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청남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남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1910-1945) 동안의 충청남도 지역의 인구, 행정 구역, 사법, 경제, 교통, 종교, 매스미디어, 출신 인물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944년 인구는 약 167만 명이었으며, 조선인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행정 구역은 1개의 부(府)와 14개의 군(郡)으로 구성되었고, 대전부에 대전지방법원과 여러 지청, 대전교도소와 공주교도소가 있었다. 경제적으로는 쌀 생산과 광업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경부선, 호남선 등 철도와 도로, 항만이 교통의 주요 수단이었다. 주요 출신 인물로는 윤봉길, 박헌영, 한용운, 김종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역사 - 웅진도독부
    웅진도독부는 660년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백제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공주에 설치한 행정 기구로, 백제 유민 통제와 신라와의 화친을 도모했으나 신라의 공세로 축출되어 자치 기구로 존속하다 발해에 흡수되었으며, 백제 옛 영토에 주와 현을 설치하려 했으나 나당전쟁 등으로 철폐되었고, 백제와 일본 관계를 활용하기 위한 왜인이 존재하여 외교 활동에 활용되었다.
  • 충청남도의 역사 - 웅천주
    웅천주는 신라 시대에 설치되어 충청남도 지역을 관할했으며, 백제 멸망 후 소부리주에서 시작하여 웅진으로 치소가 옮겨지면서 웅천주로 개칭되었고, 757년 웅주로 개칭되었으나 웅천주 명칭도 함께 사용되었으며, 김헌창의 난이 일어나기도 했다.
  • 대전광역시의 역사 - 대덕군
    대덕군은 1935년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하며 대전군의 잔여 지역이 개칭된 곳으로, 1989년 대전직할시에 편입되어 폐지되었으며, 현재의 대전광역시와 계룡시 행정구역 형성에 기여했다.
  • 대전광역시의 역사 - 대전군
    1914년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현내면을 통합하여 설치된 대전군은 11개 면으로 구성되었으나, 1935년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며 대덕군으로 개칭되고 대전부와 대덕군으로 분리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인 전라북도 지역으로, 조선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일본인이 소수를 이루었으며, 부, 군,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과 전주지방법원, 전주형무소 등의 사법 및 치안 기관, 그리고 전주지방전매국, 군산세무서 등의 경제 기관이 설치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활동과 철도, 도로, 항만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어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었으며,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주신사를 비롯한 여러 신사가 설치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남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림수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항만이 주요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고, 부산, 마산 등지에 신사가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이 운영되었다.
충청남도 (일제강점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행정 구역명충청남도
충청남도 (1945년 8월 15일)
로마자 표기Chungcheongnam-do
한국어 (한자)忠淸南道
일본어 (평가나)ちゅうせいなんどう
일본어 (가타카나)チュンチョンナムド
약칭(없음)
통계 연도1935년
면적8,106.48
총 인구1,526,782명
남자 인구782,597명
여자 인구744,185명
인구 밀도188.34명/km²
세대수280,220
국가한국
상위 행정 구역(정보 없음)
하위 행정 구역1부 14군
ISO 3166-2(정보 없음)
행정 구역 분류 코드(정보 없음)
나무(정보 없음)
(정보 없음)
(정보 없음)
URL(정보 없음)

2. 인구

1936년 현주 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충청남도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구분인구
총인구1,482,963명
일본인26,314명
조선인1,454,830명
기타1,819명


2. 1. 인구 변화 추이

연도인구비고
1925년1,282,038명
1930년1,382,888명
1935년1,526,825명
1940년1,575,945명
1944년1,675,479명



1944년 인구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구가 분포했다.


  • 전체 인구: 1,675,479명
  • * 일본인: 25,829명
  • * 조선인: 1,648,741명
  • * 그 외의 민족: 909명

3. 행정 구역

행정 구역은 1945년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3. 1. 부 (府)

충청남도에 속했던 부(府)로는 대전부(大田府, 大田府|다이덴부일본어)가 있었다. 1945년 해방 당시에도 대전부는 충청남도 소속의 부였다.

3. 2. 군 (郡)

wikitext

군 (郡)하위 행정구역 (읍/면)
대덕군산내면, 동면, 회덕면, 북면, 구즉면, 탄동면, 유성면, 진잠면, 기성면, 유천면
연기군조치원읍, 동면, 서면, 남면, 금남면, 전의면, 전동면
공주군공주읍, 이인면, 탄천면, 계룡면, 반포면, 장기면, 의당면, 정안면, 우성면, 사곡면, 신풍면, 유구면
논산군논산읍, 강경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두마면, 벌곡면, 양촌면, 가야곡면, 구자곡면, 은진면, 채운면
부여군부여읍, 규암면,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남면,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
서천군장항읍, 서천읍, 마서면, 화양면, 기산면, 한산면, 마산면, 시초면, 문산면, 동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보령군대천읍, 주포면, 오천면, 천북면, 청소면, 청라면, 남포면, 웅천면, 주산면, 미산면
청양군청양면, 운곡면, 대치면, 정산면, 목면, 청남면, 장평면, 사양면, 화성면, 비봉면
홍성군홍성읍, 광천읍, 홍북면, 금마면, 홍동면, 장곡면, 은하면, 결성면, 서부면, 갈산면, 구항면
예산군예산읍, 대술면, 신양면, 광시면, 대흥면, 응봉면, 삽교읍, 덕산면, 봉산면, 고덕면, 신암면, 오가면
서산군서산읍, 인지면, 부석면, 팔봉면, 지곡면, 대산읍, 성연면, 음암면, 운산면, 해미면, 고북면, 안면읍, 남면, 태안읍, 근흥면, 소원면, 원북면, 이원면
당진군당진읍, 고대면, 석문면, 면천면, 순성면, 합덕읍, 우강면, 신평면, 송악읍, 송산면
아산군온양읍, 송악면, 배방읍, 탕정면, 염치읍, 음봉면, 둔포면, 영인면, 인주면, 선장면, 도고면, 신창면
천안군천안읍, 환성면, 풍세면, 광덕면, 목천면,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 성환읍, 직산면, 성거읍, 입장면


4. 역대 도지사

구분이름한자 표기취임퇴임비고
조선인박중양朴重陽1910년 10월 1일1915년 3월 31일충청남도 장관
일본인오하라 신조小原 新三일본어1915년 3월 31일1916년 10월 28일충청남도 장관
일본인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 敬次郎일본어1916년 10월 28일1918년 9월 23일충청남도 장관
일본인구와하라 야쓰시桑原 八司일본어1918년 9월 23일1919년 9월 26일충청남도 장관, 1919년 8월부터 도지사
일본인도키자네 아키호時実 秋穂일본어1919년 9월 26일1921년 2월 12일
조선인김관현金寬鉉1921년 2월 12일1924년 12월 1일
조선인석진형石鎭衡1924년 12월 1일1926년 8월 14일
조선인유성준兪星濬1926년 8월 14일1927년 5월 18일
조선인신석린申錫麟1927년 5월 18일1929년 11월 28일
조선인유진순劉鎭淳1929년 11월 28일1931년 9월 23일
일본인오카자키 데쓰로岡崎 哲郎일본어1931년 9월 23일1935년 4월 1일
조선인이범익李範益1935년 4월 1일1937년 2월 20일
조선인정교원鄭僑源1937년 2월 20일1939년 5월 17일
조선인이성근李聖根1939년 5월 17일1941년 5월 31일
조선인마쓰무라 모토히로松村 基弘일본어1941년 5월 31일1942년 10월 23일이기방(李基枋)에서 창씨개명
조선인야마키 후미노리山木 文憲일본어1942년 10월 23일1945년 6월 26일송문헌(宋文憲)에서 창씨개명
조선인마스나가 히로시増永 弘일본어1945년 6월 26일1945년 8월 15일박재홍(朴在弘)에서 창씨개명, 광복으로 퇴임


  • 1919년 8월 이전의 직위 명칭은 '''충청남도 장관'''이었으며, 이후 '''충청남도지사'''로 변경되었다.

5. 사법

1941년(쇼와 16년) 당시 충청남도의 사법 기관은 다음과 같았다.

5. 1. 교도소

1941년(쇼와 16년) 당시 충청남도에는 다음과 같은 교도소가 있었다.

6. 경찰

1927년 당시 충청남도 경찰부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경찰서가 있었다.

경찰서 명칭
대전경찰서
공주경찰서
조치원경찰서
강경경찰서
부여경찰서
서천경찰서
보령경찰서
청양경찰서
홍성경찰서
예산경찰서
서산경찰서
당진경찰서
온양경찰서
천안경찰서


7. 경제

일제강점기 충청남도의 경제는 일제의 식민지 경제 정책 아래에서 농업광업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생산 증대를 위한 정책이 추진되었으며, 여러 토지 회사들이 활동하며 농업 경영에 참여하였다.[1] 광업 분야에서도 을 비롯한 지하자원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직산 금광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 1940년대에 이르면 도내에 상당한 규모의 자본을 갖춘 기업들이 설립되어 운영되었는데, 이는 농업, 광업뿐만 아니라 제조업, 운수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었다.[1]

7. 1. 농업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지역의 농업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회사 또는 단체들이 활동하였다.

  • 남선흥업 (南鮮興業)
  • 해외척식 (海外拓殖)
  • 조에이 토지 (朝永土地)
  • 충남흥업 (忠南興業)

7. 2. 광업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지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광산 및 관련 회사들이 운영되었다.

  • 직산 금광
  • 조선중앙광업
  • 성환광업
  • 합정금산

7. 3. 기업

1940년(쇼와 15년) 당시 충청남도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 엔 이상의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 (한글)기업명 (한자)
남선흥업南鮮興業
해외척식海外拓殖
조에이 토지朝永土地
충남흥업忠南興業
조선중앙광업朝鮮中央鑛業
성환광업成歡鑛業
합정금산合井金山
충남제사忠南製絲
조치원주조鳥致院酒造
조선경남철도朝鮮京南鐵道
충남자동차운수忠南自動車運輸
조선 물산朝鮮物産
조선 산업朝鮮産業


8. 교통

(내용 없음)

8. 1. 철도

1945년 해방 당시 충청남도 지역을 지나던 주요 철도 노선은 다음과 같다.

8. 2. 도로

1927년 당시 충청남도 지역의 주요 도로 노선은 다음과 같다.

8. 3. 항만

1931년 당시 충청남도의 주요 항만은 다음과 같다.

9. 종교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지역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종교 정책에 따라 여러 곳에 신사가 세워졌다. 이는 신사 참배 강요와 함께 조선 민족의 정신을 통제하고 식민 통치를 강화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주요 신사로는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었다.

10. 매스미디어

일제강점기 충청남도에서는 라디오 방송과 신문 발행 등 근대적인 매스미디어가 운영되었다. 주요 라디오 방송 시설로는 조선방송협회의 대전방송국 등이 있었으며, 신문 발행도 이루어졌다.

10. 1. 라디오

1945년 8월 당시 충청남도에는 다음과 같은 라디오 방송 시설이 있었다.

10. 2. 신문

1941년(쇼와 16년) 당시 가 있었다.

11. 출신 인물

이 시대에 태어나 성장하거나 활약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