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은 벤자민 브리튼이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헨리 퍼셀의 부수 음악 '아브델라제르'의 론도를 기반으로 한다. 이 곡은 오케스트라의 각 섹션의 음색과 기능을 과시하며, 주제, 변주곡, 푸가, 코다 부분으로 구성된다. 악기 편성은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현악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악기군의 특성을 보여주는 변주곡과 푸가를 통해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음색을 선보인다. 해설은 에릭 크로지어가 작성했으며, 해설이 있는 버전과 없는 버전 모두 연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작품 - V-J Day in Times Square
V-J Day in Times Square는 1945년 8월 14일 일본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식 당시 타임스 스퀘어에서 촬영된, 수병이 간호사에게 키스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승리의 기쁨과 성폭력 정상화라는 상반된 시각으로 해석되며 다양한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어린이 음악 - 피터와 늑대
피터와 늑대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가 어린이들에게 오케스트라 악기를 소개하기 위해 작곡한 음악극으로, 등장인물마다 특정 악기와 연결된 고유한 주제 선율을 가진다. - 어린이 음악 - 자장가
자장가는 아이를 재우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수면 유도를 넘어 문화적, 심리적, 치료적 의미를 지니며, 간단한 선율과 느린 템포 등의 음악적 특징과 문화적 보편성을 보인다.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 |
---|---|
작품 정보 | |
제목 |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
부제 | 없음 |
다른 이름 | 없음 |
영어 제목 |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
작곡가 | 벤저민 브리튼 |
작품 번호 | 작품 번호 34 |
장르 | 관현악 작품 |
형식 | 변주곡과 푸가 |
의뢰인 | 영국 교육부 |
헌정 | 서지 쿠세비츠키를 기념하며 |
작곡 연도 | 1945년 |
초연 | 1946년 10월 15일, 리버풀 필하모닉 홀 |
초연 지휘 | 맬컴 사전트 |
악기 편성 | 표준 관현악 편성 |
곡의 기원 | 헨리 퍼셀의 극음악 《압델라자르》의 론도 주제 |
구성 | |
해설 | 작품은 오케스트라의 각 악기군 (목관악기, 금관악기, 현악기, 타악기)을 소개하는 해설과 함께 시작하며, 각 악기군이 주제를 연주한 후, 각 악기가 차례로 변주를 연주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악기가 참여하는 푸가로 마무리된다. |
주요 악기 | 플루트, 피콜로,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 트럼펫, 트롬본, 튜바, 하프,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타악기 |
참고 사항 | |
특징 |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인 목적으로 작곡되었으며, 오케스트라 악기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관련 작품 | 이 작품은 여러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애니메이션 《판타지아 2000》에 삽입된 버전이 유명하다. |
음원 정보 | |
외부 링크 | |
유튜브 영상 | Benjamin Britten -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Saraste WDR Symphony Orchestra - 유카-페카 사라 스테 지휘 쾰른WDR교향악단, WDR Klassik 공식 유튜브 채널 |
2. 역사
이 곡은 영국 방송 공사(BBC)가 제작한 음악 교육 영화 ''Instruments of the Orchestra'' (오케스트라의 악기)를 위해 1945년 12월에 작곡되었다. 벤자민 브리튼은 헨리 퍼셀의 주제를 바탕으로 한 변주곡과 푸가 형식을 사용하여 청소년들이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악기 소리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콘서트 형식의 초연은 1946년 10월 15일 리버풀에서 리버풀 필하모닉 관현악단의 연주로 이루어졌으며, 말콤 사전트가 지휘를 맡았다. 곡이 사용된 영화 ''Instruments of the Orchestra''는 같은 해 11월 29일에 공개되었는데, 영화에서는 런던 교향악단이 연주하고 말콤 사전트가 지휘와 해설을 담당했다.
항목 | 내용 |
---|---|
원작품명 |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 퍼셀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작품 34 |
원어곡명 |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Purcell, op. 34eng |
연주 시간 | 약 15~20분 (해설 제외 시 약 16분 35초) |
작곡 시기 | 1945년 12월 |
초연 | 1946년 10월 15일, 말콤 사전트 지휘, 리버풀 필하모닉 관현악단 연주 |
조성 | 라단조 - 라장조 |
2. 1. 작곡 배경
이 곡은 영국 방송 공사(BBC)가 제작한 음악 교육 영화 ''Instruments of the Orchestra'' (오케스트라의 악기)를 위해 1945년 12월 중순부터 같은 달 31일 심야에 걸쳐 작곡되었다. 벤자민 브리튼은 이 작품을 통해 청소년들이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다양한 악기들을 쉽고 재미있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이러한 교육적 목적을 위해 곡은 변주곡 형식을 취하며, 각 변주마다 특정 악기의 독주를 배치하고 해설을 덧붙여 악기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영화는 1946년 11월 29일에 공개되었으며, 영화에서는 말콤 사전트가 지휘와 해설(내레이션)을 맡았고 런던 교향악단이 연주를 담당했다. 영화 공개 전인 같은 해 10월 15일, 리버풀에서 콘서트 형식으로 초연되었다. 초연 당시 지휘는 영화와 마찬가지로 말콤 사전트가 맡았으며, 해설은 에릭 크로저가, 연주는 리버풀 필하모닉 관현악단이 담당했다.
3. 악기 편성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은 교향악단을 위해 작곡되었다. 표준적인 교향악단 편성을 따르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현악기의 네 가지 악기군으로 이루어진다. 각 악기군의 소리와 특징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악기가 편성되었다.
3. 1. 목관 악기
3. 2. 금관 악기
wikitext
3. 3. 타악기
팀파니, 실로폰, 큰북, 스네어 드럼, 탬버린, 심벌즈, 트라이앵글, 우드블록, 목탁, 캐스터네츠, 탐탐, 꽹과리, 채찍3. 4. 현악기
4. 구성
이 작품은 헨리 퍼셀의 부수 음악인 애프라 벤의 ''아브델라제르'' 중 론도를 기반으로 한 변주곡과 푸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2] 작품의 주된 목적은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각 악기의 음색과 특징을 소개하는 것으로,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주제 제시부이다. 여기서는 먼저 전체 오케스트라(투티)가 퍼셀의 주제를 연주하고, 이어서 목관악기, 금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순서로 각 악기군이 주제를 연주하며 자신들의 소리를 선보인다.
두 번째 부분은 변주곡이다. 퍼셀의 주제를 바탕으로 총 13개의 변주가 이어진다. 각 변주는 특정 악기나 악기 그룹의 독특한 음색과 연주 기법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도록 작곡되었다.[3] 변주는 대체로 목관악기군부터 시작하여 현악기군, 금관악기군, 마지막으로 타악기군 순서로 진행되며, 각 악기군 안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음 악기에서 저음 악기 순서로 악기들이 소개된다.
세 번째 부분은 푸가이다. 이 부분은 브리튼이 직접 작곡한 새로운 주제로 시작하며, 변주곡에서 소개되었던 악기들이 피콜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대로 푸가 주제를 연주하며 등장한다. 이를 통해 마치 분해되었던 오케스트라가 다시 하나로 조립되는 듯한 인상을 준다. 모든 악기가 푸가에 참여한 후에는 금관악기가 퍼셀의 원곡 주제를 다시 연주하며 브리튼의 푸가 주제와 결합되어 이중 푸가를 형성한다.[3]
마지막 네 번째 부분은 코다이다. 이중 푸가가 라장조로 바뀌면서 곡 전체를 웅장하게 마무리 짓는다.
4. 1. 주제 제시부
이 작품의 주제는 헨리 퍼셀의 부수 음악인 애프라 벤의 ''아브델라제르'' 중 론도를 기반으로 한다.[2] 주제 제시부는 ''Allegro maestoso e largamente'' (당당하고 빠르고 폭넓게)의 빠르기로 연주된다.처음에는 오케스트라 전체(투티)가 라단조(D minor)로 주제를 연주하고, 이후 다음과 같은 악기군 순서로 주제가 제시된다.
순서 | 연주 | 조성 |
---|---|---|
1 | 투티 (전체 오케스트라) | 라단조 |
2 | 목관 합주 | 바장조 |
3 | 금관 합주 | 내림 마장조 |
4 | 현악 합주 | 사단조 |
5 | 타악기 합주 | 가장조 |
6 | 투티 (전체 오케스트라) | 라단조 |
이처럼 각 악기군의 음색과 특징을 보여주며 주제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으로 곡이 시작된다.
4. 2. 변주곡
헨리 퍼셀의 주제[2]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의 각 악기를 소개하는 13개의 변주곡이 이어진다. 각 변주곡은 특정 악기나 악기 그룹의 음색과 특징을 깊이 있게 보여주도록 구성되어 있다.[3]변주는 일반적으로 목관악기, 현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순서로 진행되며, 각 악기군 내에서는 고음 악기에서 저음 악기 순서로 등장한다. 각 변주에서 중심이 되는 악기와 빠르기는 다음과 같다.
변주 | 중심 악기 | 빠르기 |
---|---|---|
변주 A | 플루트와 피콜로 | Presto|프레스토ita (매우 빠르게) |
변주 B | 오보에 | Lento|렌토ita (느리게) |
변주 C | 클라리넷 | Moderato|모데라토ita (보통 빠르게) |
변주 D | 바순 | Allegro alla marcia|알레그로 알라 마르차ita (빠르고 행진곡풍으로) |
변주 E | 바이올린 | Brillante: alla polacca|브릴란테: 알라 폴라카ita (화려하게 폴란드 무곡풍으로) |
변주 F | 비올라 | Meno mosso|메노 모소ita (덜 빠르게) |
변주 G | 첼로 | Lusingando|루징간도ita (달래듯이) |
변주 H | 콘트라베이스 | Cominciando lento ma poco a poco accel. al Allegro|코민치안도 렌토 마 포코 아 포코 아첼. 알 알레그로ita (느리게 시작하다가 점차 빠르고 경쾌하게) |
변주 I | 하프 | Maestoso|마에스토소ita (장엄하게) |
변주 J | 호른 | L'istesso tempo|리스테소 템포ita (앞 부분과 같이 빠르게) |
변주 K | 트럼펫 | Vivace|비바체ita (빠르고 생기 있게) |
변주 L | 트롬본과 튜바 | Allegro pomposo|알레그로 폼포소ita (빠르고 경쾌하고 장중하게) |
변주 M | 타악기 (팀파니, 큰북, 심벌즈, 탬버린, 트라이앵글, 작은북, 우드블록, 실로폰, 캐스터네츠, 탐탐, 채찍) | Moderato|모데라토ita (보통 빠르게) |
각 악기군별 변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2. 1. 목관 악기 변주
제1변주곡은 플루트와 피콜로가 중심이 되어 연주된다. 하프와 바이올린이 함께하며, 빠르기는 Presto|프레스토it (매우 빠르게)이다.제2변주곡은 오보에 2중주로 진행된다. 현악기와 팀파니가 반주하며, 빠르기는 Lento|렌토it (느리게)이다.
제3변주곡은 클라리넷 2중주가 이끈다. 현악기의 피치카토 주법과 튜바의 리듬이 함께하며, 빠르기는 Moderato|모데라토it (보통 빠르게)이다.
제4변주곡은 바순이 주인공이다. 제1바이올린을 제외한 현악기 4부와 작은북의 리듬이 더해져 행진곡풍으로 연주된다. 빠르기는 Allegro alla marcia|알레그로 알라 마르차it (빠르고 행진곡풍으로)이다.
4. 2. 2. 현악기 변주
- '''제5변주: 바이올린''' (Brillante: alla polacca|브릴란테: 알라 폴라카ita, 화려하게 폴란드 무곡풍으로)
관악기와 큰북의 리듬을 동반하여 제1바이올린과 제2바이올린이 연주하는 변주이다. 폴란드 무곡풍의 화려하고 찬란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 '''제6변주: 비올라''' (Meno mosso|메노 모소ita, 덜 빠르게)
관악기군의 반주 위에서 비올라가 중심이 되어 연주하는 변주이다. 이전 변주보다 속도를 늦추어 차분한 느낌을 준다.
- '''제7변주: 첼로''' (Lusingando|루징간도ita, 달래듯이)
클라리넷, 호른, 하프, 비올라의 반주에 맞추어 첼로가 마치 노래하듯이 부드럽고 감미로운 선율을 연주하는 변주이다.
- '''제8변주: 콘트라베이스''' (Cominciando lento ma poco a poco accel. al Allegro|코민치안도 렌토 마 포코 아 포코 아첼. 알 알레그로ita, 느리게 시작하다가 점차 빠르고 경쾌하게)
목관악기와 탬버린의 반주를 배경으로 콘트라베이스가 연주하는 변주이다. 처음에는 느리게 시작하지만 점차 빠르고 경쾌해지며 유머러스한 느낌을 준다.
- '''제9변주: 하프''' (Maestoso|마에스토소ita, 장엄하게)
현악기 합주와 심벌즈, 공(탐탐)의 웅장한 배경 위에서 하프가 아르페지오(펼침화음)와 글리산도(미끄러지듯 연주) 기법을 선보이며 장엄하고 화려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변주이다.
4. 2. 3. 금관 악기 변주
- 제10변주(변주 J): 금관악기군 변주로, 4대의 호른이 바이올린을 제외한 현악기와 팀파니, 하프의 반주에 맞춰 연주한다. 빠르기는 L'istesso tempo|리스테소 템포ita (앞 부분과 같이 빠르게)이다.
- 제11변주(변주 K): 2대의 트럼펫이 더블베이스를 제외한 현악기 4부와 작은북의 리듬을 타고 연주한다. 빠르기는 Vivace|비바체ita (빠르고 생기 있게)이다.
- 제12변주(변주 L): 트롬본과 튜바가 목관악기, 호른, 트럼펫, 콘트라베이스의 리듬을 타고 화려하게 연주한다. 빠르기는 Allegro pomposo|알레그로 폼포소ita (빠르고 경쾌하고 장중하게)이다.
4. 2. 4. 타악기 변주
제13변주는 타악기군을 위한 변주로, 빠르기는 모데라토(Moderato, 보통 빠르게)이다. 현악기 합주를 배경으로 다양한 타악기들이 차례로 등장하며 연주한다. 먼저 팀파니가 등장하고, 이어서 큰북과 심벌즈, 탬버린과 트라이앵글, 작은북과 우드블록(목탁), 실로폰, 캐스터네츠와 공(탐탐) 순서로 가세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채찍을 포함한 모든 타악기가 함께 연주하며 마무리된다.4. 3. 푸가
작품의 제3부는 푸가로, 'Allegro molto'(대단히 빠르게)의 속도로 연주된다. 이 부분은 브리튼이 작곡한 독창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시작한다. 변주곡에서 악기들이 소개된 순서대로, 즉 피콜로를 시작으로 목관악기, 현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순서로 각 악기가 차례로 푸가 주제를 연주하며 등장한다. 이를 통해 오케스트라 전체가 다시 합쳐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모든 악기가 푸가에 참여한 후에는 퍼셀의 원곡 주제가 금관악기에 의해 다시 연주되면서[3] 브리튼의 주제와 함께 이중 푸가를 형성한다. 이 이중 푸가는 작품의 재현부에 해당하며, 조성이 라장조로 바뀌면서 웅장한 코다로 곡을 마무리한다.4. 4. 코다
푸가는 모든 악기가 브리튼의 독창적인 주제를 연주하며 진행되다가, 퍼셀의 원곡 주제가 금관악기에 의해 다시 등장하면서[3] 이중 푸가를 형성한다. 이 이중 푸가는 재현부에 해당하며, 라장조로 전조되어 웅장한 코다로 곡을 마무리 짓는다.5. 해설 (내레이션)
이 곡의 연주에는 종종 지휘자나 별도의 화자가 각 악기를 소개하는 해설(내레이션)이 포함된다. 이 해설은 브리튼의 친구이자 오페라 ''피터 그라임스''의 첫 제작 프로듀서였던 에릭 크로지어(Eric Crozier)가 작성했다.[1] 초연 당시(1946년 10월 15일)에도 크로지어가 직접 해설을 맡았다. 다만, 이 곡은 원래 영국 방송 공사(BBC)의 교육용 영화 ''오케스트라의 악기''(Instruments of the Orchestra)를 위해 작곡되었는데, 1946년 11월 29일에 공개된 이 영화에서는 말콤 사전트가 지휘와 해설을 모두 담당했다.[2]
브리튼은 해설이 없는 버전도 편곡했으며, 실제로 해설 없이 연주되거나 녹음되는 경우도 많다. 해설이 없는 버전이 더 자주 녹음되는 경향이 있다.[1] 해설 내용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녹음마다 다를 수 있다.[1]
현대에 와서는 다양한 버전의 해설이 새롭게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13년 브리튼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앨데버러 페스티벌에서는 사이먼 버터리스(Simon Butteriss)가 쓴 새로운 해설을 CBBC 진행자 조니 피츠(Johny Pitts)가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선보였다.[3] 또한 코미디언이자 작가인 존 호지먼은 2015년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와의 공연을 위해 새로운 해설을 작성하기도 했다.[4]
일본에서는 구리하라 고마키, 오자와 세이지, 사에구사 시게아키 등이 해설을 맡은 녹음이 있으며, 때로는 같은 연주 음반이라도 LP와 CD에서 해설자가 다른 경우도 있다.[5]
6. 다른 버전
덩컨 레이먼트(Duncan Lamonteng)는 재즈 오케스트라와 내레이션을 위한 동등한 변주곡 모음곡인, ''청소년을 위한 재즈 오케스트라 안내''를 작곡했다.[7] 마이크 웨스트브룩(Mike Westbrookeng)의 ''스미스 호텔 이후''는, 부제가 ''청소년을 위한 재즈 오케스트라 안내''이며, 스네이프 몰팅스 재단에서 의뢰하여 1983년 10월에 공연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Instruments of the Orchestra
https://web.archive.[...]
British Film Institute
2013-05-24
[2]
웹사이트
Programme Notes
http://www.lco.co.uk[...]
London Chamber Orchestra
2013-08-03
[3]
웹사이트
Programme Notes
http://www.lco.co.uk[...]
London Chamber Orchestra
2013-08-03
[4]
웹사이트
John Hodgman in the Young Person's Guide: Boston Pops: WCRB: WGBH
http://www.wgbh.org/[...]
[5]
웹사이트
Excerpts from John Hodgman's Debut Narration with Boston Pops
https://www.youtube.[...]
2015-05-14
[6]
웹사이트
Excerpts from John Hodgman's debut narration with Boston Pops
http://www.bostonher[...]
[7]
간행물
"Radio Times Issue 2887, 10th March 1979"
https://genome.ch.bb[...]
1979-03-10
[8]
간행물
"Radio Times Issue 3183, 10th November 1984"
https://genome.ch.bb[...]
1984-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