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바꾹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바꾹서는 히브리어 성경의 12 소선지서 중 하나로, 예언자 하바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책은 하바꾹이 하나님께 불평하고 질문하는 내용과, 이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 그리고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바꾹서는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부상과 유다 왕국의 멸망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기록되었으며,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는 핵심적인 신학적 주제를 제시하며, 신약성경에도 인용되어 기독교 교리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예언서 - 호세아서
    호세아서는 기원전 8세기 예언자 호세아가 자신의 불륜한 아내와의 관계를 통해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묘사하며 이스라엘의 죄악과 심판, 구원을 다루는 구약성경의 예언서이다.
  • 소예언서 - 말라기서
    말라기서는 구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포로 귀환 후 이스라엘 백성의 종교적, 사회적 타락을 지적하며 회개를 촉구하고, 익명의 예언자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의문, 제사장들의 타락, 이혼 문제, 십일조 소홀 등의 문제를 제기하며 백성과의 논쟁 형태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메시아 도래와 엘리야의 재림을 예언하는 기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기원전 7세기 책 - 레위기
    레위기는 토라의 세 번째 책으로, 이스라엘 제사장 레위인의 직무와 관련된 율법을 상세히 다루며, 제사 의식과 이스라엘 백성의 거룩한 삶을 위한 규례를 포함하고, 특히 거룩함을 강조하는 핵심 경전이다.
  • 기원전 7세기 책 - 열왕기
    열왕기는 다윗 왕조의 계승과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를 다루며, 솔로몬의 통치, 엘리야와 엘리사의 활동, 남유다 왕국의 멸망을 통해 하나님의 약속과 심판을 보여주는 성경의 한 부분이다.
  • 원경전 - 애가
    애가는 예루살렘 파괴를 애도하고 백성 회복을 간청하는 구약성경의 한 책으로,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 네 장은 히브리어 알파벳 순서대로 시작하는 아크로스틱 형식이고, 익명의 저자가 바빌론 유배 시기에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원경전 - 호세아서
    호세아서는 기원전 8세기 예언자 호세아가 자신의 불륜한 아내와의 관계를 통해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묘사하며 이스라엘의 죄악과 심판, 구원을 다루는 구약성경의 예언서이다.
하바꾹서
성경 정보
이름 (한국어)하박국서
이름 (영어)Book of Habakkuk
이름 (히브리어)ספר חבקוק (Sefer Habakkuk)
분류
구약구약성경
타나크타나크
위치네비임
종류예언서
소분류소예언서

2. 저자

하바꾹서의 히브리어 이름은 ‘하바꾹’(חֲבַקּוּקhe)이다. 이는 칠십인역에서 ‘암바쿰’(Ἀμβακούμgrc)이라 불리며, 이후 불가타에서는 ‘Habacuc’, 영어성경에서는 ‘Habakkuk’, 그리고 중국어성경에서는 ‘哈巴谷書’이라 불린다. 이 선지자의 이름은 오직 이 책의 표제와 시에만 나오며(1:1; 3:1)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31]

하바꾹의 이름은 히브리어 하바끄(חבקhe; 포용하다)에서 왔거나, 식물의 한 종인 아카드어 함바쿠쿠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31]

비록 성경은 아니지만 랍비 문헌에서는 엘리사에 의해 되살아난 수넴 여인의 아들이라는 전승이 전한다.[31] 이외에도 다니엘서에 덧붙여진 위경 벨과 용에서도 언급되는데, 그 헬라어 사본중에는 레위 지파 여호수아의 아들이라는 기록도 있다.[31]

하바꾹은 첫 번째 구절에서 자신을 예언자로 밝히고 있다. 하바꾹서의 전례적 성격 때문에, 저자가 성전 예언자였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역대기상 25장 1절에는 성전 예언자들이 수금, 하프, 심벌즈를 사용했다고 묘사되어 있다. 어떤 이들은 이것이 하바꾹 3장 19절에서 반영되었다고 느끼며, 하바꾹이 레위인이자 가수였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31]

예언자 하바꾹에 대한 전기적 정보는 없다. 현존하는 유일한 정경적 정보는 그의 이름을 딴 책에서 나온다.[31] 『하바꾹서』에는 "예언자"라고만 기록되어 있다.[31] 문체와 내용으로 보아, 예루살렘 성전에 소속된 예언자였을 가능성이 추측된다. 『하바꾹서』 3장은 악기 반주를 동반하는 전례상의 기도문으로 쓰여 있으며, 여기에서 하바꾹도 하프 등을 연주하면서 기도하는 성전 소속 예언자임을 시사한다고 한다. 하바꾹은 구약 외경의 『다니엘 보충서』의 「벨과 뱀」의 등장인물이기도 하다.[32] 여기에서 하바꾹은 유대 예언자로 묘사되며, 바빌론의 사자 굴에 있는 다니엘에게 초자연적인 수단으로 파견되어 음식을 전달한다.

3. 역사적 배경

하바꾹의 활동 시기는 정확히 특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1장 6-11절에서 갈대아인의 부상과 발전을 언급하고 있어, 기원전 7세기 중반에서 후반으로 추정된다.[33][34]

기원전 600년 경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강역.


더 구체적으로는 여호야킴의 통치 기간(기원전 609년 ~ 598년)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 시기 갈대아인들의 신바빌로니아 제국이 세력을 키워갔기 때문이다. 바빌로니아인들은 기원전 598년에 예루살렘을 공격했다. 여호야김은 바빌로니아인들이 예루살렘으로 진격하는 동안 사망했고, 그의 18세 아들 여호야긴이 왕위를 계승했다. 바빌로니아인들이 도착하자 여호야긴과 그의 조언자들은 잠시 후 예루살렘을 항복했다. 통치자의 교체와 여호야긴의 어린 나이와 경험 부족으로 인해 그들은 칼데아 군대에 맞설 수 없었다. 1장 12-17절에는 바빌로니아의 잔혹함에 대한 친밀한 지식이 느껴진다.[34]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예레미야, 스바니야, 나훔, 요엘 등과 동시대 인물이었을 가능성도 제시된다.

일부 비평학계에서는 갈대아인들을 헬라인 중 하나인 깃딤인으로 간주하여 극단적으로 늦은 시기로 보는 소수 견해도 있다. 어떤 학자들은 하바꾹서의 이전 판본이 정말 3장의 시로 끝났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이 시가 현재처럼 책의 결론이 아닌 독립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로 채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하바꾹서는 니네베의 멸망(기원전 612년) 직후와 바빌론 유수예루살렘이 함락되기 전(기원전 586년)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4. 구조와 개요

구조는 글의 구성요소를 규명하는 단계, 각 요소의 배열을 분석하는 단계, 구조의 의미를 파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하바꾹서 장르 이해는 설화, 시, 예언, 신탁 등에 대한 분석이다.

첫 부분(1:2~2:5)은 선지자와 하나님과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선지자는 애가의 양식을 통해서 하나님께 불평을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악인이 형통하는 것에 대한 불평에 대해 주님은 갈대아인을 통해서 벌하실 것을 말씀하시자, 더 큰 불평이 이어진다. 이는 시편의 애가시들과도 양식적으로 유사하다. 주님께서 악인을 들어서 선민을 치시는 것에 대한 불평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장에서 주님은 그 심판의 확실성을 다시 확인하셨다. 3장은 고어체적인 히브리 시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파악하는 구조는 선형구조이다. 이때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 A 최초의 대화(1:2~11)
  • * a 선지자의 불평(1:2~4)
  • * b 주님의 응답(1:4~11)

  • B 두 번째 대화(1:12~2:5)
  • * a 선지자의 불평(1:12~17)
  • * b 주님의 응답(2:1~5)

  • C 압제자들에 대한 저주의 신탁(2:6~10)
  • * a 노략자가 노략될 것임(2:6~8)
  • * b 정복자가 수치를 당할 것임(2:9~11)
  • * c 건축자가 헛됨(2:12~14)
  • * d 수치가 없는 자가 수치를 당할 것임(2:15~18)
  • * e 우상 숭배자들이 잠잠할 것임(2:19~20)

  • D 하바꾹의 순종의 시(3:1~19)
  • * a 기도(3:2)
  • * b 용사이신 하나님의 등장(3:3~15)
  • * c 믿음으로 사는 선지자(3:16~19)


반면 돌시는 나훔서, 스바니야서와 같이 7중 대칭구조로 분석했다. 이 구조에서는 핵심부분(D, 2:1~5)에서 '기다리라는 권고'가 나타난다.

  • A 하바꾹의 첫 번째 불평(1:2~4)
  • * B 야훼의 첫 번째 대답(1:5~11)
  • ** C 하바꾹의 두 번째 불평(1;12~17)

D 의인은 믿음으로 살게 됨(2:1~5)

  • ** C' 두 번째 불평에 대한 주님의 대답(2:6~20)
  • * B' 야훼의 마지막 대답(3:1~5)
  • A' 야훼의 첫 번째 응답에 대한 깨달음(3:16~19)


하바꾹서는 타나크(구약성경)의 한 책으로,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에서 12 소선지서로 알려진 부분에서 여덟 번째로 위치한다. 마소라 목록에서 하바꾹서는 나훔 뒤에 위치하며, 그의 동시대인으로 여겨지는 스바냐 앞에 위치한다.

이 책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가지 다른 장르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 하느님과 하바꾹 간의 대화
  • 재앙의 예언
  • 시, "하바꾹의 노래"

5. 신학적 주제

하바꾹은 역사의 마지막 시기에 처한 유다와 예루살렘에 말씀을 선포했다. 내적으로는 부패하였으며, 신흥하는 바빌론의 세력으로 도전을 받고 있었다. 선지자는 이런 정황 가운데서 하나님께서 무관심하시다고 불평했지만, 하나님으로부터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하나님을 믿고 신뢰해야 하며, 나아가 온 땅에 하나님이 공의를 행하신다는 것을 확신해야 했다. 결국 하바꾹은 믿음으로 사는 법을 배우고 있었던 것이며, 재난에 직면해서 자신의 구원자이신 야훼를 찬양하는 법을 배운 것이다.[3]

하바꾹은 “왜 악인이 번성하는가?”라는 오래된 질문을 던지며, 유다에 횡행하고 있는 악과 불의와 폭력에 대해서 불평했는데, 이에 대한 하나님의 대답은 선지자가 기대했던 것이 아니고 오히려 한층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었다. 하나님은 악을 심판하시되, 이를 위해서 유다의 악보다 더 악한 악을 도구로 사용하실 것이며, 보다 악한 이들은 더욱 번성할 것이라고 하셨다.[3]

이러한 문제는 이 선지자의 두 번째 불평(1:12~17)을 불러왔다. 어떻게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악한 자들을 참아 보실 수 있는가? 어떻게 하나님께서 악한 자들이 자신들보다 의로운 자들을 집어삼키도록 허락하실 수 있는가(1:13)? 그들은 계속해서 번성하고 그들의 그물을 채우며, 계속해서 사치스럽게 살 것인가(1:16~17)? 에 대한 주님의 대답을 보려고 파수꾼처럼 인내하며 기다렸다(2:1).[3]

많은 학자들은 하바꾹의 불평들을 욥기와 비교했는데, 욥처럼 이 선지자도 아무리 현상이 반대로 된 것처럼 보이고 아무리 정황이 어려워 보여도 계속해서 주님의 약속들을 믿고 신뢰해야 하며, 온 땅의 하나님이 공의를 행하신다는 것을 확신해야 함을 배웠다. 또한 믿음으로 사는 법과, 재난에 직면해서 자신의 구원자이신 야훼를 찬양하는 법까지 배웠다. 이후 수백 년 후에 다시 악과 불의가 전에 자주 그랬던 것처럼 흥왕하고 있었는데, 다시 한 번 하나님의 성전은 위협을 당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이 성전은 그리스도의 몸으로 상징되는 성전이었다. 사람들은 그리스도를 조롱하였지만, 이 선지자는 주님을 신뢰했으며(마태오 복음 27:43, 히브리서 10:35상), 주님께서 그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으키심으로써 그를 변호하셨다(로마서 1:4). 예수의 부활은 멀리 계신 것이 아니며, 악이 승리하지 못할 것이라는 하나님 자신의 선언이었다.[3]

신약성서에서는 하바꾹 1장 5절(사도행전 13:41), 2장 3~4절(히 10:37~38), 2장 4절(로마서 1:17, 갈라디아서 3:11, 히 11:1~12:2)이 인용된다. 사도 바울로는 의가 믿음으로 말미암는다는 것을 주장하면서 하바꾹을 인용한다.[3]

하박국과 하느님; 1220년대 채색 성경, 포르투갈 국립도서관


18세기 러시아 성상 화가가 상상한 예언자 하박국


하박국의 주요 주제는 당혹감과 의심에서 출발하여 하느님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의 경지로 성장하려는 것이다. 하박국은 하느님께서 유다의 죄에 대한 심판을 집행하기 위해 바빌론 제국을 사용하실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자신의 우려를 제기한다.[3]

하박국은 하느님의 지혜에 대해 공개적으로 질문한다. 1장의 첫 부분에서 예언자는 자신의 백성들 사이의 불의를 보고 하느님께 왜 행동하지 않으시냐고 묻는다. "야훼여, 내가 얼마나 부르짖어야 들으시리이까? 내가 '폭력'을 외쳐도 구원하지 않으시리이까?" (하박국 1:2)[3]

1장 중간 부분에서 하느님은 자신의 백성을 벌하기 위해 갈대아인(바빌로니아인이라고도 알려짐)을 보내시겠다고 설명하신다. 1:5: "너희는 여러 나라를 보라, 지켜보라, 놀랍게 여겨라. 내가 너희 시대에 한 일을 행할 것이니, 너희가 들어도 믿지 못하리라." 1:6: "보라, 내가 갈대아인, 곧 그 쓴 민족, 그 급한 족속을 일으키리니, 그들이 땅을 두루 다니며 자기의 소유가 아닌 거처를 차지하리라."[3]

"히브리 성경의 18개 수정" 중 하나가 1:12에 나타난다.[2] 전문 유대교 서기관인 소페림에 따르면, 1:12의 텍스트는 "당신[하느님]은 죽지 않으신다"에서 "우리는 죽지 않으리라"로 변경되었다. 소페림은 하느님께 "당신"은 죽지 않으신다고 말하는 것을 불경하다고 여겼다.[2]

1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예언자는 1:13에서 심판의 도구로 하느님의 선택에 충격을 받음을 표현한다. "악을 보기에 눈이 정결하시며 패역을 보지 못하시는 주여, 어찌하여 거짓된 자들을 방관하시며 악인이 자기보다 의로운 자를 삼킬 때에 잠잠하시나이까[...]?".[3]

2장에서 그는 자신의 도전에 대한 하느님의 응답을 기다린다. 하느님은 또한 갈대아인을 심판하시되 훨씬 더 가혹하게 심판하시겠다고 설명하신다. "네가 많은 나라를 노략하였으므로 남은 모든 백성이 너를 노략하리니 이는 사람의 피를 흘린 것과 땅과 성읍과 그 안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행한 포악 때문이니라. 자기 집을 위하여 불의한 이를 얻는 자에게 화가 있을 것이다." (하박국 2:8-9)[3]

마지막으로, 3장에서 하박국은 비록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하느님에 대한 궁극적인 믿음을 표현한다.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하지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의 소출이 없고 밭에 식물이 없으며 우리에 양이 없고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3:18) 내가 야훼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느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3] 일부 학자들은 마지막 장이 사해 문서에 포함되지 않은 점을 근거로 이 책에 나중에 독립적으로 추가된 것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3]

『하바꾹서』는 유대 민족이 직면한 민족적 어려움이 증대되는 시대에, 의심받아 온 신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능력의 타당성이라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시대의 중동에서는 신의 절대적인 권능은 그것을 숭배하는 국가의 국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유대 민족의 쇠퇴는 이를 의심하게 만들었지만, 하바꾹은 "백성의 악행에 대한 하나님의 분노", "이민족에 의한 분노의 집행"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민족적 어려움과 신에 대한 신뢰를 양립시킨다. 동시에 여기에는 그러한 다른 여러 나라에도 위력을 미치는 신의 절대성과 미래의 구제, "분노 중에도 긍휼을 잊지 않는 신"[35]이라는 관념이 보인다. 신은 종국에 그의 지배권을 널리 미치게 하여 그의 백성을 구원하고 그들에게 대항하는 자들을 멸망시킬 것이다.[36] 하바꾹은 현재, 그리고 가까운 장래에 유다에 임하는 신의 분노와 멀리 기다려지는 신과의 화해와 구제를 그의 예언 속에서 제시하고 있다.[3]

3장의 서두에 나오는 "시그요노트(Shigionoth)"라는 구절은, 새 번역 성경에서는 "슬픔의 노래"로 번역된다는 주석이 있다.[3]

6. 하바꾹서 2장 4절

쾰른의 유대인 묘지에서 인용된 하바국 2:4b: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살 것이다."


''사도 바울 서간을 쓰다'', 16세기 그림


탈무드(Makkot 24a)는 다양한 성경 인물들이 613개 율법을 613개 전체를 포괄하는 범주로 분류했다고 언급한다. 이 논의의 끝에서, 탈무드는 "하바국이 와서 [613개 미츠보트]를 하나에 세웠으니, '그러나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살 것이다'(하바국 2:4)"라고 결론짓는다.

하바국 2:4는 기독교에서 잘 알려져 있다. 신 국제 버전 성경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보라, 원수는 팽창하였고, 그의 욕망은 정직하지 않다.''

::''그러나 의인은 그의 신실함으로 살 것이다.''

이 구절의 두 번째 부분은 원래 히브리어로 단 세 단어에 불과하지만,וְצַדִּיק בֶּאֱמוּנָתוֹ יִחְיֶה|베짜디크 베에무나토 이흐예he 신약 성경에서 세 번 인용된다.[8] 사도 바울은 그의 로마서에서 한 번 인용하고,[9] 다시 그의 갈라디아서에서 인용한다;[10] 세 번째 사용은 히브리서에 있다.[11]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교리의 기초로 사용된 가장 중요한 구절 중 하나이다.[12][14]

"emunah"라는 단어는 "신실함"으로 가장 자주 번역되지만, 이 구절의 단어는 전통적으로 "믿음"으로 번역되어 왔다.[13][14] "emunah"라는 단어는 하바국 2:4 외에는 "믿음"으로 번역되지 않는다.[15] 클렌데넨(E. Ray Clendenen)은 이 구절의 문맥을 근거로 "믿음"으로 번역하는 것을 옹호하며, 이 구절이 "''he’ĕmin"'' '믿었다'라는 단어를 사용한 ''창세기 15:6''을 언급하며, "''’ĕmȗnāh''"가 파생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에세네파가 의의 스승에 대한 믿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구절을 이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13][14][16]

마르틴 루터는 하바국 2:4가 오직 믿음의 교리를 가르쳤다고 믿었으며, "이것은 하나님의 모든 말씀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말이다. 이것들은 세상의 시작, 중간, 또는 끝에 말해졌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믿어야 한다"라고 이 구절에 대해 논평했다.[17]

라쉬는 이 구절을 여고냐에 관한 것으로 해석했다.[18]

타르굼은 이 구절을 "악인은 이 모든 일이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의인은 그것들의 진실에 의해 산다"라고 해석했다.[19]

가짜 이그나티우스는 이 구절을 믿음에 관한 것으로 이해했다.[20]

7. 현대적 의의

사해 사본 중 하나인 하바꾹 주석(페셰르)에는 하바꾹서의 처음 두 장이 포함되어 있으며, 바빌론의 침략과 로마의 위협을 비교하고 있다.[4] 이 주석에 인용된 하바꾹서 본문은 표준 마소라 본문과 단어 순서, 문법, 접속사, 철자 등에서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의미는 거의 동일하다.[5][6]

일부 학자들은 3장이 70인역의 모든 사본과 기원전 3세기 초의 텍스트에도 나타나지만, 사해 사본에는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나중에 추가된 것이라고 주장한다.[2] 3장은 탈출기 19장, 다니엘서와 유사점이 있는 하나님의 시적인 찬양이다.[7]

참조

[1] 성경 Habakkuk 2:4
[2] 웹사이트 Fragment of the Month: July 2021 https://www.lib.cam.[...] Sarah Sykes 2021-06-29
[3] 웹사이트 World English Bible https://web.archive.[...]
[4] 서적 Pesher Habakkuk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Dead sea scrolls - Habakkuk https://thewaytoyahu[...]
[6] 서적 34. Habakkuk https://b-ok.org/dl/[...] Oxford Bible Commentary 2001
[7]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Habakkuk 2:4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2-05-30
[8] 서적 Nahum and Habakkuk Thomas Nelson Publishers
[9] 성경 Romans 1:17
[10] 성경 Galatians 3:11
[11] 성경 Hebrews 10:38
[12] 논문 The Just Shall Live by Faith: Habakkuk 2:4 https://www.jstor.or[...] 1910
[13] 논문 Salvation by Faith or by Faithfulness in the Book of Habakkuk? https://scholarlypub[...] 2014-01-01
[14] 학위논문 Paul's Use Of Habakkuk 2:4 In Romans 1:17 And Galatians 3:11 https://www.academia[...] The Master's Seminary 2008
[15] 서적 New English Translation Biblical Studies Press
[16] 서적 Paul and Judaism Revisited: A Study of Divine and Human Agency in Salvation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3-08-01
[17] 서적 The Old Testament: A Historical, Theological, and Crit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2016-11-15
[18] 웹사이트 Rashi on Habakkuk 2:4:2 https://www.sefaria.[...] 2022-05-30
[19] 서적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007-11-01
[20] 웹사이트 CHURCH FATHERS: Spurious Epistles (Ignatius of Antioch) https://www.newadven[...] 2022-06-17
[21] 웹사이트 Klein Dictionary - מְלִיצָה https://www.sefaria.[...] Sefaria.org
[22] 웹사이트 Klein Dictionary - חִידָה https://www.sefaria.[...] Sefaria.org
[23] 웹사이트 Klein Dictionary - מָשָׁל https://www.sefaria.[...] Sefaria.org
[24] 웹사이트 Habakkuk – Chapter 2 https://mechon-mamre[...] Mechon Mamre
[25] 웹사이트 Habakkuk 2:6 - JPS 1917 https://www.sefaria.[...] Sefaria.org
[26] 성경 Habakkuk 2:6-20
[27] 성경 Habakkuk 3:1
[28] 성경 Footnote a at Habakkuk 3:1 https://www.biblegat[...]
[29] 성경 Footnote a at Habakkuk 3:1 in the NLT https://www.biblegat[...] Tyndale House Foundation 1996
[30] 성경 Habakkuk 3:1 Jerusalem Bible 1966
[31] 문서 1:1
[32] 문서 ベルと龍 33-39
[33] 문서 1:6-11
[34] 문서 1:12-17
[35] 문서 3:2
[36] 기타 3: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