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55년 5월 22일에 실시되었으며, 55년 체제 성립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중의원 의원 선거이다.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의 양당 체제를 확립했으며, 총 투표율은 76.99%를 기록했다.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이 287석, 일본사회당이 166석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선거 - 1958년 동독 총선거
    동독 사회주의통일당의 권력 공고화 과정에서 전국전선 단일 명단으로 진행된 1958년 동독 총선거는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며 정치적 지형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 1958년 선거 - 1958년 프랑스 총선
    1958년 프랑스 총선은 제4공화국의 혼란 속에서 치러졌으며, 샤를 드 골을 지지하는 신공화국연합이 승리하여 프랑스 정치에서 우파의 시대를 열었다.
  • 1958년 5월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여야 합의로 제정된 협상선거법에 따라 완전 소선거구제를 채택하여 치러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는 자유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 승리에도 불구하고 부정선거 의혹과 여촌야도 현상, 그리고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반발을 드러냈다.
  • 1958년 5월 - 1958년 아시안 게임
    1958년 아시안 게임은 1964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목표로 일본 도쿄에서 20개국 1,820명의 선수단이 참가한 아시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로, 성화 봉송이 처음 실시되었으며 일본이 종합 1위,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다.
  • 1958년 일본 - 1958년 아시안 게임
    1958년 아시안 게임은 1964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목표로 일본 도쿄에서 20개국 1,820명의 선수단이 참가한 아시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로, 성화 봉송이 처음 실시되었으며 일본이 종합 1위,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다.
  • 1958년 일본 - 제1차 기시 내각 (개조)
    기시 노부스케가 총리 취임 후 내각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단행된 제1차 기시 내각 개조는 각 부처 대신을 새로 임명하여 정권의 안정적인 체제를 구축했지만, 기시 노부스케의 우익 성향과 정책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도 정보
각 선거구에서 승리한 정당의 득표율에 따른 색상 구분 지도
기본 정보
국가일본
선거 유형총선
이전 선거1955년 일본 총선거
이전 선거 연도1955년
선거일1958년 5월 22일
다음 선거1960년 일본 총선거
다음 선거 연도1960년
선출 의석467석 (중의원 전체)
과반 의석234석
투표율76.98% (1.15%p)
선거 결과
기시 노부스케
당대표기시 노부스케
이전 선거 결과63.18%, 297석
획득 의석287
의석 변동10석
득표수22,976,846
득표율57.80%
득표율 변동5.38%p
스즈키 모사부로
당대표스즈키 모사부로
이전 선거 결과30.18%, 157석
획득 의석166석
의석 변동9석
득표수13,093,993표
득표율32.94%
득표율 변동2.76%p
노사카 산조
당대표노사카 산조
이전 선거 결과2석
획득 의석1석
의석 변동1석
득표수1,012,036표
득표율2.55%
득표율 변동0.57%p
수상
선거 전 총리기시 노부스케
선거 전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선거 후 총리기시 노부스케
선거 후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기타 정보
해산명이야기 해산

2. 배경

일본사회당이 좌우로 분열되었다가 통합되자, 이에 불안을 느낀 일본민주당과 자유당이 자유민주당으로 합당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일본 정치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55년 체제가 성립되었으며, 이 선거는 55년 체제 성립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중의원 의원 선거였다.[1]

1955년 10월 사회당 재통일과 같은 해 11월 보수합동으로 보수 정당인 자유민주당과 혁신 정당인 일본사회당이 대립하는 양당제, 이른바 '''55년 체제'''가 등장한 이후 처음 치러진 총선거였다.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시절에는 소선거구제 법안(일부 선거구는 정수 2명)이 제출되기도 했다. 그러나 여론은 물론이고 자민당 내부에서도 하토만더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참의원에서 심의 미결로 폐기되었고, 결국 이 총선거는 기존의 중선거구제로 실시되었다.

3. 선거 정보

해산일1958년 4월 25일 (협의 해산)
공시일1955년 5월 1일
투표일1955년 5월 22일
개선수467석
선거 제도중선거구제 (3인 선거구 40개, 4인 선거구 39개, 5인 선거구 38개), 소선거구제 (1인 선거구 1개)
투표 방법비밀투표, 단기투표제
선거권만 20세 이상의 일본 국민
피선거권만 25세 이상의 일본 국민
유권자 수52,013,529명 (남성: 24,883,410명, 여성: 27,130,119명)


4. 선거 과정

1955년 10월 사회당 재통일과 같은 해 11월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일본사회당이 대립하는 양당제, 소위 55년 체제가 등장한 이후 처음 치러진 총선거였다. 주요 정당들은 각자의 핵심 정책을 내세웠다. 자유민주당은 경제 성장과 자주 헌법 제정을, 일본사회당은 개헌 저지를, 일본공산당은 무장투쟁 노선 포기와 당 재건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했다.

4. 1. 입후보자

정당합계내역남성여성공시 전
전직신임
style="background:#3CA324;" |자유민주당41128774504065290
style="background:#084195;" |일본사회당246156177324611158
style="background:#DB001C;" |일본공산당1142159711402
style="background:lightgrey;" |혁신자유민주당1505101500
style="background:lightgrey;" |대일본애국당2011200
style="background:lightgrey;" |대일본독립청년당2002200
style="background:lightgrey;" |국화회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국민동지회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신동방회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세계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세계연방촉진전쟁방지·수폭금지사의회화대책·국민생활안정인도주의정치연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통일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일본국민대중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일본인민당1010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일본 푸자드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일본민주사회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일본립농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후쿠시마현 민주클럽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입헌일본국민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혁명민족당1001100
style="background:lightgrey;" |무소속14823710814532
합계95244814935593319452
출전: 『아사히 선거대관』


4. 2. 주요 정당 및 정책

1955년 10월 사회당 재통일과 같은 해 11월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일본사회당이 대립하는 양당제, 소위 '''55년 체제'''가 등장한 이후 처음 치러진 총선거였다.

주요 정당의 정책은 다음과 같다.

정당주요 정책
자유민주당경제 성장, 자주 헌법 제정
일본사회당개헌 저지
일본공산당무장투쟁 노선 포기, 당 재생 시도


5. 선거 결과

1958년 5월 22일에 실시된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표율은 76.99%(남성: 79.79%, 여성: 74.42%)로, 전후 최고치를 기록하여 2대 정당제 선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정당득표율의석 수의석 변동
자유민주당57.80%287석-10석
일본사회당32.94%166석+10석
일본공산당2.55%1석-1석
기타 정당0.72%1석-1석
무소속5.59%12석+6석



자유민주당(자민당)은 후보자 조정을 통해 의석수를 유지했지만, 헌법 개정 발의에 필요한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일본사회당은 의석수 3분의 1을 넘어 개헌 저지에 성공했지만, 정권 획득에는 미치지 못했다. 일본공산당은 무장투쟁 노선을 포기했으나, 지지 회복에는 실패했다.

자유민주당은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일본국 헌법을 대체할 자주 헌법 제정을 주장하며 압도적 다수 확보를 목표로 했다. 그러나 과거 요시다 시게루하토야마 이치로의 대립 잔재로 인해 후보자 조정에 난항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보자 수를 줄인 것이 효과를 거두어 보수계 무소속의 추가 공인을 포함하면 자유민주당의 의석 수는 거의 현상 유지되었다.

사회당은 개헌 저지를 주장하며 과반수를 넘는 후보를 내세웠다. 결과적으로 단독으로 중의원 의석 수의 3분의 1을 넘어 자유민주당의 개헌 발의 저지에 성공했다. 그러나 의석 수 자체는 거의 늘지 않았고, 장래의 정권 획득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는 패배로 여겨졌다.

이 선거는 자유민주당과 사회당 두 당에서 정수 467석 중 466석을 차지했고(자유민주당 298석, 사회당 168석), 두 당 이외에는 공산당의 1석(시가 요시오)뿐이어서, 일본 헌정사상 가장 2대 정당으로의 의석 집중이 진행된 선거였다. 이 선거로 자유민주당과 사회당의 양당 체제가 확립되었으며, 이후 사회당은 오랫동안 야당 제1당의 지위에 머무르는 '''"1과 2분의 1 대정당제"'''가 나타났다.

분류:1958년 선거

분류:1958년 일본

분류:일본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

5. 1. 지역별 결과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 margin-right:0px"

!rowspan="3" | 홋카이도

!1구

| 요코지 세츠오

| 마치무라 킨고

| 마사키 키요시

| 시이쿠마 사부로

| 우스다 요시아키

!2구

| 마츠우라 슈타로

| 호가 미츠구

| 야나이 요시노리

| 하야시 유이

|

|-

!3구

| 타테 슌조

| 히라츠카 조지로

| 타나카 마사미

|colspan=2|

!4구

| 시노다 히로사쿠

| 오카다 하루오

| 난죠 노리오

| 야마나카 히토시

| 코다이라 타다시

|-

!5구

| 혼나 타케루

| 마츠우라 테이기

| 모리 미키지

| 나가이 카츠지로

| 마츠다 테츠조

|colspan=6|

|-

!아오모리현

!1구

| 미우라 카즈오

| 나츠보리 겐자부로

| 아와타니 유조

| 쓰시마 붕지

|

!2구

| 미와 세이이치

| 타케우치 슌키치

| 시마구치 주지로

|colspan=2|

|-

!이와테현

!1구

| 야마나카 고로

| 스즈키 젠코

| 노하라 마사카쓰

| 야마모토 다케오

|

!2구

| 오자와 사에키

| 시가 켄지로

| 키타야마 아이로

| 시이나 에쓰사부로

|

|-

!미야기현

!1구

| 아이치 케이이치

| 혼마 슌이치

| 사사키 사에조

| 타케야 겐타로

| 키쿠치 요시노스케

!2구

| 히노 요시오

| 우츠미 앙키

| 오이시 무네이치

| 하세가와 슌

|

|-

!아키타현

!1구

| 스즈키 이치

| 이시다 히로히데

| 야나기야니 세이자부로

| 이시야마 곤자쿠

|

!2구

| 네모토 류타로

| 사사야마 시게타로

| 쿠리바야시 사부로

| 이이즈카 테이스케

|

|-

!야마가타현

!1구

| 카노 히코키치

| 니시무라 리키야

| 키무라 무네오

| 쿠로가네 야스미

|

!2구

| 카토 세이조

| 마츠자와 유조

| 카미바야시 요시치로

| 이케다 마사노스케

|

|-

!rowspan="2" |후쿠시마현

!1구

| 아와야마 히로시

| 야오이타 마사시

| 코마츠 신타로

| 아마노 미쓰하루

|

!2구

| 하다 사다요시

| 스케가와 요헤이

| 야마시타 하루에

| 스가이야 키쿠로

| 노구치 타다오

|-

!3구

| 사이토 쿠니키치

| 무토 타케오

| 키무라 모리에

|colspan=2|

|colspan=6|

|-

!rowspan="2" |이바라키현

!1구

| 하시모토 토미사부로

| 쿠보 사부로

| 카토 타카조

| 오쿠보 토메지로

|

!2구

| 이시카와 지오

| 츠카하라 토시오

| 이시노 히사오

|colspan=2|

|-

!3구

| 아카기 무네노리

| 니와 교시로

| 사토 요스케

| 키타자와 나오키치

| 카자미 아키라

|colspan=6|

|-

!토치기현

!1구

| 오오누키 다이하치

| 타카세 덴

| 토가시 리코

| 노자와 키요토

| 후나타 나오

!2구

| 모리시타 쿠니오

| 칸다 다이사쿠

| 코다이라 히사오

| 야마다 초지

| 야마구치 코이치

|-

!rowspan=2|군마현

!1구

| 후지에다 센스케

| 아카네가쿠보 시게미쓰

| 이가라시 키조

|colspan=2|

!2구

| 하세가와 시로

| 토카이린 미노루

| 후쿠이 모리타

|colspan=2|

|-

!3구

| 후쿠다 다케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쿠리하라 토시오

| 코부치 코헤이

|

|colspan=6|

|-

!rowspan=2|사이타마현

!1구

| 후쿠나가 켄지

| 마츠나가 아즈마

| 타카이시 코사부로

| 카시와 마사오

|

!2구

| 히라오카 주지로

| 야마구치 로쿠로지

| 마쓰야마 요시오

|colspan=2|

|-

!3구

| 아라후네 세이쥬로

| 타카다 토미유키

| 가모다 소이치

|colspan=2|

!4구

| 이타가와 쇼고

| 야마모토 카쓰이치

| 아오키 마사루

|colspan=2|

|-

!rowspan=2|지바현

!1구

| 카와시마 마사지로

| 하지메 세키이헤이

| 요시카와 카네미쓰

| 우스이 소이치

|

!2구

| 야마무라 신지로

| 테라시마 류타로

| 키쿠라 와이치로

| 오가와 토시아키

|

|-

!3구

| 미즈타 미키오

| 모리 키요시

| 사네카와 키요유키

| 후쿠이 준이치

| 지바 사부로

|colspan=6|

|-

!rowspan=2|가나가와현

!1구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아스카다 카즈오

| 몬지 료

| 마츠오 도시코

|

!2구

| 도이 나오사쿠

| 나카지마 히데오

| 고이즈미 준야

| 야마모토 마사이치

|

|-

!3구

| 모리시마 모리토

| 코노 이치로

| 이와모토 노부유키

| 카타야마 테쓰

| 코가네 요시테루

|colspan=6|

|-

!야마나시현

!전현

| 가네마루 신

| 가네마루 토쿠시게

| 호리우치 카즈오

| 타나베 쿠니오

| 우치다 쓰네오

|colspan=6|

|-

!rowspan=4|도쿄도

!1구

| 타나카 에이이치

| 아사누마 이나지로

| 하라 햐쿠

| 하토야마 이치로

|

!2구

| 카토 칸쥬

| 우츠노미야 토쿠마

| 마쓰오카 코마키치

|colspan=2|

|-

!3구

| 가야 오키노부

| 스즈키 모사부로

| 혼지마 유리코

|colspan=2|

!4구

| 키쿠카와 킨코

| 오카자키 에이조

| 호아시 케이

|colspan=2|

|-

!5구

| 나카무라 우메키치

| 칸콘 이치코

| 코노 히소시

| 하마노 세이고

|

!6구

| 야마구치 시즈에

| 시마가미 젠고로

| 시마무라 이치로

| 아마노 코키

| 아라이 쿄타

|-

!7구

| 후쿠다 아쓰야스

| 나카무라 코이치

| 호죠 슈이치

| 야마하나 히데오

| 호소다 요시아키

|colspan=6|

|-

!rowspan=2|니가타현

!1구

| 사쿠라이 케이오

| 오오시마 슈이치

| 다카하시 세이이치로

|colspan=2|

!2구

| 와타나베 요시오

| 이이 세이이치

| 이시다 유젠

| 이나바 오사무

|

|-

!3구

| 타나카 가쿠에이

| 고바야시 스스무

| 와타리 시로

| 미야케 마사이치

| 오오노 이치로

!4구

| 타나카 아키지

| 츠카다 주이치로

| 이나마타 코조

|colspan=2|

|-

!도야마현

!1구

| 미나베 기사미

| 나이토 타카시

| 카지 료사쿠

|colspan=2|

!2구

| 마츠무라 켄조

| 마사리키 마쓰타로

| 사노 겐지

|colspan=2|

|-

!이시카와현

!1구

| 사카타 에이이치

| 오카 료이치

| 쓰지 마사노부

|colspan=2|

!2구

| 마스야니 슈지

| 미나미 요시오

| 오오모리 타마키

|colspan=2|

|-

!후쿠이현

!전현

| 우에키 고시로

| 오쿠무라 마타쥬로

| 후쿠다 하지메

| 도모리 요시오

|

|colspan=6|

|-

!rowspan="2"|나가노현

!1구

| 코사카 젠타로

| 쿠라시키 타다오

| 나카자와 모이치

|colspan=2|

!2구

| 하다 무쓰지로

5. 2. 당선자 분석

타니가와 카즈호(무소속, 히로시마 3구)는 27세 10개월로 최연소 당선되었다. 요시다 시게루(자유민주당, 고치 전현구)는 79세 8개월로 최고령 당선자였다. 타나카 에이이치(자유민주당, 도쿄 1구)는 149,304표로 최다 득표, 오가와 토시아키(일본사회당, 지바 2구)는 32,218표로 최소 득표 당선되었다. 스즈키 센파치(자유민주당, 도쿄 5구)는 80,050표로 최다 득표 낙선하였다. 호시지마 지로(자유민주당, 오카야마 2구)와 하토야마 이치로(자유민주당, 도쿄 1구)는 15회(연속) 당선되어 최다선 의원이었다.

6. 선거 이후

1958년 6월 10일부터 7월 8일까지 제29회 국회(특별회)가 열렸다. 6월 11일 중의원 의장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호시지마 지로가,[1] 같은 날 부의장 선거에서 시이쿠마 사부로가 선출되었다.[1] 6월 12일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에서는 키시 노부스케가 중의원의 지명을 받았다.[1]

1958년 12월 10일부터 1959년 5월 2일까지 제31회 국회(정회)가 열렸다. 12월 13일 중의원 의장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가토우 료고로가, 같은 날 부의장 선거에서 일본사회당 마사키 키요시가 선출되었다.

1959년 12월 29일부터 1960년 7월 15일까지 제34회 국회(정회)가 열렸다. 1960년 1월 30일 중의원 부의장 선거에서 일본사회당 나카무라 코이치가, 2월 1일 의장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키요세 이치로가 선출되었다.

1960년 7월 18일부터 7월 22일까지 제35회 국회(임시회)가 열렸다. 7월 18일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이케다 하야토가 중의원의 지명을 받았다.

한편, 1960년에는 안보 투쟁이 발생했다.

7.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