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압하지야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압하지야 전쟁은 1992년 8월부터 1993년 9월까지 조지아와 압하지야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이다. 1980년대 말 압하지야의 독립 요구가 높아지면서 긴장이 고조되었고, 1992년 7월 압하지야는 조지아로부터의 주권을 일방적으로 선포했다. 조지아는 이에 대응하여 군대를 파견했으나, 압하지야군과 북캅카스 민족 연맹의 지원을 받은 압하지야군에게 밀려 수후미를 포함한 압하지야 대부분을 장악당했다. 전쟁 중 양측은 인권 유린과 전쟁 범죄를 저질렀으며, 조지아는 압하지야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고 압하지야는 사실상 독립된 영토가 되었다. 러시아는 중재 역할을 수행했지만, 압하지야를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유엔은 휴전을 중재하고 평화 유지군을 파견했으나, 분쟁은 장기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조지아 - 조지아 내전
조지아 내전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조지아의 독립 선언 이후 발생한 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과 대통령 축출, 러시아의 개입으로 인한 영토 분쟁으로,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 1992년 - 의제 21
의제 21은 1992년 지구 정상 회담에서 178개 정부가 채택한 지속 가능한 개발 실천 계획으로, 사회·경제적 차원, 자원 보존 및 관리, 주요 그룹 역할 강화, 이행 수단이라는 4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빈곤 퇴치, 소비 패턴 변화, 대기 보호, 산림 벌채 방지, 생물 다양성 보존 등의 목표를 포괄하며 국제 회의를 통해 발전하고 지방 정부 차원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 1992년 조지아 - 조지아 내전
조지아 내전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조지아의 독립 선언 이후 발생한 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과 대통령 축출, 러시아의 개입으로 인한 영토 분쟁으로,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 1992년 조지아 - 1992년 하계 올림픽 연합 선수단
1992년 하계 올림픽 연합 선수단은 소련 해체 후 독립한 12개국이 연합하여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참가, 다양한 종목에서 총 1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1992년 압하지야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 |
| 기본 정보 | |
| 분쟁 명칭 | 압하지야 전쟁 (1992–1993) |
| 일부 | 조지아-압하지야 분쟁, 조지아 내전 |
| 기간 | 1992년 8월 14일 – 1993년 9월 30일 (1년 1개월 16일) |
| 장소 | 압하지야, 서부 조지아 |
| 결과 | 압하지야의 승리 |
| 상세 결과 | 압하지야는 사실상 독립 공화국이 되었으나 국제적으로는 조지아의 일부로 인정됨 조지아가 압하지야의 상부 코도리 계곡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함 압하지야의 조지아인 민족 청소 발생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압하지야 캅카스 산악인민 연맹 (비공식적으로) |
| 교전국 2 | UNA-UNSO |
| 지휘관 | |
| 지휘관 1 | 블라디슬라브 아르진바 블라디미르 아르시바 세르게이 드바르 바가르샤크 코샨 세르게이 마토샨 야신 젤림하노프 (전사) 무슈니 흐바르츠키야 (전사) 아슬람베크 압둘하지예프 술탄 소스날리예프 샤밀 바사예프 루슬란 겔라예프 투르팔-알리 아트게리예프 |
| 지휘관 2 | 예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텡기즈 키토바니 텡기즈 시구아 [[File:Mkhedrioni flag.png|25px]] 자바 이오셀리아니 게오르기 카르카라쉬빌리 게노 아다미아 (전사) 다비드 테브자제 구자르 쿠라쉬빌리 로티 코발리아 지울리 샤르타바 (전사) 발레리 보브로비치 |
| 병력 규모 | |
| 병력 규모 1 | 압하지야 국가 방위군: 4,000–5,000명 압하지야인 바그라먄 대대: 1,500명 아르메니아인 1,500명 카자크 CMPC: 700–1,500명 카바르디노-발카르 출신 체르케스인 1,000명 체첸인 200명 아디게야인 150명 오세트인 터키 출신 북캅카스인 150명 60–90명 트란스니스트리아인 |
| 병력 규모 2 | 10,000명 (추정) 55대 항공기 120대 주력 전차 및 180대 AIFV/APC 150명 우크라이나인 |
| 사상자 및 피해 | |
| 사상자 1 | 전투원 사망자 2,220명 부상자 약 8,000명 실종자 122명 민간인 사망자 1,820명 |
| 사상자 2 | 전투원 및 민간인 사망자 4,000명 부상자 10,000명 실종자 1,000명 250,000명의 민족 조지아인이 실향민이 됨 |
| 총 사망자 | 25,000–30,000명 (추정) |
2. 역사적 배경
1980년대 말부터 압하지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반소련, 친조지아 반대 세력이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면서 긴장 상태가 고조되었다.[35] 1957년, 1967년, 1978년 및 1989년에 압하지야 지식인들은 소련에 반대하는 조지아 시위 운동에 대응하여 소련 중앙 정부에 여러 차례 호소하며 압하지야를 소련 내에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압하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설립하거나 모스크바에서 직접 압하지야에 대한 "특별 관리" 체제를 도입할 것을 요구했다.[35] 그러나 이러한 요청은 소련 해체 직전인 1980년대 후반까지 크렘린으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했다.[35]
1989년 리흐니에서 압하지야 민족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인 리흐니 호소가 발표되었고, 수후미 국립 대학교 총장이 이에 서명했다.[35] 대학교의 조지아인 학생들은 항의 시위를 벌이며 압하지야에 조지아인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분교를 만들 것을 요구했고, 정부는 트빌리시 국립 대학교의 분교를 수후미에 설립함으로써 이를 승인했다.[35] 그러나 1989년 7월, 조지아인 학생들은 압하지야인들에게 공격을 받았고,[35] 조지아 반소련 운동은 이 사건에 격분하여 압하지아 분리주의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주장을 트빌리시에서 수천 명의 조지아 시위대가 내세운 구호에 포함시켰다.[35] 반소련 친독립 조지아 단체들은 소련 정부가 조지아의 친독립 운동에 반대하기 위해 압하지아 분리주의를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35] 시위에 대응하여 소련군은 트빌리시에 파견되었고, 이는 4월 9일 비극을 초래했다.
압하지야인들의 공격과 4월 9일의 비극은 결국 1989년 7월 16~17일 수후미에서 발생한 압하지아인과 조지아인 간의 첫 번째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35] 이로 인한 사회 불안은 급속도로 군사화된 충돌로 번졌으며, 공식 발표에 따르면 18명이 사망하고 최소 448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중 302명이 조지아인이었다. 이에 대응하여 내무부 병력이 투입되어 불안을 진압했다.
1990년 7월까지 양측은 군사적으로 문제를 강제할 만큼 강하다고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조지아-압하지야 적대감은 주로 입법부로 격하되어, 1992년 8월 무력 충돌이 발생할 때까지 압하지야를 법적 분쟁, 즉 "법의 전쟁"으로 규정했다.[36] 조지아 대통령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 선거법 개정에 대해 협상하여 압하지야인들에게 압하지야 최고 소비에트에서 광범위한 과다 대표성을 부여했는데, 이는 압하지야인이 압하지야 인구의 18%에 불과하고 조지아인이 46%인 상황이었다.[36] 1991년 압하지야 최고 소비에트 선거 전에 인종 할당, 즉 쿼터가 도입되어 구성 인구의 민족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했다.[36] 따라서 65석 중 압하지아인(인구의 17%)은 28석을, 조지아인(45%)은 26석을, 나머지 11석은 다른 그룹(아르메니아인, 러시아인; 후자는 인구의 33%)에게 분배되었다.[36]
1990년 12월, 블라디슬라프 아르진바는 조지아 대통령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에 의해 양보의 의미로 압하지야 최고 소비에트 의장으로 확정되었다.[37] 아르진바는 압하지아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흥분하기 쉬운 인물이었으며, 조지아인들은 그가 1989년 7월의 폭력 사태를 선동하는 데 일조했다고 믿었다.[37] 그러나 그의 임명은 분리주의를 막지 못했다. 소유즈 파벌의 일원이었던 아르진바는 소련 인민 대표자 회의에서 모스크바의 친소련 강경파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았다.[37] 1992년 1월, 트빌리시의 군사 정권은 조지아 대통령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를 전복하고 전 소련 조지아 지도자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에게 조지아의 새로운 임시 통치 기구인 조지아 공화국 국가 평의회의 수장으로 국가를 이끌 것을 요청했다.[37] 이로 인해 조지아에서 친감사후르디아 세력과 친셰바르드나제 세력 간의 내전이 발생했고, 이는 압하지야의 분리주의 지도자들이 조지아 지도부에 맞서 더욱 과감한 조치를 취하도록 부추겼다. 1992년 아르진바는 단일 민족인 압하지아인으로 구성된 압하지아 국가 경비대를 창설하고, 조지아인들을 주요 직책에서 압하지아인으로 교체하는 관행을 시작했다. 1992년 6월, 그는 조지아인 기비 로미나제를 압하지야 내무부 장관직에서 해임하고 압하지아인 알렉산더 안크바브로 교체했다. 이로 인해 압하지야 최고 소비에트의 조지아 파벌("민주 압하지야")이 회의를 보이콧했다. 조지아 내무부 장관 로만 그벤차제는 아르진바의 결정을 무효화했지만, 아르진바는 법률에 따라 그렇게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따르기를 거부했고, 압하지아 국가 경비대는 내무부 청사를 습격하여 로미나제를 강제로 사무실에서 몰아냈다.
내전에 휘말린 트빌리시의 조지아 지도부는 러시아가 지원하는 압하지아 분리주의 움직임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는데, 이는 압하지야 인구의 대다수, 특히 조지아인(인구의 46%)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이로 인해 결국 압하지야 최고 의회는 1992년 7월 23일 조지아로부터의 주권을 일방적으로 선포했다. 이 결정은 불법이었으며, 조지아 대표들이 회의를 보이콧했기 때문에 필요한 정족수 없이 통과되었다. 세계 어느 나라도 압하지야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7월 25일, 조지아 공화국 국가 평의회는 이 주권 선언을 폐지했지만, 압하지야 지도부는 이에 따르기를 거부했다.
2. 1. 소련 시기 압하지야의 지위
2. 2. 리흐니 호소와 1989년 수후미 폭동
2. 3. 법의 전쟁 (1990-1992)
3. 전쟁의 전개
1992년 8월 10일, 조지아 국가 평의회는 질서 회복, 철도 기반 시설 파괴 방지, 친(親) 감사후르디아 세력에 의해 포로로 잡힌 조지아 정부 관리 구출을 위해 군대를 메그렐리아와 압하지야로 파견하기로 결의했다.[38] 1992년 8월 12일, 조지아군은 메그렐리아에 진입했고, 8월 14일에는 갈리시를 통과해 평화롭게 압하지야로 진입했다.[38] 그러나 오참치레 구역 오후레이 마을에 있는 압하지야 국가 경비대 초소 근처에서 압하지야 국가 경비대가 수후미로 진격하는 조지아군을 향해 사격을 가하면서 충돌이 발생했다.[38] 아구제라와 마차라 마을 근처에서도 충돌이 발생했다.[38]
블라디슬라프 아르진바는 텔레비전 연설에서 "조지아군이 압하지야를 점령했다"고 주장하며 "주권을 침해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조지아에 전쟁을 선포하고 러시아와 캅카스 산악 민족 연맹에 지원을 요청했다.[38] 조지아 국가 평의회와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의장은 자국 영토를 "점령"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모든 국가는 자국 영토에서 원하는 대로 군대를 이동할 권리가 있으며, 압하지야군이 먼저 발포했다고 반박했다.[38]
8월 14일, 조지아군은 수후미에 도착했지만, 압하지야의 공격으로 인해 도시 외곽의 붉은 다리 근처에서 멈춰 섰다.[38] 조지아와 압하지야 측 간의 협상이 시작되었고, 조지아는 압하지야 최고 평의회의 압하지야 대표들에게 아르진바의 분리주의적 발언을 이유로 사임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38] 1992년 8월 18일, 조지아군은 수후미에 진입하여 압하지야 국가 경비대를 격파했다.[38] 압하지야는 구미스타 강 건너편으로 후퇴하여 에셰라 마을에서 병력을 재편성했다.[38] 아르진바는 분리주의자들의 거점인 구다우타로 도주하여 군사 작전을 조정했다.[38]
8월 15일, 조지아 국가 경비대와 므헤드리오니가 가그라 구역에 해상 상륙을 했고, 8월 19일까지 러시아-조지아 국경까지 전체 영토를 장악했다. 구다우타의 분리주의자들은 봉쇄되어 러시아와의 육상 및 철도 연결이 끊겼다.[38]
1992년 8월 22일, 캅카스 산악 민족 연맹은 무사 샤니보프 의장과 이수프 소슬란베코프 의장이 발표한 포고령을 통해 압하지야 영토에 자원병 파견, 조지아에 대한 군사 작전 수행, 트빌리시를 재난 지역으로 선포, 조지아계 민족 인질 선언, 조지아행 화물 압류 등을 명령했다.[38]
8월 25일, 조지아군 지휘관 기오르기 카르카라슈빌리는 텔레비전을 통해 조지아군이 전쟁 포로를 잡지 않을 것이며, 압하지야 평화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평화 회담을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9] 그는 분리주의자들에게 평화 회담이 실패하고 10만 명의 조지아인이 살해될 경우 아르진바를 지지하는 나머지 9만 7천 명의 압하지야 민족이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39] 카르카라슈빌리는 나중에 아르진바에게 압하지야 민족을 후손 없이 만들 행동을 하지 말라고 위협하며, 미래의 사망에 대한 책임을 아르진바 개인에게 돌렸다.[39] 이러한 발언은 압하지야 측에 의해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다.[40]
분쟁 결과, 조지아군은 압하지야 대부분을 장악했고, 압하지야군 잔당은 오참치라 구역과 트콰르첼리 일부, 그리고 구다우타에 갇혔다.
3. 1. 조지아군의 공세 (1992년 8월)
1992년 8월 10일, 조지아 국가 평의회는 질서 회복, 철도 기반 시설 파괴 방지, 친(親) 감사후르디아 세력에 의해 포로로 잡힌 조지아 정부 관리 구출을 위해 군대를 메그렐리아와 압하지야로 파견하기로 결의했다.[38] 1992년 8월 12일, 조지아군은 메그렐리아에 진입했고, 8월 14일에는 갈리시를 통과해 평화롭게 압하지야로 진입했다.[38] 그러나 오참치레 구역 오후레이 마을에 있는 압하지야 국가 경비대 초소 근처에서 압하지야 국가 경비대가 수후미로 진격하는 조지아군을 향해 사격을 가하면서 충돌이 발생했다.[38] 아구제라와 마차라 마을 근처에서도 충돌이 발생했다.[38]블라디슬라프 아르진바는 텔레비전 연설에서 "조지아군이 압하지야를 점령했다"고 주장하며 "주권을 침해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조지아에 전쟁을 선포하고 러시아와 캅카스 산악 민족 연맹에 지원을 요청했다.[38] 조지아 국가 평의회와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의장은 자국 영토를 "점령"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모든 국가는 자국 영토에서 원하는 대로 군대를 이동할 권리가 있으며, 압하지야군이 먼저 발포했다고 반박했다.[38]
8월 14일, 조지아군은 수후미에 도착했지만, 압하지야의 공격으로 인해 도시 외곽의 붉은 다리 근처에서 멈춰 섰다.[38] 조지아와 압하지야 측 간의 협상이 시작되었고, 조지아는 압하지야 최고 평의회의 압하지야 대표들에게 아르진바의 분리주의적 발언을 이유로 사임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38] 1992년 8월 18일, 조지아군은 수후미에 진입하여 압하지야 국가 경비대를 격파했다.[38] 압하지야는 구미스타 강 건너편으로 후퇴하여 에셰라 마을에서 병력을 재편성했다.[38] 아르진바는 분리주의자들의 거점인 구다우타로 도주하여 군사 작전을 조정했다.[38]
8월 15일, 조지아 국가 경비대와 므헤드리오니가 가그라 구역에 해상 상륙을 했고, 8월 19일까지 러시아-조지아 국경까지 전체 영토를 장악했다. 구다우타의 분리주의자들은 봉쇄되어 러시아와의 육상 및 철도 연결이 끊겼다.[38]
1992년 8월 22일, 캅카스 산악 민족 연맹은 무사 샤니보프 의장과 이수프 소슬란베코프 의장이 발표한 포고령을 통해 압하지야 영토에 자원병 파견, 조지아에 대한 군사 작전 수행, 트빌리시를 재난 지역으로 선포, 조지아계 민족 인질 선언, 조지아행 화물 압류 등을 명령했다.[38]
8월 25일, 조지아군 지휘관 기오르기 카르카라슈빌리는 텔레비전을 통해 조지아군이 전쟁 포로를 잡지 않을 것이며, 압하지야 평화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평화 회담을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9] 그는 분리주의자들에게 평화 회담이 실패하고 10만 명의 조지아인이 살해될 경우 아르진바를 지지하는 나머지 9만 7천 명의 압하지야 민족이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39] 카르카라슈빌리는 나중에 아르진바에게 압하지야 민족을 후손 없이 만들 행동을 하지 말라고 위협하며, 미래의 사망에 대한 책임을 아르진바 개인에게 돌렸다.[39] 이러한 발언은 압하지야 측에 의해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다.[40]
분쟁 결과, 조지아군은 압하지야 대부분을 장악했고, 압하지야군 잔당은 오참치라 구역과 트콰르첼리 일부, 그리고 구다우타에 갇혔다.
3. 2. 가그라 전투와 휴전 (1992년 9월 - 1993년 8월)
1992년 9월 3일, 모스크바에서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에 따라 조지아군은 가그라 구역에서 철수해야 했다. 조지아 측은 협정을 이행하여 진지를 떠났다. 그 결과 가그라의 지역 조지아인들은 방어력이 없는 상태로 남겨졌다. 휴전은 곧 압하스 측에 의해 위반되었다.[42] 주로 체첸인과 코사크인, 무장한 코카서스 산악 민족 연합(CMPC) 및 압하스군의 수천 명의 자원병이 T-72 전차, BM-21 그라드 로켓 발사기, 수호이 Su-25 공격기 및 헬리콥터를 갖추고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조지아는 압하스 측에서 이전에 사용한 적이 없었던 이 장비를 러시아가 제공했다고 비난했다. 압하스군과 CMPC군은 10월 1일 가그라 마을을 공격했다. 마을에 남아 있던 소수의 조지아군은 가그라를 잠시 방어하다가 후퇴한 후 재집결하여 마을을 탈환했다. 압하스군과 CMPC군은 재정비하여 다시 공격을 시작했고, 10월 2일 가그라를 점령했다.[42] 러시아 해군은 가그라 근처의 항구를 봉쇄하기 시작했다. 해군 함선: "SKP-Bezukoriznenniy", "KIL-25", "BTH-38", "BM-66", "Golovin", "Landing 345", "Aviation 529"("SU-25", "SU-27"), "MI- 및 대공 643". 러시아 연방 국방부 차관인 G. Kolesnikov가 지휘하는 연대가 가그라 점령에 참여했다. 러시아 유조선 "돈"은 분리주의자들이 점령한 구다우타에 420톤의 연료를 배달했다.[42]수천 명의 조지아 군인과 민간인이 북쪽으로 도망쳐 러시아로 들어가 조지아 본토로 수송되었다. 쫓겨난 조지아인들은 육로 국경을 통해 러시아로 도망치거나 러시아 해군에 의해 대피했다.[42]
압하스군은 이 지역에 주둔한 러시아 군대의 지원을 받아 가그라, 구다우타(구 러시아 군사 기지가 남아 있음) 및 트크바르첼리를 장악하고 수후미로 빠르게 접근하고 있었다.[42]
3. 3. 수후미 포위와 공세 (1992년 12월 - 1993년 9월)
1992년 12월, 압하지야군은 조지아가 점령한 수후미에 포격을 시작했다.[43] 1993년 3월 4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조지아 국가평의회 의장이 수후미에 도착하여 도시의 방어 작전을 지휘했다. 2월 10일, 셰바르드나제는 구람 가비스키리아를 수후미 시장으로 임명했다. 한편, 조지아 의회는 러시아가 조지아를 침략했다고 공식 선언하고, 압하지야 영토에서 모든 러시아 군대를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1993년 3월 16일 오전 6시와 9시에 압하지야군과 연합군은 수후미에 전면적인 공격을 시작하여 민간인에게 대규모 파괴와 심각한 사상자를 발생시켰다.[43] 오전 2시에 압하지야 측은 구미스타 강과 수후미의 조지아군 진지에 포격을 시작했다. 나중에 몇 대의 러시아 Su-25기가 다음 날 아침까지 수후미를 공격했다. 러시아 특수 부대가 작전을 이끌었고, 압하지야군과 북캅카스 민족 연합(CMPC) 의용군이 뒤따랐다. 그들은 구미스타 강을 건너 아차다라 일부를 점령했지만, 조지아군은 그들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막았다.
5월 14일, 단기적인 휴전이 서명되었다. 조지아 소식통에 따르면, 7월 2일 러시아 해군 함선이 타미시 마을 근처에 최대 600명의 러시아 공수 부대를 상륙시켰고, 조지아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44][45] 이 전투는 전쟁에서 가장 치열했던 전투 중 하나로, 양측에서 수백 명이 사망하고 부상당했다. 초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조지아군은 진지를 되찾는 데 성공했다. 7월, 러시아 부대, 압하지야군, CMPC 의용군은 수후미 지역의 아할셰니, 구마, 슈로마 마을을 점령했다.

3. 4. 에셰라, 굴립시, 카마니, 슈로마에 대한 압하지야 공세
1993년 7월 2일, 러시아 군사 지시와 해군 지원을 받아 압하지야와 그 동맹군인 북카프카스 산악 민족 연합은 구미스타 강가의 마을들을 공격했다. 조지아 측은 수후미 구의 북쪽이나 동쪽에서 어떠한 공격도 예상하지 못했다. 조지아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공격 1시간 만에 500명 사망), 수후미 주변의 방어선은 압하지야의 공격에 의해 돌파되었다.구미스타 강(수후미 북쪽 및 동쪽)을 따라 위치한 아차다라, 카마니, 슈로마와 같은 마을들은 민족적으로 조지아인이 많이 거주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 되었고, 이를 통해 기계화 부대가 압하지야의 수도인 수후미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서쪽에서 수후미를 공격하려던 시도가 실패한 후, 압하지야 부대와 그 동맹군은 수후미의 북쪽과 동쪽으로 공격 방향을 돌렸다. 1993년 7월 5일, 압하지야, 아르메니아 바그라미안 대대, 러시아 및 북카프카스 부대는 수후미 구의 아할셰니, 구마, 슈로마 마을을 공격했다. 7월 9일 카마니 마을에서 마지막 공격이 벌어져, 대부분의 주민들이 압하지야 부대와 그 동맹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카마니 학살).
이 무렵, 압하지야 분리주의자들은 거의 모든 전략적 고지를 점령하고 수후미를 포위하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압하지야 조지아 방위 위원회 의장 타마즈 나다레이슈빌리는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하고 조지아 의회 의원 주리 샤르타바가 그 뒤를 이었다.
1993년 8월 15일, 그리스는 인도주의적 작전인 황금 양털 작전을 수행하여 전쟁으로 황폐화된 압하지야를 탈출하기로 결정한 1,015명의 조지아 내 그리스인을 대피시켰다. 마찬가지로, 1992년 에스토니아 공화국은 세 번의 항공편으로 170명의 압하지야 내 에스토니아인을 대피시켰다. (다른 출처에 따르면, 전쟁 중 약 400명의 에스토니아인이 에스토니아로 피신했다.)
3. 5. 수후미 함락 (1993년 9월)
1993년 7월 27일 소치에서 러시아 중재로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9월 16일 압하지야 분리주의자들이 협정을 위반하고 수후미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1] 이들은 조지아가 협정 조건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포위 공격 중에 러시아 제트기는 수후미의 조지아 주거 지역과 구미스타 강을 따라 조지아 마을에 열압력 폭탄을 투하했다.[1][51]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홀로도프는 수후미가 함락되기 전 러시아군에 의한 반복적인 포격으로 심각한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치열한 전투 끝에 9월 27일 수후미가 함락되었다.[52]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는 라디오를 통해 수후미 시민들에게 분리주의자들과 외국 침략자들에 맞서 도시를 지켜야 한다고 호소했지만, 그는 간신히 도시를 탈출했다. 구람 가비스키리아, 라울 에슈바, 즈율리 샤르타바 등 도시를 떠나기를 거부한 조지아 지원 압하지야 정부 구성원들은 살해되었다.
압하지야군과 연합군은 압하지야의 전체 영토를 점령했지만, 상부 코도리 계곡은 조지아의 손에 남았다. 조지아군의 패배는 조지아인에 대한 민족 청소로 이어졌다.[83]
수후미 전투의 마지막 단계에서 압하지야군은 트랜스에어 조지아 소속 조지아 민간 항공기 3대를 격추하여 136명(일부는 조지아 군인)이 사망했다.[53][54] 약 5,000명의 조지아 민간인과 군인이 러시아 선박에 의해 대피했다.[55]
4. 러시아의 역할
러시아는 압하지야 전쟁에서 공식적으로 중립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쟁에 개입했다.[56] 러시아의 정책은 일관성이 없었고, 여러 정치 세력들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정책을 형성했다.[56]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며 1992년 9월 모스크바에서 양측 간 협상을 주선했고, 이 협상에서 군사적 적대 행위 중단 및 압하지야의 조지아 국경 내 인정을 명시한 협정이 체결되었다.[57]
그러나 러시아 의회와 군부는 친압하지야 성향을 강하게 드러냈고, 이는 러시아 외교 정책 변화를 야기했다. 이들은 조지아의 독립국가연합(CIS) 가입 압박 및 남캅카스 지역 군사 주둔 확보를 목표로 했으며,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를 소련 붕괴의 책임자로 비난했다.[58] 파벨 그라체프 국방장관은 압하지야를 잃는 것은 흑해를 잃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며 조지아에 대한 강경 정책을 추진했다.[58]
러시아는 양자 협정에 따라 조지아에 무기를 이전했지만,[59] 1992년 9월 러시아 최고 회의는 조지아를 비난하고 압하지야를 지원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켜 조지아에 대한 무기 공급을 중단했다.[60][61] 하지만 일부 무기는 비합법적인 경로로 조지아에 유입되었고, 러시아 무기 시장은 양측의 주요 무기 공급원이었다.[62] 조지아 민병대는 러시아군 기지를 습격하여 무기를 획득하기도 했다.[63]
전쟁 발발 전, 다수의 러시아 보안 요원들이 "관광객"으로 위장하여 압하지야에 도착했고, 이들은 압하지야 사건 준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65] 압하지야 경비병들은 러시아 군부대로부터 무기를 공급받았고, 알렉산드르 루츠코이 부통령, 루슬란 하스불라토프 의장 등 모스크바의 주요 인사들이 압하지야를 지지했다.[64][65]
무력 충돌 발생 후, 압하지야 분리주의자들은 구다우타의 러시아군 기지에서 군사적, 재정적 지원을 받았으며,[52][84] 러시아군은 이들을 수용하고 훈련시켰다.[66] 1992년 10월, 압하지야 측의 가그라 공세를 러시아 지휘관들이 지원한 것으로 의심되며, 이는 조지아-러시아 관계를 악화시켰다. 러시아 공군은 압하지야 내 조지아인 거주 지역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고, 조지아는 러시아가 전쟁을 준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67]
1992년 12월, 트바르첼리에서 피난민을 태운 러시아 군용 헬리콥터 격추 사건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이는 러시아의 군사 개입을 더욱 촉진했다.[42][68][69] 러시아는 압하지야 측에 장갑차, 전차, 중포 등을 제공했고, 샤밀 바사예프가 이끄는 체첸 전투원들의 압하지야 진입을 묵인했다.[70] 술탄 소스날리예프 등 러시아 군 장교들이 압하지야 무장 부대의 주요 조직자로 활동했다.
1993년 러시아 전투 폭격기가 수후미를 폭격한 사건은 러시아의 지원을 명백하게 보여주는 사례였다.[71] 러시아 기자 드미트리 홀로도프는 수후미 포격의 참상과 러시아 자원병들의 참전을 보도했다.[72] 조지아 의회는 러시아가 조지아에 대해 "선전포고 없는 전쟁"을 벌였다고 비난하며,[73] 러시아군의 철수를 요구했다.[73] 또한 러시아가 조지아인에 대한 인종 청소 및 대량 학살을 조장했다고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74]
1993년 9월 수후미 전투에서 러시아는 공식적으로 공격을 비난하고 인권 침해 중단을 촉구했지만, 동시에 조지아 정부를 비난하기도 했다. 휴전을 감시해야 할 러시아군은 공격을 막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고, 압하지야 무기는 러시아군에 의해 압하지야 측에 반환되었다.[75] 아타만 니콜라이 푸스코는 자신의 부대가 수후미에 처음 진입했다고 주장했다.[76] ''타임''지는 러시아군 장교들이 압하지야 분리주의자들에게 무기와 정보를 제공했다고 보도했다.[78]
4. 1. 분쟁 초기 러시아의 중립 표방과 중재 노력
4. 2. 러시아 의회와 군부의 친압하지야 입장
4. 3. 러시아의 군사 지원
4. 4. 러시아의 인도적 지원
분쟁 초기(1992년 8월), 러시아는 흑해 함대와 러시아 공군을 동원하여 압하지야 휴양지에서 많은 사람들을 대피시켰다.[42] 전쟁이 진행되면서 러시아는 양측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전쟁 포로 교환에 관한 수많은 협정을 중재했다.[42] 전쟁 과정에서 러시아의 인도적 노력은 주로 러시아계 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조지아군에 의해 포위된 트콰르첼리시에 집중되었다.[42] 이 도시로 가는 산악 고속도로에 설치된 지뢰 때문에 러시아 헬리콥터가 유일하게 안전한 교통 수단이 되었다.[42] 그러나 러시아 해군은 분리주의 세력에 의해 가그라(1992년 10월)와 수후미(1993년 9월)가 함락된 후 수만 명의 조지아 민간인을 대피시켰다.[42]5. 인권 유린과 전쟁 범죄
양측 모두 잔혹 행위를 동반한 인권 유린을 자행했으며, 여기에는 약탈, 강탈, 불법 행위, 인질 억류 및 기타 인도주의 법 위반이 포함된다.[42] 특히, 압하지아 분리주의자들과 북 코카서스 테러리스트들은 에스닉 조지아인을 상대로 다양한 인권 침해를 저질렀다.[42] 유엔 난민 고등판무관의 캐서린 데일은 "이탈리아식 넥타이"라고 불리는 혀를 목에서 잘라 목에 묶는 행위, 십 대 딸을 강간하도록 강요받는 남성, 시체와 성관계를 가진 압하지아 군인들, 구다우타에서 어린 아이들을 죽인 다음 축구공으로 가지고 놀기 위해 머리를 자른 행위 등에 대한 증언을 수집했다.[79]
수후미를 점령한 후, 조지아군(므헤드리니 준군사 조직 포함)은 민족 기반의 약탈, 강탈, 폭행 및 살인을 저질렀다.[42] 압하지아 문화 유적이 파괴되고 대학 건물이 약탈당했으며 박물관 및 기타 문화재가 파손되었다. 압하지아 국립 기록 보관소는 조지아군에 의해 불태워졌고, 지역 소방관들은 불을 끄려고 시도하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다.[42][80][81] 수후미 출신의 압하지아 난민 가족은 술에 취한 조지아군이 아파트에 난입하여 "수후미는 조지아 땅이니 영원히 수후미를 떠나라"고 말하며 보석을 훔치고 남편을 폭행한 후 길거리로 내던졌다고 증언했다.[42]
가그라를 압하지아인이 정복하면서 에스닉 조지아인 429명이 사망했다.[52][42] 한 조지아 여성은 남편이 고문을 받고 산 채로 묻히는 것을 지켜본 것을 회상했다.[52] "자유 조지아" 신문은 체첸인과 기타 북 코카서스인들이 체포된 병사들과 민간인들을 지역 경기장에 몰아넣어 처형하고, 일부는 참수하여 머리를 축구하는 데 사용했다고 보도했으나, 이후 "경기장의 에피소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정정했다.[82]
압하지아인들이 수후미를 점령한 후, 도시에 남아 갇힌 조지아 민간인을 상대로 가장 큰 학살 중 하나가 자행되었다.[42] 1994년 미국 국무부 보고서는 압하지아 분리주의군이 조지아 민간인에게 광범위한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고 묘사했다.[83] 분리주의자들은 대다수의 조지아인에 대해 공포 통치를 시작했으며, 러시아 연방 출신의 체첸인과 기타 북 코카서스인들이 지역 압하지아군과 합류하여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는 보고도 있다.[83] 압하지아에서 탈출한 사람들은 민간인을 살해하는 것을 포함하여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잔혹 행위 주장을 했으며, 압하지아 점령지에서 회수된 시체는 광범위한 고문의 흔적을 보였다.[83] 한 여성은 압하지아 군인들이 자신의 아들을 눈앞에서 쏴 죽이고, 우물에 갇힌 사람들을 보여주며 고문한 뒤 자신을 시체 더미에 버리고 갔다고 증언했다.[84]
5. 1. 양측의 잔혹 행위와 인권 침해
5. 2. 조지아군의 수후미 점령 후 약탈과 파괴
5. 3. 압하지야군의 가그라 점령 후 조지아인 추방과 살해

압하지야 측은 군사적, 전략적, 정치적 목표 달성을 위해 강제 이주를 시행했으며, 이러한 행위는 민족 청소로 규정된다.[85] 가그라를 압하지야인이 점령하면서, 그 지역에 남아 있던 조지아인들은 강제로 추방되었고, 429명이 사망했다. 전쟁 결과 약 25만 명의 조지아인들이 압하지야에서 피난하거나 추방되었다.[85]
조지아인에 대한 민족 청소 및 학살은 1994년, 1996년, 그리고 부다페스트, 이스탄불, 리스본 정상 회담에서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협약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분쟁 중 저질러진 전쟁 범죄의 가해자"를 비난했다.[86] 2008년 5월 15일, UN 유엔 총회는 결의안 A/RES/62/249를 채택하여 압하지야에서 온 난민과 국내 실향민의 재산권을 보존하고, 회원국들에게 귀환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재산 취득을 막도록 촉구했다.[87]
5. 4. 수후미 학살
압하스 측은 군사적, 전략적, 정치적 목표 달성을 위해 조지아인을 강제 이주시켰으며, 이러한 행위는 민족 청소로 규정된다.[85] 이 전쟁으로 약 25만 명의 조지아인이 압하지야에서 추방되었다.[85] 1994년 9월, 압하스인과 아르메니아인 간의 민족 갈등이 보고되기도 했는데,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전쟁 중 압하스인을 지지했다.
조지아인에 대한 민족 청소와 학살은 1994년, 1996년, 그리고 부다페스트, 이스탄불, 리스본 정상 회담에서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협약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분쟁 중 저질러진 전쟁 범죄의 가해자"를 비난했다.[86] 2008년 5월 15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A/RES/62/249를 채택하여 압하지야에서 온 난민과 국내 실향민의 재산권을 보존하고, 회원국들이 귀환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재산 취득을 막도록 촉구했다.[87]
오참치레 구의 전 거주자였던 레일라 골레티아니는 압하스 분리주의자들에게 포로로 잡혀 억류되었던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그녀는 1993년 9월 16일 압하스인들이 마을을 공격했을 때 러시아 코사크인들에게 폭행당하고 압하스 학교에 감금되었다고 말했다. 그곳에는 조지아인 민간인들이 갇혀 있었고, 코사크 부대는 정기적으로 어린 소녀와 아이들을 대상으로 조직적인 강간을 자행했다. 8세 소녀가 여러 번 강간당한 사례도 있었으며, 노인 여성들도 강간 피해를 입었다.[88]
5. 5. 압하지야의 조지아인 민족 청소
압하스 측은 의도적이고, 결과적인 것이 아닌, 군사적, 전략적, 정치적 목표 그 자체로 수행된 강제 이주, 즉 민족 청소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85] 전쟁의 결과로 약 25만 명의 사람들(주로 조지아인)이 압하지야에서 도망치거나 쫓겨났다.[85] 1994년 9월에는 압하스인과 아르메니아인 사이의 민족적 충돌에 대한 여러 보고서가 있었는데, 아르메니아인의 상당수는 전쟁 동안 압하스인을 지지했다.조지아인에 대한 민족 청소와 학살은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부다페스트, 이스탄불, 리스본 정상 회담(1994년, 1996년) 협약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분쟁 중 저질러진 전쟁 범죄의 가해자"를 비난했다.[86] 2008년 5월 15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A/RES/62/249를 채택하여(찬성 14표, 반대 11표, 기권 105표), "보고된 '민족 청소'의 피해자를 포함하여, 압하지야, 조지아에서 온 난민과 국내 실향민의 재산권을 보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모든 회원국에 그들의 관할 하에 있는 사람들이 귀환자의 권리를 침해하여 압하지야, 조지아 영토 내에서 재산을 취득하는 것을 막도록 촉구한다."라고 밝혔다.[87]
오참치레 구의 전 거주자였던 레일라 골레티아니는 압하스 분리주의자들에게 포로로 잡혀 억류 상황을 설명했다. 그녀는 1993년 9월 16일 압하스인들이 마을을 공격했을 때 총알을 피해 숨을 곳이 없었다고 증언했다. 러시아 코사크인들은 그녀를 때리고 성관계를 강요했으며, AK-47 개머리판으로 폭행하고 "천천히 죽이겠다"고 위협했다. 그들은 그녀를 조지아 민간인 포로들을 가두고 있는 압하스 학교로 끌고 갔는데, 그곳에는 조지아인 여성, 어린이, 남성들이 있었다. 임신한 여성과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도 있었으며, 코사크 부대는 정기적으로 어린 소녀와 아이들을 조직적으로 강간했다. 8세 소녀가 여러 번 강간당한 사례도 있었으며, 노인 여성들도 끔찍한 방식으로 강간당했다.[88]
5. 6. 조지아 난민들의 탈출
1993년 수후미 함락 이후 수천 명의 조지아 난민들이 갈리, 오참치레, 수후미 지역에서 도망치기 시작했다.[52] 난민들의 비참한 상황은 코도리 계곡의 길에서 눈과 추위로 인해 치명적이 되었다. 조지아 당국은 남아있는 모든 민간인을 대피시킬 수 없었다(이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러시아 해군[1]과 우크라이나 공군[89]에 의해 수후미에서 대피했다).[52] 난민들은 갈리 지역을 우회하여 코도리 계곡을 통해 걸어서 이동하기 시작했는데, 이 지역은 진격하는 압하스 분리주의 세력에 의해 봉쇄되어 있었다. 코도리 계곡을 걸어서 건너는 것은 도망치는 국내 실향민들에게 또 다른 죽음의 덫이 되었다.[52] 생존하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추위와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스반족 산맥에 도착한 생존자들은 지역 범죄 조직의 공격을 받아 약탈당했다. 생존자 중 한 명은 그 여정을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83]그들은 모든 조지아인을 죽였다. 모든 길이 막혀 있었다.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산을 통하는 것이었다. 끔찍하고 소름 끼쳤으며, 아무도 그 끝이 어딘지, 가는 길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었다. 아이들, 여성, 노인들이 있었다. 모두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행진했다. 우리는 춥고 배고팠으며, 물도 없었다... 우리는 온종일 행진했다. 날이 저물 무렵 우리는 지쳐 더 이상 갈 수 없었다. 쉬는 것은 죽음을 의미했기에, 우리는 계속 행진했다. 내 옆에 있던 어떤 여자는 결국 해내지 못하고 죽어 쓰러졌다. 행진하면서 우리는 얼어 죽은 사람들을 보았는데, 그들은 잠시 쉬었다가 결국 죽음을 맞이한 듯했다. 길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았고, 우리는 언제 죽을지 몰랐다. 수후미에서부터 나와 함께 행진해 온 어린 소녀가 임신을 하고 있었다. 그녀는 산에서 아이를 낳았다. 아이는 끔찍한 행진 사흘 만에 죽었다. 그녀는 우리와 헤어졌고 우리는 다시는 그녀를 보지 못했다. 마침내 우리는 스반 마을에 도착했다. 여성과 아이들만 그들의 오두막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날 늦게 버스가 왔고, 우리는 주그디디로 이송되었다.[84]
미국 국무부의 외교 관계 및 국제 관계 위원회, 제104차 국회, 제1차 회기, 1994년 국가별 인권 관행 보고서, 815페이지(공동 위원회 인쇄 1995)에 따르면, 승리한 압하스 분리주의자들은 "조지아인 명단과 주소를 미리 준비하여 점령된 마을을 돌아다니며, 가옥을 약탈하고 불태우고, 지정된 민간인을 처형했다." 조지아인들이 특히 표적이 되었지만, 모든 비압하스인들이 고통을 겪었다.[90]
6. 전쟁의 결과와 영향
조지아는 실질적으로 압하지야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고, 압하지야는 사실상 독립된 영토로 자리 잡았다.[91] 러시아와 압하지야의 관계는 1990년대 후반에 개선되었고, 압하지야에 대한 경제 봉쇄가 해제되었다.[91] 또한 다른 국가들이 러시아 연방의 일부가 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률이 통과되었으며, 이는 일부 사람들에게 압하지야와 기타 구 소련의 미승인 국가에 대한 제안으로 해석되었다.[91]
조지아는 러시아군과 정보기관이 압하지야 전쟁에서 조지아의 패배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고 주장하며, 이 분쟁을 (조지아 내전, 조지아-오세티야 전쟁)과 함께 러시아가 탈소련 지역에서 영향력을 회복하려는 시도 중 하나로 간주했다.[92] 전쟁이 끝날 무렵, 러시아 외무장관 안드레이 코지레프는 UN 총회에서 "러시아는 특정 탈소련 공간에서 어떤 국제 기구나 국가 집단도 우리의 평화 유지 노력을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93]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S.N. 맥팔레인은 압하지야에 대한 러시아의 중재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94]
: "특히, 러시아 정책 입안자들이 구 소련 공간의 분쟁을 다루는 데 외부 행위자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있음이 분명하다. 최근에는 이는 국제기구의 분쟁 관리 활동으로 구체적으로 확대되었다. 1996년 5월, 영향력 있는 러시아 외교 정책 논평가 및 정책 입안자 그룹은 구 소련 영토에서 외부의 중재 및 평화 유지 활동을 보는 것은 러시아의 이익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 "러시아는 구 소련 공간에서 분명한 패권적 열망을 가지고 있다. 미디어와 의회에서 새로 독립한 국가에 대한 러시아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표명되고 있지만, 외교 정책 영향력자들 사이에서는 해당 지역에서 적극적인 존재와 영향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지배적인 합의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2006년 8월 28일, 당시 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를 방문한 리처드 루가 상원의원은 러시아 평화 유지 임무에 대한 조지아 정치인들의 비판에 동참하여 "미국 행정부는 압하지야 및 츠힌발리 지역 분쟁 지역에서 러시아 평화 유지군 철수를 요구하는 조지아 정부의 주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96]
6. 1. 압하지야의 사실상 독립
조지아는 실질적으로 압하지야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고, 압하지야는 사실상 독립된 영토로 자리 잡았다.[91] 러시아와 압하지야의 관계는 1990년대 후반에 개선되었고, 압하지야에 대한 경제 봉쇄가 해제되었다.[91] 또한 다른 국가들이 러시아 연방의 일부가 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률이 통과되었으며, 이는 일부 사람들에게 압하지야와 기타 구 소련의 미승인 국가에 대한 제안으로 해석되었다.[91]thumb
조지아는 러시아군과 정보기관이 압하지야 전쟁에서 조지아의 패배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고 주장하며, 이 분쟁을 (조지아 내전, 조지아-오세티야 전쟁)과 함께 러시아가 탈소련 지역에서 영향력을 회복하려는 시도 중 하나로 간주했다.[92] 전쟁이 끝날 무렵, 러시아 외무장관 안드레이 코지레프는 UN 총회에서 "러시아는 특정 탈소련 공간에서 어떤 국제 기구나 국가 집단도 우리의 평화 유지 노력을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93]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S.N. 맥팔레인은 압하지야에 대한 러시아의 중재 문제에 대해 러시아 정책 입안자들이 구 소련 공간의 분쟁을 다루는 데 외부 행위자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1996년 5월, 영향력 있는 러시아 외교 정책 논평가 및 정책 입안자 그룹은 구 소련 영토에서 외부의 중재 및 평화 유지 활동을 보는 것은 러시아의 이익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언급했다.[94] 그는 러시아가 구 소련 공간에서 분명한 패권적 열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외교 정책 영향력자들 사이에서 해당 지역에서 적극적인 존재와 영향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지배적인 합의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94]
2006년 8월 28일, 당시 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를 방문한 리처드 루가 상원의원은 러시아 평화 유지 임무에 대한 조지아 정치인들의 비판에 동참하여 "미국 행정부는 압하지야 및 츠힌발리 지역 분쟁 지역에서 러시아 평화 유지군 철수를 요구하는 조지아 정부의 주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96]
6. 2. 러시아와 압하지야 관계 강화
6. 3. 조지아의 입장과 러시아에 대한 비판
7. 분쟁 중재 노력
전쟁 중 평화 중재는 처음에는 러시아가, 다음으로는 UN이 담당했다. 1993년부터 UN, 러시아, 그리고 당시 조지아의 친구 그룹(러시아, 미국, 프랑스, 독일 및 영국)으로부터 평화 해결에 대한 압력이 거세졌다. 1993년 12월, UN의 후원과 러시아의 중재 하에 조지아 및 압하지야 지도자들이 공식적인 휴전에 서명했다. 회담 장소는 제네바에서 뉴욕을 거쳐 최종적으로 모스크바로 옮겨졌다. 1994년 4월 4일, "조지아-압하지야 분쟁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조치에 관한 선언"이 모스크바에서 서명되었다.
전통적인 UN 평화 유지군의 배치 대신, 주로 러시아군으로 구성된 CIS 평화 유지군의 배치가 1994년 5월 14일 모스크바에서 합의되었다. 1994년 6월, 러시아 군인만으로 구성된 CIS 평화 유지군이 압하지야와 조지아 잔여 지역 간의 행정 경계선을 따라 배치되었다. UN 임무(UNOMIG)도 도착했다. 그러나 이들은 다음 해에 조지아인에 대한 추가적인 잔혹 행위를 막을 수 없었다(전후 기간 동안 조지아 정부에 의해 약 1,500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다). 1994년 9월 14일, 압하지야 지도자들은 현지 TV에 출연하여 모든 조지아계 주민들이 9월 27일(수후미 점령 기념일)까지 해당 지역을 떠날 것을 요구했다.
1994년 11월 30일, 압하지야는 분리주의 지역의 독립을 선언하는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다. 그러나 어떤 외국 정부도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94년 12월 15일, 미 국무부는 압하지야의 독립 선언을 비난했다. 1995년 3월 21일,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은 압하지야 민병대가 갈리 구에서 수십 명의 귀환하는 조지아계 난민을 고문하고 살해했다고 비난했다.
7. 1. 러시아와 UN의 중재
전쟁 중 평화 중재는 처음에는 러시아가, 다음으로는 UN이 담당했다. 1993년부터 UN, 러시아, 그리고 당시 조지아의 친구 그룹(러시아, 미국, 프랑스, 독일 및 영국)으로부터 평화 해결에 대한 압력이 거세졌다. 1993년 12월, UN의 후원과 러시아의 중재 하에 조지아 및 압하지야 지도자들이 공식적인 휴전에 서명했다. 회담 장소는 제네바에서 뉴욕을 거쳐 최종적으로 모스크바로 옮겨졌다. 1994년 4월 4일, "조지아-압하지야 분쟁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조치에 관한 선언"이 모스크바에서 서명되었다.전통적인 UN 평화 유지군의 배치 대신, 주로 러시아군으로 구성된 CIS 평화 유지군의 배치가 1994년 5월 14일 모스크바에서 합의되었다. 1994년 6월, 러시아 군인만으로 구성된 CIS 평화 유지군이 압하지야와 조지아 잔여 지역 간의 행정 경계선을 따라 배치되었다. UN 임무(UNOMIG)도 도착했다. 그러나 이들은 다음 해에 조지아인에 대한 추가적인 잔혹 행위를 막을 수 없었다. 1994년 9월 14일, 압하지야 지도자들은 현지 TV에 출연하여 모든 조지아계 주민들이 9월 27일(수후미 점령 기념일)까지 해당 지역을 떠날 것을 요구했다.
1994년 11월 30일, 압하지야는 분리주의 지역의 독립을 선언하는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다. 그러나 어떤 외국 정부도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94년 12월 15일, 미 국무부는 압하지야의 독립 선언을 비난했다. 1995년 3월 21일,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은 압하지야 민병대가 갈리 구에서 수십 명의 귀환하는 조지아계 난민을 고문하고 살해했다고 비난했다.
7. 2. UN의 개입
조지아 주재 유엔 옵저버 미션(UNOMIG)은 1993년에 휴전을 감시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후에는 독립 국가 연합(CIS) 평화 유지군의 작전을 감시하도록 확대되었다.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및 기타 국제 기구 또한 상황 감시에 참여하고 있다. 항구적인 평화 협정을 위한 협상은 거의 진전이 없었지만, 조지아 정부와 압하스 정부는 군사력 규모를 제한하고 UNOMIG의 권한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8. 사용된 무기
분쟁 양측은 주로 소련제 무기를 사용했지만, 조지아군은 전쟁 초기에 더 많은 중화기를 보유했다. 반면 압하지야군은 러시아로부터 많은 첨단 무기를 획득하여 전쟁 말기에 무기에서 결정적인 우위를 점했으며, 많은 SAM 및 MANPAT 시스템을 사용했다.[97][98][99] 조지아군은 외국 지원 부족과 해외 무기 획득의 어려움으로 인해 압하지야 군대에 필요한 무기와 장비를 공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97][98][99]
| 유형 | 조지아군 | 압하즈 & 북캅카스군 |
|---|---|---|
| 장갑차 | T-55, T-55AM2 | T-54/T-55, T-72M, T-72B |
| APC/IFV | BTR-152, BTR-60, BTR-70, BTR-80, BRDM-2, MT-LB, BMP-1, BMP-2 | BTR-70, BTR-80, BMP-1, BMP-2, BMP-2D, BTR-D, BMD-1, BMD-2, BRDM-2 |
| 야포 | D-30 (2A18) 곡사포, 152 mm towed gun-howitzer M1955 (D-20), 2S1 Gvozdika, 2S3 Akatsiya, BM-21, BM-27 | D-30 (2A18) 곡사포, 152 mm howitzer 2A65, 152 mm gun 2A36, 2S1 Gvozdika, 2S3 Akatsiya, 2S19 Msta, 2S9 Nona, BM-21, BM-27 |
| 항공기 | 수호이 Su-25, 수호이 Su-25UB, 야코블레프 Yak-52, An-2 | 미코얀 MiG-29, 수호이 Su-27, 수호이 Su-25, 수호이 Su-22M3, Aero L-39 Albatros, 야코블레프 Yak-52 |
| 헬리콥터 | 밀 Mi-24, 밀 Mi-8, 밀 Mi-2 | 밀 Mi-24, 밀 Mi-8, 밀 Mi-17, 밀 Mi-26, 밀 Mi-6 |
| AAW | SA-3 Goa, SA-2 Guideline, ZU-23-2, AZP S-60, 9K32 Strela-2, 9K34 Strela-3 | SA-3 Goa, 9K35 Strela-10, Buk missile system, 2K22 Tunguska, ZSU-23-4, ZU-23-2, AZP S-60, 9K32 Strela-2, 9K34 Strela-3, 9K38 Igla |
| 대전차 무기 | RPG-7, RPG-18, RPG-22, SPG-9, 9M14 Malyutka | RPG-7, RPG-16, RPG-18, RPG-22, RPG-26, SPG-9, 9K111 Fagot, 9M113 Konkurs, 9K115 Metis |
| 보병 무기 | 모신-나강, AK-47, AKM, AK-74, PM md. 63, PA md. 86, Norinco CQ, RPK, RPK-74, DP-28, PK 기관총, SVD, PPSh-41, MP-40, TT-33, 마카로프 PM, 스테츠킨 APS, 나강 M1895, F1 수류탄, RGD-5 수류탄, RPG-43 대전차 수류탄, RKG-3 대전차 수류탄, DShK, NSV 기관총 | SKS, AK-47, AKM, AK-74, AK-74M, RPK, RPK-74, RPD 기관총, PK 기관총, SVD, PPSh-41, TT-33, 마카로프 PM, 스테츠킨 APS, PSM 권총, F1 수류탄, RGD-5 수류탄, RGN 수류탄, RKG-3 대전차 수류탄, DShK, NSV 기관총 |
참조
[1]
간행물
JPRS Report; Central Eurasia; Military Affairs
https://apps.dtic.mi[...]
1992-10-21
[2]
뉴스
Rebels take control of Abkhazia
https://www.deseret.[...]
1993-10-01
[3]
뉴스
Georgians, Separatists Sign Ceasefire, Peace Accord
https://greensboro.c[...]
1993-12-01
[4]
뉴스
Radical Ukrainian Nationalism and the War in Chechnya
https://jamestown.or[...]
2020-08-10
[5]
웹사이트
Volunteer-movement and the Circassian factor during the Patriotic War of the people of Abkhazia in 1992-1993 – histor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https://abkhazia.co.[...]
2022-08-13
[6]
서적
The Birth of the Georgian State; Giving Georgia a Second Chance
https://www.vertic.o[...]
Vertic
1994-10
[7]
간행물
THE 1992-93 GEORGIA-ABKHAZIA WAR; A FORGOTTEN CONFLICT
https://dnb.info/993[...]
2008
[8]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State Country Report on Human Rights Practices 1993 - Georgia
https://www.refworld[...]
1994-01-30
[9]
웹사이트
Abkhazia Status Quo Challenged
https://civil.ge/arc[...]
2006-07-29
[10]
문서
Jane's Sentinel Security Assessment: Russia and the CIS: Georgia
Jane's Information Group
1999-07-16
[11]
문서
Arms Control, Conflict and Peace Settlements: The Caucasus
Geneva Center for Security Police Occasional Paper
2000
[12]
웹사이트
Abkhazia Armenians: Holding a home in an unstable territory
https://web.archive.[...]
AGBU
2004-11-01
[13]
웹사이트
АРМЯНСКИЙ АКЦЕНТ ГРУЗИНО-АБХАЗСКОГО КОНФЛИКТА
http://abkhazia.naro[...]
Abkhazia.narod.ru
2016-12-16
[14]
서적
Foreign Interventions in Ethnic Conflicts
Ashgate Publishing
2009
[15]
서적
Abkhazia: 1992-2022 Georgian-Abkhazian Conflict & War
Amazon Digital Services LLC
2009
[16]
간행물
Transnistrian Volunteers in the Conflict of Abkhazia
http://www.spekali.t[...]
2022-04-01
[17]
서적
The Georgian-Abkhazian conflict in a regional context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1996
[18]
간행물
Non-NATO Europe
https://www.tandfonl[...]
2009-01-22
[19]
간행물
Georgia (Abkhazia) 1992-1993
https://www.prif.org[...]
2015-10-15
[20]
웹사이트
Georgia2
https://www.hrw.org/[...]
2018-04-01
[21]
웹사이트
Recommendation 1305 (1996) on the humanitarian situation of the displaced persons in Georgia
http://assembly.coe.[...]
2014-04-02
[22]
서적
The guns of August 2008 : Russia', war in Georgia
M.E. Sharpe
2009
[23]
웹사이트
Durable Solutions for the Long-Term Displaced
http://drc.dk/relief[...]
2014-04-02
[24]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 PRESS RELEASES – Press release – European Union promotes Justice Reform and support to Internally Displaced People in Georgia
http://europa.eu/rap[...]
Europa.eu
2016-02-24
[25]
서적
'The Myth of "ethnic conflict"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al" violence'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1998
[26]
문서
The North Caucasus: Minorities at a Crossroads
1994-12
[27]
뉴스
Abkhazia Today.
http://www.crisisgro[...]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6-09-15
[28]
웹인용
ABKHAZIA ARMENIANS: HOLDING A HOME IN AN UNSTABLE TERRITORY
http://www.agbu.org/[...]
2004-11-01
[29]
문서
The Security of the Caspian Sea Region
[30]
웹사이트
RUSSIA VS GEORGIA: THE FALLOUT
http://www.crisisgro[...]
2012-10-17
[31]
웹사이트
Rusiant-Georgian War 1992–93
http://www.conflicts[...]
2018-04-01
[32]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Adopts Resolution Recognizing Right of Return By Refugees, Internally Displaced Persons To Abkhazia, Georgia
https://www.un.org/N[...]
2018-04-01
[33]
웹사이트
S/26795 - E
https://www.un.org/D[...]
2018-04-01
[34]
웹사이트
Абхазия провозгласил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победой
http://kommersant.ru[...]
2008-10-01
[35]
서적
Modern Hatreds: The Symbolic Politics of Ethnic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36]
웹사이트
Правда о трагедии Абхазии
http://abkhazeti.inf[...]
2018-04-01
[37]
서적
Modern Hatreds: The Symbolic Politics of Ethnic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38]
간행물
Conflict in the Caucasus: Georgia, Abkhazia and the Russian Shadow
http://abkhazeti.inf[...]
[39]
문서
Abxazija: Xronika neobjavlennoj vojny. Chast' I. 14 avgusta – 14 sentiabria 1992 goda
Moskva
1992
[40]
서적
Абхазия – 1992: пост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Вандея
Москва
1993
[41]
서적
War and Peace in the Caucasus
Hust and Company
2008
[42]
간행물
GEORGIA/ABKHAZIA: VIOLATIONS OF THE LAWS OF WAR AND RUSSIA'S ROLE IN THE CONFLICT
https://www.hrw.org/[...]
1995-03
[43]
문서
UN observers report DL47596
New York
1993-12
[44]
웹사이트
Heros of Tamish
http://www.for.ge/vi[...]
Kviris Palitra Media
2016-07-02
[45]
웹사이트
ტამიში, 1993 წ. 2 ივლისი – დიდება გმირებს!
http://kar.ge/ტამიში[...]
2015-07-02
[46]
문서
The Conflict in Abkhazia: Dilemmas in Russian 'Peacekeeping' Policy
[47]
서적
Conflict in the Caucasus: Georgia, Abkhazia and the Russian Shadow
Gothic Image Publications
1994
[48]
뉴스
The anniversary of Operation Golden Fleece to evacuate diaspora Greeks from war in Abkhazia
http://www.ekathimer[...]
Kathimerini
[49]
웹사이트
Kalev Vilgats: Abhaasia eestlaste saatus Eestis – Artiklid
http://www.parnupost[...]
parnupostimees.ee
2010-04-02
[50]
웹사이트
Abhaasia eestlaste olukord parem kui võis oodata
http://ida.aule.ee/a[...]
2023-11-12
[51]
문서
Georgia Diary: A Chronicle of War and Political Chaos in the Post-Soviet Caucasus
[52]
서적
Conflict in the Caucasus: Georgia, Abkhazia and the Russian Shadow
Gothic Image Publications
1994
[53]
문서
Georgia Diary: A Chronicle of War and Political Chaos in the Post-Soviet Caucasus
[54]
웹사이트
Авиация в абхазском конфликте
http://www.airwar.ru[...]
[55]
뉴스
GEORGIAN LEADER CHARGES ATROCITY
https://www.nytimes.[...]
2018-04-01
[56]
서적
Russian involvement in the Abkhaz-Georgian conflict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06
[57]
서적
Russian involvement in the Abkhaz-Georgian conflict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06
[58]
서적
Russian involvement in the Abkhaz-Georgian conflict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06
[59]
뉴스
ITAR-TASS World Service
1994-09-22
[60]
서적
Condemned to repetition?: the rise, fall, and reprise of Soviet-Russian military interventionism, 1973-1996
MIT Press
1999
[61]
웹사이트
Chronology for Abkhazians in Georgia
https://www.refworld[...]
Minorities at Risk Project
2018-04-01
[62]
간행물
VIOLATIONS OF THE LAWS OF WAR AND RUSSIA'S ROLE IN THE CONFLICT
https://www.hrw.org/[...]
[63]
문서
Small Arms World Report
1993-08
[64]
서적
Small Nations and Great Powers: A Study of Ethnopolitical Conflict in the Caucasus
Routledge
2001
[65]
서적
Russo-Chechen Conflict, 1800–2000: A Deadly Embrace
Routledge
2001
[66]
서적
Conflict in the Caucasus: Georgia, Abkhazia and the Russian Shadow
Gothic Image Publications
1994
[67]
웹사이트
Georgia and Abkhazia, 1992–1993: the War of Datchas
http://www.acig.org/[...]
2003-09-29
[68]
뉴스
RFE/RL News Briefs
Moscow Radio Rossii
1992-12-10
[69]
간행물
The Dynamics and Challenges of Ethnic Cleansing: The Georgia-Abkhazia Case
http://www.unhcr.org[...]
[70]
서적
The Wolves of Islam: Russia and the Faces of Chechen Terror
Brassey's
2004
[71]
웹사이트
Moscow Defense Brief
https://web.archive.[...]
2018-04-01
[72]
뉴스
Moscow journalist covering the Conflict
Nezavisimaya Gazeta
1993-09
[73]
간행물
Decree issued by the Parliament of Georgia on the Presence of Russian Military Units on the Territory of Abkhazia
1993-02-25
[74]
간행물
Decree issued by the Parliament of Georgia on withdrawal of Russian Military Units from the Conflict Zone in Abkhazia
1993-04-27
[75]
서적
2001
[76]
웹사이트
IS. Abkhazia, Кубанские казаки берут Сухуми 11 February 2004
http://www.abkhaziai[...]
2007-04-25
[77]
서적
Казачье движение в России и странах ближнего Зарубежья (1988–1994)
Panorama
[78]
뉴스
Siege of Sukhumi
https://web.archive.[...]
Time
1993-10-04
[79]
간행물
The Dynamics and Challenges of Ethnic Cleansing: The Georgia-Abkhazia Case
Oxford Press, Refugee Survey Quarterly
1997-08-01
[80]
웹사이트
Abkhazia: Cultural Tragedy Revisited
http://www.iwpr.net/[...]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81]
웹사이트
Abkhazia's archive: fire of war, ashes of history
http://www.opendemoc[...]
OpenDemocracy
[82]
웹사이트
Четверть века назад: Гагрская битва
https://www.ekhokavk[...]
2017-10-06
[83]
간행물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1993
U.S. State Department
1994-02
[84]
서적
White Book of Abkhazia. 1992–1993 Documents, Materials, Evidences
1993
[85]
논문
Internal displacement and the conflict in Abkhazia: International responses and their protective effect
https://www.jstor.or[...]
1996
[86]
간행물
Resolution of the OSCE Budapest Summit
http://www.osce.or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94-12-06
[87]
웹사이트
UN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g[...]
2018-04-01
[88]
Youtube
Russian Lessons
https://www.youtube.[...]
[89]
뉴스
Украина отправила вертолеты на Кавказ
https://gazeta.ua/ru[...]
Gazeta.ua
2020-10-08
[90]
간행물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1994
http://www.asylumlaw[...]
United States State Department Commission on Foreign Relation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1995
[91]
웹사이트
Georgia and Abkhazia, 1992–1993: the War of Datchas
http://www.acig.org/[...]
2003-09-29
[92]
웹사이트
The Conflict in Abkhazia: A Georgian Perspective
http://www.ndu.edu/i[...]
[93]
뉴스
In Russia's Shadow
https://web.archive.[...]
Time
1993-10-11
[94]
논문
On the front lines in the near abroad: the CIS and the OSCE in Georgia' s civil wars
1997
[95]
웹사이트
Georgiophobia, Or the Model of Double Standards
http://se1.isn.ch/se[...]
Izvestia daily
2004-09-22
[96]
웹사이트
U.S. Senator Urges Russian Peacekeepers’ Withdrawal From Georgian Breakaway Republics.
https://archive.toda[...]
[97]
웹사이트
Georgia and Abkhazia, 1992-1993: the War of Datchas
http://www.acig.org/[...]
ACIG.org
2013-02-18
[98]
뉴스
Siege of Sukhumi.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93-10-04
[99]
웹사이트
Moscow Defense Brief
https://web.archive.[...]
2015-04-01
[100]
문서
https://www.hrw.org/[...]
[101]
뉴스
Moscow journalist covering the Conflict
Nezavisimaya Gazeta
1993-09
[102]
서적
Conflict in the Caucasus: Georgia, Abkhazia and the Russian Shadow
Gothic Image Publications
1994
[103]
서적
White Book of Abkhazia. 1992–1993 Documents, Materials, Evidence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