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K-99는 이석배와 김지훈이 1999년에 발견했다고 주장한 물질로, 화학식은 Pb9Cu(PO4)6O이다. 상온 초전도체로 개발되었다고 주장했으나, 현재까지 재현에 성공한 사례는 없으며, 많은 연구에서 초전도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LK-99는 라나카이트와 인화 구리(I)를 혼합하여 925℃에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합성되며, 화학적 조성과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여러 가설이 제시되었다. 2023년 7월 논문 공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재현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실패했으며, 과학계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과학 - 1999년 8월 11일 일식
1999년 8월 11일에 발생한 개기일식은 궤도 상 인구 밀도가 높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시청한 일식 중 하나로 추정되며, 유럽 각국 방송국의 보도와 러시아 미르 우주 정거장의 중계,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의 전투기 코로나 연구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 1999년 과학 - 1999년 2월 16일 일식
1999년 2월 16일 일식은 금환일식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관측되었으며, 사로스 주기 140의 일부이자 1999년의 두 번째 일식이었다. - 2023년 과학 - 2023년 10월 14일 일식
2023년 10월 14일 금환일식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관측되었으며, 사로스 주기 134에 속한다. - 2023년 과학 - 2023년 4월 20일 일식
2023년 4월 20일에 발생한 일식은 부분 및 혼성 일식으로, 인도양 남부, 남극 대륙, 오세아니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등 넓은 지역에서 관측되었으며, 중심식은 금환 일식에서 개기 일식으로 바뀌어 오스트레일리아,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등에서 관측되었고, 일본 일부에서도 부분 일식으로 관측된 사로스 주기 129의 일부인 2023년 일식 시즌에 속한다. - 고온 초전도체 - BSCCO
비스무트계 고온 초전도체(BSCCO)는 비스무트, 스트론튬, 칼슘, 구리, 산소로 구성된 물질로, 다양한 조성비를 가지며 110 K 이상의 높은 임계온도를 나타내는 상을 형성하고, 초전도선 제작에 사용되는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을 보인다. - 고온 초전도체 - 유사틈
유사틈은 일부 물질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기 전 특정 온도 범위에서 관찰되는 특이한 에너지 갭으로, 핵자기 공명 등을 통해 확인되며 초전도와 관련된 사전 형성된 쌍의 존재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그 기원을 설명하는 메커니즘이 응집 물질 물리학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 LK-99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 물질 정보 | |
![]() | |
![]() | |
| 화학식 | Pb9Cu(PO4)6O |
| 몰 질량 | 2514.2 amu |
| 조성 원소 | Pb: 9 Cu: 1 P: 6 O: 25 |
| 겉모습 | 순수할 때 보라색 결정 |
| 밀도 | ≈6.699 g/cm³ |
| 구조 | |
| 결정 구조 | 육방정계 |
| 공간군 | P63/m, No. 176 |
| 점군 | 해당 없음 |
| 격자 상수 a | 9.843 Å |
| 격자 상수 c | 7.428 Å |
| 단위 세포 부피 | 623.2 ų |
| 단위 세포 분자 수 | 1 |
| 관련 물질 | |
| 관련 화합물 | 옥시피로모르파이트(염화인회석) |
| 발견 및 주장 | |
| 연구진 | 이석배(Lee Suk-bae) 김지훈(Kim Ji-hoon) 김현탁(Kim Hyun-tak) |
| 최초 발표 | 2023년 |
| 초전도 현상 주장 온도 | (섭씨 127도) |
2. 화학적 특징
LK-99의 화학식은 Pb9Cu(PO4)6O으로, 순수한 납-인회석(Pb10(PO4)6O)과 비교하면 인회석 구조의 2번 위치의 1/4 가량이 Pb(II) 이온 대신 Cu(II) 이온으로 치환된 형태이다.
구조는 아파타이트와 유사하며, 공간군은 ''P''63/''m''(No. 176)이다. 논문에서는 라나카이트(Pb2(SO4)O)와 인화 구리(Cu3P)를 몰비 1:1의 비율로 분쇄하여 혼합물을 진공 배기한 석영관에 밀봉한 후 925℃까지 가열하면 화학식 Pb10-xCux(PO4)6O의 LK-99가 형성된다고 주장한다.[89]
이석배 등의 연구팀은 논문에서 LK-99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우선 산화 납(II)(PbO)과 황산 납(II)(Pb(SO4)) 분말을 1:1의 분자비로 혼합한 후 725°C의 온도에 24시간동안 구워 라나카이트를 제조한다. 논문의 본문에서는 공기 중에서 굽는다고 설명했으나, 논문의 그림에서는 진공 속에서 굽는다고 표기되어 있어 정확한 제조 환경은 알 수 없다.
: PbO + Pb(SO4) → Pb2(SO4)O
여기에 구리(Cu)와 인(P) 분말을 3:1의 분자비로 혼합한 후 진공 상태의 밀폐된 튜브 내에서 550°C의 온도에 48시간동안 구워 인화 구리(I)(Cu3P)를 제조한다.
: 3Cu + P → Cu3P
라나카이트와 인화구리 결정을 다시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진공 상태의 밀폐된 튜브 내에서 925°C의 온도에 5-20시간 동안 구워 LK-99를 제조한다.
:Pb2(SO4)O + Cu3P + O2 (g) → Pb10-xCux(PO4)6O + S (g), 여기서 (0.9 < x < 1.1)
최초 논문의 합성 방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반응식이 균형을 이루지 못했으며, 다른 연구자들은 황화구리(I)(Cu2S)의 존재를 보고했다.[20][5] x=1일 때 균형 잡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6]
:5 Pb2SO4O + 6 Cu3P → Pb9Cu(PO4)6O + 5 Cu2S + Pb + 7 Cu
많은 합성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상으로 조각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 일부 조각은 자기장에 반응했지만 다른 조각은 그렇지 않았다.[77] 순수한 결정을 최초로 합성한 결과, 이 결정은 반자성 부도체로 밝혀졌다.[7]
2. 1. 조성
LK-99의 화학 조성은 대략 Pb9Cu(PO4)6O이며, 순수한 납-아파타이트(Pb10(PO4)6O)와 비교했을 때, 아파타이트 구조의 2번 위치에 있는 Pb(II) 이온의 약 4분의 1이 Cu(II) 이온으로 대체된다.구조는 아파타이트와 유사하며, 공간군은 ''P''63/''m''(No. 176)이다. 논문에서는 라나카이트(Pb2(SO4)O)와 인화 구리(Cu3P)를 몰비 1:1의 비율로 분쇄하여 혼합물을 진공 배기한 석영관에 밀봉한 후 925℃까지 가열하면 화학식 Pb10-xCux(PO4)6O의 LK-99가 형성된다고 주장한다.[89]
2. 2. 합성
이석배 등의 연구팀은 논문에서 LK-99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우선 산화 납(II)(PbO)과 황산 납(II)(Pb(SO4)) 분말을 1:1의 분자비로 혼합한 후 725°C의 온도에 24시간동안 구워 라나카이트를 제조한다. 논문의 본문에서는 공기 중에서 굽는다고 설명했으나, 논문의 그림에서는 진공 속에서 굽는다고 표기되어 있어 정확한 제조 환경은 알 수 없다.: PbO + Pb(SO4) → Pb2(SO4)O
여기에 구리(Cu)와 인(P) 분말을 3:1의 분자비로 혼합한 후 진공 상태의 밀폐된 튜브 내에서 550°C의 온도에 48시간동안 구워 인화 구리(I)(Cu3P)를 제조한다.
: 3Cu + P → Cu3P
라나카이트와 인화구리 결정을 다시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진공 상태의 밀폐된 튜브 내에서 925°C의 온도에 5-20시간 동안 구워 LK-99를 제조한다.
:Pb2(SO4)O + Cu3P + O2 (g) → Pb10-xCux(PO4)6O + S (g), 여기서 (0.9 < x < 1.1)
최초 논문의 합성 방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반응식이 균형을 이루지 못했으며, 다른 연구자들은 황화구리(I)(Cu2S)의 존재를 보고했다.[20][5] x=1일 때 균형 잡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6]
:5 Pb2SO4O + 6 Cu3P → Pb9Cu(PO4)6O + 5 Cu2S + Pb + 7 Cu
많은 합성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상으로 조각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 일부 조각은 자기장에 반응했지만 다른 조각은 그렇지 않았다.[77] 순수한 결정을 최초로 합성한 결과, 이 결정은 반자성 부도체로 밝혀졌다.[7]
3. 물리적 특징

개발팀은 LK-99를 상온 초전도체라고 주장하고 있다. 논문에서는 LK-99가 매우 강력한 반자성 성질을 띄고 있다고 썼으며, 큰 자석 위에 일부분이 공중에 떠 있는 LK-99 표본을 촬영한 영상도 같이 공개되었다. 샘플에 따라 흑연의 22.7배에서 5450배에 달하는 반자성을 관측하였다.
일부 소규모 LK-99 샘플은 자석 위에서 "부분 부상"이라고 혼란스럽게[8] 불리는 반응을 포함하여 강한 반자성 특성을 보였다고 보고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반자성 또는 강자성임에도 불구하고 일부에 의해 초전도성의 징후로 오해되었다.
초기 사전 인쇄본에서는 이 물질이 상온 초전도체라고 주장했지만, 영 저항, 마이스너 효과, 플럭스 피닝, AC 자기 감수율, 조셉슨 효과, 온도에 따른 임계 자기장 및 임계 전류, 또는 임계 온도 부근의 비열 급증과 같은 초전도성의 결정적인 특징은 보고되지 않았다.[9]
새로운 물질이 잠재적인 고온 초전도체 후보로 보일 수 있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므로,[10] 철저한 실험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예상되는 특성들을 보여준다. 2023년 10월 15일 기준으로, 이러한 특성 중 어느 것도 원래 실험이나 재현 실험에서 관찰되지 않았다.[41]
3. 1. 초전도 현상 가설
LK-99에 대한 핵심 주장 가운데 하나는 1차원 초전도체라는 것이다. 전자의 자유도를 제한하여 1차원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임계온도가 더 올라간다고 한다. 단, 세부사항으로 넘어가면 연구팀이 제시하는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은 여러가지가 있고 모두 다르다. 각 가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 독립적인 가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이석배-김지훈이 주로 기여한 논문에서 주장하고 있는 가설은 1990년대 최동식 교수의 주장과 맞닿아 있으며, 직/간접적으로 니콜라이 보골류보프의 이론에 근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이론에 따르면 전자의 흐름은 유체와 같고, 저항은 유체의 점성과 같으며, 특정 조건에서 액체처럼 움직이던 전자의 흐름이 초유체처럼 상전이할 때 전자들이 집단 진동을 갖게 되며 한 쪽 끝에 전자가 유입되면 다른쪽 끝으로 밀려나는 연쇄적인 이동이 저항 없이 일어나 초전도 현상이 나타난다. 초전도체가 임계온도를 넘으며 초전도성을 보일 때 나타나는 열용량을 비롯한 각종 물리량의 변화는 액체 상전이와 유사하다. 최동식 교수는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데 쿠퍼 쌍이 유용한 도구가 아니라고 보았다. 전체 전자가 모두 같은 진동을 갖게 되면, 당연히 그 가운데 2개의 전자도 같은 진동을 하게 되므로 맞고 틀리고를 떠나 유용하지 않다는 것이다. 모든 전자가 동일한 진동을 갖는다는 점은 초유체와 유사한 특성이다.
권영완이 저자로 포함된 논문에서 주장하고 있는 양자우물이론은 Pb2+ 이온(직경 133 pm) 중 일부가 Cu2+ 이온(직경 87 pm)으로 치환되면 부피가 0.48% 감소하면서 물질 내부로 향하는 내부응력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이 내부응력은 납(I)과 인화물([PO4]3−) 사이에 일종의 이종접합 양자 우물을 만들어내고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초전도 양자 우물(superconducting quantum well, SQW)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이석배 등의 연구진은 자성을 띄지 않는 구리시료에 LK-99를 화학기상증착을 이용해 적용하면 LK-99에 자기장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는데, 마이스너 효과를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순수한 납-인회석(apatite)은 절연체지만, 연구진은 구리가 도핑된 납-인회석인 LK-99는 초전도체이며 임계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금속이라고 주장한다.
김현탁 교수가 저자로 포함된 논문에서 주장하고 있는 BR-BCS이론은 상온 초전도체를 주장하는 2021년 김현탁 교수의 논문[105]을 바탕으로 한다. BR-BCS 이론에 따른 초전도 원리를 설명했는데, 여기서 BR 이론은 윌리엄 F. 브릭먼(Brinkman)과 토마스 모리스 라이스(Rice)의 1970년 고전적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BCS 이론은 표준 바딘-쿠퍼-슈리퍼 이론에서 유래한 말이지만 이 2021년 논문은 현재 인용횟수가 10회 미만이며 동료평가가 느슨하고 논란이 많았던 논문을 자주 실었던 오픈 액세스 저널인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게재되어 주류물리학계의 초전도 현상 설명과는 거리가 꽤 있다. 김현탁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기존의 BCS이론은 1종초전도체만 설명하는데 그쳤지만, BR-BCS이론으로는 2종초전도체를 포함해 완전한 설명이 가능하다. 또한 이석배 등의 연구진은 논란의 여지가 많았던 다른 초전도 연구인 호르헤 E. 이르스크의 "홀 초전도" 이론도 같이 인용했다.[106]
2023년 8월 1일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시네아드 그리핀은 밀도범함수 이론과 빈 Ab 이니티오 시뮬레이션 패키지(VASP)를 이용해 LK-99의 내부구조를 분석하는 출판 전 논문 프리프린트를 공개했다. 이 분석에서는 구리로 치환된 납-인회석이 고온 초전도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립 플랫 밴드 퍼텐셜을 생성할 수 있는 매커니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했다.[107] 이와 유사하게, 다른 연구에서도 유사한 플랫 밴드를 발견해 LK-99가 모트 혹은 전하이동 절연체로 (초)전도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전자 혹은 진공 도핑이 필요하다고 결론내렸다.[108]
납(Pb)2+ 이온의 일부를 더 작은 구리(Cu)2+ 이온으로 대체하면 부피가 0.48% 감소하여 물질 내부에 응력이 발생한다고 하며, 이는 인산염([PO4]3−) 내 Pb(1)과 산소 사이에 이종 접합 양자 우물을 생성한다. 이 양자 우물은 2021년 김현탁의 논문[11]에 기초하여 초전도성을 띨 것으로 제안되었으며, 이 논문은 금속-절연체 전이의 고전 이론,[12] 표준 바딘-쿠퍼-슈리퍼 이론, 그리고 호울 초전도 이론[13](J.E.Hirsch)의 아이디어를 결합한 새롭고 복잡한 이론을 설명한다.
미완성된 채로 arXiv에 게재되었기 때문에, 논문은 LK-99의 초전도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불완전하다고 여겨졌다. 이 때문에 다른 연구실의 분석을 통해 LK-99의 전자 특성에 관해 슈퍼컴퓨터 등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이론적 평가가 추가되었다. 이론 검증은 일반적으로 현실의 복잡성을 줄이고 추상화된 가상 공간에서의 가상 현상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없다. 게다가 이에 관해 프린스턴 대학교 스쿱 랩은 전제하는 결정 구조의 존재 자체가 오류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어느 정도의 평가는 적어도 대상 연구 방향의 정당성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다[103]。
| 연구 기관 | 국가 | 결론 | 논문 |
|---|---|---|---|
| 이화학연구소 창발물성과학연구센터 양자물성연구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일본 미국 | 공간군의 밀결합 모델을 구축·해석하여 대칭 강제 밴드 교차, 좁은 에너지 밴드, 반호브 특이점 등 밴드 구조의 중요한 특성을 포착하고 이론의 위상 기하학적 특성에 대해 평가.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751 arXiv] |
| NASA 에임스 연구센터(NASA Ames Research Center),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Iowa State University), 샤먼 대학교(Xiamen University) | 미국, 중국 | LK-99의 전자 구조와 자기 특성을 제1원리 계산으로 해석. 페르미 면 근방에 국소적인 분자 Cu-O 밴드와 자기 불안정성이 강한 Cu-O 클러스터가 형성되며, 클러스터 간 장거리 자기 시퀀스가 없고 스핀 유리에 유사한 거동을 보임을 밝힘.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454 arXiv] |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존스 홉킨스 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 | 대한민국, 미국 | 연구 기관에 따라 추시 결과가 다른 요인을 이론적으로 설명. 샘플의 세부 사항에 따라 초전도체, 절연체, 이상 금속이 될 수 있다고 함. 전도 전자는 도핑된 Cu 원자에서 기인하며, 원자가가 유사함을 시사하며, 슬레이브 보손 평균장 계산을 실행하면 s파 페어링을 확인. 이를 바탕으로 초전도체가 얻어질 수 있다고 함(다만, DFT 계산에서는 극히 작은 값이 예측되어 LK99가 실제로 고온 초전도체일 경우, 현재 모델을 넘어서는 성분이 필요하다고 지적). 도핑된 Cu 원자가 원래 격자를 왜곡시키고 Cu-Cu 거리가 작아져 국소 클러스터가 형성되며, 이에 t-J 모델 계산을 국소적으로 적용하면 높은 Tc s파 초전도체가 될 가능성을 시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2469 arXiv] |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토론토 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 | 미국, 캐나다 | LK-99의 플랫 밴드의 주요 특징을 이론적으로 재현. 추정 초전도 질서 변수의 대칭성에 관한 논의에 대해 최소 강결합 근사 모델을 제안.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315 arXiv] |
|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 미국 | 3D 구조의 DFT 해석을 통해 전자 구조를 조사, 격자 상수의 약간의 감소를 보임. 이후 초전도의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7.16892 arXiv] |
|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국립 재생 가능 에너지 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 | 미국, 영국 | LK-99가 상온 초전도체일 가능성을 시사. 또한 LK-99의 실현과 관계없이, 미래의 상온 초전도체를 실현할 이론적 가능성을 확인. 연구의 방향성을 평가. 더욱이 LK99와 같은 하이브리드 형성을 최소화하면서 구리와 산소의 약한 상호 작용을 이용한 재료는 고온 초전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밝혀짐.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0698 arXiv] |
| 스페인 과학 혁신부, 스페인 국립 에너지 연구 센터(CIEMAT), 아르메니아 공화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NAS RA), 채프먼 대학교(Chapman University) 양자 연구소 첨단 물리학 연구 센터 | 스페인, 아르메니아, 미국 | LK99는 초전도성을 가질 수 있지만, 그 경우 초전도상과 절연상이 혼재하는 불균일 화합물이라고 지적. 상온 초전도성의 유무를 확인할 때 즉시 결론짓지 않고 신중한 판단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함.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723 arXiv] |
| 빈 공과대학교(TU Wien), 서북대학교(Northwestern Polytechnical University),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 , 중국, 영국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4427 arXiv] | |
| 중국 과학원(CAS) 국가 재료 과학 연구소 | 중국 | LK-99의 플랫 밴드를 확인, 초전도성을 가짐. LK-99의 결정 구조를 파악, 기존의 결정 구조는 밴드 갭이 큰 절연체이지만, 도핑을 통해 금속 전이 및 체적 수축을 가져왔음을 밝힘. 구리 대신 금을 도핑하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플랫 밴드 간 간격이 줄어든다고 밝힘.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7.16040 arXiv] |
| 란저우 대학교(Lanzhou University) | 중국 | LK-99의 전자 구조를 제1원리 계산을 이용하여 연구, 구리 도핑 원자와 1/4가 차지하는 O1 원자와의 혼성이 LK-99 초전도의 질을 결정한다고 함. 초전도의 가능 방법이 이론을 통해 제안됨.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218 arXiv] |
| 서북대학교(Northwestern Polytechnical University), 호주 공과대학교(RMIT University) | 중국, | 밀도 범함수 이론의 계산을 통해 LK-99는 도핑되어 있다는 조건 하에 초전도일 가능성이 나타남 (올바르게 도핑된 결정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음). LK99가 반자성을 보유하는 경우 초전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0676 arXiv] |
| 인도 공과대학(IIT) 수리 과학 연구소, 페리미터 이론물리학 연구소(Perimeter Institute for Theoretical Physics) | 인도, 캐나다 | LK-99 내의 초전도 메커니즘의 이론화에 성공. LK-99의 구리 사슬이 모트 절연체로 기능하며 주변 절연 요소와 상호 작용을 일으킨다고 함.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307 arXiv] |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RAS), 우랄 연방 대학교(Ural Federal University), 스콜코보 과학 기술 연구소, 모스크바 물리 기술 연구소 | 러시아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4301 arXiv] | |
| 체코 국립 과학 아카데미(Czech Academy of Sciences) | LK‐99는 구리 도핑에 의한 전하 밀도파에 의해 "대칭성 파괴 상전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결정은 금속 특성, 극성, 키랄성을 동시에 가지는 특이한 구조를 갖음. 이 특정 구조가 초전도 특성과 관련될 가능성을 시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691 arXiv] | |
| 칠레 대학교(Universidad de Chile), 국립 나노사이언스·나노테크놀로지 개발 센터 | DFT 분석 결과, 플랫 밴드 및 큰 전자 (포논 결합)을 발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135 arXiv] |
3. 2. 반자성 이론
1차원 초전도체에서는 마이스너 효과를 볼 수 없다. 김현탁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LK-99의 시료는 마이스너 효과는 관측하지 못했지만, 순도가 높지는 않음에도 불구하고 흑연의 5450배에 달하는 강한 반자성을 보인다. 이것은 LK-99 내부의 단결정은 1차원 초전도체이지만, 연구진이 만든 시료는 무수한 1차원 단결정이 무작위로 배치되어 만들어진 3차원 시료로써, 일정한 순도 이상으로 1차원 단결정이 배치되면 각각의 단결정 사이가 이어지면서 거시적인 3차원 구조에서도 초전도성도 갖고 반자성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최동식 교수는 단결정과 복합체는 물성이 매우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미완성된 채로 arXiv에 게재되었기 때문에, 논문은 LK-99의 초전도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불완전하다고 여겨졌다. 이 때문에 다른 연구실의 분석을 통해 LK-99의 전자 특성에 관해 슈퍼컴퓨터 등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이론적 평가가 추가되었다. 이론 검증은 일반적으로 현실의 복잡성을 줄이고 추상화된 가상 공간에서의 가상 현상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없다. 게다가 이에 관해 프린스턴 대학교 스쿱 랩은 전제하는 결정 구조의 존재 자체가 오류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어느 정도의 평가는 적어도 대상 연구 방향의 정당성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다[103]。
| 연구 기관 | 국가 | 결론 | 논문 |
|---|---|---|---|
| 이화학연구소 창발물성과학연구센터 양자물성연구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일본 미국 | 공간군의 밀결합 모델을 구축·해석하여 대칭 강제 밴드 교차, 좁은 에너지 밴드, 반호브 특이점 등 밴드 구조의 중요한 특성을 포착하고 이론의 위상 기하학적 특성에 대해 평가.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751 arXiv] |
| NASA 에임스 연구센터, 컬럼비아 대학교,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샤먼 대학교 | 미국, 중국 | LK-99의 전자 구조와 자기 특성을 제1원리 계산으로 해석. 페르미 면 근방에 국소적인 분자 Cu-O 밴드와 자기 불안정성이 강한 Cu-O 클러스터가 형성되며, 클러스터 간 장거리 자기 시퀀스가 없고 스핀 유리에 유사한 거동을 보임을 밝힘.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454 arXiv] |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존스 홉킨스 대학교 | 대한민국, 미국 | 연구 기관에 따라 추시 결과가 다른 요인을 이론적으로 설명. 샘플의 세부 사항에 따라 초전도체, 절연체, 이상 금속이 될 수 있다고 함. 전도 전자는 도핑된 Cu 원자에서 기인하며, 원자가가 유사함을 시사하며, 슬레이브 보손 평균장 계산을 실행하면 s파 페어링을 확인. 이를 바탕으로 초전도체가 얻어질 수 있다고 함(다만, DFT 계산에서는 극히 작은 값이 예측되어 LK99가 실제로 고온 초전도체일 경우, 현재 모델을 넘어서는 성분이 필요하다고 지적). 도핑된 Cu 원자가 원래 격자를 왜곡시키고 Cu-Cu 거리가 작아져 국소 클러스터가 형성되며, 이에 t-J 모델 계산을 국소적으로 적용하면 높은 Tc s파 초전도체가 될 가능성을 시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2469 arXiv] |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토론토 대학교 | 미국, 캐나다 | LK-99의 플랫 밴드의 주요 특징을 이론적으로 재현. 추정 초전도 질서 변수의 대칭성에 관한 논의에 대해 최소 강결합 근사 모델을 제안.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315 arXiv] |
|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 미국 | 3D 구조의 DFT 해석을 통해 전자 구조를 조사, 격자 상수의 약간의 감소를 보임. 이후 초전도의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7.16892 arXiv] |
|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국립 재생 가능 에너지 연구소, 킹스 칼리지 런던 | 미국, 영국 | LK-99가 상온 초전도체일 가능성을 시사. 또한 LK-99의 실현과 관계없이, 미래의 상온 초전도체를 실현할 이론적 가능성을 확인. 연구의 방향성을 평가. 더욱이 LK99와 같은 하이브리드 형성을 최소화하면서 구리와 산소의 약한 상호 작용을 이용한 재료는 고온 초전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밝혀짐.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0698 arXiv] |
| 스페인 과학 혁신부, 스페인 국립 에너지 연구 센터, 아르메니아 공화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채프먼 대학교 양자 연구소 첨단 물리학 연구 센터 | 스페인, 아르메니아, 미국 | LK99는 초전도성을 가질 수 있지만, 그 경우 초전도상과 절연상이 혼재하는 불균일 화합물이라고 지적. 상온 초전도성의 유무를 확인할 때 즉시 결론짓지 않고 신중한 판단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함.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723 arXiv] |
| 빈 공과대학교, 서북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 오스트리아, 중국, 영국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4427 arXiv] | |
| 중국 과학원 국가 재료 과학 연구소 | 중국 | LK-99의 플랫 밴드를 확인, 초전도성을 가짐. LK-99의 결정 구조를 파악, 기존의 결정 구조는 밴드 갭이 큰 절연체이지만, 도핑을 통해 금속 전이 및 체적 수축을 가져왔음을 밝힘. 구리 대신 금을 도핑하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플랫 밴드 간 간격이 줄어든다고 밝힘.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7.16040 arXiv] |
| 란저우 대학교 | 중국 | LK-99의 전자 구조를 제1원리 계산을 이용하여 연구, 구리 도핑 원자와 1/4가 차지하는 O1 원자와의 혼성이 LK-99 초전도의 질을 결정한다고 함. 초전도의 가능 방법이 이론을 통해 제안됨.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218 arXiv] |
| 서북대학교, 호주 공과대학교 | 중국, 오스트리아 | 밀도 범함수 이론의 계산을 통해 LK-99는 도핑되어 있다는 조건 하에 초전도일 가능성이 나타남 (올바르게 도핑된 결정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음). LK99가 반자성을 보유하는 경우 초전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0676 arXiv] |
| 인도 공과대학 수리 과학 연구소, 페리미터 이론물리학 연구소 | 인도, 캐나다 | LK-99 내의 초전도 메커니즘의 이론화에 성공. LK-99의 구리 사슬이 모트 절연체로 기능하며 주변 절연 요소와 상호 작용을 일으킨다고 함.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307 arXiv] |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우랄 연방 대학교, 스콜코보 과학 기술 연구소, 모스크바 물리 기술 연구소 | 러시아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4301 arXiv] | |
| 체코 국립 과학 아카데미 | 체코 | LK‐99는 구리 도핑에 의한 전하 밀도파에 의해 "대칭성 파괴 상전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결정은 금속 특성, 극성, 키랄성을 동시에 가지는 특이한 구조를 갖음. 이 특정 구조가 초전도 특성과 관련될 가능성을 시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3691 arXiv] |
| 칠레 대학교, 국립 나노사이언스·나노테크놀로지 개발 센터 | 칠레 | DFT 분석 결과, 플랫 밴드 및 큰 전자 (포논 결합)을 발견. | 가논문: [https://arxiv.org/abs/2308.01135 arXiv] |
4. LK-99 명명
LK-99라는 이름은 발견자 두 명인 이석배의 L과 김지훈의 K, 그리고 발견년도인 1999년에서 따온 것이다. 이 두 사람은 원래 1990년대에 고려대학교의 최동식 교수와 함께 연구했다.
2008년 고려대학교의 연구원들은 퀀텀에너지연구소를 설립했다. 이후 이석배는 퀀텀에너지연구소의 소장이 되었고 김지훈은 퀀텀에너지연구소의 연구개발(R&D) 디렉터를 맡았다.
5. 공개 및 연구 역사
wikitext
=== 공개 과정 ===
2020년 이석배와 김지훈은 특허를 출원했으며, 2021년에는 권영완이 추가된 두 번째 특허 출원이 이루어져 2023년 3월 3일에 공개되었다. 2023년 4월 4일에는 퀀텀에너지연구소에서 "LK-99"와 관련된 상표가 대한민국에 출원되었다.
2023년 2월, 퀀텀에너지연구소는 구리판 위에 열증착된 얕은 LK-99 막이 특정한 자기적 특성을 보여주는 동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했다.[109] 2023년 3월 31일에는 《한국결정성장학회지》에 〈상온상압 초전도체(LK-99) 개발을 위한 고찰 〉이라는 한국어 논문이 업로드되었고, 4월 18일에 게재가 허가되었으나 3개월이 지나서야 널리 읽히기 시작했다.[110]
2023년 7월 22일, 두 편의 프리프린트가 arXiv에 업로드되었다. 한 편은 권영완 전 퀀텀에너지연구소 CTO가 제3저자로, 다른 한 편은 김현탁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겸 윌리엄 & 메리 칼리지 교수가 제3저자로 등록되었다. 7월 23일, LK-99 연구 결과는 동료평가를 위해 《APL 매트리얼즈》에도 제출되었다.
2023년 7월 28일, 권영완은 고려대학교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같은 날 연합뉴스는 권영완이 4개월 전에 연구소를 퇴직했으며, LK-99 관련 학술논문은 미완성 상태였고, 다른 저자와의 상의나 허락 없이 arXiv에 업로드했다는 타 저자의 주장을 보도했다.
2023년 7월 31일, 카필 쿠마르 등의 연구진은 논문대로 결정을 제조하여 엑스선결정학(XRD)을 사용해 LK-99의 구조를 분석했지만 자성이나 공중부양 현상은 관측하지 못했다는 프리프린트를 arXiv에 게재했다.[111] 8월 1일, 퀀텀에너지연구소 관계자는 SBS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논문에 언급한 원본 샘플을 "조만간 검증을 위해 세상에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112] 8월 2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LK-99 검증위원회를 발족시켰다.[113]
2023년 8월 11일, P. 푸팔 외 연구진은 Pb9Cu(PO4)6O의 첫 번째 단결정을 합성한 사전 출판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는 이후 APL Materials에 게재된 이 화학적 화학량론에서의 초전도성을 최종적으로 반증했다. [21]
2023년 8월 16일, ''네이처''는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닌 절연체임이 밝혀졌다고 발표하는 기사를 게재했다.[2]
=== 주요 연구진 ===
LK-99와 관련된 논문의 저자와 감사의 말(Acknowledged)에 올라간 이름은 다음과 같다.[16][18]
| 기관 | 이석배 | 김지훈 | 김현탁 | 임성연 | 안수민 | 권영완 | 오근호 | 최동식 |
|---|---|---|---|---|---|---|---|---|
| 한양대학교 | 명예교수 | |||||||
| KIST | 전 연구교수 | |||||||
| W&M | 교수 | |||||||
| (주)퀀텀에너지연구소 | CEO | 연구이사 | 전 CTO | CTO | ||||
| 특허 (2020) | 1 | 2 | ||||||
| 특허 (2021) | 1 | 2 | 3 | |||||
| Lee & Kim+ (2023a) | 1 | 2 | 3 | 4 | 5 | 6 | Acknowledged | |
| Lee & Kim+ (2023b) | 1 | 2 | Acknowledged | Acknowledged | 3 | Acknowledged | ||
| Lee & Kim+ (2023c) | 1 | 2 | 3 | 4 | 5 | Acknowledged | 6 | Acknowledged |
여기서 1은 제1저자, 2는 제2저자 등 숫자는 n번째 저자를 의미한다. 2023년 7월 26일, 김현탁은 ''뉴 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권영완이 제출한 첫 번째 논문에 "많은 결함"이 있었고, 그의 허락 없이 제출되었다고 진술했다.
2023년 7월 28일, 권영완은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같은 날, 연합뉴스는 고려대학교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여 권영완이 더 이상 대학교와 연락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사는 또한 이석배의 말을 인용하여 권영완이 4개월 전에 Q-센터 연구소를 떠났다고 전했다.
같은 날, 김현탁은 ''뉴욕 타임스''에 강한 반자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는 새로운 샘플의 [https://vp.nyt.com/video/2023/08/03/110377_1_03superconductor-vid_wg_1080p.mp4 영상]을 제공했다. 해당 영상은 기존 사전 인쇄본의 샘플과는 다른 것으로 보인다. 2023년 8월 4일, 그는 SBS 뉴스에 고품질 LK-99 샘플이 흑연보다 5,000배 이상 강한 반자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초전도체가 아니라면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22]
5. 1. 공개 과정
2020년 이석배와 김지훈은 특허를 출원했으며, 2021년에는 권영완이 추가된 두 번째 특허 출원이 이루어져 2023년 3월 3일에 공개되었다. 2023년 4월 4일에는 퀀텀에너지연구소에서 "LK-99"와 관련된 상표가 대한민국에 출원되었다.2023년 2월, 퀀텀에너지연구소는 구리판 위에 열증착된 얕은 LK-99 막이 특정한 자기적 특성을 보여주는 동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했다.[109] 2023년 3월 31일에는 《한국결정성장학회지》에 〈상온상압 초전도체(LK-99) 개발을 위한 고찰 〉이라는 한국어 논문이 업로드되었고, 4월 18일에 게재가 허가되었으나 3개월이 지나서야 널리 읽히기 시작했다.[110]
2023년 7월 22일, 두 편의 프리프린트가 arXiv에 업로드되었다. 한 편은 권영완 전 퀀텀에너지연구소 CTO가 제3저자로, 다른 한 편은 김현탁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겸 윌리엄 & 메리 칼리지 교수가 제3저자로 등록되었다. 7월 23일, LK-99 연구 결과는 동료평가를 위해 《APL 매트리얼즈》에도 제출되었다.
2023년 7월 28일, 권영완은 고려대학교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같은 날 연합뉴스는 권영완이 4개월 전에 연구소를 퇴직했으며, LK-99 관련 학술논문은 미완성 상태였고, 다른 저자와의 상의나 허락 없이 arXiv에 업로드했다는 타 저자의 주장을 보도했다.
2023년 7월 31일, 카필 쿠마르 등의 연구진은 논문대로 결정을 제조하여 엑스선결정학(XRD)을 사용해 LK-99의 구조를 분석했지만 자성이나 공중부양 현상은 관측하지 못했다는 프리프린트를 arXiv에 게재했다.[111] 8월 1일, 퀀텀에너지연구소 관계자는 SBS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논문에 언급한 원본 샘플을 "조만간 검증을 위해 세상에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112] 8월 2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LK-99 검증위원회를 발족시켰다.[113]
2023년 8월 11일, P. 푸팔 외 연구진은 Pb9Cu(PO4)6O의 첫 번째 단결정을 합성한 사전 출판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는 이후 APL Materials에 게재된 이 화학적 화학량론에서의 초전도성을 최종적으로 반증했다. [21]
2023년 8월 16일, ''네이처''는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닌 절연체임이 밝혀졌다고 발표하는 기사를 게재했다.[2]
5. 2. 주요 연구진
LK-99와 관련된 논문의 저자와 감사의 말(Acknowledged)에 올라간 이름은 다음과 같다.[16][18]| 기관 | 이석배 | 김지훈 | 김현탁 | 임성연 | 안수민 | 권영완 | 오근호 | 최동식 |
|---|---|---|---|---|---|---|---|---|
| 한양대학교 | 명예교수 | |||||||
| KIST | 전 연구교수 | |||||||
| W&M | 교수 | |||||||
| (주)퀀텀에너지연구소 | CEO | 연구이사 | 전 CTO | CTO | ||||
| 특허 (2020) | 1 | 2 | ||||||
| 특허 (2021) | 1 | 2 | 3 | |||||
| Lee & Kim+ (2023a) | 1 | 2 | 3 | 4 | 5 | 6 | Acknowledged | |
| Lee & Kim+ (2023b) | 1 | 2 | Acknowledged | Acknowledged | 3 | Acknowledged | ||
| Lee & Kim+ (2023c) | 1 | 2 | 3 | 4 | 5 | Acknowledged | 6 | Acknowledged |
여기서 1은 제1저자, 2는 제2저자 등 숫자는 n번째 저자를 의미한다. 2023년 7월 26일, 김현탁은 ''뉴 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권영완이 제출한 첫 번째 논문에 "많은 결함"이 있었고, 그의 허락 없이 제출되었다고 진술했다.
2023년 7월 28일, 권영완은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같은 날, 연합뉴스는 고려대학교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여 권영완이 더 이상 대학교와 연락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사는 또한 이석배의 말을 인용하여 권영완이 4개월 전에 Q-센터 연구소를 떠났다고 전했다.
같은 날, 김현탁은 ''뉴욕 타임스''에 강한 반자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는 새로운 샘플의 [https://vp.nyt.com/video/2023/08/03/110377_1_03superconductor-vid_wg_1080p.mp4 영상]을 제공했다. 해당 영상은 기존 사전 인쇄본의 샘플과는 다른 것으로 보인다. 2023년 8월 4일, 그는 SBS 뉴스에 고품질 LK-99 샘플이 흑연보다 5,000배 이상 강한 반자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초전도체가 아니라면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22]
6. 국내외 반응 및 검증 시도
wikitext
재료과학자와 초전도체 연구자들은 LK-99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23] 공개 당시 가장 높은 온도까지 동작했던 초전도체는 란타늄화 십수소(H10La)로 170GPa 이상의 압력에서 250K의 임계온도를 가졌다.[114][115] 대기압 환경에서 가장 높은 온도에까지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질은 구리계 초전도체로 대략 138K의 온도에서까지 초전도성을 가지고 있다.[116]
2023년 8월 2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LK-99에 대한 여러 논란과 검증되지 않은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검증위원회를 구성하여 LK-99가 초전도체인지를 분석하겠다고 발표했다. 검증위원회에는 김창영 서울대학교 교수가 위원장을 맡았고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실이 검증을 맡기로 했다.[117] 검증위원회는 구성 당시 개발진 등이 7월 22일 공개했던 두 편의 아카이브 논문이나 공개된 영상을 가지고 LK-99가 초전도체라고 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118]
2023년 8월 14일 현재까지도 공개된 자료를 가지고는 LK-99의 자화 특성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비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나 전이온도에서 물질 특성 변화가 어떤지를 전혀 입증할 수 없어 측정된 특성만 가지고는 LK-99를 초전도체라고 말할 수 없다. LK-99의 부분적인 자기부상 현상에 대해서는 일종의 유사 비초전도적 반자성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제작한 연구진들이 시행한 첫 실험은 2020년 완료되었다고 밝혔으나 2023년 8월 3일 현재까지 타 연구팀에서 재현 시도에 성공한 곳은 없다. 재현 시도가 이뤄지는 곳들도 아직까지 동료평가가 진행되지 않았다. 2023년 7월 논문 발표 이후 여러 독립적인 연구팀이 재현을 시도하기 시작했으며 수 주 내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고도 나왔다. 하지만 진짜라는 결과는 빠르게 나올 수 있지만, 부정적인 결과는 "위조라는 걸 확증하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검증해야 하고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상당히 느리게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126]
발표 이후 시작된 여러 재현 시도는 온라인 상에서의 재현 시도 추적자들의 도움을 받아 전 세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새로운 발표와 현재 상태 업데이트를 목록화하여 체크하고 있다.[127] 몇몇 연구진들은 정식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짤막한 이미지나 영상을 공개하며 대중에게 큰 관심을 받았다. 2023년 8월 1일 중국 화중과기대학 연구팀은 두 번째 재현 시도에서 자기 부상 현상을 보이는 작은 조각들을 만들었다고 보고했다.[128] 8월 2일에는 중국 동남대학의 연구팀이 약 110 K (-163 °C)의 온도에서까지 LK-99 조각의 저항이 0이었다고 보고했다.[129] 메릴랜드 대학의 초전도 연구팀은 이들의 보고에는 여러 인위적인 흔적이 보였고, 예상했던데로의 저항이 0으로 뚝 떨어지는 현상이 보이지 않았으며 결과의 노이즈가 심하고 초전도체 측정에 필요한, 10 µΩ 이하의 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130]
2023년 7월 31일,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의 시네이드 그리핀은 LK-99를 밀도 범함수 이론(DFT)으로 분석하여, LK-99의 구조가 상관관계가 있는 고립된 플랫 밴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이 초전도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14]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DFT 분석에 동의하면서도, 이것이 초전도성과 양립하지 않으며, 이(Lee 외)에 기술된 것과는 다른 구조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15]
산업 및 실험 물리학자들의 분석에서는 발표된 연구의 실험적 및 이론적 결함이 지적되었다.[44] 결함으로는 온도, 화학량론,[16] 및 응력을 포괄하는 상 평형 그림의 부재, 이전의 중(重) 페르미온 초전도체에 비해 LK-99의 매우 높은 ''T''c의 경로 부재, 관찰에서 플럭스 고정의 부재, 전도도 측정에서의 확률적 전도성 아티팩트[46] 가능성, 주장된 초전도 상태의 높은 저항 및 낮은 전류 용량, 그리고 재료에 대한 직접적인 투과 전자 현미경 (TEM) 관찰의 부재 등이 포함되었다.
6. 1. 과학계의 반응
재료과학자와 초전도체 연구자들은 LK-99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23][90] 공개 당시 가장 높은 온도까지 동작했던 초전도체는 란타늄화 십수소(H10La)로 170GPa 이상의 압력에서 250K의 임계온도를 가졌다.[114][115] 대기압 환경에서 가장 높은 온도에까지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질은 구리계 초전도체로 대략 138K의 온도에서까지 초전도성을 가지고 있다.[116]2023년 7월 27일, 사이언스지는 "논문의 세부 사항이 부족하여 물리학자들이 회의감에 휩싸였다"고 학계의 반응을 실었다.[91] 8월 4일, 네이처지 역시 "주목할 만한 결과를 실험적, 이론적으로 재현하려는 초기 노력이 실패했으며, 연구자들은 여전히 매우 회의적이다"라는 논설을 실었다.[92]
2023년 8월 2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LK-99에 대한 여러 논란과 검증되지 않은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검증위원회를 구성하여 LK-99가 초전도체인지를 분석하겠다고 발표했다. 검증위원회에는 김창영 서울대학교 교수가 위원장을 맡았고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실이 검증을 맡기로 했다.[117] 검증위원회는 구성 당시 개발진 등이 7월 22일 공개했던 두 편의 아카이브 논문이나 공개된 영상을 가지고 LK-99가 초전도체라고 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18][24][118]
2023년 8월 14일 현재까지도 공개된 자료를 가지고는 LK-99의 자화 특성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비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나 전이온도에서 물질 특성 변화가 어떤지를 전혀 입증할 수 없어 측정된 특성만 가지고는 LK-99를 초전도체라고 말할 수 없다. LK-99의 부분적인 자기부상 현상에 대해서는 일종의 유사 비초전도적 반자성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18][25]
2023년 7월 31일,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의 시네이드 그리핀은 LK-99를 밀도 범함수 이론(DFT)으로 분석하여, LK-99의 구조가 상관관계가 있는 고립된 플랫 밴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이 초전도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14]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DFT 분석에 동의하면서도, 이것이 초전도성과 양립하지 않으며, 이(Lee 외)에 기술된 것과는 다른 구조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15]
산업 및 실험 물리학자들의 분석에서는 발표된 연구의 실험적 및 이론적 결함이 지적되었다.[44] 결함으로는 온도, 화학량론,[16] 및 응력을 포괄하는 상 평형 그림의 부재, 이전의 중(重) 페르미온 초전도체에 비해 LK-99의 매우 높은 ''T''c의 경로 부재, 관찰에서 플럭스 고정의 부재, 전도도 측정에서의 확률적 전도성 아티팩트[46] 가능성, 주장된 초전도 상태의 높은 저항 및 낮은 전류 용량, 그리고 재료에 대한 직접적인 투과 전자 현미경 (TEM) 관찰의 부재 등이 포함되었다.
2023년 8월 16일, 네이처지는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수행한 LK-99 재현 연구를 소개하며, "연구자들이 LK-99의 수수께끼를 푼 것 같다. 과학적인 탐정 작업을 통해 이 물질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증거를 발견하고, 실제 특성을 명확히 했다"는 기사를 실었다.[93] 8월 31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의 "LK-99 검증위원회"는 국내 연구기관 4곳에서 "LK-99" 재현 실험을 진행한 결과,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94] 12월 13일, "LK-99 검증위원회"는 『LK-99 검증 백서』를 발표하고, 백서에서 "공개된 논문 데이터와 국내외 재현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LK-99가 상온·상압 초전도체라는 근거는 전혀 없다"고 결론 내렸다.[95]
2023년 7월에 세간의 주목을 받은 후, 아르곤 국립 연구소[96], 난징 대학[97] 등 몇몇 독립적인 그룹과 연구실에서 합성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시작했다.[91]
6. 2. 대중의 반응
7월 22일 논문이 공개된 이후 그 다음 주부터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상온 초전도체에 관한 소식이 전해졌다. 발견 주장이 퍼져나가면서 트위터나 지후 등지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가명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LK-99를 재현했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127] 여러 시사평론가들은 관심을 보였으나 언론과 인터뷰한 과학자들은 대부분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119][120]2023년 8월 1일 화중과기대학의 동영상이 업로드 되었는데, 이 동영상에서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LK-99 샘플이 공중 부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해당 영상은 중국의 소셜 미디어에서 널리 퍼져서, 수백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하여 다음 날 빌리빌리에서 두 번째로 조회수가 많은 영상으로 기록되었다.[121] 이 영상이 서구권의 소셜 미디어에도 퍼지면서 대중의 흥분은 커졌으며, 한 온라인 예측 사이트에서는 복제 성공 가능성을 60%로 내다보기도 했다.[122] 하지만 중국과학원의 한 연구원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 동영상의 논평을 거부하며 "말도 안되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121] 8월 초까지 며칠간 트위터에서 LK-99에 관한 밈이 유행하면서 사용자들은 "떠다니는 바위"에 대한 밈을 만들거나 초전도체와 관련된 주식을 추천하기도 했다.[123] 이 연구로 한국과 중국의 여러 기술주 주가가 급등했다는 보도도 이어졌다.[124][125]
6. 3. 재현 시도
제작 연구진은 첫 실험이 2020년에 완료되었다고 밝혔으나, 2023년 8월 3일 현재까지 타 연구팀의 재현 성공 사례는 없다.[126] 재현 시도는 주로 동료평가를 거치지 않은 상태로 진행 중이다.[126] 2023년 7월 논문 발표 이후, 여러 독립적인 연구팀이 재현을 시도하고 있으며, 수 주 내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LK-99가 가짜임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검증해야 하므로, 부정적인 결과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126]발표 이후, 온라인 상에서 재현 시도 추적자들의 도움으로 전 세계적인 재현 시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27] 일부 연구진들은 정식 결과 발표 전, 이미지나 영상을 공개하여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2023년 8월 1일, 중국 화중과기대학 연구팀은 두 번째 재현 시도에서 자기 부상 현상을 보이는 작은 조각들을 만들었다고 보고했다.[128] 8월 2일, 중국 동남대학 연구팀은 약 110 K (-163 °C)에서 LK-99 조각의 저항이 0이 되었다고 보고했다.[129] 그러나 메릴랜드 대학 초전도 연구팀은 이들의 보고에 인위적인 흔적이 보이고, 저항이 0으로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없으며, 결과의 노이즈가 심하고, 초전도체 측정에 필요한 10 µΩ 이하의 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했다는 점을 들어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30]
황화 구리(I)의 상전이를 초전도체로 착각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154] 2023년 7월 논문 발표 후, 여러 연구 그룹에서 재현을 시도하고 있으며, 초기 결과는 수 주 안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8월 15일 현재, 학술지에 의해 동료 심사를 받은 재현 시도는 없다. 동료 심사를 거치지 않은 시도 중, 15개 이상의 연구실에서 초전도성을 관찰하지 못했다는 결과를 발표했으며, 일부는 정상적인 반자성 또는 강자성으로 설명될 수 있는 자기 응답을 관찰했다. 구리 결핍 구리(I) 황화물()은 377 K에서 저온 상에서 고온 초이온 상으로의 위상 전이를 가지며, 저항이 급격히 상승하고[26] 열용량에서 λ와 유사한 특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Cu2S는 반자성을 띤다.
동남대학교는 4번의 합성 시도 중 한 번에서 LK-99의 플레이크에서 110 K 이하의 온도에서 매우 낮은 저항을 측정했다고 주장했다.[38] 그러나 해당 분야 전문가들은 저항이 0으로 떨어지지 않고, 10 μΩ 미만의 저항을 측정할 수 없는 조악한 옴 미터를 사용했으며, 측정 오류가 컸다는 점을 들어 의문을 제기했다.[23][39]
일부 재현 노력은 온라인 재현 추적기의 도움을 받아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40][41]
| 연구 기관 | 국가/지역 | 상태 | 결과 | 출판 참고 자료 |
|---|---|---|---|---|
| 막스 플랑크(고체) | 부유 구역 기술을 사용하여 순수한 LK-99 샘플을 생산. 높은 저항을 보이는 보라색 결정, 자기적 반응 없음.}} | |||
| 화중 기술 대학교 | 마이크론 크기 플레이크의 반자성을 측정. 0이 아닌 저항, 샘플의 순도가 중요.}} | |||
| 베이항 대학교 | 반자성 관찰되지 않음. 높은 저항률은 초전도성과 일치하지 않음.}} | |||
| 동남 대학교 | XRD로 구조 확인. 1mm 크기 샘플의 저항이 실온에서 0.1 Ω에서 110 K 이하에서 노이즈 레벨(10−5 Ω)로 감소. 마이스너 효과 관찰되지 않음.}} | |||
| 베이징 대학교 | 마이스너 효과 및 0 저항 관찰되지 않음.}} | |||
| 중국 과학원 (응집 물질) | 초전도성 관찰되지 않음. 저항 감소와 강한 반자성은 Cu2S 불순물의 상 변화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 | |||
| 중난 대학교, 화남 기술 대학교, USTC | 낮은 자기장 하에서 250 K 이하의 마이크로파 흡수는 초전도성을 닮았지만, 외부 자기장 회전에 의해 파괴됨. 이론적 모델은 외부 자기장이 불안정한 초전도 상태를 보텍스 글래스로 여기게 하고, 그 다음 ~2일간의 이완을 통해 바닥 상태로 돌아간다고 제안.}} | |||
| DIPC, 프린스턴, 막스 플랑크(화학 물리학) | , , | 합성된 LK-99는 다상 물질인 것으로 밝혀짐. XRD를 사용하여 단결정 분석을 수행. 네 가지 다른 Cu 도핑을 테스트했으며, 일부는 자기적이지만 초전도성은 없었음.}} | ||
| 맨체스터 대학교 | LK-99 샘플을 합성하고 특성화했지만 초전도성은 없음.}} | |||
| CSIR-NPLI | 초기 시도: XRD로 구조 확인, 반자성 또는 초전도성 없음. | |||
| 바르다 스페이스 & USC | 소수의 LK-99 파편만 자기장에 반응. | |||
| UC-볼더 | 샘플은 초전도성 테스트에 실패했음.}} | |||
| 아르곤 | ||||
|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대학교 | ||||
| 중국 과학원 (공정), 화남 기술 대학교, 베이징 2060, 화중 기술 대학교, 푸저우 대학교, 도카이 대학교, USTB | 、#REDIRECT | 변형된 LK-99는 25 Oe 자기장 하에서 반자성 직류 자화를 나타냈지만, 영 자기장 냉각(ZFC)과 자기장 냉각(FC) 측정 사이의 상당한 분기점과 200 Oe 자기장 하에서 상자성을 나타냈습니다. 냉각하는 동안 유리 메모리 효과가 발견되었습니다. 초전도체의 전형적인 히스테리시스 루프가 250 K 이하에서 감지되었으며, 정방향 및 역방향 자기장 스캔 사이에 비대칭이 있었습니다. 실온에서 가능한 마이스너 효과.}} | ||
| 중국 과학원 (공정), 화중 과학 기술 대학교, 베이징 과학 기술 대학교, 화남 이공 대학교, 푸저우 대학교, 도카이 대학교 및 중국 과학 기술 대학교 | 1. 새로운 LK-99 구조 이론 제안 | arXiv:[https://arxiv.org/html/2403.11126v1 황-구리 공도핑 납 아파타이트에서 반자성 이상 금속 상 관찰] |
초기 LK-99 보고 논문은 초전도 현상의 이론적 설명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했다. 이후 다른 연구소에서 LK-99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시뮬레이션 및 이론 평가가 발표되었다.
| 연구진 | 국가 | 결과 | 출판물 참조 |
|---|---|---|---|
| 중국과학원 (SYNL) | LK-99와 비슷한 변종 물질에 대한 제1원리를 연구했다. 상온 초전도에 대한 의견은 없으나 금이 도핑된 인회석에서 더 강력한 초전도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제안했다. | arXiv: Junwen Lai, et al.[146] | |
|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 단순화한 3D 구조에서 DFT 분석을 통해 초전도 현상에 유리할 수 있는 가능한 전자구조를 탐색했으며 격자상수도 약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 arXiv: Sinéad Griffin.[107]분석:[148][149] | |
| 서북대학 & 빈 공과대학교 | , | DFT 분석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초전도 현상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나, 이는 LK-99가 도핑된 상태에서만 가능하고 초전도 없는 반자성은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했다. | arXiv: Liang Si & Karsten Held.[108] |
|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국립 재생 가능 에너지 연구소, & 킹스 칼리지 런던 | , | DFT 분석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구리-산소와의 상호작용이 약하고 혼성 상태가 최소화된 경우에 LK-99와 같은 종류의 물질은 LK-99가 그럴 것인지에 대한 여부와 상관 없이 높은 전이온도를 보이는 초전도 현상이 가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arXiv: Rafal Kurleto, et al.[150] |
| 인도 공과대학교 마드라스 수리과학연구소 | LK-99의 초전도 현상 원리를 이론화하여 LK-99 내의 구리 사슬이 일종의 모트 절연체 역할을 하여 주변의 절연체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arXiv: G. Baskaran. | |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및 토론토 대학교 | , | LK-99의 플랫 밴드에서 볼 수 있는 주요 특징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정 모델을 제안하고 추정되는 초전도 배열 변수의 대칭성에 대해 논의했다. | arXiv: Omid Tavakol & Thomas Scaffidi[152] |
| 칠레 대학교 | DFT 분석에서 플랫 밴드 내에 대규모의 전자-포논 결합을 찾아냈다. | arXiv: J. Cabezas-Escares, et al.[153] |
7. 비판 및 논란
재료과학자와 초전도체 연구자들은 LK-99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23][114][115] 공개 당시 알려진 고온 초전도체 중 가장 높은 임계 온도를 가진 것은 란타늄화 십수소(H10La)로 170 GPa 이상의 압력에서 250 K였다. 대기압 환경에서 가장 높은 임계 온도를 보인 물질은 구리계 초전도체로, 약 138 K였다.[116]
2023년 8월 2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LK-99에 대한 여러 논란과 검증되지 않은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검증위원회를 구성했다.[117] 검증위원회는 서울대학교 김창영 서울대학교 교수가 위원장을 맡았고,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실이 검증을 맡기로 했다.[117] 검증위원회는 구성 당시 개발진 등이 7월 22일 공개했던 두 편의 아카이브 논문이나 공개된 영상을 가지고는 LK-99가 초전도체라고 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18][24][118]
2023년 8월 14일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를 가지고는 LK-99의 자화 특성 변화, 비열 변화, 전이 온도에서의 물질 특성 변화 등을 전혀 입증할 수 없어, 측정된 특성만 가지고는 LK-99를 초전도체라고 말할 수 없다. LK-99의 부분적인 자기부상 현상은 일종의 유사 비초전도적 반자성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18][25] 여러 연구에서 합성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황화구리(I) 오염이 초기 사전 인쇄물을 자극했던 관찰 결과를 거의 그대로 재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26]
산업 및 실험 물리학자들의 분석에서는 발표된 연구의 실험적 및 이론적 결함이 지적되었다.[44] 결함으로는 온도, 화학량론,[16] 및 응력을 포괄하는 상 평형 그림의 부재, 이전의 중(重) 페르미온 초전도체에 비해 LK-99의 매우 높은 ''T''c의 경로 부재, 관찰에서 플럭스 고정의 부재, 전도도 측정에서의 확률적 전도성 아티팩트[46] 가능성, 주장된 초전도 상태의 높은 저항 및 낮은 전류 용량, 그리고 재료에 대한 직접적인 투과 전자 현미경 (TEM) 관찰의 부재 등이 포함되었다.
LK-99의 초전도 현상 가능성에 대한 초기 논문들의 이론적 설명은 불완전했다. 이후 다른 연구소들의 분석에서는 LK-99 물질의 전자적 특성에 대한 제일원리 계산을 통한 시뮬레이션과 이론적 평가가 추가되었다.
선별된 이론 연구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 연구 그룹 | 국가 | 결과 | 출판 참고사항 |
|---|---|---|---|
| 중국과학원(SYNL) | LK-99 및 기타 변종의 전자 구조에 대한 제일원리 연구. 상온 초전도성에 대한 의견은 없음. | arXiv: 래이 준웬 외[71] | |
|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 간소화된 3D 구조에 대한 밀도 범함수 이론 분석을 통해 초전도성을 선호할 수 있는 가능한 전자 구조를 탐구했으며, 격자 상수가 약간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함. | arXiv: 시네이드 그리핀(Sinéad Griffin)[14] 분석:[74][75] | |
| 칠레 대학교(Universidad de Chile) | DFT 분석 결과, 평평한 밴드에서 큰 전자-폰온 결합을 발견함. | arXiv: J. 카베자스-에스카레스 외[76] | |
| CIEMAT | |}} | LK-99의 원래 합성은 이종 물질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결과를 재현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결론. | arXiv: P. 아브라미안 외[77] |
| 서북대학교 (중국)(Northwest University (China)) 및 빈 공과대학교(TU Wien) | |}} | 더 이상의 도핑 없이 는 절연체라고 결론지음. 도핑의 가능한 효과를 분석함. | arXiv: 량 시 & 카르스텐 헬드[15] |
|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 물질은 투명한 절연체이며, 저온에서 활성 Cu 색 중심을 가질 수 있다고 결론지음. 제I형 또는 제II형 초전도성의 징후는 발견되지 않음. 격자 상수 수축 과대 평가, 도핑 부위 에너지와 관련된 이전 문제점을 해결함. 페르미 준위에서 평평한 밴드를 발견하지 못하고, 이는 선호되지 않는 고대칭 구조와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음. | arxiv: [https://georgescu.lab.indiana.edu/ A.B. 조르제스쿠][78] 분석 및 논의:[79][80] |
참조
[1]
간행물
Bulletin of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https://meetings.aps[...]
American Physical Society
2024-03
[2]
논문
LK-99 isn't a superconductor — how science sleuths solved the mystery: Replications pieced together the puzzle of why the material displayed superconducting-like behaviours
https://www.nature.c[...]
2023-08-17
[3]
웹사이트
LK-99 slammed as 'not a superconductor at all'
https://www.theregis[...]
2023-08-10
[4]
웹사이트
LK-99: Mounting evidence suggests material is not a superconductor
https://www.newscien[...]
2023-08-10
[5]
논문
Ferromagnetic half levitation of LK-99-like synthetic samples
2023-08-06
[6]
논문
Absence of superconductivity in LK-99 at ambient conditions
2023-08-07
[7]
논문
Single crystal synthesis, structure, and magnetism of Pb10− ''x'' Cu ''x'' (PO4)6O
2023-08-11
[8]
arXiv
Magical or magnetic? Less commonly taught facts about real-world permanent magnets and their diverse interactions with objects
2023
[9]
트윗
So generally you'll see multiple pieces of evidence for superconductivity in a new report: Meissner effect, AC susceptibility, temperature-dependent critical field and critical current, single-particle tunnelling gap, jump in specific heat at T_c, Josephson tunnelling... etc.
2023-08-02
[10]
트윗
You'd think superconductivity would be easy to detect; it comes with zero electrical resistance, so if you measure resistance, and it's zero, you're done. Unfortunately there are many ways to get fooled
2023-08-02
[11]
논문
Room-temperature-superconducting Tc driven by electron correlation
2021-05-14
[12]
논문
Application of Gutzwiller's Variational Method to the Metal-Insulator Transition
https://link.aps.org[...]
2023-08-01
[13]
논문
Hole superconductivity
https://dx.doi.org/1[...]
2023-08-01
[14]
arXiv
Origin of correlated isolated flat bands in copper-substituted lead phosphate apatite
2023-07-31
[15]
논문
Electronic structure of the putativ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2023-08-01
[16]
웹사이트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breakthrough' met with scepticism
https://www.newscien[...]
2023-07-26
[17]
웹사이트
Room-temperature and atmospheric-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ttps://patents.goog[...]
2023-08-05
[18]
웹사이트
Why Experts Are Skeptical About That Supposed Superconductor Breakthrough
https://time.com/630[...]
Time
2023-08-03
[19]
웹사이트
Request for a verification sample from the Quantum Energy Research Institute... Receive a response 2 to 4 weeks after the thesis review
https://m.yna.co.kr/[...]
2023-08-03
[20]
논문
Synthesis of possible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or LK-99: Pb9Cu(PO4)6O
2023-07-31
[21]
논문
Single crystal synthesis, structure, and magnetism of Pb10− ''x'' Cu ''x'' (PO4)6O
2023-08-11
[22]
웹사이트
researcher from Q-Centre speaks with SBS News
https://mnews.sbs.co[...]
2023-08-04
[23]
논문
Claimed superconductor LK-99 is an online sensation — but replication efforts fall short
https://www.nature.c[...]
2023-08-05
[24]
웹사이트
S.Korean academics to verify truth of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https://www.kedgloba[...]
2023-08-02
[25]
웹사이트
Well, Seems Like LK-99 Isn't a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or After All
https://www.popularm[...]
Popular Mechanics
2023-08-10
[26]
논문
First-order transition in LK-99 containing Cu2S
2023-08-08
[27]
웹사이트
Superconductor breakthrough could represent 'biggest physics discovery of a lifetime' – but scientists urge caut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23-08-02
[28]
웹사이트
Viral Superconductor Study Claims to 'Open a New Era for Humankind.' Scientists Aren't So Sure.
https://www.vice.com[...]
Vice News
2023-08-02
[29]
웹사이트
S Korea experts to test superconductor breakthrough claim
https://www.taipeiti[...]
2023-08-04
[30]
웹사이트
Superconductor breakthrough could represent 'biggest physics discovery of a lifetime' – but scientists urge caution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3-08-02
[31]
웹사이트
LK-99: Excitement rises over possibly revolutionary 'miracle material' – but there is still no good reason to believe it exist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23-08-02
[32]
웹사이트
LK-99 Superconductor: Maybe a Breakthrough, Maybe Not So Much
https://www.cnet.com[...]
CNET
2023-08-02
[33]
웹사이트
Superconductor LK-99 Breakthrough Buzz Spurs China, Korea Tech Rally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3-08-02
[34]
뉴스
LK-99 and the Desperation for Scientific Discovery
https://www.washingt[...]
2023-08-03
[35]
웹사이트
Superconductor claims spark investor frenzy, but scientists are skeptical
https://www.reuters.[...]
Reuters
2023-08-04
[36]
웹사이트
Superconductor Stocks Drop in Korea Amid Doubts on Breakthrough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3-08-09
[37]
웹사이트
Korea's superconductor stocks plunge on Nature report
https://www.kedgloba[...]
The Korea Economic Daily
2023-08-17
[38]
웹사이트
Research on LK-99 Superconductor at Southeast University
https://targum.video[...]
2023-08-02
[39]
Twitter
Southeast may have drawn their figure misleadingly. On a linear scale, there seems to be no transition, very disappointing and not a good sign since the artifact also looms large
2023-08-03
[40]
웹사이트
DIY Scientists and Institutions Are Racing to Replicate th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https://www.vice.com[...]
2023-08-02
[41]
blog
A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New Developments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23-08-01
[42]
간행물
Single crystal synthesis, structure, and magnetism of Pb10− ''x'' Cu ''x'' (PO4)6O
2023-08-11
[43]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Would-Be Superconductor That Transfixed The Internet
https://www.forbes.c[...]
2023-08-18
[44]
Arxiv
Successful growth and room temperature ambient-pressure magnetic levitation of LK-99
2023-08-03
[45]
Arxiv
Observation of abnormal resistance-temperature behavior along with diamagnetic transition in Pb10−xCux(PO4)6O-based composite
2023-08-09
[46]
웹사이트
https://www.bilibili[...]
2023-08-01
[47]
웹사이트
LK-99验证_哔哩哔哩_bilibili
https://www.bilibili[...]
2023-08-01
[48]
간행물
Semiconducting Transport in Pb10− ''X'' Cu ''x'' (PO4)6O Sintered from Pb2SO5 and Cu3P
2023-07-31
[49]
웹사이트
Sorry, But the New LK-99 Superconductor Breakthrough Might Be Total BS
https://www.thedaily[...]
The Daily Beast
2023-08-02
[50]
간행물
Synthesis, transport and magnetic properties of Cu-doped apatite Pb10−Cu (PO4)6O
2023-08-02
[51]
간행물
Synthesis, transport and magnetic properties of Cu-doped apatite Pb10−Cu (PO4)6O
2023-08-02
[52]
간행물
Ferromagnetic half levitation of LK-99-like synthetic samples
2023-08-06
[53]
Arxiv
Strange memory effect of low-field microwave absorption in copper-substituted lead apatite
2023-12-16
[54]
Arxiv
Pb9Cu(PO4)6(OH)2: Phonon bands, Localized Flat Band Magnetism, Models, and Chemical Analysis
2023-08-08
[55]
Arxiv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of LK-99
2023-08-07
[56]
웹사이트
LK-99 VIDEO
https://www.facebook[...]
2023-08-10
[57]
웹사이트
People@CSIR-NPL – NPL
https://www.nplindia[...]
2023-07-31
[58]
웹사이트
Dr. V.P.S. Awana, PhD - Editorial Board - Superconductivity - Journal - Elsevier
https://www.journals[...]
2023-07-31
[59]
Twitter
Meissner effect or bust: Day 8.5
2023-08-04
[60]
Twitter
"[untitled]"
2023-08-06
[61]
Twitter
Meissner effect or bust: Day 4
2023-08-01
[62]
Twitter
Meissner Effect or Bust: Day 12
[63]
간행물
Inside the DIY Race to Replicate LK-99
https://www.wired.co[...]
2023-08-02
[64]
뉴스
A superconductor claim blew up online. Science has punctured it.
https://www.washingt[...]
2023-08-09
[65]
웹사이트
科技周报{{!}}国内发现疑似室温超导新材料、比亚迪销量超特斯拉_腾讯新闻
https://new.qq.com/r[...]
2024-01-05
[66]
웹사이트
又导了?中科院等发现新疑似室温超导材料, 作者: 对结果很有信心_澎湃号·湃客_澎湃新闻-The Paper
https://www.thepaper[...]
[67]
Arxiv
Possible Meissner effect near room temperature in copper-substituted lead apatite
2024-01-02
[68]
웹사이트
如何看待「真可爱呆」等人论文(2401.00999)发现可能的近室温迈斯纳效应(疑似室温超导)?
https://www.zhihu.co[...]
2024-01-03
[69]
웹사이트
如何看待「真可爱呆」等人论文(2401.00999)发现可能的近室温迈斯纳效应(疑似室温超导)?
https://www.zhihu.co[...]
2024-01-03
[70]
웹사이트
如何看待「真可爱呆」等人论文(2401.00999)发现可能的近室温迈斯纳效应(疑似室温超导)?
https://www.zhihu.co[...]
2024-01-03
[71]
논문
First-principles study on the electronic structure of Pb10−''x''Cu''x''(PO4)6O (''x'' = 0, 1)
2023-07-29
[72]
뉴스
Breakthrough in Superconductivity: Huazhong University Scientists Report First Successful Replication of LK-99
https://beijingtimes[...]
2023-08-02
[73]
arXiv
Pb-apatite framework as a generator of novel flat-band CuO based physics, including possible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2023-08-01
[74]
Twitter
a monster thread on what my paper says, the approximations and the caveats
2023-08-03
[75]
Twitter
For such flat band systems, packaged LDA type calculations are of limited utility, but knowing the LDA band structure is again a small, but necessary, step in understanding the physics. Flat bands DO NOT imply SC, flat bands often lead to magnetic instabilities
2023-08-02
[76]
논문
Electronic structure and vibrational stability of copper-substituted lead apatite LK-99
2024
[77]
논문
Some Remarks on Possible Superconductivity of Composition Pb9CuP6O25
2023
[78]
arXiv
Cu-doped Pb10(PO4)6O, and V doped SrTiO3 -- a tutorial on electron-crystal lattice coupling in insulating materials with transition metal dopants
2023
[79]
Twitter
So here's some results on LK-99 as a tutorial case example in electron-lattice interactions. So here's my two main results on it. Just very isolated, S=1/2, Cu bands in an insulator. Nothing at the Fermi level in DFT+U. One can also think of these as color centers.
2023-08-28
[80]
Twitter
Nice. Theory can be pretty predictive at times.
2023-08-28
[81]
웹사이트
韓国の研究者らが世界初の「常温常圧超伝導体」の作成に成功と主張
https://texal.jp/202[...]
TEXAL
2023-07-27
[82]
웹사이트
「室温かつ常圧で超電導状態になる物質」を開発したとする論文&ムービーが公開される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3-07-27
[83]
웹사이트
science.org
https://www.science.[...]
[84]
웹사이트
常識破りの“常温常圧超電導体”発見か? Science誌「事実ならノーベル賞モノの大発見」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株式会社
2023-07-28
[85]
웹사이트
「常温常圧の超伝導体」として科学界に旋風を巻き起こしたLK-99が超伝導体ではないことはどのように明らかになったのか?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3-08-30
[86]
웹사이트
LK-99 isn’t a superconductor — how science sleuths solved the mystery
https://www.nature.c[...]
2023-08-17
[87]
문서
The First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88]
웹사이트
The First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https://arxiv.org/ab[...]
2023-07-27
[89]
웹사이트
常温常圧で「超電導」になる物質を合成したとする論文について科学雑誌Scienceが解説
https://gigazine.net[...]
株式会社OSA
2023-07-27
[90]
웹사이트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breakthrough' met with scepticism
https://www.newscien[...]
2023-07-26
[91]
웹사이트
'상온 초전도체 구현' 한국 연구에 국내외 논란…"검증 거쳐야"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23-07-28
[92]
논문
Claimed superconductor LK-99 is an online sensation — but replication efforts fall short
https://www.nature.c[...]
2023-08-04
[93]
웹사이트
韓国が開発したLK-99、結局は幻か…ネイチャー「超伝導体ではない」
https://japan.hani.c[...]
ハンギョレ新聞
2023-08-18
[94]
웹사이트
韓国LK-99検証委「ソウル大など4カ所で再現実験、超伝導性の事例なし」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23-09-01
[95]
웹사이트
韓国国内の検証委も「LK99は常温・常圧超伝導体ではない」
https://www.chosunon[...]
朝鮮日報
2024-02-23
[96]
웹사이트
science.org
https://www.science.[...]
[97]
웹사이트
news.sciencenet.cn
https://news.science[...]
[98]
웹사이트
韓国の超伝導体開発ニュースで世界の超伝導体関連株が急騰…米国AMSC1日で60%上昇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23-08-04
[99]
웹사이트
"「独家」曲阜师范大学复现韩国室温超导体实验结果公布:无零电阻特性"
https://baijiahao.ba[...]
2023-08-04
[100]
웹사이트
퀀텀에너지-에너지공대 연구협약했다…LK-99 샘플 분석중
https://www.yna.co.k[...]
2023-08-04
[101]
웹사이트
"`LK-99 샘플` 미세 결정구조 논문과 같다"…에너지공대 확인
https://v.daum.net/v[...]
2023-08-09
[102]
웹사이트
韓國科學家發現室溫超導 台大教授王立民:實驗結果沒有復現 - 生活 - 自由時報電子報
https://news.ltn.com[...]
2023-08-05
[103]
뉴스
LK-99首批重复实验结果出炉:三篇论文两篇来自中国,理论可行但未复现悬浮或超导
https://wallstreetcn[...]
2023-08-01
[104]
웹인용
2514.2 AMU /(sin(60°)*9.843*9.843*7.428 Å^3)
https://www.wolframa[...]
[105]
저널
Room-temperature-superconducting Tc driven by electron correlation
https://www.nature.c[...]
2021-05-14
[106]
저널
Hole superconductivity
https://www.scienced[...]
1989-01-23
[107]
ArXiv
Origin of correlated isolated flat bands in copper-substituted lead phosphate apatite
2023-07-31
[108]
ArXiv
Electronic structure of the putativ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Pb9Cu(PO4)6O
2023-08-01
[109]
영상
Magnetic Property Test of LK-99 Film
https://www.youtube.[...]
(주)퀀텀에너지연구소 (Q-Centre
2023-08-02
[110]
저널
상온상압 초전도체(LK-99) 개발을 위한 고찰
http://koreascience.[...]
2023-03-31
[111]
ArXiv
Synthesis of possible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or LK-99:Pb9Cu(PO4)6O
2023-07-31
[112]
영상
"꿈의 물질 개발" 초전도체 뜨거운 관심…"샘플 곧 공개"
https://www.youtube.[...]
SBS
2023-08-01
[113]
뉴스
LK-99 제조법 공개했는데 초전도학회 검증위는 왜 샘플 요구했나
https://biz.chosun.c[...]
2023-08-03
[114]
저널
Evidence for Superconductivity above 260K in Lanthanum Superhydride at Megabar Pressures
2019
[115]
저널
Superconductivity at 250 K in lanthanum hydride under high pressures
[116]
저널
Synthesis and neutron powder diffraction study of the superconductor HgBa2Ca2Cu3O8+δ by Tl substitution
[117]
뉴스
초전도학회 "상온 초전도체 검증위원회 발족…샘플 제공시 검증"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8-02
[118]
웹인용
"LK-99, 현재로선 상온 초전도체 아냐"
https://www.hankyung[...]
2023-08-02
[119]
웹인용
Superconductor breakthrough could represent ‘biggest physics discovery of a lifetime’ – but scientists urge caut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23-07-27
[120]
웹인용
Viral Superconductor Study Claims to 'Open a New Era for Humankind.' Scientists Aren't So Sure.
https://www.vice.com[...]
Vice News
2023-07-27
[121]
웹인용
Superconductor breakthrough could represent ‘biggest physics discovery of a lifetime’ – but scientists urge caution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3-08-02
[122]
웹인용
LK-99: Excitement rises over possibly revolutionary ‘miracle material’ – but there is still no good reason to believe it exist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23-08-01
[123]
웹인용
LK-99 Superconductor: Maybe a Breakthrough, Maybe Not So Much
https://www.cnet.com[...]
CNET
2023-08-02
[124]
웹인용
Superconductor LK-99 Breakthrough Buzz Spurs China, Korea Tech Rally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3-08-01
[125]
웹인용
LK-99 and the Desperation for Scientific Discovery
https://www.washingt[...]
2023-08-02
[126]
웹인용
室温超导复现实验-全流程_哔哩哔哩_bilibili
https://www.bilibili[...]
2023-07-31
[127]
웹인용
DIY Scientists and Institutions Are Racing to Replicate th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https://www.vice.com[...]
2023-08-01
[128]
뉴스
A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New Developments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23-08-01
[129]
웹인용
Research on LK-99 Superconductor at Southeast University
https://targum.video[...]
2023-08-02
[130]
트윗
Southeast may have drawn their figure misleadingly. On a linear scale, there seems to be no transition, very disappointing and not a good sign since the artifact also looms large
https://twitter.com/[...]
2023-08-03
[131]
웹인용
补充视频_哔哩哔哩_bilibili
https://www.bilibili[...]
2023-08-01
[132]
웹인용
LK-99验证_哔哩哔哩_bilibili
https://www.bilibili[...]
2023-08-01
[133]
ArXiv
Semiconducting transport in Pb10-xCux(PO4)6O sintered from Pb2SO5 and Cu3P
2023-07-31
[134]
웹인용
Sorry, But the New LK-99 Superconductor Breakthrough Might Be Total BS
https://www.thedaily[...]
The Daily Beast
2023-08-01
[135]
ArXiv
Observation of zero resistance above 100∘ K in Pb10−xCux(PO4)6O
https://arxiv.org/ab[...]
2023-08-02
[136]
웹인용
-东南大学超导物理小组
http://www.scseu.cn/[...]
2023-07-31
[137]
ArXiv
Ferromagnetic half levitation of LK-99-like synthetic samples
2023-08-06
[138]
웹인용
上大实验最新结果:LK-99晶体未出现抗磁性[The latest results of the Shanghai University experiment: LK-99 crystal does not appear diamagnetism]
https://www.kankanew[...]
2023-08-03
[139]
웹인용
Superconductor claims spark investor frenzy, but scientists are skeptical
https://www.reuters.[...]
Reuters
2023-08-04
[140]
웹인용
People@CSIR-NPL – NPL
https://www.nplindia[...]
2023-07-31
[141]
웹인용
Dr. V.P.S. Awana, PhD - Editorial Board - Superconductivity - Journal - Elsevier
https://www.journals[...]
2023-07-31
[142]
웹인용
🔴直播中 台大實驗室 LK-99 煉丹中 週六 16:30 開箱+測量 直播馬拉松 02 implementation and measurement of superconductor LK-99
https://www.youtube.[...]
2023-08-07
[143]
뉴스
South Korea’s superconductor claim not replicated in Taiwan experiment {{!}} Taiwan News {{!}} 2023-08-06 10:06:00
https://www.taiwanne[...]
2023-08-06
[144]
트윗
Meissner effect or bust: Day 4
2023-08-01
[145]
웹인용
Inside the DIY Race to Replicate LK-99
https://www.wired.co[...]
2023-08-02
[146]
ArXiv
First-principles study on the electronic structure of Pb10-xCux(PO4)6O (x=0, 1)
2023-07-29
[147]
뉴스
Breakthrough in Superconductivity: Huazhong University Scientists Report First Successful Replication of LK-99
https://beijingtimes[...]
2023-08-01
[148]
트윗
a monster thread on what my paper says, the approximations and the caveats
2023-08-03
[149]
트윗
For such flat band systems, packaged LDA type calculations are of limited utility, but knowing the LDA band structure is again a small, but necessary, step in understanding the physics. Flat bands DO NOT imply SC, flat bands often lead to magnetic instabilities
https://twitter.com/[...]
2023-08-01
[150]
ArXiv
Pb-apatite framework as a generator of novel flat-band CuO based physics, including possible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2023-08-01
[151]
ArXiv
Broad Band Mott Localization is all you need for Hot Superconductivity: Atom Mott Insulator Theory for Cu-Pb Apatite
2023-08-02
[152]
ArXiv
Minimal model for the flat bands in copper-substituted lead phosphate apatite
2023-08-02
[153]
ArXiv
Theoretical insight on the LK-99 material
2023
[154]
웹사이트
https://www.natur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