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모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모카인은 세포 이동을 유도하는 화학 주성 물질로, 면역 감시, 혈관 신생, 세포 성숙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한다. 케모카인은 분자량 8~10kDa의 작은 단백질로, 구조적 특성에 따라 CXC, CC, C, CX3C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기능에 따라 항상성 케모카인과 염증성 케모카인으로 나뉘며, 백혈구의 이동을 조절하는 주요 역할을 한다. 케모카인 수용체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로, 신호 전달을 통해 다양한 세포 반응을 유도하며, 감염 조절에도 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토카인 - 인터루킨
    인터루킨은 백혈구가 생성하여 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으로, 면역계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질병과 관련되어 면역요법 등에 활용된다.
  • 사이토카인 - 인터페론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세포 방어에 중요한 단백질로, 1형, 2형, 3형으로 나뉘어 면역 수용체에 따라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 면역 체계 활성화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며, 유전자 조작을 통해 대량 생산되어 바이러스성 간염, 일부 종양 및 백혈병 치료에 활용된다.
케모카인

2. 기능

감염되거나 손상된 세포에서 방출되는 케모카인은 농도 구배를 형성한다. 유인된 세포는 더 높은 농도의 케모카인을 향해 기울기를 통해 이동한다.


케모카인의 주요 역할은 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는 화학적 유인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다. 케모카인에 의해 유인되는 세포는 케모카인 공급원을 향해 농도가 점차 높아지는 신호(농도 기울기)를 따라 이동한다.

케모카인은 기능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항상성 케모카인: 일부 케모카인은 면역 감시 과정에서 면역계 세포의 이동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림프구림프절과 같은 특정 림프 기관으로 유도하여, 해당 조직에 존재하는 항원 제시 세포와 상호작용하며 병원체 침입을 감시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케모카인은 외부 자극 없이도 항상성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분비되는 특징이 있다.
  • 발달 관련 케모카인: 일부 케모카인은 생물 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 신생(새로운 혈관의 성장)을 촉진하거나, 세포가 특정 조직으로 이동하여 성숙에 필요한 신호를 받도록 유도한다.
  • 염증성 케모카인: 다른 케모카인들은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또는 통풍에서 나타나는 요산 결정이나 실리카와 같은 물리적 손상 인자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세포에서 방출된다. 이러한 케모카인의 방출은 인터루킨 1(IL-1)과 같은 다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촉진되기도 한다. 염증성 케모카인은 주로 백혈구의 화학 유인 물질로 기능하여, 혈액 속의 단핵구, 호중구 및 기타 효과기 세포들을 감염이나 조직 손상이 발생한 부위로 불러 모은다. 또한, 특정 염증성 케모카인은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 반응을 개시하거나 상처 치유 과정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다. 이들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서 방출될 수 있으며, 선천 면역계와 적응 면역계 양쪽의 세포들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구조적 특성

모든 케모카인은 보존된 시스테인 잔기 사이의 이황화 결합에 의해 안정화되는 전형적인 ''그리스 키'' 구조를 공유한다.


단백질은 단순히 세포를 유인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구조적 특징을 기반으로 케모카인 계열로 분류된다. 모든 케모카인은 작으며 분자량은 8~14 kDa 사이이다.[11] 서로 약 20-50% 정도 동일하며, 이는 유전자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1]

또한 모든 케모카인은 3차 구조를 만드는 데 중요한, 잘 보존된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특히 케모카인의 특징인 그리스 키 모양을 형성하는 네 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대표적이다. 이 시스테인 잔기들은 분자 내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케모카인 단백질 서열 순서상 첫 번째와 세 번째 시스테인, 그리고 두 번째와 네 번째 시스테인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진다.[11]

전형적인 케모카인 단백질은 단백질 전구체 형태로 생성된다. 이 전구체는 약 2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며, 이는 세포 밖으로 분비될 때 활성 (성숙) 단백질 부분에서 절단된다. 성숙한 케모카인 단백질 구조를 보면, 첫 번째 두 개의 시스테인은 N-말단 근처에 가깝게 위치한다. 세 번째 시스테인은 분자의 중앙 부분에, 네 번째 시스테인은 C-말단 가까이에 위치한다. 첫 번째 두 시스테인 다음에는 약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루프가 있는데, 이를 ''N-루프''라고 부른다. 그 뒤를 이어 310-나선이라는 단일 회전 나선, 세 개의 β-가닥, 그리고 C-말단 α-나선이 나타난다. 이러한 나선과 가닥들은 ''30s'', ''40s'', ''50s'' 루프라고 불리는 턴 구조로 연결된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시스테인은 각각 30s 루프와 50s 루프에 위치한다.[11]

4. 구조별 유형

케모카인의 네 가지 주요 구조별 유형


케모카인은 단백질 구조에서 아미노 말단 근처에 위치한 첫 두 개의 시스테인(C) 잔기 사이의 간격에 따라 네 가지 주요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케모카인의 명명법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CCL1은 CC-케모카인 계열의 리간드 1번을 의미하고, CCR1은 해당 수용체 1번을 의미한다.

네 가지 주요 케모카인 그룹은 다음과 같다.

  • '''CC 케모카인 (β-케모카인)''': N-말단 근처의 첫 두 시스테인 잔기가 서로 인접해 있다 (CC).
  • '''CXC 케모카인 (α-케모카인)''': 첫 두 시스테인 잔기 사이에 다른 아미노산(X) 하나가 끼어 있다 (CXC).
  • '''C 케모카인 (γ-케모카인)''': 다른 케모카인과 달리 N-말단 시스테인과 그 하류에 위치한 시스테인, 이렇게 단 두 개의 시스테인만 가진다 (C).
  • '''CX3C 케모카인 (δ-케모카인)''': 첫 두 시스테인 잔기 사이에 다른 아미노산(X) 세 개가 끼어 있다 (CX3C).

4. 1. CC 케모카인 (β-케모카인)

CC 케모카인 단백질은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 말단 가까이에 두 개의 시스테인(C) 잔기가 연속으로 위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CC 케모카인 또는 '''β-케모카인'''이라고 불린다.

포유류에서는 CCL1부터 CCL28까지 최소 27개의 서로 다른 CC 케모카인 리간드(CCL)가 보고되었다. 이 중 CCL10은 CCL9와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CC 케모카인은 4개의 시스테인 잔기(C4-CC 케모카인)를 가지지만, 일부는 6개의 시스테인 잔기(C6-CC 케모카인)를 가진다. C6-CC 케모카인에는 CCL1, CCL15, CCL21, CCL23, CCL28 등이 있다.[12][30]

CC 케모카인은 주로 단핵구, NK 세포, 수지상 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들의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 주요 CC 케모카인 예시 ===

  • CCL2 (MCP-1, 단핵구 주화성 단백질-1): 단핵구가 혈관을 빠져나와 조직으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한다.
  • CCL5 (RANTES): CCR5 수용체를 발현하는 T세포, 호산구, 호염기구 등의 세포를 끌어들인다.
  • CCL11 (Eotaxin): 혈장 내 CCL11 농도 증가는 생쥐와 인간 모두에서 노화 및 신경 발생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3][31]
  • CCL17 (TARC): Th2 림프구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CCR4 수용체에 결합한다.[18] TARC는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적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 CC 케모카인 목록 ===

이름유전자다른 이름수용체Uniprot
CCL1Scya1I-309, TCA-3CCR8P22362
CCL2Scya2MCP-1CCR2P13500
CCL3Scya3MIP-1aCCR1, CCR5P10147
CCL4Scya4MIP-1βCCR1, CCR5P13236
CCL5Scya5RANTESCCR1, CCR3, CCR5P13501
CCL6Scya6C10, MRP-2CCR1P27784
CCL7Scya7MARC, MCP-3CCR2, CCR3P80098
CCL8Scya8MCP-2CCR1, CCR2, CCR5P80075
CCL9/CCL10Scya9MRP-2, CCF18, MIP-1γCCR1P51670
CCL11Scya11EotaxinCCR2, CCR3, CCR5P51671
CCL12Scya12MCP-5CCR2Q62401
CCL13Scya13MCP-4, NCC-1, Ckβ10CCR2, CCR3, CCR5Q99616
CCL14Scya14HCC-1, MCIF, Ckβ1, NCC-2CCR1, CCR5Q16627
CCL15Scya15Leukotactin-1, MIP-5, HCC-2, NCC-3CCR1, CCR3Q16663
CCL16Scya16LEC, NCC-4, LMC, Ckβ12CCR1, CCR2, CCR5, CCR8O15467
CCL17Scya17TARC, dendrokine, ABCD-2CCR4Q92583
CCL18Scya18PARC, DC-CK1, AMAC-1, Ckβ7, MIP-4CCR3?P55774
CCL19Scya19ELC, Exodus-3, Ckβ11CCR7Q99731
CCL20Scya20LARC, Exodus-1, Ckβ4CCR6P78556
CCL21Scya21SLC, 6Ckine, Exodus-2, Ckβ9, TCA-4CCR7O00585
CCL22Scya22MDC, DC/β-CKCCR4O00626
CCL23Scya23MPIF-1, Ckβ8, MIP-3CCR1P55773
CCL24Scya24Eotaxin-2, MPIF-2, Ckβ6CCR3O00175
CCL25Scya25TECK, Ckβ15CCR9O15444
CCL26Scya26Eotaxin-3, MIP-4a, IMAC, TSC-1CCR3Q9Y258
CCL27Scya27CTACK, ILC, Eskine, PESKY, skinkineCCR10Q9Y4X3
CCL28Scya28MECCCR3, CCR10Q9NRJ3


4. 2. CXC 케모카인 (α-케모카인)

'''CXC 케모카인'''(또는 '''α-케모카인''')은 N 말단 쪽에 위치한 두 개의 시스테인 잔기 사이에 다른 아미노산이 한 개 끼어 있는 배열(CXC 모티프)을 가진 케모카인이다.[1][2] 포유류에서는 총 17종류의 CXC 케모카인이 알려져 있다.[1][2]

CXC 케모카인은 CXC 모티프의 첫 번째 시스테인 바로 앞에 특정 아미노산 서열인 글루탐산-류신-아르기닌(ELR 모티프)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1][2]

  • '''ELR-양성 CXC 케모카인''': ELR 모티프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호중구의 이동을 유도하고 혈관 신생 작용을 한다.[1][2] 이들은 CXCR1 및 CXCR2 수용체와 상호작용한다.[1][2] 대표적인 예로는 인터루킨-8(IL-8)이 있으며, 이는 호중구가 혈관을 빠져나와 주변 조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1]
  • '''ELR-음성 CXC 케모카인''': ELR 모티프가 없으며, 주로 림프구를 유인하고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1][2] 예를 들어 CXCL13은 림프구를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1]


CXC 케모카인은 CXC 케모카인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하며, 현재까지 CXCR1부터 CXCR7까지 총 7개의 수용체가 밝혀져 있다.[1][2]

이름유전자다른 이름수용체Uniprot
CXCL1Scyb1Gro-a, GRO1, NAP-3, KCCXCR2P09341
CXCL2Scyb2Gro-β, GRO2, MIP-2aCXCR2P19875
CXCL3Scyb3Gro-?, GRO3, MIP-2βCXCR2P19876
CXCL4Scyb4PF-4CXCR3BP02776
CXCL5Scyb5ENA-78CXCR2P42830
CXCL6Scyb6GCP-2CXCR1, CXCR2P80162
CXCL7Scyb7NAP-2, CTAPIII, β-Ta, PEPP02775
CXCL8Scyb8IL-8, NAP-1, MDNCF, GCP-1CXCR1, CXCR2P10145
CXCL9Scyb9MIG, CRG-10CXCR3Q07325
CXCL10Scyb10IP-10, CRG-2CXCR3P02778
CXCL11Scyb11I-TAC, β-R1, IP-9CXCR3, CXCR7O14625
CXCL12Scyb12SDF-1, PBSFCXCR4, CXCR7P48061
CXCL13Scyb13BCA-1, BLCCXCR5O43927
CXCL14Scyb14BRAK, bolekineO95715
CXCL15Scyb15Lungkine, WECHEQ9WVL7
CXCL16Scyb16SRPSOXCXCR6Q9H2A7
CXCL17VCC-1DMC, VCC-1Q6UXB2


4. 3. C 케모카인 (γ-케모카인)

C 케모카인(또는 γ 케모카인)은 케모카인의 세 번째 그룹이다. 다른 케모카인과 달리 N-말단 시스테인과 그 하류에 위치한 시스테인, 이렇게 단 두 개의 시스테인만 가진다. 현재까지 이 그룹에서는 XCL1(림포탁틴-α)과 XCL2(림포탁틴-β) 두 종류만 발견되었다. XCL1과 XCL2는 유전적, 기능적으로 유사하지만, XCL2는 쥐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인간에게서만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XCL1과 그 수용체인 XCR1은 항원 교차 제시, 항원 흡수, 선천성 및 후천성 세포독성 면역 유도 등에 관여한다.[32] XCL2는 XCR1을 발현하는 세포의 화학주성을 유도한다.[33]

이름유전자다른 이름수용체Uniprot
XCL1Scyc1Lymphotactin a, SCM-1a, ATACXCR1P47992
XCL2Scyc2Lymphotactin β, SCM-1βXCR1Q9UBD3


4. 4. CX3C 케모카인 (δ-케모카인)

케모카인의 네 번째 그룹은 N 말단 근처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시스테인 잔기 사이에 3개의 아미노산이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며, CX3C 케모카인 또는 δ(델타)-케모카인이라고 불린다.[1][2]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CX3C 케모카인은 프랙탈카인(fractalkine)으로, 공식 명칭은 CX3CL1이다.[1][2] 프랙탈카인은 다른 케모카인처럼 분비되어 용해성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이를 발현하는 세포의 표면에 막 단백질 형태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1][3] 막 결합 형태의 프랙탈카인은 세포 표면에서 화학 유인 물질로 작용하는 동시에 부착 분자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여, 특정 면역 세포의 이동과 부착을 유도하는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1][3]

이름유전자다른 이름수용체Uniprot
CX3CL1Scyd1프랙탈카인(Fractalkine), Neurotactin, ABCD-3CX3CR1P78423


5. 기능별 유형

케모카인은 기능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23][5]

하나는 항상성 케모카인(Homeostatic chemokineeng)으로, 특정 조직에서 평상시에도 꾸준히 생성되어 백혈구의 기본적인 이동이나 배치를 조절한다.[23][5] 이는 면역계 세포들이 몸 안을 순찰하며 병원체 침입을 감시하거나(면역 감시), 특정 림프 기관으로 이동하여 제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다.[24][25] 일부 항상성 케모카인은 혈관신생이나 세포의 발달 및 성숙 과정에도 관여한다.

다른 하나는 염증성 케모카인(Inflammatory chemokineeng)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조직 손상 등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로 생성된다.[26][6] 이들은 염증 부위로 단핵구, 호중구와 같은 면역 세포들을 유인하여 감염에 맞서 싸우거나 손상된 조직의 치유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26][6] 염증성 케모카인의 분비는 인터루킨 1과 같은 다른 사이토카인에 의해 촉진되기도 한다.

5. 1. 항상성 케모카인

항상성 케모카인은 특정 조직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기본적인 백혈구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23][5] 여기에는 CCL14, CCL19, CCL20, CCL21, CCL25, CCL27, CXCL12, CXCL13 등이 포함된다.[23][5] 다만, CCL20처럼 일부 케모카인은 염증 반응 시에도 작용할 수 있어 분류가 엄격하게 나뉘는 것은 아니다.[23][5]

항상성 케모카인은 주로 가슴샘림프절 같은 림프 조직에서 기저 수준으로 생성된다.[24][7] 이들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특정 면역 세포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호밍(homing) 과정 관리이다.[24][7] 대표적인 예시는 림프절과 림프관 내피 세포에서 발현되는 CCL19 및 CCL21 케모카인과, 이들을 인식하는 수용체 CCR7이다. CCR7을 발현하는 세포는 이들 케모카인의 농도 기울기를 따라 림프절과 같은 특정 기관으로 이동한다.[24][7] 이러한 기작은 적응 면역 반응 동안 항원 제시 세포(APC)를 림프절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데 중요하다.[24][7]

다른 항상성 케모카인 수용체들도 백혈구의 조직 특이적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4][7] 예를 들어, CCR9는 백혈구가 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원하고, CCR10은 피부로의 이동을 돕는다. 또한 CXCR5는 B 세포가 림프절 내 특정 구역인 여포로 이동하는 것을 유도한다.[24][7][8] 이와 유사하게, 골수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CXCL12(SDF-1)는 골수 미세 환경 내에서 전구체 B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다.[24][25][7][8]

5. 2. 염증성 케모카인

염증성 케모카인은 질병이나 손상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형성되며, 면역 세포를 염증 부위로 유인하여 염증 반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23][5] 이는 IL-1, TNF-알파, LPS 또는 바이러스와 같은 염증 유발 자극에 반응하여 생성된다.[26][6] 염증성 케모카인의 예시로는 CXCL-8, CCL2, CCL3, CCL4, CCL5, CCL11, CXCL10 등이 있다.[26][6]

염증성 케모카인은 주로 백혈구화학유인물질로 기능하며, 감염이나 부상 시 높은 농도로 생성되어 단핵구, 호중구 및 기타 이펙터 세포를 혈액에서 손상된 부위로 불러 모으고 이동을 유도한다.[8] 대표적인 예로 CXCL-8은 호중구에 대한 강력한 화학유인물질로 작용한다.[26][8]

항상성 케모카인 수용체와는 달리, 염증성 케모카인과 그 수용체 간의 결합에는 상당한 중복성이 존재한다. 즉, 하나의 케모카인이 여러 종류의 수용체에 결합하거나, 하나의 수용체가 여러 종류의 케모카인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특정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 개발 연구를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25][8]

6. 유인된 세포별 유형



케모카인의 주요 역할은 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는 화학적 유인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다. 케모카인에 의해 유인된 세포는 케모카인의 공급원을 향해 농도가 점차 높아지는 신호를 따라 이동한다.

일부 케모카인은 면역 체계의 세포 이동을 조절하며 면역 감시 과정에 참여한다. 예를 들어, 림프구림프절과 같은 특정 조직으로 유도하여 해당 조직에 있는 항원 제시 세포와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병원체 침입을 감시할 수 있다. 이러한 케모카인은 항상성 케모카인이라고 불리며, 외부 자극 없이도 지속적으로 생성 및 분비된다.

다른 케모카인들은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혈관 신생(새로운 혈관 생성)을 촉진하거나, 세포 성숙에 필요한 특정 신호를 제공하는 조직으로 세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종류의 케모카인은 염증성 케모카인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또는 실리카나 요산 결정과 같은 물리적 손상에 반응하여 다양한 세포에서 방출된다. 이러한 케모카인의 방출은 종종 인터루킨 1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촉진된다. 염증성 케모카인은 주로 백혈구의 화학적 유인 물질로 작용하여, 혈액 내의 단핵구, 호중구 및 기타 효과 세포들을 감염이나 조직 손상이 발생한 부위로 불러 모은다. 특정 염증성 케모카인은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 반응을 개시하거나 상처 치유 과정을 촉진하기도 한다. 이들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서 방출될 수 있으며, 선천 면역계와 적응 면역계 양쪽의 세포들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케모카인에 의해 유인되는 주요 세포 유형과 관련 케모카인은 다음과 같다.


  • '''단핵구''' / '''대식세포''': 염증 부위로 이 세포들을 유인하는 주요 케모카인으로는 CCL2, CCL3, CCL5, CCL7, CCL8, CCL13, CCL17, CCL22 등이 있다.
  • '''T 림프구''': 염증 부위로 T 림프구를 모으는 데 관여하는 주요 케모카인은 CCL2, CCL1, CCL22, CCL17이다. 또한, T 세포가 활성화되면 CXCR3 수용체 발현이 유도되고, 이 활성화된 T 세포는 인터페론 감마(IFN-γ)에 의해 유도되는 케모카인 CXCL9, CXCL10, CXCL11이 분비되는 염증 부위로 유인된다.[9]
  • '''비만 세포''': 세포 표면에 CCR1, CCR2, CCR3, CCR4, CCR5, CXCR2, CXCR4 등 다양한 케모카인 수용체를 발현한다. 이 수용체들의 리간드인 CCL2와 CCL5는 폐에서 비만 세포를 모집하고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CXCL8은 비만 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 '''호산구''': 호산구가 다양한 조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는 CC 계열 케모카인인 CCL11, CCL24, CCL26, CCL5, CCL7, CCL13, CCL3 등이 관여한다. 특히 CCL11(에오탁신, eotaxin)과 CCL5(란테스, RANTES)는 호산구 표면의 특정 수용체인 CCR3를 통해 작용하며, 에오탁신은 염증 부위로 호산구가 초기에 모이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 '''호중구''': 주로 CXC 계열 케모카인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CXCL8(인터루킨 8, IL-8)은 호중구에 대한 강력한 화학 유인 물질이며, 호중구의 대사 활동과 탈과립을 활성화시킨다.[10]

7. 수용체

케모카인 수용체는 백혈구 표면에서 발견되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로, 7개의 막관통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약 19개의 다른 케모카인 수용체가 보고되었으며, 이들은 결합하는 케모카인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계열로 나뉜다.[14][34]


  • CXCR: CXC 케모카인에 결합한다.
  • CCR: CC 케모카인에 결합한다.
  • CX3CR1: 유일한 CX3C 케모카인(CX3CL1)에 결합한다.
  • XCR1: 두 개의 XC 케모카인(XCL1 및 XCL2)에 결합한다.


이들 수용체는 여러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 크기는 약 350개의 아미노산으로 비슷하며, 짧고 산성인 N 말단, 7개의 나선형 막관통 도메인, 3개의 세포 내 루프와 3개의 세포 외 친수성 루프를 가진다. 또한 수용체 조절에 중요한 세린트레오닌 잔기를 포함하는 세포 내 C 말단을 가지고 있다. 케모카인 수용체의 처음 두 세포 외 루프에는 각각 보존된 시스테인 잔기가 있어 이들 사이에 이황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케모카인 수용체의 N 말단 도메인은 리간드 결합 특이성을 결정하는 반면, C 말단G 단백질과 결합하여 수용체 활성화 후 세포 내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14][34]

7. 1. 신호 전달

케모카인 수용체는 리간드가 결합하면 G 단백질과 연결되어 세포 신호 전달 과정을 시작한다. 케모카인 수용체에 의해 G 단백질이 활성화되면, 이는 인산화효소 C(PLC)라는 효소를 연이어 활성화시킨다. PLC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5)-이인산(PIP2) 분자를 이노시톨 삼인산(IP3) 및 다이아실글리세롤(DAG)으로 절단하며, 이들은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유발하는 두 2차 전달자 분자이다. DAG는 단백질 키나아제 C(PKC)라고 하는 또 다른 효소를 활성화하고 IP3는 세포 내 저장소에서 칼슘 이온(Ca2+)을 방출시킨다. 이러한 사건들은 MAP 키나아제 경로와 같은 많은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촉진하여, 케모카인 수용체를 포함하는 세포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생성한다. 여기에는 화학 물질 농도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주화성, 세포 내 과립을 방출하는 탈과립, 과산화물 음이온의 방출 및 세포 부착 분자인 인테그린의 결합력 변화 등이 포함된다.[14]

8. 감염 조절



케모카인은 염증 반응 시 백혈구를 감염 부위로 유도하는 등 감염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특정 케모카인은 바이러스 감염을 직접 억제하는 기능이 밝혀졌다.

β-케모카인인 RANTES (CCL5), MIP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α (CCL3), 1β (CCL4)가 HIV-1 바이러스를 억제한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케모카인과 감염 조절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케모카인이 생체 내에서 면역 반응의 일부로서 감염을 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5]

나아가 이러한 케모카인과 같은 억제 물질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장기적으로 감염을 관리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6] 실제로 케모카인 생성 능력과 HIV 감염 시 더 나은 임상 상태, 또는 감염 위험이 있는 사람들의 비감염 상태 사이에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케모카인이 HIV 감염의 자연적인 진행 과정을 조절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17]

참조

[1] 논문 Chemokines in health and disease 2011-03-10
[2] 논문 The Many Roles of Chemokines and Chemokine Receptors in Inflammation https://doi.org/10.1[...] 2006-02-09
[3] 논문 An introduction to chemokines and their roles in transfusion medicine https://onlinelibrar[...] 2009
[4] 논문 Chemokines and neuromodulation 2008-07
[5] 논문 Homeostatic chemokine receptors and organ-specific metastasis 2011-08
[6] 논문 The chemokine superfamily revisited 2012-05
[7] 논문 Chemokines and chemokine receptors: their manifold roles in homeostasis and disease http://www.cmi.ustc.[...] 2004-04
[8] 논문 Regulation of the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by the 'atypical' chemokine receptor D6 2013-01
[9] 논문 Antibody-mediated blockade of the CXCR3 chemokine receptor results in diminished recruitment of T helper 1 cells into sites of inflammation 2003-06
[10] 논문 Chemokines: roles in leukocyte development, trafficking, and effector function 2003-06
[11] 논문 Structure, function, and inhibition of chemokines 2002
[12] 논문 Chemokines 2004-05
[13] 논문 The ageing systemic milieu negatively regulates neurogenesis and cognitive function 2011-08
[14] 논문 Chemokine receptors and their role in inflammation and infectious diseases http://bloodjournal.[...] 2000-05
[15] 논문 Identification of RANTES, MIP-1 alpha, and MIP-1 beta as the major HIV-suppressive factors produced by CD8+ T cells https://zenodo.org/r[...] 1995-12
[16] 논문 Peptide and protein-based inhibitors of HIV-1 co-receptors 2013-05
[17] 논문 Spontaneous and antigen-induced production of HIV-inhibitory beta-chemokines are associated with AIDS-free status 1999-10
[18] 간행물 Imai T etal., J Biol Chem., 271: 21514, 1996
[19] 서적 Experimental cell research: ECR : emphasizing molecular approaches to cell biology. https://www.worldcat[...] 1950
[20] 논문 The Many Roles of Chemokines and Chemokine Receptors in Inflammation https://doi.org/10.1[...] 2006-02-09
[21] 논문 An introduction to chemokines and their roles in transfusion medicine https://onlinelibrar[...] 2009-04
[22] 논문 Chemokines and neuromodulation https://www.jni-jour[...] 2008-07-31
[23] 논문 Homeostatic chemokine receptors and organ-specific metastasis https://www.nature.c[...] 2011-09
[24] 논문 Chemokines and chemokine receptors: their manifold roles in homeostasis and disease https://pubmed.ncbi.[...] 2004-04
[25] 논문 Regulation of the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by the 'atypical' chemokine receptor D6 https://pubmed.ncbi.[...] 2013-01
[26] 논문 The Chemokine Superfamily Revisited https://www.cell.com[...] 2012-05-25
[27] 논문 Antibody-mediated blockade of the CXCR3 chemokine receptor results in diminished recruitment of T helper 1 cells into sites of inflammation https://pubmed.ncbi.[...] 2003-06
[28] 논문 Chemokines: Roles in leukocyte development, trafficking, and effector function https://www.jacionli[...] 2003-06-01
[29] 논문 Structure, Function, and Inhibition of Chemokines https://www.annualre[...] 2002-04-01
[30] 논문 Chemokines https://pubmed.ncbi.[...] 2004-05-03
[31] 논문 The ageing systemic milieu negatively regulates neurogenesis and cognitive function https://pubmed.ncbi.[...] 2011-08-31
[32] 논문 The Role of XCR1 and its Ligand XCL1 in Antigen Cross-Presentation by Murine and Human Dendritic Cells https://www.frontier[...] 2012
[33] 논문 Identification of Single C Motif-1/Lymphotactin Receptor XCR1 https://linkinghub.e[...] 1998-06
[34] 논문 Chemokine receptors and their role in inflammation and infectious diseases https://pubmed.ncbi.[...] 2000-05-15
[35] 논문 Identification of RANTES, MIP-1α, and MIP-1β as the Major HIV-Suppressive Factors Produced by CD8 + T Cells https://www.science.[...] 1995-12-15
[36] 논문 Peptide and protein-based inhibitors of HIV-1 co-receptors https://www.ncbi.nlm[...] 2013-05
[37] 논문 Spontaneous and antigen-induced production of HIV-inhibitory β-chemokines are associated with AIDS-free status https://www.ncbi.nlm[...] 1999-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