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13 계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13 계명은 유대교 율법인 토라에 담긴 613개의 계명으로, 랍비 하므누나가 신명기 33장 4절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 숫자는 토라라는 단어의 게마트리아(수치)에서 유래되었으며, 치치트(의례용 술)와도 연관된다. 613 계명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랍비들은 613 계명 목록 작성의 어려움을 이야기했다. 마이모니데스는 613개 계명 목록을 제시하고, 각 계명이 히브리 성경에서 유래된 출처를 밝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 신학 - 여호와
    여호와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이름인 테트라그라마톤(יהוה, YHWH)을 로마자로 표기한 것 중 하나로, 정확한 발음은 불확실하지만 '야훼'라는 가설이 유력하며, '여호와'라는 표기가 널리 사용되지만, 발음과 표기에 대한 논쟁과 함께 '하나님'이라는 호칭이 더 적절하다는 시각도 있다.
  • 유대교 신학 - 모세 언약
    모세 언약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과 맺은 언약으로, 구약성경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각각 다른 관점으로 해석된다.
613 계명

2. 613개 계명의 기원과 상징

랍비 하므누나는 탈무드를 통해 신명기 33장 4절[3]("모세는 우리에게 토라를 명령했다...")을 근거로 613이라는 숫자를 제시했다.[3] '토라'라는 단어의 게마트리아(숫자값)은 611(타브/תhe = 400, 바브/וhe = 6, 레쉬/רhe = 200, 헤/הhe = 5)이다.[3] 모세가 백성에게 가르친 611개의 계명과, 십계명 중 처음 두 계명은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들은 유일한 계명이므로 이를 합하면 총 613이 된다는 것이다.[3]

라시를 비롯한 여러 율법 해설가들은 게마트리아를 통해 의복의 의례용 술인 ''치치트''를 613개의 계명과 연결하기도 한다.[4] 치치트he(히브리어: ציצית, 미쉬나의 철자)라는 단어는 600의 값을 가진다(짜디/צhe = 90, 요드/יhe = 10, 타브/תhe = 400).[4] 각 술에는 8개의 실(두 번 접을 경우)과 다섯 개의 매듭 묶음이 있으므로 이 모든 숫자의 합은 613(600+8+5=613)이 되는데,[4] 이는 치치트he가 착용자에게 모든 토라의 계명을 상기시킨다는 개념을 반영한다.[4]

바알 하투림, 프라하의 마하랄과 하시디즘 지도자들을 비롯한 많은 유대교 철학적 및 신비주의적 저작물들은 계명의 수와 관련된 암시와 영감적인 계산을 찾고 있다.

1884/De Rouwdagen}}(애도의 날) by Jan Voerman, {{Circanl

2. 1. 탈무드와 게마트리아

랍비 하므누나는 탈무드를 통해 신명기 33장 4절[3]("모세는 우리에게 토라를 명령했다...")을 근거로 613이라는 숫자를 제시했다.[3] '토라'라는 단어의 게마트리아(숫자값)은 611(타브/תhe = 400, 바브/וhe = 6, 레쉬/רhe = 200, 헤/הhe = 5)이다.[3] 모세가 백성에게 가르친 611개의 계명과, 십계명 중 처음 두 계명은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들은 유일한 계명이므로 이를 합하면 총 613이 된다는 것이다.[3]

라시를 비롯한 여러 율법 해설가들은 게마트리아를 통해 의복의 의례용 술인 ''치치트''를 613개의 계명과 연결하기도 한다.[4] 치치트he(히브리어: ציצית, 미쉬나의 철자)라는 단어는 600의 값을 가진다(짜디/צhe = 90, 요드/יhe = 10, 타브/תhe = 400).[4] 각 술에는 8개의 실(두 번 접을 경우)과 다섯 개의 매듭 묶음이 있으므로 이 모든 숫자의 합은 613(600+8+5=613)이 되는데,[4] 이는 치치트he가 착용자에게 모든 토라의 계명을 상기시킨다는 개념을 반영한다.[4]

바알 하투림, 프라하의 마하랄과 하시디즘 지도자들을 비롯한 많은 유대교 철학적 및 신비주의적 저작물들은 계명의 수와 관련된 암시와 영감적인 계산을 찾고 있다.

2. 2. 치치트(찌찌트)와의 연관성

랍비 하므누나는 ("모세는 우리에게 토라를 명령했다...") 구절에서 613의 숫자를 유래했다. 탈무드는 '토라'라는 단어의 히브리 숫자 값(''게마트리아'')이 611( = 400,  = 6,  = 200,  = 5)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모세가 백성에게 가르친 611개의 계명과,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들은 유일한 계명인 십계명 중 처음 두 계명을 합하면 총 613이 된다.[3]

게마트리아를 통해 의복의 의례용 술인 ''치치트''를 613개의 계명과 연결하는 자료들이 있다. (히브리어: ציצית, 미쉬나의 철자)라는 단어는 600의 값을 가진다( = 90,  = 10,  = 400). 각 술에는 8개의 실(두 번 접을 경우)과 다섯 개의 매듭 묶음이 있는데, 이 모든 숫자의 합은 613이다. 이는 가 착용자에게 모든 토라의 계명을 상기시킨다는 개념을 반영한다.[4]

3. 613개 계명에 대한 다양한 견해

벤 아자이는 300개의 긍정적인 미츠봇/mitzvothe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5] 613개의 계명에 대한 랍비들의 지지에 반대 의견도 존재하는데, 일부 랍비들은 이 숫자가 진정한 전통이 아니거나 체계적인 숫자를 제시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보았다.[5] 초기 유대 율법이나 성경 주석은 613 체계에 의존하지 않았으며, 초기 유대교 신앙 원리 시스템은 이 아가다 (비법률적 탈무드 진술)의 수용을 규범으로 삼지 않았다.[5]

랍비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이것이 진정한 랍비 전통이 아니라고 부인하며, "사실 미츠봇/mitzvothe의 수는 끝이 없으며 [...] 우리가 근본 원리만을 계산한다면 [...] 미츠봇/mitzvothe의 수는 613에 이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6]

나흐마니데스는 613 계명 계산이 랍비 간의 논쟁거리이며,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총계가 아가다 문헌 전체에 퍼져나갔다... 우리는 그것이 시나이 산에서 모세로부터 전해진 전통이라고 말해야 한다"고 인정했다.[7]

랍비 시므온 벤 제마 두란은 613이 율법의 총합이라는 교리를 거부했다.[8] 그는 "아마도 미츠봇/mitzvothe의 수가 613이라는 데 동의한 것은 단지 랍비 심라이의 의견일 뿐이며, 그는 미츠봇/mitzvothe에 대한 자신의 설명을 따랐다. 그리고 우리가 율법을 결정하고 [영향을 미칠] 때 그의 설명에 의존할 필요는 없으며, 대신 탈무드 토론에 의존해야 한다"고 말했다.[8]

게르소니데스는 613이라는 숫자가 랍비 심라이의 의견일 뿐이며, 탈무드 토론의 결론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14] 그는 613이라는 숫자는 근사치이며, 248개의 사지와 365일과의 비교는 유대인들이 계명을 지키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9] 빌나 가온은 613개보다 훨씬 많은 계명이 존재하며, 613개의 계산은 다른 계명의 "뿌리"(shorashimhe)를 가리킨다고 말했다.[10]

613개의 계명 목록을 작성하려는 시도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랐다. 어떤 명령을 계명으로 포함할 것인지, 특정 시기에만 준수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것인지, 그리고 하나의 구절 내 여러 금지 사항을 어떻게 계산할 것인지 등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613 계명 개념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규범으로 받아들여졌지만, 현대의 할라카 법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슐찬 아루흐와 키추르 슐찬 아루흐 같은 법전은 613 계명을 언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이모니데스의 미쉬네 토라는 613개 미츠봇 계산으로 시작한다.

엘리에제르 벤 사무엘은 417개의 계명만 나열했고,[14] 메나헴 레카나티는 611개를 제시했다.[14] 랍비 이삭 오브 코르베일은 오늘날 적용되는 320개의 계명을 나열하고 성전 관련 계명을 추가하면 613개가 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613개보다 적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14] 게르소니데스는 총 513개의 계명을 세었다.[14]

613개 숫자의 기원은 랍비 심라이로 거슬러 올라가며, 랍비 시므온 벤 아자이 등 다른 고대 현자들도 이 견해를 지지했다. 이는 미드라쉬와 탈무드에도 인용된다.

3. 1. 벤 아자이의 견해

벤 아자이는 300개의 긍정적인 mitzvothe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5] 613개의 계명에 대한 랍비들의 지지에 반대 의견도 존재하는데, 일부 랍비들은 이 숫자가 진정한 전통이 아니거나 체계적인 숫자를 제시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보았다.[5] 초기 유대 율법이나 성경 주석은 613 체계에 의존하지 않았으며, 초기 유대교 신앙 원리 시스템은 이 아가다 (비법률적 탈무드 진술)의 수용을 규범으로 삼지 않았다.[5]

랍비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이것이 진정한 랍비 전통이 아니라고 부인하며, "사실 italic=no/mitzvothe의 수는 끝이 없으며 [...] 우리가 근본 원리만을 계산한다면 [...] italic=no/mitzvothe의 수는 613에 이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6]

나흐마니데스는 이 특정 계산이 랍비의 논쟁의 문제이며, 이에 대한 랍비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총계가 아가다 문헌 전체에 퍼져나갔다... 우리는 그것이 시나이 산에서 모세로부터 전해진 전통이라고 말해야 한다"고 인정한다.[7]

다른 랍비들도 613 계명의 총합 교리를 거부하는 입장을 보였다.[8][14][9][10]

3. 2.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의 비판

벤 아자이가 300개의 긍정적인 미츠봇/mitzvothe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등 613개의 계명에 대한 랍비들의 지지에 반대 의견도 존재했다.[5] 일부 랍비들은 이 숫자가 진정한 전통이 아니거나, 체계적인 숫자를 제시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선언했다.[5] 초기 유대 율법이나 성경 주석은 613 체계에 의존하지 않았으며, 초기 유대교 신앙 원리 시스템은 이 아가다 (비법률적 탈무드 진술)의 수용을 규범으로 삼지 않았다.

랍비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이것이 진정한 랍비 전통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이븐 에즈라는 "일부 현자들은 613개의 미츠봇/mitzvothe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열거하지만 [...] 사실 미츠봇/mitzvothe의 수는 끝이 없으며 [...] 우리가 근본 원리만을 계산한다면 [...] 미츠봇/mitzvothe의 수는 613에 이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6]

3. 3. 나흐마니데스의 견해

나흐마니데스는 613 계명 계산이 랍비 간의 논쟁거리이며,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총계가 아가다 문헌 전체에 퍼져나갔다... 우리는 그것이 시나이 산에서 모세로부터 전해진 전통이라고 말해야 한다"고 인정했다.[7]

3. 4. 시므온 벤 제마 두란의 비판

랍비 시므온 벤 제마 두란은 613이 율법의 총합이라는 교리를 거부했다.[8] 그는 "아마도 의 수가 613이라는 데 동의한 것은 단지 랍비 심라이의 의견일 뿐이며, 그는 에 대한 자신의 설명을 따랐다. 그리고 우리가 율법을 결정하고 [영향을 미칠] 때 그의 설명에 의존할 필요는 없으며, 대신 탈무드 토론에 의존해야 한다"고 말했다.[8] 이러한 랍비들의 지지에 반대하는 의견도 존재하는데, 벤 아자이는 300개의 긍정적인 계명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5]

3. 5. 게르소니데스와 빌나 가온의 견해

벤 아자이는 300개의 긍정적인 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등 613 계명에 대한 랍비들의 지지에 반대 의견도 존재했다.[5] 랍비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이것이 진정한 랍비 전통이 아니라고 부인하며, "사실 의 수는 끝이 없으며 [...] 우리가 근본 원리만을 계산한다면 [...] 의 수는 613에 이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6]

나흐마니데스는 이 특정 계산이 랍비 논쟁의 문제이며, 이에 대한 랍비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총계가 아가다 문헌 전체에 퍼져나갔다... 우리는 그것이 시나이 산에서 모세로부터 전해진 전통이라고 말해야 한다"고 인정한다.[7] 랍비 시므온 벤 제마 두란 역시 613이 율법의 총합이라는 교리를 거부하며, 탈무드 토론에 의존해야 한다고 말했다.[8]

게르소니데스는 613이라는 숫자가 랍비 심라이의 의견일 뿐이며, 탈무드 토론의 결론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14] 그는 613이라는 숫자는 근사치이며, 248개의 사지와 365일과의 비교는 유대인들이 계명을 지키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9] 빌나 가온은 613개보다 훨씬 많은 계명이 존재하며, 613개의 계산은 다른 계명의 "뿌리"()를 가리킨다고 말했다.[10]

4. 613개 계명 목록화의 어려움

4. 1. 계명 포함 범위

4. 2. 계명 계산 방식

5. 613개 계명을 열거하는 주요 문헌

랍비 문학, 리쇼님과 이후 학자들은 계명을 명확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저작물을 만들었다.[11]


  • ''할라초트 게돌로트''("위대한 율법")는 랍비 시메온 카야라 (, 의 저자)가 쓴 것으로 여겨지며, 613개의 를 열거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저작물이다.[12]

  • 랍비 사아디아 가온의 ("계명의 책")은 게오님 시대에 쓰여진 단순한 목록이다. (그러나 나중에 랍비 예루참 피셸 페를로에 의해 확장되었다.)

  • 마이모니데스의 ''세페르 하미츠보트''("계명의 책")에는 나흐마니데스의 주석이 달려있다. 마이모니데스는 목록에 포함될 대상을 결정하는 14가지 규칙()을 사용한다. 이 저작에서 그는 ''미드라쉬 할라카''와 게마라의 인용문을 통해 각 미츠바의 구체화를 뒷받침한다. 나흐마니데스는 여러 비판적인 요점을 제기하고 목록의 일부 항목을 다른 항목으로 대체한다.[13]

  • ''세페르 하친누크''("교육의 책")는 일반적으로 마이모니데스의 613개 계명 계산법을 따르며, 계명이 토라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쓰여져 있다. 는 계명을 열거하고 관련 법률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뒤에 숨겨진 철학적 이유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이 책은 바르셀로나의 랍비 아론 하레비 ()에게 가장 흔하게 귀속되었지만, 실제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쿠시의 모세 벤 야곱의 ''세페르 미츠보트 가돌''(SMaG)("계명의 큰 책").

  • 랍비 코르베유의 이츠하크의 ''세페르 미츠보트 카탄''("계율 소서"). 이 작품은 시의 형태로 쓰여졌으며, 7개의 절로 분할되어 각 주에 읽도록 의도되었다. 이츠하크의 작품이 짧은 것은 확실하지만, 대부분의 판본이 긴 해설을 포함한다.

  • 랍비 엘리에제르 벤 사무엘의 ''세페르 예레이임''("경외의 서", 명확한 열거는 아니다).

  • 랍비 이스라엘 메이르 카간 ()의 는 마이모니데스의 계산법을 따르지만, 오늘날 관련된 계명만 제시한다. 특히, 이 목록은 성전 봉사, 의례적 정결, 희생 등에 관한 계명을 생략한다. 원래 저작은 모든 장소와 모든 시대에 관련된 계명만 포함했지만, 이후 판에는 오늘날 이스라엘 땅에서만 관련된 농업법이 포함되어 있다.

5. 1. 할라코트 게돌로트

랍비 문학, 리쇼님과 이후 학자들은 계명을 명확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저작물을 만들었다.[11] ''할라초트 게돌로트''("위대한 율법")는 랍비 시메온 카야라 (, 의 저자)가 쓴 것으로 여겨지며, 613개의 를 열거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저작물이다.[12]

5. 2. 사아디아 가온의 세페르 하미츠보트

게오님 시대에 쓰여진 랍비 사아디아 가온의 ("계명의 책")은 단순한 목록이다.[11][12][13] (그러나 나중에 랍비 예루참 피셸 페를로에 의해 확장되었다.)[11]

5. 3. 마이모니데스의 세페르 하미츠보트

613 계명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단일 목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 목록들은 토라 구절을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11] 다른 "계명"들은 일회성 행위로 제한되며, 다른 사람에게 구속력을 갖는 "mitzvothe"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1] 랍비 문학, 리쇼님과 이후 학자들은 계명을 명확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저작물을 만들었다:[11]

  • 랍비 시메온 카야라의 ''할라초트 게돌로트''는 613개의 mitzvothe를 열거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저작물이다.[12]
  • 랍비 사아디아 가온의 Sefer ha-Mitzvothhe게오님 시대에 쓰여진 단순한 목록이다.
  • 마이모니데스의 ''세페르 하미츠보트''는 나흐마니데스의 주석이 함께 제공된다. 마이모니데스는 목록에 포함될 대상을 결정하는 14가지 규칙(shorashimhe)을 사용한다.[13]
  • ''세페르 하친누크''는 마이모니데스의 613개 계명 계산법을 따르며, 계명이 토라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쓰여져 있다. 저자는 바르셀로나의 랍비 아론 하레비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저자는 불명이다.
  • 랍비 쿠시의 모세 벤 야곱의 ''세페르 미츠보트 가돌''.
  • 랍비 이스라엘 메이르 카간의 Sefer ha-Mitzvothhe는 마이모니데스의 계산법을 따르지만, 오늘날 관련된 계명만 제시한다.


마이모니데스는 ''세페르 하미츠보트''에서 목록에 포함될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 14가지 규칙(shorashimhe)을 사용했고,[13] ''미드라쉬 할라카''와 게마라의 인용문을 통해 각 미츠바를 구체화했다.[13] 나흐마니데스는 마이모니데스의 주장에 여러 비판적인 요점을 제기하고 목록의 일부 항목을 대체한다.[13]

마이모니데스가 열거한 613개의 계명과, 그 계명이 히브리 성경에서 유래된 출처는 다음과 같다.

# 을 알라 20:2

# 그 외 다른 신들을 받아들이지 말라 출 20:3

# 그가 유일신임을 알라 6:4

# 그를 사랑하라 신 6:5

# 그를 경외하라 신 10:20

# 그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라(:en:Kiddush Hashem) 레위 22:32

# 그의 이름을 모독하지 말라(:en:Chillul Hashem) 레위 22:32

# 그의 이름과 관련된 것을 파괴하지 말라 Name 신 12:4

# 그의 이름으로 말하는 예언자의 말을 들으라 신 18:15

# 지나치게 예언자를 시험하지 말라 신 6:16

# 그의 길을 따르라(:en:Imitatio dei) 신 28:9

# 그를 알고 충실한 자가 되라 신 10:20

# 다른 유대인을 사랑하라 레위 19:18

# 개종(:en:Conversion to Judaism)자를 사랑하라 신 10:19

# 동료 유대인을 미워하지 말라 레위 19:17

# 죄인을 꾸짖으라 레위 19:17

# 타인에게 수치심을 주지 말라 레위 19:17

# 약자를 학대하지 말라 출 22:21

# 타인을 중상(:en:Lashon hara)하지 말라 레위 19:16

# 복수하지 말라 레위 19:18

# 원한을 품지 말라 레위 19:18

# 율법(토라)을 배우라(:en:Torah study) 신 6:7

# 율법을 가르치고 이해하는 자를 존경하라 레위 19:32

# 우상을 받아들이지 말라 레위 19:4

# 네가 보는 것과 네 마음의 변덕에 따르지 말라 15:39

# 모독하지 말라 출 22:27

# 그들(고대 이집트인)이 숭배한 것처럼 우상을 숭배하지 말라(:en:Idolatry in Judaism) 출 20:5

# 우리가 행하는 신에 대한 숭배는 우상을 숭배하는 4가지 방법이 아니어야 한다 출 20:5

# 스스로를 우상화하지 말라 출 20:4

# 타인을 우상화하지 말라 레위 19:4

# 인간적인 어떤 장식도 하지 말라 출 20:20

# 도시가 우상 숭배로 바뀌지 않도록 하라 출 23:13

# 우상 숭배로 바뀐 도시를 불태우라 신 13:17

# 그 도시를 재건하지 말라 신 13:17

# 거기에서 유래하는 이익을 취하지 말라 신 13:18

# 사람들에게 우상 숭배를 포교하지 말라 신 13:12

# 선교사를 사랑하지 말라 신 13:9

# 선교사를 혐오하는 것을 멈추지 말라 신 13:9

# 선교사를 돕지 말라 신 13:9

# 그를 옹호하는 말을 하지 말라 신 13:9

# 그의 고발을 보류하지 말라 신 13:9

# 우상의 이름으로 예언하지 말라 신 13:14

# 거짓 예언자의 말을 듣지 말라 신 13:4

# 신의 이름으로 거짓 예언을 하지 말라 신 18:20

# 거짓 예언자를 죽이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신 18:22

# 우상의 이름으로 맹세하지 말라 출 23:13

# ''영매(ov)''를 행하지 말라 레위 19:31

# ''신비로운 예언(yidoni)''을 행하지 말라 레위 19:31

# 네 자녀를 몰렉의 (제단의) 불에 넘기지 말라 레위 18:21

# 공공 예배 장소에 기둥(성주)을 세우지 말라 신 16:22

# 석상에 몸을 굽히지 말라 레위 26:1

# 성전 뜰에 나무(성목)를 심지 말라 신 16:21

# 우상과 그 장식을 파괴하라 신 12:2

# 우상과 그 장식에서 유래하는 이익을 취하지 말라 신 7:26

# 우상의 장식에서 유래하는 이익을 취하지 말라 신 7:25

# 우상 숭배자와 계약을 맺지 말라 신 7:2

# 그들에게 호의를 보이지 말라 신 7:2

# 이스라엘 땅에 그들과 함께 살지 말라 출 23:33

# 그들의 풍습과 의상을 모방하지 말라 레위 20:23

# 미신에 빠지지 말라 레위 19:26

# 사건의 예지, 기타를 트랜스 상태에서 행하는 (자의) 곳으로 가지 말라 신 18:10

# 점성술에 관여하지 말라 레위 19:26

# 저주의 말(:en:incantation)을 중얼거리지 말라 신 18:11

# 죽은 자와의 교류를 시도하지 말라 신 18:11

# ''영매(ov)''에게 상담하지 말라 신 18:11

# ''신비로운 예언자(yidoni)''에게 상담하지 말라 신 18:11

# 마술을 행하지 말라 신 18:10

# 남자가 머리 옆면의 머리카락(:en:Payot)을 깎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19:27

# 남자가 면도칼로 턱수염을 깎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19:27

# 남자가 여자의 의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하라 신 22:5

# 여자가 남자의 의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하라 신 22:5

# 피부에 문신을 새기지 말라 레위 19:28

# 상복(:en:Bereavement in Judaism)의 경우, 피부를 상하게 하지 말라 신 14:1

# 상복의 경우, 대머리를 만들지 말라 신 14:1

# 회개(:en:Repentance in Judaism), 죄를 고백(:en:Confession in Judaism)하라 민 5:7

# 날마다 두 번 셰마(:en:Shema Yisrael)를 암송하라 신 6:7

# 날마다의 기도(:en:Jewish services#Weekday prayer services)로 전능자를 섬기라 출 23:25

# ''제사장(Kohanim)''은 날마다 유대 백성을 축복해야 한다(:en:Priestly Blessing) 민 6:23

# 머리에 ''테필린''(:en:tefillin, 성구함)을 착용하라 신 6:8

# 팔에 ''테필린''을 감으라 신 6:8

# 각 문설주에 ''메주자''를 설치하라 신 6:9

# 남성은 각자 토라 두루마리(:en:Sefer Torah)를 써야 한다 신 31:19

# 왕은 자신을 위해 ''세페르 토라''의 사본을 소지해야 한다 신 17:18

# 옷의 네 귀퉁이에 ''치치트''를 착용하라 민 15:38

# 식후에는 전능자에게 감사를 드리라(:en:Birkat Hamazon) 신 8:10

# 모든 남성은 생후 8일째에 할례를 행해야 한다(:en:Brit milah) 레위 12:3

# 일곱째 날에는 휴식을 취하라 출 23:12

# 일곱째 날에는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출 20:10

# 안식일에 법정에서 처벌을 가해서는 안 된다 출 35:3

# 안식일에 도시 경계 밖으로 걷지 말라 출 16:29

# 그 날을 ''키두쉬''와 ''하브달라(:en:Havdalah)로 거룩하게 하라 출 20:8

# 금지된 노동을 쉬라 레위 23:32

# 속죄일에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레위 23:32

# 속죄일에 자신을 괴롭게 하라 레위 16:29

# 속죄일에 먹거나 마시지 말라 레위 23:29

# 과월절 첫날에는 휴식을 취하라 레위 23:7

# 과월절 첫날에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레위 23:8

# 과월절 일곱째 날에는 휴식을 취하라 레위 23:8

# 과월절 일곱째 날에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레위 23:8

# 칠칠절에는 휴식을 취하라 레위 23:21

# 칠칠절에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레위 23:21

# 신년제에는 휴식을 취하라 레위 23:24

# 신년제에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레위 23:25

# 장막절에는 휴식을 취하라 레위 23:35

# 장막절에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레위 23:35

# 장막절 다음 날(:en:Shemini Atzeret)에는 휴식을 취하라 레위 23:36

# 장막절 다음 날에 금지된 노동을 하지 말라 레위 23:36

# 니산 (의 달) 14일 오후에는 ''하메츠''를 먹지 말라 신 16:3

# 니산 14일에 모든 ''하메츠''를 처분하라 출 12:15

# 과월절의 모든 7일 동안, ''하메츠''를 먹지 말라 출 13:3

# 과월절의 모든 7일 동안, ''하메츠''가 포함된 것을 먹지 말라 출 12:20

# 7일 동안, 네 곁에서 ''하메츠''를 보지 말라 출 13:7

# 7일 동안, 네 곁에서 ''하메츠''가 발견되지 않도록 하라 출 12:19

# 과월절 전야에는 ''마짜''를 먹으라 출 12:18

# 그 밤에, 이집트로부터의 탈출에 대해 이야기하라 출 13:8

# 티슈레이(의 달) 1일 (신년제)에는 ''쇼파르''(:en:Shofar)(소리)를 들으라 민 9:1

# 장막절의 7일 동안, ''장막''(:en:Sukkah)에 거주하라 레위 23:42

# 모든 7일 동안, ''대추야자''와 ''에트로그''를 손에 들고 있으라(:en:Four Species) 레위 23:40

# 남자는 매년 반 셰켈(:en:Shekel)을 기증해야 한다 출 30:13

# 법정은 새 달이 시작되는지 계산해야 한다(:en:Hebrew_calendar#Measurement_of_the_month) 출 12:2

# 재앙을 만났을 때, 신 앞에서 자신을 괴롭히고 울부짖으라 민 10:9

# ''케투바''(:en:Ketubah)와 ''키두신''이 의미하는 바에 따라 아내와 결혼(:en:Jewish views of marriage)하라 신 22:13

# 이와 같이 결혼하지 않은 여자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en:Religion and sexuality#Judaism and sexuality) 신 23:18

# 네 아내로부터 음식, 의복, 성교를 보류하지 말라 출 21:10

# 자신의 아내와 자녀를 낳으라 1:28

# 이혼을 의미하는 ''게트'' 문서(:en:Get (divorce document))를 교부하라 신 24:1

# 전처가 다른 사람과 결혼한 후, 남자가 그녀와 재혼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신 24:4

# ''이붐'' (자녀가 없는 형제의 미망인과의 결혼, :en:Yibbum)을 실행하라 신 25:5

# ''할리차'' (''이붐''에 의한 자녀가 없는 형제의 미망인과의 결혼으로부터의 해방)를 실행하라 신 25:9

# 그 미망인은, 그녀의 의붓 형제와의 유대가 (''이붐''에 의해) 제거되기 전에 재혼해서는 안 된다 신 25:5

# 법정은 처녀를 성적으로 유혹하는 자에게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 출 22:15-16

# 그 강간자는 (만약 그녀가 원한다면) 그 처녀와 결혼해야 한다 신 22:29

# 그가 그녀를 이혼하는 것은 결코 허용되지 않는다 신 22:29

# 중상하는 자(무죄한 아내에게 법정에서 간음 혐의를 씌운 남편)는 아내와의 결혼을 지속해야 한다 신 22:19

# 그가 그녀를 이혼해서는 안 된다 신 22:19

# 소타(:en:Nashim)의 법을 이행하라 민 5:30

# 그녀(남편에게 간음 혐의를 받은 아내)의 곡물 제물에 (관례적인) 기름을 붓지 말라 민 5:15

# 그녀의 곡물 제물에 (관례적인) 유향을 붓지 말라 민 5:15

# 네 어머니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7

# 네 아버지의 아내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8

# 네 자매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9

# 네 아버지의 아내의 딸과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1

# 네 아들의 딸과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0

# 네 딸과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6, 레위 18:10

# 네 딸의 딸과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0

# 여자에 더하여, 그녀의 딸과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7

# 여자에 더하여, 그녀의 아들의 딸과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7

# 여자에 더하여, 그녀의 딸의 딸과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7

# 네 아버지의 자매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2

# 네 어머니의 자매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3

# 네 아버지의 형제의 아내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4

# 네 아들의 아내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5

# 네 형제의 아내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6

# 네 아내의 자매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18

# 남자가 동물과 성관계를 갖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18:23

# 여자가 동물과 성관계를 갖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18:23

# 동성애(:en:Homosexuality and Judaism)의 성관계를 갖지 말라 레위 18:22

# 네 아버지와 동성애적 성관계를 갖지 말라 레위 18:7

# 네 아버지의 형제와 동성애적 성관계를 갖지 말라 레위 18:14

# 타인의 아내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레위 18:20

# 월경 중 더러운 여자(:en:Niddah)와 성관계를 갖지 말라 레위 18:19

# 비유대인과 결혼하지 말라 신 7:3

# 모압인, 암몬인 남자가 결혼하여 유대인이 되는 것을 허용하지 말라 신 23:4

# 이집트인 개종자의 삼세가 결혼함으로써 유대인이 되는 것을 ''방해''하지 말라 신 23:8-9

# 에돔인 개종자의 삼세가 결혼하는 것을 막지 말라 신 23:8-9

# 맘제르 (불법 행위로 태어난 아이)가 결혼하여 유대인이 되는 것을 허용하지 말라 신 23:3

# 환관이 결혼하여 유대인이 되는 것을 허용하지 말라 신 23:2

# 거세된 어떤 동물의 수컷도 신에게 바치지 말라 레위 22:24

# 대제사장(:en:Kohen Gadol)이 과부와 결혼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1:14

# 대제사장은 결혼 관계 밖에 있는 과부에 대해서도 성관계를 갖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1:15

# 대제사장은 처녀인 처녀와 결혼해야 한다 레위 21:13

# 코헨 (제사장, :en:Kohen)은 이혼한 여자와 결혼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1:7

# 코헨은 ''조나'' (금지된 성관계를 가진 여자)와 결혼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1:7

# 코헨은 ''할라라'' ("성스러움을 더럽힌 사람", 169-172의 해당자들)와 결혼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1:7

# 금지된 어떤 여자와의 (성적) 교제를 즐겨서는 안 된다 레위 18:6

# 코셔와 코셔가 아닌 것을 구별하여 동물의 표식을 검사하라 레위 11:2

# 코셔와 코셔가 아닌 것을 구별하여 (:en:Fowl)의 표식을 검사하라 신 14:11

# 코셔와 코셔가 아닌 것을 구별하여 물고기의 표식을 검사하라 레위 11:9

# 코셔와 코셔가 아닌 것을 구별하여 메뚜기의 표식을 검사하라 레위 11:21

# 코셔가 아닌 동물을 먹지 말라 레위 11:4

# 코셔가 아닌 새를 먹지 말라 레위 11:13

# 코셔가 아닌 물고기를 먹지 말라 레위 11:11

# 코셔가 아닌 날아다니는 곤충을 먹지 말라 신 14:19

# 코셔가 아닌 땅에 기는 생물을 먹지 말라 레위 11:41

# 코셔가 아닌 구더기를 먹지 말라 레위 11:44

# 땅에 떨어진 과실에서 발견되는 벌레를 먹지 말라 레위 11:42

# (코셔의) 물고기 이외의, 수중에 사는 생물을 먹지 말라 레위 11:43

# 의식 도살되지 않고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지 말라 신 14:21

# 돌로 쳐서 죽인 황소로부터 이익을 얻지 말라 출 21:28

# 치명상을 입은 동물의 고기를 먹지 말라 출 22:30

# 생물이 뜯어낸 부위(limb)를 먹지 말라 신 12:23

# 피를 먹지 말라 레위 3:17

# 깨끗한 동물의, 명백한 지방(인 부분)을 먹지 말라 레위 3:17

# 넓적다리 힘줄을 먹지 말라 창 32:33

# 고기와 유제품을 함께 조리한 것을 먹지 말라 (:en:Kosher foods#No mixing of meat and dairy) 출 23:19

# 고기와 유제품을 함께 조리하지 말라 출 34:26

# 오멜 전에, 첫 곡물로 만든 빵을 먹지 말라(:en:Yoshon) 레위 23:14

# 오멜(:en:Counting_of_the_Omer#Background) 전에, 볶은 첫 곡물을 먹지 말라 레위 23:14

# 오멜 전에, 익은 첫 곡물을 먹지 말라 레위 23:14

# 처음 삼 년 동안 나무에 열리는 과실을 먹지 말라(:en:Orlah) 레위 19:23

# 포도원에 심어진 다양한 씨앗을 먹지 말라(:en:Kil'ayim) 신 22:9

# 십일조가 될 과실을 먹지 말라 레위 22:15

# 우상 숭배에서 부어진 포도주를 마시지 말라 신 32:38

# 동물을 먹기 전에, 그것을 의식 도살하라 신 12:21

# 어떤 동물과 그 새끼를 같은 날에 도살하지 말라 레위 22:28

# (짐승이나 새의) 피를 흙으로 덮으라 레위 17:13

# 그 새끼들을 잡기 전에 어미 새를 놓아주라 신 22:6

# 만약 둥지에서 그녀를 잡았다면, 어미 새를 놓아주라 신 22:7

# 신의 이름으로 거짓 맹세를 하지 말라 레위 19:12

# 신의 이름을 함부로 사용하지 말라 출 20:6

# 어떤 재산이 네게 맡겨진 (사실)을 부인하지 말라 레위 19:11

# 금전 반환 청구를 거부하지 말라 레위 19:11

# 법정에서, 그 진실을 확증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질 때 신의 이름으로 맹세하라 신 10:20

# 입으로 말하고 공언한 일을 실행하라 신 23:24

# 맹세(:en:Oath)와 서약(:en:Vow)을 어기지 말라 민 30:3

# 토라에 명시된, 서약을 무효화하는 것에 관한 법에 해당하는 맹세나 서약은 무효가 된다 민 30:3

# 나실인은 머리를 길러야 한다 민 6:5

# 그는 머리를 깎지 말아야 한다 민 6:5

# 그는 포도주, 포도주 혼합물, 포도주 식초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민 6:3

# 그는 생 포도를 먹지 말아야 한다 민 6:3

# 그는 건포도를 먹지 말아야 한다 민 6:3

# 그는 포도씨를 먹지 말아야 한다 민 6:4

# 그는 포도 껍질을 먹지 말아야 한다 민 6:4

# 그는 시체와 같은 지붕 아래에 있지 말아야 한다 민 6:6

# 그는 죽은 자를 만지지 말아야 한다 민 6:7

# 그의 나실인으로서의 기간 완료에 따른 희생을 드린 후, 그는 그 머리를 깎아야 한다 민 6:9

# 토라의 규정에 따라 사람들의 가치(the value)를 추산하라 레위 27:2

# 봉헌된 동물의 가치를 추산하라 레위 27:12-13

# 봉헌된 가옥의 가치를 추산하라 레위 27:14

# 봉헌된 토지의 가치를 추산하라 레위 27:16

# 금지하는 소유물(헤렘)의 법을 수행하라 레위 27:28

# 헤렘을 팔지 말라 레위 27:28

# 헤렘을 사서 되돌리지 말라 레위 27:28

# 다양한 씨앗을 함께 심지 말라(:en:Kil'ayim) 레위 19:19

# 곡물이나 채소를 포도원에 심지 말라 신 22:9

# 동물의 이종 교배를 하지 말라 레위 19:19

# 다른 동물을 함께 일하게 하지 말라 신 22:10

# ''샤트네즈'', 양모와 아마로 엮은 천을 입지 말라 신 22:11

# 가난한 자를 위해 농지의 귀퉁이를 베어 남겨두라(:en:Pe'ah) 레위 19:10

# 그 귀퉁이를 베어들이지 말라 레위 19:9

# 이삭줍기(:en:Gleaning)를 남겨두라 레위 19:9

# 이삭을 줍지 말라 레위 19:9

# 포도원의 수확 누락을 남겨두라 레위 19:10

# 포도원의 수확 누락을 긁어모으지 말라 레위 19:10

# 익지 않은 포도를 남겨두라 레위 19:10

# 익지 않은 포도를 따지 말라 레위 19:10

# 농지에 잊어버린 묶음을 남겨두라 신 24:19

# 그것들을 회수하지 말라 신 24:19

# "가난한 자를 위한 십일조"를 분리하라 신 14:28

# 자선(:en:Tzedakah)을 베풀라 신 15:8

# 가난한 자로부터 자선을 보류하지 말라 신 15:7

# ''테루마 게돌라'' (''제사장''에게 주는 선물)을 떼어 내라 신 18:4

# 레위인은 십일조 중 그의 십일조를 떼어 내야 한다 민 18:26

# 적절한 방법으로 분리된 첫 열매를 십일조로 삼지 말라 출 22:28

# ''제사장''이 아닌 자는 ''테루마''(:en:Terumah)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2:10

# 고용된 노동자나 ''제사장''의 (일시적인) 노예인 유대인이 ''테루마''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2:10

# 무할례의 ''제사장''이 ''테루마''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하라 출 12:48

# 부정한 ''제사장''이 ''테루마''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2:4

# ''할라라'' (위의 169-172의 해당자)가 ''테루마''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하라 레위 22:12

# 각 재배 연도에, 그것을 레위인에게 주기 위해, ''마아세르''(십일조)를 떼어내라 민 18:24

# 두 번째 십일조 (''마아세르 셰니'')를 떼어 내라 신 14:22

# 식량, 음료, 또는 연고라 할지라도, 그 구제금에서 소비해서는 안 된다 신 26:14

# 부정한 기간 동안 ''마아세르 셰니''를 먹지 말라 신 26:14

# 장례자가 죽은 첫날에 ''마아세르 셰니''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하라 신 26:14

# ''마아세르 셰니''의 곡물을 예루살렘 밖에서 먹지 말라 신 12:17

# ''마아세르 셰니''의 포도주를 예루살렘 밖에서 먹지 말라 신 12:17

# ''마아세르 셰니''의 기름을 예루살렘 밖에서 먹지 말라 신 12:17

# 넷째 해에 열매가 맺힌 것은 그 전부를 ''마아세르 셰니''와 같은 성스러운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 레위 19:24

# 각 네 번째와 일곱 번째 해에 십일조의 고백을 읽으라 신 26:13

# 첫 열매(:en:First Fruits#Old Testament)를 떼어내어 그것들을 성전에 기증하라 출 23:19

# ''제사장''은 예루살렘 밖에서 첫 열매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하라 신 12:17

# 그 증정에 관한 토라의 부분(:en:Weekly Torah portion)을 읽으라 신 26:5

# 빵 반죽의 일부를 ''제사장''을 위해 떼어 내라 민 15:20

# 도살된 동물의 어깨, 양쪽 뺨, 위장을 ''제사장''에게 주라 신 18:3

# 깎은 양털의 첫 열매를 ''제사장''에게 주라 신 18:4

# 장남을 속죄하고, ''제사장''에게 금전을 주라(:en:Pidyon HaBen) 민 18:15

# ''제사장''에게 어린 양을 줌으로써 나귀의 첫 새끼를 속죄하라 출 13:13

# 만약 그 소유자가 속죄하려 하지 않는다면, 그 나귀의 목을 꺾으라 출 13:13

# 생산을 늘리는 어떤 일도 하지 않음으로써, 일곱째 해 기간 동안 땅을 쉬게 하라 출 34:21

# 일곱째 해의 기간 동안, 그 땅에서 일하지 말라 레위 25:4

# 그 해의 기간 동안, 과실이 열리는 나무에 손을 대지 말라 레위 25:4

# 그 해에 자연적으로 자란 농작물을 거두어들이지 말라 레위 25:5

# 그 해에 자연적으로 자란 포도를 모으지 말라 레위 25:5

# 그 해에 자란 모든 산물을 방치하라 출 23:11

# 일곱째 해에는 모든 대출금을 포기하라 신

5. 4. 세페르 하치누크

''세페르 하치누크''(교육의 책)는 일반적으로 마이모니데스의 613개 계명 계산법을 따르며, 계명이 토라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11] 랍비 문학에서 리쇼님과 이후 학자들이 계명을 명확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만든 저작물 중 하나이다.[11] ''세페르 하친누크''는 계명을 열거하고 관련 법률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mitzvothe 뒤에 숨겨진 철학적 이유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12] 이 책은 다양한 저자에게 귀속되었으며, 가장 흔하게는 바르셀로나의 랍비 아론 하레비(Ra'ahhe)에게 귀속되었지만, 실제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5. 5. 세페르 미츠보트 가돌

쿠시의 모세 벤 야곱의 저작이다.[11] 랍비 문학에서 613 계명을 명확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한 저작물 중 하나로, 세페르 미츠보트 가돌(SMaG)("계명의 큰 책")이 있다.[13]

613 계명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단일 목록은 존재하지 않으며, 목록마다 토라 구절을 해석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11] 다른 "계명"들은 일회성 행위로 제한되며, 다른 사람에게 구속력을 갖는 ""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1]

랍비 문학, 리쇼님과 이후 학자들은 계명을 명확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저작물을 만들었다:[11]

  • ''할라초트 게돌로트''("위대한 율법")는 랍비 시메온 카야라가 쓴 것으로 여겨지며, 613개의 를 열거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저작물이다.[12]
  • 랍비 사아디아 가온의 ("계명의 책")은 게오님 시대에 쓰여진 단순한 목록이다(그러나 나중에 랍비 예루참 피셸 페를로에 의해 확장되었다).[13]
  • 마이모니데스의 ''세페르 하미츠보트''("계명의 책")에는 나흐마니데스의 주석이 달려있다. 마이모니데스는 목록에 포함될 대상을 결정하는 14가지 규칙()을 사용한다.[13] 이 저작에서 그는 ''미드라쉬 할라카''와 게마라의 인용문을 통해 각 미츠바의 구체화를 뒷받침한다. 나흐마니데스는 여러 비판적인 요점을 제기하고 목록의 일부 항목을 다른 항목으로 대체한다.[13]
  • ''세페르 하친누크''("교육의 책")는 일반적으로 마이모니데스의 613개 계명 계산법을 따르며, 계명이 토라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쓰여져 있다. 는 계명을 열거하고 관련 법률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뒤에 숨겨진 철학적 이유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이 책은 바르셀로나의 랍비 아론 하레비 ()에게 가장 흔하게 귀속되었지만, 실제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 랍비 이스라엘 메이르 카간 ( "")의 는 마이모니데스의 계산법을 따르지만, 오늘날 관련된 계명만 제시한다. 특히, 이 목록은 성전 봉사, 의례적 정결, 희생 등에 관한 계명을 생략한다. 원래 저작은 모든 장소와 모든 시대에 관련된 계명만 포함했지만, 이후 판에는 오늘날 이스라엘 땅에서만 관련된 농업법이 포함되어 있다.

5. 6. 세페르 미츠보트 카탄

코르베유의 이츠하크가 저술한 세페르 미츠보트 카탄은 시 형태로 쓰여졌으며, 7개의 절로 나뉘어 매주 읽도록 구성되었다.[11] 이츠하크의 저작은 간결하지만, 대부분의 판본에는 긴 해설이 포함되어 있다.[11]

5. 7. 세페르 예레이임

랍비 문학, 리쇼님과 이후 학자들은 계명을 명확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저작물을 만들었다.[11] 그중 메츠의 엘리에제르의 저작은 ''세페르 예레이임''(『경외의 서』)이다.[11]

5. 8. 세페르 하미츠보트 (하페츠 하임)

랍비 이스라엘 메이르 카간(하페츠 하임)의 Sefer ha-Mitzvothhe마이모니데스의 계산법을 따르지만, 성전 봉사, 의례적 정결, 희생 등에 관한 계명을 생략하여 오늘날 적용 가능한 계명만을 제시한다.[11][13] 원래 저작은 모든 장소와 모든 시대에 관련된 계명만 포함했지만, 이후 판에는 오늘날 이스라엘 땅에서만 관련된 농업법이 포함되었다.[11]

6. 마이모니데스의 613개 계명 목록 (일부)

마이모니데스가 열거한 613개의 계명과 그 계명의 히브리 성경에서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Sefer HaMitzvot HaKatzar Feldheim
[2] 서적 The Concise Book of Mitzvoth: The Commandments which can be Observed Today Feldheim
[3] 웹사이트 Makkot 23b-24a https://www.sefaria.[...] Babylonian Talmud
[4] 문서 Rashi's commentary on Numbers 15:39 Numbers Rabbah 18
[5] 문서 Sifre Deuteronomy 76
[6] 문서 Yesod Mora, Chapter 2
[7] 문서 Nahmanides, Commentary to Maimonides' Sefer Hamitzvot, Root Principle 1
[8] 문서 Zohar Harakia
[9] Alhatorah
[10] 문서 Maalot haTorah Nachmanides, Sefer haEmunah vehaBitachon
[11] 웹사이트 Halakhah: Jewish Law / Torah 101 / Mechon Mamre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Halachot Gedolot" http://www.zomet.org[...]
[13] 웹사이트 The Ramban's Emendations to the Taryag Mitzvos - pt. I - Taryag https://outorah.org/[...] 2013-05-21
[14] 간행물 Ha-ʾOmnam Taryag Miẓvot http://www.shaanan.a[...] 2009
[15] 서적 Tanakh The Holy Scriptures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6] 서적 The Catholic Study Bible,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Hebrew Henotheism - Yahweh Elohim https://site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