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 제도는 니카라과 동부에 위치한 두 개의 섬,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와 리틀 콘 아일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12.9km²이다. 150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초기에는 쿠크라스족이 거주했으나 해적과 미스키토족에 의해 멸망했다. 17세기부터 해적들의 피난처로 이용되었으며, 18세기 중반 영국인들이 아프리카 노예들을 데려오면서 식민화가 시작되었다. 1894년 니카라과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미국에 조차되어 해군 기지로 사용되다 1971년 니카라과에 반환되었다.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달하여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 명소로 알려져 있으며, 주민들은 주로 아프리카계 후손인 크리올인으로, 영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카리브 자치구 - 블루필즈
    블루필즈는 네덜란드 용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니카라과의 도시이며, 다양한 국가의 영향을 받았고 미스키토 보호령의 수도로 지정되었다가 니카라과에 통합되었으며,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한다.
  • 서인도 제도 - 퀴라소
    퀴라소는 베네수엘라 북쪽 카리브해에 위치한 네덜란드 왕국 자치국으로, 아라와크족 거주 후 스페인에 발견, 네덜란드 지배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관광, 금융, 정유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영하고 빌렘스타트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서인도 제도 - 과나하니섬
    과나하니섬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492년 신대륙 발견 당시 처음 상륙한 섬으로, 콜럼버스는 이 섬을 과나하니라고 명명했으며, 섬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후보지가 제시되어 있다.
콘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콘 제도는 1502년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쿠크라스족이라는 원주민이 살았으나, 영국 해적과 동맹을 맺은 미스키토족에게 몰살당했다.[1] 이후 1655년부터 1894년까지 모스키토 해안이라 불리며 대영 제국의 보호령으로, 카리브해 해적들의 빈번한 방문을 받았다.

1641년에는 포르투갈의 노예선이 니카라과 본토 해안 근처에서 침몰했을 때, 이 섬에 최초로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노예가 있었다고 보고되었다.

1894년 니카라과 정부가 콘 제도에 대한 주권을 선언했고, 1914년 브라이언-차모로 조약을 통해 99년간 미국의 조차지가 되었다가 1971년 니카라과에 반환되었다.

2. 1. 초기 역사

콘 제도에는 쿠크라스족이라는 원주민이 살고 있었다. 이들은 영국 해적과 동맹을 맺은 미스키토족에게 몰살당했다.[1]

1502년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쿠크라스족은 식인종이라고도 불렸으며, 해적들로부터 콘 제도는 '스켈레톤 아일랜드'라고도 불렸다. 스페인 사람들은 "망그라레스 섬(맹그로브 섬)"이라고 부르며 자주 섬을 이용했지만, 식민지화는 하지 않았다. 이후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의 해적이나 이들과 무역을 맺었던 미스키토족이 섬을 안전한 피난처 및 보급 기지로 이용했다.

2. 2. 영국 통치 시대

18세기 중반, 청교도 영국인들이 아프리카 출신의 노예들을 데리고 섬에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정착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자메이카에서 와서 영국령 온두라스(현재 벨리즈)를 거쳐 니카라과 대서양 해안까지 이르렀다고 알려져 있다. 초기 정착민들은 섬의 남동쪽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했는데, 이는 퀸 언덕의 높이가 바다의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하여 해적선이 "인슈어런스 항구"에 접근하는 것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항구는 배를 정박하고 하역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섬의 전략적인 항구였다.

빅 콘 아일랜드의 문화원 박물관 앞에 위치한 노예 아프리카인과 그 후손의 해방을 기념하는 기념물


1841년 8월 27일, 영국령 온두라스(현재 벨리즈)의 감독관 알렉산더 맥도날드 대령은 "인슈어런스 항구"에 상륙하여, 노예 노동자들을 사우스 웨스트 만으로 불러 영국 여왕 빅토리아와 모스키티아의 로버트 찰스 프레데릭 왕의 이름으로 노예 신분에서의 해방을 선언했다.

영국 식민주의자들이 콘 제도에 정착한 후, 대부분의 정착민들은 재산과 부를 찾아 모험가와 탐험가로 이 섬에 왔고, 영구적으로 정착하여 노예 노동자들과 교류했다. 이러한 관계의 결과 콘 제도의 크리올족 후손이 생겨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은 점차 영국 문화의 관습과 전통을 동화하고 적응했다.

1852년 8월 25일, 영국령 온두라스 출신의 에드워드 켈리 목사는 섬 최초의 교회이자 교육 센터인 에베네저 침례교회를 설립했다. 켈리는 이전에 모라비안 교도가 시도했으나 실패했기 때문에 코르나일레뇨를 전도했다.

콘 제도는 1655년부터 1894년까지 니카라과의 동쪽 절반과 함께 대영 제국의 보호령이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이 지역은 모스키토 해안이라고 불렸다. 한때 이 섬들은 카리브해 해적들의 빈번한 방문을 받았다.

2. 3. 니카라과 편입과 미국 조차 시대

1894년 니카라과 정부는 콘 제도에 대한 주권을 선언하고 호세 산토스 셀라야 대통령은 콘 제도를 강제로 니카라과 동부 지역에 편입시켰다.[1] 섬의 영국인 트와스카 미스키토파의 수석 윌리엄 헨리 클래런스 목사의 아들 로버트 헨리 클래런스 목사는 니카라과인에게 추방되었고, 그의 지지자 영국인 입식자 200명 그룹과 함께 영국 함대에 의해 구출되었다.[1] 콘 제도는 그때까지 영국의 보호령으로서 영국의 통치하에 있었다.[1]

1914년 8월 5일, 미국 국무장관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니카라과 주미 공사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장군과 브라이언-차모로 조약을 체결했다.[2] 그 결과 콘 제도는 99년간 조차되어 미국의 영토가 되었다.[2] 이는 1912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 해병대가 니카라과를 점령하고 있었고, 파나마 운하가 결정되기 전 미국이 니카라과에 건설할 운하 부지를 구입하는 영구 권리와 폰세카 만에 미국 해군 기지를 건설하여 이용하는 99년간의 조차권 획득의 일환이었다.[2] 콘 제도도 해군 기지로 개발하여 사용하기 위해 여기에 포함되었고, 이러한 양보의 대가로 니카라과는 300만달러를 받았다.[2] 콘 제도에는 미국 해군 기지가 건설되었다.[2]

이 섬은 브라이언-차모로 조약의 조항에 따라 미국법의 적용을 받았지만, 미국의 묵인 하에 니카라과의 콘 제도 주권은 유지되었고, 1940년에는 니카라과의 대통령령에 의해 콘 제도는 세라야 지역의 자치시로 승격되었다.[2]

미국1970년 7월 14일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리 대통령 재임 기간에 차모로-브라이언 조약이 폐지되면서 1971년 4월 25일까지 섬의 실질적 또는 잠재적 사용에 대한 권리를 유지했다.[2]

같은 해군 기지가 있고 조차지로서 영유하고 있는 파나마 운하 지대가 안정되었기 때문에, 미국은 점차 콘 제도를 기지로서 불필요하게 여겼고,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은 당시 니카라과의 친미 정권인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대통령 아래 1970년 7월 14일에 브라이언-차모로 조약을 폐지하기 위한 마나과 조약에 의한 협정이 정식으로 결정되었고, 미국 해군의 철수와 함께 1971년 4월 25일에 미국은 콘 제도를 서둘러 니카라과에 반환했다.[2] 리틀 콘 섬에 등대를 건설하는 것 외에는 섬의 미국군 개입도 특별히 없었고, 미국의 콘 제도 조차지로서의 영유는 종료되었다.[2]

3. 지리

콘 제도는 면적이 10km2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종종 콘 아일랜드라고 함)와 면적이 2.9km2리틀 콘 아일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12.9km2이다.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 북부에 위치한 마운트 플레전트 힐은 섬에서 가장 높은 해발 113m이다. 리틀 콘 아일랜드는 섬 북부의 룩아웃 포인트에서 38m 높이에 이른다.

콘 제도의 "콘"이라는 이름은 해적들이 스페인어로 "카르네(Carne)"라는 고기를 보관하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영국인들이 이 단어를 "콘"으로 발음하여 섬을 그렇게 불렀다고 전해진다. 19세기에는 맹그로브 섬에서 맹그라레스 섬이라고도 불렸다.

콘 제도 지도


right

1988년 허리케인 피해로 야자 나무가 궤멸적인 타격을 입기 전까지는 팜유 생산이 섬의 주산업이었다. 현재에도 코코야자 생산을 하고 있지만, 바닷가재 등의 어업이 활발하다. 개발은 아직 늦어져 있지만, 아름다운 산호초 바다는 니카라과의 카리브해 리조트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3. 1.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 (빅 콘 아일랜드)

콘 제도는 면적이 10km2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종종 콘 아일랜드라고 함)와 면적이 2.9km2리틀 콘 아일랜드로 구성되어 있다.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 북부에 위치한 마운트 플레전트 힐은 섬에서 가장 높은 해발 113m이다.

콘 제도 시는 6개의 구역(''바리오'')으로 나뉘는데, 그 중 5개가 그레이트 콘 제도에 있다.

구역위치하위 구역
브리그 베이서부패션 스트리트, 빈센테, 포마르, 사우스 웨스트 베이, 울라 포인트, 브로드 베이.
퀸 힐남부블러프 포인트, 힐 로드
사우스 엔드동부롱 베이, 마운트 플레전트, 라마
샐리 피치북동부샐리 피치, 리틀 힐, 샌드 플라이 베이
노스 엔드북서부노스 엔드, 백 로드



면적은 빅 콘 섬이 10km2이다. 인구의 대부분은 주 섬인 빅 콘 섬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구가 약 8,000명 정도이다.

섬 주민은 흑인계가 많고, 그 외 인디오, 해적의 후손인 백인 등의 혼혈 크리오요이다. 니카라과의 공용어스페인어이지만, 콘 제도에서는 19세기 영국 통치 시대의 잔재로 영어 및 영어를 기반으로 한 파토아어를 폭넓게 사용한다.

Mount Pleasant Hill과 전망대 방향을 표시하는 표지판


빅 콘 섬에 공항이 있다.

3. 2. 리틀 콘 아일랜드

Little Corn Island영어는 면적이 약 2.9km2이다. 섬 북부의 룩아웃 포인트는 높이가 38m이다. 리틀 콘 아일랜드는 더 빌리지, 캐리브 타운으로 구성되어 있다.

3. 3.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인근 본토 지역인 블루필즈열대 우림 기후(쾨펜 ''Af'')를 보인다. 2월부터 4월까지 건조한 기간이 있지만, 무역풍으로 인해 니카라과의 태평양 연안과는 달리 이 기간에도 여전히 비가 자주 내린다. 열대 저기압이 우세한 나머지 기간에는 강수량이 매우 많으며, 특히 북반구 여름 동안 우세한 남풍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해안이 형성되어 있어 더욱 그렇다.[7]

콘 제도, 니카라과의 기후[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7.8°C28.4°C29°C29.8°C29.9°C28.9°C28.1°C28.5°C29.1°C28.8°C28.4°C28°C
평균 기온 (℃)24.9°C25.2°C26.2°C27°C27°C26°C25.6°C25.6°C25.8°C25.6°C25.3°C25.2°C
평균 최저 기온 (℃)22.2°C22.3°C23.3°C23.7°C24.2°C23.9°C23.7°C23.6°C23.5°C23.1°C22.8°C22.6°C
강수량 (mm)218mm114mm71mm101mm264mm581mm828mm638mm383mm418mm376mm328mm
비 오는 날 (≥ 1mm)191310101523262521212022


4. 인구

콘 제도의 인구는 2020년 현재 7,747명이다(2020년 후반 인구 조사).[4] 섬 주민들은 주로 아프리카계 후손으로, 영어를 사용하는 크리올인이며, 일부는 토착민과 혼혈이다. 섬 주민은 흑인계가 많고, 그 외 인디오, 해적의 후손인 백인 등의 혼혈 크리오요이다.

면적은 빅 콘 섬이 10km2, 리틀 콘 섬이 2.9km2이다. 인구의 대부분은 주 섬인 빅 콘 섬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구가 약 8,000명 정도이고, 리틀 콘 섬의 인구는 약 250명 정도이다.

니카라과의 공용어스페인어이지만, 콘 제도에서는 19세기 영국 통치 시대의 잔재로 영어 및 영어를 기반으로 한 파토아어를 폭넓게 사용한다.

5. 행정 구역

콘 제도 시는 6개의 구역(바리오)으로 나뉘는데, 그 중 5개는 그레이트 콘 제도에 있으며, 리틀 콘 제도가 6번째 구역을 구성한다.

구역위치하위 구역
브리그 베이서부패션 스트리트, 빈센테, 포마르, 사우스 웨스트 베이, 울라 포인트, 브로드 베이
퀸 힐남부블러프 포인트, 힐 로드
사우스 엔드동부롱 베이, 마운트 플레전트, 라마
샐리 피치북동부샐리 피치, 리틀 힐, 샌드 플라이 베이
노스 엔드북서부노스 엔드, 백 로드
리틀 콘 제도섬 북동부 13km더 빌리지, 캐리브 타운


6. 교통

빅콘 아일랜드의 전형적인 도로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에는 섬 전체를 잇는 약 12km 길이의 포장도로가 있다. 주요 교통 수단은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이며, 대부분의 차량은 택시로 사용된다. 섬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버스도 운행된다.

리틀 콘 아일랜드는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에서 쾌속선과 소형 화물선으로 접근할 수 있다. 쾌속선은 기상 조건에 따라 하루에 보통 3~4번 운행하며, 소형 화물선은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의 사우스웨스트 만 항구(세계 항만 지수 No. 9775)에서 출발한다. 리틀 콘 아일랜드에는 자동차가 없어 모든 이동은 도보로 이루어진다.

6. 1. 항공

마나과 또는 블루필즈에서 라 코스테냐 항공편으로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에 갈 수 있으며, 하루 두 번 콘 아일랜드 공항에 도착한다.[5][6]

6. 2. 해상

페리/쾌속선: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는 블루필즈에서 출발하는 페리 또는 소형 쾌속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5][6] 리틀 콘 아일랜드는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에서 출발하는 쾌속선 또는 소형 화물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쾌속선은 기상 조건에 따라 하루에 보통 3~4번 운행하며, 소형 화물선은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의 사우스웨스트 만 항구(세계 항만 지수 No. 9775)에서 출발한다.
육상 교통 (그레이트 콘 아일랜드): 섬 내에서는 포장도로를 따라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섬에는 약 12km 길이의 포장도로가 뻗어 있다.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가 주요 교통 수단이며, 대부분의 차량은 택시로 사용된다. 버스는 섬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도보 (리틀 콘 아일랜드): 리틀 콘 아일랜드는 자동차가 없으며, 모든 이동은 도보로 이루어진다.

7. 경제 및 관광

콘 제도는 20세기 대부분 코코넛 생산을 중심으로 경제가 이루어졌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상업 어업, 바닷가재 및 새우 어업이 주요 산업으로 부상했다. 최근에는 관광 산업이 성장하면서 콘 제도 역시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콘 제도는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주변 산호초 덕분에 스쿠버 다이빙스노클링을 즐기려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목적지가 되었다.[1]

바라쿠다, 간호상어, 귀상어, 푸른바다거북, 점박이매가오리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을 콘 제도 주변에서 볼 수 있다.[1]

섬의 버스 정류장, 꼭대기에 바닷가재 조각상이 있음

7. 1. 전통 산업

20세기 대부분 동안 콘 제도의 경제는 코코넛 생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1]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상업 어업과 바닷가재 및 새우 어업이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1] 1988년 허리케인 피해로 야자 나무가 궤멸적인 타격을 입기 전까지는 팜유 생산이 섬의 주산업이었다.[2] 현재에도 코코야자 생산을 하고 있지만, 바닷가재 등의 어업이 활발하다.[2]

7. 2. 관광 산업

20세기 대부분 기간 동안 콘 제도의 경제는 코코넛 생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상업 어업과 바닷가재 및 새우 어업이 주요 산업이었다. 그러나 최근 이 지역의 관광 산업이 성장하면서 콘 제도 역시 관광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콘 제도는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주변의 많은 산호초 덕분에 스쿠버 다이빙스노클링을 즐기려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목적지가 되었다.[1]

바라쿠다, 간호상어, 귀상어, 푸른바다거북, 점박이매가오리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을 콘 제도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다.[1]

8. 문화

콘 제도에는 흑인이 많고, 그 외 인디오, 해적의 후손인 백인 등 여러 인종의 혼혈 크리오요가 살고 있다. 니카라과공용어스페인어이지만, 콘 제도에서는 19세기 영국 통치 시대의 영향으로 영어 및 영어를 기반으로 한 파토아어를 폭넓게 사용한다.[1]

야구는 콘 제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카렌 터커 야구 경기장이 섬의 주요 경기장이다. 배구축구 또한 많은 섬 주민들이 즐겨 한다.[1]

콘 제도의 요리는 다양하며, 대부분 해산물보코를 기반으로 한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게 수프, 론돈, 생선 튀김, 새우 볶음밥 등이 있다.[1]

8. 1. 언어

섬 주민은 흑인계가 많고, 그 외 인디오, 해적의 후손인 백인 등의 혼혈 크리오요이다. 니카라과의 공용어스페인어이지만, 콘 제도에서는 19세기 영국 통치 시대의 잔재로 영어 및 영어를 기반으로 한 파토아어를 폭넓게 사용한다.

8. 2. 스포츠

야구는 콘 제도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섬의 주요 경기장은 카렌 터커 야구 경기장이다.

배구와 축구 또한 많은 섬 주민들이 즐겨 하는 스포츠이다.

8. 3. 음식

콘 제도의 요리는 다양하며, 대부분 해산물과 보코를 기반으로 한다.

콘 제도의 대표적인 요리로는 게 수프, 론돈, 생선 튀김, 새우 볶음밥 등이 있다.

9. 저명한 출신 인물

참조

[1] 간행물 Anuario Estadístico 2022 https://www.inide.go[...] Instituto Nacional de Información de Desarrollo (INIDE)
[2] 웹사이트 Las Islas del Maíz https://costarica.or[...] 2024-04-01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Bluefields, Nicaragua https://web.archive.[...] 홍콩 천문대 2012-03-13
[4] 웹사이트 POBLACION VOLUMEN https://web.archive.[...] 2014-07-18
[5] 웹사이트 nicc 2017-01-23
[6] 웹사이트 110 2016
[7] 웹인용 Climatological Normals of Bluefields, Nicaragua https://web.archive.[...] 홍콩 천문대 2012-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