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 반궤도 장갑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3 반궤도 장갑차는 1930년대 미국이 개발한 기갑 병력 호위용 병력 수송 장갑차이다. M2 반궤도 장갑차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M3는 10명의 보병을 수송할 수 있었고, M3A1으로 개량되면서 기관총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2차 세계 대전 중 미군 기동력 향상에 기여했으며, M5, M13 MGMC, M16 MGMC 등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했다. M3는 1944년까지 총 12,499대가 생산되었으며, 랜드리스를 통해 영국과 소련에도 공급되었다. M3는 자주포, 대공포 등으로 개조되어 사용되었고, 이스라엘에서도 다양한 개조를 거쳐 운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
M8 그레이하운드는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에서 생산된 6륜 장갑차로, 37mm 주포와 기관총을 장착한 개방형 포탑을 갖추고 정찰용으로 사용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과 한국군에서 운용되었다. - 미국의 장갑차 - T17E1 스태그하운드
T17E1 스태그하운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에서 개발되어 영국군에 공여된 4륜구동 장갑차로, 미군의 실전 투입 없이 영국군에 인도되어 '스태그하운드'라는 이름으로 종전까지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전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 반궤도차 - Sd.Kfz. 9
Sd.Kfz. 9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사용한 18톤급 중형 반궤도 견인차이며, 28톤의 견인 능력을 갖춰 전차 및 중장비를 견인하는 데 사용되었고, 파생형으로 크레인을 장착한 차량과 대공포 탑재 자주포가 개발되었으며, 총 2,500대 가량 생산되었다. - 반궤도차 - Sd.Kfz 251
Sd.Kfz 251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사용된 장갑 반궤도 장갑차로, 기갑척탄병 수송 및 지원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발되어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기갑 전투 차량 - M8 그레이하운드
M8 그레이하운드는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에서 생산된 6륜 장갑차로, 37mm 주포와 기관총을 장착한 개방형 포탑을 갖추고 정찰용으로 사용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과 한국군에서 운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기갑 전투 차량 - 상륙장갑차
상륙장갑차(LVT)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되어 병력과 물자 수송,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무한궤도를 이용해 육상과 해상에서 기동 가능하고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이후 더 발전된 형태로 대체되었다.
M3 반궤도 장갑차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반궤도 병력 수송 장갑차 |
원산지 | 미국 |
사용 정보 | |
사용 국가 | 미국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중국 내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그리스 내전 한국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코스타리카 내전 베트남 전쟁 라오스 내전 알제리 전쟁 캄보디아 내전 수에즈 위기 1958년 레바논 위기 6일 전쟁 욤 키푸르 전쟁 레바논 내전 엘살바도르 내전 니카라과 혁명 |
생산 정보 | |
설계 시기 | 1940년–1941년 |
제조사 | 오토카 다이아몬드 T 화이트 모터 컴퍼니 |
대당 가격 | 10,310 미국 달러 |
생산 기간 | 1941년-1945년 |
생산 대수 | 53,000대 (변형 포함) |
제원 | |
무게 | M3: M3A1: |
길이 | 롤러 포함 |
승무원 | 1명 |
탑승 인원 | 12명 |
장갑 | |
장갑 두께 | 6–12 mm (0.25–0.50 in) |
무장 | |
주무장 | .30 구경 브라우닝 M1919A4 기관총 (M3, M3A1) .50 구경 브라우닝 M2HB 기관총 (M3A1) |
기동성 | |
엔진 | 화이트 160AX |
엔진 출력 | 3,000 rpm에서 148 마력 (110 kW) |
마력 대 중량비 | M3: 18.5 hp/톤 M3A1: 17.7 hp/톤 |
변속기 | 스파이서 3461 상수 맞물림 |
현가 장치 | 전면: 반타원형 종방향 판 스프링 후면: 수직 볼류트 스프링 |
연료 용량 | 60 미국 갤런 (230 리터) |
항속 거리 | 200 마일 (320 km) |
속도 | 도로에서 45 mph (72 km/h) |
2. 역사
1930년대 미국은 기갑 차량의 발전과 함께 보병 수송 수단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초기에는 군용 트럭을 사용하려 했지만, 험지 기동성과 방어력이 부족하여 독일의 반궤도 장갑차에 주목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미국은 본격적인 군용 하프트랙 개발에 착수했다.
최초로 기병대의 요구에 따라 차륜 장갑차인 M3 스카우트 카보다 험지 성능이 뛰어난 T7이 시제되었다. 이후 포병대의 요구로 더 강력한 화이트 160AX 엔진을 장착한 T14가 시제되었고, 이는 보병 부대가 기갑 사단에 동행하기 위한 차량으로도 유효하다고 판단되어 차체 후방을 연장한 T8이 시제되었다. T8은 보병 1개 분대를 수송할 수 있었으며, T7은 M2 반궤도장갑차, T8은 M3 반궤도장갑차로 채택되었다.
M3 반궤도 장갑차는 트럭의 후륜을 궤도식으로 하고 엉성한 장갑을 덧댄 차량이었지만, 강력한 엔진과 전륜 구동 덕분에 독일식 하프트랙보다 실용성과 기동성에서 우위를 점했으며, 도로에서도 72km/h의 최고 속도를 낼 수 있었다.
M2는 1940년부터 오토카 사에서 생산을 시작했지만, 대량 배치를 위해 M2와 M3 모두 화이트 모터 사와 다이아몬드 T 사에서도 병행 생산되었다. 장갑 병력 수송차형을 기반으로 대전차 자주포, 대공 자주포, 자주 박격포 등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으며, 총 53,813량이 생산되었다(병력 수송형·견인형 39,436량, 파생형 14,377량).
M3 반궤도 장갑차는 1942년 토치 작전을 통해 실전에 처음 투입되었으나, 오픈 탑 구조로 인해 공중에서 터지는 유탄 파편에 취약했고, 장갑은 독일군이 사용하는 7.92x33mm 탄에도 충분하지 않았다(철갑탄에 대해 183m 거리에서 방호 가능). 또한 적재함 천장이 완전히 개방되어 적 보병이 수류탄을 쉽게 던져 넣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이러한 결점은 끝까지 개선되지 않았다.
미국 외에도 랜드리스 법에 따라 M2 하프트랙의 염가판인 M9 하프트랙이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사에서 생산되어 영국군과 소련군 등 연합군에 제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각국에서 남은 M3 하프트랙과 파생형이 우호국에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1950년대에는 일본 육상자위대(당시 경찰예비대, 후에 보안대)에 M3A1 하프트랙(36량), M15A1 자주대공포(98량), M16 자주대공포(168량)가 공여되었으며, M16 자주대공포는 1974년, M3A1은 1981년, M15A1 자주대공포는 1990년까지 실전 부대에 배치되었다.
2. 1. M3
1930년대 미국은 기갑 차량의 발전과 함께 보병 수송 수단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군용 트럭을 사용하려 했지만, 험지 기동성과 방어력이 부족하여 독일의 반궤도 장갑차에 주목하게 되었다. 미군은 자국의 군용 트럭을 반궤도로 개조하고 장갑을 추가하는 과정을 거쳐, 1939년 12월 T7의 보기륜과 반궤도를 M3 정찰장갑차에 장착하고, 화이트 모터 사의 147마력 White 160AX 엔진을 탑재한 T14 반궤도 장갑차를 개발하였다. 1940년 9월, T14는 제식화되어 M2 반궤도장갑차로 명명되었다.M2 반궤도 장갑차가 개발되면서 보병 수송을 위한 M3 반궤도 장갑차도 함께 개발되었다. M2보다 후방 차체가 10인치 늘어난 M3는 승무원 3명과 보병 10명이 탑승할 수 있었고, 중기관총 마운트 위치가 차체 중앙으로 변경되었으며, 보병 승하차용 문이 추가되었다.
초기에는 M2 기관총 1정만 탑재되었으나, 1943년 10월부터 M3A1으로 개량되면서 M2 기관총의 위치가 장갑을 두른 좌석으로 변경되고, 차체 양 측면에 브라우닝 M1919 기관총이 1정씩 배치되었다.
M3는 1944년까지 총 12,499대가 생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의 기동력 향상에 기여하였다.
2. 2. M5
랜드리스 법에 의해 미국군은 장갑 재질이 열악한 M3 하프트랙의 염가판인 '''M5 하프트랙'''을 인터내셔널 하베스터사에서 생산하여 영국군이나 소련군 등의 연합군에 공여했다. M5 하프트랙은 외관상 직선이 된 전륜 펜더와 차체 후부 장갑판의 모서리가 둥근 것으로 식별 가능하다.
이스라엘군은 1948년-1949년의 제1차 중동 전쟁 당시에 M5 하프트랙을 입수하여 MG34 기관총이나 화염 방사기를 탑재하는 등 샌드위치 장갑차 등으로 불리는 장갑 전투 차량으로 즉석 개조하여 귀중한 장갑 전력으로 활용했다. 그 후에도 엔진을 디젤로 교체하는 등의 개량을 거듭하며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다수의 독자 개수형이 제작되었다.
2. 3. M13 MGMC
M13 다용도 자주포(Multiple Gun Motor Carriage)는 M3 반궤도 장갑차 차체에 M2HB 중기관총 2정을 탑재한 자주대공포이다.2. 4. M16 MGMC

'''M16 다용도 자주포'''(Multiple Gun Motor Carriage)는 M3 반궤도 장갑차 차체에 M2HB 중기관총 4정과 5,000여 발의 탄약을 탑재한 맥슨 M45 쿼드마운트(M45D)를 장착한 자주대공포이다. "미트 쵸퍼"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전쟁에서도 미군이 운용했다. 전후 대한민국 육군도 M45D를 채택하여 "승공포"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1943년 5월부터 화이트 모터 사에서 양산된 M16은 총 3,614대가 생산되었다. (순수 생산 2,877대, M13 개수 628대, 20mm GMC T10E1 개수 109대) M16은 사단 방공포 대대에 배속되어 주로 방공 임무를 수행했지만, 지상 화력 지원 임무도 맡았다.
3. 제원
M3 반궤도 장갑차는 길이 약 6.10m, 폭 약 2.13m, 높이 약 2.13m이며, 총 중량은 약 8005.90kg (M3) 또는 약 8357.43kg (M3A1)이었다.[5] 휠베이스는 약 344.17cm였다. 앞바퀴에는 판 스프링 서스펜션을, 뒷바퀴 궤도에는 수직 볼류트 스프링 현가장치를 사용했다. 148hp 화이트 160AX, 386 in3 (6,330 cc), 6기통 가솔린 엔진으로 구동되었다.[3][4] 60 미국 갤런 (230 L)의 연료를 탑재한 M3는 승무원(운전수 1명)과 12명의 병력을 태우고 약 354.05km를 이동할 수 있었으며, 6–12 mm 두께의 경장갑으로 소화기 공격으로부터 보호했다.[5]
4. 설계
M3 반궤도 장갑차는 신뢰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상업용 부품을 많이 사용했다. 1940년에 표준화되어 오토카(Autocar Company), 다이아몬드 T(Diamond T) 자동차 회사, 그리고 화이트 자동차 회사에서 제작되었다.[59] M3는 화이트 160AX 엔진, 4단 전진 및 1단 후진 기어와 2단 변속기를 갖춘 수동변속기(비싱크로매시 방식)를 사용했다. 전면 서스펜션은 판 스프링, 궤도는 수직 볼류트 스프링을 사용했다. 유압 브레이크와 수동 조향 장치를 갖췄으며, 전장품은 12볼트 시스템으로 작동했다.[5] 궤도는 강철 케이블 위에 성형된 고무와 금속 궤도 가이드로 구성되었다.[6]
보병 소총은 좌석 뒤 브래킷에, 탄약과 식량은 그 아래에 보관했다. 1942년에는 궤도 바로 위 차체 외부에 지뢰를 위한 작은 랙이 장착되었다. 전투 중에는 추가 식량, 배낭 등을 차량 외부에 보관해야 했기 때문에 야전에서 짐 랙이 자주 추가되었고, 이후 차량에는 후면에 랙이 장착되었다.[7]
초기 차량에는 앞좌석 바로 뒤에 .50구경(12.7 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장착하는 핀틀 마운트가 있었다. 이후 M3A1은 조수석 앞쪽에 .50구경 기관총을 위한 "설교단" 마운트와 객실 측면을 따라 .30구경(7.62 mm) 기관총을 위한 추가 마운트를 채택했다. 많은 M3가 M3A1으로 개조되었다. 차체는 완전히 장갑화되었으며, 엔진 라디에이터용 조절 가능한 장갑 셔터와 앞 유리, 운전석 및 조수석 창문에 시야 슬릿이 있는 조절 가능한 방탄 패널이 있었다.[8]
5. 개발
1930년대 미국은 기갑 차량의 발전과 함께 보병 수송 수단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초기에는 군용 트럭을 사용하려 했지만, 험지 기동력과 방어력 부족 문제가 제기되어 반궤도 방식 병력 수송 장갑차에 주목했다. 1939년 12월, 미국은 M3 정찰차에 보기륜과 반궤도를 장착하고, 화이트 모터 사의 147마력 White 160AX 엔진을 탑재한 T14 반궤도 장갑차를 개발했다. 1940년 9월, T14는 M2 반궤도장갑차로 제식화되었다.
M3 정찰차를 반궤도 차량으로 개조하는 과정은 병기 지침 OCM 14188에 따라 시작되었다. 화이트 모터 컴퍼니의 도움으로 록 아일랜드 병기창에서 제작된 프로토타입은 T7으로 명명되었다. T7은 M3와 동일한 섀시와 엔진을 사용했지만, 앞바퀴가 더 크고 앞부분이 짧았으며, 1/4인치 두께의 경화된 장갑판과 M1919 기관총 2정과 M2 브라우닝 기관총 1정을 장착했다. 1938년 애버딘 시험장에서 T7은 전륜 구동으로 인해 성능이 불만족스럽다는 평가를 받았고, 다시 정찰차로 개조되어 육군으로 반환되었다.[9]
1939년과 1940년 동안 M2 반궤도 장갑차는 애버딘 시험장에서 프로토타입화되어 개발되었다. M3는 M2의 대형 버전으로, 전투 사용을 위해 M1919 기관총 2정과 M2 브라우닝 기관총 1정을 장착했다. 또한 후방 도어와 5개의 추가 좌석을 추가했다. M3는 1941년 여름 애버딘 시험장에서 테스트를 거쳐 실전에 투입되었다.[10]
M2 반궤도 장갑차 개발과 함께 보병 수송을 위한 M3 반궤도 장갑차도 개발되었다. M2보다 차량 후부가 10인치 늘어난 M3는 승무원 3명과 보병 10명이 탑승할 수 있었고, 중기관총 마운트 위치가 차체 중앙으로 변경되었으며, 보병 승하차용 문이 추가되었다. 초기에는 M2 기관총 1정만 탑재되었으나, 1943년 10월부터 M3A1으로 개량되면서 M2 기관총 위치가 장갑을 두른 좌석으로 변경되고 차체 양 측면에 브라우닝 M1919 기관총이 1정씩 배치되었다.
M3는 1944년까지 총 12,499대가 생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의 기동력 향상에 기여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중부터 미국은 반궤도 장갑차에 주목하여 민간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미국의 참전과 함께 본격적인 군용 하프트랙 개발이 이루어졌다.
기병과의 요구에 따라 차륜 장갑차인 M3 스카우트 카보다 야지 성능이 뛰어난 장갑 하프트랙인 '''T7'''이 시제되었다. 이는 M3 스카우트 카에 프랑스식 팀켄 궤도 차대 조립 부품을 결합한 것으로, 궤도는 강철 케이블로 된 기재를 감싼 경질 고무제였다. 포병과의 요구로 기갑 사단 소속 포병의 야전포 견인 차량으로 보다 강력한 화이트 160AX 엔진을 장착한 '''T14'''가 시제되었다. 이는 보병 부대가 기갑 사단에 수반하기 위한 차량으로도 유효하다고 판단되어 차체 후부를 연장하여 보병 1개 분대를 수송할 수 있는 롱 바디의 '''T8'''이 시제되었다. 그리고 전자는 '''M2 하프트랙''', 후자는 '''M3 하프트랙'''으로 채용되었다.
본 차량은 트럭의 후륜부를 궤도식으로 하고 엉성한 수준의 장갑을 덧댄 차량에 불과했지만, 비교적 강력한 엔진을 가지고 전륜도 구동하여 독일식 하프트랙보다 실용성과 기동성에서 우위를 점하며 도로에서도 72km/h의 최대 속도를 발휘했다.
M2는 1940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지만, 대량 배치를 위해 M2·M3 모두 여러 회사에서 병행하여 양산되었다. 장갑 병력 수송차형을 기반으로 대전차자주포나 대공 자주포, 자주 박격포 등의 각종 파생형이 있으며, 염가판을 포함하면 총계 53,813량이 생산되었다 (병력 수송형·견인형이 39,436량, 파생형이 14,377량).
북아프리카 상륙을 목적으로 한 1942년의 토치 작전부터 실전에 참가했지만, 오픈 탑 구조로 인해 공중에서 작렬하는 유탄 파편에 취약하고, 장갑이 독일군의 7.92x33mm탄에 대해서조차 불충분하다는 점이 문제였다. 또한 적재함 천개가 완전히 노출되어 적 보병이 쉽게 수류탄을 던져 넣을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지만, 이러한 결점은 끝까지 개선되지 않았다.
미국군 외에도 렌드리스 법에 의해 장갑 재질이 열악한 M3 하프트랙의 염가판인 '''M5 하프트랙''' (전륜 펜더와 차체 후부 장갑판 모서리가 둥근 것이 특징)과 M2 하프트랙의 염가판인 '''M9 하프트랙''' (M2와 같은 짧은 차체가 아닌 차내 레이아웃만 M5와 다름)이 인터내셔널 하베스터사에서 생산되어 영국군이나 소련군 등의 연합군에 제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각국에서 잉여가 된 M3 하프트랙 및 그 파생형이 우호국에 제공되어 사용이 계속되었다.
1950년대에는 일본의 육상자위대 (당시 명칭은 경찰예비대, 후에는 보안대)에 M3A1 하프트랙 (총 36량), M15A1 자주 대공포 (총 98량), M16 자주 대공포 (총 168량)가 제공되었다. M16 자주 대공포는 1974년까지, M3A1은 1981년까지, M15A1 자주 대공포는 1990년까지 실전 부대에 배치되었다.
이스라엘군은 1948년-1949년의 제1차 중동 전쟁 당시에 M5/M9 하프트랙을 입수하여 독일제 MG34 기관총이나 화염 방사기를 탑재하는 등 샌드위치 장갑차 등으로 불리는 장갑 전투 차량으로 즉석 개조하여 귀중한 장갑 전력으로 활용했다. 엔진을 디젤로 교체하는 등의 개량을 거듭하며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다수의 독자 개수형이 제작되었다. 전궤도식의 M113 장갑 병력 수송차가 배치된 1970년대 이후에도 국방 예산의 많은 부분을 전차나 전투기에 할당했기 때문에 많은 수가 후방 임무로 돌려지면서도 현역이었다. 최근 강력한 장갑을 가진 아치자리트 등의 신형 장갑 병력 수송차가 등장하고 M113이 후방 임무로 돌려지면서 완전히 퇴역했다. 일부는 군용차 수집가에게 판매되었으며, 이스라엘군과 우호 관계에 있는 남레바논군에도 제공되었다.
6. 운용 역사
M3는 1944년까지 총 12,499대가 생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의 기동력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미군에서 M3는 기갑 보병 연대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또한 일본군이 필리핀 침공을 시작했을 때 임시 전차 부대와 함께 신속하게 투입되었다. 초기에 제기되었던 기계적 문제점들은 필리핀에서 현장 보고서를 받은 후 병기국에서 해결되었다.[11] M3가 처음 의도된 역할로 사용된 것은 횃불 작전이었다. 각 기갑 사단은 기갑 연대에 200대, 기갑 보병 연대에 233대 등 433대의 M2 또는 M3를 보유했다.[11]
초기에는 M3가 "퍼플 하트 상자"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인기가 없었다.[11] 주요 불만 사항은 포탄이 머리 위에서 터질 때 완전히 보호받지 못한다는 점과 장갑이 기관총 사격에 불충분하다는 점이었다.[11] 오마 브래들리는 M3에 대한 보고서에서 "유능하고 믿을 수 있는 장치이다. 나쁜 평판은 너무 많은 일에 사용하려 했던 우리 군대의 미숙함에서 비롯되었다"고 언급했다.[11] M3의 또 다른 주요 문제는 고정된 후방 아이들러였는데, 거친 지형에서 자주 파손되었다. 북아프리카의 지휘관들은 부품을 구매하여 스프링 장착 후방 아이들러를 만들었고, 병기국은 이를 공식적인 해결책으로 승인했다.[12][13]
1943년, M3는 시칠리아와 이탈리아에서 사용되었고, 작전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오버로드 작전에도 투입되었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럽에서 운용되었다.[14]
M3는 기계적으로 매우 신뢰할 수 있었지만, 회전 반경이 넓고 파워 스티어링이 없어 좁은 유럽의 거리에서 운용하기 어렵다는 점과 궤도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15]
M3와 그 변형의 총 생산량은 거의 54,000대에 달했다.[16] 연합국에 공급하기 위해 인터내셔널 하베스터는 렌드리스를 위해 매우 유사한 차량인 M5 반궤도 장갑차 수천 대를 생산했다.[17]
'''M16 다용도 자주포'''는 M3 반궤도 장갑차 차체에 M2HB 4정과 5,000여 발의 탄약이 달린 맥슨 M45 쿼드마운트(M45D)를 탑재한 자주 대공포로, "미트 쵸퍼"라는 별명을 가졌다.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이 운용했으며, 대한민국 육군도 M45D를 채택하여 "승공포"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7. 파생형
M3 반궤도 장갑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미국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파생형 모델로 발전했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 '''T12/M3 75mm GMC''': M3 차체에 M1897A5 75mm 야포와 포방패를 탑재한 모델이다.
- '''T54/E1 자주 대공포''': 40mm 보포스 L/50 포를 M3 차체에 탑재했으나, 사격 시 포대가 불안정하여 시제품만 제작되었다.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하프트랙 개발을 시작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본격적인 군용 하프트랙 개발에 착수했다. 초기에는 M3 스카우트 카를 기반으로 한 '''T7'''이 개발되었고, 이후 포병 부대의 요구에 따라 더 강력한 엔진을 장착한 '''T14'''가 개발되었다. T14는 보병 수송용으로도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차체를 연장한 '''T8'''이 개발되었고, 각각 '''M2 하프트랙'''과 '''M3 하프트랙'''으로 채택되었다.
M3 하프트랙은 트럭의 후륜을 궤도식으로 개조하고 장갑을 덧댄 차량으로, 강력한 엔진과 전륜 구동 덕분에 독일식 하프트랙보다 실용성과 기동성이 뛰어났다. 오토카사 등에서 생산되었으며, 장갑 병력 수송차형을 기반으로 대전차 자주포, 대공 자주포, 박격포 등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총 53,813량이 생산되었으며, 이 중 파생형은 14,377량이다.
M3 하프트랙은 토치 작전을 통해 실전에 투입되었으나, 개방형 구조로 인해 유탄 파편에 취약하고, 장갑이 7.92x33mm탄에도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은 끝내 개선되지 않았다.
랜드리스 법에 따라 M3 하프트랙의 염가판인 '''M5 하프트랙'''과 M2 하프트랙의 염가판인 '''M9 하프트랙'''이 생산되어 영국군과 소련군 등 연합군에 제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M3 하프트랙과 파생형은 여러 국가에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일본 육상자위대는 1950년대부터 M3A1, M15A1 자주 대공포, M16 자주 대공포를 공여받아 사용했으며, M16은 1974년까지, M3A1은 1981년까지, M15A1은 1990년까지 운용했다.
이스라엘군은 제1차 중동 전쟁 당시 M5/M9 하프트랙을 입수하여 장갑 전투 차량으로 개조하고, MG34 기관총이나 화염 방사기를 탑재하는 등 독자적인 개량을 통해 장기간 운용했다.
HMC(Howitzer Motor Carriage)는 75mm 또는 105mm 유탄포를 탑재한 자주포 파생형을 의미한다.
- '''T12 HMC 75mm/105mm 자주 유탄포''': 미국 해병대에서 사용되었다.
- '''T30 HMC 75mm 자주유탄포''': M1A1(M116) 75mm 유탄포를 탑재했으며, 500량이 생산되어 미국 육군에서 사용되었다. 자유 프랑스군에도 공여되어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 '''T38 HMC 105mm 자주유탄포''': M3 105mm 유탄포를 탑재했으나, T19 HMC 생산으로 취소되었다.
- '''T19 HMC 105mm 자주유탄포''': M2A1 105mm 유탄포를 탑재했으며, 324량이 생산되었다.

MMC(Motor Mortar Carriage)는 81mm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 파생형을 의미한다.
- '''M4 MMC 81mm 자주 박격포''': M1 81mm 박격포를 탑재했으며, 572대가 생산되었다.

- '''M4A1 MMC 81mm 자주 박격포''': M4의 개량형으로, 600대가 생산되었다.
- '''M21 MMC 81mm 자주 박격포''': M3 하프트랙 차체에 M1 81mm 박격포를 차체 앞쪽으로 탑재한 자주 박격포형. 110대 생산.

MGMC(Multiple Gun Motor Carriage)는 2연장 또는 4연장 12.7mm 중기관총을 탑재한 자주대공포 파생형을 의미한다.
- '''M13 MGMC 자주대공포''': M33 2연장 M2 12.7mm 중기관총대를 탑재했으며, 1,103대가 생산되었다.
- '''M14 MGMC 자주대공포''': M13의 염가판. 1,605대가 생산되어 영국군에 공여되었으나, 성능 부족으로 기총가를 제거하고 통상형 M5 하프트랙으로 사용되었다.
- '''M16 MGMC 자주대공포''': M45D 4연장 M2 12.7mm 중기관총대를 탑재. M16과 M16A1을 합쳐 2,877대가 생산되었고, 육상자위대에도 공여되었다.
- '''M16A1 MGMC 자주대공포''': M45F 4연장 M2 12.7mm 중기관총대를 탑재했으며, 전투실 상단 장갑이 없다.
- '''M17 MGMC 자주대공포''': M16의 염가판. 1,000대가 생산되어 소련군에 공여되었다.
- '''T10 MGMC 자주대공포''': 에르리콘 Mk.IV 2문을 탑재한 테스트 차량.
- '''T10E1 MGMC 자주대공포''': T10의 차체를 M3 하프트랙으로 변경. 100대 가량 생산되었으나, M16으로 개조되었다.
CGMC(Combination Gun Motor Carriage)는 37mm 기관포 1문과 12.7mm 중기관총 2정을 조합하여 탑재한 자주대공포 파생형을 의미한다.
- '''T28 CGMC 자주대공포''': M1 37mm 기관포 1문과 수냉식 M1 12.7mm 중기관총 2정을 탑재했으나, 성능 문제로 취소되었다.
- '''T28E1 CGMC 자주대공포''': 80대가 생산되었다.
- '''M15 CGMC 자주대공포''': M1 37mm 기관포 1문과 M2 12.7mm 중기관총 2정을 탑재했으며, 600대가 생산되었다.
- -|]]|right|250px|thumb|M15A1 CGMC 자주대공포]]
- '''M15A1 CGMC 자주대공포''': M15의 경량화 개선 모델. 1,652대가 생산되었고 육상자위대에도 공여되었다.
7. 1. 병력 수송 장갑차
M3는 M2 반궤도장갑차보다 차량 후부가 약 25.40cm 가량 늘어나 3명의 보병을 추가로 태울 수 있었다. 총 승무원 3명과 보병 10명이 탑승 가능했고, 중기관총 마운트 위치가 차체 중앙으로 변경되었으며, 보병 승하차용 문이 추가되었다.[5] 초기에는 M2 기관총 1정만 탑재되었으나, 1943년 10월부터 M3A1으로 개량되면서 M2 기관총 위치가 장갑을 두른 좌석으로 변경되고, 차체 양 측면에 브라우닝 M1919 기관총이 1정씩 배치되었다.[5] M3는 1944년까지 총 12,499대가 생산되었다.미국은 랜드리스를 위해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사와 계약하여 1942년 6월부터 M3의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판인 '''M5'''를 생산했다.[18] M5는 147hp의 White 160AX 엔진 대신 143hp의 IHC RED-450-B 엔진을 사용하고 표면 경화 장갑을 사용하여 무게가 증가했지만, 성능은 M3와 큰 차이가 없었다. M5는 M5A1으로 개량되었으며, 총 11,017대가 생산되어 주로 소련과 영국에 랜드리스되었다.

- M3 - 화이트(White)사와 오토카(Autocar)에서 제작, 화이트 약 6325.41cm3 160AX 엔진 장착. M32 대공 기관총 마운트 또는 페데스탈 마운트 중 하나를 장착했으며, 두 마운트 모두 M2HB 기관총을 장착했다.[5]
- M3A1 - M3에 개선된 M49 기관총 링 마운트를 장착한 모델. 1942년과 1943년 사이에 모든 M3 하프 트랙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5]
- T29/M3A2 - 1943년에 개발되었으나,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다.[5]
- M3E2/M5 하프 트랙 - 인터내셔널 하베스터(International Harvester)사 하프 트랙. 약 7374.18cm3 IHC RED-450-B 엔진, 다른 드라이브 트레인, 연료 및 전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M5는 더 두꺼운 장갑으로 인해 M3보다 더 무거웠다. M5는 주로 유럽 연합국에 대한 랜드리스(Lend-Lease)를 위해 제작되었다.[18]
- M5A1 - M49 기관총 마운트가 장착된 M5. 12.7mm(.50구경) 1정 및 30mm 구경 2정의 기관총을 장착할 수 있었다.[18] IHC 모델은 최고 속도(42mph), 주행 거리(약 201.17km)가 약간 더 낮았다.[5]
- T31/M5A2 - M5A2는 실제로 필요하지 않았고, 생산되지 않았다.[19]
- M9 하프 트랙 - M5와 동일한 차체에, M2 하프 트랙 카와 같은 적재 방식, 내부(외부와 반대)에서 라디오에 접근할 수 있으며, 후면 도어와 페데스탈 MG 마운트가 장착되었다.[18]
- M9A1 - M9와 동일하며, 링 마운트와 3개의 MG 핀틀을 장착했다.[18]
이스라엘군은 1948년-1949년의 제1차 중동 전쟁 당시에 M5/M9 하프트랙을 입수하여 장갑 전투 차량으로 개조하여 활용했다.
7. 2. 자주포
; M3 75mm GMC
: M3 하프트랙 차체에 M1897 75mm 야포를 M2A3 포가를 사용하여 탑재한 자주포 겸 대전차포이다. M3와 M3A1을 합쳐 2,202대가 생산되었다. 태평양 전쟁 초기에는 필리핀에서 일본군에 노획되기도 했다.[5]
:; M3A1 GMC 75mm 자주 대전차포
:: M3 하프트랙 차체에 M1897 75mm 야포를 M2A2 포가를 사용하여 탑재한 자주 대전차포이다.
; T48 GMC 57mm 자주 대전차포
: M3 하프트랙 차체에 M1 57mm포를 탑재한 자주 대전차포이다. 962대가 생산되었으며, 60대가 영국군, 650대가 소련군에 공여되었다. 소련군에서는 이 차량을 '''SU-57'''로 불렀다.[5]
; T30 HMC 75mm 자주유탄포
: M3 하프트랙 차체에 M1A1(M116) 75mm 유탄포를 탑재한 자주 유탄포이다. 500량이 생산되어 미국 육군에서 사용되었다. 자유 프랑스군에도 공여되어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사용되었다.[5]
; T38 HMC 105mm 자주유탄포
: M3 하프트랙 차체에 M3 105mm 유탄포를 탑재한 자주 유탄포이다. T19 HMC의 생산이 원활해지면서 취소되었다.
; T19 HMC 105mm 자주유탄포
: M3 하프트랙 차체에 M2A1 105mm 유탄포를 탑재한 자주 유탄포이다. 324량이 생산되었다.
; M21 MMC 81mm 자주박격포
: M3 하프트랙 차체에 M1 81mm 박격포를 차체 앞쪽으로 탑재한 자주 박격포이다. M4/M4A1이 충분히 생산되면서 110대 생산에 그쳤다. 54대는 자유 프랑스군에 공여되었다.
7. 3. 대공포
M3 반궤도 장갑차를 기반으로 다양한 대공포 파생형이 개발되었다.파생형 | 설명 |
---|---|
M13 다용도 자주포 (MGMC) | M2HB 중기관총 2정을 탑재한 자주대공포 |
M14 MGMC | M13의 염가판. M5 반궤도 장갑차 차체에 M33 2연장 M2 12.7mm 중기관총대 탑재 |
M16 MGMC | M3 차체에 M45D 4연장 M2 12.7mm 중기관총대 탑재. 미트 쵸퍼라는 별명으로 한국 전쟁에서 사용[68] |
M16A1 MGMC | M45F 4연장 M2 중기관총대 탑재, 전투실 상단 장갑 없음 |
M16A2 MGMC | M16 개량형 |
M17 MGMC | M16의 염가판. M5 차체에 M45D 4연장 M2 12.7mm 중기관총대 탑재 |
T58 | 실험용 모델 |
T28E1 CGMC | M3 차체에 M1 37mm 기관포 1문과 수냉식 M1 12.7mm 중기관총 2정 탑재 |
M15 CGMC | M3 차체에 M1 37mm 기관포 1문과 M2 12.7mm 중기관총 2정 탑재 |
M15A1 CGMC | M15 경량화 개선 모델 |
T10E1 MGMC | M3 차체에 에르리콘 Mk.IV 20mm 기관포 2문 탑재. 100대 가량 생산 후 M16으로 개조 |
40mm 보포스 40mm 기관포 (미국 제식명 M1)를 탑재한 자주대공포도 실험되었다.
7. 4. 전후 이스라엘 파생형

이스라엘은 M3 반궤도 장갑차를 기반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개발하여 운용했다. 이들은 제1차 중동 전쟁부터 사용되었으며, 이스라엘 방위군은 이 차량들을 형식에 관계없이 모두 '자흐람 M3'(זחל"ם M3) 또는 '자흐람'으로 불렀다. 자흐람은 히브리어로 '반궤도'를 의미하지만, M3 계열 차량을 가리키는 단어로도 사용되었다.
- M3 Mk. A (M3 데겜 알레프): IHC M5 장갑차로, RED-450 엔진을 사용했다. M49 마운트가 유지되었으며 다양한 기관총이 사용되었다.[36]
- M3 Mk. B (M3 데겜 베트): 추가 무전기와 전방 윈치 범퍼를 장착한 지휘차량으로 개조된 M5이다. M2HB 기관총을 장착했다.[36]
- M3 Mk. C (M3 데겜 기멜): M21 자주 박격포와 유사하며, M1 81mm 박격포를 장착한 M3형 반궤도 장갑차이다. (일반적으로 White 160AX 엔진 사용).[36] 1950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53년 9월에 부대에 배치되었다.[37]
- M3 Mk. D (M3 데겜 달레트): 120mm Soltam 박격포를 장착한 M3 기반 박격포 운반차이다. 1952년에 개발이 시작되어[37] 1960년에 실전 배치되었다.[36]

- M3 Mk. E (M3 데겜 헤): M3에 크루프 75mm 포를 장착한 시제품이다. 1951년 5월에 제작되어 시험을 거쳤으나, 1955년 이스라엘 방위군 포병대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37]
- M3 Mk. F (M3 데겜 와우): 두 개의 20mm 대공포를 장착한 M3의 제안된 구성이었으나, 1952년에 중단되었다.[37]
- M3 TCM-20: 이스라엘 TCM-20 무장 포탑과 2개의 20mm Hispano-Suiza HS.404포를 장착한 M3/M5 반궤도 장갑차이다. 이 포는 대전차 미사일 팀과의 전투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38]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 이후에는 가솔린 엔진에서 디젤 엔진으로 교체하는 개수가 이루어졌으며, 이 차량들은 '자흐람 디젤'을 줄여 '자할드'라고 불렸다. 엔진 교체와 함께 변속기 개량,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도입, 헤드램프 개량 등도 이루어졌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파생형들이 존재했다.
형식 | 설명 | 비고 |
---|---|---|
하프트랙 Mk.A | 병력 수송형, M49 링 마운트 미장착. 미국군의 M3/M5에 해당. | |
하프트랙 Mk.B | 병력 수송형, M49 링 마운트 장착. 미국군의 M3A1/M5A1에 해당. | |
하프트랙 Mk.C | 81mm 박격포 탑재. 미국군의 M21 자주 박격포에 해당. | |
하프트랙 Mk.D "마크마트" | 솔탐 사제 M65 120mm 박격포 탑재. | |
화염 방사기 탑재 M5 하프트랙 | M5 하프트랙에 화염 방사기 탑재. | 제1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 현지 개수품. |
포탑 탑재 M5 하프트랙 | M5 하프트랙에 포탑 탑재. | 제1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 현지 개수품. |
6파운드포 탑재 M5 하프트랙 | M5 하프트랙에 영국제 6파운드포 탑재. | 제1차 중동 전쟁 당시 사용. 미국 육군의 T48 GMC와 유사하나, 포와 차체가 모두 영국군 사양. |
TCM-20 탑재 자주 대공포형 | HS.404 20mm 기관포 2정을 TCM-20 대공 기관포에 탑재. | 미국 육군의 T10E1 자주 대공포와 유사. |
Eyal 대형 크레인 탑재 장갑 구난차 | 조수석 부분에 대형 크레인 탑재. | |
Bambino 중형 크레인 탑재 장갑 구난차 | 후부 병원실에 중형 크레인 탑재. | |
무선 통신차형 하프트랙 | 대형 통신안테나 탑재. | |
SS.11 대전차 미사일 탑재 하프트랙 | 프랑스제 SS.11대전차 미사일 및 발사기 4기 탑재. | |
GIAT F1 90mm포 탑재형 하프트랙 | 프랑스제 GIAT F1 90mm포 탑재. | |
12.7mm 포탑 탑재형 하프트랙 | M3 하프트랙 병원실 상부를 장갑판으로 막고, 측면에 방탄 유리 관측창, 포탑 설치. | 1980년대 남 레바논 군 개조 차량. |
8. 운용 국가
다음은 M3 반궤도 장갑차를 운용한 국가 목록이다.
국가 | 운용 내역 |
---|---|
구 영국군 M3 초과분 | |
오스트리아군 | |
벨기에 육군 | |
브라질 원정군 | |
캄보디아 왕립군 | |
캐나다 육군 | |
국민혁명군 | |
덴마크 육군 | |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 1994년까지 16대 운용 | |
엘살바도르 육군: 1988년에 5대 운용 | |
프랑스 육군 | |
국방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및 서부 전선에서 노획한 차량을 사용 | |
연방군 | |
그리스 육군 | |
이스라엘 방위군 (IDF) | |
이탈리아 육군 | |
인도 육군 | |
육상자위대에 1950년대에 공여. 1950년 M3A1 36량, 1952년 M15A1 자주 대공포 98량, M16 자주 대공포 168량 공여. M16은 1974년, M3A1은 1981년, M15A1은 1990년까지 실전 배치. | |
라오스 왕국 | 라오스 왕립군 |
마다가스카르 육군이 2023년 기준 30대의 M3A1 보유.[71] | |
말리 육군 | |
파키스탄 육군 | |
파라과이 육군 | |
페루 육군 | |
필리핀 육군 및 필리핀 경찰 | |
포르투갈 육군 | |
소련군 | |
터키 육군 | |
영국 육군 | |
미국 육군 | |
베트남 공화국 육군 | |
베트남 인민군 |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 |
자이레군, 1980년대까지 사용 |
이스라엘군은 1948년-1949년의 제1차 중동 전쟁 당시에 M5/M9 하프트랙을 입수하여, 독일제 MG34 기관총이나 화염 방사기를 탑재하는 등 샌드위치 장갑차 등으로 불리는 장갑 전투 차량으로 즉석 개조하여, 귀중한 장갑 전력으로 활용했다. 그 후에도 엔진을 디젤로 교체하는 등의 개량을 거듭하며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다수의 독자 개수형이 제작되었다. 전궤도식의 M113 장갑 병력 수송차가 배치된 1970년대 이후에도, 국방 예산의 많은 부분을 전차나 전투기에 할당했기 때문에, 많은 수가 후방 임무로 돌려지면서도 현역이었다. 최근 강력한 장갑을 가진 아치자리트 등의 신형 장갑 병력 수송차가 등장하고, M113이 후방 임무로 돌려지면서, 비로소 완전히 퇴역했다. 일부는 군용차 수집가에게 판매되었으며, 이스라엘군과 우호 관계에 있는 남레바논군에도 공여되었다.
9. 비국가 행위자 운용
- - 카타이브 규제군 (KRF) - 이스라엘이 제공.
- - 호랑이 민병대 - 이스라엘이 제공.
- - 레바논군 - KRF와 호랑이 민병대에서 물려받음.[64]
레바논 인민해방군 (PLA) - 레바논군에서 노획.[65]
참조
[1]
서적
Windrow
1997
[2]
서적
M3 Infantry Half-Track 1940–73
Osprey Publishing
[3]
서적
TM 9-710 Basic Half-Track Vehicles (White, Autocar, and Diamond T)
https://archive.org/[...]
1944-02-23
[4]
서적
TM 9-2800 Standard Military Motor Vehicles
https://archive.org/[...]
1943-09-01
[5]
서적
Berndt
1993
[6]
서적
Mesko
1996
[7]
서적
Zaloga
1994
[8]
서적
Zaloga
1994
[9]
서적
Hunnicutt
2001
[10]
서적
Hunnicutt
2001
[11]
서적
Zaloga
1994
[12]
서적
Zaloga
1994
[13]
서적
Hunnicutt
2001
[14]
서적
Zaloga
1994
[15]
웹사이트
The Chieftain's Hatch: ETO Equipment Reviews
https://worldoftanks[...]
Wargaming
2018-02-17
[16]
서적
Zaloga
1994
[17]
서적
Zaloga
1994
[18]
서적
Berndt
1993
[19]
서적
Hunnicutt
2001
[20]
서적
Hunnicutt
2001
[21]
서적
Hunnicutt
2001
[22]
서적
Hunnicutt
2001
[23]
서적
Zaloga
1994
[24]
서적
Hunnicutt
2001
[25]
서적
Zaloga
1994
[26]
서적
Mesko
1996
[27]
서적
Zaloga
1994
[28]
서적
Hunnicutt
2001
[29]
간행물
Hit-Run Ack-Ack Guns Mounted on a Half-Track
https://books.google[...]
Hearst Corporation
1943-12
[30]
서적
Berndt
1994
[31]
서적
Hunnicutt
2001
[32]
서적
Zaloga
1994
[33]
서적
Gander
2013
[34]
서적
Gander
2013
[35]
서적
Hunnicutt
2001
[36]
서적
Zaloga (1994), p. 24.
[37]
서적
Brezner (1999), p. 172-3.
[38]
서적
Zaloga (1994), p. 40.
[39]
간행물
Blindorama : L'Argentine 1926–1945
Caraktère
2011-10
[40]
백과사전
Inventory – Armour and Artillery in service, Argentina
1998-06-15
[41]
웹사이트
Rearming Austria: WWII weapons
https://wwiiafterwwi[...]
2015-06-14
[42]
서적
Grandoloni (1998), p. 11.
[43]
백과사전
Inventory – Armour and Artillery in service, Cameroon
1998-06-15
[44]
서적
Zaloga (1994), p. 13.
[45]
웹사이트
El Salvador > Appendix
http://www.country-d[...]
2019-08-03
[46]
서적
Zaloga (1994), pp. 21–22.
[47]
서적
Zaloga (1994), p. 23.
[48]
서적
Zaloga (1994), p. 42.
[49]
백과사전
Inventory – Armour and Artillery in service, Korea, South
1998-06-15
[50]
서적
Grandoloni (1998), p. 12.
[51]
백과사전
Inventory – Armour and Artillery in service, Liberia
1998-06-15
[52]
백과사전
Inventory – Armour and Artillery in service, Madagascar
1998-06-15
[53]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9-04-23
[54]
웹사이트
Een M16 half-track (half-track met een M55 vierlingmitrailleur) met personeel
https://nimh-beeldba[...]
2018-02-08
[55]
학술지
The Military Balance 2012
IISS
[56]
학술지
The Military Balance 2021
2021
[57]
백과사전
Inventory – Armour and Artillery in service, Senegal
1998-06-15
[58]
백과사전
Inventory – Armour and Artillery in service, Togo
1998-06-15
[59]
서적
Zaloga (1994), pp. 3–5
[60]
서적
Grandoloni (1998), pp. 3–4.
[61]
서적
Grandoloni (1998), pp. 8&16.
[62]
서적
Bishop (1998), p. 81.
[63]
서적
Abbott (2014), pp. 21–24
[64]
서적
Kassis (2003), pp. 41–47.
[65]
서적
Abi-Chahine (2019), p. 122.
[66]
서적
Kassis (2003), pp. 85–89.
[67]
서적
Kassis (2003), p. 63.
[68]
서적
The Bofors Gun
Pen and Sword
2013
[69]
서적
American Tanks of World War II
MBI Publishing Company
1994
[70]
서적
Half-tracks: A History of American Semi-Tracked Vehicles
Presidio Press
2001
[7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Routledge
2023-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