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SHV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SHV(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는 1994년 발견된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카포시 육종(KS)을 포함한 여러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바이러스는 1872년 처음 기술되었으며, AIDS 환자에게서 카포시 육종 발생이 증가하면서 관련성이 주목받았다. KSHV는 큰 이중 가닥 DNA 바이러스로, 잠복 상태와 용해성 복제를 하며, 숙주 세포의 다양한 유전자를 훔쳐와 종양 발생에 관여한다. 감염은 면역 저하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혈청 유병률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현재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COVID-19 감염과의 연관성 또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병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원인인 자궁 경부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 시 질 분비물 증가, 성교통, 골반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조직 생검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HPV 백신 접종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성병 - 매독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둠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1기, 2기, 잠복기, 3기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고 피부 발진, 궤양 등의 증상이나 심혈관계, 신경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조기 진단과 페니실린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
  • 감염성 암원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 감염성 암원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원인인 자궁 경부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 시 질 분비물 증가, 성교통, 골반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조직 생검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HPV 백신 접종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IARC 1군 발암 물질 - 토륨
    토륨은 은백색의 방사성 악티늄족 금속 원소로,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며 지구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지만, 방사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IARC 1군 발암 물질 - 황화 카드뮴
    황화 카드뮴은 카드뮴 염을 황 이온으로 침전시켜 제조하며, 반도체, 안료 등으로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어 흡입 시 위험하고 발암 물질로 분류된다.
KSHV
바이러스 분류
상위 분류라디노바이러스
인간 감마헤르페스바이러스 8형
식별
카포시 육종
ICTV Master Species ListICTV Master Species List 2018b.v2
질병과의 연관성
관련 질병카포시 육종
AIDS 관련 체강 림프종

2. 역사

1872년 모리츠 카포시는 혈관 종양[4] (원래는 "특발성 다발성 피부 색소 육종")을 처음 기술했으며, 이는 후에 카포시 육종(KS)으로 명명되었다.[52] 초기에는 유대인지중해 지역 사람들에게 드물게 발생하는 종양으로 여겨졌으나, 나중에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매우 흔한 질병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50년대에 이 종양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이 처음 제기되었다.

1980년대 초 AIDS가 유행하면서 카포시 육종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보고된 AIDS 환자의 최대 50%가 카포시 육종을 앓고 있었는데, 이는 매우 이례적인 암 발병률이었다.[5] 특히 동성애자와 양성애자 AIDS 환자에게서 높은 발병률이 보고되었다. 역학자 Valerie Beral, Thomas Peterman, 해럴드 Jaffe는 역학 자료 분석을 통해, 카포시 육종이 평소에는 거의 종양을 일으키지 않다가 AIDS와 같이 숙주의 면역 억제 상태가 되면 발병하는, 알려지지 않은 성매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을 제기했다.[6][53]

카포시 육종의 현미경 사진. H&E 염색.


1984년 초, 일부 과학자들은 전자 현미경으로 카포시 육종 조직을 검사하여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유사한 구조를 발견했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당시 과학계는 거대세포 바이러스나 HIV를 포함한 20가지 이상의 잠재적 원인 인자를 탐색하고 있었다.

결정적인 발견은 1994년 컬럼비아 대학교의 부부 연구팀인 장위안과 패트릭 S. 무어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들은 AIDS 환자의 카포시 육종 조직에서 새로운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분리하여 처음으로 KSHV(카포시 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동정했다.[7][8][9][54] 연구팀은 representational difference analysis(RDA) 기법을 사용하여 환자의 종양 조직과 정상 조직의 DNA를 비교 분석했다. 이 방법은 만약 특정 바이러스가 암의 원인이라면, 암 조직 DNA에만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다. 초기 RDA 실험에서 분리된 작은 DNA 조각들은 기존에 알려진 헤르페스 바이러스와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의 존재를 시사했으며,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2년 이내에 KSHV의 전체 유전체 서열을 밝혀냈다.

KSHV의 발견 초기에는 이 바이러스가 실제로 카포시 육종의 원인인지에 대해 과학계 내에서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10] 그러나 이후 축적된 연구 결과들은 KSHV가 카포시 육종 발병의 주요 원인임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현재 KSHV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인구에게 널리 퍼져 있으며, 지중해 연안 국가(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이탈리아, 그리스 등)에서는 중간 정도의 감염률을, 북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는 낮은 감염률을 보인다. 동성애자와 양성애자 남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성적 전파 경로를 통해) 감염에 더 취약하지만, 개발 도상국에서는 바이러스가 비성적 경로를 통해 전파된다.

3. 바이러스학 (Virology)

KSHV는 헤르페스바이러스과에 속하는 큰 이중 가닥 DNA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 입자는 핵산을 감싸는 단백질 껍질인 캡시드, 그 주위를 둘러싼 비정형 단백질 층인 테구멘트, 그리고 가장 바깥쪽에는 세포막에서 유래한 지질 외피로 구성되어 있다.

KSHV의 유전체는 약 165,000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유전체는 약 145 킬로베이스(kb) 길이의 고유한 영역과 그 양 끝에 위치한 약 20-30 kb 길이의 말단 반복 서열(terminal repeat sequences)로 구성된다. 고유 영역에는 바이러스 발현에 필요한 모든 유전자가 암호화되어 있다.[11] 각 말단 반복 단위는 801 염기쌍(bp) 길이에 구아닌(G)과 사이토신(C) 함량이 85%에 달하며, 머리-꼬리(head-to-tail) 방향으로 반복 배열되어 있다.

KSHV는 헤르페스바이러스 아과 중 라디노바이러스에 속한다. 특히 KSHV는 숙주 세포로부터 다양한 유전자를 획득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다른 인간 종양 바이러스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 특징이다. KSHV가 보유한 숙주 유래 유전자의 예는 다음과 같다.

KSHV가 보유한 숙주 유래 유전자 예시
유전자 종류예시
면역 조절 관련보체계 결합 단백질, IL-6, 인터페론 조절 인자, Flice 억제 단백질(FLIP)
세포 생존 및 증식 관련BCL-2, 사이클린-D,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DNA 합성 관련디히드로폴산 환원효소, 티미딘 키나아제, 티미딜레이트 합성효소, DNA 중합효소



이러한 유전자들은 KSHV가 숙주 세포의 세포 주기, 세포 사멸, 면역 반응 등을 조절하고 종양 형성에 기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다른 인간 종양 바이러스들이 KSHV와 동일한 숙주 유래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많은 종양 바이러스들이 유사한 세포 조절 경로, 특히 종양 억제 유전자 경로를 표적으로 삼는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3. 1. 세포 침투 및 잠복

KSHV가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데에는 EPH 수용체 A2,[13] Hrs,[14] TSG101,[15] 그리고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몇 가지 인테그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12][16] 세포에 감염된 후, 바이러스는 마크로피노솜이라는 경로를 통해 림프구 안으로 들어간다. 바이러스가 세포를 새롭게 감염시키면, 바이러스 입자를 둘러싼 지질 막이 벗겨지고 바이러스 입자는 세포의 으로 이동한다. 핵 안에서 바이러스 유전체는 에피솜 형태로 원형화되어 방출되는데, 이 과정은 바이러스 유전체 양 끝에 있는 말단 반복 부위의 상동 재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바이러스 에피솜은 숙주 세포 핵으로 들어가면서 염색질 구조를 갖추게 된다.[17]

세포 침투 후,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활동을 멈추고 잠복 상태에 들어간다. 이 잠복기 동안에는 KSHV 잠복 관련 영역(KLAR)에서 만들어지는 일부 유전자만 발현되는데, 여기에는 잠복 관련 핵 항원(LANA), vFLIP, v사이클린, 그리고 12개의 마이크로RNA가 포함된다. 잠복기는 KSHV와 관련된 모든 질병, 특히 현재까지 알려진 모든 KSHV 관련 종양 발생의 특징적인 단계이다. LANA와 같은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뿐만 아니라 KLAR에서 만들어지는 마이크로RNA와 같은 비암호화 유전자들도 KSHV 관련 종양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마이크로RNA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박미드(BACmid) 돌연변이 유발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RNA가 제거된 돌연변이 바이러스를 만들고 이를 세포주에 감염시켜 연구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18] 또한, vFLIP과 v사이클린은 숙주 세포의 종양 유전자 클러스터인 mir17-92를 활성화시켜 TGF-β 신호 전달 경로를 간접적으로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이는 KSHV 종양 발생과 카포시 육종(KS)의 특징인 혈관 신생에 중요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잠복기 동안 LANA는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유일한 바이러스 단백질이며, 실제 복제는 숙주 세포의 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LANA는 바이러스 DNA를 숙주 세포의 염색체에 부착시키고, 세포의 종양 억제 유전자인 p53과 망막모세포종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한다. 또한, 바이러스 입자를 생산하고 조립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들의 발현(용해성 복제)을 억제하여 잠복 상태를 유지한다. 잠복기 동안 왜 일부 바이러스 유전자만 발현되는지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잠복기 동안 KSHV 에피솜이 특정 후성 유전 상태를 획득하기 때문인 것으로 일부 설명된다. LANA는 잠복기 동안 숙주와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모두 조절하고 여러 활성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염색질에서 H3K4me3 표지를 만드는 숙주 단백질 hSET1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3. 2. 용해성 복제 (Lytic Replication)

염증과 같은 다양한 신호는 바이러스가 용해성 복제 단계로 들어가도록 유발할 수 있다. 잠복 상태와 용해성 복제 사이의 전환을 담당하는 주요 바이러스 단백질은 ORF50 복제 전사 활성 인자(RTA)로 알려져 있다.[21] 세포 신호 조건이 RTA 생성을 활성화하면, RTA는 차례로 바이러스 캡시드의 구성 요소와 바이러스 유전체를 복제하는 데 필요한 DNA 합성 효소를 만드는 일련의 이차 및 삼차 바이러스 단백질의 합성을 활성화한다.[21]

용해성 복제 동안, 바이러스 유전체는 에피솜에서 연속적인 선형 분자(소위 회전 원 모델)로 복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각 단위 유전체가 복제되면, 말단 반복 영역 내에서 절단된 다음 바이러스 입자(비리온)에 포장된다. 그런 다음 바이러스는 핵과 세포질을 통과하여 세포를 빠져나가면서 지질 막으로 싸이게 된다. 따라서, KSHV 유전체는 잠복 감염된 세포의 핵에서는 원형이지만, 감염성 바이러스로 선형 분자 형태로 포장된다. 바이러스가 용해성 복제에 들어가면, 수천 개의 바이러스 입자가 단일 세포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감염된 세포의 죽음을 초래한다.

3. 3. COVID-19와의 관련성

2020년, SARS-CoV-2 바이러스(COVID-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 감염이 인체 내에서 KSHV의 용해성 재활성화를 유도하여, 잠복 상태의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활동을 재개하고 암세포 형성을 시작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SARS-CoV-2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일부 약물, 특히 나파모스타트아지트로마이신이 성숙한 비리온(바이러스 입자)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잠재적으로 KSHV 용해성 재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22]

4.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바이러스 감염 경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건강한 사람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면역 체계가 감염을 억제하기 때문에 증상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평생 지속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건강한 면역 체계는 바이러스를 억제하며, KSHV에 감염된 많은 사람들은 어떤 증상도 보이지 않는다.

감염은 특히 면역 저하 환자에게 문제가 되는데,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 AIDS 환자, 장기 이식 환자는 모두 감염 징후를 보일 위험이 높다. 카포시 육종은 KSHV에 감염된 사람이 에이즈, 의료 치료 또는 매우 드물게 노화로 인해 면역 저하가 되면 발생한다.

최근의 시퀀싱 기술 발전으로 바이러스가 잠복 상태 동안 염색질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바이러스가 암호화한 마이크로RNA는 숙주 mRNA뿐만 아니라 숙주의 긴 비암호화 RNA(lncRNA)를 조절하고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 더욱 최근에는 EBV와 KSHV에서 순환 RNA(circRNA)가 발견되었다.[24][25][26]

KSHV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병의 알려진 원인 물질이다:[27][28]

질병설명
카포시 육종피부(가장 흔함), 림프절 또는 내장을 침범할 수 있는 혈관 증식성 종양
HHV-8 관련 다발성 캐슬만병림프 증식성 질환
원발성 삼출 림프종미성숙 형질 세포인 형질모세포라고 불리는 B 세포를 포함하는 KSHV 관련 공격성 림프종으로, 형질모세포 분화 림프성 신생물의 한 유형으로 간주됨
KSHV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후군다발성 캐슬만병(MCD)과 유사한 증상이 있지만 관련 병리학은 없는 증후군


5. 관련 질병

KSHV는 다음 네 가지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7][28]


  • 카포시 육종: 피부(가장 흔함), 림프절 또는 내장을 침범할 수 있는 혈관 증식성 종양.
  • HHV-8 관련 다발성 캐슬만병: 림프 증식성 질환.
  • 원발성 삼출 림프종: 미성숙 형질 세포인 형질모세포라고 불리는 B 세포를 포함하는 KSHV 관련 공격성 림프종으로, 형질모세포 분화 림프성 신생물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
  • KSHV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후군: 다발성 캐슬만병(MCD)과 유사한 증상이 있지만 관련 병리학은 없는 증후군.

6. 역학 (Epidemiology)

1970년대 기준으로, HHV-8(KSHV)의 전 세계 유병률은 2~10% 수준이었다.[29] HHV-8의 혈청 유병률은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북유럽, 동남아시아, 카리브해 국가에서는 2~4% 수준으로 낮게 나타난다.[30] 반면, 지중해 국가에서는 약 10%,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약 40%로 높은 감염률을 보인다.[31] 남아메리카에서는 전반적으로 감염률이 낮지만, 아메리카 원주민 집단에서는 높은 유병률이 관찰된다.[32] 한 국가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커서, 예를 들어 중국의 경우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감염률은 약 19.2%인 반면, 후베이성은 약 9.5%로 나타났다.[33]

KSHV(HHV-8) 지역별 혈청 유병률[30][31][32][33]

지역혈청 유병률 (%)
북유럽, 동남아시아, 카리브해 국가2~4
지중해 국가약 10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약 40
남아메리카 (전반)낮음
남아메리카 (아메리카 원주민)높음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19.2
중국 후베이성9.5



HHV-8 혈청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일관되게 나타난다.[33][34][35][36] 그러나 감염률이 높은 국가에서는 젊은 연령층에서도 높은 혈청 유병률을 보일 수 있다.[37] 교육 수준은 감염률과 반비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4][35] 또한, HIV-1 또는 생식기 사마귀에 감염된 개인은 HHV-8에 동시 감염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1][33][38]

HHV-8의 감염 양상은 지역별 혈청 유병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혈청 유병률이 낮은 국가에서는 HHV-8 감염이 주로 AIDS 및 카포시 육종(KS) 환자에게 국한되는 경향을 보인다.[39] 반면, 혈청 유병률이 높은 국가에서는 어린 시절에 감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며,[40] 이는 타액을 통한 수직 감염이 주요 경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41][42] 잠비아에서 실시된 한 연구에서는 카포시 육종 환자인 아동의 어머니는 모두 HHV-8 양성이었지만, 어머니가 카포시 육종 환자라고 해서 모든 아동이 HHV-8 양성인 것은 아니었다.[43] 다른 잠비아 연구에서는 4세까지 아동의 13.8%가 HHV-8에 대해 혈청 반응 양성을 보였다.[44] 혈청 유병률은 성별이나 결혼 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36]

7. 진화 (Evolution)

지중해, 이란, 중국 신장 지역에서 이 바이러스의 가장 최근 공통 조상은 약 29,872년 전(95% 최고 확률 밀도 26,851–32,760년 전)에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45] 신장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의 가장 최근 공통 조상은 약 2,037년 전(95% 최고 확률 밀도 1,843–2,229년 전)으로 추정된다. 로마 제국 시대에 지중해와 신장 지역 사이의 역사적 연관성을 고려할 때, 이 바이러스가 실크로드를 따라 신장 지역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돌연변이율은 연간 위치당 3.44 x 10-6 개의 치환(95% 최고 확률 밀도 2.2 x 10-6 ~ 4.71 x 10-6)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KSHV의 다양한 유전자형의 전 세계적 분포와 잠재적 전파 경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은 가변적인 K1 막 단백질을 기반으로 분류하며, 현재 6가지 유형(A–F)이 알려져 있다.[46]

8. 예방 (Prevention)

KSHV 감염자는 증상이 없어도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 따라서 성 파트너와 피임 없는 성관계를 피하고, 필요한 경우 콘돔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딥 키스와 같이 타액을 공유할 수 있는 성적 활동은 KSHV 감염 가능성이 있는 파트너와는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9. 치료 (Treatment)

카포시 육종은 일반적으로 국소적인 경우 수술 또는 국소 방사선 치료로 치료할 수 있다. 침윤성 질환에는 항암 화학 요법으로 리포좀 안트라사이클린이나 파클리탁셀 같은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KSHV와 같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복제를 막는 항바이러스제(예: 간시클로비르)는 카포시 육종 발생 예방에는 효과가 있었으나,[47] 이미 종양이 발생한 후에는 거의 효과가 없다.

AIDS 관련 카포시 육종(AIDS-KS)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HIV 감염을 줄이는 고활성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법(HAART)이다.[48] 적절한 항HIV 치료를 받으면 카포시 육종 발생률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다.

KSHV는 숙주의 면역계를 손상시키지만, 이를 회복시키려는 임상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면역 요법은 면역 세포 기능을 회복시키고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면역 요법 중에서는 PD-1이나 PD-L1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다. KSHV 감염은 면역 회피를 유발하는 PD-1 발현을 증가시킨다. PD-1을 억제하는 항체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는 항종양 효과를 보였으며,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포말리도마이드는 MHC-1 발현을 회복시켜 T 세포가 종양 세포를 인식하도록 돕고, PD-L1 발현을 억제하여 T 세포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49]

10. KSHV 유전자 (KSHV Genes)

KSHV는 약 90개의 유전자와 마이크로RNA(miRNA)와 같은 여러 비부호화 RNA를 암호화한다.[50] "ORF" 유전자는 처음 기술된 라디노바이러스인 사이미리 헤르페스바이러스(Herpesvirus saimiri)에서 상동 유전자의 게놈 위치를 기반으로 명명되었다. "K" 유전자는 KSHV에 고유하다. 일부 KSHV 유전자는 잘 알려진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유전자는 아직 기능이 밝혀지지 않았다.

=== ORF 유전자 ===

유전자기능
ORF2디히드로폴산 환원 효소 (Dihydrofolate reductase)
ORF8gB – 바이러스 진입에 관여하는 외피 당단백질
ORF9Pol8 – 바이러스 DNA 복제에 필요한 DNA 중합 효소 (DNA polymerase)
ORF10RNA 수출 및 I형 인터페론(IFN) 반응 조절
ORF16vBcl-2
ORF18, ORF24, ORF30, ORF31, ORF34, ORF66후기 유전자 발현에 필요한 바이러스 전사 인자
ORF21vTK – 티미딘 키나아제 (Thymidine kinase)
ORF22gH – 바이러스 진입에 관여하는 외피 당단백질
ORF23기능 미특성화
ORF25, ORF26, ORF65캡시드 단백질
ORF33바이러스 입자 형성에 관여
ORF34기능 불분명
ORF35기능 불분명, 돌연변이 시 초기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불가
ORF36vPK – 복제 주기에 여러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 단백질 키나아제 (Protein kinase)
ORF37SOX – 이중 기능 단백질: 게놈 포장에 필요한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DNase) 활성 및 숙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리보뉴클레아제(RNase) 활성
ORF38바이러스 입자 형성에 관여
ORF39gM – 외피 당단백질
ORF40, ORF41헬리케이스 및 프리마아제 – DNA 복제
ORF42기능 미특성화
ORF45테구멘트 단백질, p90 리보솜 S6 키나아제(RSK) 및 ERK의 탈인산화를 결합하고 방지하여 ERK/RSK MAPK 신호 전달 경로 조절
ORF47gL – 바이러스 진입에 관여하는 외피 당단백질
ORF49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에 필요할 수 있음
ORF50RTA, 복제 및 전사 활성화제 – 용해성 KSHV 재활성화를 유도하는 주요 전사 인자
ORF52KicGAS – 테구멘트 단백질, 비리온 형성에 필요하며 cGAS DNA 감지 억제
ORF53gN – 외피 당단백질
ORF55기능 미특성화
ORF57MTA – 바이러스 유전자의 RNA 안정성, 수출 및 번역 조절
ORF59PF–8 – 중합 효소 공정성 인자(Polymerase processivity factor), 바이러스 DNA 중합 효소의 부속 하위 단위
ORF67, ORF69핵 방출(Nuclear egress)
ORF70티미딜산 합성 효소 (Thymidylate synthase)
ORF72v사이클린 (vCyclin)
ORF73LANA, 잠복 관련 핵 항원 – 잠복기 동안 게놈을 염색체에 고정하며 숙주 유전자 발현도 조절. LANA의 세포질 형태는 면역 반응 활성화 억제 가능.
ORF74vGPCR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ORF75FGARAT (Phosphoribosylformylglycinamidine synthase)



=== K 유전자 ===

유전자기능
K1종양 발생에 관여
K2인터루킨 6(IL-6) 상동체
K3, K5유비퀴틴 E3 리가아제 – 항원 제시 조절
K4vCCL2 – 케모카인
K4.1vCCL3 – 케모카인
K8전사 억제 인자 – 크로마틴 조절
K8.1외피 당단백질
K9vIRF1, 바이러스 인터페론 조절 인자 1
K10vIRF4. 이 좌위에서 고리형 RNA(circRNA)도 생성됨.
K10.5vIRF3 (초기에는 LANA2로 지정됨) – PEL 세포주에서 잠복기 동안 발현되지만, 모든 vIRF와 마찬가지로 진정한 용해성 인자이기도 함.[51]
K11vIRF2
K12카포신 (Kaposin)
K13vFLIP



=== 비부호화 RNA ===


  • '''PAN RNA''' (Polyadenylated nuclear RNA): 비부호화 선형 및 고리형 RNA.
  • '''miRNAs''' (mirKs): 증식 및 세포자살을 조절하기 위해 잠복기 동안 발현되는 바이러스 마이크로RNA. 숙주 mRNA뿐만 아니라 숙주의 긴 비암호화 RNA(lncRNA)를 조절하고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
  • '''순환 RNA''' (CircRNA): 최근 EBV와 KSHV에서 발견되었다.[24][25][26] K10 좌위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CTV Master Species List 2018b.v2 https://web.archive.[...] 2019-06-13
[2] 논문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Like DNA Sequences in AIDS-Related Body-Cavity–Based Lymphomas
[3] 논문 Aids-related malignancies
[4] 논문 Idiopathisches multiples Pigmentsarkom der Haut https://zenodo.org/r[...]
[5] 웹사이트 Kaposi's sarcoma in HIV-infected pati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s://www.infectio[...] Infectious Diseases and Tropical Medicine 2023-02-21
[6] Submitted manuscript Kaposi's sarcoma among persons with AIDS: a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https://zenodo.org/r[...]
[7] 논문 Identification of herpesvirus-like DNA sequences in AIDS-associated Kaposi's sarcoma https://zenodo.org/r[...]
[8] 논문 Detection of herpesvirus-like DNA sequences in Kaposi's sarcoma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HIV infection 1995-05
[9] 논문 Kaposi's Sarcoma
[10] 논문 Addressing Controversies Over Kaposi's Sarcoma 2000-05
[11] 논문 Nucleotide sequence of the Kaposi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HHV8) 1996-12
[12] 논문 KSHV Entry and Trafficking in Target Cells-Hijacking of Cell Signal Pathways, Actin and Membrane Dynamics 2016-11-14
[13] 논문 The ephrin receptor tyrosine kinase A2 is a cellular receptor for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2012-06
[14] 논문 ESCRT-0 Component Hrs Promotes Macropinocytosis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in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2016-04
[15] 논문 ESCRT-I Protein Tsg101 Plays a Role in the Post-macropinocytic Trafficking and Infection of Endothelial Cells by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2016-10
[16] 논문 Integrins as Herpersvirus Receptors and Mediators of the Host Signalosome 2016-07
[17] 논문 KSHV Genome Replication and Maintenance 2016-02
[18] 논문 A Toolbox for Herpesvirus miRNA Research: Construction of a Complete Set of KSHV miRNA Deletion Mutants 2016-02-19
[19] 논문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 Induces the Oncogenic miR-17-92 Cluster and Down-Regulates TGF-β Signaling. 2015
[20] 논문 LANA binds to multiple active viral and cellular promoters and associates with the H3K4methyltransferase hSET1 complex. 2014-07
[21] 논문 Identification of Direct Transcriptional Targets of the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Rta Lytic Switch Protein by Conditional Nuclear Localization 2008-11
[22] 웹사이트 SARS-CoV-2 and anti-COVID-19 drugs activate Kaposi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https://www.news-med[...] News Medical Life Sciences 2020-10-06
[23] 논문 microRNA dependent and independent deregulation of long non-coding RNAs by an oncogenic herpesvirus. 2017-07
[24] 논문 Circular DNA tumor viruses make circular RNAs. 2018-09-11
[25] 논문 Discovery of Kaposi's sarcoma herpesvirus-encoded circular RNAs and a human antiviral circular RNA. 2018-12-11
[26]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Gammaherpesvirus Circular RNA Repertoires: Conserved and Unique Viral Circular RNAs. 2019-03-15
[27] 논문 Kaposi sarcoma herpesvirus-associated cancers and related diseases https://zenodo.org/r[...] 2017
[28] 논문 Lymphoid Neoplasms With Plasmablastic Differentiation: A Comprehensive Review and Diagnostic Approaches 2020-03
[29] 논문 The Enigmas of Kaposi's Sarcoma https://www.science.[...] 1998-12-04
[30] 논문 Epidemiology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in Asia: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31] 논문 Seroepidemiology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
[32] 논문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lassic Kaposi's sarcoma, seroprevalence, and variants of human herpesvirus 8 in South America: A critical review of an old disease
[33] 논문 Seroprevalence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and risk factors in Xinjiang, China
[34] 논문 Socio-economic and other correlates of Kaposi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seroprevalence among older adults in Sicily
[35] 논문 Sero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infection among the general Uygur population from south and north region of Xinjiang, China
[36] 논문 Increasing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seroprevalence with age in a highly Kaposi's sarcoma endemic region, Zambia in 1985
[37] 논문 Prevalence of Kaposi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compared with selecte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in rural Rakai District, Uganda
[38] 논문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herpesvirus-8 infection in a large population of antenatal women in Zambia http://digitalcommon[...]
[39] 논문 Seroprevalence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in various populations in Cuba
[40] 논문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human herpesvirus 8):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41] 논문 Kaposi's sarcoma herpesvirus/ Human herpesvirus-8 (KSHV/HHV8), and the oncogenesis of Kaposi's sarcoma 2010-10
[42] 논문 Postnatal human herpesvirus 8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fection in mothers and infants from Zambia
[43] 논문 Seroprevalence of human herpesvirus 8 among Zambian women of childbearing age without Kaposi's sarcoma (KS) and mother-child pairs with KS
[44] 논문 Early childhood infection by human herpesvirus 8 in Zambia and the role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coinfection in a highly endemic area
[45] 논문 Was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introduced into China via the ancient Silk Road? An evolutionary perspective
[46] 논문 New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variant in men who have sex with men associated with severe pathologies
[47] 논문 Oral ganciclovir for patients with cytomegalovirus retinitis treated with a ganciclovir implant. Roche Ganciclovir Study Group 1999-04
[48] 논문 Therapy insight: AIDS-related malignancies – the influence of antiviral therapy o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https://zenodo.org/r[...]
[49] 논문 KSHV: Immune Modulation and Immunotherapy 2020-02-07
[50] 논문 Cloning and identification of a microRNA cluster within the latency-associated region of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2005-07
[51]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ral interferon regulatory factors of KSHV for their requisite for virus production and inhibition of the type I interferon pathway
[52] 저널 Idiopathic multiple pigmented sarcoma of the skin
[53] 저널 Kaposi's sarcoma among persons with AIDS: a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54] 저널 Detection of herpesvirus-like DNA sequences in Kaposi's sarcoma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HIV infection 199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