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08년 하계 올림픽 본선 출전 자격을 놓고 치러졌으며, 최종 예선에서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은 1차, 2차, 최종 예선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최국인 중국을 제외한 33개 팀이 참가했다. 1차 예선에서는 20개 팀이, 2차 예선에서는 24개 팀이 경쟁했고, 최종 예선에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일본이 본선에 진출했다. 여자부 예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본선 진출을 위해 14개 팀이 참가하여,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최종 예선에 시드를 배정받았고, A조에서는 일본, B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35개 팀이 참가하여 2011년 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1차, 2차, 최종 예선,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 예선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은 올림픽에 참가할 아시아 국가대표팀을 선발하는 예선전으로, 1차 예선을 통과한 6개 팀이 최종 예선 풀 리그를 거쳐 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07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
    2007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는 남미 축구 연맹 소속 10개국 U-20 대표팀이 참가하여 2007년 FIFA U-20 월드컵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출전권을 놓고 경쟁한 대회로, 파라과이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아홉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가 FIFA U-20 월드컵 진출권을,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베이징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06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6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어 아르헨티나가 우승, 브라질이 준우승을 차지하며, 두 팀 모두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고, 아르헨티나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출전 자격도 얻었다.
  • 2007년 축구 - 2007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 공동 개최, 새로운 시드 배정 방식과 디펜딩 챔피언 자동 출전권 폐지 등의 변화, 이라크의 우승과 유니스 마무드의 최우수 선수 선정, 그리고 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의 승리라는 의미를 지닌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7년 축구 -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회원국 클럽들이 참가한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뉴질랜드의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가 피지의 바 FC를 꺾고 우승했으며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의 코민스 메나피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개최 기간2007년 2월 7일 – 2007년 11월 21일
참가 팀 수24
참가 연맹 수1
이전 대회2004
다음 대회2012

2. 남자부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 팀의 시드는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성적,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상위 14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며 하위 20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치른다.

'''2차 예선에 직행하는 14개 팀'''


  • 바레인/Baḥrainar
  • 이란/Īrānfa
  • 이라크/ʿIrāqar
  • 일본/Nippon일본어
  • 쿠웨이트/Kuwaytar
  • 레바논/Lubnānar
  • 말레이시아/Malaysiams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한국어
  • 오만/ʿUmānar
  • 카타르/Qaṭarar
  • 사우디아라비아/al-ʿArabiyya as-Saʿūdiyyaar
  • 대한민국/Daehanminguk한국어
  • 시리아/Sūriyyaar
  • 아랍에미리트/al-Imārāt al-‘Arabīyah al-Muttaḥidahar


'''1차 예선부터 참가하는 20개 팀'''

  • 아프가니스탄/Afġānistānps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방글라데시/Bāṃlādeśbn
  • 중화 타이베이/Táiwān중국어
  • 홍콩/Xiānggǎng중국어
  • 인도/Bhārathi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요르단/al-ʾUrdunnar
  • 키르기스스탄/Kyrgyzstanky
  • 몰디브/Divehi Rājje디베히어
  • 미얀마/Mranmamy
  • 파키스탄/Pākistānur
  • 팔레스타인/Filasṭīnar
  • 싱가포르/Singapore영어
  • 타지키스탄/Tojikistantg
  • 태국/Prathet Thaith
  • 투르크메니스탄/Türkmenistantk
  • 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
  • 베트남/Việt Namvi
  • 예멘/al-Yamanar

2. 1. 예선 형식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3장의 티켓이 배정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1차 예선에서는 상위 14개 시드 팀이 2차 예선으로 부전승 진출하고, 나머지 20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0개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에서는 24개 팀이 4팀씩 6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와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에서는 12개 팀이 4팀씩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2. 2. 1차 예선

1차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편입된 후 처음으로 올림픽 예선에 참가했기 때문에 1차 예선부터 출전하게 되었다.

1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06년 9월 16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1] 1차전은 2007년 2월 7일에, 2차전은 2월 14일에 열렸다. 승리 팀은 2차 예선으로 진출했다.


  • (*1) 베트남에서 1차전만 실시되었다.
  • (*2) 팔레스타인의 홈 경기는 국외(아랍에미리트)에서 실시되었다.


키르기스스탄이 기권함에 따라 '''요르단'''이 부전승으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베트남과 아프가니스탄의 1차 예선 1차전 경기는 원래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아프가니스탄 대표팀이 재정 문제와 안전 문제로 인해 취소되었다. 국제 축구 연맹(FIFA)은 해당 경기를 2007년 2월 14일에 베트남 남딘에서 단판 승부 형식으로 열기로 결정했다.

2. 2. 1. 경기 결과

(2–5승부차기)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영어0–2베트남/Việt Namvi10–2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12–0타이완/Táiwān중국어11–01–0방글라데시/Bangladesh영어1–3홍콩/Xiānggǎng중국어0–31–0싱가포르/Singapore영어3–5파키스탄/Pakistan영어1–22–3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6–1타지키스탄/Tojikistantg4–12–0팔레스타인/Filasṭīnar2–3예멘/al-Yamanar1–21–1태국/Prathet Thaith6–1투르크메니스탄/Türkmenistantk1–05–1인도네시아/Indonesiaid1–0몰디브/Maldive디베히어1–00–0요르단/al-ʾUrdunnar—키르기스스탄/Kyrgyzstanky2——



:1 하노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베트남과 아프가니스탄의 1차전은 아프가니스탄 팀이 베트남으로 이동할 자금 부족과 안전 문제로 인해 취소되었다. FIFA는 단일 경기를 2007년 2월 14일로 재조정했다.

:2 기권

2. 2. 2. 특이 사항

내용 없음.

2. 3. 2차 예선

경기는 2007년 2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당 두 경기씩 치러 상위 두 팀이 최종 예선으로 올라가게 된다.

=== 시드 배정 ===

2차 예선 조 추첨은 2006년 9월 16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 2차 예선에 진출한 팀들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1]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대한민국
일본
이라크
이란
바레인
오만
쿠웨이트
레바논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카타르
시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요르단*
파키스탄*
예멘*



(*) 추첨 당시에는 2차 예선 진출 팀이 결정되지 않았다.

=== 조 편성 ===

2차 예선은 2007년 2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각 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각 조 1, 2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특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F조에서 1위를 차지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경기 결과 ===

2007년 2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바레인1264021711+6
카타르116321187+11
쿠웨이트116321145+9
파키스탄06006127-26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186600172+15
시리아10631297+2
말레이시아4611449-5
홍콩36105214-12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베트남12640285+3
레바논12540164+2
오만6520376+1
인도네시아36105511-6


경기 결과


: 오만과 레바논의 경기는 사이클론 고누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아라비아126501116+5
오스트레일리아116321114+7
이란6612367-1
요르단26024213-11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이라크12633094+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632174+3
태국5612336-3
인도46114510-5


경기 결과


: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홈 경기를 요르단에서 치렀다.
: 태국은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 - 3 몰수패(원래는 태국의 1 - 0 승리)를 당했다.
: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홈 경기를 요르단에서 치렀다.
: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홈 경기를 요르단에서 치렀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156501103+7
우즈베키스탄12640284+4
아랍에미리트66204711-4
예멘3610529-7


경기 결과



=== 특이 사항 ===

내용 없음.

2. 3. 1. 시드 배정

2차 예선 조 추첨은 2006년 9월 16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 2차 예선에 진출한 팀들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1]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대한민국
일본
이라크
이란
바레인
오만
쿠웨이트
레바논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카타르
시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요르단*
파키스탄*
예멘*



(*) 추첨 당시에는 2차 예선 진출 팀이 결정되지 않았다.

2. 3. 2. 조 편성

2차 예선은 2007년 2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각 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각 조 1, 2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특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F조에서 1위를 차지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2. 3. 3. 경기 결과

2007년 2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바레인1264021711+6
카타르116321187+11
쿠웨이트116321145+9
파키스탄06006127-26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186600172+15
시리아10631297+2
말레이시아4611449-5
홍콩36105214-12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베트남12640285+3
레바논12540164+2
오만6520376+1
인도네시아36105511-6


경기 결과


: 오만과 레바논의 경기는 사이클론 고누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아라비아126501116+5
오스트레일리아116321114+7
이란6612367-1
요르단26024213-11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이라크12633094+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632174+3
태국5612336-3
인도46114510-5


경기 결과


: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홈 경기를 요르단에서 치렀다.
: 태국은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 - 3 몰수패(원래는 태국의 1 - 0 승리)를 당했다.
: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홈 경기를 요르단에서 치렀다.
: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홈 경기를 요르단에서 치렀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156501103+7
우즈베키스탄12640284+4
아랍에미리트66204711-4
예멘3610529-7


경기 결과

2. 3. 4. 특이 사항

내용 없음.

2. 4. 최종 예선

최종 예선은 네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2007년 8월 22일부터 11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조의 1위 팀만이 아시아를 대표하여 개최국 중국과 함께 올림픽 본선에 참가하게 된다.

2007년 6월 13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최종 예선 조 추첨이 열렸다. 최종 예선에 진출한 팀들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2]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대한민국
일본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레바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카타르
시리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2차 예선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한 1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은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올림픽 본선에 직행했다.

'''A조'''
승점경기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12633071+6
이라크/Iraqar116321124+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North Korea한국어5612336-3
레바논/Lebanonar46114415-11



'''B조'''
승점경기
대한민국/South Korea한국어12633041+3
바레인/Bahrainar11632174+3
시리아/Syriaar4604257-2
우즈베키스탄/Uzbekistanuz3603359-4



'''C조'''
승점경기
일본/Japan일본어11632172+5
카타르/Qatarar10631286+2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ar9623153+2
베트남/Vietnamvi26024312-9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3라운드는 2007년 8월 22일부터 11월 21일까지 각 4개 팀으로 구성된 3개 조로 진행되었다. 각 조의 우승팀은 개최국인 중국과 함께 2008년 올림픽에 아시아 대표로 참가한다.



=== A조 ===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12633071+6
이라크/Iraqar116321124+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North Korea한국어5612336-3
레바논/Lebanonar46114415-11



이라크의 홈 경기는 카타르에서 실시



=== B조 ===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South Korea한국어12633041+3
바레인/Bahrainar11632174+3
시리아/Syriaar4604257-2
우즈베키스탄/Uzbekistanuz3603359-4



=== C조 ===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Japan일본어11632172+5
카타르/Qatarar10631286+2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ar9623153+2
베트남/Vietnamvi26024312-9

2. 4. 1. 시드 배정

2007년 6월 13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최종 예선 조 추첨이 열렸다. 최종 예선에 진출한 팀들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2]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대한민국
일본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레바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카타르
시리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2. 4. 2. 조 편성

wikitext

2차 예선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한 1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은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올림픽 본선에 직행했다.

{{#ifeq: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ifeq: 조 편성 | 최종 예선 |

'''A조'''
승점경기
12633071+6
116321124+8
5612336-3
46114415-11


|{{#ifeq: 조 편성 | B조 |

'''B조'''
승점경기
12633041+3
11632174+3
4604257-2
3603359-4



|{{#ifeq: 조 편성 | C조 |

'''C조'''
승점경기
11632172+5
10631286+2
9623153+2
26024312-9



}}}}}}

2. 4. 3.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3라운드는 2007년 8월 22일부터 11월 21일까지 각 4개 팀으로 구성된 3개 조로 진행되었다. 각 조의 우승팀은 개최국인 중국과 함께 2008년 올림픽에 아시아 대표로 참가한다.

=== A조 ===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2633071+6
116321124+8
5612336-3
46114415-11



이라크의 홈 경기는 카타르에서 실시



=== B조 ===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2633041+3
11632174+3
4604257-2
3603359-4



=== C조 ===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1632172+5
10631286+2
9623153+2
26024312-9

2. 4. 4. 특이 사항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특이 사항' 섹션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3. 여자부

3. 1. 예선 형식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개최국인 중국을 제외한 14개 국가·지역이 참가한다.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시드를 배정받았고, 나머지 12개 국가·지역이 4팀씩 3개 조로 나뉘어 예선 라운드를 진행했다. A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 B조와 C조는 중앙 집중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 1위와 2위가 결선 라운드에 진출한다. 결선 라운드는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6개 팀과 시드를 받은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포함한 총 8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하며, 각 조 1위가 본선 출전권을 얻는다.

3. 2. 예선 라운드

3. 2. 1. A조

마산종합운동장(마산)에서 2007년 2월 17일에 열린 대한민국과 인도의 준결승 1차전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5-0으로 승리하였다. 2007년 2월 25일 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델리)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대한민국이 3-0으로 승리하였다. 합계 8-0으로 대한민국이 결승에 진출했다.

홍콩은 요르단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마산종합운동장(마산)에서 2007년 3월 10일에 열린 대한민국과 홍콩의 결승 1차전 경기에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7년 3월 18일 코니 베이 스포츠 구장(홍콩)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홍콩이 1-0으로 승리하였다. 합계 3-2로 홍콩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대한민국도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3. 2. 2. B조

모든 경기는 태국 방콕의 타이-재패니즈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태국93300150+15
베트남6320181+7
싱가포르3310268-2
몰디브03003020-20



2007년 2월 19일



2007년 2월 21일

2007년 2월 23일

3. 2. 3. C조

모든 경기는 중산 축구장(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되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93300201
19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6320148
미얀마/Myanmarmy1301214
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13012113



2007년 2월 21일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 0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20미얀마/Myanmarmy 0



2007년 2월 23일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10미얀마/Myanmarmy 0
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 010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10



2007년 2월 25일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18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8
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 11미얀마/Myanmarmy 1


3. 3. 최종 예선

최종 예선은 2007년 4월부터 8월에 걸쳐 개최되었으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6경기가 치러져 각 조 1위가 베이징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A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166510273+24
대한민국86222812-4
태국76213711-4
베트남36105319-16



'''B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86600510+51
오스트레일리아126402405+35
중화 타이베이662041231-19
홍콩06006168-67

3. 3. 1. A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166510273+24
대한민국86222812-4
태국76213711-4
베트남36105319-16

3. 3. 2. B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86600510+51
오스트레일리아126402405+35
중화 타이베이662041231-19
홍콩06006168-67

참조

[1] 뉴스 한국, UAE와 베이징 올림픽 2차 예선 https://v.daum.net/v[...] OSEN 2006-09-17
[2] 뉴스 올림픽 축구 최종예선, 오늘 '운명의 조추첨'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07-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