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제스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였으며,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이다. '후제스탄'이라는 이름은 고대 엘람인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와즈는 '후지인들의 시장'이라는 아랍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지역은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이란의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는 문화적 다양성을 지닌다. 그러나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안고 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제스탄주 - 카슈카이족
    카슈카이족은 이란 남부에서 유목 생활을 하는 튀르크 계통의 부족 연합체로, 가슈가이어를 사용하며 킬림 등의 직물 제작 기술로 유명하다.
  • 엘람 - 일람주
    일람주는 이란 서남부에 위치하며 기원전 5000년경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엘람 문명의 발상지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카자르 왕조 시대에 로레스탄에서 분리된 후 1929년 일람으로 개명되었고, 자그로스 산맥의 서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쿠르드족과 루르족이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수공예품과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며 관광 산업 개발을 추진하는 주이다.
  • 엘람 - 하마지
    하마지는 메소포타미아 초기 왕조 시대의 도시 국가로, 수메르 왕 목록에 하다니쉬 왕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고 에블라 왕과의 외교적 교류가 있었으며, 우르 제3왕조 시대에는 우르의 지방으로 총독이 파견되었고 자그로스 산맥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란의 주 - 테헤란주
    테헤란주는 이란 북부에 위치하며, 이란의 수도 테헤란을 포함하고,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풍부한 자원과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이란 국내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정치적 안정과 경제 개혁이 요구된다.
  • 이란의 주 - 서아제르바이잔주
    서아제르바이잔주는 이란 북서부에 위치하며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와 접경하고, 자그로스 산맥과 우르미아호를 포함하며, 아제르바이잔인, 쿠르드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기독교 소수 민족도 거주하며, 우라르투, 만다 등의 영향을 받은 유적지와 우르미아 대학교가 있는 곳이다.
후제스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위치이란 내 후제스탄 주
수도아흐바즈
면적64,055 km²
인구 (2016년)4,710,509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HDI (2017년)0.802 (매우 높음, 12위)
추정 인구 (2020년)4,936,000명
시간대IRST
UTC 오프셋+03:30
ISO 코드IR-06
주요 언어후제스탄 아랍어
루리어
후제스탄 페르시아어 방언
만다야어
행정
국가이란
지역4구역
주도아흐바즈
카운티 수30
주지사모함마드-레자 마발리자데
이미지
슈슈타르 역사 유적 수리 시스템의 파노라마
슈슈타르 역사 유적 수리 시스템
수스 성
수스 성
다니엘 무덤
다니엘 무덤
초가 잔빌의 지구라트
초가 잔빌의 지구라트
아흐바즈
아흐바즈
기타 정보
웹사이트해당 없음

2. 어원

'후제스탄'이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어 ''후지야(Hūzīyā)''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엘람인을 가리키는 말이었다.[8] '후제스탄'은 "후지(Hūzī) 사람들의 땅"을 의미한다.[6] 중세 페르시아어에서는 '후즈(Khuz)'와 '쿠지(Kuzi)'로 발전했으며, 이슬람 이전 파르티아-사산 왕조 비문에는 '후제스탄(Khwuzestan)'으로 기록되어 있다.

아와즈라는 지명은 '후지인들의 시장(Suq al-Ahvaz)'에서 유래한 아랍어 복합어이다.[7] 17세기에는 사파비 제국의 영향으로 후제스탄 남부 지역이 '아라비스탄(Arabistan)'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1925년 레자 샤에 의해 '후제스탄'이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다.

"khouz"가 설탕을, "Khouzi"가 원당을 만드는 사람들을 의미한다는 민간어원도 있는데,[9] 이 주는 사산 왕조 시대부터 데즈풀 등지에서 사탕수수를 생산하는 지역이었다.

시리아어로 이 주의 이름은 Beth Huzaye이다.

엘람은 고대 페르시아어로 "후지야(Hūzīyā)"인데, 이것이 현재 후제스탄의 어원이다. 엘람인들은 이 땅을 하타미 또는 할타미(Hatami, Haltami)라고 불렀다.

3. 역사

후제스탄은 엘람 문명의 중심지로 고대 근동에서 중요한 지역 중 하나였다. 엘람의 수도는 수사였으며, 기원전 4천년기에 엘람 제국이 이 지역에 처음으로 대규모 제국을 건설했다.[8] 엘람은 "페르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이자 "지리적 의미에서 최초의 이란 제국의 건설자"였다.[11]

기원전 640년, 엘람은 아시리아아슈르바니팔에게 패배하여 멸망했다. 수사와 초가잔빌은 파괴되었으나, 기원전 538년 키루스 2세가 엘람 땅을 재정복하고 수사를 아케메네스 제국의 수도 중 하나로 선포했다. 다리우스 1세는 기원전 521년에 '아파다나' 궁전을 건설했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3세의 정복으로 아케메네스 왕조는 멸망했다. 기원전 324년 수사에서는 페르시아인마케도니아인 사이의 대규모 결혼식인 수사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12]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가 이 지역을 지배했다. 셀레우코스 왕조가 약해지자 파르티아의 미트리다테스 1세가 후제스탄을 점령했다. 사산 왕조 시대에 후제스탄은 크게 번영했으며, 군디샤푸르 학원과 같이 중요한 과학, 문화 시설이 건설되었다.

639년, 바스라의 아부 무사 알아슈아리가 이끄는 이슬람 군대가 후제스탄을 정복했다. 나하반드 전투를 통해 이슬람 군대는 후제스탄을 확보했다.[15] 이후 후제스탄은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이란 남동부 출신 야쿠브 빈 라이스 알사파르가 독립하여 후제스탄을 포함한 이란 지역을 되찾고 사파르 왕조를 세웠다. 압바스 왕조 시대인 10세기 후반, 아사드 부족은 부이 왕조의 내분을 틈타 후제스탄으로 진출했다. 16세기 후반에는 쿠웨이트 출신 바니 카압이 후제스탄에 정착했고,[19] 이후 수 세기 동안 이라크 남부의 아랍 부족들이 후제스탄으로 이동했다.[20][21]

카자르 왕조 시대에 후제스탄은 '아라비스탄'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중앙 정부의 통제가 약화되었다.[19] 1925년, 레자 샤는 후제스탄 서부의 에미르국을 해체하고, '후제스탄'이라는 이름으로 지역을 통일했다.[22]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후제스탄은 이라크의 침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1980년에는 후제스탄주의 절반이 이라크군에 점령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란 군은 1982년 호람샤르 전투에서 승리하며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전쟁 이후 후제스탄의 복구는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2005년에는 아랍 분리주의 단체에 의한 폭탄 테러가 발생하기도 했다.

3. 1. 고대

후제스탄은 고대 근동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엘람 문명의 중심지였다. 엘람의 수도는 수사였다. 기원전 4천년기에 엘람 제국이 이 지역에 처음으로 대규모 제국을 건설했다.

고고학적 유적들은 후제스탄 주 전체가 비셈족이자 비인도유럽어족을 사용했던 엘람 문명의 고향임을 보여준다. 엘람은 "페르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이었다.[8] 엘람인들은 "지리적 의미에서 최초의 이란 제국의 건설자"였다.[11]

기원전 640년, 엘람은 아시리아아슈르바니팔에게 패배하여 멸망했다. 수사와 초가잔빌은 파괴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538년, 키루스 2세가 엘람 땅을 재정복하고 수사를 아케메네스 제국의 수도 중 하나로 선포했다. 다리우스 1세는 기원전 521년에 '아파다나'로 알려진 웅장한 궁전을 건설했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3세의 정복으로 아케메네스 왕조의 번영은 끝났다. 기원전 324년 수사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주선으로 페르시아인마케도니아인 사이의 대규모 결혼식인 수사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12]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가 이 지역을 지배했다.

셀레우코스 왕조가 약해지자 파르티아의 미트리다테스 1세(기원전 171~137년)가 후제스탄을 점령했다. 사산 왕조 시대에 후제스탄은 크게 번영했다. 군디샤푸르 학원과 같이 이집트, 비잔티움 제국, 로마에서 저명한 의학 과학자들을 모은 중요한 과학, 문화 시설이 건설되었다. 군디샤푸르 학원은 샤푸르 1세의 명령에 따라 설립되었고, 샤푸르 2세에 의해 수리 및 복원되었으며, 아누시르반 통치 기간 동안 완성되고 확장되었다.

3. 2. 이슬람 시대

639년, 바스라의 아부 무사 알아슈아리가 이끄는 이슬람 군대가 후제스탄을 정복했다. 페르시아 총독 호르무잔은 아바즈에서 쫓겨났고, 수사는 함락되었다. 호르무잔은 슈슈타르로 도주하여 18개월 동안 포위되었으나, 642년 결국 함락되었다. 후제스탄 연대기에 따르면, 도시의 한 아랍인이 군대와 내통하여 전리품의 3분의 1을 대가로 성벽에 터널을 팠다고 한다. 바스라 군대는 네스토리우스파를 숙청했지만, 호르무잔은 살려두었다.[14]

이후 군데샤푸르와 티그리스 강변의 여러 지역이 정복되었고, 나하반드 전투를 통해 이슬람 군대는 후제스탄을 확보했다.[15]

이슬람 정복으로 후제스탄은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이란 남동부 출신 야쿠브 빈 라이스 알사파르는 독립하여 후제스탄을 포함한 이란 지역을 되찾고 사파르 왕조를 세웠다.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하니파, 바누 타밈, 압드 알카이스 부족의 유목민들이 페르시아만을 건너 바스라 주변 아바즈와 파르스 지역을 점령했다.[18]

압바스 왕조 시대인 10세기 후반, 아사드 부족은 부이 왕조의 내분을 틈타 후제스탄으로 진출했다. 16세기 후반에는 쿠웨이트 출신 바니 카압이 후제스탄에 정착했고,[19] 이후 수 세기 동안 이라크 남부의 아랍 부족들이 후제스탄으로 이동했다.[20][21]

3. 3. 근현대

카자르 왕조 시대에 후제스탄은 '아라비스탄'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중앙 정부의 통제가 약화된 틈을 타 영국의 침략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다.[19] 1925년, 레자 샤는 후제스탄 서부의 에미르국을 해체하고, '후제스탄'이라는 이름으로 지역을 통일했다.[22]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후제스탄은 이라크의 침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1980년에는 후제스탄주의 절반이 이라크군에 점령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란 군은 1982년 호람샤르 전투에서 승리하며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전쟁 이후 후제스탄의 복구는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2005년에는 아랍 분리주의 단체에 의한 폭탄 테러가 발생하기도 했다. 2022년에는 미완공 건물 붕괴 사고와 관련된 시위가 발생하는 등 사회적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4. 지리 및 기후

후제스탄은 크게 아흐바즈 산맥 북쪽의 구릉, 산악 지대와 남쪽의 평야, 습지대로 나뉜다. 카룬 강, 카르케 강, 자라히 강 등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어 이란의 다른 주들에 비해 농업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란에서 가장 물이 많은 카룬 강(길이 850km)은 이 주를 거쳐 페르시아만으로 흘러 들어간다.[69] 그러나 강 하류 지역은 강물에 포함된 염분 때문에 농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카룬 강의 경우, 슈슈타르 위쪽에서 카룬 강으로 합류하는 루드이 슈르("짠 강")가 염분의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루드이 슈르의 물길을 돌리면 카룬 강의 염분 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는 하류의 자라히 강과 카르케 강에도 해당된다. 마룬 강은 이러한 염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후제스탄의 기후는 대체로 매우 덥고 습하며, 여름철에는 기온이 거의 매일 45°C를 넘는다. 때때로 50°C를 넘는 경우도 있어 지구상에서 가장 더운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겨울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도 하며, 산악 지역에는 가끔 강설이 내리기도 한다. 사막 기후로 인해 모래폭풍도 자주 발생한다.

5. 인구 및 행정 구역

후제스탄 주는 29개의 군(County)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인구 조사 기준 전체 인구는 4,710,509명이다.[58] 2006년에는 4,192,598명,[56] 2011년에는 4,531,720명이었다.[57] 인구의 75%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며,[58] 주요 도시로는 아바단, 아흐바즈(주도, 1,184,788명),[58] 안디메슈크, 호람샤르, 반다르에마흐샤르, 베흐바한, 데즈풀, 슈슈타르 등이 있다.

후제스탄 주(Khuzestan Province) 인구
군(Counties)2006[56]2011[57]2016[58]
아바단275,126271,484298,090
아가자리17,654
아흐바즈1,317,3771,395,1841,302,591
안디카50,79747,629
안디메슈크154,081167,126171,412
바그에말레크103,217107,450105,384
바비89,16096,484
베흐바한172,597179,703180,593
다슈테아자데간126,86599,831107,989
데즈풀384,851423,552443,971
데즈파르트
고트반드58,31164,95165,468
하프트켈22,39122,119
하미디예53,762
헨디잔35,93237,44038,762
호베이제34,31238,886
이제193,510203,621198,871
카르케
카룬105,872
호람샤르155,224163,701170,976
랄리35,54937,38137,963
마흐샤르247,804278,037296,271
마스제드솔레이만167,226113,257113,419
오미디예85,19590,42092,335
람호르모즈120,194105,418113,776
람시르49,23848,94354,004
세이둔
샤데간138,226153,355138,480
슈슈189,793202,762205,720
슈슈타르182,282191,444192,028
총계4,192,5984,531,7204,710,509



후제스탄 주 주요 도시 (2016년 인구 조사[58])
도시인구
아바단 (Abadan)231,476
아베즈단 (Abezhdan), 안디카군1,673
아부 호메이제 (Abu Homeyzeh)5,506
아가자리 (Aghajari)11,912
아흐바즈 (Ahvaz)1,184,788
알반 (Alvan), 이란6,860
안디메슈크 (Andimeshk)135,116
아르반드케나르 (Arvandkenar)11,173
아자디 (Azadi), 안디메슈크4,957
바그에 말렉 (Bagh-e Malek)26,343
반다르에 이맘 호메이니 (Bandar-e Emam Khomeyni)78,353
반다르에 마흐샤르 (Bandar-e Mahshahr)162,797
베흐바한 (Behbahan)122,604
비드루베 (Bidrubeh-ye Sofla)2,386
보스탄 (Bostan), 이란8,476
참골락 (Cham Golak)5,446
참란 (Chamran), 이란33,505
차비브데 (Chavibdeh)7,906
초가미시 (Choghamish), 이란2,013
다르호베인 (Darkhoveyn)5,655
데흐데즈 (Dehdez)5,490
데즈풀 (Dezful)264,709
엘하이 (Elhayi)7,651
파트 올모빈 (Fath Olmobin)2,973
골기르 (Golgir)1,089
고트반드 (Gotvand)24,216
구리예 (Guriyeh)2,890
하프트켈 (Haftkel)15,802
하미디예 (Hamidiyeh)22,057
함제 (Shahrak-e Hamzeh), 사르다슈트6,091
헨디잔 (Hendijan)29,015
호르 (Horr), 이란9,177
호세이니예 (Hoseyniyeh), 후제스탄1,821
호세이나바드 (Hosseinabad)8,833
호베이제 (Hoveyzeh)19,481
이제 (Izeh)119,399
잔나트 마칸 (Jannat Makan)5,360
자이에잔 (Jayezan)2,357
카나페레 (Khanafereh)3,853
호람샤르 (Khorramshahr)133,097
쿠트에 압둘라 (Kut-e Abdollah)56,252
쿠트에 세예드 나임 (Kut-e Seyyed Naim)4,541
랄리 (Lali), 이란18,473
만수리예 (Mansuriyeh), 후제스탄5,441
마스제드 솔레이만 (Masjed Soleyman)100,497
메이다부드 (Meydavud-e Sofla)3,513
미안루드 (Mianrud)10,110
미누샤르 (Minushahr)2,231
몰라사니 (Mollasani)17,337
모시라게 (Moshrageh), 람시르2,095
오미디예 (Omidiyeh)67,427
갈레 탈 (Qaleh Tall)10,698
갈레예 크바제 (Qaleh-ye Khvajeh)2,408
라피 (Rafi), 이란3,797
람호르모즈 (Ramhormoz)74,285
람시르 (Ramshir)25,009
사피아바드 (Safiabad), 후제스탄9,879
살란드 (Saland), 이란2,560
살레 샤르 (Saleh Shahr)7,309
사르다라바드 (Sardarabad), 슈슈타르5,240
사르다슈트 (Sardasht), 후제스탄6,912
세이둔 (Seydun)7,650
샤데간 (Shadegan)41,733
샤르에 이맘 (Shahr-e Emam)11,393
샴사바드 (Shamsabad), 데즈풀10,858
샤라프트 (Sharaft)11,757
셰이반 (Sheyban), 이란36,374
슈시 (Shush), 이란77,148
슈슈타르 (Shushtar)101,878
시아 맨수르 (Siah Mansur), 후제스탄5,406
소말레 (Somaleh)1,784
수산게르드 (Susangerd)51,431
타샨 (Tashan), 후제스탄4,281
토르칼라키 (Torkalaki)5,688
베이스 (Veys)15,312
자흐레 (Zahreh)1,192



후제스탄 주는 루르족, 아랍인, 아프샤르 부족에 속한 카슈가이족, 페르시아인(데즈풀-슈슈타리, 마흐샤흐르, 베흐바한), 만다인, 쿠르드족, 그리고 이란 아르메니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이다.[51][52][53] 인구의 절반은 루르족이며,[54] 대다수는 시아파 무슬림이지만, 소수의 기독교인, 유대교인, 수니파 무슬림, 만다교인도 존재한다.[52]

2010년 문화부가 의뢰한 연구에 따르면, 후제스탄 주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55]

민족비율
아랍인33.6%
페르시아인31.9%
루르족30%
튀르키예어 사용자2.5%
이란 쿠르드족1%
기타0.7%



페르시아어 외에도 아랍어(후제스탄 아랍어)[44][45], 바흐티아리 방언[46][47][48][49], 신만다이어(소수의 만다인들이 사용)[50] 등 다양한 언어와 방언이 사용된다.

5. 1. 인구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후제스탄 주의 인구는 4,710,509명이다.[58] 2006년에는 4,192,598명,[56] 2011년에는 4,531,720명이었다.[57]

후제스탄 주(Khuzestan Province) 인구
군(Counties)2006[56]2011[57]2016[58]
아바단275,126271,484298,090
아가자리17,654
아흐바즈1,317,3771,395,1841,302,591
안디카50,79747,629
안디메슈크154,081167,126171,412
바그에말레크103,217107,450105,384
바비89,16096,484
베흐바한172,597179,703180,593
다슈테아자데간126,86599,831107,989
데즈풀384,851423,552443,971
데즈파르트
고트반드58,31164,95165,468
하프트켈22,39122,119
하미디예53,762
헨디잔35,93237,44038,762
호베이제34,31238,886
이제193,510203,621198,871
카르케
카룬105,872
호람샤르155,224163,701170,976
랄리35,54937,38137,963
마흐샤르247,804278,037296,271
마스제드솔레이만167,226113,257113,419
오미디예85,19590,42092,335
람호르모즈120,194105,418113,776
람시르49,23848,94354,004
세이둔
샤데간138,226153,355138,480
슈슈189,793202,762205,720
슈슈타르182,282191,444192,028
총계4,192,5984,531,7204,710,509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후제스탄 주 인구의 75% 이상인 3,554,205명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58] 주요 도시로는 아바단, 아хва즈 (주도, 1,184,788명),[58] 안디메슈크, 호람샤르, 반다르에마흐샤르, 베흐바한, 데즈풀, 슈슈타르 등이 있다.

도시2016년 인구[58]
아바단 (Abadan)231,476
아베즈단 (Abezhdan), 안디카군1,673
아부 호메이제 (Abu Homeyzeh)5,506
아가자리 (Aghajari)11,912
아хва즈 (Ahvaz)1,184,788
알반 (Alvan), 이란6,860
안디메슈크 (Andimeshk)135,116
아르반드케나르 (Arvandkenar)11,173
아자디 (Azadi), 안디메슈크4,957
바그에 말렉 (Bagh-e Malek)26,343
반다르에 이맘 호메이니 (Bandar-e Emam Khomeyni)78,353
반다르에 마흐샤르 (Bandar-e Mahshahr)162,797
베흐바한 (Behbahan)122,604
비드루베 (Bidrubeh-ye Sofla)2,386
보스탄 (Bostan), 이란8,476
참골락 (Cham Golak)5,446
참란 (Chamran), 이란33,505
차비브데 (Chavibdeh)7,906
초가미시 (Choghamish), 이란2,013
다르호베인 (Darkhoveyn)5,655
데흐데즈 (Dehdez)5,490
데즈풀 (Dezful)264,709
엘하이 (Elhayi)7,651
파트 올모빈 (Fath Olmobin)2,973
골기르 (Golgir)1,089
고트반드 (Gotvand)24,216
구리예 (Guriyeh)2,890
하프트켈 (Haftkel)15,802
하미디예 (Hamidiyeh)22,057
함제 (Shahrak-e Hamzeh), 사르다슈트6,091
헨디잔 (Hendijan)29,015
호르 (Horr), 이란9,177
호세이니예 (Hoseyniyeh), 후제스탄1,821
호세이나바드 (Hosseinabad)8,833
호베이제 (Hoveyzeh)19,481
이제 (Izeh)119,399
잔나트 마칸 (Jannat Makan)5,360
자이에잔 (Jayezan)2,357
카나페레 (Khanafereh)3,853
호람샤르 (Khorramshahr)133,097
쿠트에 압둘라 (Kut-e Abdollah)56,252
쿠트에 세예드 나임 (Kut-e Seyyed Naim)4,541
랄리 (Lali), 이란18,473
만수리예 (Mansuriyeh), 후제스탄5,441
마스제드 솔레이만 (Masjed Soleyman)100,497
메이다부드 (Meydavud-e Sofla)3,513
미안루드 (Mianrud)10,110
미누샤르 (Minushahr)2,231
몰라사니 (Mollasani)17,337
모시라게 (Moshrageh), 람시르2,095
오미디예 (Omidiyeh)67,427
갈레 탈 (Qaleh Tall)10,698
갈레예 크바제 (Qaleh-ye Khvajeh)2,408
라피 (Rafi), 이란3,797
람호르모즈 (Ramhormoz)74,285
람시르 (Ramshir)25,009
사피아바드 (Safiabad), 후제스탄9,879
살란드 (Saland), 이란2,560
살레 샤르 (Saleh Shahr)7,309
사르다라바드 (Sardarabad), 슈슈타르5,240
사르다슈트 (Sardasht), 후제스탄6,912
세이둔 (Seydun)7,650
샤데간 (Shadegan)41,733
샤르에 이맘 (Shahr-e Emam)11,393
샴사바드 (Shamsabad), 데즈풀10,858
샤라프트 (Sharaft)11,757
셰이반 (Sheyban), 이란36,374
슈시 (Shush), 이란77,148
슈슈타르 (Shushtar)101,878
시아 맨수르 (Siah Mansur), 후제스탄5,406
소말레 (Somaleh)1,784
수산게르드 (Susangerd)51,431
타샨 (Tashan), 후제스탄4,281
토르칼라키 (Torkalaki)5,688
베이스 (Veys)15,312
자흐레 (Zahreh)1,192


5. 2. 행정 구역

후제스탄 주는 29개의 군(County)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표는 세 번의 연속적인 인구 조사를 통해 나타난 후제스탄 주의 행정 구역 인구 변천사 및 구조 변화를 보여준다.

후제스탄 주(Khuzestan Province)
군(Counties)2006[56]2011[57]2016[58]
아바단275,126271,484298,090
아가자리17,654
아흐바즈1,317,3771,395,1841,302,591
안디카50,79747,629
안디메슈크154,081167,126171,412
바그에말레크103,217107,450105,384
바비89,16096,484
베흐바한172,597179,703180,593
다슈테아자데간126,86599,831107,989
데즈풀384,851423,552443,971
데즈파르트
고트반드58,31164,95165,468
하프트켈22,39122,119
하미디예53,762
헨디잔35,93237,44038,762
호베이제34,31238,886
이제193,510203,621198,871
카르케
카룬105,872
호람샤르155,224163,701170,976
랄리35,54937,38137,963
마흐샤르247,804278,037296,271
마스제드솔레이만167,226113,257113,419
오미디예85,19590,42092,335
람호르모즈120,194105,418113,776
람시르49,23848,94354,004
세이둔
샤데간138,226153,355138,480
슈슈189,793202,762205,720
슈슈타르182,282191,444192,028
총계4,192,5984,531,7204,710,509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후제스탄 주 인구의 75% 이상인 3,554,205명이 다음 도시들에 거주하고 있다.[58]

도시인구
아바단 (Abadan)231,476
아베즈단 (Abezhdan), 안디카군1,673
아부 호메이제 (Abu Homeyzeh)5,506
아가자리 (Aghajari)11,912
아흐바즈 (Ahvaz)1,184,788
알반 (Alvan), 이란6,860
안디메슈크 (Andimeshk)135,116
아르반드케나르 (Arvandkenar)11,173
아자디 (Azadi), 안디메슈크4,957
바그에 말렉 (Bagh-e Malek)26,343
반다르에 이맘 호메이니 (Bandar-e Emam Khomeyni)78,353
반다르에 마흐샤르 (Bandar-e Mahshahr)162,797
베흐바한 (Behbahan)122,604
비드루베 (Bidrubeh-ye Sofla)2,386
보스탄 (Bostan), 이란8,476
참골락 (Cham Golak)5,446
참란 (Chamran), 이란33,505
차비브데 (Chavibdeh)7,906
초가미시 (Choghamish), 이란2,013
다르호베인 (Darkhoveyn)5,655
데흐데즈 (Dehdez)5,490
데즈풀 (Dezful)264,709
엘하이 (Elhayi)7,651
파트 올모빈 (Fath Olmobin)2,973
골기르 (Golgir)1,089
고트반드 (Gotvand)24,216
구리예 (Guriyeh)2,890
하프트켈 (Haftkel)15,802
하미디예 (Hamidiyeh)22,057
함제 (Shahrak-e Hamzeh), 사르다슈트6,091
헨디잔 (Hendijan)29,015
호르 (Horr), 이란9,177
호세이니예 (Hoseyniyeh), 후제스탄1,821
호세이나바드 (Hosseinabad)8,833
호베이제 (Hoveyzeh)19,481
이제 (Izeh)119,399
잔나트 마칸 (Jannat Makan)5,360
자이에잔 (Jayezan)2,357
카나페레 (Khanafereh)3,853
호람샤르 (Khorramshahr)133,097
쿠트에 압둘라 (Kut-e Abdollah)56,252
쿠트에 세예드 나임 (Kut-e Seyyed Naim)4,541
랄리 (Lali), 이란18,473
만수리예 (Mansuriyeh), 후제스탄5,441
마스제드 솔레이만 (Masjed Soleyman)100,497
메이다부드 (Meydavud-e Sofla)3,513
미안루드 (Mianrud)10,110
미누샤르 (Minushahr)2,231
몰라사니 (Mollasani)17,337
모시라게 (Moshrageh), 람시르2,095
오미디예 (Omidiyeh)67,427
갈레 탈 (Qaleh Tall)10,698
갈레예 크바제 (Qaleh-ye Khvajeh)2,408
라피 (Rafi), 이란3,797
람호르모즈 (Ramhormoz)74,285
람시르 (Ramshir)25,009
사피아바드 (Safiabad), 후제스탄9,879
살란드 (Saland), 이란2,560
살레 샤르 (Saleh Shahr)7,309
사르다라바드 (Sardarabad), 슈슈타르5,240
사르다슈트 (Sardasht), 후제스탄6,912
세이둔 (Seydun)7,650
샤데간 (Shadegan)41,733
샤르에 이맘 (Shahr-e Emam)11,393
샴사바드 (Shamsabad), 데즈풀10,858
샤라프트 (Sharaft)11,757
셰이반 (Sheyban), 이란36,374
슈시 (Shush), 이란77,148
슈슈타르 (Shushtar)101,878
시아 맨수르 (Siah Mansur), 후제스탄5,406
소말레 (Somaleh)1,784
수산게르드 (Susangerd)51,431
타샨 (Tashan), 후제스탄4,281
토르칼라키 (Torkalaki)5,688
베이스 (Veys)15,312
자흐레 (Zahreh)1,192


5. 3. 민족 및 언어

후제스탄 주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루르족, 아랍인, 아프샤르 부족에 속한 카슈가이족, 페르시아인(데즈풀-슈슈타리, 마흐샤흐르, 베흐바한), 만다인, 쿠르드족, 그리고 이란 아르메니아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51][52][53]

후제스탄 주 인구의 대다수는 시아파 무슬림이지만, 소수의 기독교인, 유대교인, 수니파 무슬림, 만다교인도 존재한다.[52] 후제스탄 주 인구의 절반은 루르족이다.[54]

2010년 문화부가 의뢰한 연구에 따르면, 후제스탄 주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55]

민족비율
아랍인33.6%
페르시아인31.9%
루르족30%
튀르키예어 사용자2.5%
이란 쿠르드족1%
기타0.7%



페르시아어 외에도 후제스탄 주에서는 다른 언어와 방언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제스탄 주민 중 일부는 아랍어(후제스탄 아랍어)를 사용한다.[44][45] 후제스탄 주민의 다른 일부는 바흐티아리 방언을 사용한다.[46][47][48][49] 신만다이어는 수십 명이 채 안 되는 고령의 만다인들이 사용한다.[50]

6. 경제

후제스탄 주는 이란의 주요 석유 생산 지역으로, 이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란 육상 원유 매장량의 80%를 차지하며, 이는 이란 전체 원유 매장량의 57%에 해당한다.[83] 주 내에는 이란 최초의 정유소인 아바단 정유소가 있으며, 1913년 이후 이란은 주요 석유 수출국이 되었다. 2019년에는 주 내에서 추정 매장량 530억 배럴의 신규 유전이 발견되기도 했다.[93]

후제스탄 주는 석유화학, 철강, 파이프 제조, 발전, 화학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특히 아르반드 자유무역지대[79]와 마흐샤르(Mahshahr)의 석유화학 특별경제구역(PETZONE)[80]은 이란 경제의 중요한 거점이다. 2005년 이란 정부는 후제스탄 주에 360MW급 가압경수로(PWR) 방식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77][78]

카룬강은 이란에서 유일하게 배가 다닐 수 있는 강으로, 과거 영국은 이 강을 통해 상품을 운송하기도 했다.[82] 카룬 강 외에도 카르케, 자라히, 아르반드루드 등 많은 강과 호수가 있어 수자원이 풍부하며, 이는 다양한 농산물 생산의 기반이 된다. 밀, 보리, 벼, 사탕수수 등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며, 특히 사탕수수 재배는 후제스탄 주의 이름이 유래된 배경이기도 하다. 2005년에는 5만 1천 헥타르의 땅에서 사탕수수를 재배하여 35만 톤의 설탕을 생산했다.[81]

풍부한 수자원과 비옥한 토양을 바탕으로 후제스탄 주는 농업 잠재력이 매우 크다. 샤히드 아바스푸르 댐(Shahid Abbaspour Dam)을 비롯한 카룬 3, 4 댐과 카르케 댐(Karkheh Dam)은 국가 수입과 에너지 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7. 사회 문제

후제스탄주는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고 있어 민족 갈등이 존재하며, 아랍 분리주의 운동이 발생하기도 했다.[52] 1920년대 초부터 종교적, 민족적 이유로 인한 긴장은 종종 분리주의 폭력으로 이어졌다.[22]

1979년에는 아랍 분리주의 단체인 아랍 정치 문화 기구(APCO)가 봉기를 일으켜 1979년 반란으로 이어졌다. 1980년에는 사담 후세인의 지원을 받는 아랍 분리주의자들이 런던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을 일으켰다. 이들은 처음에는 후제스탄 자치를 요구했지만, 나중에는 수감 중인 91명의 동료 석방을 요구했다.

2005년에는 아바즈 폭탄 테러가, 2011년에는 후제스탄 시위가 발생하는 등 분리주의 폭력 사건이 계속되었다.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사담 후세인은 후제스탄 주의 아랍 인구가 이라크와의 합병에 호응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대다수는 이란에 충성하며 이라크에 저항했다. 전쟁 이후에도 후제스탄 주에서는 사담 후세인의 지원을 받는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테러가 발생하기도 했다.

제인스 인포메이션 그룹(Jane's Information Group)에 따르면, "대부분의 이란 아랍인들은 헌법적으로 보장된 권리를 추구하며 분리주의적 의도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 일부 아랍 활동가들이 분리주의자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자신을 먼저 이란인으로 여기며 국가의 영토 보전에 대한 헌신을 선언합니다."라고 한다.[74]

7. 1. 물 부족 및 환경 문제

이란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물 부족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69] 후제스탄주는 이란 상수도 부문의 부패, 투명성 부족, 소외된 지역 사회 방치, 정치적 편애로 인해 악화된 심각한 물 문제를 겪고 있다. 이슬람 혁명 수비대와 다른 정치적으로 연결된 기관들이 물 자원을 통제하며, 공공의 필요보다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위한 프로젝트를 우선시한다. 이들은 선호하는 지역으로 물 공급을 돌려 후제스탄주와 시스탄발루치스탄주와 같은 취약한 주에 물 부족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후제스탄주와 시스탄발루치스탄주에서 심각한 부족 현상에도 불구하고 이스파한주와 야즈드주의 물 분산 프로젝트가 우선순위를 차지한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란 혁명 수비대와 관련된 특정 농업 및 산업 기업들이 상당량의 물을 공급받는 반면, 소규모 농민과 농촌 지역 사회는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70][71]

이란 중앙 정부는 농촌 지역과 소수 민족 인구의 희생을 치르면서도 산업 및 도시 중심부에 대한 물 배분을 우선시한다. 이러한 집단은 심각한 물 부족, 생태계 파괴 및 생계 수단 상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불평등한 개발 패턴은 지역 격차를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 불안과 환경 위기를 부채질한다. 이란의 물 정책은 또한 주로 정치적으로 연결된 기업과 도시 엘리트에게 이익이 되는 댐 건설과 대규모 물 분산 프로젝트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후제스탄주와 시스탄발루치스탄주와 같은 지역에서 강, 습지 및 기타 중요한 생태계가 고갈되고, 먼지 폭풍과 지반 침하가 심해졌다. 이러한 환경 훼손은 부족한 정부 감독과 투명성과 결합하여 소외된 지역 사회의 생활 조건을 악화시켜 빈곤과 사회 정치적 소외의 악순환을 강화한다.[72]

역사적으로 이란에서 가장 물이 풍부한 주 중 하나였던 후제스탄주는 수자원 관리 부실로 큰 타격을 입었다. 카르케흐 강(Karkheh River)과 카룬 강(Karun)을 포함한 강들의 고갈로 인해 주의 많은 지역에서 농업이 지속 불가능해졌다. 최근 몇 년 동안 후제스탄주에서는 일자리와 더 나은 생활 조건을 찾아 도시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농촌 인구의 대규모 유출이 발생했다. 정기적인 모래폭풍으로 상황이 악화되어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영향을 받는 지역의 삶이 불가능해졌다. 이러한 후제스탄주의 환경 이주는 지역 사회의 생활 수준 저하와 실업률 증가로 인해 지역 사회적 긴장을 야기했다.[71] [73]

7. 2. 민족 갈등 및 분리주의

후제스탄 주는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고 있어 민족 갈등이 존재하며, 아랍 분리주의 운동이 발생하기도 했다.[52] 1920년대 초부터 종교적, 민족적 이유로 인한 긴장은 종종 분리주의 폭력으로 이어졌다.[22]

1979년에는 아랍 분리주의 단체인 아랍 정치 문화 기구(APCO)가 봉기를 일으켰으며, 1979년 반란으로 이어졌다. 1980년에는 런던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사담 후세인의 지원을 받는 아랍 분리주의자들이 자행한 테러 사건이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후제스탄 자치를 요구했지만, 나중에는 수감 중인 91명의 동료 석방을 요구했다.

2005년에는 아바즈 폭탄 테러가 발생했고, 2011년에는 후제스탄 시위가 발생하는 등 분리주의 폭력 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사담 후세인은 후제스탄 주의 아랍 인구가 이라크와의 합병에 호응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후제스탄 아랍인 대다수는 이란에 충성하며 이라크에 저항했다. 전쟁 이후에도 후제스탄 주에서는 사담 후세인의 지원을 받는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테러가 발생하기도 했다.

제인스 인포메이션 그룹(Jane's Information Group)에 따르면, "대부분의 이란 아랍인들은 헌법적으로 보장된 권리를 추구하며 분리주의적 의도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 일부 아랍 활동가들이 분리주의자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자신을 먼저 이란인으로 여기며 국가의 영토 보전에 대한 헌신을 선언합니다."라고 한다.[74]

8. 문화

후제스탄은 오랜 역사 동안 풍부한 설탕 생산을 바탕으로 문학적 전통을 이어왔다. 니자미 간자비, 피르도시 등 많은 페르시아 시인들이 후제스탄의 설탕을 소재로 시를 썼다.[52] 니자미는 "그녀의 입술은 달콤한 설탕으로 가득 차 있네, 후제스탄에서 흐르는 달콤한 설탕처럼."라고 노래하기도 했다.

후제스탄 주민들은 시아파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며, 수니파 무슬림, 유대교 신자, 기독교 신자, 만다교 신자 등 소수 종교 집단도 존재한다. 이들은 환대와 관용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54] 각 민족 집단은 고유한 관습과 전통을 가지고 있어 다채롭고 축제적인 문화를 형성한다.

해산물은 후제스탄 요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갈리예 마히(Ghalyeh Mahi)'는 강한 향신료, 양파, 고수를 넣어 조리하는 생선 요리로, 페르시아만에서 서식하는 '마히 소부르(mahi soboor)'(숭어)를 주재료로 사용한다. 이 외에도 '갈리예 메이구(Ghalyeh Meygu)'(새우 캐서롤), '아셰-모샬라(ashe-mohshala)'(호람샤르식 아침 스튜), '사르 시르(sær shir)'(데즈풀식 진한 크림 아침 식사), '할림(hælim)'(슈슈타르식 밀가루와 다진 양고기를 넣은 아침 식사), '코베(kohbbeh)'(튀긴 쌀 케이크) 등 다양한 요리가 있다.[75]

8. 1. 주요 유적지

후제스탄 주의 초가잔빌에 있는 지구라트는 엘람 제국의 웅장한 건축물이었다.

  • 초가잠빌: 엘람 제국의 중심지였던 이 지구라트는 5층짜리 웅장한 사원으로, 오늘날 중동에서 가장 위대한 고대 유적 중 하나이다. 엘람어 비문이 새겨진 수천 개의 큰 벽돌로 만들어진 미궁 같은 벽을 가진 이 거대한 석조 건축물은 신전의 엄청난 고대성을 보여준다. 이 사원은 종교적으로 신성한 곳으로, 수사 시의 수호신인 인슈시낙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8]
  • 슈슈-다니엘: 유대교 예언자 다니엘의 매장지이다. 그는 다리우스 대왕의 명령에 따라 예루살렘으로 가던 중 수사에서 죽었다고 전해진다. 우마이야 칼리파의 압제에 맞서 싸운 야쿠브 이븐 라이스 알 사파르의 무덤도 근처에 있다.
  • 데즈풀(''데즈-폴''): 이름은 데즈 강 위에 있는 12개의 아치로 된 다리(''폴'')에서 유래한다. 이 다리는 샤푸르 1세의 명령으로 건설되었으며, 역사가 이스타크리는 이 다리를 "안다메쉬 다리"라고 불렀고, 안디메슈크시의 이름이 이 다리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 무카다시는 이 도시를 "다리의 도시"라고 불렀다.
  • 슈슈타르: 유명한 슈슈타르 물레방앗간이 있는 이란에서 가장 오래된 요새 도시 중 하나이며, 지역 방언으로 "40인의 장로 도시"로 알려져 있다. 슈슈타르와 그 주변에는 고대 수력 공학의 많은 유물이 있다. 카룬 강에는 2000년 된 댐인 반드 미잔과 반드 케이사르가 있으며, 2000년 이상 된 유명한 샤데르반 다리도 있다. 슈슈타르의 금요 모스크는 압바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다. "로마식" 아치가 특징인 이 모스크는 54개의 기둥과 발코니를 가지고 있다.
  • 이제 또는 ''이자즈'': 페르시아 정복 당시 이슬람 침략군의 주요 공격 목표 중 하나였다. 세계에서 가장 특이한 다리 중 하나인 ''카레자드 다리''는 이 도시에 있었으며, 아르데쉬르 바바칸의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높이 104미터의 주조된 납 기둥 위에 세워져 있다. 14세기에 이 도시를 방문했던 이븐 바투타는 이 도시에 많은 수도원, 카라반사라이, 수로, 학교, 요새가 있다고 언급한다. 이란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파르티아인 동상''도 이곳 출신이다.
  • 마스제드 솔레이만: 또 다른 고대 도시로, ''사르-마스제드''와 ''바르드-네손데''와 같은 고대 조로아스터교 제단과 사원이 있다. 또한 바흐티아리족 부족의 겨울 휴식처이기도 하며, 윌리엄 녹스 다시가 이란 최초의 유정을 팠던 곳이기도 하다.
  • 아바단: 장수한 히브리 예언자 엘리야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 헤르메스의 ''이완''과 카르케의 ''이완'': 수사 북쪽에 있는 두 개의 수수께끼 같은 유적.

9. 저명한 인물


  • 아부 누와스 (아바스 왕조 시대의 유명한 시인)[1]
  • 압둘라 이븐 메이문 아흐바지 (이스마일파의 지도자)[1]
  • 나우바흐트 (아바스 왕조 시대의 천문학자)[1]
  • 모르테자 안사리 (이란의 저명한 시아파 학자)[1]
  • 시아바시 샴스 (이란의 유명한 팝 가수)
  • 하메드 하다디 (이란의 NBA 농구 선수)
  • 메흐랑기즈 카르 (페미니스트 변호사이자 인권 운동가)
  • 에자트 네가반 (이란 현대 고고학의 선구자)
  • 시아바시 고메이시 (가수, 작곡가)
  • 카이저 아민푸르 (시인)
  • 하미드 다바시 (지식인 역사가, 문화 및 문학 비평가)
  • 패트릭 모나한 (아일랜드 코미디언)
  • 파르비즈 아브나르 (녹음 기사)
  • 사이드 압데발리 (레슬러)
  • 나세르 타그바에 (감독, 사진작가)
  • 파르비즈 데다리 (축구 선수)
  • 모센 차보시 (팝 가수)
  • 비잔 엠카니안 (배우)
  • 알리 샴카니 (이란 국방부 장관 (1997–2005), 최고 국가 안보회의 서기)
  • 마수드 쇼자에이 (국가대표 축구 선수)
  • 호세인 카에비 (국가대표 축구 선수)
  • 자랄 카멜리 모프라드 (국가대표 축구 선수)
  • 이만 모발리 (국가대표 축구 선수)
  • 아마드 마흐무드 (소설가)
  • 모하마드 레자 에스칸다리 (이란 농업부 장관 (2017–2021))
  • 모센 레자에이 (2021년까지 이란 타당성 식별 위원회 서기)
  • 알리 이븐 아바스 알-마구시 (의사)
  • 세예드 네마톨라 자자예리 (시아파 이슬람 학자)
  • 알리 하셰미 (이란-이라크 전쟁 사령관)
  • 아야톨라 하지 무하마드-하산 자자예리 (종교 지도자)
  • 모하마드 알리 무사비 자자예리 (전 발리 파키 대표, 아хва즈 금요일 이맘)

참조

[1] 지도 Khuzestan Province https://www.openstre[...] 2024-12-13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웹사이트 توجه: تفاوت در سرجمع به دليل گرد شدن ارقام به رقم هزار مي باشد. (in Persian) https://www.amar.org[...] 2020-09-29
[4] 보고서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the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Khuzestan province, centered in the city of Ahvaz https://rc.majlis.ir[...]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 and 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14-07-26
[5] 뉴스 همشهری آنلاین-استان‌های کشور به ۵ منطقه تقسیم شدند http://www.hamshahri[...] 2014-06-22
[6] 백과사전 Encyclopædia Iranica Columbia University
[7] 웹사이트 Iran Provinces http://www.statoids.[...] 2017-03-07
[8] 서적 A History of Persia RoutledgeCurzon Publishers 2003-10-16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10] 논문 The Language of the Xuz̄ and the Fate of Elamite
[11] 서적 The History of Iran Greenwood 2001
[12] 서적 Alexander the Great: A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13] 웹사이트 Encyclopædia Iranica | Home https://web.archive.[...] 2017-03-07
[14] 서적 Seeing Islam as Others Saw It Darwin Press 1998
[15] 백과사전 Encyclopædia Iranica
[16] 백과사전 Encyclopædia Iranica
[17] 백과사전 Encyclopædia Iranica
[18] 백과사전 Encyclopædia Iranica
[19] 논문 "The Banu Ka'b: An Amphibious Brigand State in Khuzestan" 1971
[20] 백과사전 Encyclopædia Iranica
[21] 서적 Averting an Iranian geopolitical crisis : a tale of power play for dominance between colonial powers, tribal and government actors in the pre and post World War One era FriesenPress 2016-04-19
[22] 간행물 Journal of Middle Eastern studies 1993-08
[23] 웹사이트 Number of Conflicts : 1975-2015 https://web.archive.[...] 2017-03-07
[24] 웹사이트 In Depth | Iranian embassy siege | Six days of fear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4-26
[25] 웹사이트 In Depth | Iranian embassy siege | Iran and the hostage-takers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4-26
[2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6-01-08
[27] 학술지 Arabistan or Khuzistan https://www.jstor.or[...] 1984
[28] 학술지 Damage caused by the war on ecosystem services in Khuzestan province; HuralAzim wetland https://neijournal.n[...] 2021-08-23
[29] 학술지 A Peace-Oriented Investigation of the Ethnic Identity Challenge in Iran (A Study of Five Iranian Ethnic Groups with the GT Method) http://www.ijoks.com[...] 2022-01-25
[30] 웹사이트 The grapes of Khuzestan's wrath https://www.atlantic[...] 2021-07-30
[31] 뉴스 How Iran's Khuzestan went from wetland to wasteland https://www.theguard[...] 2015-04-16
[32] 웹사이트 Iran-Iraq War Causes, Summary, Casualti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9-15
[33] 웹사이트 Refworld | Poverty, separatism, and bloody memories of war: Why Iran's Khuzestan matters https://www.refworld[...]
[34] 웹사이트 Football as a Platform for Ethnic Identity Assertion in Iran https://pomeps.org/f[...] 2023-07-04
[35] 학술지 http://www.revista-educacion-matematica.org.mx/descargas/vol6/vol6-2/vol6-2-5.pdf 1994-08-02
[36] 웹사이트 Unemployment rate in Khuzestan province https://tejaratnews.[...]
[37] 논문 A Peace-Oriented Investigation of the Ethnic Identity Challenge in Iran (A Study of Five Iranian Ethnic Groups with the GT Method) https://efflatounia.[...] 2021-12-30
[38] 뉴스 Three Decades After the Iran-Iraq War, Khuzestan's Reconstruction is Still Unfinished. Iran wire/ https://iranwire.com[...]
[39] 웹사이트 Iran's Khuzestan: Thirst and Turmoil https://www.crisisgr[...] 2023-11-05
[40]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Iran's Khuzestan: A Calamity of International Significance https://www.atlantic[...] 2023-11-05
[41] 뉴스 Iran building collapse: Protesters turn on government over disaster https://www.bbc.com/[...]
[42] 뉴스 Experts: Iran disrupts internet; tower collapse deaths at 36 https://apnews.com/a[...]
[43] 논문 https://cia.gov/readingroom/docs/CIA-RDP https://www.cia.gov/[...]
[44] 웹사이트 Iranian Arabs https://www.parsine.[...] 2018-06-24
[45] 웹사이트 Khuzestani Arabic https://www.isna.ir/[...] 2018-06-24
[46] 웹사이트 Bakhtiyari tribes https://www.kojaro.c[...]
[47] 웹사이트 Bakhtiari https://web.archive.[...] 2018-07-25
[48] 웹사이트 Arab Kamari/Arab-Bakhtiari https://web.archive.[...] 2018-07-24
[49] 논문 Ethnicity and Identities in Iran: Progress and Equality https://www.research[...]
[50] 서적 The Neo-Mandaic Dialect of Khorramshahr https://scholarship.[...] Otto Harrassowitz 2009
[51]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52] 웹사이트 Iranian Provinces: Khuzestan http://www.iranchamb[...] 2017-03-07
[53] 웹사이트 Khuzestan {{!}} Region, Plain, Water, & History https://www.britanni[...] 2023-11-05
[54] 서적 From Border to Border https://kameelahmady[...] Mehri Publishing
[55] 서적 شرح بررسی و سنجش شاخص‌های فرهنگ عمومی کشور (شاخص‌های غیرثبتی){گزارش}:استان خوزستان/به سفارش شورای فرهنگ عمومی کشور؛ مدیر طرح و مسئول سیاست گذاری:منصور واعظی؛ اجرا:شرکت پژوهشگران خبره پارس -شابک:۹-۴۸-۶۶۲۷-۶۰۰-۹۷۸ *وضعیت نشر:تهران-موسسه انتشارات کتاب نشر ۱۳۹۱ *وضعیت ظاهری:۲۷۶ ص:جدول (بخش رنگی)، نمودار (بخش رنگی)
[56]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Khuzestan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09-25
[57]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Khuzestan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58]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Khuzestan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59] 보고서 Approval letter regarding national divisions in Khuzestan province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4-01-28
[60] 보고서 Approval letter regarding the reforms of national divisions in Khuzestan province, Masjed Soleyman County https://dastour.ir/P[...]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 and Defense Commission 2023-11-05
[61] 보고서 Four cities and two new counties will be created; with 20 changes in the map of national divisions https://dolat.ir/det[...]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 and Defense Commission 2010-06-19
[62] 보고서 Resolution on the national divisions in Izeh County, Khuzestan province https://sdil.ac.ir/م[...] Ministry of the Interior, Cabinet of Ministers 2023-07-30
[63] 보고서 The approval letter of the ministers who are members of the Political-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regarding some changes and divisions of the country in Khuzestan province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24-01-27
[64] 보고서 Creating divisional changes and reforms in Khuzest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4-01-27
[65] 보고서 Reforms of national divisions in Khuzestan province, Hoveyzeh County https://qavanin.ir/L[...]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 and 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23-08-01
[66] 보고서 Letter of approval regarding the national divisions of Shush County, Khuzest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08-02
[67] 보고서 Approval letter regarding national divisions in Khuzestan province http://rc.majlis.ir/[...] Ministry of the Interior, Board of Ministers 2023-08-03
[68] 보고서 Letter of approval regarding the national divisions of Khuzestan province https://sdil.ac.ir/م[...]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04-26
[69] 웹사이트 25 Countries Face Extremely High Water Stress https://www.wri.org/[...] 2024-11-14
[70] 웹사이트 Water, Corruption, and Security in Iran https://www.newsecur[...] 2024-01-23
[71] 웹사이트 Iran’s Khuzestan: Thirst and Turmoil Iran’s Khuzestan: Th[...]
[72] 논문 Iran’s water policy: Environmental injustice and peripheral marginalisation. https://doi.org/10.1[...]
[73] 논문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the drivers of migration in the context of shrinking cities: A case study of Khuzestan province, Iran https://doi.org/10.1[...] 2019
[74] 웹사이트 Anger among Iran's Arabs http://www.janes.com[...] Janes Information Group 2009-04-11
[7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08-21
[76] 웹사이트 Papercut detail https://web.archive.[...] Ostan KZ 2005-04-22
[77] 웹사이트 Middle East | Iran to build new nuclear plant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2-05
[78] 웹사이트 Iran nuclear aghazadeh http://www.bbc.co.uk[...] 2005-12
[79] 웹사이트 سازمان منطقه آزاد اروند | Arvand Free Zone Organization https://web.archive.[...]
[80] 웹사이트 http://www.iftiz.org[...]
[81] 웹사이트 http://former.presid[...]
[82] 보고서 Consultancy report on the Abadan project http://www.waterlog.[...] Abvarzan Co. 2004-09-12
[83] 보고서 Iran's Oil and Gas Annual Report 2017 https://www.eia.gov/[...] Facts Global Energy 2017-12
[84] 서적 A History of Persia
[8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86] 서적 The Splendour of Iran
[87] 서적 The History of Iran
[88] 서적 Islam as Others Saw It
[89] 백과사전 Encyclopaedia Iranica
[90] 백과사전 Encyclopaedia
[91] 논문 The Banu Ka'b: An Amphibious Brigand State in Khuzestan 1971
[92]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ostan-kz.[...]
[93] 뉴스 発見された油田、イランで2番目の規模に=ザンガネ石油相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9-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