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시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시섬은 페르시아 만에 위치한 이란의 섬으로, 고대부터 해상 무역의 요충지였다. 10세기에는 페르시아 만의 해운·교역 중심지가 되었으며, 12세기부터 13세기 전반에는 카이사르 가문이 지배하며 인도양 서해역의 해운과 교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는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현재는 이란 정부의 경제 개발 정책에 따라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어 관광 및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리스 선박 난파선, 오션 워터 파크, 돌고래 공원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갖추고 있다. 키시 국제공항과 항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랑카위, 두바이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르모즈간주 - 호르무즈섬
호르무즈섬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이란의 섬으로, 붉은 황토 골락과 특이한 지질 구조, 역사적 유적, 다양한 야생 조류, 붉은 해변, 아흐마드 나달리안 박물관 등으로 유명하며, 과거 호르무즈 왕국의 중심지이자 포르투갈의 점령과 통치를 거친 곳이다. - 페르시아만의 섬 - 호르무즈섬
호르무즈섬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이란의 섬으로, 붉은 황토 골락과 특이한 지질 구조, 역사적 유적, 다양한 야생 조류, 붉은 해변, 아흐마드 나달리안 박물관 등으로 유명하며, 과거 호르무즈 왕국의 중심지이자 포르투갈의 점령과 통치를 거친 곳이다. - 페르시아만의 섬 - 부비얀섬
부비얀섬은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퇴적물로 형성된 쿠웨이트의 섬으로, 걸프 전쟁 당시 원유 유출 피해를 입었으며,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철새와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 이란의 섬 - 호르무즈섬
호르무즈섬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이란의 섬으로, 붉은 황토 골락과 특이한 지질 구조, 역사적 유적, 다양한 야생 조류, 붉은 해변, 아흐마드 나달리안 박물관 등으로 유명하며, 과거 호르무즈 왕국의 중심지이자 포르투갈의 점령과 통치를 거친 곳이다. - 이란의 섬 - 라라크섬
라라크섬은 페르시아만에 위치한 이란의 섬으로, 역사적으로 포르투갈 점령기에 요새가 건설되었고 이란-이라크 전쟁 중에는 이라크의 폭격을 받았으며 현재는 이란 군사 기지가 있고 다양한 산호초 서식지로 알려져 있으며 샤하브 구에 속하는 라라크 샤흐리와 라라크 쿠히 두 곳의 주거지가 있다.
키시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 | |
![]() | |
![]() | |
![]() | |
다른 명칭 | 키시 |
별칭 | 페르시아만의 진주 |
위치 | 페르시아만 |
행정 구역 | |
국가 | 이란 |
주 | 호르모즈간주 |
군 | 반다르렌게군 |
구 | 키시구 |
시 | 키시 |
정부 | |
자유 무역 지대 수장 | 모함마드 카비리 |
면적 | |
인구 | |
2016년 | 39853명 |
시간대 | |
시간대 | IRST |
UTC 오프셋 | +3:30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키시 자유 지역 기구 호르모즈간주 |
2. 역사
이란의 역사 참조
키시섬은 캄티나, 아라키아(Αρακία), 아라카타, 기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역사에 등장한다.
기원전 325년, 알렉산드로스 3세는 네아르코스에게 오만해와 페르시아만 탐험을 지시했고, 이때 네아르코스가 작성한 아라카타에 대한 기록은 키시섬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다. 마르코 폴로는 중국 황실 방문 당시 황제 아내의 진주가 키시섬에서 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기록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키시섬은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으며, 사파비 왕조 시대 이후 이란의 영토가 되었다.[17]
2. 1. 고대 ~ 중세
키시섬은 역사 속에서 캄티나, 아라키아(Αρακία), 아라카타, 기스 등으로 다양하게 언급되었다.기원전 325년, 알렉산드로스 3세는 네아르코스에게 오만해와 페르시아만으로의 탐험 항해를 지시했다. 네아르코스의 아라카타에 관한 기록은 고대 시대에 키시섬이 언급된 최초의 기록이다. 마르코 폴로가 중국 황실을 방문했을 때, 그는 황제의 아내의 진주에 대해 언급했는데, 그 진주가 키시에서 왔다는 말을 들었다. 알렉산드로스 3세가 페르시아를 정복한 시대, 키시 섬은 교통의 요충지로 알려져 있었다[17]。
10세기 말에 페르시아 만의 교역 도시 실라프가 지진으로 붕괴된 후, 키시 섬은 실라프를 대신하여 페르시아 만의 해운·교역의 중심지가 되었다[18]。10세기 말부터 11세기에 걸쳐 아라비아 반도의 아랍인과 이란의 여러 부족이 섬으로 이주했다. 키시 섬의 지도자나 이주자의 출신은 명확하지 않으며, 『와사프 역사』 등의 문헌에서는 섬의 첫 이주자는 붕괴된 실라프의 피난민이라고 전해진다[18]。또한, 12세기 후반의 키시 섬에는 약 500명의 유대인이 거주했다고 전해진다[18]。쿠르드계의 샤반카라족의 한 파, 혹은 다일람계에 속하는 부족 집단 자슈가 섬의 지배권을 잡고, 실라프, 인도와 오만의 항구 도시에 공격을 가했다[19]。
12세기부터 13세기 전반의 기간에는 실라프에서 이주한 카이사르 가문이 섬을 지배했다. 키시의 지배자는 인도양 서해역의 해운과 교역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아덴의 일부를 병합하고, 인도의 캠베이, Somnath|소마나트영어, 동아프리카의 잔지 지방에 거류지를 건설했다[19]。진주도 키시 섬의 중요한 산업 중 하나였으며, 페르시아 만의 주요 진주 채취장과 집하·판매를 통제했다[19]。13세기에 오만의 칼하트, 주파르 지방의 밀바트, 이라크의 바스라에서, 키시는 해상 교역과 진주 채취권을 둘러싸고 호르무즈 왕국과 대립했다[19]。1228년에 키시 섬은 호르무즈에 점령되었고, 1230년에 파르스 지방을 지배하는 살구르 왕조로 이양되었다[19]。13세기 초부터 몽골 제국의 왕공 장군이 서아시아 각지를 정복하는 가운데, 1271년에 키시 섬은 일 칸국에 정복되었지만, 섬의 통치는 살구르 왕조에 위임되었다[20]。1279년에 키시는 니쿠다리야인 집단의 공격으로 약화된 호르무즈를 병합한다[20]。
13세기 말부터 키시 섬의 지배자 왕통은 사와밀리 가문으로 옮겨진다. 1293년에 사와밀리 가문의 자마루딘 이브라힘은 일 칸국의 가이하투 칸으로부터 전 파르스 지방의 징세권을 부여받았고, 1324년/1325년에 이브라힘의 아들 압둘아지즈가 처형될 때까지 징세권을 유지했다[20]。사와밀리 가문은 남인도의 말라바르, 코로만델 지방의 항구 도시를 지배하에 두고,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방면으로의 무역 활동은 키시 섬의 세력에 의해 관리·운영되었다[19]。키시 섬과 호르무즈는 페르시아 만, 인도양의 해운과 교역을 둘러싸고 격렬하게 다퉜고[19], 사와밀리 가문은 일 칸국의 군사력을 배경으로 아야즈가 지도하는 호르무즈의 반란에 대항했다[20]。1331년/1332년에 키시 섬은 호르무즈에 병합된다[20]。키시 섬의 이름은 중세 여행가의 기행문에도 나타나며,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는 키시(Kisi), 이븐 바투타의 『대여행기』에는 카이스 섬(Qays)으로 기록되어 있다[20]。
키시 섬 북부의 하릴레에는, 중세의 항구 도시 국가 시대의 유적이 존재한다。하릴레에서는 모스크나 저수지 등의 시설 유적 외에도, 교역 상품인 도자기가 발견되었다[18]。
2. 2. 근세 ~ 현대
10세기 말, 페르시아 만의 주요 교역 도시였던 실라프가 지진으로 붕괴되자, 키시섬은 그 자리를 대신하여 페르시아 만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떠올랐다.[18] 10세기 말부터 11세기 사이에는 아라비아 반도의 아랍인들과 이란의 여러 부족들이 섬으로 이주해왔다. 키시섬의 지도자나 이주민들의 정확한 출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와사프 역사 등의 문헌에서는 붕괴된 실라프의 피난민들이 최초의 이주민이라고 전해진다.[18] 12세기 후반에는 약 500명의 유대인이 키시섬에 거주했다는 기록도 있다.[18] 쿠르드계 샤반카라족의 일파, 혹은 다일람계 부족 집단인 자슈가 섬의 지배권을 장악하고, 실라프, 인도, 오만의 항구 도시들을 공격하기도 했다.12세기부터 13세기 전반까지는 실라프에서 이주해 온 카이사르 가문이 섬을 다스렸다. 이들은 인도양 서부 해역의 해상 무역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아덴의 일부를 병합하고 인도의 캠베이, 소마나트, 동아프리카의 잔지 지역에 거류지를 건설했다. 진주는 키시섬의 주요 산업 중 하나였으며, 페르시아 만의 주요 진주 채취장과 집하, 판매를 통제했다. 13세기에 키시섬은 해상 교역과 진주 채취권을 두고 호르무즈 왕국과 경쟁 관계에 있었으며, 오만의 칼하트, 주파르 지방의 밀바트, 이라크의 바스라 등지에서 호르무즈와 대립했다. 1228년에는 호르무즈에 점령되기도 했고, 1230년에는 파르스 지방을 지배하던 살구르 왕조에 양도되었다. 1271년에는 일 칸국에 정복되었으나, 섬의 통치는 살구르 왕조에 위임되었다. 1279년, 키시는 니쿠다리야인 집단의 공격으로 약화된 호르무즈를 병합했다.
13세기 말부터 키시섬의 지배 왕조는 사와밀리 가문으로 교체되었다. 1293년, 사와밀리 가문의 자마루딘 이브라힘은 일 칸국의 가이하투 칸으로부터 파르스 지방 전체의 징세권을 부여받았고, 1324년/1325년에 그의 아들 압둘아지즈가 처형될 때까지 그 권한을 유지했다. 사와밀리 가문은 남인도의 말라바르, 코로만델 지방의 항구 도시들을 지배하에 두었으며,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방면으로의 무역 활동을 관리했다. 키시섬과 호르무즈는 페르시아 만과 인도양의 해상 무역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했으며, 사와밀리 가문은 일 칸국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아야즈가 이끄는 호르무즈의 반란에 맞섰다. 1331년/1332년, 키시섬은 결국 호르무즈에 병합되었다.
키시섬은 중세 여행가들의 기록에도 등장하는데,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는 '키시(Kisi)'로, 이븐 바투타의 대여행기에는 '카이스 섬(Qays)'으로 기록되어 있다.[20] 키시섬 북부의 하릴레에는 중세 항구 도시 국가 시대의 유적이 남아 있으며, 모스크나 저수지 등의 시설 유적과 함께 교역 상품이었던 도자기가 발견되었다.[18]
16세기부터 17세기에 키시섬은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으며, 사파비 왕조 시대 이후 이란의 영토가 되었다.
3. 지리
키시 섬은 페르시아 만에 위치하며, 이란 본토에서 19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약 91km2이며, 외곽 경계는 40km로 거의 타원형이다.[18] 반다르 렌게에서 서쪽으로 90km, 대륙 해안에서 15km 떨어져 있다.[18] 섬에는 하천이 존재하지 않으며, 고저차가 거의 없는 평탄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북쪽에는 야자수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18]
섬 주민 대부분은 섬의 북부와 동부에 거주하며,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지만, 수니파 신도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18]
3. 1. 지형 및 기후
키시 섬은 페르시아 만에 위치하며, 이란 본토에서 19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약 91km2이며, 섬 둘레는 40km로 거의 타원형이다. 키시는 북반구의 좁은 열대 식물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페르시아 고원, 남쪽으로는 아라비아 반도가 있다.
키시 섬은 매우 건조한 준적도 기후를 보인다. 8년에 걸쳐 키시 섬의 연평균 강수량 중앙값은 145mm (겨울 54%, 가을 28%, 여름 14%)였으며, 연평균 기온 중앙값은 26.6°C였다. 키시 섬의 상대 습도는 추운 계절을 제외하고는 바다 섬과 같다. 습도는 연중 대부분 약 60%이다. 10월부터 4월까지 키시 섬의 날씨는 온화하며, 18°C에서 25°C 사이의 기온을 보인다. 키시 자유 무역 지대의 기록 보관소에 있는 통계 자료에 따르면, 섬의 기온은 매우 덥거나 적당히 더운 상태로 변동하며, 비교적 높은 습도를 동반하고 특정 계절에는 짧은 기간 동안 폭우가 내리기도 한다. 페르시아만의 일부 남동 해안 지역 및 몇몇 다른 섬을 제외하고, 키시 섬은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일조 시간을 보이며, 연간 약 3,100시간이다. 기후 분류 및 일반적인 기상 조건을 바탕으로, 키시 섬이 북회귀선에 가깝고 열대 고기압 시스템에 노출되어 있으며, 뜨겁고 얕은 바다 사이에 위치해 있어, 섬은 일년 중 대부분 덥고 습한 경향이 있다.[4]
키시 섬은 반다르 렌게에서 서쪽으로 90km, 대륙 해안에서 15km 떨어져 있다. 양질의 지하수와 평탄한 지형을 갖추고 있으며, 섬 내에는 하천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저차가 거의 없는 평탄한 섬으로, 북쪽에는 야자수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18] 연평균 기온은 26°C이며, 연간 강수량은 약 160mm로 비의 절반은 겨울에 내린다.
3. 2. 주민
섬 주민 대부분은 섬의 북부와 동부에 거주한다. 시아파 이슬람교를 신봉하지만, 수니파 신도도 적지 않게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18]4. 경제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란 정부는 키시섬을 두바이와 도하의 경쟁자로 만들기 위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외국인 투자 및 무역 유치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키시 자유 지역을 설정하였다. 이 지역은 이란 본토보다 법률이 완화되어 국내 관광과 국제 무역이 증가했다. 2009년 키시 자유 지역의 총 대외 무역액은 연간 약 92억달러였으며,[7] 이란으로 수입되는 물품의 15%가 키시를 통한다.[8]
키시는 아름다운 바다와 맑은 날씨를 활용한 리조트 지역으로, 팔레비 왕조 시대에는 서구형 관광지로 개발되어 대형 호텔과 카지노가 건설되었다. 1972년 키시 개발 기구가 설립되었고,[18] 이란 혁명 이후 쇠퇴했지만, 1990년대 관광 및 경제 개발로 경제가 회복되었다.
관광업 외에 어업, 해운업, 무역업이 전통 산업이며, 과거에는 진주 생산도 활발했지만 20세기 중반 일본의 양식 진주 보급으로 쇠퇴했다.
4. 1. 키시 자유 무역 지대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란 정부는 키시 섬을 두바이와 도하의 경쟁자로 만들기 위한 공격적인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에는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외국인 투자 및 무역 유치를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었다. 키시 자유 지역(Kish Free Zone)으로 알려진 이 지역 내에서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일반적인 법률이 본토보다 훨씬 완화되어 있어, 섬에서 국내 관광과 국제 무역이 증가했다. 2009년 키시 자유 지역의 총 대외 무역액은 연간 약 92억달러였다.[7] 이란으로 수입되는 모든 물품의 15%가 키시를 통해 이루어진다.[8]키시 자유 무역 지대의 투자 인센티브는 다음과 같다.
투자 인센티브 |
---|
15년 세금 면제 |
입국 비자 요구 없음 |
100% 외국인 소유 가능 |
유연한 통화 및 은행 서비스 |
연장된 법적 보장 및 보호 |
기존의 이란 석유 거래소 외에, 키시 증권 거래소가 2010년에 개설되어 외국인 투자와 통화 활동을 촉진했다.[9] 1989년에 키시 섬의 산업 무역 특구 설치가 인가되었고, 1992년에는 키시 자유 무역 기구가 설립되었다.[18]
4. 2. 주요 산업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란 정부는 키시 섬을 두바이와 도하의 경쟁자로 만들기 위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외국인 투자 및 무역 유치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키시 자유 지역에서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일반적인 법률이 본토보다 완화되어 있어 국내 관광과 국제 무역이 증가했다. 2009년 키시 자유 지역의 총 대외 무역액은 연간 약 92억달러였다.[7] 이란으로 수입되는 모든 물품의 15%가 키시를 통해 이루어진다.[8]키시 자유 무역 지대의 투자 인센티브는 다음과 같다.
투자 인센티브 |
---|
15년 세금 면제 |
입국 비자 요구 없음 |
100% 외국인 소유 가능 |
유연한 통화 및 은행 서비스 |
연장된 법적 보장 및 보호 |
기존의 이란 석유 거래소 외에, 키시 증권 거래소가 2010년에 개설되어 외국인 투자와 통화 활동을 촉진했다.[9] 국제 석유 거래소는 2008년에 개장한 상품 거래소이다. 1989년에 키시 섬의 산업 무역 특구 설치가 인가되었고, 1992년에는 키시 자유 무역 기구가 설립되었다.[18]
키시 섬은 아름다운 바다와 맑은 날씨를 활용한 리조트 지역으로, 팔레비 왕조 시대에 서구형 관광지로 개발되어 대형 호텔과 카지노가 건설되었다. 1972년에 키시 섬의 리조트 개발을 위한 키시 개발 기구가 설립되었고,[18] 이란 혁명 이후 쇠퇴했지만, 1990년대 관광·경제 개발로 섬의 경제는 회복되었다.
관광업 외에도 어업, 해운업, 무역업이 전통적인 산업으로 알려져 있다. 한때 진주 생산도 활발했지만, 20세기 중반 일본의 양식 진주가 국제 시장에 보급된 후 쇠퇴했다.
5. 관광
키시 섬은 아름다운 바다와 맑은 날씨를 가진 리조트 지역이다. 20세기 후반 팔레비 왕조 시대에 서구형 관광지로 개발되어 대형 호텔과 카지노가 건설되었다. 1972년 키시 섬의 리조트 개발을 위해 키시 개발 기구가 설립되었고[18], 이란 혁명 이후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1990년대 관광·경제 개발로 섬의 경제는 회복되었다.
관광업 외에 어업, 해운업, 무역업이 전통적인 산업이다. 한때 진주 생산도 활발했지만, 20세기 중반 일본의 양식 진주가 국제 시장에 보급된 후 쇠퇴했다.
5. 1. 주요 관광 명소





- 그리스 선박: 1966년 키시 섬 남서부 해변에 좌초된 1943년 화물 증기선 ''쿨라 F''의 난파선이다.[6] 원래는 영국 선박 ''엠파이어 트럼펫''으로 스코틀랜드에서 건조되었으며, 인양 시도가 모두 실패했다.[6]
- 오션 워터 파크: 5.6ha 규모의 워터파크이다.
- 돌고래 공원: 키시섬 남동쪽 모서리에 위치한 70ha 규모의 공원이다. 22,000 그루 이상의 야자수로 둘러싸여 있으며, 돌고래 수족관, 나비 정원, 누에 화합물, 조류 정원, 인공 열대 우림, 화산, 난초 정원, 선인장 정원을 포함하고 있다. 돌고래 수족관에는 돌고래, 바다사자, 흰 고래를 전시하는 섬에서 가장 큰 인공 수영장이 있다.[14] 공원의 조류 정원에는 펠리칸, 타조, 파란-노랑 마코, 황새, 토코투칸, 투라코, 백조, 아프리카 펭귄, 늪 악어를 포함하여 전 세계 57종 이상의 조류 및 기타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15]
- 키시 섬 아트 센터: 페르시아 만 고유의 해양 생물을 전시하는 수족관이 있다.[16]
5. 2. 스포츠 및 레저
키시 섬은 프로페셔널 스쿼시 협회 연례 투어의 일부인 파즈르 국제 스쿼시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다. 또한, 이란 전통 영웅 게임 대회를 개최하며, 1,200석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을 갖추고 있다. 키시에서는 수상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키시 섬은 2006년 아시아 비치 발리볼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키시는 공식적으로 승인된 국제 배구 연맹(FIVB) 비치 발리볼 행사인 2016 키시 섬 오픈의 개최지였다. 2017 FIVB 비치 발리볼 월드 투어 행사의 예선 라운드가 키시에서 열렸다.[13]
6. 교육
샤리프 공과대학교 키시 국제 캠퍼스는 1995년에 설립되었고, 테헤란 대학교 키시 국제 캠퍼스는 2007년에 설립되었다.[10][11]
키시 자유 지역 기구(KFZO)는 기술 및 직업 과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새로운 학교를 건설했다.
7. 교통
키시섬과의 연결은 키시 국제공항과 키시 항구를 통해 해상 또는 항공으로 이루어진다.[1] 키시 국제공항은 키시섬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관문 역할을 한다.[1]
키시섬은 항공로를 통해 이란 국내외 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섬 중앙에는 키시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1] 이란 본토의 반다레 렌게 및 반다레 차라크 사이에는 선박이 운항되고 있다.[1]
8. 자매 도시
참조
[1]
서적
Building Iran's Software Industry: An Assessment of Plans and Prospects sing the Software Export Success Model
http://unpan1.un.org[...]
Institute for Development Policy and Management, University of Manchester, UK
[2]
웹사이트
Kish Island, Hormozgan province - ITTO
https://www.itto.org[...]
2022-09-28
[3]
웹사이트
Kish Island Guide: An Insider's Look at This Hidden Gem
https://iranbrands.r[...]
2024-05-17
[4]
웹사이트
Kish Free Zone Organization – سازمان منطقه آزاد کیش
http://www.kish.ir/H[...]
Kish.ir
2010-04-19
[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Kish Island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01
[6]
웹사이트
SS Empire Trumpet
http://www.clydesite[...]
2013-04-10
[7]
웹사이트
Iran Daily – Domestic Economy – 01/24/09
http://www.nitc.co.i[...]
[8]
웹사이트
News Headlines
https://www.cnbc.com[...]
CNBC
2012-03-07
[9]
웹사이트
Fars News Agency :: New Stock Exchange Kicks off Work in Southern Iran
http://english.farsn[...]
English.farsnews.com
2012-03-07
[10]
웹사이트
About SUTIC-Sharif University of Technology International Campus - Kish Island-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CAMPUS OF SHARIF UNIVERSITY OF TECHNOLOGY
https://kish.ac.ir/I[...]
2022-09-11
[11]
웹사이트
"Kish International Campus"
http://www.ut.ac.ir/[...]
2012-07-05
[12]
웹사이트
Kish Free Zone Organization – سازمان منطقه آزاد کیش
http://www.kish.ir/H[...]
Kish.ir
2010-04-19
[13]
웹사이트
Home - Kish Island
http://worldtour.201[...]
[14]
웹사이트
Dolphin Park Complex
http://www.kish.ir/H[...]
Kish Free Zone Organization
2010-10-02
[15]
웹사이트
Bird Garden
http://www.kish.ir/H[...]
Kish Free Zone Organization
2010-10-02
[16]
웹사이트
Aquarium
http://www.kish.ir/H[...]
Kish Free Zone Organization
2010-10-02
[17]
서적
バットゥータ『大旅行記』3巻(家島訳注)、253頁
[18]
웹사이트
KISH ISLAND
https://www.iranicao[...]
2024-02
[19]
웹사이트
HORMUZ ii. ISLAMIC PERIOD
https://www.iranicao[...]
2024-02
[20]
서적
バットゥータ『大旅行記』3巻(家島訳注)、182,249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