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계 러시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계 러시아인은 러시아에 거주하는 중국인 또는 중국계 혈통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19세기 말부터 러시아 제국 극동 지역으로 중국인의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특히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 이후 이주가 가속화되었다. 1926년 소련 인구 조사에서 10만 명이 중국 국적 또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1930년대에는 라틴 문자에 기반한 표기 체계를 사용하기도 했다. 1930년대 후반에는 일본 간첩 혐의로 중국인들이 다른 지역으로 추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모스크바와 러시아 극동 지역에 중국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국 위협론과 같은 민족주의적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계 러시아인 - 페트르 얀
    페트르 얀은 러시아 종합격투기 선수로, UFC 밴텀급 챔피언과 잠정 챔피언을 지냈으며, 2018년 UFC에 진출하여 조제 알도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으나 알저메인 스털링과의 경기에서 실격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 소련에 거주한 중국인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소련에 거주한 중국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러시아-중국 관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러시아-중국 관계 - 중소 분쟁
    중소 분쟁은 1858년과 1860년 조약에서 비롯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 지정학, 경제적 갈등으로, 소련의 탈스탈린화, 중국의 대약진 운동 실패, 타이완 해협 위기, 인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소련의 중립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이념적 차이와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은 국경 분쟁과 외교적 단절, 제3세계 대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중미 관계 개선 후 완화되었으나 소련 붕괴까지 이념적 대립이 지속되었다.
중국계 러시아인
기본 정보
집단명중국계 러시아인
러시아어 명칭Китайцы в России
중국어 명칭华裔俄罗斯人
1893년 저장성 닝보시의 류쥔저우는 조지아에 차밭을 세우도록 초청받았다. 그의 사진은 1905년에서 1915년 사이에 세르게이 프로쿠딘고르스키에 의해 촬영되었다.
1893년 저장성 닝보시의 류쥔저우(劉軍州)는 조지아(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에 차밭을 세우도록 초청받았다. 그의 사진은 1905년에서 1915년 사이에 세르게이 프로쿠딘고르스키에 의해 촬영되었다.
인구
전체 인구 (2021년)19,644명 (공식 통계)
전체 인구 (2010년)28,943명
전체 인구 (2004년)200,000–998,000명
전체 인구 (2017년)400,000–550,000명
주요 거주지모스크바, 러시아 극동
언어
사용 언어중국어, 러시아어
관련 집단
관련 민족화교
종교
종교불교, 기독교, 동방 정교회, 중국 정교회, 이슬람교, 도교

2. 역사

러시아 내 중국인의 역사는 크게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그리고 현대 러시아 연방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청나라러시아 제국 사이에 체결된 네르친스크 조약(1689), 아이훈 조약(1858), 베이징 조약(1860) 등을 통해 현재의 러시아 극동 지역 국경이 형성되면서 중국인의 러시아 이주 배경이 마련되었다.[8][9] 19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인 이주가 시작되어 초기에는 주로 러시아 극동 지역에 정착했다. 이 과정에서 만자 전쟁(1868)과 같은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으며,[11][12] 회족의 난을 피해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회족은 훗날 둔간족으로 불리게 되었다.[13]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러시아 제국 내 중국어 사용자 다수가 극동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14][15]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노동자로 유럽 러시아 지역에 동원되기도 했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많은 중국인들이 러시아 내전에 참여했으며, 소비에트 연방 초기에는 신경제 정책(NEP) 하에서 경제 활동에 종사하며 모스크바 등 다른 도시로도 퍼져나갔다.[19] 1920년대와 1930년대 초반에는 라틴화 신문자를 사용하는 등 소수 민족 문화 진흥 정책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22] 1930년대 후반 스탈린 체제 하에서는 대규모 추방과 탄압을 겪었다.[24][2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중소 관계 변화에 따라 유학생 교류가 있었으나 중소 분쟁으로 중단되기도 했다.[25][27] 1980년대 중소 국경 분쟁 완화와 개혁개방 정책의 영향으로 국경 무역이 재개되면서 새로운 이주 물결이 시작되었다.[24][28]

2. 1. 러시아 제국 시기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는 본래 현재 러시아 극동의 일부인 러시아령 만주 지역을 다스렸으나,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아무르강 유역의 러시아 요새 철수를 대가로 레나강까지의 영토 주장을 포기했다.[8] 하지만 19세기 중반 러시아 제국의 동방 확장 과정에서 아이훈 조약(1858)과 베이징 조약(1860)을 통해 아무르강 북쪽과 연해주 지역을 러시아에 할양하게 되었다.[9] 이 조약들로 러시아는 광대한 영토를 얻었고, 이는 중국인의 러시아 극동 지역 이주를 촉진하는 배경이 되었다. 베이징 조약에 따라 청나라는 헤이룽강 동쪽 64개 마을 주민에 대한 행정권은 유지했으나,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러시아군은 이 지역의 청나라 백성들을 학살했다.[10]

러시아가 새롭게 획득한 영토에서 중국인을 몰아내려는 시도도 있었다. 1868년 만자 전쟁은 러시아가 금 채굴장의 중국인 노동자를 추방하려 하면서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표트르 대제 만에서 시작되었다.[11] 중국인들은 아스코르드 섬 점령 시도에 저항하며 러시아 군사 기지 2곳과 마을 3곳을 공격했고, 러시아는 결국 중국인들을 몰아내지 못했다.[12]

본격적인 중국인의 러시아 이주는 19세기 후반에 시작되었다. 1878년부터 1880년대 초까지 회족의 난 이후 박해를 피해 수천 명의 회족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등지에서 톈산산맥을 넘어 중앙아시아로 이주했으며, 이들은 훗날 둔간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3]

이와 별개로 다른 중국어 사용 이주민들은 주로 러시아 극동으로 향했다.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제국 전체에 57,459명(남성 47,431명, 여성 10,028명)의 중국어 사용자가 있었으며, 이 중 74.5%인 42,823명이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거주했다.[14][15]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홍후쯔라 불리는 중국인 비적들은 극동 지역의 러시아 정착민들을 자주 습격했다. 예를 들어 1879년에는 헤엑 가족을 공격하여 아들을 납치하고 하인과 아내를 살해하는 사건도 있었다.[16]

러시아 극동의 중국인들은 러시아 시민권을 얻기 어려웠다. 한동안은 러시아 시민과 결혼하고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만이 귀화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17] 19세기 말 하바롭스크의 성공한 상인 지펑타이(紀鳳台, 러시아 이름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티폰타이)의 사례가 이를 보여준다.[18] 그는 1880년대 후반 변발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첫 귀화 신청이 거부되었다. 하지만 1894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세례를 받은 아들이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 두 번째 신청이 승인되었다. 이후 티폰타이는 러시아의 중국 동방 철도 건설과 만주 진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수천 명의 중국인이 요새 건설 노동자로 유럽 러시아 지역으로 보내졌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에는 많은 중국인들이 러시아 내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2. 2. 소비에트 연방 시기

1930년대 소련의 중국어 신문, 라틴화 신문자로 쓰여짐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많은 중국계 민족들이 러시아 내전에 참여했다.

1926년 실시된 소련 전연방 인구 조사에서는 10만 명의 응답자가 중국 국적을 보유하거나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답했다. 이 중 약 4분의 3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했다. 당시 블라디보스토크 인구의 22%가 중국인이었으며, 모스크바에도 약 8,000명 규모의 중국인 공동체가 존재했다. 이들은 주로 산둥 출신으로 세탁소, 빵집, 니트웨어 가게를 운영하거나 길거리에서 행상으로 일했다. 도시 외곽 지역에서는 광업이나 아편 재배에 종사하는 중국인들도 있었다. 신경제 정책(NEP) 시기에는 중국인들이 노보시비르스크바르나울 같은 다른 도시 중심지로 퍼져나가기도 했다.[19] 중국인의 소련 이주 물결은 1929년까지 지속되었고, 국경은 1930년대 중반까지 비교적 느슨하게 관리되었다.[20]

소련으로 이주한 중국 여성의 수는 매우 적었다. 이 때문에 많은 중국 남성들은 본국에 아내와 자녀를 두고 온 경우에도 1920년대에 현지 여성과 결혼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전 10년간의 전쟁과 혼란으로 과부가 된 여성들이 많았다.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자녀들은 일반적으로 러시아식 이름을 받았지만, 아버지의 중국 성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러시아식 성씨를 따르기도 했으며, 아버지의 성과 이름을 조합하여 새로운 성씨를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21]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소련 내 중국인들은 다른 소수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라틴 문자에 기반한 표기 체계를 개발하여 사용했다. 이를 통해 여러 정기 간행물이 발행되었다. 둥간족을 위해서는 별도의 라틴 문자 기반 표기 체계가 동시에 개발되었는데, 이들은 이미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간주되었다.[22] 이는 당시 중국 노동자들의 문맹률을 낮추기 위한 광범위한 캠페인의 일환이었다. 1923년 추정치에 따르면 중국 노동자의 3분의 1만이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다. 1930년대에는 중국어를 교육 매체로 사용하는 국립 초등학교 10개, 직업 중등학교 1개, 대학 1개, 야간 학교 2개가 운영되었다.[23]

그러나 1936년 많은 중국 이주 노동자들이 중국으로 송환되었다.[22] 1937년 러시아 극동에 남아 있던 중국인들은 일본 간첩 침투에 대한 우려로 러시아의 다른 지역으로 강제 추방되었다.[24] 이 과정에서 약 11,000명의 중국인이 체포되었고, 8,000명이 러시아 북부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23]

한편, 1917년 10월 혁명 이후부터 1950년대와 1960년대 중소 분쟁 시기까지 많은 중국 공산주의자들이 모스크바에서 유학했다. 여기에는 훗날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이 되는 류사오치장제스의 아들인 장징궈 등이 포함되었다.[25] 유학생들 사이에서는 파벌 다툼이 치열했다.[26] 1950년부터 1965년까지 약 9,000명의 중국 학생들이 소련으로 유학했으며, 수백 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국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외국과의 연관성 때문에 반우파 운동 기간 동안 박해받는 경우가 많았다.[27]

가장 최근의 이주 물결은 1982년 후야오방이 하얼빈을 방문하여 국경 무역 재개를 승인하면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주는 1988년 중국과 소련이 무비자 관광 협정을 체결하기 전까지는 활발하지 않았다.[24][28]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불과 6년 만에 무비자 여행 협정을 종료했다.[29]

3. 인구 통계 및 분포

러시아 내 전체 중국계 인구 규모는 다소 논쟁적인 주제이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거주자(러시아 시민권자 및 외국인 포함) 중 34,500명만이 스스로를 중국계로 밝혔으며, 이들 중 약 절반은 서부 러시아, 주로 모스크바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러시아 인구 통계학자들은 이 공식 집계가 실제보다 낮다고 보며, 20만 명에서 50만 명 사이를 더 신뢰할 수 있는 추정치로 본다.[45][30] 예를 들어,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잔나 자욘치코프스카야는 2004년 기준 약 40만 명으로 추산하며, 일부 언론(이즈베스티야 등)에서 제기된 200만 명이라는 추정치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44][3] 만약 2003년에 일부 대중 매체에서 보도된 326만 명과 같은 추정이 사실이라면, 중국계는 러시아인(1억 410만 명), 타타르인(720만 명), 우크라이나인(510만 명)에 이어 러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 되었을 것이다.[51][31]

러시아의 주요 중국인 공동체는 모스크바러시아 극동 지역에 형성되어 있다. 모스크바의 중국인 공동체는 2002년 기준으로 2만 명에서 2만 5천 명 규모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지 중국인 공동체 지도자들은 3만 명에서 4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기도 한다.[61][39] 모스크바의 중국계 주민들은 중국 내 여러 성 출신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장기 거주자(3년 이상 러시아에 거주)의 비율이 34%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52][32]

러시아 극동에서는 하바롭스크,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가 주요 정착 도시이지만, 2002년 기준 이 세 도시의 중국인 인구를 합해도 모스크바보다 적었다.[53][33] 특히 우수리스크에서는 상업에 종사하는 중국 이주민 중 상당수가 조선족(중국 국적의 한국계)이며, 그 수는 약 2,000명에서 3,000명으로 추정된다.[54][34]

극동 지역의 중국인 노동자들은 대부분 중국 동북부, 특히 헤이룽장성 출신이다. 이는 러시아의 풍부한 천연 자원을 활용하여 헤이룽장성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려는 성 정부의 전략과도 관련이 있다.[55][28] 1988년부터 2003년까지 헤이룽장성 출신의 계약 노동자 13만 3천 명이 러시아로 건너가 주로 건설 및 농업 분야에서 일했다. 일부는 지린성 출신 이민자도 있지만, 지린성 정부는 일본이나 남북한과의 관계 발전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55][28] 중국 동북부의 높은 인구 밀도와 러시아에서의 경제적 기회가 이주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한다.[56][35] 중국 동북 3성의 인구는 1억 명이 넘는 반면, 인접한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의 인구는 1991년 약 900만 명에서 2002년 약 700만 명으로 감소했다.[57][36]

계약 노동자 외에도 많은 중국인들이 관광 비자를 통해 러시아 극동 지역을 방문한다.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약 110만 명의 중국인이 관광 비자로 이 지역의 국경을 넘었다.[55][28] 중국인의 불법 체류 문제에 대한 우려와 달리, 1996년 이후 관광 비자로 입국한 중국인의 97% 이상은 정해진 기간 내에 출국했으며, 나머지의 상당수도 다른 경로로 출국하거나 추방된 것으로 파악된다.[61][53][39][33]

4. 중국 위협론 및 민족주의적 우려

1960년대 중소 분쟁이 극에 달하고 베이징과 모스크바 사이의 국경 문제 정규화 협상이 결렬되자, 중국 민간인들은 소련이 통제하는 영토, 특히 수역을 자주 침범했다.[37] 양측 군대는 국경 권리를 주장하며 충돌을 자제했으나, 1969년 3월 전바오섬(다만스키 섬)에서 양측이 서로 먼저 발포했다고 주장하는 사건이 발생하며 상황이 악화되었다. 이 전투는 소련이 당시 사실상 중국의 통제 하에 있던 분쟁 지역인 전바오섬에서 중국군을 몰아내려 시도하면서 확대되었다.[58][37] 이 전투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병사 51명이 사망했지만, 중국은 섬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37] 소련 정부는 이 사건을 중국이 러시아 극동 지역을 대규모로 침공하려는 서막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59][38]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중국의 존재감이 커지면서, 러시아 사회 일각에서는 황화론과 유사한 형태의 중국 팽창주의(또는 민족통일주의)에 대한 공포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60][9] 러시아 언론들은 200만 명에서 500만 명에 달하는 중국 이민자들이 러시아 극동에 실제로 거주하고 있으며, 2050년경에는 러시아 인구의 절반이 중국인이 될 것이라는 추측성 보도를 내놓기도 했다.[61][62][39][40] 러시아인들 사이에서는 중국인들이 영구적인 정착을 목표로 러시아에 온다는 인식이 퍼져 있으며,[41]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조차 "만약 우리가 극동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수십 년 후에는 러시아 인구가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를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진다.[63][41]

또한 일부 러시아인들은 중국인들이 블라디보스토크를 Hǎishēnwǎi|하이선와이중국어라고 부르는 등 현지 도시에 다른 이름을 사용하는 행위에서 적대적인 의도를 느끼기도 한다.[9][42]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21: Population by ethnicity https://rosstat.gov.[...]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웹사이트 Indicators of International Migration http://www.gks.ru/bg[...]
[6] 서적
[7] 간행물 "红茶大王"刘峻周与宁波/The "King of Tea" Liu Junzhou and Ningbo http://tea.zjol.com.[...] 2006-04-07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간행물 Энциклопедия Китая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웹사이트 A Chinese 'Invasion' http://www.gateway2r[...] 2003-09-23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간행물 The Chinese are coming ... to Russia http://www.atimes.co[...] 2006-05-27
[37] 서적 2007
[38] 서적 2007
[39] 서적 1999
[40] 서적 2006
[41] 서적 2006
[42] 뉴스 Vladivostok Lures Chinese Tourists (Many Think It's Theirs) https://www.nytimes.[...] 2021-02-11
[43] 웹인용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gks.ru/fr[...] 2020-04-05
[44] 서적 2004
[45] 서적 2008
[46] 웹인용 僑委會全球資訊網 http://www.ocac.gov.[...]
[47] 웹인용 Why Forecasts of a Chinese Takeover of the Russian Far East Are Just Dramatic Myth https://carnegiemosc[...]
[48] 서적 2002
[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ks.ru/bg[...] 2022-04-19
[50] 서적 2002
[51] 웹인용 A Chinese 'Invasion' http://www.gateway2r[...] 2003-09-23
[52] 서적 2002
[53] 서적 2002
[54] 서적 2005
[55] 서적 2006
[56] 서적 2006
[57] 간행물 The Chinese are coming ... to Russia http://www.atimes.co[...] 2006-05-27
[58] 서적 2007
[59] 서적 2007
[60] 서적 2006
[61] 서적 1999
[62] 서적 2006
[63] 서적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