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후의 만찬〉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1495년에서 1498년 사이에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의뢰를 받아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 식당 벽에 그린 벽화이다. 예수가 "너희 중 한 명이 나를 배신할 것이다"라고 말한 직후 열두 제자들의 각기 다른 반응을 묘사하며, 예수와 제자들을 중심으로 세 명씩 네 그룹으로 배치했다. 다 빈치는 템페라 기법을 사용했으나, 습기에 약해 완성 후 20년도 채 되지 않아 손상되기 시작했다. 훼손과 여러 차례의 복원을 거쳐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사전 예약제로 제한적인 관람이 가능하다. 이 작품은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 영감을 주었으며, 2024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패러디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그림 -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은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애첩 체칠리아 갈레라니를 묘사한 초상화로, 스푸마토 기법과 역동적인 구도, 흰 족제비의 다층적인 상징성이 특징이며 현재 크라쿠프 차르토리스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그림 - 모나리자
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1503년 또는 1504년 경에 그린 초상화로, 리사 델 조콘도를 모델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스푸마토 기법과 상상의 풍경을 특징으로 하며,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 예수 초상화 -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은 히에로니무스 보스가 1503년에서 1504년 사이에 제작한 3폭 제단화로, 에덴 동산, 쾌락을 추구하는 인물들, 지옥을 묘사하며 욕망에 대한 경고 등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 예수 초상화 -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엘 그레코가 1586년에서 1588년 사이에 그린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은 성 스테파노와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강림하여 14세기 초 톨레도 읍의 시장이었던 오르가스 백작 곤살로 루이스 데 톨레도의 전설적인 매장 장면을 묘사한 그림으로, 지상과 천상 세계로 나뉜 구도, 톨레도 사회 저명 인사들의 초상, 풍부한 색채가 특징인 그의 대표작이다.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제목 | 최후의 만찬 |
로마자 표기 | Il Cenacolo |
다른 제목 | L'Ultima Cena |
화가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제작 연도 | 1495년 - 1498년 (추정) |
사조 | 고전 르네상스 |
종류 | 벽화 템페라 |
재료 | 석고 위에 템페라 역청 매스틱 |
높이 (미터) | 4.60 |
너비 (미터) | 8.80 |
높이 (인치) | 181 |
너비 (인치) | 346 |
위치 | 밀라노, 이탈리아 |
소장 |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 |
공식 웹사이트 | 최후의 만찬 공식 웹사이트 |
이미지 | |
![]() | |
![]() | |
내용 설명 | |
주제 | 마태오 복음서와 요한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마지막 만찬 장면 묘사 |
주요 등장인물 | 예수 베드로 요한 유다 기타 제자들 |
묘사 내용 | 예수가 제자들에게 "너희 중 하나가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라고 말하는 순간의 격렬한 감정 표현 |
2. 제작
〈최후의 만찬〉은 이탈리아 밀라노의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교회 식당 벽에 그려진 그림으로, 크기는 460×이다. 예수와 그 제자들의 최후의 만찬은 전통적으로 성당 구내식당 벽화의 소재로 자주 쓰였으나,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벽화를 그리던 1498년 당시에는 교회의 해당 공간은 아직 식당으로 쓰이기 전이었다.[52]
당시 다 빈치의 후원자였던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교회를 가문의 묘소로 만들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도나토 브라만테의 조성 계획도 조금 수정되었으나, 스포르차의 계획은 완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회랑 옆에 영안실을 짓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52] 〈최후의 만찬〉은 스포르차가 묘소의 벽을 장식하려는 의도에서 다 빈치에게 제작을 의뢰한 것이다. 벽화가 위치한 식당실 내 루네트에는 스포르차가의 문장이 새겨져 있다. 식당 반대쪽 벽에는 조반니 도나토 다 몬토르파노의 프레스코화인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가 그려져 있는데, 다 빈치는 여기에 템페라로 스포르차 가문의 일원들을 그려넣기도 했다. 이 벽화의 보존 상태는 〈최후의 만찬〉과 거의 비슷하게 남아 있다.[53]
다 빈치는 1495년에서 1498년 사이에 〈최후의 만찬〉을 그렸으나, 그 기간 동안 꾸준히 작업하지는 않았다. 당시 수녀원의 기록보관실이 소실되어 그림이 정확히 언제부터 그려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1497년에 작성된 문서를 통해 그 시기 즈음에 그림이 거의 완성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54]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수도원 부원장이 다 빈치에게 완성이 늦어진다며 다그쳤는데, 이에 화가 난 레오나르도는 수도원장에게 편지를 써서 유다의 악당 같은 얼굴을 완벽히 담아내기 위해 모델을 찾고 있었는데, 만약 상상했던 얼굴을 찾지 못한다면 부원장의 얼굴을 쓰겠다고 밝혔다.[55][56]
한편 예수의 얼굴이 미완성이라는 설도 전해지는데, 1557년 잔 파올로 로마초의 기록에 따르면, 다 빈치의 친구 베르나르도 체날레가 예수의 얼굴을 어떻게 그릴지를 놓고 "어떻게 대(大) 야고보나 소(小) 야고보보다 더욱 인자하고 온화한 얼굴을 생각해낼 수 있겠느냐"며 미완성으로 남겨둘 것을 권했으며, 다 빈치는 이를 받아들였다고 한다.[57]
오늘날 〈최후의 만찬〉을 복제한 초창기 그림 두 점이 전해지고 있으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조수들이 직접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사본들은 원본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며 원본의 세부 묘사들을 거의 대부분, 온전하게 담고 있다.[65]
2. 1. 제작 기법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유화 특유의 느린 작업 속도와 수정의 용이성을 선호했다. 그러나 당시 벽화에 주로 사용되던 프레스코화 방식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에 다 빈치는 수용성 색소를 젖은 석고 위에 칠하는 프레스코화 대신, 마른 벽에 템페라를 사용하여 키아로스쿠로 (명암 대비) 기법으로 더 큰 광채와 강도를 추구했다.[63] [11]벽은 젯소, 피치, 유향수액으로 덧칠한 석벽이었으며, 다 빈치는 템페라의 색 밝기를 높이기 위해 백연을 흰 캔버스처럼 칠했다. 이는 14세기 첸니오 첸니니가 도입한 기법이었으나, 첸니니는 이 기법이 프레스코화보다 위험성이 높다며 깊이감 없는 매체로 최종 마무리를 할 때에만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64] [12]
서양 회화에서 벽화나 천장화에는 주로 프레스코화 기법을 사용한다. 프레스코화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용된 기법으로, 석고를 바르고 완전히 마르기 전에 안료를 덧칠하여 벽 자체를 색칠하는 방식이다. 이 기법으로 그린 그림은 벽이나 천장과 하나가 되어 거의 영구적으로 보존되지만, 사용할 수 있는 색채에 한계가 있고, 석고가 마르기까지 약 8시간 이내에 그림을 완성해야 하며, 덧칠이나 수정이 불가능하다.
레오나르도는 작업 시간 제약을 싫어했고, 사실적인 그림을 위해 덧칠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마른 벽에 템페라화 기법으로 그림을 그렸다. 템페라는 달걀, 아교, 식물성 기름 등을 용제로 안료를 개어 캔버스나 나무판 등에 그리는 기법으로 (달걀 대신 기름을 주 용제로 사용하면 유화), 시간 제약이 없고 덧칠과 수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템페라나 유화는 온도와 습도 변화에 약해 벽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레오나르도는 벽면으로부터의 습기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마른 석고 위에 얇은 막을 만들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렸으나, 이 방법은 실패로 돌아갔다. 습도가 높은 기후도 영향을 미쳐 심각한 침식과 손상을 일으켰다. 벽화 완성 후 20년도 채 되지 않은 1510년 경, 레오나르도가 생존해 있을 당시 이미 안료 박리가 눈에 띄게 진행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3. 구성 및 등장인물
〈최후의 만찬〉은 예수가 "너희 중 하나가 나를 배신할 것이다"라고 말한 직후, 열두 제자들이 보인 각기 다른 반응을 묘사하고 있다.[13] 중앙의 예수를 중심으로 제자들은 세 명씩 네 그룹으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각 인물은 16세기 중반에 제작된 복제본을 통해 식별되었으며,[58] 왼쪽부터 다음과 같다.
그룹 | 인물 |
---|---|
왼쪽 첫 번째 | 바르톨로메오, 소(小) 야고보, 안드레아 |
왼쪽 두 번째 | 유다, 베드로, 요한 |
중앙 | 예수 |
오른쪽 두 번째 | 토마, 대(大) 야고보, 사도 필립보 |
오른쪽 세 번째 | 마태오, 유다 타대오, 시몬 |
- 왼쪽 첫 번째 그룹: 바르톨로메오, 소(小) 야고보, 안드레아는 모두 놀란 표정을 짓고 있다.
- 왼쪽 두 번째 그룹: 유다는 빨강, 파랑, 초록색 옷을 입고 그림자 속에 있으며, 자신의 계획이 갑자기 드러난 것에 놀라움과 망설임을 보인다. 그는 작은 자루를 움켜쥐고 있는데, 이는 예수를 배신하는 대가로 받은 은화를 의미하거나, 재무 담당자 역할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14] 그는 또한 소금 항아리를 엎어 놓았는데, 이는 근동의 표현으로 "소금을 배신하다"는 뜻으로 주인을 배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는 테이블에 팔꿈치를 올리고 있는 유일한 인물이며, 그림 속 인물 중 머리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베드로는 분노에 찬 표정을 짓고 칼을 들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예수의 체포 당시 겟세마니 동산에서의 격렬한 반응을 예고하는 것이다. 베드로는 요한에게 기대어 어깨에 손을 대고 있는데, 이는 요한복음에서 "사랑하는 제자"에게 예수께 누가 자신을 배신할 것인지 묻도록 신호를 보내는 것을 나타낸다. 가장 어린 사도인 요한은 기절한 듯 베드로에게 기대고 있다.
- 중앙: 예수
- 오른쪽 두 번째 그룹: 토마는 분명히 속상해 보이며, 치켜든 검지 손가락은 부활에 대한 그의 의심을 예고한다. 야고보는 팔을 공중으로 들어 놀란 표정이다. 한편 사도 필립보는 설명을 요구하는 것 같다.
- 오른쪽 세 번째 그룹: 마태오, 유다, 시몬은 마지막 세 명의 그룹이다. 유다와 마태오는 시몬에게로 향하고 있는데, 아마도 그들의 초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일 것이다.
당시 〈최후의 만찬〉 그림에서는 식탁의 한쪽에만 인물들을 배치하여 보는 이를 등지지 않게 하는 구도를 취하였는데,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도 똑같은 관례를 따르고 있다. 식탁보는 흰색에 푸른 줄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곧 유대인을 상징하는 색이기도 하며, 예수와 제자들이 무슨 민족인지를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유일한 상징이다. 배신자 유다의 경우 이전의 그림에서는 모든 사도의 등 뒤에 표시된 광배를 빼거나, 예수와 제자와는 반대편에 홀로 배치하는 식으로 배제시켰으나, 다 빈치는 유다를 그늘지게 만드는 연출을 택했다.
겁에 질린 채 배신자가 누구냐고 묻는 오른편의 도마와 야고보에게, 예수는 왼손으로 앞에 있는 빵 조각을 가리키고 있는데, 이는 예수가 제자들에게 "나와 함께 그릇에 손을 넣는 자가 나를 팔리라" (마태 26:23)고 답했다는 성경에서의 묘사를 따랐다. 따라서 그 대화에 정신이 팔린 유다가 자신도 모르게 앞의 빵 조각을 집어 드는데, 예수의 오른손도 그 빵 쪽으로 손을 뻗고 있는 모습이다. 그림의 전반적인 각도와 조명은 예수에게 시선을 집중시키는데, 그의 오른쪽 뺨은 모든 원근법선의 소실점에 위치한다.[15] 또한, 그림은 레오나르도의 탁월한 원근법 사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구도의 중심에 있는 그리스도의 얼굴에 우리의 관심을 끌고, 그리스도의 얼굴은 아래로 향한 시선을 통해 그의 왼팔의 대각선을 따라 그의 손, 그리고 따라서 빵으로 우리의 초점을 이끈다."[38]
다 빈치는 밀라노와 근교 지역 사람들의 닮은꼴을 그림 속 인물들의 영감으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4. 도상 및 해석
〈최후의 만찬〉은 예수가 자신의 제자 중 한 명이 자신을 배신할 것이라고 말하자, 각 제자들이 보이는 반응을 묘사했다. 12사도 모두 예수의 말에 분노와 충격을 받았지만, 그 반응은 각기 달랐다. 원래는 유다, 사도 요한, 예수만 누구인지 알 수 있었으나, 16세기 중반에 이 작품을 복제한 체나콜로 프레스코화를 통해 다른 제자들도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58] 그림 속 제자들은 정중앙의 예수를 중심으로 3명씩 무리를 지어 있으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사도 바르톨로메오, 소(小) 야고보, 사도 안드레아: 좌측 맨 끝에 있는 3명으로, 모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 유다 이스카리옷, 베드로, 사도 요한: 좌측 두 번째 무리이다. 유다는 빨강, 파랑, 초록색 옷을 입고 어둡게 그려져 있으며, 자신의 계획이 갑자기 드러나 당황한 표정이다. 조그만 가방을 쥐고 있는데, 이는 예수를 배신한 대가로 받은 은화이거나 재무관이었던 그의 직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59] 소금통을 넘어뜨리고 있는데, 이는 근동에서 주인을 배신하는 것을 "소금을 배신하다"라고 표현한 것과 관련 있다. 유일하게 팔꿈치를 식탁에 기대고 있으며, 머리 위치도 가장 낮다. 베드로는 분노한 표정으로 칼을 들고 있는데, 이는 예수가 붙잡혔을 때 겟세마니에서 격렬하게 반응했다는 성경 일화를 따른 것이다. 요한 쪽으로 기대어 어깨를 만지고 있는데, 요한복음에서 사랑받는 제자에게 누가 배신할 것인지 물어보라고 하는 대목을 따른 것이다.[60] 요한은 충격으로 기절하여 베드로에게 기대어 있다.
- 예수 그리스도
- 사도 토마, 대(大) 야고보, 필립보: 우측 두 번째 무리이다. 토마는 언짢은 표정으로 검지손가락을 들어 예수의 부활을 믿지 못할 것임을 암시한다. 야고보는 팔을 든 채 망연자실한 모습이고, 필립보는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묻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 사도 마태오, 유다 타대오, 사도 시몬: 우측 맨 끝에 있는 3명으로, 타대오와 마태오는 시몬에게 시선을 돌려 첫 질문에 대한 답을 예수가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모습이다.
당시 〈최후의 만찬〉 그림에서는 식탁 한쪽에만 인물들을 배치하여 보는 이를 등지지 않게 하는 구도를 취했는데, 다 빈치의 작품도 같은 관례를 따랐다. 식탁보는 흰색에 푸른 줄무늬가 있어 유대인을 상징하며, 예수와 제자들이 무슨 민족인지 나타내는 유일한 상징이다. 배신자 유다는 이전 그림에서는 후광을 빼거나 예수와 제자 반대편에 홀로 배치했지만, 다 빈치는 유다를 그늘지게 만들었다.
예수는 오른편의 도마와 야고보에게 왼손으로 빵 조각을 가리키는데, 이는 "나와 함께 그릇에 손을 넣는 자가 나를 팔리라" (마태 26:23)는 성경 묘사를 따른 것이다. 유다는 대화에 정신이 팔려 빵 조각을 집으려 하고, 예수의 오른손도 그 빵으로 향한다. 그림의 각도와 조명은 예수를 중심으로 맞춰져 있으며, 원근법상으로도 예수의 오른쪽 뺨에 초점이 맞춰진다.[62] 다 빈치는 원근법 활용에 능통했다.[63]
다 빈치는 밀라노와 근교 지역 사람들을 모델로 삼았다고 한다. 수도원 부원장은 다 빈치가 유다 모델을 찾기 위해 거리를 배회한다고 불평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다 빈치의 친구 루카 파치올리는 이 벽화를 "구원을 향한 인간의 불타오르는 욕망의 증표"라 평했다.
4. 1. 유다의 묘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에서 유다는 이전 그림들과 다른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전통적으로 유다는 다른 제자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졌다. 예를 들어, 유다에게만 광배를 그리지 않거나, 식탁 반대편에 홀로 앉히는 방식으로 다른 제자들과 구분했다.[45] 그러나 다 빈치는 유다를 다른 제자들과 함께 배치하고, 유다의 얼굴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방식으로 그를 차별화했다.[45]유다는 빨강, 파랑, 초록색 옷을 입고 그림자 속에 있으며, 자신의 계획이 갑자기 드러난 것에 놀라움과 망설임을 보인다. 그는 작은 자루를 움켜쥐고 있는데, 이는 예수를 배신하는 대가로 받은 은화를 의미하거나, 재무관 역할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14] 그는 또한 소금 항아리를 엎어 놓았는데, 이는 근동의 표현으로 "소금을 배신하다"는 뜻으로 주인을 배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는 테이블에 팔꿈치를 올리고 있는 유일한 인물이며, 그림 속 인물 중 머리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다 빈치는 유다의 모델을 찾기 위해 밀라노 거리를 배회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수도원 부원장은 다 빈치가 유다의 모델을 찾느라 시간을 낭비한다고 불평했고, 다 빈치는 마땅한 모델을 찾지 못하면 부원장의 얼굴을 사용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55][56]

4. 2. 상징과 암시
〈최후의 만찬〉에는 그림 속에 숨겨진 메시지나 암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그중 하나는 예수 오른쪽에 있는 인물이 사도 요한이 아니라 마리아 막달레나라는 것이다.[38][39] 또한 그림 중앙에 'M'이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보이는데, 이는 'Matrimonio'(결혼) 혹은 마리아 막달레나를 의미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주장은 린 픽넷의 『템플 기사단의 계시』(1997)와 마이클 베이전트, 헨리 링컨, 리처드 리의 『성혈과 성배』(1982)와 같은 책에서 비롯되었다.[39]하지만 미술사학자들은 예수 오른쪽에 있는 인물이 사도 요한이라고 확인한다.[38][39] 레오나르도는 남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데 매료되었으며, 이는 『세례자 요한』(약 1513~1516년 제작)과 같은 그의 다른 그림에서도 나타난다.[38][39] 크리스토퍼 L. 호답과 앨리스 본 캐논은 "만약 요한이 여성스러워 보이고 머리 손질이 필요하다면, 왼쪽 두 번째 인물인 야고보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한다.[39] 이탈리아 미술 전문가인 로스 킹은 마리아 막달레나가 최후의 만찬에 나타난다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으며, 레오나르도는 그녀를 다른 제자로 위장할 동기가 없었다고 말한다.[38] 그녀는 "사도들의 사도"로서 널리 존경받았고, 『최후의 만찬』이 그려진 도미니크 수도회의 수호 성인이었다.[38] 실제로 이전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 프라 안젤리코가 자신의 최후의 만찬 그림에 그녀를 포함시킨 적도 있다.[38]
그림에는 3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징이 나타난다. 사도들은 3명씩 짝을 이루어 앉아 있고, 예수 뒤에는 3개의 창문이 있으며, 예수의 모습은 삼각형 구도를 이룬다. 그의 손은 그림 높이의 황금 비율에 위치한다.[15] 이 그림은 피보나치 수열을 사용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즉, 1개의 테이블, 1명의 중앙 인물, 2개의 측벽, 3개의 창문과 3명씩 묶인 인물들, 5개의 인물 그룹, 8개의 벽면 패널과 8개의 테이블 다리, 그리고 13명의 개별 인물 등이다.[15] 피보나치 수열의 의도적인 사용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술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일부는 건축에 피보나치 수열이 의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19세기 초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38]
당시 최후의 만찬 그림에서는 성인들에게는 광배를 그렸고, 열두 사도 중 배신자인 유다는 광배가 없거나, 다른 제자들과 달리 테이블 앞쪽에 앉는 식으로 구별했다. 그러나 레오나르도는 12명의 제자를 모두 테이블 안쪽에 배치하고 광배도 그리지 않았다.[45] 대신 그리스도의 뒤편에 밝은 외부 풍경과 (건축적으로 불필요한) 뤼네트를 그려 넣고, 유다의 손에는 은화 주머니를 들게 하고, 얼굴에 그림자를 넣어 구별을 했다.
5. 역사
〈최후의 만찬〉은 이탈리아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교회 식당 벽에 그려진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880cm × 세로 460cm이다. 예수와 제자들의 최후의 만찬은 성당 구내식당 벽화 소재로 많이 쓰였으나, 다빈치가 벽화를 그리던 1498년 당시에는 아직 식당으로 쓰이기 전이었고, 교회 본 건물이 완공되던 시점이었다.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교회를 가문 묘소로 바꿀 계획이었다. 도나토 브라만테 조성 계획이 수정되었으나, 스포르차 계획은 완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회랑 옆 영안실을 짓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52] 〈최후의 만찬〉은 스포르차가 묘소 벽 장식을 위해 다 빈치에게 의뢰한 것이다. 벽화가 위치한 식당실 내 삼중 아치형 천장과 벽면이 맞닿은 루네트 공간에는 스포르차가 문장이 새겨져 있다. 식당 반대쪽 벽에는 조반니 도나토 다 몬토르파노의 프레스코화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가 있는데, 다 빈치가 템페라로 스포르차 가문 일원들을 그려넣었다. 반대쪽 벽화 보존 상태는 본 작품과 거의 비슷하다.[53]
다 빈치는 1495년~1498년에 〈최후의 만찬〉을 그렸으나, 꾸준히 작업하지는 않았다. 수녀원 기록보관실 소실로 정확한 시작 시기는 불명확하나, 1497년 작성 문서에 따르면 그 즈음 거의 완성되었다.[54] 수도원 부원장이 완성이 늦어진다고 다그치자, 레오나르도는 수도원장에게 편지를 써서 유다의 악당 같은 얼굴 모델을 찾고 있는데, 못 찾으면 부원장 얼굴을 쓰겠다고 했다.[55][56]
예수 얼굴 미완성 설도 있는데, 1557년 잔 파올로 로마초 기록에 따르면, 다 빈치 친구 베르나르도 체날레가 "대(大) 야고보나 소(小) 야고보보다 인자하고 온화한 얼굴을 어떻게 생각하겠느냐"며 미완성으로 남겨둘 것을 권했고, 다 빈치가 받아들였다고 한다.[57]
오늘날 〈최후의 만찬〉 초창기 복제 그림 두 점(레오나르도 다 빈치 조수 추정)이 전해진다. 원본과 거의 동일 크기이며, 세부 묘사 대부분을 온전하게 담고 있다.[65]
5. 1. 훼손과 복원
〈최후의 만찬〉은 제작 직후부터 습기와 부적절한 보관 환경 때문에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그림이 처음 그려질 당시 스포르차 공이 교회를 서둘러 재건하라고 명령하면서, 석공들이 습기를 머금은 돌무더기로 벽을 쌓아 올린 것이 문제의 시작이었다. 얇은 외벽에 그려진 탓에 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아 물감이 벽에 제대로 착색되지 못했고, 완성 직후인 1498년 2월 9일부터 상태가 나빠지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다.[67] 1517년부터는 붓칠이 벗겨지기 시작했고, 1532년에는 제롤라모 카르다노가 "어렸을 때 보았던 기억보다 흐려졌고 색감도 잃은 상태"라고 지적했다.[68] 1556년 조르조 바사리는 벽화가 "얼룩덩이"가 되어 인물들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라고 기록했으며, 16세기 후반에는 잔 파올로 로마초가 "벽화가 다 엉망이 되어버렸다"고 평가했다.[67]물리적인 훼손도 있었다. 1499년 프랑스의 루이 12세가 벽화를 떼어내 프랑스로 가져가는 것을 고려했고, 1652년에는 벽화 쪽 벽에 출입구를 만들었다가 나중에 다시 메웠는데, 그림 중앙부 바닥의 아치형 구조물이 그 흔적이다. 이때 예수의 발 부분이 잘려나갔는데, 초기 사본을 통해 십자가에 못 박힌 자세를 취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1768년에는 벽화를 보호하기 위해 커튼을 걸었으나 오히려 습기를 가두고 붓칠을 긁어내는 결과를 초래했다.
1726년 미켈란젤로 벨로티가 처음으로 복원을 시도하여 유화 물감으로 빈 곳을 채우고 바니시 처리를 했으나, 오래가지 못했다. 1770년 주세페 마차는 벨로티의 복원화를 벗겨내고 대부분을 새로 칠했다가 대중의 분노로 중단했다.
1796년 프랑스 혁명군은 식당을 무기고와 마구간으로 사용하며 벽화에 돌을 던지고 사도들의 눈을 긁어내는 등 훼손했다.[69] 1800년에는 폭우로 식당에 물이 찼다는 기록도 있다. 1821년에는 프레스코화 제거 전문가 스테파노 바레치가 벽화를 옮기려다 중앙부를 심하게 훼손하고 접착제로 붙이려는 시도를 했다. 1901년~1908년에는 루이지 카바네기가 벽화 구조를 연구하고 정화 작업을 했고, 1924년 오레스테 실베스트리가 추가 정화 작업과 함께 스투코로 일부를 굳혔다.
1943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으로 식당이 파괴될 뻔했으나, 모래주머니 덕분에 벽화는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70] 1946년~1954년에는 마우로 펠리촐리가 정화 및 안정화 작업을 실시했다.[69] 펠리촐리는 투명 셸락을 이용해 물감을 재부착했지만, 이 때문에 그림이 어두워지고 18, 19세기 복원 흔적이 남아 본래 모습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1970년대 말, 대대적인 복원이 결정되어 1978년 피닌 브람빌라 바르칠론이 이끄는 복원팀이 작업을 시작했다. 이들은 벽화 안정화와 함께 흙먼지와 오염을 제거하고 18, 19세기 복원 흔적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식당을 밀폐하고 환경을 통제한 후, 적외선 반사경, 현미경, 원작 스케치 등을 통해 벽화의 원형을 조사했다. 복원 불가능한 부분은 수채화로 메워 원래 벽화가 아님을 나타냈다.[71]
21년간의 복원 작업은 1999년 5월 28일에 완료되어 공개되었으나, 색상, 톤, 얼굴 모양 등이 달라져 논란이 일었다. 제임스 벡과 마이클 데일리는 복원 결과에 비판을 가했다.[72] [73]
1977년부터 1999년 5월 28일까지의 대규모 수리 작업은 밀라노 예술유산·역사유산 보존 감독국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복원가 피닌 브람빌라 바르실론이 20년 이상 혼자서 수행했다. 이 수리는 세척 작업만으로, 표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 제거와 레오나르도 시대 이후의 안료 제거가 목적이었다. 그 결과, 후대 복원가의 덧칠은 제거되고 레오나르도의 오리지널 선과 색채가 되살아났지만, 오리지널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부분도 많았다.
오쓰카 국제미술관에서는 수리 전후 양쪽의 도판 복제화를 볼 수 있다.
이 수리에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일점 투시법의 소실점 못 자국
- 테이블에는 생선 요리가 놓여 있었다.[47]
- 그리스도의 입이 벌어져 있었다.
- 배경의 좌우 벽에 있는 검은 부분에는 꽃무늬 태피스트리가 걸려 있었다.[48]
NHK는 이 사실과 세척 작업을 바탕으로 CG를 이용한 그림 복원을 시도하여, 1999년 수리 완료 직후 관련 방송을 방영했다.
1980년 유네스코는 이 작품을 소장하는 교회와 함께 세계유산(문화유산)으로 등록했다. 이후 여러 문을 통해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줄이고, 관광객 수도 제한하는 등 보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5. 2. 20세기 대복원
1970년대 말, 심각하게 훼손된 〈최후의 만찬〉을 보존하기 위해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계획되었다. 1978년부터 1999년까지 피닌 브람빌라 바르칠론이 이끄는 복원팀은 그림을 안정화하고 먼지와 오염으로 인한 손상을 복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들은 18세기와 19세기의 복원 흔적을 제거하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원래 모습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했다.[71]복원 과정에서 벽화의 원형을 파악하기 위해 적외선 반사경, 현미경을 사용한 코어샘플 조사, 영국 윈저성 왕실도서관에 보관된 원작 스케치 검수 등 과학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복원이 불가능한 부분은 수채화로 덧칠하여 원래 그림이 아님을 표시했다.[71]
21년간의 복원 작업은 1999년 5월 28일에 완료되어 대중에 공개되었다. 복원 후, 관람객은 사전 예약을 통해 15분 동안만 그림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복원된 그림은 색상, 톤, 얼굴 모양 등이 크게 변화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제임스 벡은 복원 결과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했다.[72]
복원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졌다.
- 일점 투시법의 소실점 못 자국
- 식탁 위에 놓인 생선 요리[47]
- 벌어진 그리스도의 입
- 배경의 꽃무늬 태피스트리[48]
1977년부터 1999년 5월 28일까지의 대규모 수리는 밀라노 예술유산·역사유산 보존 감독국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복원가 피닌 브람빌라 바르실론이 20년 이상 혼자서 수행했다. 이 수리는 세척 작업만으로, 표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 제거와 레오나르도 시대 이후의 수리로 인한 안료 제거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후대 복원가의 덧칠은 제거되고 레오나르도의 원래 선과 색채가 되살아났지만, 원본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부분도 많았다. 예를 들어 대야고보의 몸통 부분은 원래 안료가 거의 손실되어 벽의 바탕이 드러났다.
복원 이후, 그림은 통제된 환경에서 보호되고 있으며, 관람객은 사전 예약을 통해 제한된 시간 동안만 관람할 수 있다.
6. 문화적 영향
〈최후의 만찬〉은 서양 문화에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작품 중 하나로, 수많은 예술 작품, 문학 작품, 영화, 대중문화에서 반복적으로 언급, 재현, 패러디되었다.
레오나르도의 조수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최후의 만찬〉의 초기 복사본 두 점이 알려져 있다. 이 복사본들은 원본과 거의 같은 크기이며, 원본의 세부 묘사가 상당 부분 그대로 남아 있다.[16] 하나는 잔피에트리노(Giampietrino)의 작품으로 런던 왕립예술원에, 다른 하나는 체사레 다 세스토(Cesare da Sesto)의 작품으로 스위스 폰테 카프리아스카(Ponte Capriasca)의 산트암브로지오 교회에 있다. 세 번째 복사본(캔버스에 유채)은 안드레아 솔라리(Andrea Solari)(약 1520년)가 그린 것으로 벨기에(Belgium) 통거르로 수도원(Tongerlo Abbey)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박물관(Leonardo da Vinci Museum)에 전시되어 있다.
영화 | |
---|---|
TV 드라마 |
2024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의 한 장면에 대해 일부[34]에서는 '세느강 무대의 최후의 만찬'이라 주장하며 드랙퀸들이 등장하는 것을 널리 비판했다. 이 장면은 '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하거나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향연을 묘사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일부 보수 기독교인과 종교 지도자들은 이것이 기독교를 조롱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35] 그러나 올림픽 세계 도서관이 개막식 전에 작성된 미디어 가이드를 공개하면서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가이드에는 해당 장면이 '축제'(Festivité)라는 제목으로 문화 축제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었다.[36] 조지아의 팩트체킹 웹사이트인 미스 디텍터(Myth Detector)에 따르면, 많은 전문가들이 프레스코화와 해당 장면의 차이점을 지적했다고 한다.[37]
6. 1. 현대 미술
살바도르 달리는 1955년에 예수를 금발에 수염이 없는 모습으로 묘사하고, 사도들은 테이블 주위에 머리를 숙여 누구인지 알아볼 수 없도록 한 ''최후의 만찬''을 그렸다. 이 작품은 워싱턴 D.C.의 국립미술관 소장품 중 가장 많이 감상되는 작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25]메리 베스 에델슨의 ''몇몇 살아있는 미국 여성 예술가들/최후의 만찬''(1972)은 최후의 만찬을 재해석하여, 그리스도와 그의 사도들의 머리 위에 저명한 여성 예술가들의 얼굴을 콜라주하였다. 이 작품에서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머리 위에 콜라주된 여성 예술가들은 린다 벵글리스, 루이즈 부르주아, 엘레인 드 쿠닝, 헬렌 프랑켄서러, 낸시 그레이브스, 릴라 카첸, 리 크라스너, 조지아 오키프, 루이즈 네벨슨, 오노 요코, 엠.씨. 리처즈, 알마 토마스, 준 웨인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여성 예술가들의 이미지가 작품의 테두리에 나타나며, 총 82명의 여성 예술가가 작품 전체에 참여한다.[27][28] 여성의 종속에 있어 종교 및 미술사적 상징의 역할을 다룬 이 이미지는 "여성주의 미술 운동의 가장 상징적인 이미지 중 하나"가 되었다.[29][30]
조각가 마리솔 에스코바르는 페인트칠과 드로잉이 된 나무, 합판, 갈색 사암, 석고,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실물 크기의 3차원 조각 작품으로 ''최후의 만찬''을 재해석했다. ''최후의 만찬을 바라보는 자화상''(1982–84)이라는 이 작품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31]
화상딜러 알렉산더 이올라스는 앤디 워홀에게 ''최후의 만찬''을 기반으로 한 일련의 그림들을 제작하도록 의뢰했고, 이 작품들은 1987년 1월 밀라노에서 처음 전시되었다. 이 연작은 그의 사망 전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32]
6. 2. 대중문화
''최후의 만찬''은 서양 문화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되거나 패러디되었다.영화 | |
---|---|
TV 드라마 |
6. 3. 2024년 하계 올림픽
2024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일부[34]가 '세느강 무대의 최후의 만찬'(La Cène sur la scène sur la Seine)이라고 주장한, 드랙퀸들이 등장하는 한 장면이 널리 비판받았다. 이 장면은 '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하거나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향연을 묘사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일부 보수 기독교인과 종교 지도자들은 이것이 기독교를 조롱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35] 그러나 올림픽 세계 도서관이 개막식 전에 작성된 미디어 가이드를 공개하면서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가이드에는 해당 장면이 '축제'(Festivité)라는 제목으로 문화 축제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었다.[36] 조지아의 팩트체킹 웹사이트인 미스 디텍터(Myth Detector)에 따르면, 많은 전문가들이 프레스코화와 해당 장면의 차이점을 지적했다고 한다.[37]7. 관람 정보
〈최후의 만찬〉은 이탈리아 밀라노의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 식당에 있다. 관람은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며, 시간은 15분으로 제한된다. 사진 촬영은 가능하다. 관람을 위해서는 며칠 전에 미리 전화하거나 인터넷으로 티켓을 구입해야 하며, 예약 시간 30분 전에 도착해야 한다.
항목 | 내용 |
---|---|
주소 | Piazza S. Maria delle Grazie 2, Milan |
전화 예약 | 02 - 8942 - 1146 (이탈리아어it 또는 영어영어 가능) |
전화 접수 시간 | 월요일 - 금요일 9:00 - 18:00, 토요일 - 14:00 |
인터넷 예약 | * https://cenacolovinciano.vivaticket.it/index.php?wms_op=cenacoloVinciano Cenacolo Vinciano Milano |
관람 가능 시간 | * 화요일 - 토요일: 8:15 - 19:00 |
관람 인원 | 한 그룹 최대 25명 |
관람 방식 | 건물 내 울타리 바깥쪽에서 관람 |
요금 | 1인 8EUR (입장료 6.5EUR + 예약 수수료 1.5EUR) |
가는 방법 | * 16번 트램 이용 |
관람 시간은 혼잡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7. 1. 디지털 관람
이탈리아의 디지털 영상 처리 회사 HAL9000은 자사 웹사이트에 160억~170억 화소의 최후의 만찬 이미지를 게시하고 있다.[49]참조
[1]
웹사이트
The Last Supper by Leonardo da Vinci – Santa Maria delle Grazie – Milan
https://www.inexhibi[...]
2021-10-19
[2]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s 'The Last Supper' reveals more secret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com
2014-03-03
[3]
서적
A History of Art: Painting, Sculpture, Architecture
Harry N. Abrams Incorporated
[4]
서적
Bramante and the Origins of the High Renaissance
Ashgate Publishing
[5]
웹사이트
Santa Maria delle Grazie & The Last Supper
http://www.timeout.c[...]
2024-03-07
[6]
서적
Leonardo and the Last Supper
Bloomsbury
[7]
서적
Leonardo da Vinci
Penguin Books
[8]
웹사이트
The Last Supper
http://www.lairweb.o[...]
lairweb.org.nz
2012-12-21
[9]
방송
DaVinci
http://www.open.edu/[...]
The Open University
2012-12-21
[10]
서적
Heroes of History: A Brief History of Civilization from Ancient Times to the Dawn of the Modern Age
https://www.worldcat[...]
Simon & Schuster
[11]
웹사이트
Leonardo's Last Supper
http://smarthistory.[...]
2014-02-25
[12]
웹사이트
The Last Supper
http://www.hellomila[...]
2014-02-25
[13]
서적
Leonardo's Incessant 'Last Supper'
Zone Books
[14]
성경
[15]
서적
Draw Like Da Vinci
Cassell Illustrated
[16]
웹사이트
Last Supper (copy after Leonardo)
http://www.universal[...]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2008-08-11
[17]
웹사이트
The Notebooks of Leonardo Da Vinci – Complete
https://www.gutenber[...]
Gutenberg.org
2012-02-14
[18]
뉴스
Chapel with return Renaissance painrefting
2017-09-14
[19]
서적
Doctor Cardano, physician extraordinary
[20]
서적
The Notebooks of Leonardo da Vinci
New American Library
[21]
웹사이트
How 'The Last Supper' miraculously survived World War II bombs
https://aleteia.org/[...]
2019-06-05
[22]
서적
Leonardo and the Last Supper
https://archive.org/[...]
Bloomsbury
2012
[23]
뉴스
The Last Supper or a dog's dinner?
https://www.theguard[...]
2012-12-21
[24]
뉴스
Have art restorers ruined Leonardo's masterpiece?
https://www.independ[...]
2012-12-21
[25]
웹사이트
Tongerlo Abbey Houses A Remarkable Treasure
https://focusonbelgi[...]
Public Diplomacy Service of the Federal Public Service Foreign Affairs, Foreign Trade and Development Cooperation
2020-03-20
[26]
웹사이트
Where you can see Napoleon's copy of Da Vinci's 'Last Supper'
https://www.tripadvi[...]
TripAdvisor LLC
2020-03-20
[27]
웹사이트
Mary Beth Edelson. Some Living American Women Artists. 1972
https://www.moma.org[...]
MoMA
2019-12-04
[28]
서적
Becoming Judy Chicago: A Biography of the Artist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9]
웹사이트
Mary Beth Edelson
http://drawingprojec[...]
2014-01-11
[30]
웹사이트
Mary Beth Adelson
http://clara.nmwa.or[...]
National Museum of Women in the Arts
2014-01-10
[31]
웹사이트
Self-Portrait Looking at The Last Supper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9-08-15
[32]
웹사이트
Warhol's Last Supper
http://www.artnet.co[...]
Artnet
2010-03-12
[33]
서적
Travel Writing
Pickering
[34]
웹사이트
What does La Cene Sur La Scene Sur La Seine mean? Netizens refute Dutch historian's claim that Paris Olympics did not mock 'The Last Supper'
http://sportskeeda.c[...]
[35]
웹사이트
Paris Olympics organizers say they meant no disrespect with 'Last Supper' tableau
https://apnews.com/a[...]
2024-07-28
[36]
웹사이트
OPENING CEREMONY OF THE PARIS 2024 OLYMPIC GAMES : MEDIA GUIDE : 26-07-24, 19:30 / PARIS 2024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https://library.olym[...]
Olympic World Library
[37]
웹사이트
The Last Supper or Greek Mythology – What Does the Scene at the Paris Olympics Depict and Why Did the Organizers Apologize?
https://mythdetector[...]
Myth Detector
2024-07-29
[38]
서적
Leonardo and the Last Suppe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2-01-01
[39]
서적
The Templar Code For Dummies
Wiley Publishing, Inc.
[40]
웹사이트
マタイによる福音書(口語訳)第26章
https://ja.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0-02-01
[41]
웹사이트
ヨハネによる福音書(口語訳)第13章
https://ja.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0-02-01
[42]
웹사이트
ダ・ヴィンチ作『最後の晩餐』の意味や裏切り者などの人物をわかりやすく解説
https://davincist.co[...]
桜川 Daヴィんち
2024-10-03
[43]
웹사이트
UNESCO/NHK Videos on Heritage
http://whc.unesco.or[...]
ユネスコ
2020-02-01
[44]
이미지
拡大図
http://upload.wikime[...]
[45]
텍스트
[46]
서적
芸術哲学
岩波文庫
[47]
참조
[48]
참조
[49]
웹사이트
ここでは『最後の晩餐』をとりあげましょう
http://www.haltadefi[...]
HAL9000公式サイト
[50]
백과사전
최후의 만찬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51]
서적
The Notebooks of Leonardo Da Vinci – Complete
https://www.gutenber[...]
Gutenberg.org
2004-01-01
[52]
웹인용
Santa Maria delle Grazie & The Last Supper
http://www.timeout.c[...]
Timeout.com
[53]
서적
Leonardo and the Last Supper
https://archive.org/[...]
Bloomsbury
2012-01-01
[54]
서적
Leonardo da Vinci
Penguin Books
[55]
웹인용
The Last Supper
http://www.lairweb.o[...]
lairweb.org.nz
[56]
에피소드
DaVinci
http://www.open.edu/[...]
The Open University
[57]
서적
Heroes of History: A Brief History of Civilization from Ancient Times to the Dawn of the Modern Age
Simon & Schuster
[58]
서적
Leonardo's Incessant 'Last Supper'
https://archive.org/[...]
Zone Books
[59]
성경
마태복음 26:15 / 요한복음 13:29
http://kcm.co.kr/bib[...]
[60]
성경
요한복음 13:23~24
http://kcm.co.kr/bib[...]
[61]
서적
Draw Like Da Vinci
Cassell Illustrated
[62]
서적
Leonardo and the Last Suppe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2-01-01
[63]
웹인용
Leonardo's Last Supper
http://smarthistory.[...]
[64]
웹인용
The Last Supper
http://www.hellomila[...]
[65]
웹인용
Last Supper (copy after Leonardo)
http://www.universal[...]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66]
뉴스
Chapel with return Renaissance painrefting
2017-09-14
[67]
웹인용
Leonardo's Last Supper
http://smarthistory.[...]
[68]
서적
Doctor Cardano, physician extraordinary
[69]
서적
The Notebooks of Leonardo da Vinci
New American Library
[70]
웹인용
How 'The Last Supper' miraculously survived World War II bombs
https://aleteia.org/[...]
2019-06-05
[71]
서적
Leonardo and the Last Supper
https://archive.org/[...]
Bloomsbury
2012-01-01
[72]
뉴스
The Last Supper or a dog's dinner?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12-12-21
[73]
뉴스
Have art restorers ruined Leonardo's masterpiece?
https://www.independ[...]
2012-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