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나바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나바조스는 기원전 5세기와 4세기에 활동한 페르시아 제국의 귀족으로, 헬레스폰투스와 프리기아 지역의 사트라프였다. 그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스파르타 편에 가담하여 아테네와 대립했으며, 알키비아데스를 암살하는 데 관여했다. 이후 스파르타와 갈등을 겪었으며, 코린토스 전쟁에서 아테네를 지원하며 스파르타 함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 기원전 373년에는 이집트 원정을 이끌었으나 실패했고, 그의 지위는 아리오바르자네스에게 계승되었다. 파르나바조스는 그리스 문헌에 자주 등장하며, 그의 손녀 바르시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첩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주화를 발행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린토스 전쟁 관련자 - 안탈키다스
안탈키다스는 기원전 4세기 스파르타의 외교관이자 제독으로, 페르시아와의 협상을 통해 스파르타의 이익을 대변하고 그리스 내 헤게모니를 확립하는 안탈키다스의 평화를 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이후 영향력이 감소하고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 코린토스 전쟁 관련자 - 코논 (아테네)
코논은 아테네의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참여하여 아르기누사이 해전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하고, 크니도스 해전에서 스파르타 해군을 격파했으며, 아테네 부흥에 기여했으나 페르시아와의 협상 과정에서 체포되었다. - 아케메네스 제국의 사트라프 - 느헤미야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1세 시대에 예루살렘 성벽 재건을 주도하고, 에스라와 함께 종교 및 사회 개혁을 단행하여 유대 공동체의 회복과 정체성 강화에 기여한 페르시아 제국의 술 맡은 관원이다. - 아케메네스 제국의 사트라프 - 테미스토클레스
테미스토클레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나이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살라미스 해전의 승리를 통해 페르시아 전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아테나이 해군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도편추방 후 페르시아로 망명하여 생을 마감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 프리기아 - 프리기아어
프리기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사멸된 언어로, 그리스어와 가장 밀접하며 아르메니아어, 알바니아어와도 일부 특징을 공유하고, 기원전 8세기부터 서기 3세기까지 고프리기아어와 신프리기아어로 나뉘어 사용되었다. - 프리기아 - 바르시네
바르시네는 파르나바조스의 딸로서 멘토르와 멤논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3세의 측실이 되어 헤라클레스를 낳았지만, 아들과 함께 카산드로스에게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파르나바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위 | 총독 |
봉사 | 아케메네스 제국 |
재임 시작 | 기원전 413년 |
재임 종료 | 기원전 387년 |
배우자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딸 아파마 |
자녀 | 아르타바조스 2세 |
이전 | 파르나케스 2세 |
이후 | 아리오바르자네스 |
부모 | 파르나케스 2세 |
군사 활동 | |
전투 | 펠로폰네소스 전쟁 키지쿠스 전투 코린토스 전쟁 크니도스 해전 |
2. 생애
파르나바조스는 파르나케스 2세의 아들로, 그의 가문은 기원전 480년 이후 헬레스폰투스와 프리기아의 태수령을 다스려왔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스파르타를 지원하였으며, 기원전 412년에는 스파르타에 함대를 요청하여 아테나이 동맹에 대항하려 했다.[40]
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끝나갈 무렵, 아테네 장군 알키비아데스가 파르나바조스에게 망명해 왔으나, 스파르타의 압력으로 인해 결국 알키비아데스는 암살당했다.[42]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스파르타가 강성해지자 파르나바조스는 스파르타와 갈등을 겪었다. 기원전 399년부터 스파르타의 왕 아게실라오스 2세가 소아시아를 침공하여 파르나바조스의 영지를 공격했다. 코린트 전쟁이 발발하자 파르나바조스는 아테네를 지원, 기원전 394년 크니도스 해전에서 스파르타 함대를 격파했다.[18][19]
기원전 377년에는 이집트 원정을 이끌었으나, 이집트의 방어 강화와 나일강 범람으로 인해 실패했다.[26] 파르나바조스의 지위는 부하 아리오바르자네스에게 계승되었다.
2. 1. 가문 배경
파르나바조스는 파르나케스 2세의 아들이며, 그의 가문은 기원전 480년 이후 다스퀴레이온을 거점으로 헬레스폰투스, 프리기아의 태수령을 세습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테오도르 뇔데케에 따르면 파르나바조스는 다리우스 1세가 수메르디스를 살해했을 때 다리우스에게 협력한 귀족 오타네스의 자손에 해당한다.[40]2. 2.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 (기원전 413년 ~ 기원전 404년)
기원전 412년 봄, 파르나바조스는 메가라인 카리게이토스와 키지코스인 티마고라스를 스파르타에 보내 헬레스폰투스로 함대를 보내도록 요청했다. 이는 헬레스폰투스 지역의 그리스 도시들을 아테나이 동맹에서 이탈시켜 페르시아의 영향력 아래 두려는 목적이었다.[40] 그러나 카리아, 리디아 태수 티사페르네스 또한 유사한 요청을 했기 때문에, 스파르타는 티사페르네스를 먼저 받아들였다.[40] 그해 겨울, 스파르타는 파르나바조스를 위해 20척의 함대를 이오니아에 보냈고, 이후 증원군을 보내 에게해 동부에서 아테네 함대와 전투를 벌였다.[41]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끝날 무렵, 스파르타에 의지하고 있던 아테네의 장군 알키비아데스가 스파르타에 머물기 어려워지자 파르나바조스에게 망명했다. 파르나바조스는 알키비아데스와 친구가 되어 프리기아의 구류니온을 주었다. 그러나 아테네의 참주 크리티아스 등의 요청을 받은 리산드로스는 파르나바조스에게 알키비아데스를 넘기거나, 그렇지 않으면 페르시아와 스파르타의 협정을 파기하겠다고 위협했다. 파르나바조스는 결국 부하들을 시켜 알키비아데스를 암살하고 그의 목을 가져오게 했다.[42]

2. 3. 스파르타와의 갈등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95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승리한 스파르타는 에게 해의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고, 아케메네스 제국에 새로운 위협을 가했다.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동맹이었던 키루스 2세를 군사적으로 지원하여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적대시했고, 이로 인해 만 명의 용병이 아케메네스 제국 영토 깊숙이 침투하는 원정이 일어났다. 키루스 2세는 실패했지만 스파르타와 아케메네스 제국 간의 관계는 적대적인 상태로 남아 있었다.[10]파르나바조스는 아케메네스 제국 중심부에서 실패한 원정에서 돌아오는 그리스 만 명의 용병의 약탈을 막기 위해 비티니아인을 도왔다. 그는 또한 그들이 헬레스폰트 프리지아로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 했다. 그의 기병대는 그 자리에서 약 500명의 그리스 용병을 죽였고, 그리스 용병에 대한 여러 차례의 급습을 감행했다고 한다.[10] 파르나바조스는 그 후 스파르타 제독 아낙시비오스와 나머지 그리스 용병을 아시아 대륙에서 비잔티움으로 수송하도록 조치했다.[11]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스파르타는 장군 티뷰론을 소아시아에 파병하였고, 티뷰론과 그 후임 데르퀼리다스는 파르나바조스 영지를 포함한 소아시아를 휩쓸었다. 파르나바조스는 그와의 전투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42]
기원전 399년에 스파르타의 왕 아게실라오스 2세가 소아시아를 침공하여 파르나바조스 영지는 또 다시 공격을 받았으며, 아게실라오스는 대량의 전리품을 약탈했다.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는 기원전 396년에서 395년 사이에 스파르타 왕 아게실라오스에게 공격을 받아 황폐화되었는데, 특히 헬레니즘 프리지아의 수도인 다스킬레이온 주변 지역이 피해를 입었다.[14] 파르나바조스는 이 시기에 침략한 스파르타인들과 여러 차례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결국 파르나바조스는 아게실라오스와 직접 만나게 되었고, 아게실라오스는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를 떠나 트로아스의 테베 평원으로 물러나기로 합의했다.[14][13]
기원전 394년, 아게실라오스는 테베 평원에 야영하면서 아나톨리아 내륙으로의 원정, 심지어는 페르시아의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공격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으나, 코린토스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그리스로 소환되었다. 코린토스 전쟁은 스파르타와 아테네, 테베, 코린토스, 고대 아르고스 등 여러 소국들의 연합군 간의 전쟁이었다.
그리스에서의 분쟁 발발은 스파르타의 그리스 경쟁국에 대한 페르시아의 지원으로 장려되었으며, 아나톨리아에서 스파르타의 위협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파르나바조스는 로도스의 티모크라테스를 사절로 그리스에 파견했고, 아케메네스 왕조 주화의 주요 통화인 수만 개의 다릭이 그리스 국가들이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전쟁을 시작하도록 매수하는 데 사용되었다.[15]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아게실라오스는 아나톨리아를 떠나면서 "나는 1만 명의 페르시아 궁수에게 쫓겨났다"고 말했는데, 이는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전쟁을 시작하기 위해 아테네와 테베의 정치인들에게 그만큼의 돈이 지불되었기 때문에, 다릭의 앞면 디자인에서 유래한 "궁수" (''톡소타이'')라는 그리스식 별칭을 언급한 것이다.[16][15][17]
2. 4. 코린토스 전쟁 시기 (기원전 395년 ~ 기원전 387년)
기원전 399년, 스파르타의 왕 아게실라오스 2세가 소아시아를 침공하여 파르나바조스의 영지를 공격하고 대량의 전리품을 약탈했다. 그 후, 아게실라오스는 코린트 전쟁의 발발로 인해 소아시아를 떠났고, 파르나바조스는 이 전쟁에서 스파르타에 맞서 아테네를 지원하며 코논과 함께 기원전 394년 크니도스 해전에서 스파르타 함대를 격파했다.[18][19] 이 승리로 소아시아 연안의 여러 도시에서 스파르타인 지배자가 축출되었으나, 데르퀼리다스가 지키는 아뷔도스와 세스토스는 함락시키지 못했다.2. 5. 안탈키다스 평화 조약 (기원전 386년)
기원전 386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아테네 동맹을 배신하고 스파르타와 합의하여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들을 희생시켰다. 스파르타는 그리스에서 스파르타의 지배를 대가로 아케메네스 왕조에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들을 양도하기로 동의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안탈키다스의 평화 조약을 통해 이전 동맹국들에게 합의를 강요했다. 이 조약은 아나톨리아 해안의 이오니아와 아이올리스의 그리스 도시들에 대한 페르시아의 지배를 회복시키는 한편, 스파르타에게 그리스 본토의 지배권을 부여했다.[1]2. 6. 이집트 원정 (기원전 373년)
기원전 377년, 파르나바조스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명령을 받아 이집트 원정을 이끌게 되었다. 당시 이집트에서는 반란이 일어났기 때문에 이들을 진압해야 했다.[26]4년 동안 레반트에서 준비한 끝에, 파르나바조스는 20만 명의 페르시아 군대, 300척의 삼단노선, 200척의 갤리선, 그리고 이피크라테스 휘하의 12,000명의 그리스 용병으로 구성된 원정군을 모았다.[27] 아케메네스 제국은 아테네에 압력을 넣어 이집트군에 있던 그리스 장군 카브리아스를 불러들이려 했으나 실패했다.[28] 네크타네보 1세는 아테네 장군 카브리아스와 그의 용병들의 도움을 받았다.[29]
기원전 373년, 파르나바조스는 아테네 장군 이피크라테스와 함께 멘데스 근처 이집트에 상륙했다.[30] 그러나 원정군은 너무 느리게 움직였고, 이 때문에 이집트인들은 방어를 강화할 시간을 벌었다. 파르나바조스와 이피크라테스는 펠루시움 앞에 나타났지만, 이집트 왕 네크타네보 1세가 이미 주변 지역을 물에 잠기게 하고 제방을 쌓아 나일강의 항해 가능한 수로를 막아 놓았기 때문에 공격하지 않고 물러났다.[28] 네크타네보가 명령한 나일강의 펠루시움 지류에 있는 요새 때문에 적 함대는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갈 다른 길을 찾아야 했다. 결국 함대는 방어가 약한 멘데스 지류를 통해 올라가는 데 성공했다.[28] 그러나 이피크라테스와 파르나바조스 사이에 불신이 생겨 멤피스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후 나일강 범람과 이집트 수비대의 방어 의지로 인해, 처음에는 네크타네보 1세와 그의 군대에게 확실한 패배로 보였던 것이 완전한 승리로 바뀌었다.[31]
몇 주 후, 페르시아인과 이피크라테스 휘하의 그리스 용병은 배를 타고 돌아가야 했다. 이집트 원정은 실패로 끝났다.[30]

2. 7. 이후
파르나바조스의 지위는 그의 부하 아리오바르자네스에게 계승되었다.[42] 파르나바조스의 아들 아르타바조스 2세는 로도스 출신의 그리스 귀족 여성과 결혼하여 그리스 세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파르나바조스의 손녀 바르시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첩이 되었다고 전해진다.3. 주화
이 시기에 상당한 양의 주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특히 이피크라테스가 지휘하는 그리스 군대의 급료를 지불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35] 대량의 주화는 킬리키아의 타르소스에서 주조되었다.[35] 이 주화에는 아테네식 투구를 쓴 전쟁의 신 아레스의 모습이나, 앉아 있는 바알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35]
4. 그리스 문헌에서의 파르나바조스
파르나바조스는 그리스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페르시아 태수 중 한 명으로, 크세노폰의 《헬레니카》와 《아나바시스》,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등 그리스 문헌에 자주 등장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CNG
https://web.archive.[...]
2018-12-04
[2]
서적
The ancient & classical world, 600 B.C.-A.D. 650
https://books.google[...]
Hawkins Publications ; distributed by B. A. Seaby
1978
[3]
서적
Plutarch: Life of Eumenes - translation
http://www.attalus.o[...]
[4]
서적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Book 8, chapter 5, section 5&6
https://www.perseus.[...]
[5]
문서
Xenophon Hellenica, 1.1.6
[6]
문서
Isocrates, ''Concerning the Team of Horses,
https://www.perseus.[...]
[7]
문서
H.T.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and W. Smith, New Classical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39.
https://www.perseus.[...]
[8]
문서
Plutarch, ''Alcibiades'', 39.
https://www.perseus.[...]
[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Warfare in the Classical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0]
서적
Xenophon;
https://archive.org/[...]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1883
[11]
서적
Xenophon;
https://archive.org/[...]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1886
[12]
문서
History of the Greeks, p.186
https://archive.org/[...]
[13]
서적
Cassell's illustrated universal history
https://archive.org/[...]
Cassell, Petter, Galpin & Co.
1882
[14]
서적
The Archaeology of Greek and Roman Tro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5]
서적
Coins and Currency: An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
[16]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Plutarch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3
[17]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Greece and Rome: A Brief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18]
문서
Xenophon Hellenica, 4.3
[19]
서적
Trouble in the West: Egypt and the Persian Empire, 525-332 B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2
[20]
서적
Perseus Under Philologic: Xen. 4.8.7
https://web.archive.[...]
2019-05-01
[21]
서적
A History of Gree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R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William Ware & Company
1877
[22]
서적
Perseus Under Philologic: Xen. 4.8.7
https://web.archive.[...]
2019-05-01
[23]
문서
Xenophon, ''Hellenica''
[24]
문서
Fine, ''The Ancient Greeks'', 551
[25]
문서
Xenophon Hellenica, 4.8
https://www.perseus.[...]
[26]
서적
Trouble in the West: Egypt and the Persian Empire, 525-332 BC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28]
문서
harvp|Grimal|1992|pp=375–376
[29]
서적
Trouble in the West: Egypt and the Persian Empire, 525-332 B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31]
문서
harvp|Lloyd|1994|p=348
[3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33]
서적
CNG: CILICIA, Tarsos. Pharnabazos. Persian military commander, circa 380-374/3 BC. AR Stater (23mm, 10.62 g, 2h). Struck circa 378/7-374/3 BC.
https://www.cngcoins[...]
[34]
문서
harvp|Grimal|1992|p=377
[35]
간행물
The Silver Stater Issues of Pharnabazos and Datames from the Mint of Tarsus in Cilicia
American Numismatics Society
1986
[36]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Ⅷ、6
[37]
문서
ibid、Ⅷ、39
[38]
문서
コルネリウス・ネポス、9-10
[39]
문서
ディオドロス, XIV, 84
[40]
문서
투키디데스, ⅷ 6
[41]
문서
ibid, ⅷ 39
[42]
문서
코르넬리우스 네포스 9 - 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