마찬가지로 성문 파열음도 표시되지 않는다(â, ê, î, ô, û). 이러한 소리들은 주로 필리핀어 기원의 단어에서 발견되며, 사전에서만 표시된다(예: jendê = 아님; olê = 다시). 그리고 표시될 때, 곡절 악센트가 사용된다.
스페인어 기원의 일부 단어의 다른 발음 변화는 다음과 같다.
- f → /p/
- j, g ('e'와 'i' 앞에서) → /h/ (카리브 및 라틴 아메리카 그리고 남부 스페인의 다른 지역 방언과 공통)
- ch → /ts/
- rr → /xr/
- di, de → /dʒ/ (다른 모음이 앞뒤에 오는 경우: Dios → /jos/; dejalo → /jalo/)
- ti, te → /tʃ/ (다른 모음이 앞뒤에 오는 경우: tierra → /chehra/; tiene → /chene/)
- ci, si → /ʃ/ (다른 모음이 앞뒤에 오는 경우: conciencia → /konʃenʃa/)
/b, d, ɡ/는 모음 사이에 있을 때 다른 스페인어 방언에서는 마찰음으로 발음되지만, 차바카노어에서는 일관적으로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 -h /h/ (어말 위치의 성문 마찰음); 때로는 표기되지 않음
- -g /k/; 때로는 -k로만 표기됨
- -d /t/; 때로는 -t로만 표기됨
- -kh /x/; 주로 이슬람 용어와 같은 아랍어 차용어에만 존재함
- "v"는 영어의 "v"와 같이 발음 (예: vase) (비)
- "z"는 영어의 "z"와 같이 발음 (예: zebra) (지)
- "x"는 영어의 "x"와 같이 발음 (예: X-ray) (엑스)
- "h"는 영어의 house (/에이치/)와 같음; 때로는 'j'로 표기
문자 조합 | 발음 | 예시 | 의미 |
---|---|---|---|
ae | 아이 | caé | 떨어지다, 넘어지다 |
ai | 아이 | caido | 떨어진, 떨어졌다 |
ao | 아우 | cuidao | 조심하다, 돌보았다 |
ea | 에야 | patéa | 차다, 발로 차다 |
ei | 에이 | reí | 웃다 |
eo | 에요 | vídeo | 비디오 |
ia | 야 | advertencia | 경고, 알림 |
ie | 예 | cien(to) | 백, 100 |
io | 요 | canción | 노래 |
iu | 유 | saciút | 엉덩이를 살짝 움직이다 |
uo | 오 | institutuo | 연구소 |
qu | 케 | qué, que | 무엇, 그것, ~보다 |
gu | 강한 g | guía | 안내하다, 안내 |
ua | 와 | agua | 물 |
ue | 웨 | cuento | 이야기 |
ui | 위 | cuidá | 조심, 돌보다 |
oi | 오이 | oí | 듣다, 듣다 |
5. 현대적 사용
차바카노어 사용자는 대부분 필리핀 남부 삼보앙가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약 60만 명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바카노어는 어휘의 상당 부분을 스페인어에서 가져왔지만, 문법 구조는 다른 필리핀 주요 언어들처럼 말레이어 계열의 특징을 보인다. 현대 사회에서는 교육, 출판,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차바카노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 '''삼보앙가 차바카노'''
아래는 삼보앙가 차바카노의 예시이다.
삼보앙가 차바카노어 | 스페인어 | 영어 |
---|---|---|
삼보앙가 마을에서 34km 떨어진 방기아오(Bunguiao)는 한때 황무지였다. 이곳에는 아무도 살지 않았다. 돼지, 야생 고양이, 사슴 등 야생 동물들이 풍부했다. 이곳은 오직 새 사냥꾼들만이 방문했다. | 삼보앙가 마을에서 34km 떨어진 방기아오(Bunguiao)는 한때 황무지였다. 이곳에는 아무도 살지 않았다. 이 곳에는 돼지, 야생 고양이, 사슴 등 야생 동물들이 풍부했다. 이 곳은 오직 새 사냥꾼들만이 방문했다. | 방기아오(Bunguiao)는 삼보앙가 시에서 34km 떨어진 작은 마을로, 한때 황무지였다. 이곳에는 아무도 살지 않았다. 이 곳에는 돼지, 야생 고양이, 사슴 등 야생 동물들이 풍부했다. 이 곳은 오직 새 사냥꾼들만이 방문했다. |
- '''에르미타뇨'''
에르미타뇨는 마닐라 지역에서 사용되던 방언이다. 1917년 4월 ''The Philippine Review''에 필리핀 스페인어 작가 예수 발모리(Jesús Balmori)가 쓴 에르미타뇨 시 "Na Maldito Arena"가 실렸다.[19][20]
> Ta sumí el sol na fondo del mar, y el mar, callao el boca. Ta jugá con su mana marejadas com'un muchacha nerviosa con su mana pulseras. El viento no mas el que ta alborota, el viento y el pecho de Felisa que ta lleno de sampaguitas na fuera y lleno de suspiros na dentro...[20]
키스 위넘의 연구(1956)에 따르면, 1942년 당시 에르미타뇨 사용자는 약 12,000명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마닐라 대부분이 파괴되고 주민들이 흩어지면서 이 방언은 사실상 사멸한 것으로 여겨진다.
- '''테르나테뇨'''
테르나테뇨는 주어, 목적어, 소유격을 구분하는 대명사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스페인어와 유사하다. 단수와 복수 형태가 존재하며(예: 스페인어 ''yo''는 테르나테뇨 ''bo'', 스페인어 ''nosotros''는 테르나테뇨 ''mihótro''),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정중하거나 격식 없는 표현을 구분하여 사용한다(예: 격식 없는 ''yo'' 대 정중한 ''(éle)'').[21]
- 테르나테뇨 예시: ''Nisos ya pidí favor cun su papang.'' (스페인어: ''Nosotros ya pedimos un favor de tu padre.'', 의미: 우리는 이미 당신의 아버지에게 부탁을 했습니다.)
- '''카비테뇨'''
아래는 카비테뇨 차바카노의 예시와 스페인어, 영어 번역이다.
'''카비테뇨 차바카노'''
Puede nisós hablá: que grande nga palá el sacrificio del mga héroes para niso independencia. Debe nga palá no niso ulvida con ilos. Ansina ya ba numa? Debe hací niso mga cosa para dale sabí que ta aprecia niso con el mga héroes. Que preparáo din niso hací sacrificio para el pueblo. ¿Qué laya? ¿Escribí mga novela como José Rizal?
'''스페인어'''
Nosotros podemos decir qué grandes sacrificios ofrecieron nuestros héroes para obtener nuestra independencia. Entonces, no nos olvidemos de ellos. ¿Cómo lo logramos? Necesitamos hacer cosas para que sepan que apreciamos a nuestros héroes; que estamos preparados también a sacrificarnos por el pueblo. ¿Cómo lo haremos? ¿Hay que escribir también novelas como José Rizal?
'''영어'''
We can say what great sacrifices our heroes have done to achieve our independence. We should therefore not forget them. How do we do that? We should do things to let it be known that we appreciate the heroes; that we are prepared to make sacrifices for our people. How? Should we write novels like José Rizal?
6. 언어 보존 노력
(내용 없음)
6. 1. 관련 사건
(내용 없음)참조
[1]
서적
2008
[2]
간행물
HOLA Y BIENVENIDOS
https://southeastasi[...]
GLOBE
2020-02-19
[3]
웹사이트
Número de hispanohablantes en países y territorios donde el español no es lengua oficial
http://cvc.cervantes[...]
[4]
뉴스
Chavacano
https://www.ethnolog[...]
2018-11-16
[5]
웹사이트
The Early History of Chavacano de Zamboanga: Chabacano versus related creoles
https://www.zamboang[...]
2018-11-16
[6]
웹사이트
Language/Dialect Generally Spoken at Home
https://psa.gov.ph/s[...]
2023-07-03
[7]
문서
Ethnologue
[8]
웹사이트
Mensajes Y Noticias
http://www.zamboanga[...]
2005-02-05
[9]
학술지
The Journal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and the Society for Pidgin and Creole Linguistics, In Retrospect
2005-06-01
[10]
학위논문
The Sociophonetics and Phonology of the Cavite Chabacano Vowel System
https://etd.ohiolink[...]
Ohio State University
2013
[11]
웹사이트
Hispanic Words of Indoamerican Origin in the Philippines
http://www.philippin[...]
[12]
서적
Roots of Creole Structures: Weighing the Contribution of Substrates and Superstrat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13]
웹사이트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Appendix, Page 35)
https://www.pnas.or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1-01-21
[14]
서적
Noun phrases in Creole languages : a multi-faceted approach
J. Benjamins Pub. Co
2007
[15]
문서
Lipski, J. M. Chabacano/Spanish and the Philippine linguistic identity.
[16]
웹사이트
text reproduced by Filipino Scribbles
https://filipinoscri[...]
[17]
웹사이트
Chabacano - Cavite's Dialect
https://www.angelfir[...]
[18]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Texts, Volume 2
Walter de Gruyter
[19]
잡지
Poema ermitense: El que ta pensá ele; Quilaya bos; Por causa del sirena
https://quod.lib.umi[...]
1917-05
[20]
잡지
Na maldito arena (poema ermitense)
https://quod.lib.umi[...]
1917-04
[21]
서적
Roots of Creole structures: weighing the contribution of substrates and superstrates
John Benjamins
2008
[22]
서적
Languages of the Southern Gateway: Chavacano, Sinama, Tausug, Yakan
The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23]
문서
Chabacano de Zamboanga Handbook
[24]
문서
Brooks 1933, Vol. 16, 1st Ed.
[25]
문서
Spanish creole: Quilis, Antonio (1996), ''La lengua española en Filipinas'' (PDF)
http://www.cervan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