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어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어 문자는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등 초기 문명에서 사용된 문자 체계 중 하나로, 각 문자가 단어 또는 형태소를 나타낸다. 표어 문자는 리버스 원리를 사용하여 문자 집합을 확장하며, 한자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한자는 그림 문자, 표의 문자, 회의, 형성, 전주, 가차 등 6가지 구성 원리에 따라 분류된다. 표어 문자는 발음과 글자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암기해야 할 문자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정보 기술에서는 입력 방식과 글리프의 수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소 (언어학) - 기수법
기수법은 수를 나타내는 방법 또는 체계로, 십진법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일진법, 명수법, 위치값 기수법 등으로 분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은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기반으로 위치값 기수법의 발전과 0의 도입으로 수학적 계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 자소 (언어학) - 자체
자체는 고고학에서 새겨진 상징물, 타이포그래피에서 문자의 모양이나 디자인을 뜻하며, 한자 문화권에서는 글자의 자종, 글자꼴, 자형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로, 유니코드에서는 이체자 선택기를 통해 다양한 글자체를 지원한다. - 표어문자 - 예서
예서는 중국 서체의 한 종류로, 전서에서 파생되어 한나라 시대에 주요 서체로 사용되었으며, 획이 가로로 길고 파책을 특징으로 하며, 서예 분야에서 꾸준히 계승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표어문자 - 서하 문자
서하 문자는 1036년 야리인영이 창제한 약 6,000자로 구성된 서하 왕조의 고유 문자 체계로, 한자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구조를 지니며 정부 공식 문서 및 불경 번역 등에 사용되었고, 서하 멸망 후에도 사용 기록이 있으며, 현재 유니코드에 6,145자 이상이 등재되어 일부 글자에는 중국에 대한 대항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표어문자 |
---|
2. 분류
중국 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한자를 육서라고 하는 구성 원리에 따라 여섯 가지로 분류해 왔다.
처음 두 종류는 독체자인데, 이는 문자가 다른 한자와 독립적으로 만들어졌음을 의미한다. 상형 문자와 표의문자는 실제로 중국어 표의 문자의 일부만을 차지한다.[19] 한자 쓰기에서 더 생산적인 방식은 두 개의 "합성" 방식인데, 이는 문자가 다른 문자로부터 만들어졌음을 뜻한다. "합성"이라고 불리지만, 이 표어 문자들은 여전히 단일 문자이며 다른 표어 문자와 마찬가지로 같은 양의 공간을 차지한다. 마지막 두 종류는 문자 자체의 형성이 아닌 문자의 사용 방식에 따른 것이다.
한자 쓰기에서 가장 생산적인 방식인 어근음성표기(radical-phonetic)는 중국어의 음성 시스템이 풍부한 동음이의어를 허용하고, 고대 중국어의 발음에서 나온 이론에 따라 음성의 유사 성조를 보통 무시하기 때문에 가능했다. 오랜 기간의 언어 혁명으로 인해 어근음성표기의 복합에 따른 "문자에 포함된 구성 요소 힌트들"은 현대 언어에서 종종 유용하지 않고 오해를 낳기 쉽다.
표어 문자는 최초의 문자 체계를 포함하며,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메소아메리카의 최초 역사 문명은 어떤 형태의 표어 문자를 사용했다.[1][2]
자연 언어에 사용된 모든 표어 문자는 비교적 제한된 표어 문자 집합을 확장하기 위해 리버스 원리에 의존한다. 문자 집합의 하위 집합은 자음 또는 음절의 음성 값으로 사용된다. '''음절 문자'''는 음성 영역이 음절일 때 이러한 문자의 부분적인 음성적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대 이집트 상형 문자, Ch'olti' 및 중국어에서는 가능한 의미를 좁히기 위해 표어 문자와 결합된 결정사의 추가적인 개발이 있었다. 중국어에서는 음성적으로 사용되는 표어 문자 요소와 융합되었다. 이러한 "부수와 음성" 문자는 스크립트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고대 이집트와 중국은 리버스의 활성 사용을 외래어와 방언 단어의 철자로 제한했다.
한자는 한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가 되는 중국어의 형태소를 각각 한 글자씩 표기하므로, 체계적인 표어 문자의 대표적인 예이다.
하나하나의 문자가 음소나 음절을 나타내며 의미에 대응하지 않는 문자 체계를 표음 문자라고 한다. 표어 문자가 원칙적으로 단독 문자로 의미를 지니는 데 반해, 표음 문자는 특정 순서로 연결되어 단어의 발음을 나타냄으로써 의미를 지닌다. 형식적으로 바꾸어 말하면, 표어 문자는 언어의 이중 분절 중 1차 분절의 레벨에서 언어를 표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라비아 숫자처럼, 각각의 문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명확하지만, 언어의 발음과의 연관성이 약하다고 여겨지는 문자 체계를 표의 문자라고 부른다. 한자나 고대 이집트 문자 등도 표의 문자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들은 발음도 나타내고 있으며, 문자 체계의 분류에서는 형태소를 가지는 것은 표어 문자로 여겨진다.[17]
표어 문자의 많은 부분은 상형 문자에 기원을 둔다.[18] 상형 문자가 주로 구체적인 사물을 나타내는 기호만을 가지는 문자 체계인 데 반해, 표어 문자는 언어의 단어나 형태소의 거의 모든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것이 가능해진 것은 다음의 기법을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 회의 - 다른 의미를 가진 문자를 조합하여, 더 복잡한 의미를 가진 문자를 만들어내는 기법
- 형성 - 다음을 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만들어내는 기법
- 성부 - 단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
- 의부 - 의미 범주를 나타내는 기호
같은 표어 문자의 문자 체계에서도, 언어에 따라 사용되는 문자의 수나 종류가 다르다. 이것은 각 시대, 지역의 각 언어의 실정에 맞도록, 각 언어에서 독자적으로 문자의 취사선택이나 확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자와 같이 많은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 체계의 경우, 하나의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수에 비해, 문자 체계에 속하는 문자를 모두 모은 수는 상당히 많다.
3. 의미 및 음성적 차원
모든 역사적인 표어문자 체계는 음성적 차원을 포함하는데, 이는 언어의 모든 단어나 형태소에 대해 별도의 기본 문자를 갖는 것이 비실용적이기 때문이다.[1] 많은 표어문자 체계는 의미/표의 문자적 요소(상형 문자 참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집트어의 경우 "부수", 중국어의 경우 "부수"라고 한다. 전형적인 이집트어 사용법은 여러 발음을 가진 여러 단어를 나타낼 수 있는 표어 문자에 의미를 좁히기 위한 부수와 발음을 구체화하기 위한 음성적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었다. 마야 문자 체계는 이집트어와 같이 음성 보완자를 가진 표어 문자를 사용했지만, 표의 문자적 요소는 없었다.
4. 한자
중국 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한자를 구성 원리에 따라 육서라고 부르는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왔다. 처음 두 종류는 독체자(단독체)로, 다른 한자와 독립적으로 만들어졌다. 상형 문자와 지사 문자는 실제로 중국어 표어 문자의 일부만을 차지한다. 나머지 유형은 다른 문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만드는 방식인 합체자이다.
한자 쓰기에서 가장 생산적인 방식은 어근음성표기(radical-phonetic)인데, 이는 중국어의 음성 시스템이 풍부한 동음이의어를 허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러나 언어의 오랜 기간의 변화 때문에, 어근음성표기의 복합에 따른 "문자들에 포함된 그러한 구성 요소 힌트들"이 가끔 유용하지 않고 현대 언어 속에서 오해를 낳기 쉽다.[19]
한자는 한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가 되는 중국어의 형태소를 각각 한 글자씩 표기하므로, 체계적인 표어 문자의 대표적인 예이다. 표어 문자는 각각의 문자가 음소나 음절을 나타내며 의미에 대응하지 않는 표음 문자와는 다르게, 원칙적으로 단독 문자로 의미를 지닌다.
한편 아라비아 숫자처럼, 각각의 문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명확하지만, 언어의 발음과의 연관성이 약하다고 여겨지는 문자 체계를 표의 문자라고 부른다. 한자나 고대 이집트 문자 등도 표의 문자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들은 발음도 나타내고 있으며, 문자 체계의 분류에서는 형태소를 가지는 것은 표어 문자로 여겨진다.[17]
표어 문자의 많은 부분은 상형 문자에 기원을 둔다.[18] 상형 문자가 주로 구체적인 사물을 나타내는 기호만을 가지는 문자 체계인 데 반해, 표어 문자는 언어의 단어나 형태소의 거의 모든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같은 표어 문자 체계에서도, 언어에 따라 사용되는 문자의 수나 종류가 다르다. 이것은 각 시대, 지역의 각 언어의 실정에 맞도록, 각 언어에서 독자적으로 문자의 취사선택이나 확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자와 같이 많은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 체계의 경우, 하나의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수에 비해, 문자 체계에 속하는 문자를 모두 모은 수는 상당히 많다.
4. 1. 육서
육서는 한자를 구성하는 원리에 따라 분류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중국 학자들은 한자를 구성 원리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해 왔다.육서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글자와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단독체" 문자와, 여러 문자를 조합하거나 문자의 사용 방법을 달리한 "복합" 문자이다.

- 단독체 문자:
- 상형: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 지사: 추상적인 개념을 기호로 나타낸 글자이다.
- 복합 문자:
- 회의: 뜻을 나타내는 부분을 결합하여 만든 글자이다.
- 형성: 뜻을 나타내는 부분과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을 결합하여 만든 글자이다. 한자의 대부분은 형성자이다.
- 전주: 원래 글자의 뜻이나 음이 변화하여 다른 글자로 분화된 것이다.
- 가차: 원래 글자가 없는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다른 글자를 빌려 쓰는 것이다.
형성은 한자를 만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고대 중국어에서는 음운 체계의 특정 구분을 무시했기 때문에, 성조를 제외하고 발음이 정확히 일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음운 변화가 일어나 현대에는 형성자의 구성 요소가 발음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에서 '각'을 뜻하는 每(měi)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侮(wǔ, 굴욕), 悔(huǐ, 후회), 海(hǎi, 바다)는 고대 중국어에서는 발음이 매우 유사했지만, 현재는 완전히 다르게 발음된다.[4]
한자는 한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가 되는 중국어의 형태소를 각각 한 글자씩 표기하므로, 체계적인 표어 문자의 대표적인 예이다. 표어 문자는 각각의 문자가 음소나 음절을 나타내며 의미에 대응하지 않는 표음 문자와는 다르게, 원칙적으로 단독 문자로 의미를 지닌다.
4. 1. 1. 상형
그림 문자는 표현하려는 형태소의 그림 표현이다. 예를 들어 '산'을 뜻하는 山|산중국어이 있다.[3]4. 1. 2. 지사
지사는 추상적인 개념을 시각화한 표의 문자이다. 예를 들어 '위'를 뜻하는 上|shàng중국어와 '아래'를 뜻하는 下|xià중국어가 있다. 표의 문자로 간주되는 것에는 표의 지표가 있는 그림 문자가 있는데, 예를 들어 刀|dāo중국어는 '칼'을 뜻하는 그림 문자이고, 刃|rèn중국어는 '칼날'을 뜻하는 표의 문자이다.[3]4. 1. 3. 회의
회의는 문자의 각 요소(부수)가 의미를 암시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것이다. 예를 들어 '휴식'을 뜻하는 休|휴중국어는 '사람'(人|인중국어)과 '나무'(木|목중국어)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군가가 나무에 기대어 쉬고 있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3]4. 1. 4. 형성
뜻과 소리의 결합은 한 요소(부수)는 문자의 일반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다른 요소(소리)는 발음을 암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樑|liáng중국어은 소리 부분인 梁|liáng중국어이 문자의 발음을 나타내고, 부수인 木|나무중국어는 '지지하는 들보'의 의미를 나타낸다.[3] 이러한 유형의 문자는 한자의 약 90%를 차지한다.[3]4. 1. 5. 전주
'''전주'''(轉注)는 원래는 동일한 문자였지만 철자법과 종종 의미론의 변화를 통해 분화된 문자이다. 예를 들어, 樂 / 乐중국어는 '음악'(''yuè'')과 '즐거움'(''lè'')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3]4. 1. 6. 가차
가차는 고유한 구어 단어에 해당하는 문자가 없을 때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리를 가진 다른 문자를 빌려 사용하는 것이다. 自중국어는 원래 '코'를 의미하는 그림 문자였지만, '자신'을 의미하는 단어로 차용되었고, 현재는 후자의 의미로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된다. 원래 의미는 고정된 구절과 더 오래된 단어에서만 남아 있다. 파생 과정 때문에, 일본어의 모든 가나를 이 유형의 문자로 간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름이 ''가나''(가나: '빌린 이름')이다. 예시: 일본어 仮名일본어; 仮일본어는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假중국어의 간체이며, 假借중국어는 이 유형의 문자에 대한 중국어 명칭이다.[3]4. 2. 한자의 음운 변화
뜻과 소리의 결합은 음절의 음운 체계에서 특정 구분을 무시함으로써 가능해졌다. 고대 중국어에서 종결 자음 와 는 일반적으로 무시되었으며, 이는 성조로 발전하여 중국어 방언에서 새로운 문자를 만들 때 마찬가지로 무시되었다. 또한, 기음성(유기음 대 무기음 파열음), 유성음 대 무성음 공명음)의 차이, 고대 중국어에서 A형 음절과 B형 음절의 차이(종종 구개음화 또는 인두음화)의 유무로 묘사됨), 때로는 초기 파열음의 유성음화 및/또는 초기 자음 뒤에 중간 의 존재도 무시되었다. 초창기에는 더 큰 음운적 자유가 일반적으로 허용되었다. 중국어 방언 시대에는 새로 만들어진 문자가 성조를 제외하고 발음과 정확히 일치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종종 소리 구성 요소로, 자체적으로 뜻과 소리의 결합인 문자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언어 진화의 오랜 기간으로 인해, 뜻과 소리의 결합이 제공하는 문자의 구성 요소 "힌트"는 현대 사용에서 때로는 쓸모없고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에서 ''měi''로 발음되는 '각'을 뜻하는 每중국어를 기반으로, '굴욕'을 뜻하는 侮중국어, '후회'를 뜻하는 悔중국어, '바다'를 뜻하는 海중국어는 각각 만다린어로 ''wǔ'', ''huǐ'', ''hǎi''로 발음된다. 이 세 문자는 고대 중국어에서 매우 유사하게 발음되었다. 최근 윌리엄 H. 벡스터와 로랑 사가르의 재구성에 따르면 (每), (悔), (海)였지만,[4] 약 3,000년의 기간 동안의 음운 변화 (마지막 두 문자의 경우 두 가지 다른 방언적 발전 포함)로 인해 완전히 다른 발음이 발생했다.
4. 3. 한국어와 일본어에서의 한자
많은 중국어 단어가 문자 표현과 함께 한국어와 일본어로 차용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의미만을 기준으로 고유한 한국어 및 일본어 형태소를 나타내기 위해 문자가 차용되기도 했다. 그 결과, 단일 문자가 여러 언어를 걸쳐 다른 기원을 가지지 않는 비슷한 뜻을 가진 여러 개의 형태소를 표현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어의 칸지와 한국어의 한자는 자주 형태소적인 필기 시스템으로 불린다.[5]5. 표어 문자와 표음 문자의 처리 차이
뇌의 언어 처리에 대한 많은 연구는 영어 및 기타 알파벳 표기 언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표어 문자와 표음 문자를 비교하면 서로 다른 언어가 서로 다른 처리 메커니즘에 의존하는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 표어 문자 언어는 알파벳 언어보다 이미지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오른쪽 뇌 활성화가 더 두드러질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6] 몇몇 연구에서 이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지만, 반구 측면화가 정자법적으로 표기된 언어와 음성적으로 표기된 언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최종 결론을 내리기에는 상반되는 결과가 너무 많다.
동음이의어 처리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Verdonschot 외.[7]는 동음이의어 문자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8] 그림이 문자 앞에 제시되었을 때, 그 동음이의어를 소리내어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의 차이를 조사했다. 일본어와 중국어 동음이의어가 모두 조사되었다. 알파벳 표기 언어(예: 영어)의 단어 생성은 맥락 자극의 영향에 비교적 강한 면역력을 보여주는 반면,[9][10] 일본어 동음이의어가 이러한 유형의 영향에 특히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참가자에게 대상 문자를 소리내어 읽도록 요청하기 전에 음운적으로 관련된 그림이 제시되었을 때 반응 시간이 더 짧았다. 연구에서 음운적으로 관련된 자극의 예로는, 참가자에게 또한 ''zou''로 읽히는 중국어 문자 造중국어를 제시하기 전에 일본어로 ''zou''라고 발음되는 코끼리 그림을 제시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중국어 단어를 읽는 반응 시간에서는 음운적으로 관련된 맥락 그림의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일본어는 60% 이상의 동형이음어(두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문자)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대부분의 중국어 문자는 하나의 읽기만 가지고 있다. 두 언어 모두 표어문자 방식이므로, 맥락 효과로 인한 일본어와 중국어의 발화 시간 차이는 언어의 표어문자적 특성으로 귀착될 수 없다. 대신, 저자들은 발화 시간 차이가 일본어의 추가 처리 비용 때문이라고 가설을 세웠는데, 일본어에서는 화자가 직접적인 정자법-음운론 경로에만 의존할 수 없고, 정확한 발음을 선택하기 위해 어휘-통사론적 수준의 정보에도 접근해야 한다. 이 가설은 문자에 대한 이해가 악화된 일본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단어를 특별한 어려움 없이 소리내어 읽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에 의해 확인되었다.[11][12]
어휘 결정 과제에서 영어와 중국어 동음이의어 처리를 비교한 연구는 중국어에서는 동음이의어 처리에 이점을 보이고, 영어에서는 불리함을 보였다.[13] 영어의 처리 불리함은 일반적으로 영어의 상대적인 동음이의어 부족으로 설명된다. 동음이의어가 나타나면, 해당 단어의 음운적 표현이 먼저 활성화된다. 그러나 이것은 모호한 자극이기 때문에, 자극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정확한 발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정자법/어휘("정신적 사전") 수준에서 일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반대로, 동일한 읽기를 가진 많은 문자가 존재하는 언어(예: 중국어)에서는, 문자를 읽는 사람이 동음이의어에 더 익숙해지고, 이러한 친숙함이 문자의 처리와 그에 따른 정확한 발음 선택을 돕고, 자극에 집중할 때 반응 시간을 단축시킨다고 가설을 세운다.
동음이의어가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Hino 외.[9]는 일본어를 대상으로 일련의 실험을 수행했다. 친숙도를 통제하면서, 그들은 중국어에서 이전에 발견된 것과 유사하게 일본어에서 동음이의어가 비동음이의어보다 처리상의 이점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또한 정자법적으로 유사한 동음이의어가 영어 동음이의어의 경우처럼 처리상의 불리함을 보일지[14] 테스트했지만, 이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표어문자 방식의 언어와 알파벳 표기 언어에서 동음이의어가 처리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표어문자 방식 언어인 일본어와 중국어의 동음이의어 처리 이점(즉, 그들의 문자 체계)이 문자의 표어문자적 특성 때문인지, 아니면 단순히 스크립트 특성과 관계없이 더 많은 동음이의어를 가진 언어의 이점을 반영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6. 장점과 단점
표어 문자는 글자가 발음과 직접 연결되지 않아, 독자가 발음이나 작가의 언어를 몰라도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숫자 '1'은 "one", "ichi", "wāḥid" 등 어떻게 부르든 이해된다. 서로 다른 중국어 방언 사용자들은 구어로는 소통이 어려워도, 표준 중국어로 쓰면 상당 부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베트남, 한국, 일본에서는 근대 이전 고전 중국어를 사용한 필담이 동아시아 국제 무역 및 외교의 규범이었다.[19]
하지만 읽고 쓰는 법을 배울 때 발음과 별개로 표어 문자를 암기해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일본어는 거의 모든 표어 문자가 여러 발음을 갖는다는 복잡성도 있는데, 이는 표어 문자 자체의 특징이 아니라 일본어의 고유한 발전 역사 때문이다. 반면, 음성 문자는 말하는 대로 쓰지만, 약간의 발음 차이로 의미가 모호해질 수 있다. 그리스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핀란드어 등은 문자와 소리 사이의 거의 일대일 관계를 유지하면서 단어 표기 방식을 표준화하는 실용적인 타협을 한 알파벳 체계이다. 영어, 프랑스어, 태국어, 티베트어 등은 문자 조합이 종종 여러 방식으로 발음되어 더 복잡하며, 이는 대개 역사에 따른 것이다. 한글은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표어 문자인 한자를 대체하도록 설계된 알파벳 문자이다. 한자는 현재 한국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때때로 한글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19]
6. 1. 쓰기와 발음의 분리
표어 문자는 글자가 발음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독자가 발음이나 작가의 언어를 몰라도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숫자 '''1'''은 "one", "ichi", "wāḥid" 등 어떻게 부르든 이해된다. 서로 다른 중국어 방언 사용자들은 구어로는 소통이 어려워도, 표준 중국어로 쓰면 상당 부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베트남, 한국, 일본에서는 근대 이전 고전 중국어를 사용한 필담이 동아시아 국제 무역 및 외교의 규범이었다.[19]하지만 읽고 쓰는 법을 배울 때 발음과 별개로 표어 문자를 암기해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일본어는 거의 모든 표어 문자가 여러 발음을 갖는다는 복잡성도 있는데, 이는 표어 문자 자체의 특징이 아니라 일본어의 고유한 발전 역사 때문이다. 반면, 음성 문자는 말하는 대로 쓰지만, 약간의 발음 차이로 의미가 모호해질 수 있다. 그리스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핀란드어 등은 문자와 소리 사이의 거의 일대일 관계를 유지하면서 단어 표기 방식을 표준화하는 실용적인 타협을 한 알파벳 체계이다. 영어, 프랑스어, 태국어, 티베트어 등은 문자 조합이 종종 여러 방식으로 발음되어 더 복잡하며, 이는 대개 역사에 따른 것이다. 한글은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표어 문자인 한자를 대체하도록 설계된 알파벳 문자이다. 한자는 현재 한국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때때로 한글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19]
6. 2. 정보 기술에서의 문자
복잡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입력 키의 수에 실질적인 제한이 있어 전자 장치에서 번거로울 수 있다. 표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방식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창힐과 오비 입력법과 같이 구성 요소로 분해하거나, 주음 부호 또는 병음과 같이 단어를 발음대로 입력한 다음 일치하는 표어 문자 목록에서 선택하는 음성 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의 방식은 (선형적으로) 더 빠르지만 배우기 더 어렵다. 그러나 중국어 자모 시스템의 경우, 표어 문자를 구성하는 획을 일반적으로 쓰는 대로 입력하고, 해당 표어 문자를 입력한다.또한 글리프의 수로 인해, 프로그래밍 및 컴퓨팅 전반에서 각 글자 모양을 저장하기 위해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며, 문자 집합이 더 커진다. 비교하자면, ISO 8859는 각 글자 모양당 하나의 바이트만 필요하지만, UTF-8로 인코딩된 기본 다국어 평면은 최대 3바이트가 필요하다. 반면, 영어 단어는 예를 들어 단어당 평균 다섯 글자와 공백이 필요하므로[16] 단어당 6바이트가 필요하다. 많은 표어 문자가 두 개 이상의 글자 모양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어느 것이 더 메모리 효율적인지 명확하지 않다. 가변 길이 인코딩을 사용하면 유니코드와 같은 통합 문자 인코딩 표준이 문자를 표현하는 데 필요한 바이트만 사용하므로, 더 작은 문자 집합과 더 큰 문자 집합을 병합하는 결과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7. 현대 한국 사회와 한자
한자는 형태소적인 필기 시스템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많은 중국어 형태소를 포함한 중국어 낱말들은 저들만의 글자 표현 방식과 더불어 한국어로 차용되었다. 이러한 경우, 형태소와 문자들은 함께 차용된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문자들은 뜻 그대로 순수 한국어 형태소를 표현하는 데 차용되기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Writing – History of writing systems
https://www.britanni[...]
2022-04-10
[2]
문서
Cuneiform was kind of a logography.
[3]
서적
Information Analysis of Usage of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Shanghai Education Publisher
1993
[4]
웹사이트
Baxter-Sagart Old Chinese reconstruction
http://lodel.ehess.f[...]
2011-02-20
[5]
서적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Approach
Blackwell Publishing
2005
[6]
논문
Hemispheric asymmetry in the processing of Japanese script
[7]
논문
Homophonic context effects when naming Japanese kanji: evidence for processing costs
https://openaccess.l[...]
2011
[8]
논문
Semantic context effects when naming Japanese kanji, but not Chinese hànzì
2010
[9]
논문
The Processing Advantage and Disadvantage for Homophones in Lexical Decision Tasks
2012
[10]
논문
Homophonic context effects when naming Japanese kanji: Evidence for processing costs
https://openaccess.l[...]
2011
[11]
논문
Kanji predominant alexia in advanced Alzheimer's disease
1998
[12]
논문
Reading kanji without semantic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dementia
1992
[13]
문서
See Hino et al. (2012) for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14]
논문
The activation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by bilinguals while reading silently: Evidence from interlingual homophones
[15]
웹사이트
현판 글씨들이 한글이 아니라 한자인 이유는?
http://www.royalpala[...]
2017-11-26
[16]
웹사이트
Sentence and word length
http://hearle.nahoo.[...]
self-published
2007-05-27
[17]
서적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18]
문서
言語との結びつきはないが、何らかの意味を表す図像を絵文字と呼ぶことがある。これから発展したと考えられる象形文字は、発音をも表すようになった。
[19]
문서
보이지 않는 사각형으로 둘러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