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이나타운 (싱가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은 싱가포르 우트럼 지역에 위치한 역사적인 화교 거주 지역으로, 싱가포르 문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국가 관광지구이다. 1330년 원나라 상인 왕대연이 이곳을 방문하여 화교 집락을 기록한 이래, 1819년 래플스 경이 싱가포르에 상륙한 후 화교 거주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822년 도시 계획을 통해 차이나타운이 정착되었으며, 이후 싱가포르의 발전과 함께 1960년대 공영 주택 공급을 통해 과밀 상태가 완화되었다. 현재는 다문화주의 유산이 남아 있으며, 텔록 에어, 크레타 에어, 부킷 파소, 탄종 파가 등 4개의 하위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이나타운은 MRT 차이나타운 역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이 편리하며, 주요 거리로는 모스크 스트리트, 파고다 스트리트, 스미스 스트리트 등이 있다.

2. 역사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의 역사는 화교(華人)들이 모여 사는 관습에 따라 시작되었다. 1821년 광동성 출신을 중심으로 중국 범선을 타고 난양(南洋)에 도착한 화교들이 싱가포르 강(新加坡河) 남쪽에 정착하면서 싱가포르 화교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백여 년 후 이 지역은 현재의 우차수(牛車水) 지역이 되었다.[4]

다문화 사회였던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에는 객가인, 테오츄(Teochew)인, 광동인 등 다양한 출신의 화교들이 모여 살았다. 객가인들은 해블락 길, 텔록 아예르 거리, 차이나 거리 및 출리아 거리에, 테오츄인들은 주로 순환로, 리버 밸리길, 보트 키(Boat Quay) 및 사우스 브리지길에서 상업에 종사했으며, 광동인들은 사우스 브리지길, 어퍼 크로스 거리, 뉴 브리지길 및 부킷 파소길에 흩어져 살았다. 최근에는 객가인들과 테오츄인들이 다른 지역으로 흩어지면서 차이나타운의 주류는 광동인들이 되었다.

길드, 씨족, 무역협회, 자원봉사협회 등은 모두 '''꽁스'''(''kongsi'', 마피아의 일종)라 불렸다. 비밀스럽고 사악한 모임(''hui'')으로서 마피아는 잘 된 번역이다. 그러나, 비밀 사회인 삼합회는 이민자들에게 직업 허가를 주면서 중국 만주에서 지원을 받았다.

다양한 중국인 사회의 주된 사원으로는 싱가포르 인도인 스리 마리암만 사원(Sri Mariamman Hindu Tamil Temple)과 인도인 모스크 알 아브라르 모스크(Al-Abrar Mosque)가 텔록 아예르 거리에 있었다. 자마에 모스크(Jamae Mosque)는 모스크 거리에 있는데, 1830년부터 1842년에는 객가인들의 티안 혹 컹 중국 사원(Thian Hock Keng Chinese Temple)이었던 곳이다.

1961년까지 상가 주택은 "사망 주택"으로 사용되었으며,[4] 1930년 여성 및 소녀 보호 조례가 제정되어 매춘 상황이 통제되기 전까지는 매춘 업소[5]로 사용되었다.[6] 매춘 업소를 방문하거나 중국 장례식[7]에 참여하거나 오페라 극장[8]을 자주 찾는 사람들을 위해 노점상, 음식 가판대 및 생활용품 판매상들이 거리에 자리를 잡았다. 1983년 도심 과밀화와 열악한 생활 환경[9]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노점상들은 새로 건설된 크레타 에이 에르 복합 단지로 이전되었으며, 이곳이 오늘날의 차이나타운 콤플렉스이다.

2. 1. 초기 역사 (19세기 이전)

1330년 중국 원나라의 상인이자 항해사인 왕대연이 테마섹(단마석[12])을 방문하여, 차이나타운에 화교 집락이 있었다고 기록했다.[12]

1819년 영국인토머스 래플스가 싱가포르에 상륙하기 전, 중국에서 남하한 노동자들이 현지에서 빈랑이나 후추 재배에 종사하고 있었다. 이후에도 남하하는 화교가 더욱 많아지자, 래플스는 싱가포르 강 남서부의 배 부두(Boat Quay)를 따라 일대를 화교 거주 구역으로 지정했다.

1822년 토머스 래플스는 싱가포르의 도시 계획을 추진하여, 차이나타운을 화교 이민의 거주 구역으로 정했다. 스탬포드 래플스 경은 타운 위원장이었던 C. E. 데이비스(Captain C.E. Davis)와 조지 본햄(George Bonham), 알렉스 L. 존슨(Alex L. Johnson)에게 글을 써, 안전하고 부유한 지역으로 만들자고 제안하였다. 이후 싱가포르의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해, 차이나타운은 과밀해졌고, 화교 이민은 싱가포르의 다른 지역에 거주하게 되었다.

1960년대 주택 개발 위원회 주도로 공영 주택 공급으로 차이나타운의 과밀 상태가 완화되었다.

MRT 차이나타운 역 앞

2. 2. 식민지 시대 (19세기 ~ 20세기 중반)

1821년 광동성 출신을 중심으로 중국 범선을 타고 난양(南洋)에 도착한 화교(華人)들이 싱가포르 강(新加坡河) 남쪽에 정착하면서 싱가포르 화교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백여 년 후 이 지역은 현재의 우차수(牛車水, 차이나타운) 지역이 되었다.[4]

컹 사이크 길(Keong Saik Road)은 1960년대 차이나타운의 홍등가였지만, 이후 많은 부티크 호텔이 있는 거리로 탈바꿈했다.


1330년 왕 다위안(Wang Dayuan)이 테마섹(Temasek) (또는 Dan Ma Xi)으로 불리던 싱가포르를 방문하여 중국인들이 살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2]

싱가포르 래플스 계획에 따라, 이 지역은 본래 식민지 싱가포르에서 중국인 이민자들이 거주하던 구역이었다. 싱가포르가 성장하면서 중국인 이민자들은 섬의 다른 지역에도 정착했지만, 차이나타운은 1819년 싱가포르 건국 이후 1960년대까지 과밀한 상태를 유지했다. 1960년대에 싱가포르 정부의 주택 개발 위원회 주도로 많은 주민들이 이주하면서 과밀 현상이 완화되었다.[4]

1822년 스탬퍼드 래플스 경은 타운 위원회 회장이었던 캡틴 C. E. 데이비스(Captain C.E. Davis)와 조지 본햄(George Bonham), 알렉스 L. 존슨(Alex L. Johnson)에게 편지를 써서 "다양한 계층의 거주민의 편안함과 안전, 그리고 이 지역의 전반적인 이익과 복지에 가장 도움이 될 수 있는" 도시 계획을 제안하고 실행하는 임무를 맡겼다.

래플스는 위원회를 위한 지침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싱가포르 타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정부가 확보한 부지, 유럽인 타운 및 주요 상업 시설, 그리고 원주민 구역과 "캄퐁"이 포함되었다. 부기스, 아랍계 싱가포르인, 인도계 싱가포르인,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캄퐁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래플스는 자신의 지침에서 매우 명확했으며, 그의 지침은 모든 후속 개발의 도시 구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거리 양쪽에 연속적으로 덮인 통로인 "5피트 통로"는 공공의 요구 사항 중 하나였다.

래플스는 "그들(중국인)이 항상 공동체의 가장 큰 부분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예견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싱가포르 강 남서쪽의 모든 토지를 그들의 거주지로 지정했지만, 동시에 다른 계층과 다른 지역이 별도의 구역에 집중되어야 하며, 화재 발생 시 이러한 구역은 석조로 건설되고 타일 지붕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차이나타운이라는 별도의 구역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1843년 이후 주택과 상점 주택 건설을 위해 토지 구획이 대중에게 임대되거나 제공되었을 때 비로소 차이나타운의 물리적 개발이 진정으로 시작되었다.[4]

다문화, 다양성의 영향력은 아직도 존재한다. 객가인들은 해블락 길(Havelock Road), 텔록 아예르 거리(Telok Ayer Street), 차이나 거리(China Street) 및 출리아 거리(Chulia Street)에 분포하며, 테오츄(Teochew)인들은 주로 순환로(Circular Road), 리버 밸리길(River Valley Road), 보트 키(Boat Quay) 및 사우스 브리지길(South Bridge Road)에서 상업에 종사한다. 광동인들은 사우스 브리지길(South Bridge Road), 어퍼 크로스 거리(Upper Cross Street), 뉴 브리지길(New Bridge Road) 및 부킷 파소길(Bukit Pasoh Road)에 흩어져 있다. 최근, 객가인들과 테오츄인들은 다른 지역으로 널리 흩어지고, 차이나타운의 주류는 광동인들이 되었다.

길드, 씨족, 무역협회, 자원봉사협회는 모두 '''꽁스'''(''kongsi'', 마피아의 일종)라 불린다. 비밀스럽고 사악한 모임(''hui'')으로서 마피아는 잘 된 번역이다. 그러나, 비밀 사회인 삼합회 사회는 이민자들에게 직업 허가를 주면서 중국 만주에서 지원을 받는다.

놀랍게도 다양한 중국인 사회의 주된 사원은 싱가포르 인도인 스리 마리암만 사원(Sri Mariamman Hindu Tamil Temple)과, 인도인 모스크 알 아브라르 모스크(Al-Abrar Mosque)인데 텔록 아예르 거리(Telok Ayer Street)에 있다. 자마에 모스크(Jamae Mosque)는 모스크 거리(Mosque Street)에 있는데, 1830년부터 1842년에는 객가인들의 티안 혹 컹 중국 사원(Thian Hock Keng Chinese Temple)이었던 곳이다.

2. 3. 현대 (20세기 후반 ~ 현재)

싱가포르 래플스 계획에 따라 차이나타운은 원래 중국 이민자들이 거주하는 식민지 싱가포르의 한 구역이었다. 싱가포르가 성장하면서 중국 이민자들이 섬 도시의 다른 지역에 정착했지만, 차이나타운은 1819년 싱가포르 건국 후 수십 년 안에 과밀화되었고, 1960년대 싱가포르 정부의 주택 개발 위원회의 주도로 많은 주민들이 이주할 때까지 이러한 상태를 유지했다.

1822년 스탬퍼드 래플스 경은 타운 위원회 회장 C. E. 데이비스 대위와 조지 보넘, 알렉스 L. 존슨에게 편지를 써서 "다양한 계층의 거주민의 편안함과 안전, 그리고 이 지역의 전반적인 이익과 복지에 가장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러한 사항에 대한 약속을 제안하고 실행하는" 임무를 맡겼다.

래플스는 위원회를 위한 지침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싱가포르 타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정부가 확보한 부지, 유럽인 타운 및 주요 상업 시설, 그리고 원주민 구역과 "캄퐁"이 포함되었다. 여기에는 부기스, 아랍계 싱가포르인, 인도계 싱가포르인,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캄퐁 지역이 포함되었다. 래플스는 자신의 지침에서 매우 명확했으며, 그의 지침은 모든 후속 개발의 도시 구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거리 양쪽에 연속적으로 덮인 통로인 "5피트 통로"는 공공의 요구 사항 중 하나였다.

래플스는 "그들(중국인)이 항상 공동체의 가장 큰 부분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예견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싱가포르 강 남서쪽의 모든 토지를 그들의 거주지로 지정했지만, 동시에 다른 계층과 다른 지역이 별도의 구역에 집중되어야 하며, 화재 발생 시 이러한 구역은 석조로 건설되고 타일 지붕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차이나타운이라는 별도의 구역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1843년 이후 주택과 상점 주택 건설을 위해 토지 구획이 대중에게 임대되거나 제공되었을 때 비로소 차이나타운의 물리적 개발이 진정으로 시작되었다. 1961년까지 상가 주택은 "사망 주택"의 역할을 했으며,[4] 1930년에는 여성 및 소녀 보호 조례가 제정되어 매춘 상황을 통제하기 전까지는 매춘 업소[5]로 사용되었다.[6] 매춘 업소를 방문하거나 중국 장례식[7]에 참여하거나 오페라 극장[8]을 자주 찾는 사람들을 위해 노점상, 음식 가판대 및 생활용품 판매상들이 거리에 자리를 잡았다. 도심의 과밀화와 열악한 생활 환경[9]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노점상들은 1983년 새로 건설된 크레타 에이 에르 복합 단지로 이전되었으며, 이곳이 오늘날의 차이나타운 콤플렉스이다.

차이나타운의 역사 요약
연도내용
1330년중국 원나라의 상인이자 항해사인 왕대연이 단마석[12]을 방문하여, 차이나타운에 화교의 집락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1819년영국인토머스 래플스가 싱가포르에 상륙하기 전, 중국에서 남하한 노동자들이 현지에서 빈랑이나 후추 재배에 종사하고 있었다. 이후에도 남하하는 화교가 더욱 많아지자, 래플스는 싱가포르 강 남서부의 배 부두(Boat Quay)를 따라 일대를 화교 거주 구역으로 지정했다.
1822년토머스 래플스는 싱가포르의 도시 계획을 추진하여, 차이나타운을 화교 이민의 거주 구역으로 정했다. 이후 싱가포르의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해, 차이나타운은 과밀해졌고, 화교 이민은 싱가포르의 다른 지역에 거주하게 되었다.
1960년대공영 주택의 공급으로 차이나타운의 과밀 상태가 완화되었다.



3. 지리

싱가포르의 차이나타운은 역사적으로 중국계 화교들이 모여 살던 곳으로, 싱가포르 우트럼(Outram) 지역에 있다. 싱가포르에서 가장 큰 인구 집단은 중국계 화교이지만, 차이나타운 지역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지역은 국가 관광지구로 지정되어 건축 제한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도시재개발)

차이나타운은 서로 다른 시기에 개발된 4개의 하위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2]

지역개발 시기
텔록 에어1820년대
크레타 에어1830년대
부킷 파소1900년대 초
탄종 파가르1920년대



크레타 아예르(Kreta Ayer)는 차이나타운 우차수의 가장 큰 구역이다. 부킷 파소를 포함한 다른 구역에서는 수많은 중국 문화 유산을 볼 수 있다. 탄종 파가르는 2차대전을 거친 곳이다. 텔록 아예르는 차이나타운의 본거지로서, 종교 중심지이다. 이들은 모두 차이나타운의 문화 유산, 먹자골목, 야시장 등으로 관광 중심지가 되고 있다.

차이나타운 콤플렉스는 스미스 스트리트에 있으며, 이 거리는 1887년에 광둥 공동체를 위해 개장하여 1910년대와 1920년대에 많은 군중을 끌어모았던 유명한 광둥 오페라 극장인 라이 춘 위엔 때문에 광둥어로 "hei yuan kai"(극장 거리)로 구어적으로 알려져 있었다.[3]

4. 이름의 유래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은 중국어 표준중국어로 ''Niu che shui'' () 또는 싱가포르 호키엔어로 ''Gû-chia-chúi'', 광둥어로 ''Ngàuh-chē-séui''로 알려져 있는데, 이 세 가지 모두 "소 수레 물"을 의미한다. 말레이어로는 Kreta Ayer(물 수레)라고 불린다.[1] 이는 화교가 많이 거주하기 시작했을 당시, 싱가포르 전역에 아직 급수 시설이 없었기에 안샹힐(Ann Siang Hill)과 스프링가(Spring Street)의 우물물을 소달구지로 이 지역까지 운반했던 데서 유래했다. 즉, '''소달구지'''로 '''물'''을 운반하던 지역이라는 의미로 '牛車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0][11]

5. 건축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의 건축물, 특히 상점 건물은 바로크 건축과 빅토리아 건축의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 한 가지 양식으로 분류하기 어렵다. 이 건물들 중 상당수는 페인티드 레이디 스타일로 지어졌고 복원되었으며, 파스텔 색조가 두드러진다. 트렝가누 거리, 파고다 거리, 템플 스트리트는 이러한 건축 양식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어퍼 크로스 스트리트 개발과 클럽 스트리트의 주택도 마찬가지이다. 보트 키는 과거 싱가포르 강을 따라 위치했던 노예 시장이었으며, 싱가포르에서 가장 다양한 스타일의 상점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

1843년 토지 소유권이 발행되면서 파고다 거리의 테라스 하우스가 생겨났는데, 현재는 대부분 3층으로 증축되었다. 원래 이 건물들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여서 야간 분뇨 수거가 어려웠지만, 1935년 싱가포르 개선 신탁(SIT)의 뒷골목 명령에 따라 건물 사이에 차선이 만들어졌다.

에메랄드 힐이나 페튼길과 비교했을 때, 차이나타운의 많은 테라스는 이탈리아 양식에 더 가깝다. 창문은 좁은 목재 셔터 (조절 가능한 슬랫이 있는 경우도 있음)가 있는 단순한 틈새처럼 보인다. 창문 위의 부채꼴 창은 일반적으로 매우 장식적이며, 기둥발코니, 심지어 석고 세공과 색상까지 지중해 풍미를 더한다. 이러한 스타일은 마카오, 말라카, 고아의 포르투갈 건축 양식을 알고 있던 초기 중국 이민자(중국 출생 및 해협 출생)들에 의해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인들 역시 유럽 건축에 익숙했을 테지만, 이들이 차이나타운 건축에 특별히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6. 문화

싱가포르의 차이나타운은 중국 문화를 요소로, 역사적으로 화교들이 모인 싱가포르 문화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싱가포르의 가장 큰 인구 집단은 중국인계 화교이지만, 차이나타운 지역은 역사,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문화다양성의 영향력은 아직도 존재한다. 객가인들은 해블락 길(Havelock Road), 텔록 아예르 거리(Telok Ayer Street), 차이나 거리(China Street) 및 출리아 거리(Chulia Street)에 분포하며, 테오츄(Teochew)인들은 주로 순환로(Circular Road), 리버 밸리길(River Valley Road), 보트 키(Boat Quay) 및 사우스 브리지길(South Bridge Road)에서 상업에 종사한다. 광동인들은 사우스 브리지길(South Bridge Road), 어퍼 크로스 거리(Upper Cross Street), 뉴 브리지길(New Bridge Road) 및 부킷 파소길(Bukit Pasoh Road)에 흩어져 있다. 최근, 객가인들과 테오츄인들은 다른 지역으로 널리 흩어지고, 차이나타운의 주류는 광동인들이 되었다.

길드, 씨족, 무역협회, 자원봉사협회는 모두 '''꽁스'''(''kongsi'', 중국인 마피아의 일종, 문자적 의미는 "공유", "공단"임에도)라 불린다.

다양한 중국인 사회의 주된 사원은 싱가포르 인도인 스리 마리암만 힌두 타밀 사원(Sri Mariamman Hindu Tamil Temple)과, 인도인 모스크 알 아브라르 모스크(Al-Abrar Mosque)인데 텔록 아예르 거리(Telok Ayer Street)에 있다. 자마에 모스크(Jamae Mosque)는 모스크 거리(Mosque Street)에 있는데, 1830년부터 1842년에는 객가인들의 티안 혹 컹 중국 사원(Thian Hock Keng Chinese Temple)이었던 곳이다.

차이나타운의 다문화주의 유산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때 하벨록 로드, 텔록 에이어 스트리트, 차이나 스트리트, 쿨리아 스트리트를 따라 호키엔 상인들이 있었고, 테오추 상인들은 대부분 서큘러 로드, 리버 밸리 로드, 보트 키, 차이나타운 근처의 사우스 브리지 로드에 있었다. 어디에나 있는 광둥 사람들은 사우스 브리지 로드, 어퍼 크로스 스트리트, 뉴 브리지 로드, 부킷 파소 로드 등에 흩어져 있었다. 오늘날, 이전의 호키엔과 테오추 거주자들은 섬의 다른 지역으로 흩어졌고, 광둥인이 차이나타운에서 지배적인 방언 그룹으로 남았다.

길드, 씨족, 노동 조합 및 협회는 모두 '콩시'로 불리며, 광둥, 호키엔 등 각 중국 방언 그룹의 필요를 지원하기 위해 차이나타운 내에 존재한다.

중국인 외에도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이주해 온 인도인과 같은 다른 인종도 차이나타운에 거주한다. 차이나타운에는 타밀 사람들을 위한 중요한 사원인 스리 마리암만 힌두 타밀 사원과 텔록 에이어 스트리트의 알 아브라르 모스크, 모스크 스트리트의 자메 모스크도 있다.

7. 교통

차이나타운역MRT 역이다. 파고다 거리는 교통이 제한되어 있는데 그 중간에 MRT역이 있으며, 여러 버스 노선이 지난다.

대중 교통 MRT가 보행자 전용 거리인 파고다 스트리트 한가운데에 있는 차이나타운 MRT역에서 노스이스트선과 다운타운선을 운행하며, 주변 지역과 여러 공공 버스 노선에 서비스를 제공하여 싱가포르 교통 시스템과 통합된다. 근처에는 이스트웨스트 MRT선의 탄종 파가 MRT역, 이스트웨스트선과 노스이스트선의 환승역인 아우트람 파크 MRT역, 노스이스트선의 클라키 MRT역과 캄퐁 바루 버스 터미널이라고 불리는 버스 터미널이 있다.


  • MRT 차이나타운역 - 파고다 스트리트(Pagoda Street, 속칭 광합원가)와 뉴 브리지 로드(New Bridge Road, 속칭 이마로)에 위치해 있다.

8. 정치

크레타 아예르(Kreta Ayer)-킴 성(Kim Seng) 구의 국회의원은 잘란 베사르 그룹 대표 선거구(Jalan Besar Group Representation Constituency)의 릴리 티르타사나 네오(Lily Tirtasana Neo, 인민행동당)가 2001년부터 담당하고 있다. 그 전에는 전 재정장관 리차드 후 츠 타우(Richard Hu Tsu Tau)였다. 차이나타운의 작은 부분은 탄종 파가르 그룹 대표 선거구 탄종 파가르(Tanjong Pagar) 구역의 국회의원 원로장관 리콴유가 1955년부터 담당하고 있다.

차이나타운은 의회 대표에 관해 집단 선거구(GRC)인 탄종 파가와 잘란 베사르로 나뉜다. 싱가포르의 초대 총리인 리콴유는 2015년 3월 사망하기 전까지 탄종 파가 GRC를 대표하는 국회의원이었다. 2015년 9월 총선 이후 인드라니 라자가 현재 탄종 파가 GRC의 해당 지역을 대표한다. 잘란 베사르 GRC에 속하는 차이나타운 지역은 1997년부터 23년간 정치 활동을 해온 릴리 네오가 은퇴한 후 2020년부터 조세핀 테오가 대표하고 있다.

9. 주변


  • 야이지에
  • 홍림 공원
  • 탄종 파가
  • 클락 키 - 불야성으로 유명하며, ,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이 많은 지역이다.
  • 래플스 플레이스 - 상업 지구

10. 주요 거리


  • '''모스크 스트리트'''는 사우스 브리지 로드 끝에 있는 자마에 모스크에서 유래되었다. 1830년 인도 코로만델 해안에서 온 출리아 무슬림이 완공했지만, 이 지역에 거주하는 말레이 무슬림들도 사용했다. 초기에 이 거리는 10개의 마구간이 있었다.
  • '''파고다 스트리트'''는 스리 마리암만 사원에서 유래되었다. 1850년대와 1880년대에 이 거리는 노예 무역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쿨리 거주 구역과 아편 흡연굴도 있었다. 상인 중 한 명인 퀑 헙 위엔은 37번지를 점유했고, 오늘날 파고다 스트리트는 종종 그의 이름을 따서 불린다.
  • '''사고 레인'''과 '''사고 스트리트'''는 1840년대에 그곳에 여러 개의 사고 공장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고는 룸비아 야자나무의 수질에서 채취하여 단맛과 짠맛의 케이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가루로 만든다. 사고 레인에는 이전에는 장례 관련 사업이 두드러졌다.
  • '''스미스 스트리트'''는 1887년부터 1893년까지 해협 식민지 총독이었던 세실 클레멘티 스미 경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을 것이다.
  • '''템플 스트리트'''는 사우스 브리지 로드 끝에 위치한 스리 마리암만 사원을 지칭한다. 과거에는 호세 달메이다의 아들인 조아킴 달메이다의 이름을 따서 알메이다 스트리트로 불렸으며, 템플 스트리트와 트렝가누 스트리트의 토지 일부를 소유자의 이름을 따온 것이었다. 1908년에 다른 곳의 달메이다 이름을 딴 거리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개칭되었다.
  • '''트렝가누 스트리트'''는 싱가포르의 피카딜리로 불렸고, 현재는 차이나타운 관광 지대의 중심부이다. 구 치아 취 와 코이 또는 크레타 아예르의 교차로라고도 불린다. 길을 건너면 스미스 거리와 사고 거리가 있다. 트렝가누는 현재 말레이 반도의 한 주이다.

파고다 거리

  • 아모이 거리(Amoy Street) - 중국 푸젠성아모이시에서 명명.
  • 앤 시앙 로드(Ann Siang Road) - 말라카주의 상인 셰안샹(Chia Ann Siang)에서 명명.
  • 분 탓 거리(Boon Tat Street) - 싱가포르의 상인 옹 분 탓(Ong Boon Tat)에서 명명.
  • 클럽 거리(Club Street)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중국식 회관에서 명명.
  • 디킨슨 힐 로드(Dickenson Hill Road) - 식민지 시대 선교사 J. T. 디킨슨에서 명명.
  • 어스킨 로드(Erskine Road) - 19세기의 영국 식민지 상인 사무엘 어스킨(Samuel Erskin)에서 명명.
  • 유 통 센 거리(Eu Tong Sen Street) - 말레이시아 상인 유통선에서 명명.
  • 호키엔 거리(Hokien Street) - 싱가포르 화교의 뿌리인 중국 푸젠성에서 명명.
  • 지악 춘 로드(Jiak Chuan Road) - 싱가포르 상인 탄 김셍의 손자인 탄 지악 춘에서 명명.
  • 키옹 사이크 로드(Keong Saik Road) - 말레이시아 상인 탄 키옹 사이크(Tan Keong Saik)에서 명명.
  • 맥컬럼 거리(McCallum Street) - 식민지 시대의 헨리 에드워드 맥컬럼 소령에서 명명.
  • 모스크 거리(Mosque Street) - 동구에 있는 자메 이슬람 사원에서 명명.
  • 파고다 거리(Pagoda Street) - 자메 이슬람 사원에서 명명.
  • 사고 거리(Sago Street) - 당시의 사고 분 공장에서 명명.
  • 스미스 거리(Smith Street) - 해협 식민지 총독 세실 클레멘티 스미스 경에서 명명.
  • 텍 림 로드(Teck Lim Road) - 화상 옹 텍 림(Ong Teck Lim)에서 명명.
  • 텔록 에어 거리(Telok Ayer Street) - 이미 사라진 텔록 에어 만에서 명명.
  • 템플 거리(Temple Street) - 동구에 있는 힌두교의 스리 마리암만 사원에서 명명.

참조

[1] 웹사이트 Chinatown http://eresources.nl[...] National Library Board 2016-04-05
[2] 웹사이트 Chinatown (includes Maxwell No. 38 and 89 Neil Road) https://web.archive.[...] 2016-04-05
[3] 웹사이트 The building in the centre was the famous "Lai Chun Yuen ... https://www.nas.gov.[...] National Archives of Singapore 2024-01-29
[4] 웹사이트 Sago Lane http://eresources.nl[...] 2017-04-06
[5] 웹사이트 Chinatown Complex : State of Buildings. https://stateofbuild[...] 2017-04-06
[6] 웹사이트 Smith Street http://eresources.nl[...] 2017-04-06
[7] 웹사이트 Sago Lane http://eresources.nl[...] 2017-04-06
[8] 웹사이트 Smith Street http://eresources.nl[...] 2017-04-06
[9] 웹사이트 Chinatown Complex : State of Buildings. https://stateofbuild[...] 2017-04-06
[10] 웹사이트 Chinatown http://eresources.nl[...] National Library Board 2016-04-05
[11] 논문 シンガポールの「牛車水」の歴史的発展からみた華人社会と文化の変容 https://cir.nii.ac.j[...]
[12] 문서 "''Temasek''。テマセック、トマセク、トゥマシク、淡馬錫とも。「海の町」を意味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