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95년은 연호 및 기년, 주요 사건, 문화, 탄생, 사망 등을 다루는 연도이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영양왕 6년, 백제 위덕왕 42년, 신라 진평왕 17년, 건복 12년에 해당하며, 중국에서는 수 문제 15년, 일본에서는 스이코 천황 3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아일랜드의 왕 콜만 리미드 마크 디아르마이티 사망, 교황 요한 3세 사망, 비잔틴 제국의 발칸 원정 시작 등이 있었으며, 수 문제는 민간 무기 몰수 및 파괴를 명령했다. 문화적으로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 지휘 하에 영국으로 기독교 선교사를 파견했고, 무함마드가 하디자와 결혼했다. 김유신, 아스마 빈트 아부 바크르 등이 태어났으며, 요한 4세, 칠데베르트 2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595년 | |
---|---|
595년 | |
기년 | |
단기 | 2928년 |
간지 | 을묘년 (乙卯年) |
불기 | 1139년 |
황기 | 1255년 |
히브리력 | 4355년 ~ 4356년 |
이슬람력 | -28 ~ -27 |
주요 사건 | |
고구려 | 영양왕 6년 |
백제 | 위덕왕 42년 |
신라 | 진평왕 17년 |
2. 연호 및 기년
2. 1. 한국
2. 2. 중국
수나라: 개황 15년2. 3. 일본
3. 주요 사건
- 아일랜드의 왕 콜만 리미드 마크 디아르마이티가 사망했다.[1]
- 교황 요한 3세가 사망하고, 교황 베네딕토 1세가 새로운 교황이 되었다.[1]
- 아바르족이 판노니아를 침략했다.[1]
- 비잔틴 제국의 마우리키우스 황제는 바르칸과 슬라브족을 발칸 반도에서 몰아내기 위해 발칸 원정을 시작했다.[1]
3. 1. 중국
- 수나라 문제는 정령을 개정했다.[1]
- 수나라 문제는 민간 무기를 몰수하고 파괴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며, 이 칙령에서 국경 지역은 제외했다.[1]
- 수나라 시기 허베이성에서 안지교(자오저우교, "안전한 횡단 다리") 건설이 시작되었다.
3. 2. 비잔틴 제국
마우리키우스 황제는 바르칸과 슬라브족을 발칸 반도에서 몰아내기 위해 발칸 원정을 시작했다.[1] 프리스쿠스 휘하의 비잔틴 구원군은 다뉴브강을 따라 남쪽 강둑을 거쳐 노바에 (오늘날 불가리아)로 진군했다.[1] 싱기두눔 (베오그라드) 요새는 아바르족에게 약탈당했고, 비잔틴군이 접근하자 아바르족은 퇴각하여 달마티아를 공격했다.[1]3. 3. 유럽
- 아일랜드의 왕인 콜만 리미드 마크 디아르마이티가 사망했다.[1]
- 교황 요한 3세가 사망했다. 교황청의 새로운 교황은 교황 베네딕토 1세이다.[1]
- 비잔틴 제국의 마우리키우스 황제는 바르칸과 슬라브족을 발칸 반도에서 몰아내기 위해 발칸 원정을 시작했다.[1]
- 아바르족이 판노니아를 침략했다.[1]
- 10월 – 킬데베르트 2세가 사망하고, 그의 어머니 브룬힐트(Brunhilda of Austrasia)는 손자들을 위해 오스트라시아와 부르군트 왕국을 섭정하려 했다. 그의 두 어린 아들 테우데베르트 2세와 테우데리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1]
- 롬바르드족이 테라치나 (이탈리아 중부)를 약탈했다. 그들이 더 많은 도시를 정복한 후, 테라치나는 비잔틴 제국의 중요한 군사적 요새로 남았다.[1]
- 유인의 사망 후, 가이도알드가 트렌토 공작 (이탈리아 북부)이 되었다.[1]
3. 4. 영국
다이노드 부르 왕이 버니시아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사망했다. 그의 왕국인 헨 오글레드("오래된 북쪽")는 유린당했고, 그의 가족은 파위스로 도망갔다(대략적인 시기).3. 5. 아시아
4. 문화
595년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건이 일어난 해이다. 특히 종교와 관련된 사건들이 있었지만, 이 부분에 대한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아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4. 1. 종교
- 6월 –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베네딕토회 수사들을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지휘 하에 영국으로 파견하여 켄트의 애설베르흐트를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켄트 왕국을 토착 앵글로-색슨 이교 신앙에서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하였다. 그는 주교들에게 추천서를 지참했으며, 프랑크족 통역관들이 동행했다.[1]
- 9월 2일 – 요한 4세 ("더 패스터")가 13년 동안의 재위 기간 동안 동방 정교회와 단성론 사이의 분쟁을 중재한 후 사망했다.[2]
- 무함마드는 이슬람의 예언자로, 하디자를 만나 결혼했다. 그녀는 그보다 15살 연상인 40세의 과부였다. 하디자의 재산에 힘입어 그들은 성공적인 상인 관계를 형성했다.[3]
5. 탄생
6. 사망
- 콜만 리미드 마크 디아르마이티: 아일랜드의 왕[1]
- 교황 요한 3세[1]
- 9월 2일 - 요한 4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2]
- 베라흐: 아일랜드의 주교이자 성인[2]
- 칠데베르트 2세: 오스트라시아의 왕 (Childebert II|칠데베르트 2세영어, *570년)[2]
- 다이노드 부르: 헨 오글레드의 왕 (추정 연도)[2]
- 에윈: 롬바르드 트렌토 공작 (이탈리아)[2]
- 가르트나이트 2세: 픽트의 왕[2]
- 오와인 압 우리엔: 레게드의 왕 (추정 연도)[2]
- 위치 치판: 북주의 황후 (*566년)[2]
- 위운: 북주, 수나라의 정치가, 군인 (*538년)[3]
- 울지치번: 중국 북주 선제의 황후 중 한 명 (*566년)[3]
참조
[1]
서적
Imperial Chinese Armies
1996
[2]
서적
The Great Islamic Conquests AD 632–750
2009
[3]
간행물
삼국사기 권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