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미 기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미 기체는 상호 작용하지 않는 페르미온의 집합을 이상적인 상태로 가정한 물리 모델이다. 파울리 배타 원리에 의해 동일한 양자 상태에 두 개 이상의 페르미온이 존재할 수 없으므로, 페르미 기체는 보즈 기체와 달리 에너지당 적은 수의 입자를 집중시킨다. 페르미 기체는 절대 영도에서도 압력을 가지며, 중성자별이나 백색 왜성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페르미 에너지, 페르미 온도, 페르미 운동량, 페르미 속도 등과 같은 관련 개념들이 있으며, 금속 내 전자, 백색 왜성 내 전자, 원자핵 내 핵자 등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페르미 기체 모델은 상대론적 페르미 기체와 페르미 액체 이론으로 확장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미온 - 쿼크
쿼크는 −⅓ 또는 +⅔ 기본 전하를 갖는 여섯 종류의 기본 입자로, 각각 반쿼크를 가지며, 하드론을 구성하고, 색전하를 지니며, 질량과 안정성이 다르고, 극한 조건에서 다양한 상을 나타내며, 이름은 소설에서 유래했다. - 페르미온 - 스쿼크
스쿼크는 현재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기체 - 밸브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작동 방식을 가지며,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 기체 - 배기가스
배기가스는 내연기관이나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배출물로, 이산화탄소, 수증기 외에도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며 대기오염, 산성비,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므로 배출량 저감을 위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통계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통계역학 - 상태 밀도
상태 밀도는 계에서 특정 에너지 준위에 존재할 수 있는 상태의 수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계의 종류, 차원, 분산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지며, 고체 물리학과 양자역학적 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페르미 기체 | |
---|---|
지도 | |
개요 | |
종류 | 페르미온의 가상 기체 |
상태 | 물질 상태의 하나 |
구성 입자 | 페르미온 |
상호작용 | 상호작용 없음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 |
통계 역학 | |
적용 통계 | 페르미-디랙 통계 |
분포 함수 | 페르미-디랙 분포 함수 |
특징 | |
에너지 준위 |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 |
파울리 배타 원리 | 단일 양자 상태에 둘 이상의 페르미온이 존재할 수 없음 |
절대 영도 | 모든 페르미온이 최저 에너지 준위를 채우지 않음 (페르미 에너지) |
페르미 에너지 | 가장 높은 채워진 에너지 준위 |
페르미 온도 | 페르미 에너지에 해당하는 온도 |
비열 |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 |
응용 | |
금속 내 전자 | 금속 내 자유 전자 모델 |
중성자별 | 중성자별 내부의 중성자 |
백색 왜성 | 백색 왜성 내부의 전자 |
반도체 | 반도체 내의 전자와 정공 |
원자핵 | 원자핵 내부의 핵자 |
역사 | |
개념 도입 | 엔리코 페르미 (1926년) |
관련 개념 | |
보스 기체 | 보손으로 구성된 가상 기체 |
페르미온 | 반정수 스핀을 갖는 입자 |
보손 | 정수 스핀을 갖는 입자 |
페르미-디랙 통계 | 페르미온에 대한 통계적 분포 함수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보손에 대한 통계적 분포 함수 |
2. 설명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 또는 자유 페르미 기체는 일정한 퍼텐셜 우물 내에 상호 작용하지 않는 페르미온들의 집합을 가정하는 물리적 모형이다. 페르미온은 반정수 스핀을 가진 기본 입자 또는 복합 입자이며 페르미-디랙 통계를 따른다. 정수 스핀 입자에 대한 동등한 모형은 보즈 기체(상호 작용하지 않는 보손들의 앙상블)라고 불린다. 충분히 낮은 입자 수 밀도와 높은 온도에서 페르미 기체와 보즈 기체 모두 고전적인 이상 기체처럼 행동한다.[3]
길이가 ''L''인 1차원 무한 사각 우물은 다음과 같은 퍼텐셜 에너지를 갖는 1차원 상자에 대한 모델이다.
파울리 배타 원리에 의해 어떤 양자 상태도 동일한 양자수 집합을 가진 하나 이상의 페르미온에 의해 점유될 수 없다. 따라서 보즈 기체와는 달리 상호 작용하지 않는 페르미 기체는 에너지당 소수의 입자를 집중시킨다. 따라서 페르미 기체는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으로 응축되는 것이 금지되지만, 약하게 상호 작용하는 페르미 기체는 쿠퍼 쌍을 형성하고 응축될 수 있다(또한 BCS-BEC 크로스오버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4] 절대 영도에서 페르미 기체의 총 에너지는 단일 입자 바닥 상태의 합보다 크다. 왜냐하면 파울리 원리는 페르미온을 분리하고 움직이게 유지하는 일종의 상호 작용이나 압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페르미 기체의 압력은 고전적인 이상 기체와는 달리 영도 온도에서도 0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이른바 축퇴압은 중성자별(중성자의 페르미 기체) 또는 백색왜성(전자의 페르미 기체)을 중력의 안쪽으로 향하는 끌어당김으로부터 안정화시키는데, 이는 별을 블랙홀로 붕괴시킬 것이다. 별이 축퇴압을 극복할 만큼 충분히 질량이 클 때만 특이점으로 붕괴될 수 있다.
기체가 축퇴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페르미 온도를 정의할 수 있다(그 압력은 거의 전적으로 파울리 원리에서 유도됨). 이 온도는 페르미온의 질량과 에너지 상태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금속 내의 비편재화된 전자를 설명하기 위한 자유 전자 모형의 주요 가정은 페르미 기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차폐 효과로 인해 상호 작용이 무시되므로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의 평형 특성과 동역학을 다루는 문제는 단일 독립 입자의 거동 연구로 축소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페르미 온도는 일반적으로 수천 켈빈이며, 따라서 인간의 응용 분야에서는 전자 기체를 축퇴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영도 온도에서 페르미온의 최대 에너지를 '''페르미 에너지'''라고 한다. 반대 격자 공간에서 페르미 에너지 표면을 페르미 표면이라고 한다.
거의 자유 전자 모형은 페르미 기체 모형을 수정하여 금속과 반도체의 결정 구조를 고려하는데, 여기서 결정 격자의 전자는 해당 결정 운동량을 가진 블로흐 전자로 대체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시스템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다루기 쉽고, 이 모형은 상호 작용을 다루는 더욱 고급 이론(예: 섭동 이론 사용)의 출발점을 형성한다.
페르미 입자의 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3차원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의 전 화학 포텐셜 (페르미 준위)는 좀머펠트 전개 ( 라고 가정)에 의해 온도 0의 페르미 에너지 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된다.
:
여기서 는 입자당 포텐셜 에너지, 는 볼츠만 상수, 는 온도이다.[15][16]
따라서 내부 화학 포텐셜 는 페르미 온도 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페르미 에너지와 근사적으로 같아진다. 금속에서의 페르미 온도는 105 켈빈 정도이므로, 상온(300 K)에서는 페르미 에너지와 내부 화학 포텐셜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3. 1차원 균일 기체
:
이것은 양자역학에서 표준적인 모델 시스템으로, 단일 입자에 대한 해가 잘 알려져 있다. 상자 내부의 퍼텐셜이 균일하기 때문에 이 모델은 1차원 균일 기체[5]라고 불린다. 하지만 입자의 총 개수가 적을 때 기체의 실제 수 밀도 분포는 마디와 반마디를 가질 수 있다.
에너지 준위는 단일 양자수 ''n''으로 표시되며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는 영점 에너지(게이지 고정의 한 형태로 임의로 선택될 수 있음), 은 단일 페르미온의 질량, 는 환산 플랑크 상수이다.
상자 안에 스핀을 갖는 ''N''개의 페르미온이 있을때, 두 개 이상의 입자가 동일한 에너지를 가질 수 없다. 같은 에너지를 갖는 두 입자는 스핀 업(+) 또는 스핀 다운(-)을 갖고, 각 에너지 준위에 대해 두 개의 상태를 만든다. 총 에너지가 가장 낮은(바닥 상태) 배열에서 ''n'' = ''N''/2까지의 모든 에너지 준위는 채워지고 그 이상의 준위는 비어 있다.
페르미 에너지의 기준을 으로 정의하면, 페르미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는 ''n'' = ''N''/2에서 평가된 바닥 함수이다.
3. 1. 열역학적 극한
열역학적 극한(열역학적 극한)에서 입자의 총 개수 ''N''은 매우 커서 양자수 ''n''을 연속적인 변수로 취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자 내의 전체 수 밀도 분포는 실제로 균일하다.
범위의 양자 상태 수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영점 에너지를 0으로 선택하면 다음 결과를 얻는다.
따라서 다음 범위에서:
양자 상태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축퇴도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상태 밀도는 다음과 같다.
최근 문헌[5]에서는 위의 를 때때로 "상태 밀도"라고도 한다. 그러나 는 시스템의 부피(이 1차원 경우에는 )의 계수만큼 와 다르다.
다음 공식을 기반으로:
열역학적 극한에서 페르미 에너지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4. 3차원 균일 기체
3차원 등방성 비상대론적 균일 페르미 기체의 경우는 '페르미 구'로 알려져 있다.
3차원 무한 사각 우물(즉, 변의 길이가 ''L''인 정육면체 상자)은 다음과 같은 퍼텐셜 에너지를 갖는다.
:
이제 상태는 세 개의 양자수 ''n''''x'', ''n''''y'', 그리고 ''n''''z''로 표시된다. 단일 입자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n''''x'', ''n''''y'', ''n''''z''는 양의 정수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와 같이 여러 상태가 같은 에너지를 갖는다(축퇴된 에너지 준위).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 또는 자유 페르미 기체는 상호 작용이 없는 페르미 입자들의 집합이라는 가정에 기반한 물리 모델이다. 이는 이상 기체의 양자역학적 해석으로, 페르미 입자를 고려한 경우이다. 백색왜성의 전자나 중성자별의 중성자, 금속이나 반도체의 결정격자 속을 움직이는 전자와 같은 주기적인 계에서, 이들을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로 다룸으로써 근사할 수 있다.[15][16] 이때 의사 운동량이나 결정 운동량(블로흐 파동)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상호 작용은 정의에 따라 무시되므로,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의 평형 특성이나 동역학을 다루는 문제는 하나의 독립적인 입자의 거동 연구로 귀결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다루기 쉬워지며, 예를 들어 섭동론과 같은 상호 작용을 다루는 더욱 발전된 이론을 위한 출발점을 제공한다.
페르미 입자의 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3차원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의 전 화학 포텐셜 (페르미 준위)는 좀머펠트 전개 ( 라고 가정)에 의해 온도 0의 페르미 에너지 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된다.[15][16]
:
여기서 는 입자당 포텐셜 에너지, 는 볼츠만 상수, 는 온도이다.
따라서 내부 화학 포텐셜 는 페르미 온도 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페르미 에너지와 근사적으로 같아진다. 금속에서의 페르미 온도는 105 켈빈 정도이므로, 상온(300 K)에서는 페르미 에너지와 내부 화학 포텐셜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4. 1. 열역학적 극한
상호작용하지 않는 N개의 스핀-1/2 페르미온이 상자 안에 들어 있을 때, N이 매우 커서 양자수 nx, ny, nz를 연속 변수로 취급할 수 있는 경우를 열역학적 극한이라고 한다. 이 극한에서 에너지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벡터 를 사용하면, 각 양자 상태는 다음 에너지 값을 갖는 n-공간의 한 점에 해당한다.
:
여기서 는 유클리드 길이 의 제곱이다. EF + E0보다 작은 에너지를 갖는 상태의 수는 nx, ny, nz가 모두 양수인 n-공간 영역에서 반지름 를 갖는 구 안에 있는 상태의 수와 같으며, 바닥 상태에서 이 수는 시스템 내 페르미온의 수와 같다.
:
위 식에서 계수 2는 두 가지 스핀 상태를, 계수 1/8은 모든 n이 양수인 영역에 있는 구의 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
이고, '''페르미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이는 페르미 에너지와 단위 부피당 입자 수(이 으로 대체될 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이 값은 영점 에너지 보다 높은 에너지를 갖는 가장 높은 에너지 입자(N번째 입자)의 에너지와 같다. N'번째 입자의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N개의 페르미온(페르미 구 내의 모든 N개의 에너지 상태를 차지함)으로 이루어진 페르미 구의 총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입자당 평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4. 1. 1. 축퇴압
열역학 제1법칙을 이용하면, 내부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압력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여기서 이 식은 페르미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유효하다. 이 압력을 '''축퇴압'''이라고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페르미온으로 구성된 계는 축퇴 물질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항성은 열압력(플라스마 및 복사)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어 붕괴를 피한다. 항성의 수명이 끝날 무렵, 열 과정이 약해지면 일부 항성은 전자 축퇴압에 의해서만 중력에 대해 지탱되는 백색왜성이 될 수 있다. 페르미 기체를 모델로 사용하면 찬드라세카르 한계, 즉 블랙홀이나 중성자별로 붕괴되기 전에 항성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질량(열에 의해 생성된 압력이 상당하지 않은 경우)을 계산할 수 있다. 중성자별은 주로 중성자로 구성된 항성이며, 중성자 축퇴압에 의해 붕괴를 피한다.
금속의 경우, 전자 축퇴압은 재료의 압축률 또는 체적 탄성률에 기여한다.
4. 1. 2. 화학 퍼텐셜
페르미온의 농도가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3차원 이상적 페르미 기체의 전체 화학 퍼텐셜 μ (페르미 준위)는 절대 영도 페르미 에너지 ''E''F와 다음과 같은 좀머펠트 급수 전개식으로 관련된다 (라고 가정).[6][7]:
여기서 ''T''는 온도이다.
따라서, 내부 화학퍼텐셜 μ-''E''0는 특성 페르미 온도 ''T''F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페르미 에너지와 거의 같다. 이 특성 온도는 금속의 경우 105 K 정도이며, 따라서 상온(300K)에서는 페르미 에너지와 내부 화학 퍼텐셜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4. 2. 여러 값
3차원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의 전 화학 포텐셜 (페르미 준위)는 좀머펠트 전개( 라고 가정)에 의해 온도 0의 페르미 에너지 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15][16]:
여기서 는 입자당 포텐셜 에너지, 는 볼츠만 상수, 는 온도이다.
따라서 내부 화학 포텐셜 는 페르미 온도 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페르미 에너지와 근사적으로 같아진다. 금속에서의 페르미 온도는 105 켈빈 정도이므로, 상온(300 K)에서는 페르미 에너지와 내부 화학 포텐셜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4. 2. 1. 금속
자유 전자 모형에 따르면, 금속 내의 전자는 균일한 페르미 기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금속에서 전도 전자의 수 밀도는 약 1028에서 1029개의 전자/m3 범위이며, 이는 일반적인 고체 물질에서 원자의 전형적인 밀도와 비슷하다. 이러한 수 밀도는 대략 2 ~ 10 eV 크기의 페르미 에너지를 생성한다.[8] 여기서 ''me''는 전자 질량이다. 이 페르미 에너지는 약 106 켈빈의 페르미 온도에 해당하며, 이는 태양 표면 온도보다 훨씬 높다. 따라서 어떤 금속이든 대기압 하에서 이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끓어오르기 때문에, 실용적인 목적에서 금속은 0도에 가까운 페르미 기체로 간주할 수 있다.금속의 전 화학 포텐셜 (페르미 준위)은 좀머펠트 전개를 통해 온도 0의 페르미 에너지와 관계를 맺는다. 금속에서의 페르미 온도는 105 켈빈 정도이므로, 상온(300 K)에서는 페르미 에너지와 내부 화학 포텐셜은 거의 같다.
4. 2. 2. 백색왜성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지만, 반지름은 약 100분의 1에 불과한 항성을 백색왜성이라고 한다. 백색왜성은 밀도가 매우 높아 전자가 더 이상 단일 원자핵에 속박되지 않고 축퇴된 전자 기체를 형성한다. 백색왜성에서 전자의 수 밀도는 약 1036 전자/m3이며, 이는 페르미 에너지가 다음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백색왜성의 전자나 중성자별의 중성자의 거동은 이들을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로 다룸으로써 근사할 수 있다.[15][16]
4. 2. 3. 원자핵
원자핵의 반지름은 대략 다음과 같다.: (1.25 × 10⁻¹⁵ m) × A¹/³
여기서 ''A''는 핵자의 수이다.
따라서 원자핵 내 핵자의 수 밀도는 다음과 같다.
: A / (4/3πR³) ≈ 1.2 × 10⁴⁴ m⁻³
페르미 에너지는 같은 종류의 페르미온에만 적용되므로 이 밀도는 2로 나누어야 한다. 중성자의 존재는 원자핵 내 양성자의 페르미 에너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원자핵의 페르미 에너지는 대략 다음과 같다.
: (ħ²/2mρ) × (3π²(6 × 10⁴³) / 1 m³)⅔ ≈ 3 × 10⁷ eV = 30 MeV
여기서 mρ는 양성자 질량이다.
원자핵의 반지름은 위에서 언급된 값 주변에서 편차를 허용하므로, 페르미 에너지의 전형적인 값은 일반적으로 38 MeV로 주어진다.
5. 임의 차원 균일 기체
임의 차원 균일 기체는 보스 기체, 자유 전자 모델, 상자 안의 기체, 이상 기체와 관련이 있다.
d차원에서 상태 밀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페르미 에너지는 입자의 입자 밀도를 통해 얻을 수 있다.
:
따라서,
:
여기서 는 d차원 부피이고, 는 내부 힐베르트 공간의 차원이다. 스핀-의 경우 모든 에너지가 두 배로 축퇴되어 이다.
d=2일 때, 상태 밀도는 에너지에 의존하지 않는 상수가 된다.
:
5. 1. 상태 밀도
d차원에 대한 부피 적분을 사용하면 상태 밀도는 다음과 같다.:
페르미 에너지는 입자의 입자 밀도를 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
다음을 얻는다.
:
여기서 는 해당하는 d차원 부피이고, 는 내부 힐베르트 공간의 차원이다. 스핀-의 경우, 모든 에너지는 두 배로 축퇴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 이다.
d=2일 때 특별한 결과를 얻는데, 이때 상태 밀도는 상수가 된다(에너지에 의존하지 않음).
:
6. 조화 포텐셜 내 페르미 기체
조화 포텐셜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는 현대 물리학에서 많은 응용 분야를 갖는 모델 시스템이다.[5] 주어진 스핀 종류에 대한 상태 밀도(더 정확하게는 축퇴도)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조화 진동 주파수이다.
주어진 스핀 종류에 대한 페르미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7. 관련 페르미 양
'''페르미 온도'''는 Fermi temperature영어로 정의되며, 여기서 는 볼츠만 상수이다. 페르미 온도는 열 효과가 페르미 통계와 관련된 양자 효과와 비슷한 온도로 생각할 수 있다.[9] 금속의 페르미 온도는 상온보다 두 자릿수 정도 높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의된 다른 양으로는 '''페르미 운동량''' Fermi momentum영어과 '''페르미 속도'''[10] Fermi velocity영어가 있는데, 이는 각각 페르미 표면에서의 페르미온의 운동량과 군 속도이다. 페르미 운동량은 로도 설명할 수 있으며, 여기서 는 페르미 구의 반지름이고 '''페르미 파수 벡터'''라고 한다.[11]
페르미 표면이 비구형인 경우 이러한 양들은 잘 정의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8. 유한 온도에서의 취급
페르미 입자의 농도가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3차원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의 전 화학 포텐셜 (페르미 준위)는 좀머펠트 전개( 가정)를 통해 온도 0의 페르미 에너지 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15][16]
:
여기서 는 입자당 포텐셜 에너지, 는 볼츠만 상수, 는 온도이다.
따라서 내부 화학 포텐셜 는 페르미 온도 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페르미 에너지와 근사적으로 같아진다. 금속에서의 페르미 온도는 105 켈빈 정도이므로, 상온(300K)에서는 페르미 에너지와 내부 화학 포텐셜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8. 1. 그랜드 정준 앙상블
열역학 퍼텐셜을 유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고정된 온도, 부피 및 화학 퍼텐셜 μ를 갖는 그랜드 정준 앙상블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파울리 배타 원리 때문이다. 각 양자 상태의 점유 수는 1 또는 0(상태를 점유하는 전자가 있거나 없거나)으로 주어지므로 (그랜드) 분배 함수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이고, 는 동일한 총 에너지 와 입자 수 를 주는 모든 가능한 미시 상태의 앙상블을 색인하며, 는 상태 의 단일 입자 에너지(상태의 에너지가 축퇴되어 있는 경우 두 배로 계산됨)이고 은 점유율이다. 따라서 그랜드 퍼텐셜은 다음과 같이 작성된다.
:
같은 결과는 정준 앙상블과 미시 정준 앙상블에서도 얻을 수 있다. 모든 앙상블의 결과는 열역학적 극한 에서 동일한 값을 가져야 한다. 그랜드 정준 앙상블이 여기서 권장되는 이유는 조합론과 팩토리얼의 사용을 피하기 때문이다.
거시적 극한에서 이 합을 적분으로 변환하는 연속 근사(토마스-퍼미 근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총 상태 밀도이다.
8. 2. 페르미-디랙 분포와의 관계
그랜드 퍼텐셜은 유한 온도에서 입자 수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미분은 일정한 온도와 부피에서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식이 나타난다.
:
이는 페르미-디랙 분포로도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총 내부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9. 모델 확장
페르미 기체 모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물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 보스 기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보이는 입자들의 시스템을 설명한다.
- 자유 전자 모델: 금속 내 전자의 거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모델이다.
- 상자 안의 기체: 특정 경계 조건 내에 갇힌 입자들의 거동을 연구하는 모델이다.
- 이상 기체: 상호작용이 없는 입자들로 구성된 가상의 기체를 다루는 모델이다.
9. 1. 상대론적 페르미 기체
입자가 각각의 정지 질량에 가까운 에너지를 가질 경우, 특수 상대성 이론 방정식이 적용된다. 단일 입자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 시스템의 페르미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
여기서 등호는 극상대론적 한계에서만 유효하며,[13]
:
상대론적 페르미 기체 모델은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가까운 질량이 큰 백색왜성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극상대론적 경우, 축퇴 압력은 에 비례한다.
9. 2. 페르미 액체
1956년, 레프 란다우는 페르미 액체 이론(Fermi liquid theory)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은 페르미온 사이에 반발력이 작지 않은 계, 즉 페르미 액체의 경우를 다룬다. 페르미 액체 이론은 이상적인 페르미 기체와 페르미 액체의 열역학적 성질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페르미 액체는 각각 다른 유효 질량과 자기 모멘트를 가진 집합적 여기(collective excitation) 또는 준입자로 구성된 페르미 기체와 동등하다고 볼 수 있다.[15]10. 같이 보기
- 보스 기체
- 자유 전자 모델
- 상자 안의 기체
- 이상 기체
참조
[1]
논문
Zur Quantelung des idealen einatomigen Gases
https://ethw.org/w/i[...]
1926-11-01
[2]
arXiv
On the Quantization of the Monoatomic Ideal Gas
1999
[3]
서적
Statistical Mechan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3-09
[4]
논문
Observation of Resonance Condensation of Fermionic Atom Pairs
2004-01-28
[5]
논문
Theory of ultracold atomic Fermi gases
https://link.aps.org[...]
2008-10-02
[6]
웹사이트
Statistical Mechanics of Ideal Fermi Systems
http://www.uam.es:80[...]
2018-03-15
[7]
웹사이트
Degenerate Ideal Fermi Gases
http://www.physics.u[...]
2014-04-13
[8]
웹사이트
Fermi Energies, Fermi Temperatures, and Fermi Velocities
http://hyperphysics.[...]
HyperPhysics
2018-03-21
[9]
웹사이트
PHYS 3700: Introduction to Quantum Statistical Thermodynamics
http://www.physics.u[...]
2018-03-21
[10]
웹사이트
Fermi level and Fermi function
http://hyperphysics.[...]
HyperPhysics
2018-03-21
[11]
서적
Solid State Physics
https://archive.org/[...]
Henry Holt and Company|Holt, Rinehart and Winston
[12]
서적
Concepts in Thermal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3]
서적
Thermodynamics and Statistical Mechanics
https://archive.org/[...]
Springer, New York, NY
1995
[14]
웹사이트
http://www.conferenc[...]
2023-10
[15]
웹사이트
http://www.uam.es/pe[...]
2023-10
[16]
웹사이트
http://www.physics.u[...]
202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