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0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02년은 윤년으로, 각 지역의 연호, 정치, 군사, 문화, 종교, 그리고 주요 인물의 출생 및 사망과 관련된 사건들을 다루는 해이다. 유럽에서는 프랑스 필리프 4세가 삼부회를 소집하고, 플랑드르 민병대가 프랑스군을 학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아시아에서는 예순 테무르가 진농이 되었으며, 바페우스 전투에서 오스만 1세의 튀르크군이 승리했다. 또한, 베이징에 공자묘가 건립되었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로베르 2세, 아르투아 백작, 아쿠아스파르타의 마테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302년

2. 연호

3. 정치/군사


  • 4월 10일 - 프랑스에서 첫 삼부회가 소집되었다.[18]
  • 11월 18일 -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로마에서 우남 산크탐을 발표했다.
  • 피렌체 흑당이 단테 알리기에리를 추방했다. (구엘프와 기벨린 참조)
  • 1월 2일 - 하인리히 2세가 아버지 순례자 하인리히의 죽음으로 메클렌부르크의 통치자가 되었다.
  • 1월 20일 - 알무스타크피 1세가 아버지 알하킴 1세의 죽음으로 카이로의 압바스 칼리프이자 맘루크 왕조의 이슬람 지도자가 되었다.
  • 1월 23일 - 카스티야 왕국의 페르난도 4세 국왕이 발라돌리드에서 콘스탄스 공주와 결혼했다.
  • 1월 26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와 로버트 더 브루스가 이끄는 스코틀랜드 귀족들은 린리스고에서 9개월간의 평화 조약에 합의한다.[1]
  • 2월 10일 - 교황령 ''아우스쿨타 필리''가 필리프 4세에게 전달되지만, 아르투아 백작 로베르 2세가 보니파시오 8세의 사절 자크 드 노르망에게서 빼앗아 불태운다.[2]
  • 3월 - 로버트 더 브루스가 엘리자베스 드 버그와 결혼한다.
  • 4월 8일 - 그라나다 에미르국의 통치자로 무함마드 3세가 계승한다.
  • 4월 22일 - 비잔티움 제국의 미카엘 9세 팔라이올로고스 황제가 튀르크 군대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작한다.[6]
  • 5월 18일 - 플랑드르 민병대가 브뤼헤의 아침 동안 프랑스 병사 2,000명을 살해한다.[8]
  • 7월 11일 - 황금 박차 전투에서 플랑드르군이 프랑스군을 패퇴시켰다.[9]
  • 7월 27일 - 바페우스 전투에서 오스만 1세가 이끄는 튀르크군이 비잔티움군을 패퇴시켰다.[10][11]
  • 8월 5일 - 존 세그레이브가 버윅 성의 관리인으로 임명되었다.[12]
  • 8월 31일 - 칼라타벨로타 조약이 체결되어 시칠리아 만종 전쟁이 끝났다.[13]
  • 9월 3일 - 맘루크 술탄국이 레바논 트리폴리로 함대를 보냈다.[14]
  • 9월 26일 - 루아드 함락: 템플 기사단이 루아드 섬을 맘루크 술탄국에 넘겨주었다.[15]
  • 10월 4일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라이올로고스 황제가 베네치아 공화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 비잔티움-베네치아 전쟁을 종식시켰다.[16]
  • 베이징에 공자묘가 세워졌다.

3. 1. 유럽


  • 4월 10일 - 프랑스 필리프 4세 ("미남왕 필리프") 국왕이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삼부회 첫 회의를 소집했다. 프랑스 귀족, 성직자, 평민 대표들이 모여 필리프 4세와 보니파시오 8세 간 갈등, 특히 오시타니아 독립 반란 선동 혐의로 기소된 교황 특사 베르나르 드 세세 문제를 논의했다. 이 반란은 나바라와 연관된 푸아 백작령 기치 아래 일어났다.[4]
  • 11월 18일 - 보니파시오 8세가 교황령 우남 산크탐을 발표, 교황의 영적 권위가 세속 통치자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17]
  • 피렌체 흑당이 단테 알리기에리를 추방했다. (구엘프와 기벨린 참조)
  • 1월 2일 - 독일에서 하인리히 2세가 아버지 순례자 하인리히 사망으로 메클렌부르크(현재 독일 북동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머른주) 통치자가 되었다. 하인리히 2세는 1290년부터 1298년까지 섭정으로 일했으며, 아버지 귀국 후에도 메클렌부르크 행정 대부분을 담당했다.
  • 1월 23일 - 스페인 카스티야 왕국 페르난도 4세 국왕(16세)이 발라돌리드에서 디니스 국왕 외동딸 콘스탄스 공주(12세)와 결혼했다.
  • 1월 26일 - 프랑스 제안과 아시니에르 조약에 따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장다리 에드워드")와 로버트 더 브루스가 이끄는 스코틀랜드 귀족들이 린리스고에서 9개월간 평화 조약(1302년 11월 30일까지)에 합의한다.[1]
  • 2월 8일 - 예순 테무르가 아버지 감말라 사망으로 몽골 제국 진농(황태자)이 되어 고비 사막 북쪽 몽골 초원을 관할한다. 1323년 중국 원나라 황제가 되어 5년 가까이 통치한다.
  • 2월 10일 - 교황령 ''아우스쿨타 필리''가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에게 전달되지만, 아르투아 백작 로베르 2세가 보니파시오 8세 사절 자크 드 노르망에게서 빼앗아 불태운다.[2]
  • 2월 19일 - 이탈리아 화가 치마부에가 94일 만에 피사 대성당 모자이크 ''즉위한 그리스도'' 주요 부분인 요한 복음사가 이미지 제작을 완료한다. 치마부에는 직후 사망하고, 모자이크 전체는 1320년까지 완성되지 않는다.
  • 3월 3일 - 1278년 안도라 안도라 공국을 세운 푸아 백작 로제-베르나르 3세 사망으로, 아들 가스통 백작이 프랑스 필리프 국왕 대리 프랑스 행정관 직무를 계속 수행한다. 푸아 백작 칭호 소지자는 1472년 가스통 4세 사망까지 거의 200년간 안도라 프랑스 대표로 단절 없이 통치한다.
  • 3월 4일 - 프랑스 필리프 국왕이 교황령 거부 소식을 접한 보니파시오 8세는 추기경 장 르무안을 파견, 프랑스 성직자 임명 통제 위한 교회 공의회 계획을 알린다.
  • 3월 - 미래 스코틀랜드 국왕 로버트 더 브루스가 에식스주 위틀에서 엘리자베스 드 버그(18세)와 결혼한다. 리처드 오그 드 버그("붉은 백작")의 딸이다.
  • 4월 12일 - 몽골 제국 일칸국 가잔이 교황 보니파시오에게 편지를 보내 맘루크 왕조 대상 새 원정 준비를 발표한다.[5]
  • 5월 17일 - 나폴리의 샤를 2세 국왕 딸 엘레오노르 댄주(12세)가 시칠리아의 프리드리히 3세 국왕과 결혼한다.
  • 5월 18일 - 플랑드르에서 피터 드 코닌크와 얀 브레이델이 프랑스 점령군을 모두 죽이라고 병사들에게 호소한 후, 플랑드르 민병대가 브뤼헤의 아침 동안 프랑스 병사 2,000명을 살해한다. 플랑드르 총독 자크 드 샤티용은 소수 병사와 사제로 변장해 탈출, 파리에서 필리프에게 학살 소식을 전하고, 필리프는 군대를 파견한다.[8]
  • 6월 12일 - 덴마크 에스토니아(1219년1346년) 발트해 연안 도시 라크베레(Wesenberg) (현재 라크베레)가 한자 동맹 뤼벡법에 따라 자치 시정부 수립한다.
  • 6월 14일 - 신성 로마 제국 내 반독립 이탈리아 지역 밀라노 영주 마테오 1세 비스콘티가 귀도 델라 토레에 의해 폐위되지만, 1311년 복귀한다.
  • 7월 11일 - 프랑스가 5월 18일 브뤼헤의 아침 학살 보복으로 플랑드르 공격, 황금 박차 전투 발발. 율리히의 빌헬름("젊은 빌헬름")과 피터 드 코닌크가 이끄는 플랑드르군이 플랑드르 코르트레이크에서 프랑스군(약 9,000명)을 패퇴시켰다. 프랑스 기병대 돌격은 훈련받지 않은 플랑드르 보병 민병대(주로 직업 길드 회원)를 물리치지 못했다. 아르투아 백작 로베르 2세 포함 많은 프랑스 귀족(약 500명 기사)이 사망하고 후퇴했다.[9]
  • 8월 31일 - 칼라타벨로타 조약이 나폴리의 샤를 2세("절름발이 샤를", 나폴리 국왕)와 시칠리아의 프레드릭 3세 간 체결, 시칠리아 만종 전쟁 종식. 프레드릭 사후 시칠리아 왕국은 앙주 왕가 통치, 샤를은 약 10만 온스 금 공물 지불. 프레드릭은 칼라브리아 소유지 양도, 타란토 공국 필리포 1세를 체팔루 감옥에서 석방.[13]
  • 9월 - 이탈리아 용병대장(콘도티에로) 로저 드 플로르가 칼라타벨로타 조약 후 실직 병사(알모가바르)로 카탈루냐 용병대 창설.
  • 10월 4일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라이올로고스 비잔티움 제국 황제가 베네치아 공화국과 평화 조약 체결, 비잔티움-베네치아 전쟁 종식. 베네치아는 정복지 대부분 반환, 케아, 산토리니, 세리포스, 아모르고스 등은 사략선에 넘김. 안드로니코스는 베네치아인 학살(1296년) 손실 배상 동의.[16]
  • 12월 2일 - 스웨덴 비르예르 왕 왕비 덴마크의 마르타가 쇠데르켑핑에서 스웨덴 왕비 대관식 거행. (1298년부터 왕비)
  • 12월 31일 - 메츠 가문 테오발트 2세가 아버지 프레드리히 3세 사후 신성 로마 제국 내 로렌 공작 됨.

3. 2. 아시아


  • 1월 20일 - 이집트에서 알무스타크피 1세가 아버지 칼리프 알하킴 1세의 죽음으로 카이로의 압바스 칼리프이자 맘루크 왕조의 이슬람 지도자가 되었다.
  • 2월 8일 - 예순 테무르가 아버지 감말라의 죽음으로 몽골 제국의 진농(황태자)이 되어 고비 사막 북쪽 몽골 초원을 관할하게 되었다. 예순 테무르는 1323년 중국 원나라의 황제가 되어 5년 가까이 통치한다.
  • 4월 8일 (히즈라력 701년 샤반 8일) - 그라나다의 무함마드 2세(Muhammad II of Granada) 술탄이 29년 통치 후 사망하고, 아들 그라나다의 무함마드 3세(Muhammad III of Granada)가 그라나다 에미르국(Emirate of Granada)의 통치자로 계승한다. 즉위 2주 만에 함무 이븐 아브드 알하크(Hammu ibn Abd al-Haqq) 지휘하의 나스르 왕조 군대를 파견하여 카스티야 왕국(Kingdom of Castile)으로부터 베드마르(Bedmar y Garcíez)와 인근 요새들을 점령한다. 나스르 왕조 군대는 베드마르 북동쪽의 호다르(Jódar)도 공격하고 케사다(Quesada, Spain)를 탈환한다. 한편, 무함마드는 아라곤의 하이메 2세(James II of Aragon) ("정의로운 하이메") 국왕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다.[3]
  • 4월 12일 - 몽골 제국 일칸국(Ilkhanate)의 가잔(Ghazan)이 교황 보니파시오에게 편지를 보내 맘루크 왕조에 대한 새로운 원정 준비를 발표한다.[5]
  • 4월 22일 - 현재 터키 지역에서 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 미카엘 9세 팔라이올로고스(Michael IX Palaiologos) 황제가 약탈하는 튀르크 군대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작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Constantinople)에서 행군한다.[6] 군대는 마이안데르 강 어귀의 마그네시아(Magnesia on the Maeander) (현재 터키 아이다인 주(Aydin Province) 오르탁라르(Ortaklar) 마을 근처 유적)까지 남쪽으로 진군한다. 팔라이올로고스는 튀르크 군대와 직접 맞서 싸우려 하지만, 장군들에게 만류당한다. 그동안 튀르크인들은 약탈을 재개하여 마그네시아에서 미카엘을 고립시킨다. 군대는 전투 없이 해산되고, 지역 군대는 고향을 방어하기 위해 남는다. 알란족(비잔티움 용병)들도 트라키아(Thrace)에 있는 가족들에게 돌아간다. 미카엘은 바다를 통해 철수해야만 하고, 또 다른 난민들의 물결이 뒤따른다.[7]
  • 7월 27일 – 바페우스 전투: 니코메디아의 튀르크 위협에 대응하여 안드로니코스 2세 팔라이올로고스 황제는 니코메디아를 구원하기 위해 비잔티움 제국군(약 2,000명)을 보스포루스 해협 건너 보냈다. 평원에서 오스만 1세가 이끄는 튀르크군(약 5,000명 경기병)은 비잔티움군을 패퇴시켰고, 비잔티움군은 니코메디아로 후퇴해야 했다. 전투 후 안드로니코스는 비티니아 시골 지역 통제력을 잃고 요새로 후퇴했다. 한편, 튀르크군은 게믈리크 해안 도시 등 비잔티움 정착지를 점령했다.[10][11]
  • 9월 – 이탈리아 용병대장(콘도티에로) 로저 드 플로르가 칼라타벨로타 조약 후 실직한 병사들(알모가바르)로 카탈루냐 용병대를 창설했다.
  • 10월 4일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라이올로고스 비잔티움 제국 황제가 베네치아 공화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비잔티움-베네치아 전쟁을 종식시킨다. 베네치아는 정복한 대부분 영토를 반환하지만, 케아, 산토리니, 세리포스, 아모르고스 등을 점령했던 사략선들에게 넘겨준다. 안드로니코스는 베네치아인 학살(1296년 참조) 당시 입은 손실에 대한 배상에 동의한다.[16]
  • 12월 10일 - 일본에서 고니조 천황 즉위 후, 인기 원년(겐겐)이 시작된다.
  • 간지: 임인
  • 일본
  • * 정안 4년, 건원 원년11월 21일 -
  • * 황기 1962년
  • 중국
  • * 원: 대덕 6년
  • 조선
  • * 고려: 충렬왕 28년
  • * 단기 3635년
  • 베트남
  • * 진朝: 흥롱 10년
  • 베이징 공자묘는 중국 철무얼 황제(정종) 치세에 베이징에 세워졌다.

4. 문화/종교


  • 11월 18일 - 보니파시오 8세 교황이 교황령 우남 산크탐을 발표하여 교황의 영적 권력이 세속 통치자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였다.[17]
  • 중국 원나라 철무얼 황제(정종) 치세에 북경에 공자묘가 세워졌다.

5. 인물

구분내용
탄생11월 30일 - 안드레아 코르시니, 이탈리아 고위 성직자
12월 7일 - 아쪼네 비스콘티, 이탈리아 귀족
방충의 - 중국 도교 승려
호조 사다유키 - 일본 귀족
고노에 쓰네타다 - 일본 귀족
시하부딘 아흐메드 코야 - 인도의 대무프티
타이 시투 창춥 걀첸 - 티베트 통치자
우쓰노미야 공쓰나 - 가마쿠라 시대 우쓰노미야씨 제9대 당주
다이쿠지미카도 우지다다 - 가마쿠라 시대 공경
곽자흥 - 백련교 지도자
하나마치구 くにまさ 친왕 - 가마쿠라 시대 황족
호죠 사다마사 - 가마쿠라 시대 무장
기타 - 원 자료에 특정 날짜가 명시되지 않은 인물
사망1월 2일 - 하인리히 1세, 독일 귀족
1월 19일 - 알하킴 1세, 압바스 왕조 칼리프
1월 26일 - 고드프리 기퍼드, 잉글랜드 대법관
2월 1일 - 안드레아 데이 콘티, 이탈리아 사제
2월 10일 - 제럴드 르 마레샬, 아일랜드 주교
3월 3일 - 로제-베르나르 3세, 프랑스 귀족
3월 9일 - 리처드 피츠앨런, 잉글랜드 귀족
3월 20일 - 랄프 월폴, 잉글랜드 성직자
4월 8일 - 무함마드 2세, 그라나다 통치자
4월 9일 - 콘스탄스 데 시칠리아, 아라곤 왕비
5월 2일 - 블랑슈 다르투아, 나바라 왕비
6월 30일 - 잉게보르그 비르게스도테르, 스웨덴 귀족
7월 11일 (금박차 전투)
브라반트의 고드프리, 네덜란드 귀족
클레르몽의 기 1세, 프랑스 귀족
자크 드 샤티용, 프랑스 총독
잔 드 트리 1세, 프랑스 기사
잔 드 퐁티우 1세, 프랑스 귀족
잔 드 브리엔느 2세, 프랑스 귀족
피에르 플로트, 프랑스 대법관
라울 드 클레르몽 2세, 프랑스 귀족
로베르 2세, 아르투아 백작
시몽 드 멜랑, 프랑스 원수
9월 6일 - 존 세인트 존, 잉글랜드 기사
9월 18일 - 에우도키아 팔라이올로기나, 트라브존 제국 황후
9월 26일 - 바르텔레미 드 퀸시, 프랑스 대수도원장
10월 29일 - 아쿠아스파르타의 마테오, 이탈리아 총수도원장
10월 22일 - 사조 정자, 사이온지 사네우지의 정실
11월 17일 - 위대한 게르트루드, 독일 신비주의자
12월 2일 - 아우둔 후글레이크손, 노르웨이 기사
12월 13일 - 아돌프 2세, 독일 귀족
12월 26일 - 발데마르 비르게르손, 스웨덴의 왕
12월 26일 - 호조 사네마사, 가마쿠라 시대의 수호
12월 29일 - 비츠라프 2세, 덴마크 귀족
12월 31일 - 프레드리히 3세, 독일 귀족
기타 - 원자료에 사망 날짜가 특정되지 않은 인물
발리앙 드 이벨린, 키프로스 귀족, 아폴다의 디트리히, 독일 수도승, 제라르도 비안키, 이탈리아 추기경, 고드프리 기퍼드, 잉글랜드 대법관, 앙리 3세, 프랑스 귀족, 헨리 르 왈리스, 잉글랜드 시장, 후 산싱, 중국 역사가, 이븐 다키크 알-이드, 이집트 학자, 존 코민 2세, 스코틀랜드 귀족, 존 드 세슈빌, 잉글랜드 철학자, 로테리오 필랑제리, 이탈리아 귀족, 루이 1세, 스위스 귀족, 마기나르도 파가니, 이탈리아 정치가, 윌리엄 오브 마치, 잉글랜드 주교, 아딜 키트부가, 바흐리 마멀루크 왕조의 제11대 술탄, 우둘타이, 원 왕조의 무장, 카말라, 원 왕조의 황족, 치마부에, 이탈리아 화가


5. 1. 탄생


  • 11월 30일 - 안드레아 코르시니, 이탈리아 고위 성직자이자 주교 (1374년 사망)
  • 12월 7일 - 아쪼네 비스콘티, 이탈리아 귀족이자 기사 (1339년 사망)
  • 방충의, 중국 도교 승려이자 풍경화가 (1393년 사망)
  • 호조 사다유키, 일본 귀족, 지방관, 사무라이 (1333년 사망)
  • 고노에 쓰네타다, 일본 귀족(구교(kugyō))이자 섭정 (1352년 사망)
  • 시하부딘 아흐메드 코야, 인도의 대무프티이자 작가 (1374년 사망)
  • 타이 시투 창춥 걀첸, 티베트 통치자이자 정치인 (1364년 사망)
  • 우쓰노미야 공쓰나, 가마쿠라 시대와 남북조 시대의 무장, 우쓰노미야씨 제9대 당주 (1356년 사망)
  • 다이쿠지미카도 우지다다,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공경 (사망년도 미상)
  • 곽자흥, 백련교 지도자 (1355년 사망)
  • 하나마치구 くにまさ 친왕,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황족 (1375년 사망)
  • 호죠 사다마사,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1333년 사망)

5. 2. 사망


  • 1월 2일 - 하인리히 2세, 독일 귀족 (* 1230년)
  • 1월 19일 - 알하킴 1세, 압바스 왕조의 카이로 칼리프 (* 1247년)
  • 1월 26일 - 고드프리 기퍼드, 잉글랜드 대법관 및 주교
  • 2월 1일 - 안드레아 데이 콘티, 이탈리아 사제 (* 1240년)
  • 2월 10일 - 제럴드 르 마레샬, 아일랜드 대성당 참사회원 및 주교
  • 3월 3일 - 로제-베르나르 3세, 프랑스 귀족 (* 1243년)
  • 3월 9일 - 리처드 피츠앨런, 잉글랜드 귀족 (* 1267년)
  • 3월 20일 - 랄프 월폴, 잉글랜드 성직자
  • 4월 8일 - 무함마드 2세, 그라나다 에미르국의 나스르 왕조 통치자 (* 1235년)
  • 4월 9일 - 콘스탄스 데 시칠리아, 아라곤 왕비 (* 1249년)
  • 5월 2일 - 블랑슈 다르투아, 나바라 왕비 (* 1248년)
  • 6월 30일 - 잉게보르그 비르게스도테르, 스웨덴 귀족 (* 1253년)
  • 7월 11일 (황금 박차 전투):
  • * 브라반트의 고드프리, 네덜란드 귀족
  • * 클레르몽의 기 1세, 프랑스 귀족
  • * 자크 드 샤티용, 프랑스 총독
  • * 잔 드 트리 1세, 프랑스 기사 (* 1225년)
  • * 잔 드 퐁티우 1세, 프랑스 귀족
  • * 잔 드 브리엔느 2세, 프랑스 귀족
  • * 피에르 플로트, 프랑스 대법관
  • * 라울 드 클레르몽 2세, 프랑스 귀족
  • * 로베르 2세, 아르투아 백작 (* 1250년)
  • * 시몽 드 멜랑, 프랑스 원수 (* 1250년)
  • 9월 6일 - 존 세인트 존, 잉글랜드 기사
  • 9월 18일 - 에우도키아 팔라이올로기나, 트라브존 제국 황후
  • 9월 26일 - 바르텔레미 드 퀸시, 프랑스 대수도원장
  • 10월 29일 - 아쿠아스파르타의 마테오, 이탈리아 총수도원장
  • 10월 22일 - 사조 정자, 사이온지 사네우지의 정실 (* 1196년)
  • 11월 17일 - 위대한 게르트루드, 독일 신비주의자 (* 1256년)
  • 12월 2일 - 아우둔 후글레이크손, 노르웨이 기사 (* 1240년)
  • 12월 13일 - 아돌프 2세, 독일 귀족
  • 12월 26일 - 발데마르 비르게르손, 스웨덴의 왕 (* 1239년)
  • 12월 26일 - 호조 사네마사, 가마쿠라 시대의 수호 (* 1249년)
  • 12월 29일 - 비츠라프 2세, 덴마크 귀족
  • 12월 31일 - 프리드리히 3세, 독일 귀족
  • 발리앙 드 이벨린, 키프로스 귀족 (* 1240년)
  • 아폴다의 디트리히, 독일 수도승
  • 제라르도 비안키, 이탈리아 추기경
  • 고드프리 기퍼드, 잉글랜드 대법관 (* 1235년)
  • 앙리 3세, 프랑스 귀족 (* 1259년)
  • 헨리 르 왈리스, 잉글랜드 시장
  • 후 산싱, 중국 역사가 (* 1230년)
  • 이븐 다키크 알-이드, 이집트 학자 (* 1228년)
  • 존 코민 2세, 스코틀랜드 귀족
  • 존 드 세슈빌, 잉글랜드 철학자
  • 로테리오 필랑제리, 이탈리아 귀족
  • 루이 1세, 스위스 귀족
  • 마기나르도 파가니, 이탈리아 정치가
  • 윌리엄 오브 마치, 잉글랜드 주교
  • 아딜 키트부가, 바흐리 마멀루크 왕조의 제11대 술탄 (* 생년 미상)
  • 우둘타이, 원 왕조의 무장 (* 1271년)
  • 카말라, 원 왕조의 황족 (* 1263년)
  • 치마부에, 이탈리아 화가 (* 1240년)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Civilisation in Scotland Alexander Gardner
[2]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The Encyclopedia Press
[3]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 웹사이트 Medieval Geopolitics: The Conflict between Pope Boniface VIII and King Philip IV of France
[5] 서적 Crusading and Warfare in the Middle Ages Taylor & Francis
[6] 서적 Warfare in Late Byzantium, 1204-1453 Brill
[7] 서적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9] 서적 The Battle of the Golden Spurs: Courtrai, 11 July 1302 Boydell Press
[10] 서적 The Late Byzantine Army: Arms and Society 1204–1453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1] 서적 Constantinople and the Latins: Foreign Policy of Andronicus II, 1282–1328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Smith, Elder & Co
[1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 Muslim Regiment: The Manṣūriyya in the First Mamluk Sultanate, 678/1279 –741/1341 V&R Unipress
[15] 서적 The Trial of the Templ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Byzantium and Venice: A Study in Diplomatic and Cultur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18] 문서 프랑스 판 위키백과에 기록에 따른 자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