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톤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으로,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의 아들이다. 그는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물고기 모습을 하고 있으며, 소라 껍질을 불어 파도를 잠재우거나 일으키는 능력을 지녔다. 고대 예술에서는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헬레니즘 시대 이후에는 인어와 같은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에는 문학 작품에 등장하며, 현대에는 대학교, 기업 등의 마스코트나 해왕성의 위성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어인 - 글라우코스
    글라우코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이름으로, 대표적으로 불멸의 존재가 된 바다의 신 글라우코스를 포함하여 트로이 전쟁의 장군, 크레타 왕의 아들 등이 있다.
  • 반어인 - 탄기
  • 전령의 신 -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선물하고 제우스에게 반항한 티탄 신으로, 문명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고난을 겪었으며, 다양한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치고 현대 사회에서 저항과 진보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 전령의 신 - 헤임달
    헤임달은 노르드 신화에서 '세상을 비추는 자'라는 뜻을 가진 신으로, 할린스키디, 굴린타니, 빈들레르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며, 신들의 감시자로서 비프로스트 다리를 지키고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는 걀라르호른을 불며, 인간의 세 계급을 창조한 신 리그르와 동일시되고, 로키와 브리싱가멘을 놓고 싸우거나 라그나로크에서 함께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
  • 바다와 강의 신 - 포르키스
    포르키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기원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바다의 신으로, 케토와 결혼하여 여러 괴물의 부모가 되었으며, 미술 작품에서는 인어와 유사한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일리아스에서는 트로이 전쟁에서 활약하다 죽임을 당하는 인물로도 등장한다.
  • 바다와 강의 신 - 카리브디스
    카리브디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 괴물로, 메시나 해협에서 배를 삼키는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포세이돈과 가이아의 딸이자 식탐으로 제우스의 벌을 받아 괴물이 되었다는 설화가 있고, 스킬라와 함께 뱃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자 양자택일의 딜레마를 의미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
트리톤 (신화)
기본 정보
헤라클레스가 트리톤과 싸우는 모습을 묘사한 아티카 흑색 형상 [[히드리아]].
헤라클레스가 트리톤과 싸우는 모습을 묘사한 아티카 흑색 형상 히드리아
신화 속 역할바다의 전령
상징소라고둥
거주지바다
배우자리비아
부모포세이돈암피트리테
형제자매로도스, 벤테시퀴메, 그리고 여러 이복 형제자매
자녀트리테이아, 팔라스, 칼리스테
어원
그리스어(IPA: )
관련
관련 항목켄타우로스 트리톤
기타
언어별 표기한국어: 트리톤
일본어: トリトン/トライトン

2. 어원

트리톤(Triton)이라는 이름은 로버트 그레이브스가 제시한 설에 따르면 "(세계를 구성하는) 셋째의 것", 즉 바다의 세계를 의미한다.[23]

3. 그리스 신화에서의 트리톤

트리톤은 포세이돈암피트리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깊은 바다를 다스리는 신이다.[24]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트리톤은 부모와 함께 해저의 황금 궁전에 살았다고 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12.21절에 따르면, 포세이돈의 황금 궁전은 에우보이아 섬의 아이가이에 있었다.[1]

트리톤은 아버지 포세이돈처럼 삼지창을 지니기도 하지만, 그의 가장 큰 특징은 소라 고동 나팔이다. 그는 이 나팔을 불어 파도를 일으키거나 잠재우는 능력을 지녔다.[20] 그 소리는 매우 커서 거인들이 들으면 무서운 야수의 울음소리로 착각하고 도망칠 정도였다.[20] 그리스 대홍수 때 트리톤은 소라 고동을 불어 물을 물러나게 하여 데우칼리온과 그의 아내를 도왔다.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트리톤은 "바다빛"이며 "어깨에는 조개껍질이 붙어 있다".

트리톤이 소라를 불고 있다. 잘츠부르크 헬브룬 궁전의 Wasserspiele Hellbrunn 조각상

3. 1. 리비아 호수의 트리톤

아르고호의 영웅들이 만난 고대 리비아의 트리토니스 호수의 신 트리톤도 있다. 이 트리톤은 일부 자료에서 바다의 신 트리톤과는 별개의 신으로 취급되기도 한다.[4] 그리스 작가들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포세이돈이었지만 어머니는 에우로파였다.

이 트리톤은 처음에는 에우리필로스의 모습으로 나타났다가 결국 자신의 신성한 본성을 드러냈다.[5]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이 지역 신을 유헤메리즘적으로 "당시 리비아의 통치자"로 합리화하였다.[6]

트리톤-에우리필로스는 아르고 영웅들에게 흙덩이를 선물로 주었는데, 이는 그리스인들이 미래에 키레네 땅을 부여받을 것이라는 약속이었다. ''아르고호''는 시르테스(일부 자료에 따르면 소 시르테스만)에 좌초되었고, 트리톤은 호수의 늪지 출구를 통해 그들을 지중해로 안내했다.[5]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기원전 3세기)는 트리톤을 "물고기 꼬리"로 묘사한 최초의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3. 2. 트리톤과 영웅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는 트리톤이 미세누스가 소라 고동을 분 것을 자신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그를 바다에 던져 죽였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7]

헤라클레스가 트리톤과 격투하는 장면은 흑색 그림 도기를 포함한 고전 그리스 미술에서 흔한 주제였지만, 이 내용을 다루는 문헌은 현존하지 않는다. 다만, 헤라클레스의 상대를 "네레우스" 또는 "바다의 노인"으로 표기한 그리스 도기도 있는데, 네레우스와 헤라클레스의 싸움은 의사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카''에 기록되어 있다. "바다의 노인"은 반은 물고기 형상으로 자주 묘사된 네레우스에게 적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적색 그림 도기 시대에는 트리톤-헤라클레스 테마가 완전히 구식으로 변했고, 테세우스포세이돈의 황금 저택에서 겪는 모험과 같은 장면에 트리톤이 등장하는 식으로 대체되었다. 이 모험을 묘사하는 현존 문헌에는 트리톤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트리톤이 등장하는 것이 이상한 것은 아니다.

4. 여러 트리톤 (Tritons)

그리스-로마 시대에 이르러 트리톤은 단일 신이 아닌, 여러 명의 남성 인어들을 지칭하는 일반 명사(merman영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리스 도기에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트리톤"이라는 비문이 새겨진 반인반어 존재가 묘사되었으며, 이는 널리 인기를 끌었다. 이 시기에 "트리톤"이 인어의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는 가설도 제기되었다.[12] 기원전 4세기경부터 고전 그리스 미술에서 트리톤이 집단 또는 다수로 묘사되기 시작했다.

후기 그리스 시대에서 로마 시대에 이르러 트리톤은 익티오켄타우로스로 묘사되기도 했다. 익티오켄타우로스는 팔 대신 말의 앞다리를 가진 인어이다. 가장 오래된 예는 기원전 2세기에서 발견된다. "익티오켄타우로스"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며, 비잔틴 시대 (12세기)에 처음 문헌에 등장했다. "켄타우로스-트리톤"은 말 다리를 가진 트리톤의 또 다른 표현이다.[20]

발톱 발을 가진 트리톤. 부조 조각 스케치. 뮌헨 글립토테크 115.


말의 앞다리가 날개로 대체된 예 외에도, 뮌헨 글립토테크의 부조와 같이 앞다리가 여러 개의 발톱(사자와 다소 유사)으로 이루어진 예도 있다.

반은 사람, 반은 가재인 트리톤. 헤르쿨라네움 프레스코, 이전에는 포르티치 박물관에 소장.


꼬리가 두 개인 트리톤은 기원전 2세기 후반부터 묘사되기 시작했는데,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제단에서 볼 수 있다.

4. 1. 파우사니아스의 묘사

트리톤(Τρίτωνες, Trítōnes)은 2세기 파우사니아스에 의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묘사되었다.[19][20]

특징내용
머리카락미나리아재비 속 식물 (}})과 같으며, 색깔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을 하나하나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얽혀있다.
상어처럼 미세한 비늘로 덮여 거칠다.
귀 밑에는 아가미가 있다.
인간과 같다.
더 넓고 짐승과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
푸른색()으로 보인다.
손가락과 손톱은 보라조개 껍질과 같다.
가슴과 배 아래다리 대신 돌고래의 꼬리가 있다.



파우사니아스는 타나그라에 전시된 머리가 없는 트리톤과 로마의 또 다른 진기한 물건을 바탕으로 묘사했다. 이 트리톤들은 미라로 보존되었거나 박제된 실제 동물 또는 인간(혹은 그렇게 보이도록 만들어진 조작품)이었다. 타나그라의 트리톤은 아일리언이 보았으며, 그는 그것을 방부 처리되거나 박제된 미라(}})로 묘사했다. 파우사니아스는 타나그라 트리톤과 관련된 전설을 전했는데, 그 머리가 잘렸다고 했다. J. G. 프레이저는 머리가 잘리거나 심하게 훼손된 바다 포유류의 사체가 트리톤으로 둔갑한 후 그러한 이야기가 지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4. 2. 헬레니즘과 로마 미술



트리톤 청동 부조, 그리스, 기원전 2세기, 클리블랜드 미술관


기원전 6세기경부터 그리스 도기에 "트리톤"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반인반어 남성상이 많이 등장했다. 이 시기에 "트리톤"이 인어의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는 가설도 있다.[12]

기원전 4세기경부터 고전 그리스 미술에서 트리톤이 집단 또는 다수로 묘사되기 시작했다.[13] 그리스 조각가 스코파스 (기원전 350년 사망)의 작품 중에는 이러한 트리톤 군상이 있으며, 이 작품은 나중에 로마로 옮겨졌다. 플리니우스 (서기 79년 사망)는 이 조각에 대해 "돌고래를 타고 있는 네레이드와 트리톤도 있다"고 언급했다.[14]

후기 그리스 시대에서 로마 시대에 이르러 트리톤은 익티오켄타우로스로 묘사되기도 했다. 익티오켄타우로스는 팔 대신 말의 앞다리를 가진 인어이다. 가장 오래된 예는 기원전 2세기 작품에서 발견된다.[15] "익티오켄타우로스"라는 용어는 비잔틴 시대 (12세기)에 처음 문헌에 등장했다. "켄타우로스-트리톤"은 말 다리를 가진 트리톤의 또 다른 표현이다.[20]

말의 앞다리가 날개로 대체된 예도 있고, 뮌헨 글립토테크의 부조와 같이 앞다리가 여러 개의 발톱(사자와 다소 유사)으로 이루어진 예도 있다.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굴된 프레스코에는 가재나 민물가재와 같은 하체를 가진 트리톤이 묘사되어 있다.

꼬리가 두 개인 트리톤은 기원전 2세기 후반부터 묘사되기 시작했는데,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제단에서 볼 수 있다. 룸프는 이것이 "꼬리가 두 개인 트리톤"의 가장 초기의 예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16] 그러나 리코수라에서 다모폰의 조각에 등장하는 꼬리가 두 개인 트리톤 여성은 이보다 앞서며, 이것이 최초의 예라는 것에도 의문이 제기된다.[17] 래티모어는 꼬리가 두 개인 트리톤은 기원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스코파스가 그것을 고안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반인반어의 여성형도 있는데, 이들은 "트리톤 여성" 또는 "여성 트리톤"이라고 불린다.

5. 르네상스 시대 이후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해왕성과 트리톤 분수와 트리톤 분수 등 트리톤을 소재로 한 조각 작품을 남겼다.[21] 윌리엄 워즈워스는 소네트 세상은 우리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에서 늙은 트리톤이 소라 고동을 부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노래했다.

트리톤 분수(1642–3), 잔 로렌초 베르니니 제작, 로마 소재


트리톤은 르네상스 시대 이후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포세이돈(넵튠)의 사자(使者) 또는 나팔수로 자주 등장했다. 크리스토포로 란디노(1498년 사망)는 베르길리우스 주석에서 트리톤을 "해왕성의 나팔수(''Neptuni tubicen'')"라고 언급했다.

알렉산더 저스티스, 새뮤얼 페피스, 조시아 버처트 공저, ''해양 지배에 관한 일반 논문'' 표지에 등장하는 소라를 부는 트리톤, 1710년

6. 현대의 트리톤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은 트리톤으로 명명되었다.[40] 이세만안 자동차도의 나고야항에 걸쳐 있는 3개의 다리는 메이코 트리톤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40] 전일본공수(ANA)는 항공기 도색에 사용되는 청색을 "트리톤 블루"라고 부른다.[40]

여러 대학교, 칼리지, 고등학교, 스포츠 팀 등에서 트리톤을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다.

기관명위치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라호야, 캘리포니아
에커드 칼리지세인트피터스버그, 플로리다
에드먼즈 칼리지린우드, 워싱턴
아이오와 센트럴 커뮤니티 칼리지포트도지, 아이오와
마리너 고등학교 (케이프 코럴, 플로리다)케이프 코럴, 플로리다
노트르담 아카데미 (그린베이, 위스콘신)그린베이, 위스콘신
샌 클레멘테 고등학교샌 클레멘테, 캘리포니아
괌 대학교망길라오, 괌
미주리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렌 대학교 1브르타뉴 프랑스


참조

[1] Iliad https://www.perseus.[...]
[2] URL Metamorphoses 1.332 http://data.perseus.[...]
[3] URL Metamorphoses 2.8 http://data.perseus.[...]
[4] DGRBM Triton (2) https://www.perseus.[...]
[5] 기타 Pindar, Pythian 4;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iv. 1552ff
[6] 기타 Diodorus iv.56.6
[7] 기타 Virgil, Aeneid 6.164 ff. https://www.perseus.[...]
[8] 서적 Greek Art: From Prehistoric to Classical : a Resource for Educator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9] 기타 "Bacchylides 17, Gaius Julius Hyginus|Hygnius ''Poeticon astronomicon'' 2.5, Pausanias (geographer)|Pausanias 1. 17.3"
[10] 서적 Apollodorus' Library and Hyginus' Fabulae: Two Handbooks of Greek MythologyI https://www.perseus.[...] Hackett Publishing
[11]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VII 22.8 http://data.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09-02
[12] 기타 "By the sixth century, to judge from inscriptions on vases, 'Triton' was the most popular designation for the merman"
[13] 기타 "The next stage—pluralization of Triton (originally a god) ... is not attested before the fourth century except in Etruscan art."
[14] Wikisource Natural History Volume X: Book XXXVI Harvard University Press
[15] URL Die Meerwesen https://books.google[...]
[16] URL Die Meerwesen https://books.google[...]
[17] URL Manuel d'archéologie grecque: sculpture https://books.google[...]
[18] 서적 Aeneid V. 824 http://data.perseus.[...]
[19]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IV, 9.21.2 http://data.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09-02
[20] DGRBM Triton (1) https://www.perseus.[...]
[21] 기타 Wilkins, 2000, p406, n84
[22] 기타 Wilkins, 2000, p. 390 and n24; p. 405, n 82
[23] 서적 Who's Who in Classical Mytholog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Value Publishing
[24] 서적 神統記
[25] URL ドライデン訳『アエネーイス』 http://data.perseus.[...]
[26] 서적 Greek Art: From Prehistoric to Classical : a Resource for Educator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7] 기타 "[[バッキュリデース]] 17、[[ヒュギヌス]]『天文詩』 2.5 、[[パウサニアス (地理学者)|パウサニアス]] 1. 17.3"
[28] DGRBM Triton (2) http://www.perseus.t[...]
[29] 기타 "[ロドスのアポローニオス]]『[[アルゴナウティカ]]』第iv巻、1602行以下"
[30] 기타 Diodorus iv.56.6
[31] 기타 "トリートーン"
[32] 기타 "By the sixth century, to judge from inscriptions on vases, "Triton" was the most popular designation for the merman"
[33] 기타 "The next stage -- pluralization of Triton (originally a god).. is not attested before the fourth century except in Etruscan art"
[34] Wikisource Natural History Volume X: Book XXXVI Harvard University Press
[35] URL Die Meerwesen https://books.google[...]
[36] 서적 Die Meerwesen https://books.google[...] Reprint (1969) 1939
[37] 서적 Manuel d'archéologie grecque: sculpture https://books.google[...] 1948
[38] 간행물 Description of Greece IV, 9.21.2 http://data.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Triton (1) http://www.perseus.t[...]
[40] 웹사이트 ANA Trivia Vol.07 ANAのロゴカラーの濃いブルーの由来は? https://www.ana.co.j[...] ANA公式サイト
[41] 서적 Hesiod: Testimon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