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08년 하계 올림픽 본선 출전 자격을 놓고 치러졌으며, 최종 예선에서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은 1차, 2차, 최종 예선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최국인 중국을 제외한 33개 팀이 참가했다. 1차 예선에서는 20개 팀이, 2차 예선에서는 24개 팀이 경쟁했고, 최종 예선에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일본이 본선에 진출했다. 여자부 예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본선 진출을 위해 14개 팀이 참가하여,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최종 예선에 시드를 배정받았고, A조에서는 일본, B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35개 팀이 참가하여 2011년 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1차, 2차, 최종 예선,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 예선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은 올림픽에 참가할 아시아 국가대표팀을 선발하는 예선전으로, 1차 예선을 통과한 6개 팀이 최종 예선 풀 리그를 거쳐 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07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
2007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는 남미 축구 연맹 소속 10개국 U-20 대표팀이 참가하여 2007년 FIFA U-20 월드컵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출전권을 놓고 경쟁한 대회로, 파라과이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아홉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가 FIFA U-20 월드컵 진출권을,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베이징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06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6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어 아르헨티나가 우승, 브라질이 준우승을 차지하며, 두 팀 모두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고, 아르헨티나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출전 자격도 얻었다. - 2007년 축구 - 2007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 공동 개최, 새로운 시드 배정 방식과 디펜딩 챔피언 자동 출전권 폐지 등의 변화, 이라크의 우승과 유니스 마무드의 최우수 선수 선정, 그리고 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의 승리라는 의미를 지닌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7년 축구 -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회원국 클럽들이 참가한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뉴질랜드의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가 피지의 바 FC를 꺾고 우승했으며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의 코민스 메나피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개최 기간 | 2007년 2월 7일 – 2007년 11월 21일 |
참가 팀 수 | 24 |
참가 연맹 수 | 1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2 |
2. 남자부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 팀의 시드는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성적,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상위 14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며 하위 20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치른다.
'''2차 예선에 직행하는 14개 팀'''
- 바레인/Baḥrainar
- 이란/Īrānfa
- 이라크/ʿIrāqar
- 일본/Nippon일본어
- 쿠웨이트/Kuwaytar
- 레바논/Lubnānar
- 말레이시아/Malaysiams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한국어
- 오만/ʿUmānar
- 카타르/Qaṭarar
- 사우디아라비아/al-ʿArabiyya as-Saʿūdiyyaar
- 대한민국/Daehanminguk한국어
- 시리아/Sūriyyaar
- 아랍에미리트/al-Imārāt al-‘Arabīyah al-Muttaḥidahar
'''1차 예선부터 참가하는 20개 팀'''
- 아프가니스탄/Afġānistānps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방글라데시/Bāṃlādeśbn
- 중화 타이베이/Táiwān중국어
- 홍콩/Xiānggǎng중국어
- 인도/Bhārathi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요르단/al-ʾUrdunnar
- 키르기스스탄/Kyrgyzstanky
- 몰디브/Divehi Rājje디베히어
- 미얀마/Mranmamy
- 파키스탄/Pākistānur
- 팔레스타인/Filasṭīnar
- 싱가포르/Singapore영어
- 타지키스탄/Tojikistantg
- 태국/Prathet Thaith
- 투르크메니스탄/Türkmenistantk
- 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
- 베트남/Việt Namvi
- 예멘/al-Yamanar
2. 1. 예선 형식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3장의 티켓이 배정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1차 예선에서는 상위 14개 시드 팀이 2차 예선으로 부전승 진출하고, 나머지 20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0개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에서는 24개 팀이 4팀씩 6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와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에서는 12개 팀이 4팀씩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2. 2. 1차 예선
1차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편입된 후 처음으로 올림픽 예선에 참가했기 때문에 1차 예선부터 출전하게 되었다.1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06년 9월 16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1] 1차전은 2007년 2월 7일에, 2차전은 2월 14일에 열렸다. 승리 팀은 2차 예선으로 진출했다.
제1경기 홈 팀 | 총 득점 | 제2경기 홈 팀 | 제1경기 결과 | 제2경기 결과 |
---|---|---|---|---|
요르단 | 부전승 | 키르기스스탄 | (기권) | |
미얀마 | 2-2 (PK 1-4) | 인도 | 1-1 양곤 | 1-1 콜카타 |
투르크메니스탄 | 1-6 | 태국 | 0-1 아시가바트 | 1-5 방콕 |
아프가니스탄 | 0-2 | 베트남 | - | 0-2(*1) 남딘 |
우즈베키스탄 | 6-1 | 타지키스탄 | 4-1 타슈켄트 | 2-0 두샨베 |
싱가포르 | 3-5 | 파키스탄 | 1-2 싱가포르 | 2-3 라호르 |
방글라데시 | 1-3 | 홍콩 | 0-3 다카 | 1-0 홍콩 |
예멘 | 3-2 | 팔레스타인 | 2-1 사나 | 1-1 아부다비(*2) |
인도네시아 | 1-0 | 몰디브 | 1-0 자카르타 | 0-0 말레 |
오스트레일리아 | 12-0 | 중화 타이베이 | 11-0 애들레이드 | 1-0 타이베이 |
키르기스스탄이 기권함에 따라 '''요르단'''이 부전승으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베트남과 아프가니스탄의 1차 예선 1차전 경기는 원래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아프가니스탄 대표팀이 재정 문제와 안전 문제로 인해 취소되었다. 국제 축구 연맹(FIFA)은 해당 경기를 2007년 2월 14일에 베트남 남딘에서 단판 승부 형식으로 열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