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곡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면은 2차원 다양체로,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위상 공간으로서의 곡면은 각 점이 유클리드 평면의 열린 집합과 동형인 열린 근방을 가지며, 경계가 있는 곡면은 상반평면의 폐포와 동형인 근방을 갖는다. 곡면에는 매끄러운 구조, 리만 계량, 복소 구조, 대수 구조 등 추가적인 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

곡면의 예시로는 구, 유클리드 평면, 원환면 등이 있으며, 닫힌 곡면은 구, 토러스, 클라인 병 등으로 분류된다. 닫힌 곡면은 오일러 지표와 가향성에 따라 위상 동형까지 분류되며, 닫힌 곡면은 연결합 연산 하에서 교환 모노이드를 형성한다.

다각형을 이용하여 곡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합 연산을 통해 새로운 곡면을 만들 수 있다. 기하학에서 곡면은 미분동형사상, 리만 계량, 가우스 곡률 등을 통해 연구되며, 복소수 영역에서 리만 곡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곡면은 유클리드 공간에 매장될 수 있으며, 방향성을 가지거나 경계를 가진 콤팩트 곡면은 R³에 매립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하학 - 밀러 지수
    밀러 지수는 결정학에서 결정 면과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이며, 역격자 벡터 또는 격자 벡터 절편의 역수를 통해 정의되며,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및 기술적 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하학 - 반지름
    반지름은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점까지의 거리로, 원의 지름과 둘레, 넓이 계산에 사용될 뿐 아니라 정다각형 외접원, 그래프 이론, 극좌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도형의 반지름을 구하는 공식이 존재하고 한국의 교육,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도 널리 쓰인다.
곡면
기본 정보
클라인 병의 그림. 클라인 병은 3차원 공간에 몰입되어 자기 교차점을 가진다.
클라인 병의 그림. 클라인 병은 3차원 공간에 몰입되어 자기 교차점을 가진다.
정의각 점의 주변이 유클리드 공간과 위상적으로 동일한 위상 공간
관련 분야위상수학, 미분기하학
예시
닫힌 곡면
원환면
클라인 병
실사영면
열린 곡면유클리드 평면
뫼비우스의 띠
원환면에서 원반 제거
성질
국소적 성질평탄성
전역적 성질오일러 지표, 향성, 연결성
분류
닫힌 곡면종수와 향성에 따른 분류

2. 정의

일반적으로, '''곡면'''은 2차원 다양체이다.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곡면"은 특정한 뜻을 갖는 경우가 있다.


  • 위상수학에서 '''(위상) 곡면'''은 모든 점이 유클리드 평면 '''E'''2의 어떤 열린 집합과 동형 사상인 열린 위상적 근방을 갖는 위상 공간이다. 이러한 근방은 해당 동형 사상과 함께 ''(좌표) 차트''로 알려져 있으며, 이 차트를 통해 유클리드 평면의 표준 좌표를 상속받는다. 이러한 좌표는 ''국소 좌표''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동형 사상은 곡면을 ''국소적으로 유클리드''로 묘사하게 한다.


대부분의 관련 서적에서는 위상 공간으로서의 곡면이 비어 있지 않고, 제2 가산 공간,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고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가정한다. 또한 고려 대상 곡면이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곡면은 비어 있지 않고, 하우스도르프이며, 제2 가산이고,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더 일반적으로, '''경계가 있는 (위상) 곡면'''은 모든 점이 '''C'''의 상반평면 '''H'''2의 폐포의 어떤 열린 집합과 동형 사상인 열린 위상적 근방을 갖는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 이러한 동형 사상은 ''(좌표) 차트''로도 알려져 있다. 상반평면의 경계는 ''x''축이다. 차트를 통해 ''x''축에 매핑된 곡면의 점은 ''경계점''이라고 한다. 이러한 점들의 모임을 곡면의 ''경계''라고 하며, 이는 필연적으로 일차원 다양체, 즉 닫힌 곡선의 합집합이다. 반면, ''x''축 위로 매핑된 점은 ''내부점''이다. 내부점의 모임은 항상 공집합이 아닌 곡면의 ''내부''이다.

3. 예

, 유클리드 평면, 원환면은 대표적인 곡면이다. 클라인 병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으로 매장할 수 없는 곡면의 예이다.

다양한 예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곡면의 개념과 곡면 개념이 얼마나 다양하고 풍부한지 알 수 있다. 어떤 형식적 정의로도 이 다양성을 포괄할 수 없을 것이다.


  • 전개면(developable surface)은 내재적으로 "굽어 있지 않은" 곡면, 즉 평면으로부터 늘이거나 줄이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곡면이다. 예시로 원주면, 원뿔면, 4차원 공간에서의 토러스가 있다. 종이 공예는 전개면으로 구성된다.
  • 선직면(ruled surface)은 각 점에 대해 그 점을 지나는 내재적으로 "곧은" 선이 존재하는 곡면이다. 원주면이나 일엽쌍곡면이 그 예이다.
  • 회전면(surface of revolution)은 원주 대칭성을 가진 곡면이다.
  • 극소 곡면(minimal surface)은 주어진 경계 조건에 대해 면적을 극소, 최소로 하는 곡면이다. 카테노이드(현수면)나 헬리코이드(나선면)가 예로 꼽힌다. 철사 틀에 씌운 비눗방울 막은 표면 장력이 작용하여 극소 곡면을 이룬다.
  • 대수 곡면은 대수 방정식계의 영점집합으로 정의된다. 예로 이차 곡면, 삼차 곡면, 베로네세 곡면이 있다.
  • 음함수 곡면(implicit surface)은 일반적인 방정식계의 영점 집합으로 정의된다.
  • 클라인 병이나 뫼비우스의 띠는 방향을 부여할 수 없는 다양체의 예이다.
  • 리만 곡면은 복소해석적인 구조를 가진 곡면으로, 특히, 이들 사이의 정칙 사상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면이나 토러스가 있다.
  • 사영 곡면은 사영 공간 내에서 정의된다.
  • 알렉산더 각진 구면은 일반적인 매끄러운 곡면과 칸토어 집합이 되어 있는 특이점 집합을 합한 위상 구조를 가진 곡면의 예이다.


다음과 같이 직사각형의 변을 (A는 A와, B는 B와) 화살표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붙여서 다양한 곡면의 모델을 만들 수 있다.

구면


실사영 평면


클라인 병


토러스


실제로 천 등을 잘라 붙여서 만들려고 하면, 구면은 보통 만들 수 있다. 토러스는, 어느 한쪽을 먼저 붙이고, 다른 한쪽을 나중에 붙여서 도넛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컴퓨터 롤플레잉 게임에서, 지면이 이처럼 토러스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는 이야기가 가끔 화제가 된다. 실사영 평면과 클라인 병은 면의 앞과 뒤를 구분할 수 없다. 클라인 병은 3차원에서는 자기 교차 없이 만들 수 없다.

4. 닫힌 곡면의 분류

닫힌 곡면은 콤팩트하고 경계가 없는 곡면이다. 닫힌 곡면의 예로는 , 토러스, 클라인 병이 있다. 닫히지 않은 곡면의 예로는 열린 원판(구에 구멍이 있는 것), 원기둥(구에 두 개의 구멍이 있는 것), 뫼비우스 띠가 있다.[1]

경계가 없는 면(좌)과 경계가 있는 면(우)의 몇 가지 예시. 왼쪽: 가향 닫힌 면은 구면, 토러스, 정육면체이다. (정육면체와 구는 위상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오른쪽: 경계가 있는 면은 원판, 사각형, 반구이다. 경계는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이 세 가지 모두 위상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닫힌 면의 분류 정리''는 모든 연결된 닫힌 면이 다음 세 가지 중 하나와 위상 동형이라는 것을 명시한다.

#

# ''g'' ≥ 1인 ''g''개의 토러스의 연결합

# ''k'' ≥ 1인 ''k''개의 실수 사영 평면연결합

처음 두 가족의 면은 가향 가능하다. 구를 0개의 토러스의 연결합으로 간주하여 두 가족을 결합하는 것이 편리하다. 관련된 토러스의 수 ''g''는 면의 ''종수''라고 한다. 구와 토러스는 각각 오일러 지표 2와 0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g''개의 토러스의 연결합의 오일러 지표는 2 - 2''g''이다.[1]

세 번째 가족의 면은 비가향적이다. 실수 사영 평면의 오일러 지표는 1이며, 일반적으로 ''k''개의 연결합의 오일러 지표는 2 - ''k''이다.[1]

따라서 닫힌 면은 오일러 지표와 가향성 여부에 따라 완전히 분류된다.

4. 1. 모노이드 구조

닫힌 곡면은 연결합 연산 하에서 가환 모노이드를 형성한다.[1] 항등원은 구면이며, 실수 사영 평면과 토러스가 이 모노이드를 생성한다. 이 모노이드는 단일 관계 '''P''' # '''P''' # '''P''' = '''P''' # '''T''' 를 가지는데, 이는 '''K''' = '''P''' # '''P''' 이므로 '''P''' # '''K''' = '''P''' # '''T''' 로 쓸 수도 있다.[1] 이 관계는 발터 폰 디크가 증명했기에 '''디크의 정리'''라고도 불린다.[1]

다음 기호를 사용한다.

기호설명
S구면
P실수 사영 평면
K클라인 병
T토러스



다음이 성립한다.


  • S # S = S
  • S # M = M (M은 임의의 곡면)
  • P # P = K
  • P # K = P # T


약기법 ''n''M = M # M # ... # M (''n''회), 0M = S도 사용된다.

닫힌 곡면의 계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g''T (''g''-중 토러스): 종수 ''g''의 방향 있는 곡면 (''g'' ≥ 0)
  • ''g''P (''g''-중 사영 평면): 종수 ''g''의 방향 없는 곡면 (''g'' ≥ 1)

5. 경계가 있는 곡면

콤팩트 곡면은 경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유한 개의 구멍(제거된 열린 원반)을 가진 닫힌 곡면으로 볼 수 있다. 연결된 콤팩트 곡면은 경계 성분의 수, 가향성, 오일러 지표(또는 종수)로 분류된다.[2]

이 분류는 닫힌 곡면의 분류에서 거의 즉시 따른다. 닫힌 곡면에서 열린 원반을 제거하면 경계 성분으로 원이 있는 콤팩트 곡면이 생성되고, ''k''개의 열린 원반을 제거하면 경계 성분으로 ''k''개의 서로소인 원이 있는 콤팩트 곡면이 생성된다. 위상동형 사상군이 차원이 2 이상인 연결된 다양체에서 ''k''-추이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멍의 정확한 위치는 관련이 없다.

반대로, 콤팩트 곡면의 경계는 닫힌 1-다양체이며, 따라서 유한 개의 원의 서로소인 합집합이다. 이러한 원을 원반으로 채우면 (형식적으로, 원뿔을 취하면) 닫힌 곡면이 생성된다.

종수 ''g''와 ''k''개의 경계 성분을 가진 유일한 콤팩트 가향 곡면은 종종 \Sigma_{g,k}로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매핑 클래스 군 연구에서 사용된다.

경계가 있는 콤팩트 곡면은 경계가 없는 곡면에서 교차하지 않는 몇 개의 닫힌 원판 내부를 제거한 형태로 구성된다.

6. 비콤팩트 곡면

비콤팩트 곡면은 분류하기가 더 어렵다. 간단한 예로, 닫힌 매니폴드에서 점을 뚫어(유한한 점 집합을 제거하여) 비콤팩트 곡면을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콤팩트 곡면의 모든 열린 부분 집합은 그 자체로 비콤팩트 곡면이다. 예를 들어, 칸토어 집합의 여집합인 칸토어 트리 곡면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비콤팩트 곡면이 콤팩트 곡면의 부분 집합은 아니다. 두 개의 전형적인 반례는 무한 종수를 가진 비콤팩트 곡면인 야곱의 사다리와 네스 호의 괴물이다.

비콤팩트 곡면 ''M''은 비어 있지 않은 끝 공간 ''E''(''M'')을 가지며, 이는 비공식적으로 말해 곡면이 "무한대로 뻗어 나가는" 방식을 설명한다. 공간 ''E''(''M'')은 항상 칸토어 집합의 닫힌 부분 공간과 위상적으로 동일하다. ''M''은 유한 개 또는 가산 무한 개 Nh의 손잡이와 유한 개 또는 가산 무한 개 ''N''''p''사영 평면을 가질 수 있다. ''N''''h''와 ''N''''p''가 모두 유한하면, 이 두 숫자와 끝 공간의 위상적 유형은 위상적 동치까지 곡면 ''M''을 분류한다. ''N''''h''와 ''N''''p''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무한하면 M의 위상적 유형은 이 두 숫자뿐만 아니라 무한대가 끝 공간에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M의 위상적 유형은 무한히 많은 손잡이와 무한히 많은 사영 평면의 극한점, 손잡이만의 극한점, 사영 평면만의 극한점, 그리고 어느 쪽도 아닌 극한점인 ''E''(''M'')의 네 개의 부분 공간에 의해 결정된다.

7. 구성

각 닫힌 곡면은 짝수 개의 변을 가진 유향 다각형, 즉 곡면의 기본 다각형으로부터 변들을 쌍으로 식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화살표가 같은 방향을 가리키도록 일치하는 레이블(''A''와 ''A'', ''B''와 ''B'')을 가진 변들을 부착하면 해당 곡면이 생성된다.

어떤 기본 다각형이라도 다음과 같이 기호로 쓸 수 있다. 임의의 꼭짓점에서 시작하여 시작 꼭짓점으로 돌아올 때까지 다각형의 둘레를 어느 방향으로든 따라간다. 이 순회 동안, 각 변의 레이블을 순서대로 기록하고, 변이 순회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 지수를 -1로 한다.

구와 실사영 평면은 모두 2-각형의 몫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반면, 원환면클라인 병은 4-각형(정사각형)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곡면의 기본 다각형에서 파생된 표현은 다각형 변 레이블을 생성자로 하는 곡면의 기본군표현에서 유일한 관계임이 밝혀졌다. 이는 자이페르트-판 캄펜 정리의 결과이다.

다각형의 변을 접착하는 것은 일종의 몫공간 과정이다. 몫 개념은 더 일반적으로 곡면의 새로운 또는 대체적인 구성을 생성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사영 평면은 구의 반대쪽 모든 점의 쌍을 식별하여 구의 몫으로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몫의 예는 연결합이다.

7. 1. 다각형으로부터의 구성

각 닫힌 곡면은 짝수 개의 변을 가진 유향 다각형, 즉 곡면의 기본 다각형으로부터 변들을 쌍으로 식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화살표가 같은 방향을 가리키도록 일치하는 레이블(''A''와 ''A'', ''B''와 ''B'')을 가진 변들을 부착하면 해당 곡면이 생성된다.

어떤 기본 다각형이라도 다음과 같이 기호로 쓸 수 있다. 임의의 꼭짓점에서 시작하여 시작 꼭짓점으로 돌아올 때까지 다각형의 둘레를 어느 방향으로든 따라간다. 이 순회 동안, 각 변의 레이블을 순서대로 기록하고, 변이 순회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 지수를 -1로 한다. 위의 네 가지 모델은 왼쪽 위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순회하면 다음과 같다.

7. 2. 연결합

두 곡면 ''M''과 ''N''의 연결합은 ''M'' # ''N''으로 표기하며, 각 곡면에서 원판을 제거하고 그 결과로 생기는 경계 성분들을 따라 붙여서 얻는다. 원판의 경계는 원이므로, 이러한 경계 성분들은 원이다. ''M'' # ''N''의 오일러 지표 \chi는 피합수의 오일러 지표의 합에서 2를 뺀 값이다.

:\chi(M \mathbin{\#} N) = \chi(M) + \chi(N) - 2.\,

구 '''S'''는 연결합에 대한 항등원으로, '''S''' # ''M'' = ''M''을 의미한다. 이는 구에서 원판을 제거하면 원판이 남고, 이것이 단순히 붙이는 과정에서 ''M''에서 제거된 원판을 대체하기 때문이다.

토러스 '''T'''와의 연결합은 다른 피합수 ''M''에 "손잡이"를 붙이는 것으로도 설명된다. 만약 ''M''이 가향 곡면이라면, '''T''' # ''M''도 가향 곡면이다. 연결합은 결합 법칙을 따르므로, 유한한 곡면들의 모임의 연결합은 잘 정의된다.

두 실사영 평면의 연결합, '''P''' # '''P''',은 클라인 병 '''K'''이다. 실사영 평면과 클라인 병의 연결합은 실사영 평면과 토러스의 연결합과 위상 동형이다. 즉, '''P''' # '''K''' = '''P''' # '''T'''이다. 따라서, 세 개의 실사영 평면의 연결합은 실사영 평면과 토러스의 연결합과 위상 동형이다. 실사영 평면을 포함하는 모든 연결합은 비가향 곡면이다.

두 곡면 M, M′이 주어졌을 때, 각각에서 원판을 잘라내고 그 경계를 서로 붙임으로써 두 곡면의 연결합 M # M′을 얻을 수 있다.

다음 기호를 사용한다.

기호설명
S구면
P실사영 평면
K클라인 병
T토러스



다음이 성립한다.


  • S # S = S
  • S # M = M (M은 임의의 곡면)
  • P # P = K
  • P # K = P # T


약기법 ''n''M = M # M # ... # M (''n''회), 0M = S도 사용된다.

닫힌 곡면의 계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g''T (''g''-중 토러스): 종수 ''g''의 방향 있는 곡면 (''g'' ≥ 0)
  • ''g''P (''g''-중 사영 평면): 종수 ''g''의 방향 없는 곡면 (''g'' ≥ 1)

8. 기하학에서의 곡면

다면체(예: 정육면체의 경계)는 기하학에서 처음 접하는 곡면 중 하나이다. 각 점이 '''E'''2의 어떤 열린 집합에 미분동형인 근방을 갖는 ''매끄러운 곡면''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정교함은 미적분학을 곡면에 적용하여 많은 결과를 증명할 수 있게 해준다.

두 개의 매끄러운 곡면은 위상동형인 경우에만 미분동형이다. 따라서 닫힌 곡면은 오일러 지표와 가향성에 따라 미분동형까지 분류된다.

리만 계량을 갖춘 매끄러운 곡면은 미분기하학에서 근본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리만 계량은 곡면에 측지선, 거리, 각도, 면적의 개념을 부여한다. 또한 각 점에서 곡면이 얼마나 휘어져 있는지 설명하는 가우스 곡률도 발생시킨다. 곡률은 곡면의 일반적인 미분동형사상에 의해 보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즉, 단단하고 기하학적인 속성이다. 그러나 닫힌 곡면에 대한 유명한 가우스-보네 정리는 전체 곡면 ''S''에 대한 가우스 곡률 ''K''의 적분이 오일러 지표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한다.

:\int_S K \; dA = 2 \pi \chi(S).

이 결과는 곡면의 기하학과 위상의 깊은 관계를 보여준다.

기하학에서 곡면이 나타나는 또 다른 방법은 복소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복소수 1-다양체는 매끄러운 방향성을 가진 곡면으로, 리만 곡면이라고도 한다. 복소수 다양체로 간주되는 모든 복소수 비특이 대수 곡선은 리만 곡면이다. 실제로 모든 콤팩트 가향 곡면은 리만 곡면으로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콤팩트 리만 곡면은 종수: 0, 1, 2, ....에 의해 위상적으로 특징지어진다. 반면에 종수는 복소수 구조를 특징짓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수 1인 비동형 콤팩트 리만 곡면이 무수히 많다(타원 곡선).

9. R3로의 매장

방향성을 가지거나 경계를 가진 모든 콤팩트 곡면은 '''R'''3에 매장될 수 있다. 휘트니 매장 정리에 따르면 모든 곡면은 '''R'''4에 매장될 수 있다.

10. 추가 정보

곡면의 개념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물리학, 공학, 컴퓨터 그래픽스 등에서 주로 물리적 물체의 표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항공역학적 특성을 분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비행기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다.

일반적인 곡면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 전개면: 평면으로부터 늘이거나 줄이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곡면이다. 원주면, 원뿔면 등이 있다.
  • 선직면: 각 점에 대해 그 점을 지나는 직선이 존재하는 곡면이다. 원주면이나 일엽쌍곡면이 그 예이다.
  • 회전면: 원주 대칭성을 가진 곡면이다.
  • 극소 곡면: 주어진 경계 조건에 대해 면적을 최소화하는 곡면이다. 카테노이드(현수면)나 헬리코이드(나선면)가 예시이다.
  • 대수 곡면: 대수 방정식계의 영점 집합으로 정의되는 곡면이다. 이차 곡면, 삼차 곡면 등이 있다.
  • 음함수 곡면: 일반적인 방정식계의 영점 집합으로 정의된다.
  • 클라인 병이나 뫼비우스의 띠는 방향을 부여할 수 없는 다양체의 예이다.
  • 리만 곡면: 복소해석적인 구조를 가진 곡면이다. 구면이나 토러스가 예시이다.
  • 사영 곡면: 사영 공간 내에서 정의된다.
  • 알렉산더 각진 구면: 일반적인 매끄러운 곡면과 칸토어 집합이 되어 있는 특이점 집합을 합한 위상 구조를 가진 곡면의 예이다.


대수 곡면은 비특이 복소 사영 대수 곡선이 실수체상에서 매끄러운 곡면이 되는 경우와는 구별된다. 복소수체 위의 대수 곡면은 실수체 위에서 4차원이 된다.

참조

[1] 서적
[2] 간행물 Singularities II https://books.google[...] Amer. Math. Soc., Providence, RI
[3] 논문 On the classification of noncompact surfaces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