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나님의 임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나님의 임재는 신성한 존재가 세상에 현존하는 것을 의미하는 종교적 개념이다. 주요 개념으로는 임마누엘, 성육신, 내재성, 내면의 빛, 신성한 빛, 테오파니 등이 있으며, 다양한 종교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해되고 경험된다.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는 유대교의 셰키나, 기독교의 성찬식, 이슬람교의 하드라 등의 개념으로 나타나며, 힌두교에서는 신의 화신인 아바타 개념으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나님 - 독력주의
    독력주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만 이루어지며 인간의 의지나 협력이 필요 없다는 교리로서, 도르트 신조, 벨기에 신앙고백, 일치신조 등 다양한 신앙고백 표준에서 정의되고, 특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강조되며,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강조하며, 루터교와 칼뱅주의를 포함한 일부 교파에서 옹호된다.
  • 하나님 - 성령론
    성령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성령의 인격과 역사에 관해 연구하며, 성경에서 창조, 지도자 선택, 인간의 거듭남 등에 관여하는 성령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논의를 포함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하나님의 임재
하나님의 임재
다른 이름신의 현존, 신의 임재
관련 개념내주하시는 성령, 케보드, 쉐키나, 기독교적 완전, 신비주의, 종교적 경험, 성례, 성경적 상담
기독교적 관점
관련 성경 구절출애굽기 33:14-15, 마태복음 18:20, 요한복음 14:23, 사도행전 3:19, 고린도후서 6:16, 히브리서 4:16, 야고보서 4:8, 요한계시록 3:20
중요성기독교 신앙의 핵심 요소, 기도와 예배의 중요한 목표
특징개인적이고 집단적인 경험으로 나타남, 성령의 내주와 밀접한 관련
유대교적 관점
관련 용어쉐키나 (Shekhinah)
중요성성전과 회당에서 신의 임재를 경험하는 것
특징율법 준수와 정의로운 삶을 통해 신의 임재를 불러올 수 있다고 믿음
이슬람교적 관점
관련 개념알라의 곁에 있음, 알라의 지식과 능력
중요성알라를 기억하고 그분의 뜻에 따르는 것
특징기도, 묵상, 선행을 통해 알라의 임재를 느낄 수 있다고 믿음
힌두교적 관점
관련 개념신의 편재, 아트만-브라만 합일
중요성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것
특징요가, 명상, 박티를 통해 신의 임재를 경험할 수 있다고 믿음
불교적 관점
관련 개념부처의 지혜와 자비, 법신
중요성깨달음을 얻어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
특징명상, 수행, 자비심을 통해 부처의 임재를 느낄 수 있다고 믿음

2. 주요 개념

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의미로, 예수의 칭호로 사용되는 성경적 개념이다.[1] 성육신(기독교)은 삼위일체의 제2위격인 성자 하나님(로고스)이 육신을 입은 것을 의미하며, 성찬식을 통해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할 수 있다. 장 칼뱅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근거한 성화를 통해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한다고 주장했다.

칼뱅은 예레미야 9장 24절을 인용하며, 성자의 이름을 아는 것이 유일한 자랑의 근거라고 말한다. 또한 바울 서신의 인사말(롬 1:7; 고전 1:3; 고후 1:2; 갈 1:3 등)을 통해, 성부의 축복이 성자의 중재를 통해 오며, 성자 또한 그 축복의 원천임을 강조한다. 칼뱅은 경건한 사람들은 깨우침, 조명, 보호, 의롭다 함, 거룩하게 됨을 느낄 때 하나님의 임재를 인식하고 하나님과 교제하게 된다고 말한다.(기독교강요 1:13:13)

하나님의 임재와 관련된 개념은 여러 종교 전통에서 공유되며, 문화적으로 다양한 용어로 표현된다.

2. 1. 내재성

내재성은 일반적으로 일신교, 범신론, 범재신론 신앙에서 영적인 세계가 세속적인 것을 관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신성함이 물질 세계 밖에 있다고 여겨지는 초월과 대조된다.[1]

2. 2. 내면의 빛

내면의 빛은 여러 종교에서 하나님을 "빛"으로 표현하는 개념이다. 퀘이커교에서는 이 개념을 근본적인 믿음으로 여긴다.[1]

2. 3. 신성한 빛

조명, 지성, 지식, 통찰력, 지혜, 존재, 신성한 사랑 등 신성한 임재의 한 측면을 나타낸다.[1]

2. 4. 누멘

로마 종교에서 "존재"를 나타내는 라틴어 용어이다.[1]

2. 5. 테오파니

이 인간에게 나타나는 현상이다.[1]

2. 6. 고차원 의식

고차원 의식은 더 높은 자아, 초월적 현실 또는 하나님에 대한 의식이다.[1]

3. 아브라함 계통 종교

유대교에서는 임재의 천사나 셰키나를 통해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냈다. 셰키나는 하나님의 신성한 임재와 우주적 영광이 머무르는 곳을 의미한다.[2] 이스라엘 현자들은 하나님의 임재가 종교적 의무를 기쁘게 수행함으로써 인간에게 머문다고 보았다.[2]

기독교에서 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뜻으로, 예수의 칭호로 사용된다.[1] 성육신은 삼위일체의 제2위인 성자 하나님(로고스)이 육신이 된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인들은 성찬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특별한 임재를 인식하지만, 그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이슬람교에서 하나님의 임재는 "하드라"(Hadra)로 알려져 있으며, 인간의 경험은 "후두르"(Hudur)로 알려져 있다.[3] 수피즘에서는 "알라와 함께하는 마음의 임재"를 중요하게 여기며,[4] 무라카바(명상) 등의 수행을 통해 이를 추구한다.

3. 1. 유대교


  • 임재의 천사 - 천사로 여겨지거나, 아니면 하나님 자신과 동일시되는 존재이다.
  • 셰키나 - 하나님의 신성한 임재와 우주적 영광이 머무르는 곳이다.


이스라엘의 현자들은 자신들의 저술에서 하나님의 임재(히브리어: ''셰키나'')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2]

: 신의 임재는 슬픔, 나태, 농담, 경박함, 수다, 헛된 추구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종교적 의무를 기쁘게 수행함으로써 인간에게 머문다.

3. 2. 기독교

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뜻으로, 예수의 칭호로 사용되는 성경적 개념이다.[1] 성육신은 삼위일체의 제2위인 성자 하나님(로고스)이 마리아의 자궁에 잉태되어 육신이 된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인들은 성찬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특별한 임재를 인식하지만, 그리스도가 어떻게, 어디서, 언제 임재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대표적인 견해는 다음과 같다.

  • 실체변화설: 가톨릭 교회의 개념으로, 성찬례에서 빵과 포도주가 실제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고 믿는다.
  • 공재설: 루터교의 개념으로, 그리스도가 빵과 포도주 안에, 함께, 그리고 아래에 실질적으로 임재한다고 믿는다.


이 외에도 성찬례에서 그리스도의 영적인 임재를 믿거나, 최후의 만찬을 상징적으로 재연하는 것으로 여기는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3. 2. 1. 한국 개신교와 칼뱅주의

장 칼뱅은 하나님의 임재를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근거한 성화와 관련하여 주장한다.

하나님은 그를 아는 것만으로 자랑을 삼으라고 우리에게 명했는데(렘 9:24), 성자의 이름만이 유독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신기하고 위대한 일이다.[1] 그 이름을 아는 것이 우리의 유일한 자랑의 근거라면, 누가 감히 그분이 일개 피조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 있겠는가?[1] 바울 서신의 서두에 나오는 인사말에는 동일한 축복이 성부와 마찬가지로 성자로부터 오기를 기원하고 있다(롬 1:7; 고전 1:3; 고후 1:2; 갈 1:3 등).[1] 여기에서 우리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가 베풀어 주시는 축복들이 성자의 중재를 통하여 우리에게 올 뿐만 아니라, 또한 성자 자신이 아버지와 공동으로 권능에 참여하심으로써 그 축복들의 원천이 되는 것을 배우게 된다.[1] 이 실제적인 지식은 공허한 어떤 사변보다도 더 확실하고 견고한 것이다.[1] 참으로 경건한 사람들은, 자신이 깨우침을 받고 조명을 받고 보호함과 의롭다 함을 받고 또 거룩하게 되는 것을 느끼게 될 때, 하나님의 임재를 인식하고 하나님과 교제하게 된다.(기독교강요 1:13:13)[1]

3. 3. 이슬람교 (및 수피즘)

이슬람교에서 하나님의 임재는 "하드라"(Hadra)로 알려져 있으며, 인간의 경험은 "후두르"(Hudur)로 알려져 있다.[3]

후두르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수피즘의 수행은 대개 이를 "알라와 함께하는 마음의 임재"("후두르 알-칼브", Hudur al-Qalb)로 특징짓는다.[4] 이러한 수행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하드라 단체 의식
  • 일반적으로 무라카바(명상)
  • 라타이프-에-시타(Lataif-e-Sitta) 수행을 통한 ''자즘 라티프'' 미묘체의 깨달음

4. 인도 종교

힌두교에서, 아바타이 지구에 화신하거나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5]

참조

[1] 백과사전 Theophany http://www.britannic[...]
[2] Talmud Babylonian Talmud
[3] 간행물 Presence with God https://www.themathe[...] The ninth annual symposium of the Muhyiddin Ibn 'Arabi Society in the US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8-29 October 1995
[4] 웹사이트 Hadrah 2010-04-03
[5] 서적 Avatar and Incarnation: The Divine in Human Form in the World's Religions https://books.google[...] Onewor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