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툴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툴룬은 13세기 몽골 제국 시대에 활동한 카이두 칸의 딸로, 뛰어난 전사이자 레슬링 선수로 묘사된다. 그녀는 여러 문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되며, 특히 페르시아어 사료와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기록되어 있다. 쿠툴룬은 아버지 카이두의 총애를 받아 정치적 조언을 했으며, 결혼을 거부하고 레슬링 시합으로 남편을 선택하려 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녀는 1306년 사망했으며, 서양에서는 오페라 《투란도트》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쿠툴룬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카이두의 딸 쿠툴룬, 중세 삽화, 1410–1412년
카이두의 딸 쿠툴룬, 중세 삽화, 1410–1412년
본명아이기아르네
다른 이름코톨 차강 (하얀 공주)
몽골어 이름쿠툴룬 또는 아이우루그
아버지카이두 칸
왕조오게데이 왕조
직업몽골 공주, 카이두의 딸
출생1260년경
사망1306년
경력
활동쿠빌라이-카이두 전쟁 및 두아-차파르 전쟁 참여

2. 이름

쿠툴룬은 『원사』 등 동방에서 편찬된 한문 사료에는 일절 등장하지 않으며, 주로 서방의 훌레구 울루스에서 편찬된 페르시아어 사료 『집사』나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등에 기록이 남아 있다.

『집사』 오고데이 카안 기는 카이두의 딸로 '''쿠툴룬 자가'''(قوتولو ن جغا/qūtūlūn jaghā)라는 이름을 기록하고 있다. 『집사』의 연구를 진행한 블로셰는 티무르 왕조에서 편찬된 『고귀계보』에서는 카이두의 딸의 이름이 قوتولو ن چغان(qūtūlūn chaghān)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집사』의 جغا는 چغان의 오기이며, 정확한 이름은 '''쿠툴룬 차간'''(Qutulun Čaγanmn)일 것이라고 지적했다.[7]

한편, 『동방견문록』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이 야르크라는 이름을 전하고 있지만, 사본에 따라 아자인트(agiaint), 아이자루크(aigiaruc), 아이자르네(aigiarne), 아야루크(ayaruc)로 표기가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폴 펠리오는 어중의 -i-가 -gi-로 변환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는 것을 실례를 들어 지적하며, '''아이자루크'''(aigiaruc, 아이지아르크)라는 표기가 원형에 가장 가깝다고 언급했다.[7]

3. 생애

쿠툴룬은 씨름, 레슬링에 뛰어났고, 격투기 실력도 있었다. 양궁경마, 승마에도 능했다. 14명의 남자 형제들과 경쟁하며 성장했으며, 마르코 폴로는 쿠툴룬이 민첩하고 힘이 세며 용맹하여 그를 능가할 남자가 없었다고 기록했다. 라시드 알딘은 그녀가 남자 복장을 하고 전쟁에 참여하여 아버지의 신임을 받았다고 전한다.

몽골의 씨름 선수


쿠툴룬은 아버지 카이두 칸의 다른 딸들과 달리 늦게까지 부모 곁을 지켰다. 몽골과 타타르, 투르크 부족장들 사이에서는 카이두와 쿠툴룬의 근친상간을 의심하는 험담이 돌기도 했다.

쿠툴룬은 결혼 조건으로 씨름을 내걸고, 패배 시 100마리를 벌금으로 받는 조건으로 1만 마리의 말을 얻었다.[14] 1280년경 한 귀공자가 1천 마리의 말을 가져왔으나 쿠툴룬과의 씨름에서 패배했다는 일화도 있다.

결혼을 거부하고 독신 생활을 오래 한 탓에 부녀간 근친상간 소문이 돌기도 했다. 1296년 카이두는 쿠툴룬을 쿠룰라스 일족 아부 타쿨에게 보냈다. 라시드 알딘은 쿠툴룬이 직접 선택한 남편이 아부 타쿨이며, 일 한국의 가잔 칸을 사랑했다고 주장했다. 집사(集史)에 따르면 쿠툴룬은 아부타쿨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얻었다.[8]

1301년 카이두가 테케리크 전투에서 사망한 후, 쿠툴룬은 오르스를 지지했다. 1306년 차파르가 차가타이 한국의 두아에 맞서 군사를 일으켰을 때 1천 병력을 이끌고 지원했으나 패배했다. 쿠툴룬은 1306년 두아 혹은 차파르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되었다.

3. 1. 초기 생애

1260년에 태어났으며[13], 생일은 알려져 있지 않다. 몽골 제국의 대칸 칭기즈 칸의 4대손으로, 증조부는 오고타이 칸이고, 할아버지는 일찍 죽은 카시였다.

아버지는 오고타이 한국의 칸 카이두 칸이고, 어머니는 카이두 칸의 정실 부인 부만 대카툰이었다. 쿠툴룬의 이름은 중세 투르크어로 행복을 뜻하는 쿠투쿠(qutuq)에서 따서 지은 이름이다. 마르코 폴로동방견문록에는 그녀의 이름을 종종 아기아니트(阿吉牙尼惕, Agianit)로도 부른다. 아기아니트는 타타르어로 찬란히 빛나는 달(光耀之月)을 뜻한다. 다른 문헌에는 투르크어로 달빛을 뜻하는 아주루그(Ажуруг) 혹은 아이율우그(爱由鲁黑 Aiyurug, Aiyaruk, Ai-jaruk), 또는 쿠투룩 샤칸(和阔脱勒察罕 Khotol Tsagaan)이라는 이름도 전한다.

쿠투쿠의 이름은 원사, 몽골비사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마르코 폴로동방견문록, 훌라구 울루스의 페르시아계 사서 라시드 알딘의 집사의 우구데이 카안 기에는 이름과 행적이 나타난다. 티무르 제국에서 칭기즈 칸의 가계도를 정리한 문헌에는 쿠툴룬 챠간(قوتولو ن چغان)으로 나타난다.

쿠툴룬이 태어날 무렵 그의 아버지 카이두는 아무다리야강과 서부 시베리아 고원을 통치하고 있었다. 1280년경 그녀의 아버지 카이두 칸중앙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했다. 당시 우구데이 칸국은 서로는 옥수스 강 일대와 동으로는 서몽골, 남으로는 인도와 북으로 중앙시베리아고원에 이르는 거대한 영토를 갖고 있었다. 라시드 알딘에 의하면 카이두에게는 24명 혹은 40명의 아들이 있었다고 한다. 카이두의 딸들 중 쿠툴룬과 코코친의 이름이 전한다. 그러나 코코친의 행적은 알려진 것이 없다.

쿠툴룬은 다른 몽골 아이들과 같이 유년 시절에 말타기와 활쏘기를 배웠다. 페르시아계 사서 집사의 우구데이 칸기에 따르면 쿠툴란은 카이두 칸의 다른 딸들과 다르게 남자처럼 행동했고, 아버지의 군대에 들어가서 활동했다 한다.

1280년 무렵, 그녀의 아버지 카이두는 서부 몽골에서 옥수스 강에 이르는 지역과 중앙 시베리아 고원에서 인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며 중앙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가 되었다.

역사 연대기에서 쿠툴룬은 중앙 아시아에서 몽골 군사 작전에 참여한 강인한 여성 전사 공주로 묘사되었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사격, 레슬링, 승마를 훈련받았다. 나중에 성장하면서 그녀는 뛰어난 레슬러가 되어 전통적인 레슬링 경기에서 엘리트 남성 전사들을 물리쳤다. 쿠툴룬은 많은 중세 작가들에 의해 기록된 영웅이었으며, 그중 한 명이 마르코 폴로였다.[4]

그녀의 남편에 대한 정보는 출처에 따라 다르다. 어떤 연대기에서는 그녀의 남편이 그녀의 아버지를 암살하는 데 실패하고 포로로 잡힌 미남이라고 하고, 다른 연대기에서는 초로스 씨족 출신의 카이두의 동료라고 한다. 라시드 알 딘 하마다니는 쿠툴룬이 페르시아의 몽골 통치자인 가잔과 사랑에 빠졌다고 기록했다. 다른 연대기에서는 그녀가 결혼한 적이 없으며, 결혼을 위해 그녀와 싸우려는 모든 남자를 물리치고, 그들이 패배한 후 그들의 말을 빼앗았다고 한다. 그녀는 1만 마리의 말을 소유한 채 사망했다는 소문이 있다.

3. 2. 군사 활동

쿠툴룬은 쿠빌라이 칸과는 달리 앉아서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씨름, 레슬링을 잘 했고, 격투기 실력이 있었다. 양궁 실력이 뛰어났으며 경마승마에도 관심을 보였다. 14명의 남자 형제들과 경쟁하며 성장한 쿠툴룬은 키가 컸으며, 마르코 폴로에 따르면 민첩하고 빨랐다고 한다. 매가 닭을 잡듯 적을 쉽게 제압했으며, 힘과 용맹함으로 아버지의 왕국과 주변 나라에서 그를 능가할 남자가 없었다는 기록이 있다. 라시드 알딘에 의하면 남자처럼 복장하고 여러 차례 전쟁에 나가 용맹을 떨쳤으며, 아버지의 신임을 받아 사무도 처리했다.[14]

쿠툴룬은 아버지 카이두 칸을 따라 전쟁터를 누볐다. 카이두는 툴루이 가문에 의해 오고타이계가 왕권을 빼앗긴 것에 반발, 쿠빌라이 칸을 상대로 50년간 대립하였다. 마르코 폴로는 쿠툴룬이 매가 닭을 잡는 것처럼 쉽게 적군에 올라타 포로로 잡을 수 있는 훌륭한 전사로 묘사했다.[4]

역사 연대기에서 쿠툴룬은 중앙 아시아에서 몽골 군사 작전에 참여한 강인한 여성 전사 공주로 묘사되었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사격, 레슬링, 승마를 훈련받았다.

카이두의 모든 자녀 중 쿠툴룬은 가장 총애를 받았고, 그는 그녀에게 가장 자주 조언과 정치적 지원을 구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그는 1301년에 사망하기 전에 그녀를 칸국의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다. 그러나 그녀에게 남성 친척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선택은 거부되었다.

1300년, 카이두는 대원 울루스와 승부를 가리기 위해 대군을 이끌고 몽골 고원을 침공했고, 카이산이 이끄는 대원 울루스 군과 테케리크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카이두는 부상을 입고 한 달 뒤 사망했으며, 쿠툴룬은 그의 묘지를 지켰다.[8]

카이두는 생전에 오로스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두아는 차파르를 옹립했다.[10] 쿠툴룬은 오로스를 지지하며 "국정과 군사에 참획하기 위해서" 이의를 제기했지만,[8] 두아와 카이두는 "너는 가위질과 바느질이나 해야 한다. 국과 울루스에 무슨 방책이 있겠느냐"라고 비난했다.[8] 격노한 쿠툴룬은 오로스와 함께 차파르 일파와 싸웠지만,[8] 결국 두아의 중앙 아시아 장악에 기여하게 되었다.[11]

3. 3. 결혼에 대한 일화

쿠툴룬은 결혼하고 싶지 않아, 신랑 후보자들에게 자신과의 레슬링 경기에서 이길 것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아무도 그녀를 이길 수 없었다.[14] 쿠툴룬은 몽골 제 부족과 투르크 귀족 아들들에게 자신과의 결혼 조건으로 씨름을 내세웠고, 자신에게 지면 1백 마리를 벌금으로 내야 한다는 조건도 덧붙였다. 그녀는 이 조건으로 말 1만 마리를 얻었다. 마르코 폴로에 따르면 1280년경 어느 부유한 가문 출신의 상속자가 카이두 칸의 마음에 들었다. 그는 말 1천 마리를 가져왔고, 카이두는 쿠툴룬에게 일부러 져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쿠툴룬은 대충 상대하지 않고 씨름을 해 그를 이겼고, 귀공자는 크게 낙담하여 정신이상 증세를 보였다고 한다.

쿠툴룬의 결혼 거부와 오랜 독신 생활은 아버지와의 근친상간이라는 소문을 낳았다. 결국 1296년 카이두는 그녀를 쿠룰라스 일족의 아부 타쿨에게 보냈다. 라시드 알딘은 아부 타쿨이 쿠툴룬이 직접 선택한 남편이며, 그녀가 사랑한 남자는 일 한국의 가잔 칸이었다고 주장했다.

쿠툴룬의 미모에 빠졌거나 실력이 부족한 왕자, 귀족 자제, 씨름 선수들은 많은 을 잃었고, 이는 화제가 되었다. 19세기 자코모 푸치니의 극에서는 투란도트와 결혼하려는 남자들이 투란도트가 내는 세 가지 수수께끼를 맞추지 못하면 목숨을 거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마르코 폴로동방견문록에 따르면, 쿠툴룬을 매우 사랑했던 카이두는 그녀를 몽골 귀족에게 시집보내려 했지만, 쿠툴룬은 "힘으로 나를 이길 수 있는 남자가 나타날 때까지는 결혼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카이두는 딸의 뜻을 꺾지 못하고, 원하는 대로 남편을 선택해 결혼해도 좋다는 허가 문서를 발행했다. 쿠툴룬은 전 세계에 자신에게 도전하여 씨름에서 이긴 남자를 남편으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3. 4. 카이두의 죽음과 이후

1301년 아버지 카이두는 원나라의 회령왕 퀼리그 칸 카이산과의 테케리크 전투에서 중상을 입은 뒤 카라코룸 혹은 타이칸 호수 근처에서 사망했다.[3] 카이두 칸의 시신은 오고타이 칸 일족이 묻힌 일리강추강 사이에 있는 손쿠르리크 산에 묻혔다. 쿠툴룬은 형제 오르스의 도움으로, 아부타쿠르와 함께 손쿠르리크 산 일대에 살며 아버지와 일가의 무덤을 지켰다. 쿠툴룬은 아버지 카이두가 후계자로 지명한 오르스를 지지하였다.

1306년 차파르가 차가타이 한국의 두아에 맞서 군사를 일으켰을 때, 쿠툴룬은 1천 병력을 이끌고 차파르를 지원했으나 패배하였다. 쿠툴룬은 1306년에 두아 혹은 차파르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되었고, 쿠툴룬을 중심으로 결집한 오고타이 가문의 지도자들과 추종자들은 체포되었다.

4. 유산 및 평가

1307년 차가타이 한국의 두아가 오고타이 울루스를 습격했을 때, 쿠툴룬의 조카를 사주하여 남편 아부 타쿨과 아들 2명을 살해하여 강에 던졌다는 설이 있다.

쿠툴룬의 존재는 마르코 폴로, 라시드 알딘, 이븐 바투타 등에 의해 유럽에 전해졌다. 원사, 원사연의에는 그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으며, 몽골중국의 기록과 문헌에는 그의 이름이 전하지 않지만, 중앙아시아이란, 아랍 국가에 민담으로 구전되었다. 라시드 알딘의 페르시아 역사서 집사에 쿠툴룬의 이름이 기록되었고, 일부 몽골계 혈통인 티무르 제국에서 칭기즈 칸 가문 족보를 편찬할 때 쿠툴룬의 이름이 언급되었다.

씨름과 레슬링으로 여러 남성을 이긴 여성 투르크인의 전설은 구전과 민담으로 이란, 이라크, 서부 투르키스탄, 이탈리아 등에 전파되었다.

18세기 초 몽골 제국에 대한 조명이 나타나면서, 전설적인 여성 씨름선수, 레슬링선수에 대한 전설도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에 일부 전설로 전해지던 투르크의 여성 씨름선수, 여성 레슬링선수의 이야기는 프랑스, 독일로도 전해졌다. 20세기 초 프랑스의 역사학자 르네 그루세는 쿠툴룬을 가리켜 마지막 몽골인 다운 몽골인이라 평했다.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에 투란도트 공주의 전설 외에도 쿠툴룬 역시 작품의 모델이 되었다.

쿠툴룬의 미모에 빠졌거나 실력이 부족한 왕자, 귀족 자제들, 씨름 선수들은 많은 을 잃었고, 이는 그대로 화제가 되었다. 19세기 자코모 푸치니의 극에서는 투란도트와 결혼하려는 남자들이 투란도트가 내는 세 가지 수수께끼를 맞추지 못하면 목숨을 거는 것으로 윤색되었다.

1710년 프랑스 학자 프랑수아 피티스 드 라 크루아(François Pitis de La Croy)가 몽골 제국 징기스칸의 일대기를 출판했을 때, 아시아 문학에 관한 많은 책과 전설을 출간했다. 크루아는 자신의 소설에서 황금 왕국의 투르크인 소녀인 19세 투란도트로 묘사한다.

이탈리아의 작가 카를로 고지(Carlo Gozzi)는 이를 바탕으로 희곡을 썼는데, 이 희곡은 프리드리히 폰 쉴러가 독일어로 번역했고, 희곡 투란도트 공주는 1802년 독일 바이마르에서 요한 볼프강 폰 괴테에 의해 상연되었다. 자코모 푸치니투란도트를 오페라로 발표하여 화제가 되었다.

5. 관련 작품

쿠툴룬은 몽골 작가들이 발표한 많은 이야기와 소설의 소재가 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푸레브 산지의 《코톨론》, Ch.잔치브도르지의 《카이두의 멋진 딸 쿠툴룬》, 오용게렐 체데브담바의 《코톨 차간》, 바트자르갈 산자의 《카이두 칸의 이야기》, 바아타르수렌 슈우데르체체그의 《공주 쿠툴룬》 등이 있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호주에서 경주마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Grand Syndicates는 이 말을 16000AUD에 구매했고, 쿠툴룬은 거의 500000AUD의 상금을 획득했다.[1]

5. 1. 영화

바아타르수렌 슈우데르체체그의 소설 《코톨 차간 군지》를 바탕으로 제작된 슈우데르 프로덕션과 부 방송의 2021년 영화 《공주 쿠툴룬》이 2021년 12월 3일에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원나라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배우 체도 문흐바트가 주연을 맡았다.

5. 2. 드라마

넷플릭스 드라마 《마르코 폴로》에서 김수현이 쿠툴룬을 연기했다.

5. 3. 오페라

쿠툴룬은 여러 서양 작품의 소재가 된 투란도트 캐릭터의 기반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몽골 문화에서 그녀는 유명한 운동선수이자 전사로 기억되지만, 서양 예술적 각색에서는 결국 사랑에 굴복하는 자존심 강한 여성으로 묘사된다.

프랑수아 페티 드 라 크루아의 1710년 아시아 설화집에는 쿠툴룬이 투란도트라고 불리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중앙 아시아의 딸"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단어(Turandokht توراندختfa)이며, 중국 몽골 황제 알툰 칸의 열아홉 살 된 딸이다. 그러나 페티 드 라 크루아의 이야기에서는 그녀가 구혼자들과 레슬링을 하지 않으며, 그들은 말을 걸지 않는다. 대신 그녀는 그들에게 세 가지 수수께끼를 내고, 풀지 못하면 처형된다.

카를로 고치는 50년 후, 그녀를 "타오르는 여자"와 "끊임없는 자부심"을 가진 인물로 묘사한 자신의 버전을 썼다. 프리드리히 실러는 1801년 이 연극을 독일어로 번역하고 각색하여 《투란도트, 중국의 공주》로 만들었다.

가장 유명한 《투란도트》 버전은 자코모 푸치니가 1924년 사망할 때 작업 중이던 미완성 오페라 버전이다.

참조

[1] 서적 Il Milione L'Unità – Editori Riuniti
[2] 서적 I Mongoli. Espansione, Imperi, Eredità Einaudi
[3] 웹사이트 The Wrestler Princess https://www.laphamsq[...] 2024-12-01
[4] 서적 Middle ages and the modern times, p. 114: "Nomadic societas and Byzantine empire" Sofia University "St Kliment Ohridski" 2011
[5] 웹사이트 Netflix's 'Marco Polo' Stars Joan Chen, Zhu Zhu, & Claudia Kim on Playing History's Most Powerful Women http://www.bustle.co[...] 2015-03-24
[6] 웹사이트 History in Yuan Dynasty first shown in 'Khutulun Princess' film https://www.montsame[...] 2022-01-19
[7] 문서 Pelliot1959,15頁
[8] 문서 『集史』「オゴデイ・カアン紀」カシ家條による(松田1996,31頁)
[9] 문서 松田1996,30頁
[10] 문서 加藤1999,31頁
[11] 문서 加藤1999,38頁
[12] 문서 愛宕1971,273-276頁
[13] 뉴스 The Wrestler Princess http://www.laphamsqu[...]
[14] 웹인용 Книга о разнообразии мира. Глава СС http://www.lib.ru/IN[...] "Пер. [[Минаев, Иван Павлович|И. П. Минаева]]" 2010-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