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튤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튤립은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구근식물로, 봄에 꽃을 피우고 지하 구근으로 돌아가는 특징을 지닌다. 튤립은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꽃의 형태, 크기, 색깔, 개화 시기 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분류된다. 튤립은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꽃잎은 식용으로도 사용되지만, 튤리파린 A라는 알레르기 물질을 함유하여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동물에게는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튤립은 오스만 제국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으며,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튤립 열풍으로 투기 대상이 되기도 했다. 튤립은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란, 터키 등 여러 국가에서 국가 상징으로 사용되거나, 다양한 축제와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가타현의 상징 - 따오기
    따오기는 동아시아에 서식했던 새로, 멸종 위기를 겪었으나 중국, 일본, 대한민국에서 사육 및 야생 복귀 노력을 통해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사도섬과 중국에서 복원 프로그램이 활발하고 대한민국도 복원센터를 운영하며 종 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도야마현의 상징 - 뇌조
    뇌조는 꿩과에 속하며 깃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변하고, 북극 및 아북극 지역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도야마현의 상징 - 방어 (어류)
    방어는 농어목 방어과에 속하는 출세어로서 몸은 긴 방추형이고, 최대 150cm까지 성장하며,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고, 회유하며 육식성 어류이며, 겨울이 제철로 횟감, 구이, 조림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되고, DHA, EPA, 비타민 D가 풍부하다.
  • 백합과 - 얼레지
    얼레지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봄에 잎이 돋아 꽃을 피운 후 지상부가 사라지는 스프링 에페머럴 식물이며, 얼룩덜룩한 잎과 뒤로 말리는 자주색 꽃잎이 특징이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잎은 식용, 비늘줄기는 약용으로 사용된다.
  • 백합과 - 개감채
    개감채는 한국 북부 고산 지대와 북반구 한대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6~8월에 흰색 꽃이 피고 어린순과 인경을 식용하며 약재로도 사용한다.
튤립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Tulipa L.
튤립속
명명자L.
유형 종Tulipa × gesneriana
유형 종 명명자L.
어원터키어 단어 "turban"(터번)에서 유래
속명 이명Orithyia D.Don
Liriactis Raf.
Liriopogon Raf.
Podonix Raf.
Eduardoregelia Popov
분류
하위 속Clusianae
Orithyia
Tulipa
Eriostemones
종 다양성약 75종
종 다양성 링크분류학 (생물학)#튤립 속 종
분포
자연 및 도입된 튤립 분포도
튤립의 분포: 자연 서식지(빨간색) 및 도입종(노란색)
주요 종
대표종T. gesneriana
T. linifolia
T. praestans
T. saxatilis

2. 특징

이스라엘의 산악 튤립 ''Tulipa agenensis''


튤립의 주요 서식지 분포. 카스피해 동쪽 해안의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파미르-알라이 산맥과 톈산 산맥까지 이르는 동쪽 끝 지역이 표시되어 있다.


튤립 모자이크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꽃잎에 나타난 얼룩무늬


튤립은 내한성을 지닌 구근초로, 보통 가을에 심는다. 땅속의 비늘줄기(구근)는 달걀 모양이며, 여기서 나온 원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봄에 꽃을 피우고 여름에는 지상부가 마르며 지하의 구근 형태로 휴면하는 다년생 초본 구근식물이다. 종에 따라 식물 전체의 높이는 약 10.16cm에서 약 71.12cm까지 다양하다.

잎은 줄기 밑부분에서부터 서로 어긋나게 달리며, 잎의 밑부분은 원줄기를 감싼다. 길이는 20cm에서 30cm 정도이고,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구불거리며 안쪽으로 다소 말리는 경향이 있다. 잎 색깔은 보통 청록색 바탕에 흰빛이 도는데, 뒷면은 더 짙은 색을 띤다. 줄기 하나에는 보통 2~6개의 잎이 달리지만, 종에 따라서는 12개까지 달리기도 한다. 잎은 길쭉한 끈 모양이며 표면에 왁스질이 있어 매끄럽고, 줄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두툼한 다육질의 잎은 푸른빛이 도는 녹색인 경우가 많다. 구근은 밑부분이 평평하고 위쪽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태이며, 겉은 마른 껍질(피막)로 덮여 있다. 구근 내부는 털이 없거나 약간의 털이 있을 수 있다.

꽃은 보통 봄철인 4-5월에 피며, 일반적으로 줄기 끝에 하나씩 위를 향해 달린다. 꽃은 크고 화려하며 방사대칭 형태를 이루고, 수술과 암술을 모두 가진 자웅동주이다. 일반적으로 똑바로 서지만 드물게 아래로 숙이는 품종도 있다. 꽃 모양은 주로 컵 모양 또는 별 모양이다. 순수한 파란색을 제외한 거의 모든 색상의 꽃이 있으며, 꿀샘은 없다.

튤립에는 튤리파닌이라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있어 다양한 꽃 색깔을 나타낸다. 또한 튤리포사이드와 튤리팔린이라는 화합물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 반응(주로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다.[6][7] 튤립은 말, 고양이, 개와 같은 동물에게는 유독하다.[8] 대부분의 튤립 품종은 향기가 거의 없지만, ''T. hungarica''와 같은 일부 야생종이나 '몬테 카를로', '브라운 슈거'와 같은 특정 원예 품종은 뚜렷한 향기를 지니기도 한다.[9][10]

튤립(''Tulipa'')속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Liliaceae)의 백합아과(Lilioideae)에 속하며, 다시 백합족(Lilieae)으로 분류된다.

튤립의 원산지는 주로 북위 40° 부근의 광범위한 지역이다. 서쪽으로는 유럽 남동부(그리스,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코소보, 세르비아 남부,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러시아)와 터키에서 시작하여, 레반트(시리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령, 레바논, 요르단)와 시나이 반도를 거쳐 동쪽으로 뻗어 나간다. 중앙아시아의 파미르-알라이 산맥과 톈산 산맥 일대가 유전적 다양성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더 동쪽으로는 서부 히말라야, 남부 시베리아, 내몽골, 중국 북서부까지 분포한다. 이란이 분포의 남쪽 한계이며, 우크라이나가 북쪽 한계이다. 현재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도 튤립이 자라지만, 이는 아나톨리아와 중앙아시아에서 도입되어 퍼져나가 귀화한 것(신종 튤립, neo-tulipae)으로 간주된다.

튤립은 원래 온대 기후의 산악 지역에서 유래했으며, 스텝이나 겨울에 비가 오는 지중해성 기후 지역의 식생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요소이다. 길고 시원한 봄과 건조한 여름이 있는 기후에서 잘 자란다. 주로 초원, 스텝, 차파랄 등에서 자생하지만, 사람에 의해 들판, 과수원, 길가, 버려진 정원 등에도 도입되어 자라고 있다.

튤립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균류 질병은 회색곰팡이병을 일으키는 ''보트리티스 튤리파에''( ''Botryotinia tulipae'' )로, 감염되면 식물 조직이 죽고 결국 썩게 된다.[14] 그 외에도 탄저병, 무름병, 역병( ''무름균'' ), 구근 선충, 각종 부패병, 푸른곰팡이, 털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다.[15]

과거 네덜란드 튤립 파동 시기에 큰 인기를 끌었던 얼룩무늬 튤립(broken tulip)은 튤립 모자이크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생긴 현상이다. 이 바이러스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같은 진딧물에 의해 전파되며, 꽃잎에 불규칙한 줄무늬나 반점을 만들어내지만, 동시에 식물체를 약화시키고 구근 번식률을 떨어뜨린다.[4]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튤립 품종에서는 이 바이러스가 거의 제거되었으며, 오늘날 볼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무늬는 대부분 육종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튤립의 정상적인 생육과 개화를 위해서는 특정 온도 조건이 필요하다. 구근이 약간 발아한 상태에서 일정 기간 저온 상태( 춘화처리 )를 겪어야 제대로 성장할 수 있다. 꽃눈 자체는 비교적 따뜻한 온도(20°C~25°C)에서 형성되지만, 꽃대가 길게 자라고 정상적으로 꽃이 피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저온(10°C 미만)을 필요로 한다.[16]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겨울이 따뜻한 지역에서는 튤립 구근을 가을에 심어 일년생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생육 환경의 온도 조건은 꽃 색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

미국 동부와 같은 지역에서는 흰꼬리사슴이 튤립의 잎이나 꽃을 먹기도 한다.[18]

한국에는 튤립과 비슷하게 생긴 자생 식물로 개감채와 넓은잎개감채가 있다. 이들은 과거에 튤립속(''Tulipa'')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형태적 차이 등으로 인해 별도의 개감채속(''Amana'')으로 분류된다. '감채(甘菜)'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며, '보리골'이라는 다른 이름도 가지고 있다. 이 식물들은 논둑과 같이 비교적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구근이 건조에 약하다는 점에서 건조한 환경에 비교적 강한 튤립과 차이가 있다.

2. 1. 꽃



꽃은 보통 4-5월에 피며, 한 개의 꽃줄기 끝에 위를 향해 하나씩 달린다. 길이는 약 7cm 정도로 넓은 종 모양이다. 꽃받침은 위로 다소 퍼지지만 옆으로는 퍼지지 않는다. 꽃은 크고 방사대칭이며 자웅동주(수술과 암술을 모두 가짐)이다. 일반적으로 똑바로 서지만 드물게 밑으로 처진 형태를 띠기도 한다. 보통 하나의 꽃이 피지만, 다화성 품종의 경우 2~3개(''Tulipa turkestanica'' 등)에서 최대 4개의 꽃이 피기도 한다.

꽃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컵 모양 또는 별 모양이다. 다른 백합과 식물처럼 화피꽃잎꽃받침으로 분화되지 않고 6개의 꽃덮개 조각이 2개의 돌려나기(3개씩)로 배열된다. 이들은 거의 동일하게 생겼으며, 보통 꽃잎처럼 밝은 색을 띤다. 각 돌려나기의 색이 다르거나 밑부분에 다른 색의 얼룩이 있어 안쪽 표면에 더 어두운 색을 형성하기도 한다. 안쪽 꽃덮개 조각은 윗부분에 작고 섬세한 갈라진 부분이 있을 수 있고, 바깥쪽 꽃덮개 조각은 끊김 없는 타원형을 이룬다.[4]

수술은 6개이며, 3개씩 두 개의 돌려나기로 배열되어 있다. 길이는 서로 다르고, 털이 없거나 있을 수 있다. 수술대는 꽃덮개 조각보다 짧고 밑부분이 넓어진다. 암술대는 짧거나 없으며, 각 암술머리는 3개의 뚜렷한 엽으로 나뉜다. 씨방은 상위이며 3개의 방으로 구성된다.

튤립 꽃은 순수한 파란색을 제외하고는 매우 다양한 색깔을 가지며(이름에 '파란색'이 들어간 품종도 실제로는 희미한 보라색을 띤다), 꿀샘이 없다. 일반적으로 향기가 없는 편이다.[4] 일본어 이름인 鬱金香|우콘코일본어는 이 꽃의 향기가 향신료나 식품 착색에 쓰이는 울금처럼 먼지 냄새가 나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향기가 좋은 품종도 개발되고 있다. 1970년대까지 마키노 도미타로의 식물도감에는 ぼたんゆり|보탄유리일본어라는 일본 이름이 실려 있었다.

역사적으로 17세기 튤립 파동 당시 가장 비싼 튤립은 Semper Augustus|셈퍼 아우구스투스la였다. 1624년 니콜라스 반 와세나어는 이 꽃을 "색깔은 흰색이며, 푸른 바탕에 카민색이 섞여 있고, 꼭대기까지 끊임없이 이어지는 불꽃 모양을 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당시 이 품종은 매우 희귀했고 대부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이사였던 아드리아엔 파우 박사가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는 치솟는 가격에도 팔기를 거부하여 투기 열풍을 더욱 부추겼다고 여겨진다.[4]

검은색 튤립은 오랫동안 육종가들의 목표였으나 만들기 어려웠다. Queen of the Night|퀸 오브 나이트영어 품종이 가장 검은색에 가깝지만, 실제로는 매우 어두운 적갈색-보라색이다.[4] 최초의 진정한 검은색 튤립은 1986년 네덜란드 보벤카르스펠의 한 육종가가 '퀸 오브 나이트'와 Wienerwald|비너발트de라는 두 가지 진한 자주색 튤립을 교배하여 만들었다.[5] 장미와 마찬가지로 파란색 튤립 개발도 진행 중이지만, 아직 꽃잎 전체가 파란색인 품종은 발표되지 않았다. 튤립 꽃잎 밑부분에는 파란색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을 확장하여 파란 튤립을 만들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번식은 주로 분구로 이루어진다. 실생(씨앗 파종)으로 번식할 경우 개화까지 5년 이상 걸리며, 주로 품종 개량 시에 사용된다. 큰 구근을 얻으려면 개화 후 약 2일 뒤에 꽃 부분을 잘라낸다. 깊이 심으면 분구는 적어지지만 구근 비대는 좋아진다. 튤립은 양성화이지만, 웅예선숙(수술이 암술보다 먼저 성숙하는 현상)을 통해 자가수분을 피한다.

품종 개량의 목표는 꽃 모양, 꽃 색깔, 식물 형태, 잎 무늬, 향기, 개화 시기 조절, 내서성·내습성 향상, 다화성, 번식력 증대, 절화 수명 연장, 무화분화(꽃가루 없는 품종), 꽃대 강도 향상 등 다양하다. 특히 대한민국과 같이 고온 다습한 환경에 강한 품종 개발이 요구된다. 야생종을 포함하여 교배에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원이 많아 품종 개량은 비교적 용이한 편이다.

개화 전에 바느질바늘 등으로 튤립 꽃의 밑부분을 관통시켜 상처를 내면 에틸렌 가스가 발생하여 개화 기간을 늘릴 수 있다. 반대로 개화 후에 같은 처리를 하면 개화 기간이 단축되는 현상이 튤립에서만 확인되었다.

=== 원예 품종군 ===

현재 주로 재배되는 품종은 게스네리아나종(''T. gesneriana'')을 기반으로 개량된 것들이다. 이 학명은 유럽에 도입되어 개량된 품종에 붙여진 것으로, 야생 게스네리아나종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튤립은 개화 시기와 꽃 모양에 따라 다양한 품종군으로 나뉜다.

튤립의 원예 품종군
분류계통특징주요 품종
조생종홑꽃 조생계 (Single Early)키가 낮은 경향이 있음.애프리콧 뷰티 (살구색), 크리스마스 드림 (분홍색)
겹꽃 조생계 (Double Early)일찍 피는 겹꽃. 꽃잎 수가 만생종보다 적고 키가 낮으며, 식물 형태가 가냘픔. 무릴로(흰색) 품종의 돌연변이가 많음.피치 블로썸 (분홍색), 몬테카를로 (노란색)
중생종트라이엄프계 (Triumph)품종 수가 가장 많음. 과거 다윈계, 멘델계, 코티지계 등이 통합됨.네그리타 (보라색), 키스넬리스 (빨강/노랑), 화이트 드림 (흰색), 프로미넌스 (빨간색), 카이로 (갈색), 주렐 (흰색/보라 얼룩), 가보타 (검보라/노랑 테두리)
다윈 하이브리드계 (Darwin Hybrids)다윈계와 포스테리아나계의 잡종. 다윈계보다 크고 포스테리아나계의 내바이러스성을 물려받음. 꽃 색깔은 다소 제한적.핑크 임프레션 (복숭아색), 아펠도른 (빨간색), 옥스퍼드 (빨간색), 골든 아펠도른/옥스퍼드 (노란색), 브러싱 아펠도른/옥스퍼드 (주황/노랑 얼룩), 아펠도른/옥스퍼드 엘리트 (주황/노랑 테두리)
만생종홑꽃 만생계 (Single Late)품종 수는 적지만 유명 품종이 많음. 개화 시기는 다양함.핑크 다이아몬드 (연분홍색), Queen of the Night|퀸 오브 나이트영어 (검보라색), 일 드 프랑스
겹꽃 만생계 (Double Late)키가 크고 줄기가 조생종보다 강하며, 꽃잎 수가 많음.안젤리케 (분홍색), 마운트 타코마 (흰색), 아이스크림 (보라/흰색 투톤)
백합꽃계 (Lily-flowered)꽃잎 끝이 가늘고 뾰족함. 고대 튤립 형태와 유사. 아크미나타 원종에서 유래한 것이 많음.웨스트 포인트 (노란색), 발레리나 (주황색), 마릴린 (흰색/빨강 얼룩)
프린지꽃계 (Fringed Group)꽃잎 가장자리가 프린지(술) 모양. 프린지의 강도는 품종마다 다름.팬시 프릴 (분홍색), 해밀턴 (노란색), 크리스탈 뷰티 (빨간색), 바베이도스 (빨간색), 로열 스핑크스 (크림색)
빌리디플로라계 (Viridiflora)꽃잎 중앙에 녹색 줄무늬가 들어가는 것이 특징.스프링 그린 (흰색 바탕/녹색 줄무늬), 그린랜드 (복숭아색 바탕/녹색 줄무늬)
파롯계 (Parrot)꽃잎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 모양이 있음. 오래된 품종은 줄기가 약한 경우가 많으나 신품종은 개선됨.프레이밍 파롯 (노랑/빨강 얼룩), 에스텔라 라인벨트 (흰색/빨강 얼룩), 블루 파롯 (보라색)
렘브란트계 (Rembrandt)다윈계 품종에 깃털 모양의 얼룩무늬가 들어간 것. 과거에는 튤립 모자이크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했으나, 현재는 바이러스 없이도 무늬가 발현되는 건강한 품종이 개발됨.(과거 품종 예: 비자르, 바이블룸, 로즈 등)
브로큰 튤립 (Broken Tulip)튤립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꽃잎에 불규칙한 줄무늬나 얼룩이 생긴 튤립. 현재는 품종으로 인정되지 않음. 튤립 파동의 원인이 됨.Semper Augustus|셈펠 아우구스투스la (흰색/빨강 라인)
기타 (원종계)조생종카우프마니아나계, 포스테리아나계, 삭사틸리스, 프라에스탄스, 후미리스, 풀케라게스네리아나종보다 작고 일찍 피는 경향. 포스테리아나계는 내바이러스성이 있어 다윈 하이브리드계 육종에 사용됨. 프라에스탄스는 한 줄기에서 여러 꽃이 핌.퓨리시마 (흰색), 스윗하트 (노랑/흰색)
중생종그레이기계, 리니폴리아그레이기계는 잎에 보라색 얼룩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음.
기타아크미나타, 이스탄불 튤립아크미나타는 야생종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꽃잎이 가늘고 길어 백합꽃계 품종 육종에 사용됨. 이스탄불 튤립은 옛 튀르키예 이스탄불 등지에서 재배되던 형태로, 현재 튤립보다 꽃잎이 가늘고 김.


2. 2. 열매

튤립의 열매는 가죽 같은 껍질을 가진 구형 또는 타원형의 삭과이다. 각 삭과 안에는 여러 개의 편평하고 원반 모양의 종자가 방 하나당 두 줄로 들어 있다. 이 밝은 갈색에서 어두운 갈색의 종자는 매우 얇은 종피를 가지고 있으며, 배젖이 종자 전체를 채우지는 않는다.

3. 재배

튤립은 비늘줄기(구근), 종자, 또는 조직배양을 통해 번식할 수 있다.[41] 종자를 9월에 파종하면 개화까지 6~7년이 걸리므로, 주로 비늘줄기의 자구를 이용한 번식이 이루어진다. 비늘줄기와 조직 배양 방법은 모식물의 유전적 복제품을 생산하는 무성생식 수단으로, 품종의 유전적 특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41] 종자는 주로 아종을 번식시키거나 새로운 잡종을 만들 때 사용된다. 많은 튤립 종은 타가수분하며, 야생에서는 다른 종이나 아종과 지리적으로 겹칠 경우 잡종화되어 혼합 개체군을 형성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상업용 튤립 품종은 복잡한 잡종이며 불임인 경우가 많다. 종자에서 자란 튤립은 꽃을 피울 수 있는 크기가 되기까지 보통 5~8년이 걸린다.

많은 꽃과 달리 튤립은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꿀을 생산하지 않는다. 대신 바람과 동물을 통해 꽃가루를 옮긴다. 튤립은 자가 수분이 가능하여 꽃 안에서 수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40]
일반 재배 (보통재배)토양은 점질양토가 좋으며, 배수가 잘 되지 않는 곳에서는 비늘줄기가 썩기 쉽다. 건조하고 유기물이 부족한 땅에서는 정상적인 생육이 어렵고 바이러스병에 걸리기 쉽다. 보통 10월에 노지에 비늘줄기를 심는데, 심는 간격은 15cm~18cm, 깊이는 6cm~9cm가 적당하다. 유기물을 충분히 주고 심은 후에는 짚 등으로 덮어주는 피복을 하는 것이 좋다. 개화 시기는 품종에 따라 다르나 빠른 것은 3월, 늦은 것은 5월에 핀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기후에서는 비늘줄기를 수확하여 다음 해에 다시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성공적인 비늘줄기 월동을 위해서는 겨울이 너무 춥지 않고 습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촉성재배개화 시기를 앞당기는 재배 방식으로, 시기에 따라 촉성과 반촉성으로 나뉜다. 낮은 온도에 민감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실한 비늘줄기를 골라 소독한 후 냉장 처리를 하고, 처리가 끝나면 즉시 심는다. 온실의 다른 작물과의 재배 일정을 고려하여 얕은 상자에 심는 경우가 많다. 심는 간격은 10cm~12cm 정도로 하고, 비늘줄기의 윗부분이 흙 위로 약간 올라오도록 심는다. 심은 뒤에는 서늘하고 그늘진 곳으로 옮겨 가끔 물을 주며 관리한다. 온실에 들여놓은 후에는 식물체가 약 9cm 정도 자랄 때까지 15°C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상업적 재배네덜란드는 세계 최대의 상업용 튤립 생산국으로, 매년 약 30억 개의 구근을 생산하며 그 대부분을 수출한다.[39] 상업적 재배에서는 비늘줄기의 성장을 촉진하고 크기와 활력을 키우기 위해 꽃과 줄기를 제거하는 두둑관리 작업을 한다. 이는 주로 트랙터 부착 장비를 이용해 이루어진다. 개인 정원에서도 같은 목적으로 꽃대를 잘라줄 수 있다. 상업 재배 농가는 보통 늦여름에 튤립 비늘줄기를 수확하여 크기별로 등급을 매긴다. 꽃을 피울 만큼 큰 비늘줄기는 판매용으로 분류하고, 작은 비늘줄기는 다시 심어 키운다.
식재 요령튤립 비늘줄기는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늦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심는다. 심는 간격은 약 10cm~15cm가 적당하다. 권장되는 심는 깊이는 비늘줄기 윗부분에서 지표면까지 10cm~20cm이며, 큰 비늘줄기일수록 더 깊이 심는 것이 좋다.

튤립 비늘줄기는 매년 안정적으로 다시 꽃을 피우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때문에 특정 품종이 시대의 미적 기준에 맞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한다. 다른 여러 꽃들과 달리, 역사적인 튤립 품종들은 현대적인 품종들과 함께 보존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4]
주요 재배 지역 및 역사적 배경튤립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정된다. 소그드인의 유물에서 튤립 장식이 발견되며, 이후 돌궐이 중앙아시아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튤립을 포함한 꽃을 아끼는 문화를 받아들였다. 돌궐 붕괴 후 오구즈의 일파가 셀주크 제국을 세우고 11세기에 아나톨리아로 진출하면서 터키 민족이 이주했고, 이때 튤립도 함께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톱카프 궁전이나 블루 모스크 등의 건축물 타일 장식에 튤립 문양이 사용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터키에서 네덜란드로 튤립이 전래된 것은 16세기경이다. 오늘날 네덜란드는 세계적인 튤립 생산 및 수출국이며, 터키 역시 튤립을 주요 수출품으로 삼고 있다. 그 외 이란, 아프가니스탄, 헝가리 등에서도 재배된다.

일본에서는 도야마현니가타현이 주요 생산지로, 두 현의 생산량이 일본 전체 구근 생산량의 98%를 차지한다 (도야마현 53%, 니가타현 45%). 일본 내에서 판매되는 구근의 상당수는 네덜란드에서 수입된 것이다.

4. 품종

네덜란드의 튤립 재배


네덜란드 리세의 큐켄호프


가보타(Gavota), 3그룹 트라이엄프 품종


요니나(Yonina), 6그룹 릴리플라워드 품종


텍사스 플레임(Texas Flame), 10그룹 패럿 품종


튤립 구근 심는 깊이
튤립 구근은 보통 깊이로 심는다.


원예학에서는 튤립을 꽃의 형태와 식물의 크기를 기준으로 주로 15개 그룹으로 나눈다.[42][43] 각 그룹은 고유한 특징과 개화 시기를 갖는다.

  • '''1그룹: 싱글 얼리 (Single early)''' – 컵 모양의 홑꽃으로, 지름이 8cm를 넘지 않는다. 개화 시기는 이른 편에서 중간 정도이다. 키는 15cm에서 45cm 사이이다.
  • '''2그룹: 더블 얼리 (Double early)''' – 겹꽃으로, 그릇 모양이며 지름이 8cm 정도이다. 식물은 일반적으로 30cm에서 40cm까지 자란다.
  • '''3그룹: 트라이엄프 (Triumph)''' – 컵 모양의 홑꽃으로, 너비는 최대 6cm이다. 식물은 35cm에서 60cm까지 자라며, 개화 시기는 중간에서 늦은 편이다. 가장 품종 수가 많은 그룹이다.
  • '''4그룹: 다윈 하이브리드 (Darwin hybrid)''' – 홑꽃은 달걀 모양이며 너비는 최대 6cm이다. 식물은 50cm에서 70cm까지 자라며, 개화 시기는 중간에서 늦은 편이다. 이 그룹은 아래의 싱글 레이트 그룹에 속하는 구(舊) 다윈 튤립과는 다르다. 포스테리아나 품종과의 교배를 통해 만들어졌으며,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이 비교적 강하다.
  • '''5그룹: 싱글 레이트 (Single late)''' – 컵 또는 잔 모양의 꽃으로 너비는 최대 8cm이며, 일부 식물은 여러 개의 꽃줄기를 생성한다. 식물은 45cm에서 75cm까지 자라며, 개화 시기는 늦은 편이다.
  • '''6그룹: 릴리플라워드 (Lily-flowered)''' – 꽃의 허리 부분이 좁고, 꽃잎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지는 형태가 특징이다. 백합과 비슷한 모양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 '''7그룹: 프린지드 (Fringed) (크리스파, Crispa)''' – 컵이나 잔 모양의 꽃잎 가장자리가 술(fringe)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키는 45cm에서 65cm까지 자라며, 늦게 개화한다.
  • '''8그룹: 비리디플로라 (Viridiflora)''' – 꽃잎에 녹색 줄무늬나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9그룹: 렘브란트 (Rembrandt)''' – 튤립 모자이크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꽃잎에 불규칙한 줄무늬나 불꽃 같은 무늬가 생긴 품종에서 유래했다. 과거 튤립 파동 시기에 큰 인기를 끌었던 '브로큰 튤립(Broken tulip)'이 여기에 속한다. 현재는 바이러스 감염 없이 유전적으로 무늬를 가진 품종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품종은 수입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다.
  • '''10그룹: 패럿 (Parrot)''' – 꽃잎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거나 주름지고 뒤틀려 있어 앵무새의 깃털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11그룹: 더블 레이트 (Double late)''' (작약꽃형 튤립, Peony-flowered tulip) – 늦게 피는 겹꽃 품종으로, 꽃이 크고 풍성하여 작약꽃과 비슷하다. 키는 46cm에서 56cm 정도이다.
  • '''12그룹: 카우프마니아나 (Kaufmanniana)''' – 일찍 피는 품종으로, 꽃이 활짝 피면 수련과 비슷하여 '수련 튤립(Waterlily Tulip)'이라고도 불린다. 키는 비교적 작아 15cm 정도이다.
  • '''13그룹: 포스테리아나 (Fosteriana)''' (엠페러, Emperor) – 크고 화려한 꽃을 피우며, 다윈 하이브리드 그룹의 부모 중 하나이다. 바이러스에 강한 편이다.
  • '''14그룹: 그레이지 (Greigii)''' – 잎에 보라색 또는 갈색 줄무늬나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비교적 크고(너비 15cm), 키는 15cm 정도로 작은 편이다.[44]
  • '''15그룹: 종 (Species) 또는 보태니컬 (Botanical)''' – 야생종 튤립과 이를 개량한 품종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원예 품종보다 꽃은 작지만,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강건해서 정원에서 자연스럽게 번식하기도 한다.[45][46][47] 대표적인 예로 ''Tulipa edulis'' (산자고)가 있다. 일부 야생에서 오랫동안 자라온 정원 튤립들은 '신종 튤립(neo-tulipae)'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외에도 공식적인 분류는 아니지만, 하나의 구근에서 여러 개의 꽃대가 올라와 꽃을 피우는 품종들을 '멀티플라워링(Multiflowering)' 튤립으로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또한 개화 시기에 따라 튤립을 분류할 수도 있다.[48]

  • 초기 개화: 싱글 얼리, 더블 얼리, 그레이지, 카우프마니아나, 포스테리아나, 종(Species) 튤립
  • 중기 개화: 다윈 하이브리드, 트라이엄프, 패럿 튤립
  • 후기 개화: 싱글 레이트, 더블 레이트, 비리디플로라, 릴리플라워드, 프린지드, 렘브란트 튤립


튤립은 다양한 품종 개량이 이루어져 왔다. 꽃 색깔은 빨강, 노랑, 주황, 흰색, 분홍, 보라 등 매우 다양하며, 두 가지 이상의 색이 섞인 품종도 많다. 장미와 마찬가지로 육종가들이 파란색 튤립 개발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꽃잎 전체가 순수한 파란색인 품종은 없다. 품종 개량은 꽃 모양, 색깔뿐만 아니라 식물의 키, 잎 무늬, 향기, 개화 시기, 병충해 저항성, 절화 수명 등 다양한 형질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5. 역사

''튤립''(''Tulipa'')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속으로, 백합과 내에서는 백합아과(Lilioideae) 백합족(Lilieae)으로 분류된다.

"튤립"이라는 단어는 1554년경 서유럽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주재 합스부르크 대사였던 오지에르 기슬랭 드 부스벡의 기록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로는 "tulipa" 또는 "tulipant"로 처음 등장했으며, 이는 프랑스어 'tulipe'와 라틴어 'tulipa'를 거쳐 오스만 터키어 'tülbend'(무슬린 또는 거즈)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다. 궁극적으로는 페르시아어 'delband'(터번)에서 왔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튤립 꽃의 모양이 터번과 비슷하다는 인식 때문이었다.[11] 부스벡이 헝가리 안내인을 통해 들은 헝가리어 'tulipan'(튤립)을 기록했을 것이라는 설명도 있다.[12]

튤립은 주로 북위 40도선 주변 지역에 분포한다. 서쪽으로는 유럽 남동부(그리스,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코소보, 세르비아 남부,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러시아)와 터키에서 시작하여, 레반트(시리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령, 레바논, 요르단)와 시나이 반도를 거쳐 동쪽으로 이어진다. 분포 지역은 카스피해 동쪽 해안을 따라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지나 중앙아시아의 파미르-알라이 산맥과 톈산 산맥까지 뻗어 있으며, 이 지역이 튤립의 다양성의 중심지를 이룬다. 더 동쪽으로는 서쪽 히말라야, 남부 시베리아, 내몽골, 중국 북서부에서도 발견된다.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도 ''Tulipa sylvestris'' 아종의 원산지로 확인되었다. 튤립은 지중해와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도 자라지만, 이 지역들은 자연 분포 지역이 아닌 도입된 지역으로 본다. 아나톨리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어 귀화한 튤립들은 '신종 튤립(neo-tulipae)'이라고 불린다.

upright


튤립은 온대 기후의 산악 지역이 원산지이며, 스텝이나 겨울 강우 지중해 식생 지역에서 흔히 발견된다. 길고 시원한 봄과 건조한 여름이 있는 기후에서 잘 자라며, 주로 초원, 스텝, 차파랄에서 자생하지만, 밭, 과수원, 길가, 버려진 정원 등에도 도입되어 자란다.

튤립 재배는 10세기경 페르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20] 오스만 제국 시대에 크게 발달하여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다.[21] 16세기 중반 오지에르 기슬랭 드 부스벡 등을 통해 서유럽으로 전파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네덜란드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튤립 열풍과 같은 사회 현상을 낳기도 했다. 오늘날 튤립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원예 식물이 되었으며, 특히 네덜란드는 세계적인 튤립 생산 및 수출국으로 유명하다.

5. 1. 이슬람 세계

튤립 재배는 10세기경 페르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20] 초기 품종들은 야생에서 채집한 식물을 정원에서 교배하여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꽃의 크기나 생장세 등이 좋은 개체들이 선호되었을 것이다. 고대 문헌에서는 튤립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20] 셀주크 투르크가 진출하면서 아나톨리아에 튤립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20]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수많은 종류의 튤립이 재배되고 개량되었다.[21] 오늘날에도 터키에서는 14종의 야생 튤립을 찾아볼 수 있다.[20] 페르시아 시인 오마르 카얌과 잘랄라딘 루미도 튤립을 언급했다.[20] 터키의 야생 튤립은 주로 붉은색이며 드물게 흰색이나 노란색도 있다. 오스만 투르크인들은 이 야생 튤립들이 자유롭게 교배하며 다양한 변종을 만들고, 때로는 형태와 색깔이 저절로 변하는 돌연변이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았다.[4]

1574년 술탄 셀림 2세는 시리아 아자즈의 카디(판사)에게 튤립 구근 5만 개를 이스탄불톱카프 궁전 정원으로 보내라고 명령했다는 기록이 있다.[22] 다만 이 기록이 튤립이 아닌 히아신스(''sümbüll'')를 잘못 기록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3] 셀림 2세는 또한 크림 반도의 케페(Kefe)에서 '케페 랄레'(Kefe Lale, 중세 지명 케페에서 유래, 아마도 ''튤리파 수아베올렌스'', 동의어 ''튤리파 슈렌키'') 구근 30만 개를 수입하여 톱카프 궁전 정원에 심었다.

1554년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술레이만 1세 궁정 대사였던 오지에르 기슬랭 드 부스벡이 구근을 서쪽으로 보내 튤립을 유럽에 소개했다는 주장도 있다. 튤립이 처음 공식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할 때 한 궁정에서 다른 궁정으로 전해진 사실이 튤립의 인기 상승에 기여했을 수 있다.[4]

술탄 아흐메트 3세마니사 마을 위의 스필다위 여름 고지대 목초지(Yaylatr)에 유명한 튤립 정원을 가꿨다.[24] 이 정원은 주로 야생 튤립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터키에서 알려진 14종의 튤립 중 4종만이 지역 자생종으로 간주되므로,[25] 이란중앙아시아의 야생 튤립이 셀주크 시대, 특히 오스만 시대에 터키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아흐메트 3세는 네덜란드에서 재배된 튤립 구근을 수입하기도 했다.

1660년에 쓰인 정원 관련 책 ''레브낙이 보스탄''(정원의 아름다움)에는 튤립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히아신스와 백합 재배에 대한 조언이 담겨 있다.[26] 그러나 용어에 상당한 혼란이 있어 튤립이 히아신스에 포함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유럽 식물학자들이 계속해서 반복한 실수이다. 반면 1515년 헤라트 출신 학자 카심은 야생 튤립과 정원 튤립(lale)을 모두 아네모네(shaqayq al-nu'man)로 확인했지만, 황금알리움을 ''laleh kakli''로 설명했다.[26]

1495년 이전에 쓰인 튀르크어족 텍스트에서 차가타이의 후세인 바이카라는 튤립(laletk)을 언급한다.[27] 무굴 제국의 창시자인 바부르도 그의 회고록 바부르나마에서 튤립을 언급한다.[28] 그는 다른 식물(멜론과 포도)과 마찬가지로 아프가니스탄에서 인도 평야로 튤립을 소개했을 수 있다.[29] 튤립은 터키의 공식 상징이다.[30]

무어인의 알안달루스에서는 "마케도니아 구근"(''basal al-maqdunis'') 또는 "양동이 수선화"(''naryis qadusi'')가 정원의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었다. 알렉산드리아에서 온 것으로 여겨지며, 튤리파 실베스트리스일 수 있지만, 확인이 완전히 확실하지는 않다.[31]

3,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페르시아의 새해맞이 축제인 노루즈는 봄의 시작을 알리며, 축제 기간 동안 튤립은 장식 요소로 사용된다.[55]

12세기 페르시아의 비극 로맨스인 ''호스로와 시린''은 젊은 왕자 파르하드가 자신의 진정한 사랑 시린이 죽었다는 (의도적으로 거짓된) 이야기를 듣고 자살한 후 그의 피가 흘렀던 곳에서 튤립이 솟아났다는 이야기를 전한다.[55]

튤립은 13세기부터 페르시아 시인들의 주제였다. 무샤리푸드딘 사아디가 지은 시 ''구리스탄''은 "시원한 시내의 속삭임 / 새들의 노래, 풍부한 익은 과일 / 밝고 다채로운 튤립과 향기로운 장미..."가 있는 이상적인 정원 낙원을 묘사했다.

튤립은 이란의 순교를 상징하는 국가 상징[56] (그리고 일반적으로 시아파 이슬람의 순교를 상징한다)이며, 우표와 동전에 사용되어 왔다. 1979년 이란 혁명에서 사용된 상징으로 흔히 사용되었고, 1980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이란 국기에는 붉은 튤립이 장식되어 있다. 중앙의 과 그 주위의 네 개의 초승달 모양의 꽃잎은 "الله|알라ar"라는 단어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이슬람의 5대 기둥을 상징한다. 호메이니 아야톨라의 묘는 680년 카르발라 전투에서 죽은 72명의 순교자를 나타내는 72개의 스테인드글라스 튤립으로 장식되어 있다. 또한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에서 희생된 사람들을 기리는 광고판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55]

튤립은 2009년 이란 대통령 선거 이후 마무드 아마디네자드의 재선에 항의하는 수백만 명이 거리로 나선 후 이란 정부에 대한 항의의 상징이 되었다. 항의가 강력하게 진압된 후, 이란 녹색 운동은 투쟁의 상징으로 튤립을 채택했다.[55]

페르시아어로 튤립을 의미하는 단어는 '랄레'(لاله|lalehfa)이며, 이는 인기 있는 여자 이름이 되었다.[56] 이 이름은 라레 국제 호텔과 같은 상업 기업과 라레 공원[55] 및 라레 병원[57]과 같은 공공 시설에 사용되었으며, 튤립 모티프는 이란 문화에서 여전히 흔하다.[55]

'''터키 및 페르시아의 전설'''

옛날 어느 마을에 팔하드라는 청년이 살았다. 그는 마을 수장의 딸인 시린과 사랑에 빠졌다. 마을의 우물이 마르자 팔하드는 물을 얻기 위해 구멍을 팠다. 오직 파는 일에만 몰두하여 마침내 물을 얻었지만, 그때에는 이미 시린이 세상을 떠난 후였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슬퍼한 팔하드는 절벽에서 뛰어내려 목숨을 잃었다. 그의 산산조각 난 몸에서 흘러나온 피에서 곧 빨간 꽃이 피어났다. 그것이 튤립이다.

5. 2. 서유럽 전파



튤립이 북서유럽에 처음으로 어떻게 전해졌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술레이만 1세에게 페르디난트 1세 황제의 대사로 파견되었던 오스트리아의 오지에르 기슬랭 드 부스베크가 들여왔다는 설이다. 그는 편지에 "어디에나 수선화, 히아신스 그리고 터키어로 '라레'라고 불리는 꽃들이 풍부하게 피어 있었다. 거의 한겨울이었기에 꽃들에게는 좋지 않은 계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매우 놀랐다"고 기록했다.[32][33] 이 기록은 1558년 3월 이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559년 콘라트 게스너아우크스부르크, 슈바벤의 헤인리히 헤르바르트 의원 정원에서 튤립이 꽃을 피웠다고 기록했다.[34] 튤립의 이름은 부스베크가 오스만 제국에서 튤립을 보았을 때, 그 모양이 터번(tülbend)과 비슷하다고 잘못 전하면서 '튤립'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67] 피에트로 안드레아 마티올리는 1565년에 튤립을 삽화로 그렸지만, 이를 수선화로 잘못 분류하기도 했다.

16세기 말 튤립 구근 확산에 크게 기여한 인물은 식물학자 카롤루스 클루시우스이다. 그는 1573년 비엔나 황실 식물원에 튤립을 심었고, 1592년에는 튤립에 관한 최초의 주요 저서를 완성하며 색상 변화를 기록했다. 1593년 말, 라이덴 대학교의 새로 설립된 식물원 원장으로 임명된 후 그곳에 튤립을 심었다. 이 튤립은 1594년에 꽃을 피웠는데, 비록 20~30년 전부터 앤트워프와 암스테르담의 개인 정원에서 튤립이 재배되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공식적으로는 이날이 네덜란드에서 튤립이 처음 꽃을 피운 해로 여겨진다. 라이덴의 이 튤립은 이후 튤립 열풍과 네덜란드 튤립 산업의 시작점이 되었다.[35] 클루시우스는 튤립 재배로 명성을 얻었지만, 1596년과 1598년 두 차례에 걸쳐 그의 정원에서 100개가 넘는 구근을 도난당하는 사건을 겪기도 했다.

튤립은 유럽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특히 겹튤립과 같이 더욱 화려한 품종들이 17세기 초 유럽에 알려지면서 인기를 끌었다. 당시 유럽, 특히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에서는 동인도와의 향신료 무역으로 부를 축적한 사람들이 많았고, 이국적인 식물과 자연의 기이함이 소중히 여겨지던 시대였다. 부를 과시하고자 했던 신흥 부유층은 정원 가꾸기가 유행하던 저지대 국가를 중심으로 이국적인 식물 시장을 형성했다. 프랑스에서는 곧 구근에 대한 열풍이 불어, 17세기 초에는 튤립 구근 하나와 전체 부동산이 교환될 정도였다. 다양한 품종을 설명하는 출판물이 쏟아져 나왔고, 프랑스는 네덜란드, 플랑드르, 독일, 영국 구매자에게 튤립을 수출하는 사업을 성장시켰다. 시간이 지나면서 튤립 무역의 중심은 프랑스에서 네덜란드로 점차 이동했다.[36]

1634년에서 1637년 사이, 네덜란드에서는 새로운 꽃에 대한 열정이 투기 광풍으로 번졌는데, 이것이 바로 튤립 열풍이다. 튤립 구근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일종의 통화나 선물 계약처럼 거래되었고, 결국 네덜란드 정부가 구근 거래에 제한을 두는 조치를 취하게 만들었다.[36] 이 시기에는 잘라낸 튤립 꽃을 한 줄기씩 꽂아 전시하기 위한 도자기 튤리피에르(tulipière)가 고안되기도 했다. 튤립을 포함한 꽃병과 꽃다발은 네덜란드 정물화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가 되었다. 오늘날까지도 튤립은 네덜란드를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지며, 재배되는 튤립 품종들은 종종 "네덜란드 튤립"이라고 불린다. 네덜란드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상설 튤립 전시장인 쾨켄호프가 있다.

영국에서는 16세기 말부터 튤립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카네이션, 프리뮬러 오리큘라(Primula auricula)와 함께 일찍부터 품종 개량이 이루어졌다. 19세기에는 수많은 품종이 탄생했고, 그중 일부는 현재까지도 재배되고 있다. 영국 국가 컬렉션 중 영국 플로리스트 튤립과 네덜란드 역사 튤립(17세기 초~1960년경)은 윌트셔주 칼른 근처 블랙랜드 하우스의 폴리 니콜슨이 소장하고 있다.[37]

현재 재배되는 대부분의 튤립 품종은 ''튜리파 게스네리아나''(Tulipa gesnerianala)로 분류된다. 이 품종들은 복잡한 교배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튜리파 수아베올렌스''(Tulipa suaveolensla)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튜리파 게스네리아나'' 자체는 초기 잡종으로 복잡한 기원을 가지며, 16세기에 콘라트 게스너가 기술했던 분류군과는 다를 가능성이 높다.

5. 3. 튤립 파동 (Tulip Mania)

파생상품 거래의 하나인 상품 거래는 17세기 초 네덜란드에서 이루어진 튤립 거래가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처음에는 식물 애호가들 간의 거래였지만, 투기 자금이 유입되면서 희귀한 품종의 튤립 구근이 고가에 거래되었다. 이를 튤립 매니아 또는 '''튤립 버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르렘, 암스테르담 등에서 상설 현물 시장과 상대 거래를 통한 선물 거래 등이 성행하며 일반 서민들까지 참여했지만, 1637년 구근 가격 폭락으로 튤립 매니아 또는 튤립 버블은 종식되었다.

5. 4. 한국 전래

(작성할 내용 없음)

6. 문화

=== 페르시아 / 이란 ===

3,000년 이상 역사를 지닌 페르시아의 새해 축제인 노루즈는 봄의 시작을 알리며, 이 기간 동안 튤립은 장식으로 흔히 사용된다.[55]

12세기 페르시아의 비극 로맨스 ''호스로와 시린''에는 젊은 왕자 파르하드가 사랑하는 여인 시린이 죽었다는 거짓 소식을 듣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자리에서 튤립이 피어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는 로미오와 줄리엣과 유사한 비극적 사랑 이야기이다.[55]

튤립은 13세기부터 페르시아 시문학의 주요 소재였다. 무샤리푸드딘 사아디는 그의 시집 ''구리스탄''에서 "시원한 시냇물의 속삭임 / 새들의 노래, 풍성하게 익은 과일 / 밝고 다채로운 튤립과 향기로운 장미..."가 있는 이상적인 정원을 묘사했다. 현대 시인 시민 베흐바하니의 작품에도 튤립이 등장한다.

이란에서 튤립은 국가 상징으로 여겨지며, 특히 순교, 더 나아가 시아파 이슬람의 순교를 상징한다.[56] 이 때문에 우표나 동전 디자인에도 사용되었다.

1979년 이란 혁명 당시에도 튤립은 중요한 상징이었으며, 1980년 새롭게 디자인된 이란의 국기 중앙에도 붉은 튤립 문양이 자리 잡았다. 이 문양은 중앙의 과 네 개의 초승달 모양 꽃잎이 결합하여 "알라"라는 단어를 형상화하는 동시에 이슬람의 5대 기둥을 나타낸다. 호메이니 아야톨라의 묘는 680년 카르발라 전투에서 희생된 72명의 순교자를 기리는 72개의 스테인드글라스 튤립으로 장식되어 있다. 또한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광고판에도 튤립 상징이 사용되었다.[55]

튤립은 2009년 이란 대통령 선거 이후 마무드 아마디네자드의 재선에 항의하며 거리로 나선 시민들의 시위를 상징하기도 했다. 시위가 강경하게 진압된 후, 이란 녹색 운동은 투쟁의 상징으로 튤립을 채택했다.[55]

페르시아어로 튤립을 뜻하는 '랄레'(لاله|lalehfa)는 여자 이름으로도 인기가 높다.[56] 라레 국제 호텔과 같은 상업 시설이나 라레 공원[55], 라레 병원[57] 등 공공시설 명칭에도 사용되며, 튤립 모티프는 이란 문화 전반에서 여전히 널리 찾아볼 수 있다.[55]

=== 터키 ===

터키항공(Turkish Airlines)은 항공기 표식으로 회색 튤립을 사용한다


터키어로 튤립은 '랄레'(lale|랄레tr)라고 불리는데, 이는 페르시아어 '랄레'(لاله|lalehfa)에서 유래했으며, 궁극적으로는 '붉은색'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랄'(لال|lalfa)에 뿌리를 둔다.[58] 아랍 문자로 '랄레'를 쓰면 알라와 철자가 같아 신성한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튤립은 오스만 왕조와도 깊은 관련이 있어, 오스만 제국 시대의 타일, 모스크, 직물, 도자기 등 다양한 장식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다. 튤립은 풍요와 부유함의 상징으로 간주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이 가장 번성했던 시기를 튤립 시대(터키어: Lale Devri|랄레 데브리tr)라고 부르기도 한다.

터키 문화에서 튤립은 지상의 낙원을 상징하며 거의 신성시되었던 반면, 네덜란드에서는 삶의 덧없음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졌다.

=== 네덜란드 ===

네덜란드에서 튤립은 삶의 덧없음을 상징하는 의미를 지녔다. 또한 네덜란드인들은 튤립에 향기가 없는 것을 순결함을 나타내는 미덕으로 여기기도 했다.[4] 알렉상드르 뒤마의 1850년 역사 소설 ''검은 튤립''은 네덜란드 도시 하를렘을 배경으로, 진정한 검은 튤립을 최초로 재배하는 사람에게 상금이 주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61]

=== 기독교 ===

기독교 문화에서 튤립은 열정, 신앙, 사랑을 상징한다. 흰색 튤립은 용서를, 보라색 튤립은 왕족을 상징하며, 이는 부활절의 중요한 상징적 요소로 여겨진다. 칼뱅주의에서는 은총 교리의 다섯 가지 핵심 요점을 두문자어 'TULIP'으로 요약하기도 한다.[59][60]

=== 미적 가치와 변이성 ===

튤립은 다른 꽃들과 달리 역사적으로 시대에 따른 미적 기준의 변화에 맞춰 유전적으로 모습을 바꾸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1597년 존 제라드는 그의 저서에서 튤립에 대해 "자연은 내가 아는 어떤 꽃보다 이 꽃으로 더 많이 장난을 치는 것 같다"라고 언급했다. 네덜란드에서 선명한 대조를 이루는 색상의 대리석 같은 무늬가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여겨졌을 때, 튤립은 꽃잎에 '깃털'이나 '불꽃' 같은 무늬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19세기 영국에서 대량 재배와 화단 장식용으로 튤립을 선호하게 되자, 튤립은 "가장 밝고 통통하며 순수한 색소로 가득 찬 상자"처럼 보이도록 스스로를 변화시켰다. 이러한 독특한 변이성 때문에 오스만 터키인들은 자연이 다른 어떤 꽃보다 튤립을 특별히 여긴다고 믿었다.[4]

=== 오컬트 ===

오컬티스트 오스왈드 비르트는 그의 타로 카드 덱, 특히 1927년 작품 Le Tarot, des Imagiers du Moyen Âge|르 타로, 데 이마지에 뒤 무아얭 아쥬프랑스어에 묘사된 마법사, 황제, 절제, 바보 등 여러 대아르카나 카드에 튤립을 그려 넣었다.[62][63]

=== 전설 ===

  • '''이스라엘''': 성경에 등장하는 '샤론의 장미', '골짜기의 백합'이 실제로는 튤립을 가리킨다는 설이 있다.
  • '''터키 / 페르시아''': 옛날 마을 청년 팔하드가 사랑하는 여인 시린을 위해 우물을 파는 데 몰두했다. 마침내 물을 얻었지만 시린은 이미 세상을 떠난 후였다. 슬픔에 잠긴 팔하드는 절벽에서 몸을 던졌고, 그의 피가 떨어진 자리에서 붉은 튤립이 피어났다고 전해진다.
  • '''네덜란드''': 아름다운 소녀에게 세 명의 기사가 각각 황금 왕관, 검, 보물을 바치며 청혼했다. 누구도 선택할 수 없었던 소녀는 꽃의 요정에게 자신을 꽃으로 만들어 달라고 빌었고, 소녀의 소원대로 왕관은 꽃봉오리가, 검은 잎사귀가, 보물은 구근이 되었다. 이 꽃은 소녀의 이름을 따 튤립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 축제 및 명소 ===

전 세계적으로 튤립을 주제로 한 축제가 열린다. 대표적으로 네덜란드와 영국 스팔딩의 축제가 유명하며, 스위스 모르주에서도 인기 있는 축제가 개최된다. 북미에서는 매년 봄 미시간주 홀랜드의 튤립 타임 축제, 워싱턴주 스캐짓 밸리의 스캐짓 밸리 튤립 축제, 아이오와주 오렌지 시티와 펠라의 튤립 타임 축제,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의 캐나다 튤립 축제 등이 열린다. 호주에서도 튤립은 인기가 많아 남반구의 봄인 9월과 10월에 여러 축제가 열린다. 인도 잠무 카슈미르의 인디라 간디 기념 튤립 정원에서는 매년 튤립 축제가 열리는데, 20만 명 이상이 방문할 정도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기소산센 공원(2007년 4월)


=== 일본 ===

일본에서는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튤립을 시정촌의 상징 꽃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개화 시기에는 공원이나 행사장에 수많은 튤립을 심어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한국에 자생하는 개감채와 넓은잎개감채는 튤립과 비슷하게 생겼다. 과거에는 튤립속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형태적 차이로 개감채속으로 분류된다. '감채(甘菜)'라는 이름처럼 식용으로 쓰였으며, '보리골'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논둑과 같이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건조에 약한 구근을 가진다는 점에서 튤립과 차이가 있다.

'''일본 내 주요 튤립 명소'''

7. 이용

튤립은 화단이나 화분용, 또는 절화(切花)용으로 널리 쓰인다. 특히 화단 장식에 잘 어울리며, 화분 생산이나 비늘줄기(구근) 생산도 상업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진다. 보통 화분은 2~3월에, 비늘줄기는 9월에 출하한다. 절화용 튤립은 재배 방식에 따라 수확 시기가 다른데, 온실 등에서 촉성 재배한 것은 꽃잎에 색이 돌기 시작하고 2일 정도 지난 후에 자르고, 노지에서 재배한 것은 꽃 색깔이 완전히 발현된 후에 자른다.

대부분의 튤립 종과 재배 품종은 향이 거의 없지만, 일부는 뚜렷한 향기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안나 파보드는 ''T. hungarica'' 종을 "강한 향이 나는" 품종으로 묘사했으며,[9] '몬테 카를로(Monte Carlo)'나 '브라운 슈거(Brown Sugar)'와 같이 "향이 나는" 품종, '크렘 업스타(Creme Upstar)'처럼 "향기로운" 품종도 존재한다.[10]

튤립 꽃잎은 사람이 먹을 수 있다. 맛은 품종과 계절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상추나 다른 샐러드 채소와 비슷한 식감을 가진다. 다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53][54]

튤립 투기 역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튤립은 매우 다양한 원예 품종이 개발되었다. 꽃잎 끝 모양은 둥근 것, 뾰족한 것, 프릴(주름) 모양인 것 등이 있으며, 꽃이 피는 방식도 홑꽃, 겹꽃, 한 구근에서 여러 송이가 피는 것, 오므라든 채 피는 것, 꽃잎이 바깥으로 활짝 젖혀지는 것 등 다양하다. 꽃 색깔 역시 파란색을 제외한 빨강, 노랑, 주황, 흰색, 초록, 보라 등 단색 또는 여러 색이 섞인 수백 가지 품종이 존재한다. 장미와 마찬가지로 파란색 튤립을 만들기 위한 육종가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 꽃 전체가 파란색인 품종은 발표되지 않았다. 튤립 꽃을 위에서 보면 꽃잎 밑부분에 파란 부분이 보이는데, 이 부분의 파란 색소를 확장하여 파란 튤립을 만들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큰 구근을 얻으려면 개화 후 약 2일 뒤에 꽃 부분을 잘라내는 것이 좋다. 또한 구근을 깊이 심으면 나누어지는 수(분구)는 줄어들지만 구근 자체는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심은 해에는 변화가 없고 다음 해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튤립은 주로 구근 나누기(분구)로 번식하며, 씨앗(실생)으로 번식할 경우 개화까지 5년 이상 걸린다. 다른 백합과 식물처럼 양성화이지만, 암술과 수술의 성숙 시기가 다른 웅예선숙(雌雄異熟) 특성으로 자가수분을 피한다.

씨앗을 이용한 번식(실생)은 주로 품종 개량 시에 이루어진다. 인기 있는 꽃일수록 꽃 모양, 색깔, 식물 전체의 형태(초형), 잎 무늬, 꽃 표면의 분(블룸) 유무, 향기, 개화 시기(조만성), 더위나 습기에 견디는 능력(내서성·내습성), 한 줄기에서 많은 꽃이 피는 성질(다화성), 번식력 등 개량할 점이 많다. 절화용 품종의 경우, 꽃의 수명(절화 수명), 꽃가루가 없는 특성(무화분화), 꽃대의 단단함 등도 중요한 개량 목표이다. 특히 일본과 같이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잘 견디는 품종 개발이 요구된다. 다행히 야생종을 비롯해 교배에 활용할 수 있는 유전자원이 풍부하여 시간은 걸리지만 품종 개량은 비교적 용이한 편이다.

개화 전에 바늘 등을 이용해 튤립 꽃의 밑부분을 관통시켜 상처를 내면 에틸렌 가스가 발생하여 개화 기간이 늘어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반대로 개화 후에 같은 처리를 하면 개화 기간이 단축되는데, 이는 튤립에서만 특이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 튤립의 원예 품종군 ===

주로 재배되는 것은 게스네리아나종(''T. gesneriana'')이다. 이는 유럽에 전래되어 개량된 품종에 붙여진 학명으로, 야생 상태의 게스네리아나종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원종에 대해서도 명확히 알려진 바가 적다).

튤립의 원예 품종군
구분계통특징대표 품종
조생종홑꽃 조생계 (Single Early)키가 낮은 경향.애프리콧 뷰티 (살구색), 크리스마스 드림 (분홍색)
겹꽃 조생계 (Double Early)겹꽃, 조생, 키 낮음, 가냘픈 초형. 무릴로 품종 돌연변이 다수.피치 블로썸 (분홍색), 몬테카를로 (노란색)
중생종트라이엄프계 (Triumph)가장 품종 수 많음. 다양한 계통 통합.네그리타 (보라색), 키스넬리스 (빨강/노랑), 화이트 드림 (흰색), 프로미넌스 (빨간색), 카이로 (갈색빛), 주렐 (흰색/보라 얼룩), 가보타 (검보라/노랑 테두리)
다윈 하이브리드계 (Darwin Hybrids)다윈계와 포스테리아나 교잡. 대형, 내바이러스성.핑크 임프레션 (복숭아색), 아펠도른 (빨간색), 옥스퍼드 (빨간색) 및 그 변이종
만생종홑꽃 만생계 (Single Late)품종 수 적으나 유명 품종 다수. 개화 시기 다양.핑크 다이아몬드 (연분홍), 퀸 오브 나이트 (검보라)
겹꽃 만생계 (Double Late)키 크고 줄기 강함. 꽃잎 많음.안젤리케 (분홍색), 마운트 타코마 (흰색), 아이스크림 (보라/흰색 투톤)
백합꽃계 (Lily-flowered)꽃잎 끝 뾰족. 고대 튜립 형태. 아크미나타 원종 유래.웨스트 포인트 (노란색), 발레리나 (주황색), 마릴린 (흰색/빨강 얼룩)
프린지꽃계 (Fringed Group)꽃잎 가장자리 프린지 모양. 프린지 강도 다양.팬시 프릴 (분홍색), 해밀턴 (노란색), 크리스탈 뷰티 (빨간색), 바베이도스 (빨간색)
빌리디플로라계 (Viridiflora)꽃잎 중앙 녹색 라인. 키 낮은 아티스트 계열, 키 큰 스프링 그린 계열.스프링 그린 (흰색/녹색), 그린랜드 (복숭아색/녹색)
파롯계 (Parrot)꽃잎 가장자리 거친 톱니. 오래된 품종은 줄기 약함. 보통 계통 변이 다수.프레이밍 파롯 (노랑/빨강 얼룩), 에스텔라 라인벨트 (흰색/빨강 얼룩), 블루 파롯 (보라색)
렘브란트계 (Rembrandt)다윈계에 깃털 모양 얼룩. 튤립 모자이크 바이러스 원인 품종 수입 금지. 건강해도 무늬 가진 품종 개발됨.(구) 비자르, 바이블룸, 로즈 등 (현존 거의 없음)
브로큰 튜립바이러스병 감염 튜립. 현재 품종 미인정. 튤립 투기 원인.(구) 셈펠 아우구스투스 (흰색/빨강 라인)
기타 (원종 및 개량종)카우프마니아나계 (Kaufmaniana)카우프만 씨 유래.
포스테리아나계 (Fosteriana)포스터 씨 유래. 내바이러스성. 다윈 하이브리드계 부모.퓨리시마 (흰색), 스윗하트 (노랑/흰색)
그레이기계 (Greigii)그레이그 씨 유래. 잎에 보라색 얼룩무늬.
기타 원종 및 개량종삭사틸리스, 프라에스탄스 (다화성), 후미리스, 풀케라, 리니폴리아, 아크미나타 (백합꽃계 교배 부모), 이스탄불 튜립 (꽃잎 가늘고 김)



=== 기타 이용 및 주의사항 ===

농업 종사자 등 튤립 줄기나 즙에 자주 접촉하는 사람들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튤리파린 A(Tulipalin A)에 의해 접촉성 피부염의 일종인 '튤립핑거(Tulip fingers)'를 앓을 수 있다. 또한, 식용으로 개량된 품종 외의 튤립을 섭취하면 메스꺼움, 구토, 호흡 억제,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무력감이 5일 정도 지속될 수 있다.[69][70] 사람이나 개, 고양이 등에게는 독성이 있지만, 토끼, 사슴, 다람쥐, 밭쥐, 들쥐 등 일부 동물에게는 구근과 잎이 먹이가 되어 피해를 주기도 한다.[71] 튤립은 식물 전체, 특히 구근에 심장 독성 물질인 튤리핀(Tulipin)을 함유하고 있으며, 구근에 상처가 나면 알레르기성 물질인 튤리파린 A를 생성한다.

반면, 구근은 당도가 매우 높고 전분이 풍부하여 네덜란드에서는 식용으로 재배하기도 하며, 주로 제과 재료로 사용된다. 일본 도야마현 토나미시에서는 튤립 구근을 시럽에 절여 만든 화과자파이를 판매하고 있다.[72] 꽃잎 역시 샐러드과자의 장식(고명)으로 생식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네덜란드에서는 꽃잎을 이용한 요리가 발달했다. 꽃잎은 상추와 비슷하게 아삭하고 신선한 식감에 은은한 단맛이 있어 샐러드뿐 아니라 볶음 요리에도 잘 어울린다. 최근 일본에서도 식용 튤립 생산량이 증가하여 통신판매 등을 통해 일반 소비자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식용에 적합한 것은 전용 품종이며, 일반적인 원예용 튤립은 알칼리 성분이 강하고 농약 사용 문제도 있을 수 있어 식용을 피해야 한다.

일부 튤립 품종(예: 핑크 다이아몬드)은 항염 작용 및 콜라겐 생성 증강 효과가 확인되어 화장품 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8. 독성

튤리파닌은 튤립에서 발견되는 안토시아닌의 일종으로, 델피니딘의 3-루티노시드이다. 튤립에는 튤리포사이드와 튤리팔린이라는 화합물도 들어 있는데, 이들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6] 특히 튤리팔린 A(α-메틸렌-γ-부티로락톤)는 글루코사이드 튤리포사이드 A가 가수분해되어 만들어지는 흔한 알레르겐이다. 이 물질은 주로 튤립 구근을 다루거나 줄기와 잎을 자르는 플로리스트 등 직업적으로 튤립을 자주 접하는 사람들에게 접촉 피부염(일명 '튤립핑거', en: Tulip fingers)을 유발한다.[7] 튤리파닌 A와 B는 , 고양이, 에게도 유독하다.[8]

백합과의 다른 식물들처럼 튤립은 가축에게 독성을 나타낸다.[8] 특히 고양이의 경우, 튤립을 소량 섭취해도 구토, 우울증, 설사, 침 과다 분비, 입과 목의 자극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많은 양을 섭취하면 복통, 떨림, 빠른 심장 박동(빈맥), 경련, 빠른 호흡(빈호흡), 호흡 곤란, 심장 부정맥, 혼수 상태에 이를 수도 있다. 튤립의 모든 부분이 고양이에게 해롭지만, 특히 구근이 가장 위험하다. 고양이가 튤립을 먹었다면 즉시 수의사에게 연락해야 한다.[49] 미국 동부에서는 흰꼬리사슴이 튤립을 먹기도 하지만[18], 토끼, 사슴, 다람쥐, 밭쥐, , 들쥐 등 다른 야생 동물에게는 구근과 잎이 먹이가 되기도 한다.[71]

튤립 구근은 양파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구근의 정확한 독성 수준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사람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조리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된 방식도 없다. 섭취량에 따라 건강 문제를 일으킨 사례가 보고되었다.[50] 1944년-1945년 네덜란드 기근과 같은 극심한 식량 부족 상황에서는 튤립 구근을 먹기도 했으며, 당시 네덜란드 의사들이 조리법을 제공하기도 했다.[51][52]

대부분의 튤립 품종은 식물 전체에 심장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튤리핀을 함유하고 있다.[69][70] 또한 구근에 상처가 나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튤리팔린 A가 생성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원예용 튤립은 알칼리 성분이 강하고 농약 사용 문제도 있을 수 있어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네덜란드 등지에서는 당도가 높고 전분이 풍부한 식용 품종을 재배하여 주로 제과 재료로 사용한다. 일본 도야마현 토나미시에서는 시럽에 절인 구근을 이용한 화과자파이를 판매하기도 한다.[72] 꽃잎 역시 샐러드과자의 장식으로 생식되기도 하는데, 특히 네덜란드에서는 꽃을 이용한 요리가 발달했다. 꽃잎은 상추와 비슷한 식감에 약간의 단맛이 있어 샐러드나 볶음 요리에 사용된다. 식용 가능한 튤립은 반드시 전용 품종이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ulipa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11-15
[2] 웹사이트 The tulip name comes from the Turkish word for turban https://www.tulipman[...] 2021-01-12
[3] 웹사이트 There Never Was a Real Tulip Fever https://www.smithson[...] 2020-03-31
[4] 서적 The Botany of Desire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5] 웹사이트 World's first black tulip grown in Holland https://www.upi.com/[...] 2019-04-18
[6] 논문 Isolation and quantification of tuliposides and tulipalins in tulips (Tulip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7] 논문 Dermatitis from plants of the new world
[8] 웹사이트 Tulip http://www.aspca.org[...] ASPCA 2013-04-01
[9] 문서 Pavord (2019 revd. edn), 301
[10] 문서 Pavord (2019 revd. edn), 374, 379, 405
[11] 웹사이트 Tulip http://www.etymonlin[...] 2017-07-24
[12] 논문 An indic-hungarian reconstruction https://www.anantaaj[...] 2021-02-07
[13] 서적 The origin of the Indo-Iranians Brill 2007
[14] 논문 Differences in Epicuticular Wax Layer in Tulip Can Influence Resistance to Botrytis Tulipae http://library.wur.n[...]
[15] 서적 Westcott's Plant disease handbook https://archive.org/[...] Van Nostrand Reinhold
[16] 논문 Low temperature sensing in tulip (Tulipa gesneriana L.) is mediated through an increased response to auxin 2000-03
[17] 논문 Measurement of Colour Variation of Tulip Flowers Grown in Different Conditions 1997
[18] 서적 Human-Wildlife Interactions: From Conflict to Coexisten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22-01-05
[19] 간행물 Tulipa Breyntiana. Cape Tulip. http://www.botanicus[...] T. Curtis 1804
[20] 서적 The Bulbous Plants of Turkey Batsford
[21] 서적 Artık Göremediğimiz Bir Çiçek İstanbul Lâlesi Hedef 2002-04
[22] 논문 The Cult of the Tulip in Turkey 1931
[23] 문서 Harvey (1976), p. 24
[24] 문서 Harvey (1976), pp. 21-42
[25] 서적 Tulips. Species and hybrids for the gardener Timber Press
[26] 문서 Harvey (1976), p. 26
[27] 문서 Harvey (1976), p. 25
[28] 문서 Harvey (1976), p. 22
[29] 서적 Babur-nama (Memoirs of Babur) Low Price Publications
[30] 웹사이트 Black Tulip Meaning and Care https://homewerkss.c[...] 2024-01-30
[31] 논문 Tulips: An Ornamental Crop in the Andalusian Middle Ages
[32] 서적 Tulipomania Penguin Books
[33] 서적 The Turkish Letters of Ogier Ghiselin de Busbecq
[34] 서적 The Tulip: The Story of a Flower That Has Made Men Mad Bloomsbury Publishing
[35] 뉴스 How A Turkish Blossom Enflamed the Dutch Landscape https://www.nytimes.[...] 2001-03-04
[36] 논문 Tiptoe through the tulips – cultural history, molecular phylogenetics and classification of Tulipa (Liliaceae) 2013-06-01
[37] 웹사이트 Tulipa (historic tulips) https://www.planther[...] 2022-03-15
[38] 뉴스 The Daily Item Independent Newspaper 1952-01-24
[39] 웹사이트 Tulipa spp http://www.floridata[...] Floridata 2009-12-07
[40] 웹사이트 Can You Pollinate Tulips? https://homeguides.s[...] 2022-04-30
[41] 논문 Multiplication of Tulip Bulb by Tissue Culture in vitro
[42] 서적 The American Horticultural Society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https://archive.org/[...] DK Pub.
[43] 웹사이트 Tulips http://www.theplante[...] The Plant Expert 2012-03-14
[44] 서적 The Western Garden Book Lane Magazine & Book Company
[45] 논문 The 'Species' Tulips https://books.google[...] 2017-05-31
[46] 서적 Bulbs https://books.google[...] Macmillan General Reference 1992
[47] 서적 The Easiest Flowers to Grow https://books.google[...] Ortho Books 1990
[48] 웹사이트 Tulip Classes http://www.ipm.iasta[...] 2012-03-14
[49] 웹사이트 Are Tulips Poisonous to Cats? What to Do Next https://www.purina.c[...] 2022-12-07
[50] 웹사이트 Tulip Bulb Toxicity https://www.poison.o[...] National Capital Poison Center 2020-03-15
[51] 웹사이트 Eating Tulip Bulbs During World War II https://amsterdamtul[...] 2020-03-15
[52] 웹사이트 The Humble Dutch Soup That Saved Lives During WWII https://www.tastingt[...] 2022-10-24
[53] 뉴스 Tasty tulips https://www.theguard[...] 2020-03-15
[54] 서적 The Edible Flower Garden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20-03-15
[55] 웹사이트 Politics and Art of Iran's Revolutionary Tulips https://iranprimer.u[...] 2021-01-30
[56] 웹사이트 Beauty unbound: Flowers in Iranian culture https://www.tehranti[...] 2021-01-30
[57] 웹사이트 Laleh Hospital http://medandtrip.co[...] Medical Tourism Management in IRAN 2021-01-30
[58] 뉴스 History: From Lale to Tulip https://www.dawn.com[...] Dawn 2019-04-21
[59] 웹사이트 TULIP and The Doctrines of Grace https://www.ligonier[...] 2021-08-05
[60] 서적 What Is Reformed Theology?: Understanding the Basics Baker Books
[61] 웹사이트 5 Great Books by Alexandre Dumas https://www.thecolle[...] 2024-05-30
[62] 서적 Tarot of the Magicians: The Occult Symbols of the Major Arcana that Inspired Modern Tarot https://books.google[...] Red Wheel/Weiser 2021-01-30
[63] 서적 Full text of "Tarot Of The Magicians By Oswald Wirth" https://archive.org/[...] S. Weiser 2021-01-30
[64] 웹사이트 TULIP FESTIVAL AMSTERDAM https://tulipfestiva[...] 2019-03-30
[65] 웹사이트 Tulipa in Tropicos http://www.tropicos.[...] 2014-10-02
[66] 문서 당시의 이스탄불・튜립은 현존하지 않지만, 벽화 등에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67] 웹사이트 Ogier Ghiselin de Busbecq in Encyclopaedia Romana https://penelope.uch[...] 2016-06-04
[68] 뉴스 70回 祝福の航跡 となみチューリップフェア開幕 ブルーインパルス来た! 북일본신문 2021-04-23
[69] 웹사이트 튜립 https://www.pharm.ku[...] 2024-10-08
[70] 웹사이트 Tulip Bulb Toxicity https://www.poison.o[...] 2024-10-08
[71] 웹사이트 How to Manage Potential Problems Growing Tulips https://yardandgarde[...] 2024-10-08
[72] 뉴스 球根丸ごと菓子 人気 チューリップ産地 富山県砺波市 https://www.agrinews[...] 2019-12-25
[73] 웹인용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