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계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용 계약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는 조건과 관련된 계약으로,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다. 고용 계약은 용역 계약과 구분되며, 최저임금, 휴가, 공정한 해고, 노동조합 결성 권리 등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기간제 계약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계약으로 나뉘며, 계약 조건, 직무 책임, 보상, 종료 사유 등이 포함된다. 한국에서는 특수고용노동자, 부당 해고, 차별 금지, 비정규직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며, 더불어민주당은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법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노동법 - 경쟁금지 조항
경쟁금지 조항은 퇴사한 직원이 일정 기간 동안 경쟁 회사에 취업하거나 유사한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제한하는 조항으로,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공공의 이익에 반하지 않는 경우 유효하며, 각 국가별로 법적 규제가 다르다. - 고용 - 비정규직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달리 고용 불안정, 차별, 저임금 등의 문제를 겪는 고용 형태를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기간제, 단시간, 파견, 용역, 특수고용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IMF 외환위기 이후 증가했다. - 고용 - 채용
채용은 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전략적 인력 확보 과정으로, 직무중심주의, 기업풍토 적격주의, 잠재능력주의 원칙하에 직무 능력, 조직 적응력,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공정성, 효율성, 윤리적 기준 준수를 통해 균등한 기회 보장과 다양성 확보를 추구한다.
고용계약 | |
---|---|
노동 계약 | |
관련 법규 | 노동법규 |
우선 순위 | 노동법규 (최상위) 노동협약 취업규칙 노동계약 |
2. 용어
고용 계약은 일반적으로 "고용 계약"과 동일한 의미로 정의된다.[1] 고용 계약은 역사적으로 '''용역 계약'''(서비스 제공 계약)과 구별되어 왔으며, 이는 "고용된" 사람과 "자영업자" 사이의 구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분은 최저 임금, 휴가 수당, 병가, 부당 해고,[2] 계약서, 노조 결성 권리 등 노동자에게 특정 권리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고용 계약은 고용의 유형을 정의하며, 크게 임의 고용과 사유 고용으로 나뉜다. 미국에서는 고용주가 해고 사유를 제시할 필요 없이 직원을 해고할 수 있는 임의 고용이 일반적이다. 이는 19세기부터 미국의 일반법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산업 혁명과 경제적 압력 증가, 노동 조합의 약세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전해왔다.
로마법에서 이와 유사한 구분은 ''locatio conductio operarum''(고용 계약)과 ''locatio conductio operis''(용역 계약) 사이의 구별이었다.[9][10]
이 용어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는 다양한 종류의 계약이 사용되면서 복잡해진다. "고용인"으로 간주되는 대신, 개인은 "근로자"(이는 덜한 고용 관련 법률 보호를 의미할 수 있음), "고용 관계"(이는 중간 정도의 보호를 의미할 수 있음), "전문가" 또는 "의존적 기업가" 등으로 간주될 수 있다.
노동 계약과 관련하여 민법상의 고용 계약과의 관계가 문제가 된다. 노동 계약과 고용 계약의 차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제기되고 있지만,[17] 일반적으로 고용 계약과 노동 계약 모두 노동자가 노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한다는 낙성·유상·쌍무 계약이라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지만, 노동 계약에서는 특히 사용자와 노동자 간의 종속적인 성격이 강한 계약 형태라고 생각된다.
또한, 노동 계약과 민법상의 고용 계약이 유형적으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18] 도급 계약이나 위임 계약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독립하여 노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노동 계약과는 본래 성격이 다르지만, 형식적으로 민법상의 도급 계약이나 위임 계약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사용자와 노동자 사이에 사용 종속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노동 계약에 해당하기도 한다.[19]
3. 고용 계약의 유형
가장 일반적인 고용 계약 유형에는 기간제 계약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계약이 있다.
3. 1. 기간제 계약 (Fixed-Term Contract)
기간제 계약은 고용주가 미리 합의된 특정 기간 동안 직원을 고용하려는 경우에 사용된다. 과제 계약이라고도 하며, 특정 과제의 완료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과제가 완료되면 계약은 자동으로 종료된다. 어느 당사자든 적절한 통지를 하면 지정된 기간이 끝나기 전에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3. 2.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계약 (Open-Ended Contract)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고용 계약은 종료일이 명시되지 않은 계약이다. 이러한 계약은 장기 고용 상황에 주로 사용되므로, 영구 고용 계약, 무기한 고용 계약 또는 계속 고용 계약이라고도 불린다.[1] 이러한 유형의 고용 계약은 양측 당사자 중 한 쪽이 상대방에게 적절한 통지를 하거나, 건강 문제, 사임, 위법 행위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 종료될 수 있다.
분류:고용
4. 고용 계약의 구조
고용 계약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이나 급여를 받는 계약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고용 계약은 '''용역 계약'''(서비스 제공 계약)과 구별되어 왔는데, 이는 "고용된" 사람과 "자영업자"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었다.[1] 이러한 구분은 최저 임금, 휴가, 병가, 부당 해고로부터의 보호,[2] 노조 결성권 등 특정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기원전 2334년경 아카드의 사르곤이 아시리아와 수메르의 도시 국가들을 통일 제국으로 통합한 후, 그의 손자 나람신 (기원전 2254~2218년경)은 장인 길드에서 사용되는 길이, 면적, 부피, 무게, 시간에 대한 표준을 제정했으며, 여기에는 세겔도 포함되었다.[3] ''함무라비 법전'' (기원전 1755~1750년경)은 선박 건조업자와 선주 사이의 고용 계약에서 60-구르 (300-부셸) 선박 1척당 2-세겔의 통용 임금을 규정했다.[4][5][6]
로마법에서는 고용 계약(''locatio conductio operarum'')과 용역 계약(''locatio conductio operis'')을 구분했다.[9][10] 현대에는 고용 관계가 복잡해져 "근로자", "고용 관계", "전문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고용 계약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된다.
4. 1. 일반적인 조항 (Common Clauses)
고용 계약은 고용 관계의 모든 조건과 조항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모든 고용 계약에 포함되는 가장 일반적인 요소는 다음과 같다.- 고용 조건: 직무 설명이 포함되며, 여기에는 직원이 합리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 범위가 포함된다. 고용 범위는 종종 강등, 다른 책임으로의 전근, 현재 책임의 수정 또는 증가를 식별하며, 여행 및 이사도 이 섹션에서 논의될 수 있다.
- 직원 보상: 협상된 기본 급여 또는 직원의 소득 잠재력, 성과 인센티브, 생산 보너스, 사이닝 보너스, 지분 및 스톡옵션이 포함된다. 복리후생에는 보험(건강, 생명, 시력 및 치과), 연금 계획, 유급 휴가, 휴가, 병가 및 개인 휴가가 포함된다. 이 섹션에는 직원의 급여가 정직이나 회사 재정 위기와 같은 경우에 삭감될 수 있는지 여부와 시기도 포함된다.
- 수습 기간: 신규 직원을 대상으로 수습 기간을 두고 고용을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수습 직원은 회사가 직원의 직무 수행 능력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는 시용 기간 동안 고용된다. 이 섹션에서는 수습 기간의 기간, 교육 지침 및 평가 기준을 명시해야 한다. 수습 기간은 양 당사자가 합의하거나 고용 계약서에 허용된 경우에만 연장될 수 있다.
- 경업 금지 조항: 고용 계약 종료 후 직원이 고용주의 경쟁사와 관련된 직책을 맡는 것을 금지한다. 고용주는 직원의 향후 고용을 제한할 정당한 이익이 있어야 하며, 해당 조항은 기간, 활동 범위, 그리고 지리적 범위를 고려하여 합리적이어야 한다.
- 비밀 유지 계약: 직원은 고용주가 사업상 기밀 또는 민감하다고 간주하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공개를 방지하기 위해 합리적인 조치를 취하는 데 동의한다. 영업 비밀, 고객 정보 및 기타 가치 있는 정보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 부업 금지 조항: 직원이 해당 사업체에서의 고용을 주요 직무로 취급하고 다른 직무가 직무 수행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고용주의 기대를 자세히 설명한다.
- 지적 재산권: 고용주는 피고용인이 고용 기간 동안 창출한 모든 업무 결과물과 지적 재산을 고용주의 배타적 권리로 양도할 수 있다.
- 중재: 고용주와 피고용인이 법원 밖에서 중재인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도록 명시한다.
- 고용 종료 사유: 계약 기간은 이 조항에 포함되어야 하며, 계약이 종료되거나 더 이상 효력이 없어지는 특정 시간을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갱신은 갱신하지 않을 수 있는 옵션과 함께 자동으로 포함되거나 양 당사자의 상호 합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5. 법적 쟁점
고용 계약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고용주는 부당 해고와 관련된 법적 문제에 주의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근로기준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노동자의 권리가 보호된다.[1]
미국의 경우, 민권법 제7편에 따라 인종, 피부색, 종교, 성별, 출신 국가에 따른 차별이 금지된다.[1] 이는 15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주 간 상업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고용주에게 적용되며, 개인, 파트너십, 대학, 노동 조합, 고용 기관, 주 및 지방 정부를 포함한다.[1] 이 법은 불공정 대우와 불공정 결과에 따른 고용 차별을 금지한다.[1]
또한, 미국 장애인법은 장애가 있어도 직무의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합리적인 편의 제공을 통해 직무 수행이 가능한 개인을 보호한다.[1] 합리적인 편의에는 시설 접근성 개선, 장비 획득, 직무 제한, 근무 일정 변경, 공석으로의 재배치 등이 포함되지만, 고용주에게 과도한 어려움을 초래하는 편의 제공 의무는 없다.[1]
5. 1. 부당 해고
한국에서는 정당한 사유 없이는 노동자를 해고할 수 없으며, 해고 시에는 30일 전에 예고하거나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부당 해고 구제 절차를 강화하고, 해고 요건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5. 2. 차별 금지
대한민국에서는 성별, 연령, 장애, 종교, 출신 국가,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한 고용 차별이 금지된다.[1] 특히, 비정규직 차별 금지와 동일 가치 노동 동일 임금 원칙은 더불어민주당의 핵심 노동 정책 중 하나로, 고용 안정과 평등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5. 3. 기타 법률
공정 근로 기준법(FLSA)은 민간 부문과 연방, 주 및 지방 정부의 직원에 영향을 미치는 최저 임금, 초과 근무 수당, 기록 유지 및 청소년 고용 기준을 설정한다.[1] FLSA는 연간 매출액이 500000USD 이상이거나 주간 상업에 종사하는 고용주에게만 적용된다.[1]고용 또는 대리 범위 내에서 발생한 직원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고용주가 법적 책임을 지는 사용자 책임(Respondeat Superior) 또는 대리 책임으로 인해 소송이 발생할 수 있다.[1] 사용자 책임(Respondeat Superior)은 라틴어로 "주인이 대답하게 하라"는 의미의 법적 원칙이다.[1] 법원은 고용주가 직원을 얼마나 면밀히 감시했는지에 관계없이 이 원칙을 적용하며,[1] 사용자 책임은 직원에게는 적용되지만 독립 계약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1]
6. 비판 및 사회적 논쟁
아나코신디칼리스트와 임금 노예를 비판하는 다른 사회주의자들은 고용 계약이 인간을 법적으로 단순히 도구 또는 투입물로 인정하고, 책임과 자기 결정권을 포기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법적 허구라고 주장한다. 데이비드 엘러먼은 "고용주는 법적으로 공동 책임 파트너에서 고용주 사업의 투입 책임(비용) 또는 생산된 산출(수입, 이익)에 대한 법적 책임을 공유하지 않는 투입 공급자로 변환된다"라고 지적한다.[11] 그러한 계약은 "사람은 사실상 비인간의 계약적 역할만 가진 완전히 능력을 갖춘 성인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무효이며, 자기 결정을 물리적으로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2] 캐롤 패트먼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일부 법학자들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고용 계약은 경제적 의존과 사회적 종속 관계를 나타낸다. 오토 칸-프로인트 경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7. 일본 노동 계약법
일본에서 노동 계약은 민법상 고용 계약과 관련이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고용 계약과 노동 계약은 모두 노동자가 노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는 낙성·유상·쌍무 계약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17] 그러나 노동 계약은 사용자와 노동자 간의 종속적인 성격이 더 강한 계약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노동 계약과 민법상 고용 계약이 유형적으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18] 도급 계약이나 위임 계약은 사용자로부터 독립적으로 노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노동 계약과 본래 성격이 다르지만, 형식적으로 민법상 도급 계약이나 위임 계약에 해당하더라도 사용자와 노동자 사이에 사용 종속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노동 계약에 해당하기도 한다.[19]
7. 1. 적용 범위
노동계약법은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노동계약법 제19조 제1항), 사용자가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노동 계약(노동계약법 제19조 제2항)을 제외한 모든 노동 계약에 원칙적으로 적용된다. 다만, 선원법의 적용을 받는 선원 등에 대해서는 노동계약법의 일부 규정 적용이 제외된다(노동계약법 제18조 제1항).7. 2. 노동 계약의 당사자
근로계약법에서는 "노동자"는 "사용자에게 사용되어 노동을 제공하고 임금을 지급받는 자"로 정의되어 있으며(근로계약법 제2조 제1항)[17], "사용자"는 "그가 사용하는 노동자에게 임금을 지급하는 자"로 정의되어 있다(근로계약법 제2조 제2항).[18]일반적으로 고용계약과 노동계약은 모두 노동자가 노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한다는 낙성·유상·쌍무 계약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노동 계약은 사용자와 노동자 간의 종속적인 성격이 더 강한 계약 형태라고 여겨진다.[19]
7. 3. 노동 계약의 성립
노동 계약의 성립과 관련된 법률상의 문제로는 채용 내정의 취급이나 수습 기간의 취급 문제가 있다.[1]- 미성년자의 노동 계약
- * 친권자·후견인은 미성년자를 대리하여 노동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1]
- * 친권자·후견인·행정 관청은 노동 계약이 미성년자에게 불리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노동 계약을 해약할 수 있다.[1]
- * 근로기준법 제58조의 규정을 위반한 자는 300000JPY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1]
7. 4. 취업 규칙 및 노동 협약과의 관계
근로계약법 제7조에 따르면, 근로자와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사용자가 합리적인 노동조건이 명시된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알린 경우, 근로계약의 내용은 취업규칙에 따른다.[1] 그러나 근로계약에서 근로자와 사용자가 취업규칙과 다른 노동조건에 합의했다면, 취업규칙에 미달하는 노동조건을 정하는 경우(근로계약법 제12조)를 제외하고는 근로계약이 우선 적용된다.[1]근로기준법은 근로계약과 취업규칙의 관계에 대해 근로계약법 제12조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2] 근로계약법 제12조에 따르면, 근로계약 중 취업규칙에서 정한 노동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노동조건은 무효가 되며, 무효가 된 부분은 취업규칙의 기준을 따른다.[3] 즉, 취업규칙보다 근로자에게 불리한 근로계약은 무효이지만, 유리한 근로계약은 유효하다(유리 원칙).[3]
근로계약을 규율하는 취업규칙이 법령이나 노동협약에 위반되는 경우에는 근로계약법 제7조나 제12조 등이 적용되지 않는다.[4]
노동협약의 근로자 대우 기준 조항('''규범적 부분''')에 위반되는 근로 계약 부분은 무효이며, 이 무효 부분은 노동협약 기준을 따른다.(노동조합법 제16조 전단)[5] 근로 계약에 정해지지 않은 부분도 노동협약 기준을 따른다.(노동조합법 제16조 후단)[5]
노동조합법의 근로 계약은 노동조합법 제3조의 근로자 개념에 대응하는 것으로, 근로 계약법이나 근로기준법의 근로 계약보다 넓은 개념이다.(노동협약을 체결한 노동조합의 조합원에게는 원칙적으로 유리, 불리 관계없이 적용된다).[6]
7. 5. 노동 계약의 효력
노동 계약은 민법상의 고용 계약과 관련이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용 계약과 노동 계약은 모두 노동자가 노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는 낙성·유상·쌍무 계약이라는 점에서는 같다.[17] 그러나 노동 계약은 사용자와 노동자 간의 종속적인 성격이 더 강한 계약 형태이다.노동 계약과 민법상의 고용 계약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18] 도급 계약이나 위임 계약은 사용자로부터 독립적으로 노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노동 계약과 본래 성격이 다르다. 그러나 형식적으로는 민법상 도급 계약이나 위임 계약에 해당하더라도, 사용자와 노동자 사이에 사용 종속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노동 계약에 해당하기도 한다.[19]
- 근로자의 의무
- 근로 제공 의무 (근로계약법 제6조)
- 사용자의 의무
- 임금 지급 의무 (근로계약법 제6조)
- 안전 배려 의무 (근로계약법 제5조)
7. 6. 노동 계약의 종료
고용 계약은 다음의 사유로 종료된다.[1]참조
[1]
법률
Employment Rights Act 1996
[2]
웹사이트
Employment Contract FAQs
http://www.clearskyb[...]
[3]
서적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4]
간행물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5]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6]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valon.law.y[...]
Yale Law School
2021-06-20
[7]
간행물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8]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9]
논문
Classification of Forms and Contracts of Labour
[10]
인용구
Institutes of Roman Law
[11]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14]
서적
Labour and the Law
[15]
웹사이트
The Gig Economy, Smart Contracts and Disruption of traditional work arrangements
https://papers.ssrn.[...]
[16]
웹사이트
A blockchain-based decentralized system for proper handling of temporary employment contracts
https://www.research[...]
[17]
간행물
雇用契約と労働契約
https://www.jil.go.j[...]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2015-03
[18]
서적
労働関係法〈第4版〉
有斐閣
[19]
서적
法律学小辞典〈第4版〉
有斐閣
[20]
법률
민법 655-663조
[21]
백과사전
고용계약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법률/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