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무슬림 정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기 무슬림 정복은 7세기부터 8세기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군사적 정복으로, 아랍인들이 비잔틴 제국, 사산 제국 등 주변 강대국들을 굴복시키고 광대한 영토를 확보한 사건이다.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의 사회적 배경과 비잔티움-사산 전쟁으로 인한 두 제국의 쇠퇴, 이슬람의 발흥이 정복의 주요 배경이 되었다. 아랍 군대는 레반트,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마그레브, 이베리아 반도, 트란스옥시아나 등지를 정복했으며, 이는 아랍 문화와 이슬람의 확산, 새로운 사회·정치적 변화를 가져왔다. 정복의 성공 요인으로는 아랍 군대의 조직력, 종교적 열정, 주변 제국의 약화, 관용적인 정책 등이 꼽히며, 초기 무슬림 정복은 세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 -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은 8세기 초 우마이야 칼리파조가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여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키고 알-안달루스를 건설한 사건으로, 칼리프 우트만 시대의 군사 원정과 서고트족 내부 분열을 배경으로 711년 과달레테 전투 승리 후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점령하며 새로운 행정 시스템을 구축했으나, 내부 갈등과 베르베르 반란, 북부 기독교 왕국들의 부상으로 분열되어 레콩키스타의 시발점이 되었다. - 이집트의 이슬람교 - 무슬림 형제단
무슬림 형제단은 1928년 하산 알반나가 이집트에서 설립한 범이슬람주의 운동으로, 사회 개혁과 이슬람 형제애 부흥을 목표로 시작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팔레스타인 문제 개입, 정권 장악 시도, 탄압 등의 부침을 겪으며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하는 단체이다. - 이집트의 이슬람교 - 다르 알이프타 알미스리야
다르 알이프타 알미스리야는 1895년 설립된 이집트의 종교 자문 기관으로, 현대 무슬림 삶의 의문 해소와 새로운 문제에 대한 종교적 법률 제시, 이슬람 법학 교육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팟와 발행 및 현대적 미디어 활용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이슬람 법률 해석의 권위 있는 기관이다. - 라시둔 칼리파국 - 암사르
암사르는 아랍어로 군사 요새 또는 주둔 도시를 뜻하며, 아랍인의 팽창 과정에서 정복 활동의 기지 역할을 수행했고, 일부는 도시적인 행정 중심지로 발전하여 현대 도시 발전에 시사점을 준다. - 라시둔 칼리파국 - 당나라의 이슬람교
당나라의 이슬람교는 7세기부터 10세기 초 당나라 시대에 중국에 전래된 이슬람교로, 당시 '대식법'으로 불렸으며 서아시아 출신 무슬림들은 '호인' 또는 '번객'으로 불리며 상업, 외교, 군사 분야에서 활동하며 당나라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초기 무슬림 정복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분쟁 명칭 | 이슬람의 초기 정복 전쟁 |
시기 | 622년 - 750년 |
장소 | 중동 북아프리카 지중해 유럽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
결과 | 이슬람 세력의 승리 |
영토 변화 | 히스파니아에서 동쪽의 신드까지 칼리파국 수립 |
교전 세력 | |
교전 세력 1 | 메디나 이슬람 통치 라시둔 칼리파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라시둔 시대 이후) |
교전 세력 2 | 사산 제국 라흠 왕조 동로마 제국 가산 왕조 불가리아 제1제국 마쿠리아 왕국 다부야 왕조 하자르 카간국 투르케시 돌궐 소그디아나 반군 쿠르드족 마우로-로마 왕국 서고트 왕국 프랑크 왕국 랑고바르드 왕국 아키텐 공국 당나라 신드의 브라만 왕조 투르크 샤히 준빌 에프탈 공국 |
지휘관 | |
교전 세력 1 지휘관 | 무함마드 아부 바크르 우마르 1세 우트만 알리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 알무탄나 이븐 하리사 아부 우바이드 알타카피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 타리크 이븐 지야드 우크바 이븐 나피 무함마드 빈 카심 주흐라 이븐 알하위야 하시임 이븐 우트바 알카카 이븐 암르 알타미미 아부 무사 알아샤리 암마르 이븐 야시르 알누만 이븐 무크린 후다이파 이븐 알야만 알무기라 우트만 이븐 아비 알아스 아심 이븐 암르 알타미미 아흐나프 이븐 카이스 압달라 이븐 아미르 아부 우바이다 이븐 알자라 야지드 이븐 아비 수프얀 슈라빌 이븐 하사나 알삼 이븐 말리크 알카울라니 압둘 라만 알 가피키 유수프 이븐 압드 알라만 알피흐리 암르 이븐 알아스 주바이르 이븐 알아왐 미크다드 빈 알아스와드 우바다 이븐 알사미트 카리자 빈 후자파 압달라 이븐 사드 무사 빈 누사이르 하산 이븐 알누만 압드 아르라만 이븐 라비아 마슬라마 이븐 압드 알말리크 알자라 이븐 압달라 마르완 2세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 무슬림 이븐 사이드 알킬라비 주나이드 이븐 압드 알라만 알무르리 사우라 이븐 알후르 알아바니 사이드 이븐 암르 알하라시 아사드 이븐 압달라 알카스리 나스르 이븐 사이야르 알무할라브 이븐 아비 수프라 하비브 이븐 마슬라마 알피흐리 |
교전 세력 2 지휘관 | 야즈데게르드 3세 로스탐 파로흐자드 마흐부잔 후자일 이븐 임란 호르무즈 아노샤간 안다르자가르 바흐만 피루잔 자반 미흐란 호르무잔 마르단 샤 바흐람 이산디 카린즈 이븐 카리안즈 와흐만 마르단샤 잘리누스 미흐란이 바흐람이 라지 베르잔 파루흐자드 자발라 이븐 알아이함 헤라클리우스 테오도르 트리티리우스 바한 바르단 토마스 부치나토르 그레고리 테르벨 로데리크 아길라 2세 아르도 외도 카를 마르텔 힐데브란트 리우트프란트 피핀 르 브레프 콘스탄스 2세 콘스탄티누스 4세 유스티니아누스 2세 레온티우스 티베리우스 3세 레오 3세 콘스탄티누스 5세 테오도루스 아레티온 키루스 그레고리 디흐야 쿠사일라 요한 총독 바르지크 파루칸 대왕 스타우라키오스 미하일 라차노드라콘 타차테스 안토니 도메스티코스 술루크 카간 쿨 초르 구레크 알하리스 이븐 수라이즈 카파간 카간 빌게 카간 쿨 티긴 고선지 라자 다히르 네자크 타르칸 |
면적 | |
점령 면적 | 13,000,000 제곱킬로미터 |
2. 배경
아라비아는 도시와 유목민 베두인 사회가 공존하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지역이었다.[14] 아라비아 사회는 부족과 씨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부"와 "북부" 부족 연합 간의 구분이 중요했다.[15]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은 아라비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경쟁했고, 아라비아 부족들은 이들 제국의 후원을 받기도 했다.[15]
메카의 상인이었던 무함마드는 대천사 가브리엘로부터 자신이 예수와 타나크의 예언자들을 잇는 마지막 예언자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22] 메카 엘리트와의 갈등 끝에 무함마드는 메디나로 이주하여 이슬람 국가를 세우고, 630년 메카를 정복했다.[22]
2. 1.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
아라비아는 여러 문화를 가진 지역으로, 일부는 도시적이었고 다른 일부는 유목민 베두인이었다.[14] 아라비아 사회는 부족과 씨족에 따라 나뉘었으며, 가장 중요한 구분은 "남부"와 "북부" 부족 연합 간의 것이었다.[14]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은 후원자를 내세워 아라비아에서 영향력을 놓고 경쟁했고, 아라비아 부족들은 자신들의 야망을 강화하기 위해 두 경쟁 제국의 후원을 구했다.[14] 현재 남부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일부를 덮고 있던 라흐미드 왕국은 페르시아의 종속국이었으며, 602년에 페르시아인들은 라흐미드를 폐위시키고 남부 국경 수비를 인수했다.[14] 이로 인해 페르시아는 노출되고 지나치게 확장되었으며, 그 세기 후반 페르시아가 붕괴되는 무대가 마련되었다.[14]남부 아라비아, 특히 현재의 예멘은 수천 년 동안 향신료 무역의 중심지였던 부유한 지역이었다.[14] 예멘은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국제 무역 네트워크의 중심지였으며, 동아프리카, 유럽, 중동, 인도, 심지어 멀리 떨어진 중국의 상인들이 방문했다.[14] 반대로 예멘인들은 훌륭한 항해사였으며, 홍해를 거쳐 이집트까지, 그리고 인도양을 건너 인도와 동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항해했다.[14] 내륙에서는 예멘의 계곡이 약 450년경 마리브 댐이 지진으로 파괴되면서 퇴보된 관개 시스템으로 경작되었다.[14] 유향과 몰약은 지중해 지역에서 종교 의식에 사용되면서 매우 가치 있게 여겨졌다. 그러나 지중해 세계가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이 상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었고, 이는 남부 아라비아에 주요한 경제 침체를 일으켜 아라비아가 낙후된 지역이라는 인상을 심어주었다.[14]
아라비아의 이슬람 이전 종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아랍인들이 알-라트, 마나트, 알-우자, 후발과 같은 신을 숭배했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며, 가장 중요한 신은 알라였다.[14] 아라비아에는 유대교와 기독교 공동체도 있었으며, 아랍 종교의 측면은 그들의 영향을 반영했다.[14] 순례는 아라비아 이교주의의 주요 부분이었으며, 가장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는 특히 신성한 방문 장소로 여겨지는 카바가 있는 메카였다.[14]
2. 2. 비잔티움-사산 전쟁
아라비아는 여러 문화를 가진 지역으로, 일부는 도시적이었고 다른 일부는 베두인 유목민이었다.[15] 아라비아 사회는 부족과 씨족으로 나뉘었으며, 가장 중요한 구분은 "남부"와 "북부" 부족 연합 간의 것이었다.[15]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은 아라비아에서 영향력을 놓고 경쟁하며 후원자를 내세웠고, 아라비아 부족들은 자신들의 야망을 강화하기 위해 두 경쟁 제국의 후원을 구했다.[15] 현재 남부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일부를 덮고 있던 라흐미드 왕국은 페르시아의 종속국이었으나, 602년에 페르시아인들은 라흐미드를 폐위시키고 남부 국경 수비를 인수했다.[17] 이로 인해 페르시아는 노출되고 지나치게 확장되었으며, 이는 그 세기 후반 페르시아 붕괴의 무대가 되었다.[18]
620년대 후반, 무함마드는 이미 아라비아 대부분을 정복하고 이슬람 통치하에 두는 데 성공했다. 그의 지도하에 비잔틴의 침략에 대응하여 최초의 이슬람-비잔틴 소규모 충돌이 일어났다. 헤라클리우스와 페르시아 장군 샤흐르바라즈가 629년 점령된 비잔틴 동부 지역에서 페르시아 군대의 철수에 합의한 지 불과 몇 달 후, 아랍군과 비잔틴군은 비잔틴의 봉신들이 무슬림 사절을 살해한 결과로 무타 전투에서 대치했다.[15] 무함마드는 632년에 사망했고, 성공적인 리다 전쟁 이후 아라비아 반도 전체에 대한 논쟁의 여지 없는 통제권을 가진 첫 번째 칼리프인 아부 바크르가 그의 뒤를 이었다. 이 전쟁은 반도 전역에 강력한 이슬람 국가의 통합을 가져왔다.[16]
2. 3. 이슬람의 발흥
아라비아는 도시와 유목민 베두인 사회가 공존하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지역이었다.[1] 아라비아 사회는 부족과 씨족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남부"와 "북부" 부족 연합 간의 구분이 중요했다.[2]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은 아라비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경쟁했고, 아라비아 부족들은 이들 제국의 후원을 받기도 했다.[3]라흐미드 왕국은 페르시아의 종속국이었으나, 602년 페르시아가 라흐미드를 폐위하면서 페르시아의 남부 국경이 취약해졌다.[4] 이는 이후 페르시아의 붕괴에 영향을 미쳤다.[5] 남부 아라비아, 특히 예멘은 향신료 무역의 중심지로 번영했다.[6] 예멘은 국제 무역 네트워크의 요충지였으며, 동아프리카, 유럽, 중동, 인도, 중국 등지의 상인들이 방문했다.[7] 예멘인들은 홍해와 인도양을 항해하며 무역을 했다.[8] 그러나 마리브 댐의 붕괴와 지중해 지역의 기독교화로 인한 향료 수요 감소는 남부 아라비아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9]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인들은 알-라트, 마나트, 알-우자, 후발 등의 신을 숭배했으며, 알라(신)가 가장 중요한 신이었다.[10] 아라비아에는 유대교와 기독교 공동체도 존재했으며, 아랍 종교는 이들의 영향을 받았다.[11] 카바가 있는 메카는 중요한 순례지였다.[12]
메카의 상인이었던 무함마드는 대천사 가브리엘로부터 자신이 예수와 타나크의 예언자들을 잇는 마지막 예언자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13] 메카 엘리트와의 갈등 끝에 무함마드는 메디나로 이주(헤지라)하여 이슬람 국가를 세우고, 630년 메카를 정복했다.[14]
3. 군대
초기 이슬람 정복 전쟁에 참여한 군대는 다양한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각기 다른 특징을 보였다. 아랍 군대는 인도산 검을 선호하고, 쇠사슬 갑옷이나 가죽 갑옷을 착용했으며, 검과 창을 주요 무기로 사용했다.[1] 지역에 따라 비잔틴, 페르시아, 인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칼리프 시대에는 튀르크족, 페르시아인, 비잔틴인 등 정복 민족의 영향을 받았다.[5] 베두인 부족은 궁술을 선호했지만, 주로 도보로 전투에 임했다.[6] 우마이야 왕조는 시리아 정착 아랍인으로 구성된 정예 부대 '아흐르 알 샴'을 보유한 상비군을 두었고, 군대는 '준드'라는 지방 군대로 나뉘어 '디완 알 자이시'에서 봉급을 받았다.[8][9]
3. 1. 아랍
아라비아에서는 인도산 검이 최고급 강철로 만들어져 무자히딘이 가장 선호하는 무기로 크게 존경받았다.[1] 'sayfyar'로 알려진 아랍 검은 비잔틴의 '글라디우스'와 매우 유사했다.[2] 검과 창은 무슬림의 주요 무기였으며, 갑옷은 쇠사슬 갑옷이나 가죽으로 만들어졌다.[3]아라비아 북부에서는 비잔틴, 동부에서는 페르시아, 예멘에서는 인도의 영향이 각각 나타났다.[4] 칼리프 시대가 확산되면서 무슬림들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 페르시아인, 시리아의 비잔틴인 등 정복한 민족들의 영향을 받았다.[5] 아라비아의 베두인 부족은 궁술을 선호했지만, 통념과는 달리 베두인 궁수는 보통 말 대신 도보로 전투를 벌였다.[6] 아랍인들은 보통 양쪽 측면에 궁수를 배치하여 방어전을 치렀다.[7]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칼리프는 시리아에 정착한 아랍인들로 구성된 정예 부대 '아흐르 알 샴'(Ahl al-Sham, "시리아인")을 포함한 상비군을 보유했다.[8] 칼리프의 군대는 '준드'(jund) 또는 지방 군대로 나뉘었고, '디완 알 자이시'(Diwan al-Jaysh, 전쟁 부)에서 매달 봉급을 받는 주로 아랍 부족으로 구성되어 주둔했다.[9]

3. 2. 비잔티움
비잔티움 제국의 보병은 제국 내부에서 모집되었지만, 기병대는 발칸 반도나 소아시아의 민족, 게르만 용병 등으로 구성되었다. 시리아 주둔 비잔틴 군대의 상당수는 현지인이었으며, 이슬람 정복 당시 시리아의 비잔틴 군대는 아랍인으로 보였다.[1]3. 3. 페르시아
sayfyar로 알려진 아랍 검은 비잔틴의 글라디우스와 매우 유사했다.[22] 검과 창은 무슬림의 주요 무기였으며, 갑옷은 쇠사슬 갑옷이나 가죽으로 만들어졌다.[26] 아라비아 동부에서는 페르시아의 영향이 우세했다.[26] 칼리프 시대가 확산되면서 무슬림들은 페르시아인 등 정복한 민족들의 영향을 받았다.3. 4. 기타 세력
아라비아에서는 인도산 검이 최고급 강철로 만들어져 무자히딘이 가장 선호하는 무기로 크게 존경받았다.[1] sayfy|사이피ar로 알려진 아랍 검은 비잔틴의 글라디우스와 매우 유사했다.[2] 검과 창은 무슬림의 주요 무기였으며 갑옷은 쇠사슬 갑옷 또는 가죽으로 만들어졌다.[1]아라비아 북부에서는 비잔틴, 동부에서는 페르시아, 예멘에서는 인도의 영향이 각각 나타났다.[1] 칼리프 시대가 확산되면서 무슬림들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 페르시아인, 시리아의 비잔틴인 등 정복한 민족들의 영향을 받았다.[3] 아라비아의 베두인 부족은 궁술을 선호했지만, 통념과는 달리 베두인 궁수는 보통 말 대신 도보로 전투를 벌였다.[4] 아랍인들은 보통 양쪽 측면에 궁수를 배치하여 방어전을 치렀다.[5]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칼리프는 시리아에 정착한 아랍인들로 구성된 정예 부대 '아흐르 알 샴'(Ahl al-Sham, "시리아인")을 포함한 상비군을 보유했다.[6] 칼리프의 군대는 '준드'(jund) 또는 지방 군대로 나뉘었고, '디완 알 자이시'(Diwan al-Jaysh, 전쟁 부)에서 매달 봉급을 받는 주로 아랍 부족으로 구성된 주에 주둔했다.[6]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은 종종 비잔틴 군대의 foederati|페데라티la(보조군) 역할을 했다.[7] 베르베르군은 말과 낙타를 기반으로 했지만, 무기나 방어 수단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비잔틴과 아랍 자료 모두 베르베르인들이 갑옷과 헬멧이 부족했다고 언급하고 있다.[7] 베르베르인들은 공동체 전체와 함께 전쟁에 나섰으며, 여성과 아이들의 존재는 베르베르 군대의 속도를 늦추고 가족을 보호하려는 베르베르 부족민들의 발을 묶는 결과를 낳았다.[7]
4. 주요 정복 활동
영국의 역사가 데이비드 니콜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을 무슬림이 직면한 "가장 강력한 적" 중 하나로 평가했다.[1] 현재 러시아 남부와 우크라이나에 기반을 둔 유대계 튀르크족 하자르 카간국은 강력한 중기병을 보유하고 있었다.[1] 중앙아시아 튀르크족 핵심 지역은 다섯 개의 칸국으로 나뉘었고, 각 칸은 이란의 샤 또는 중국 황제를 지배자로 인정했다.[2]
튀르크 사회는 봉건제였으며, 칸은 시골 성에 사는 귀족 ''dihquans|디콴fa''들 중 우두머리(pater primus)였다. 튀르크군은 ''kadivar|카디바르fa''(농부), ''khidmatgar|키드마트가르fa''(하인), ''atbai|아트바이fa''(고객)으로 구성되었다.[2] 이들의 중장갑 기병대는 이후 무슬림의 전술과 무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슬람 정복 당시 대부분 불교도였던 튀르크족은 이후 이슬람으로 개종했고, 아랍인을 대체하여 ''이슬람 세계''의 지배 민족이 될 정도로 뛰어난 무슬림 전사로 여겨졌다.[3]
4. 1. 레반트 정복 (634-641)
데이비드 니콜(David Nicolle)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을 무슬림이 직면한 "가장 강력한 적"이라고 언급했다.[1] 현재 러시아 남부와 우크라이나에 기반을 둔 유대계 튀르크족 하자르 카간국은 강력한 중기병을 보유하고 있었다.[1]4. 2. 이집트 정복 (639-642)
عمرو بن العاص|암르 이븐 알-아스ar가 이끄는 아랍 군대는 헬리오폴리스 전투 등에서 승리하고 알렉산드리아를 함락시키며 이집트를 정복했다. 이집트 정복은 칼리프국에 중요한 곡창 지대와 해군 기지를 제공했다.4. 3.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 정복 (633-651)
David Nicolle영어은 영국의 역사학자로,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을 무슬림이 직면한 "가장 강력한 적"이라고 평가했다.[1] 당시 러시아 남부와 우크라이나 지역에 기반을 둔 유대계 튀르크족 하자르 카간국은 강력한 중기병을 보유하고 있었다.[2]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 핵심 지역은 다섯 개의 칸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각 칸들은 이란의 샤 또는 중국의 황제를 자신들의 지배자로 인정했다.[3]튀르크 사회는 봉건제 사회였으며, 칸은 시골의 성에 거주하는 귀족 ''dihquansfa''들 중에서 단순히 ''pater primusla''(가장 높은 자)였을 뿐이다. 나머지 튀르크군은 ''kadivarfa''(농부), ''khidmatgarfa''(하인), ''atbaifa''(고객) 등으로 구성되었다.[4] 이들의 중장갑 기병대는 이후 무슬림의 전술과 무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슬람 정복 당시에는 대부분 불교도였던 튀르크족은 이후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아랍인을 대체하여 ''이슬람 세계''(Dar al-Islam)의 지배 민족이 될 정도로 뛰어난 무슬림 전사로 평가받게 되었다.[5]
4. 4. 마그레브 정복 (647-742)
마그레브 정복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에는 중앙아시아 튀르크족, 레반트 지역 정복, 소아시아 지역에서의 전투 등에 대한 내용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마그레브 정복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4. 5. 이베리아 반도와 셉티메니아 정복 (711-721)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이베리아 반도와 셉티메니아 정복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이 섹션에 대한 내용은 제공된 소스에서 찾을 수 없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4. 6. 트란스옥시아나 정복 (673-751)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은 무슬림이 직면한 "가장 강력한 적" 중 하나였다.[1] 이들은 강력한 중기병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튀르크 사회는 봉건적이었다.[1] 튀르크족 핵심 지역은 다섯 개의 칸국으로 나뉘었고, 칸들은 이란의 샤 또는 중국 황제를 지배자로 인정했다.[2] 튀르크 기병대는 이후 무슬림의 전술과 무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이슬람 정복 당시 대부분 불교도였던 튀르크족은 나중에 이슬람으로 개종했고, 아랍인을 대체하여 ''이슬람 세계''의 지배 민족이 될 정도로 뛰어난 무슬림 전사로 여겨지게 되었다.[3]5. 정복의 원인과 결과
아랍의 사산 제국 침입 이후, 페르시아의 샤 야즈데게르드 3세는 저항군을 소집했으나, 많은 ''마르즈반''들이 지원을 거부했다.[25] 636년 알-카디시야 전투에서 페르시아군은 치명적인 패배를 겪었고,[24] 이로 인해 아랍-무슬림은 수도 크테시폰을 포함한 이라크 전체를 장악했다.[24] 페르시아군은 자그로스 산맥을 넘어 퇴각했고, 642년 나하반드 전투에서 사산 제국의 운명이 결정되었다.[24] 무슬림의 나하반드 승리는 "승리의 승리"로 알려져 있다.[25]
나하반드 전투 이후 페르시아는 멸망했고, 야즈데게르드 3세는 동쪽으로 도망쳐 호라산에서 651년 지역 사트라프에게 암살당했다.[24] 무슬림은 페르시아의 여러 소국들과 계속 싸워야 했으며,[17]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지역에서는 호전적인 불교 부족들의 저항에 직면했다.[27]
페르시아인들에게 이 패배는 뼈아픈 기억으로 남았다. 약 400년 후, 페르시아 시인 페르도우시는 ''샤나메''(《왕의 서》)에서 야즈데게르드 3세의 말을 빌려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이 세상에, 이 시대에, 이 운명에 저주를,
무례한 아랍인들이 와서
나를 무슬림으로 만들다니.
너의 용감한 전사와 사제들은 어디에 있는가
너의 사냥대는 어디에, 너의 업적은 어디에 있는가?
그 전술적인 용모는 어디에, 우리의 적들을 파괴한
저 위대한 군대는 어디에 있는가?
이란을 폐허로, 사자나 표범의 굴로 여기라.
이제 보고 절망하라[29]
5. 1. 정복 성공의 원인
초기 무슬림 정복의 성공 요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이 존재한다. 이슬람 세력의 종교적 관용 정책과 피지배층과의 협력은 정복 성공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5. 2. 사회정치적 변화
샤 야즈데게르드 3세의 사산 왕조가 멸망하고 이슬람 세력이 들어선 이후, 페르시아 지역에는 큰 사회정치적 변화가 일어났다. 636년 알-카디시야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은 크게 패배했고,[24] 수도 크테시폰을 포함한 이라크 전역이 아랍-무슬림 세력에게 넘어갔다.[24] 642년 나하반드 전투에서 무슬림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24] 페르시아는 멸망하고 야즈데게르드 3세는 도망치다 651년 암살당했다.[24]이후 아랍 문화와 이슬람교가 널리 확산되었고, 아랍인들은 새로운 군사 엘리트가 되었다. 기존 페르시아 엘리트들은 지역 정치, 종교, 재정적 권한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지배 세력과 타협했다. 새로운 주둔 도시들이 건설되었고, 세금 제도가 개편되었다.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무아위야 1세가 칼리프국의 수도를 메디나에서 다마스쿠스로 옮기면서,[34] 칼리프국의 정치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리아 인구 대다수는 기독교인이었고, 상당수의 유대교 소수 민족도 남아 있었다. 이들은 아랍인에게 과학, 무역, 예술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쳤다.[35] 우마이야 칼리프들은 예루살렘에 바위 돔을 건설하는 등 문화적 "황금기"를 후원했다.[35]
하지만, 정복 과정에서 발생한 폭력과 약탈, 피지배층에 대한 억압은 비판받아야 할 부분이다. 페르시아인들에게 이 패배는 뼈아픈 기억으로 남았으며, 약 400년 후 페르시아 시인 페르도우시는 그의 시 ''샤나메''에서 야즈데게르드 3세의 입을 빌려 "무례한 아랍인들이 와서 나를 무슬림으로 만들다니."라며 한탄했다.[29]
5. 3. 샤리아와 비무슬림
아랍 정복자들은 피정복민들에게 자신들의 종교를 강요하지 않았다. 비잔티움 제국과 사산 제국과는 달리, 종교적 다원주의를 존중하여 기독교인과 유대교인을 "경전의 백성"으로 인정하고 보호했다.[46] 비무슬림들은 지즈야(인두세)를 납부하는 대가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았다.[46]6. 영향 및 평가
660년대에 아랍 장군들의 산발적인 침략이 있었고, 670년대에는 마크란의 건조한 지역에 작은 아랍 수비대가 세워졌다.[48] 711년 무함마드 빈 카심 장군이 마크란을 거쳐 해안을 따라 행군한 후 신드를 침략하면서 인더스 계곡에서 최초의 대규모 아랍 원정이 시작되었다.[49] 3년 후 아랍인들은 하부 인더스 계곡 전체를 장악했다.[49] 대부분의 마을은 평화 조약에 따라 아랍 통치에 복종한 것으로 보이지만, 데발의 수도에서 라자 다히르의 군대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는 격렬한 저항이 있었다.[49][50] 신드에서 남쪽으로의 아랍 침략은 라타의 구르자라 왕국과 찰루키아 왕국의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고, 이후 라스트라쿠타 왕조가 이 지역을 장악하면서 이슬람의 추가적인 확장은 저지되었다.[50]
참조
[1]
서적
Afghanistan's Islam: From Conversion to the Talib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2-12
[2]
서적
The 'Abbāsi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03-08
[3]
문서
[4]
문서
[5]
뉴스
Children of empire
https://www.theguard[...]
2007-07-21
[6]
서적
The End of the Jihad State, the Reign of Hisham Ibn 'Abd-al Malik and the collapse of the Umayyad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
서적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War: Origins and Prevention
Ashgate Publishing
[8]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Middle Ages
Broadview Press
[9]
간행물
The battle of the Yarmūk: A reconstruction
[10]
서적
1001 Battles That Changed the Course of World History
Universe Pub.
[11]
문서
Theophanes, Chronicle, 317–327
[12]
간행물
The Persians in Asia Minor and the end of antiquity
[13]
서적
East Rome, Sasanian Persia And the End of Antiquity: Historiographical And Historical Studi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14]
서적
Expanding Realism: The Historical Dimension of Worl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Harvp
[37]
Harvp
[38]
Harvp
[39]
Harvp
[40]
Harvp
[41]
Harvp
[42]
Harvp
[43]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ume 1: The Formation of the Islamic World, Sixth to Eleven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Harvp
[45]
Harvp
[46]
Harvp
[47]
Harvp
[48]
Harvp
[49]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2nd ed, Brill. "Sind"
[50]
Harvp
[51]
Harvp
[52]
Harvp
[53]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2nd ed, Brill. "Maghreb"
[54]
Harvp
[55]
Harvp
[56]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2nd ed, Brill. "Al-Andalus"
[57]
Harvp
[58]
Harvp
[59]
Harvp
[60]
Harvp
[61]
Harvp
[62]
Harvp
[63]
Harvp
[64]
서적
Afghanistan's Islam: From Conversion to the Talib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2-12
[65]
서적
Afghanistan's Islam: From Conversion to the Talib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2-12
[66]
간행물
Bactrian Inscription from Yakawlang sheds new light on history of Buddhism in Afghanistan
https://www.academia[...]
2003
[67]
Harvp
[68]
웹사이트
Cyprus - Government and societ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69]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2nd ed, Brill. "Arminiya"
[70]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2nd ed, Brill. "Al-Qabq"
[71]
논문
[72]
논문
[73]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2nd ed, Brill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서적
Arabs in History
https://archive.org/[...]
OUP Oxford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논문
[97]
간행물
The Poll Tax and the Decline of the Christian Presence in the Palestinian Countryside in the 17th Century
[98]
서적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https://archive.org/[...]
Constable & Robinson Ltd
1913
[99]
서적
The Jews of Isla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Harvp
[107]
Harvp
[108]
Harv
[109]
Harvtxt
[110]
Harvtxt
[111]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Middle Ages
[112]
저널
The battle of the Yarmūk: A reconstruction
[113]
서적
1001 Battles That Changed the Course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114]
서적
The End of the Jihad State, the Reign of Hisham Ibn 'Abd-al Malik and the collapse of the Umayyad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