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월드는 한국방송공사(KBS)가 운영하는 국제 방송 서비스이다. 1953년 외국어 라디오 방송 "자유 대한의 소리"로 시작하여, KBS 월드라디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3년에는 국제 텔레비전 채널인 KBS 월드가 개국했다. 현재 KBS 월드 라디오는 다양한 언어로 방송되며, KBS 월드 텔레비전은 KBS의 국내 방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한국어, 영어, 중국어 자막과 함께 제공된다. KBS 월드는 광고 방송을 하지 않으며, KBS 재팬, KBS 아메리카 등의 자회사를 통해 일본, 북미 등 특정 지역을 위한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KBS 1TV
KBS 1TV는 1961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공영 방송 KBS의 지상파 채널로, 시사, 뉴스,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업 광고 없이 운영되며, 대한민국 최초의 TV 방송국인 대한방송(DBC)의 역사를 잇고 24시간 방송과 UHD 방송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KBS 2TV
KBS 2TV는 1980년 동양방송의 TV 방송을 이어받아 개국한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 채널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전국에 동일한 편성을 방송하며 오락 및 예능 중심으로 편성을 전환하여 광고 방송 시간이 확대되는 등 한국 방송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 2003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MBC 에브리원
MBC 에브리원은 2007년 개국한 MBC 계열 케이블 TV 채널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며 DMB 서비스도 제공한다. - 2003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키즈톡톡 플러스
키즈톡톡 플러스는 LG헬로비전을 통해 송출되는 유료 어린이 채널이며, 다양한 어린이 프로그램을 2012년 10월 1일부터 24시간 방송하고 있다. - 국제방송 - 일본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NHK)는 1924년 도쿄방송국으로 설립되어 1926년 사단법인으로 통합된 후, 1950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어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공영 방송을 제공하며 수신료로 운영되지만, 수신료 징수 방식, 정치적 중립성, 내부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국제방송 - 중국중앙텔레비전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1958년 베이징 텔레비전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이며, 중국 공산당의 지휘를 받고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며 정치 선전 도구로 활용되면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KBS 월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채널 종류 | 국제 방송 서비스 |
방송 언어 | 한국어 (다국어 자막 제공) |
방송 지역 | 국제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3 콘텐츠 비즈니스 부서 |
소유주 | 한국방송공사 |
개국일 | 2003년 7월 1일 |
네트워크 | 한국방송공사 |
화질 | 1080i (HDTV) (표준 화질 텔레비전 송출 시 16:9 480i/576i로 다운스케일) |
자매 채널 | KBS1 KBS2 |
웹사이트 | world.kbs.co.kr |
서비스 정보 | |
지상파 서비스 (인도) | DD Free Dish LCN 112 |
온라인 서비스 | CBTV Sat LCN 408 |
위성 서비스 | (정보 없음) |
일본 (스카파!) | |
채널 명칭 | KBS World 한류 전문 채널 |
HD 채널 명칭 | KBS World 한류 전문 채널 HD |
캐치프레이즈 | More than you imazine 더 당신의 곁에 |
약칭 | (정보 없음) |
운영 사업자 | ケー・ビー・エスジャパン株式会社 (KBS Japan Co., Ltd.) |
구 채널 명칭 | (정보 없음) |
개국일 | 2006년 3월 1일 |
특별 위성 방송 | 동경 110도 CS |
특별 플랫폼 | 스카파! |
특별 사업자 | 株式会社スカパー・エンターテイメント (스카파! 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
특별 채널 | 317 (HD) |
독립 데이터 채널 | (정보 없음) |
ID | (정보 없음) |
물리 채널 | CS1-ND10 |
특별 HD 방송 시작일 | 2018년 10월 1일 |
장르 | 해외 드라마, 버라이어티, 한류 |
방송 내용 | 한국 KBS의 드라마, 뉴스, 다큐멘터리, 음악, 버라이어티 등 |
스카파! 채널 | 791 |
스카파! HD 채널 | 656 |
스카파! 개국일 | 2006년 3월 1일 |
스카파! HD 방송 시작일 | 2009년 10월 1일 |
스카파! 폐국일 | 2014년 5월 31일 |
재전송/배급 | 배급 |
히카리 TV | 552 (HD) |
eo 빛 TV | 890 (HD) |
J:COM | 756 |
기타 미디어 | (정보 없음) |
링크 | https://www.kbsworld.ne.jp/ |
특기 사항 | (정보 없음) |
2. 연혁
1953년, KBS의 외국어 라디오 방송이 "자유 대한의 소리"(The Voice of Free Koreaeng)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KBS가 1973년 3월 공영 방송으로 전환되기 전에 시작된 것이다. 1968년 7월, 이 방송은 KBS의 일부가 되었다. 1973년 3월에는 "라디오 코리아"(Radio Koreaeng)로 이름을 바꾸었고, 1994년 8월에는 "라디오 코리아 인터내셔널"(Radio Korea Internationaleng)로 다시 명칭을 변경했다.
대한민국의 공영방송사인 KBS가 운영하는 국제 방송 서비스로, 크게 라디오와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3년 7월 1일, 해외 거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 텔레비전 채널인 "KBS 월드"가 방송을 시작하였다. 2005년 3월, "라디오 코리아 인터내셔널"은 "KBS 월드 라디오"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2년 9월 3일에는 KBS 월드 채널에서 HD 방송이 시작되었다.
KBS 월드는 기본적으로 한국에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동일하게 편성되지만,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자체 편성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KBS 재팬 주식회사"가 별도의 채널을 운영한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등 방송 대상 시청자를 위한 자막과 함께 제공된다.
3. 서비스
KBS 월드 라디오는 대한민국의 유일한 대외 외국어 라디오 방송으로, 다양한 언어를 통해 뉴스, 문화, 음악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전 세계에 송출한다.
KBS 월드 텔레비전은 2003년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KBS의 국내 프로그램을 전 세계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주로 한국어로 방송되지만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 자막을 지원하며, 일본, 인도네시아, 북미 등 특정 지역을 위한 별도 채널도 운영 중이다.
3. 1. 라디오
3. 1. 1. KBS 월드 라디오
KBS 월드 라디오는 대한민국 유일의 대외 홍보 외국어 방송으로, 뉴스, 문화, 음악, 오락, 한국어 강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현재 한국어,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중국어, 스페인어, 인도네시아어, 아랍어, 독일어, 베트남어 및 광둥어로 방송된다.
3. 2. 텔레비전
KBS 월드의 텔레비전 방송은 2003년에 시작되었다. 이는 1953년 "자유 대한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라디오 방송에 이은 것이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KBS의 국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송출하며, 주로 한국어로 방송되지만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자막도 제공한다. 최신 드라마 시리즈가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와 같은 해외 플랫폼이나 Viu(동남아시아, 중동, 남아프리카), Viki/Kocowa(그 외 시장) 등에 판매될 경우, 이전 드라마 시리즈를 편성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는 전 세계에 동일한 편성을 제공하지만, 특정 지역 시청자를 위해 KBS 자회사가 운영하는 별도 채널들이 있다. 일본의 KBS 월드, 인도네시아의 KBS 월드, 북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의 KBS 아메리카와 KBS 라티노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2021년 7월 1일에는 무료 온라인 뉴스 및 다큐멘터리 채널이었던 KBS 월드 24가 재외 한국인을 주 대상으로 하는 '''KBS 코리아'''로 개편되어 KBS1의 뉴스 및 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고 있다.[1]
3. 2. 1. KBS 월드 텔레비전
KBS 월드 텔레비전은 KBS의 국내 텔레비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주로 한국어로 방송되지만,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자막을 제공한다. 최신 드라마 시리즈가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와 같은 해외 라이선스 제공업체나 Viu(동남아시아, 중동, 남아프리카), Viki/Kocowa(그 외 시장) 등에 판매된 경우에는 이전 드라마 시리즈를 방송하기도 한다.
KBS 월드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편성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KBS 자회사가 운영하는 별도의 채널이 제공된다.
또한, 무료 온라인 뉴스 및 다큐멘터리 채널이었던 '''KBS 월드 24'''는 2021년 7월 1일 '''KBS 코리아'''로 명칭을 변경하고, 주로 재외 한국인을 위해 KBS1의 뉴스 및 문화 중심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로 개편되었다.[1]
텔레비전 방송은 2003년에 시작되었으며, 이는 1953년 "자유 대한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라디오 방송에 이은 것이다.
=== 일본에서의 KBS 월드 ===
일본에서 운영되는 KBS 월드는 "KBS 재팬 주식회사"가 스카이 퍼펙트 TV! 프리미엄 서비스, 스카이 퍼펙트 TV! 프리미엄 서비스 광,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을 통해 송출한다. 생방송으로 동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 전체와 K-POP 중심의 음악 프로그램(예: 뮤직뱅크, KBS 가요대축제)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일본어 자막을 넣어 방송한다. 과거 인기 드라마를 모아 방송하는 명작선도 편성하고 있다. (한국방송공사#일본에서의 시청 방법 참조)
지연 방송되는 음악 프로그램에는 자막이 제공되므로, 자막이 없는 생방송 버전은 "자막 없음 버전"으로 구분된다. 상업 광고의 경우, 스테이션 브레이크 시간에는 일본 시장을 겨냥한 일본어 광고가 나가지만,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은 KBS 2TV의 신호를 직접 받아 송출하므로 한국 내 광고(타임 CM)가 그대로 방송된다.
2018년 10월 1일에는 스카이 퍼펙트 TV! (동경 110도 CS 방송) (Ch.317)에서도 방송을 시작했으며(위성 간선 방송 사업자는 스카이 퍼펙트 엔터테인먼트), 같은 해 10월 10일부터 스카이 퍼펙트 TV!의 주요 패키지(기본 플랜, 셀렉트 5, 셀렉트 10)에 포함되었다.
2021년 10월 1일, 채널 명칭을 "'''KBS 월드 한류 전문 채널'''"로 변경하였다.
=== 주요 프로그램 ===
프로그램명 | 비고 |
---|---|
KBS 뉴스광장 | |
KBS 뉴스 12 | 2015년 9월 30일 종료 |
KBS 뉴스 9 | |
가요무대 | |
열린음악회 | |
KBS 전국노래자랑 | |
VJ 특공대 | |
뮤직뱅크 | |
KBS 가요대축제 | |
KBS 연예대상 | |
KBS 연기대상 |
3. 2. 2. 지역별 채널
KBS 월드는 특정 시장을 대상으로 KBS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별도의 채널들을 제공하고 있다.
'''KBS 재팬 / KBS 월드 한류 전문 채널'''
KBS 재팬은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며, KBS의 뉴스 및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편성하여 2006년 4월 1일부터 일본 전역에 방송하고 있다. 스카이 퍼펙트 TV! 프리미엄 서비스, 스카이 퍼펙트 TV! 프리미엄 서비스 광,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을 통해 송출된다. 2018년 10월 1일부터는 스카이 퍼펙트 TV! (Ch.317)에서도 방송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 10일부터는 스카이 퍼펙트 TV!의 주요 패키지 상품 구성 채널이 되었다.
생방송으로 동시 방송되는 보도 프로그램과 K-POP 중심의 음악 프로그램(뮤직뱅크, KBS 가요대축제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에는 일본어 자막이 제공된다. 과거에 방송된 드라마 명작선도 방송하고 있다. 자막이 없는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은 "자막 없음 버전"으로 구분된다. 광고의 경우, 스테이션 브레이크에는 일본 시장을 위한 일본어 광고가 나가지만,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은 KBS 2TV의 방송을 그대로 받아 송출하므로 한국 광고가 그대로 방송된다.
2021년 10월 1일, 채널 명칭을 "'''KBS 월드 한류 전문 채널'''"로 변경했다.
프로그램명 |
---|
KBS 뉴스광장 |
KBS 뉴스 12 (2015년 9월 30일 종료) |
KBS 뉴스 9 |
가요무대 |
열린음악회 |
KBS 전국노래자랑 |
VJ 특공대 |
뮤직뱅크 |
KBS 가요대축제 |
KBS 연예대상 |
KBS 연기대상 |
'''KBS 아메리카 / KBS 라티노'''
KBS 아메리카는 북미와 남미 시청자를 대상으로 운영된다. 주로 KBS의 뉴스 및 교양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영어 기반의 KBS 아메리카 채널과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기반의 KBS 라티노 채널이 있다. 2014년 7월 21일부터 유튜브를 통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는 한인 교민이 많이 거주하는 미국 LA 지역으로 송출되고 있다.
'''KBS 월드 (인도네시아 TV 채널)'''
인도네시아 버전 KBS 월드는 OKTN이 운영하며, 인도네시아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다.
'''KBS 코리아'''
KBS 코리아는 이전의 무료 온라인 뉴스 및 다큐멘터리 채널이었던 KBS 월드 24가 2021년 7월 1일에 리브랜딩된 채널이다.[1] 주로 재외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며, KBS1의 뉴스 및 문화 중심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4. 특징
KBS 월드는 상업 광고 없이 수신료로 운영되는 채널이다. 이는 KBS 1TV, KBS 제1라디오, KBS 제1FM, KBS 제3라디오, KBS 한민족방송, KBS 월드라디오, KBS N 플러스, KBS 아메리카, KBS 코리아, EBS 2TV, EBS FM, KTV 국민방송, TBN FM 등과 동일한 특징이다.[2] 수신료 기반 운영 덕분에 광고 없이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다.[3]
라디오 방송은 1953년 "자유 대한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텔레비전 방송은 2003년에 시작되었다. 기본적으로는 한국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을 전 세계로 동일하게 송출하지만,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자체 편성을 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일본에서는 "KBS 재팬 주식회사"가 별도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스카이 퍼펙트 TV! 프리미엄 서비스, 스카이 퍼펙트 TV! 프리미엄 서비스 광,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일본 시청자를 위해 생방송으로 동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 전체와 K-POP 중심의 음악 프로그램(뮤직뱅크, KBS 가요대축제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에는 일본어 자막이 제공된다. 과거에 방송되었던 인기 드라마들도 다시 편성하여 방송하고 있다. 자세한 시청 방법은 해당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음악 프로그램 중 지연 방송되는 경우에는 자막이 포함되며, 자막이 없는 생방송 버전은 "자막 없음 버전"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광고의 경우, 프로그램 사이의 스테이션 브레이크 시간에는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일본어 광고(CM)가 송출된다. 하지만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은 KBS 2TV의 신호를 직접 받아 방송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방송되는 광고(타임 CM)가 그대로 노출된다.
2018년 10월 1일부터는 스카이 퍼펙트 TV! (Ch.317)에서도 방송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 10일부터는 "스카이 퍼펙트 TV! 기본 플랜", "스카이 퍼펙트 TV! 셀렉트 5", "스카이 퍼펙트 TV! 셀렉트 10" 패키지에도 포함되었다.
2021년 10월 1일, 일본 내 채널 명칭이 "KBS 월드 한류 전문 채널"로 변경되었다.
'''주요 프로그램'''
5. 해외 제휴 방송국
참조
[1]
Youtube
(ENG) KBS KOREA channel Spot ! KBS KOREA 210701
https://www.youtube.[...]
KBS WORLD TV
2021-06-30
[2]
문서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