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곤륜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륜산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산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초기에는 황하의 발원지로 여겨졌으나, 수미산과 동일시되거나 세계의 중심, 또는 서쪽 낙원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곤륜'은 산을 뜻하는 글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의 조합으로, 신화 속 곤륜산은 하늘을 받치는 기둥이나 신선들이 거주하는 낙원으로 묘사되며, 서왕모와 같은 신성한 존재와 관련된다. 곤륜산은 다양한 문학 작품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상륙함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신화의 장소 - 태산
    중국 산둥성에 위치한 태산은 캄브리아기 고변성암 지대로 지질학적 가치를 지니며, 중국 5악 중 으뜸이자 종교적 숭배 대상, 황제들의 봉선 의례 장소로서 사찰, 비석 등의 문화유적과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중국 신화의 장소 - 봉래산
    봉래산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선이 사는 영산으로, 불사신이 거주하는 곳이자 불로불사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그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
  • 신화의 산 - 수미산
    수미산은 불교, 힌두교 등 여러 종교에서 세계의 중심 또는 신성한 장소로 묘사되는 산으로, 종교에 따라 위치, 크기, 형태 등에 대한 묘사가 다르며 건축 및 창작물의 모티브로 활용되기도 한다.
  • 신화의 산 - 아라라트산
    터키 동부 아나톨리아에 위치한 아라라트산은 대아라라트산과 소아라라트산으로 이루어진 성층 화산으로, 아르메니아인들에게 민족의 상징이자 노아의 방주가 정착한 곳으로 알려진 종교적 중요성을 지닌 약 5,137m 높이의 산이다.
  • 영봉 - 울루루
    울루루는 호주 노던 준주에 위치한 6억 년 전 형성된 거대한 사암 지형으로, 아난구족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며 2019년부터 등반이 금지되었다.
  • 영봉 - 마우나케아산
    마우나케아산은 하와이 제도 최고봉으로, 해저에서부터의 높이가 에베레스트산보다 높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천문대가 설치되어 천문 관측에 활용되지만, 환경 및 문화 유산 훼손 논쟁과 원주민 반대 등 문제도 존재한다.
곤륜산
개요
곤륜산맥
곤륜산 (崑崙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산이다.
위치중국 신화 속 산
주요 특징신선들이 거주하는 영산, 황제의 궁궐 위치
신화적 중요성
신성한 산불멸자들의 거주지, 세계의 축
여와여와가 하늘의 균열을 메운 장소
서왕모곤륜산에 거주하며 불사약을 관장하는 여신
주요 내용
황제의 궁궐곤륜산에는 황제의 궁궐이 위치해 있다고 한다.
신선들의 거주지곤륜산은 신선들이 거주하는 영산으로 여겨진다.
곤륜산은 옥의 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여와의 업적여와는 곤륜산에서 오색돌을 녹여 하늘의 구멍을 메웠다고 전해진다.
서왕모의 권능서왕모는 곤륜산에 살면서 불사약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숭배받는다.
관련 인물
서왕모곤륜산에 거주하는 여신, 불사약을 관장
여와하늘을 복원한 여신
황제곤륜산에 궁궐을 둔 신화 속 제왕
어원
한자 표기崑崙山 (Kūnlún Shān)
광동어Kwan¹ Leon⁴ Saan¹
기타
관련 링크중국어 위키백과 곤륜산

2. 역사적 발전

곤륜산 신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다. 초기에는 황하의 발원지로 여겨졌으나, 인도 우주론의 영향을 받아 세계축의 중심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이때 곤륜산은 수미산과 동일시되거나, 수미산의 속성을 가지게 되었다.[1]

또한, (인도의 영향으로) 곤륜산은 황하의 발원지일 뿐만 아니라, 나침반의 네 방향으로 흐르는 네 개의 주요 강들의 근원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1]

도교 전통의 영향을 받으면서 곤륜산은 위험한 황무지가 아닌 낙원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1]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여러 전통이 융합되면서 봉래산과 동일시되는 동쪽 낙원과 곤륜산과 동일시되는 서쪽 낙원이라는 이중적인 낙원이 생겨났다. 봉래산과 귀허(歸墟, "돌아가는 산")를 대립시켰던 이전의 신화 체계는 기둥으로 대체되었고, 귀허 신화는 곤륜산 신화로 이전되었다.[1]

3. 명칭

중국어 이름 "쿤룬" 崑崙|곤륜중국어 (또는 崐崘|곤륜중국어)은 산 부수 "山"과 소리 글자인 ''kun'' 昆|곤중국어과 ''lun'' 侖|륜중국어을 결합한 글자로 표기된다. ''쿤룬 산''의 다른 이름으로는 쿤링 崑陵|곤릉중국어 ("언덕" 포함)과 쿤치우 崑丘|곤구중국어 ("언덕" 포함)가 있다.

"쿤룬"이라는 용어는 다른 두 용어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때때로 살아있는 생물로 의인화되는 ''혼돈''(混沌|혼돈중국어)과, 크리스토퍼 쉬퍼(Kristofer Schipper)에 따르면 ''쿵동''(空洞|공동중국어)이다. 동천은 전통적으로 특정 산에 위치한 동굴이나 동공과 같이 산과 관련이 있었다. "쿤룬 산"이라는 용어는 "동굴 산"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신화 속 쿤룬 산은 (북극성 바로 아래에 위치한) 속이 빈 산으로 간주되었다.[1]

그러나 "쿤룬"이라는 용어는 신화 속 산과 관련이 없는 사람과 장소를 지칭하기 위해 고대 문헌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노예였던 남부 민족인 ''구롱''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에드워드 H. 쉐이퍼는 ''구당서''의 "린이 남쪽 사람들은 곱슬머리에 검은 몸을 가지고 있으며 쿠룽이라고 불렸다"는 묘사와 9세기 불교 학자 후이린(慧琳)의 인용문을 인용한다. "그들은 또한 쿠룽이라고 불린다. 그들은 남해의 크고 작은 섬에 사는 야만인이다. 그들은 매우 검고, 그들의 벌거벗은 모습을 드러낸다. 그들은 사나운 짐승, 코뿔소, 코끼리 등을 길들일 수 있다."[2] 쉐이퍼는 ''쿤룬'' 외에도 이 남부 사람들을 때때로 ''구롱'' 古龍|고룡중국어 또는 ''굴룬'' 骨論|골론중국어이라고 불렀다고 언급한다.

줄리 윌렌스키는 ''쿤룬''이라는 용어가 "신비하고 잘 이해되지 않는 단어이며, 처음에는 피부가 검은 중국인에게 적용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두운 피부를 연상시키는 여러 의미를 포괄하도록 확장되었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그녀는 더 나아가 "쿤룬의 이러한 용법은 쿤룬 산의 이름과 관련이 없다."고 설명한다.

4. 위치

신화 속 곤륜산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산해경》 11장에서는 북서쪽에 있다고 묘사하고, 16장에서는 서해 남쪽에 있다고 하며, 다른 자료에서는 지구의 중앙에 위치한다고 한다.[3]

일부에서는 곤륜산이 '아주 먼' 서쪽에 위치한다고 믿었으며, 지리적 지식이 발전함에 따라 그 추정 위치는 점점 더 서쪽으로 옮겨졌다. E. T. C. 워너는 곤륜산을 힌두쿠시 산맥과 동일시한다.

때때로 신화 속 곤륜산은 현대의 쿤룬 산맥과 혼동되기도 하고, 또는 구 캄보디아어로 "산의 왕"으로 번역될 수 있고 산스크리트어의 ''Śailarāja''와 동일한, 신화 속 성스러운 우주 산을 의미하는 쿠룽(또는 ''Kurung Bnam'')과 혼동되기도 한다. 쿠룽(곤륜)은 당나라 시대에 번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리허 (790–816) 시대에 당나라 조정과 외교 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인다. 리허의 현존하는 시 중 하나에 방문 기록이 있다. 곤륜국의 위치에 대한 지리적 세부 사항은 불확실하지만, 말레이 반도 또는 샤일렌드라 해양세력이 지배하는 지역과 같은 갠지스강 이남의 인도와 관련이 있다.[2]

5. 묘사

곤륜산은 다양한 문헌과 예술 작품에서 묘사된다. 하늘을 떠받치는 기둥이나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표현되며, 신화적으로는 "신비, 웅장함, 장엄함"이 강조된다. 곤륜산의 기저부는 땅속 깊이 뻗어 있고, 지상 부분은 하늘까지 닿아 있다고 묘사된다.[2]

일반적으로 곤륜산은 주변의 물과 높고 가파른 절벽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신성한 장소로 여겨진다.[3] 또한, 불멸이나 장수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이 묘사되는데, 보석 같은 바위, 벽옥과 옥으로 된 절벽, 진귀한 식물, 신비로운 버섯, 여러 새와 동물, 그리고 불멸의 존재 등이 등장한다. 때로는 팔선서왕모를 찾아와 불멸의 음식을 함께 즐기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3] 이러한 모습은 예술 작품에서 자주 묘사되는 주제이다.

강희제 시대(1662–1722) 초 황실 공방의 옥좌와 병풍. 병풍에는 곤륜산에 신화적으로 위치한 서방정토가 묘사되어 있으며, 산, 계곡, 바다, 테라스, 호수, 궁전의 장면이 담겨 있다. 여기에는 봉황을 타고 온 서왕모와 그녀의 도착을 기다리는 팔선이 묘사되어 있다.


곤륜산은 문학 작품에도 자주 등장한다.

  • 봉신연의: 선인들이 사는 성스러운 산으로 등장한다.
  • 십이국기(오노 후유미의 소설): 현실 세계의 "중국"을 가리킨다.
  • 곤양의 여왕(아사마츠 켄의 소설): 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지하 세계 쿤 얀에 "곤양"의 글자가 사용되고 있다.
  • 곤륜 유격대(야마다 마사키의 소설)
  • 아이언 피스트(마블 코믹스의 슈퍼 히어로): 주인공 대니 랜드가 수행한 환상의 땅은 쿤 룬이라고 불린다.
  • 봉래학원 시리즈(유연체의 PBM · TRPG · 소설 등): 과거 타클라마칸에 존재했던 초고대 문명의 이름으로 등장한다.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사토 츠토무의 소설): "곤륜방원"이라는 조직이 등장한다.
  • 루팡 3세 PARTIII(TV 애니메이션): "안녕 황금 전설"이라는 에피소드에서 전설의 수정이 잠든 황금향으로 등장한다.
  • 3×3 EYES(만화)
  • 제육대륙(오가와 잇스이의 소설): 중국 국가항천국이 보유하고 있는 월면 기지의 명칭이 "곤륜 기지"가 되어 있다.
  • 창룡전(다나카 요시키의 소설): 인간계의 뒷면에 존재하고, 서왕모가 통치하는 선인들이 사는 산.

5. 1. 신성한 존재와의 연관성

곤륜산은 최고신, 서왕모, 우사 등 다양한 신적 존재들과 관련되어 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곤륜산은 최고신의 거처로, 그의 왕좌는 "천궁"이라 불리는 산 정상에 있다고 한다. 곤륜산은 하늘을 떠받치는 기둥으로 여겨져 천계와 지상을 연결하는 사다리 역할을 하기도 했다. 따라서 곤륜산 정상에 오르면 불멸의 존재가 된다고 믿었다.

우사는 "비의 군주" 또는 "비의 지도자"로 불리는 비의 신으로, 곤륜산 기슭에 거처를 둔 것으로 여겨진다. 신농씨 시대에 치송자(적송자)라는 인물이 비를 내리게 하는 의식을 성공시켜 "우사"로 추앙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

산해경에 따르면 곤륜산 정상은 무당들의 거주지였다. 우펑을 비롯한 다섯 명의 무당들이 불멸의 약초를 가지고 있었다고 묘사된다. 후대에 곤륜산은 신선들이 사는 도교의 낙원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신선들은 학이나 용을 타고 곤륜산을 방문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5. 1. 1. 서왕모

서왕모는 곤륜산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신적 존재 중 하나이다. 원래는 곤륜산이 아닌 옥산에 위치했으나, 후대의 기록에서는 금빛 성벽으로 보호되는 궁전으로 옮겨져 불사신(선)들을 다스리는 역할을 맡았다. 이 궁전에서는 6,000년마다 불사의 복숭아가 열렸는데, 제천대성이 훔쳐간 적도 있다고 전해진다. 초기에는 호랑이 이빨과 표범 꼬리를 가진 역병신이었으나, 점차 아름다운 여신의 모습으로 변화하여 불사의 풀을 지키게 되었다.

서왕모의 복숭아 축제. 17세기 초 중국 명나라 시대의 익명의 화가가 그린 그림이다.


한 무제가 서왕모를 만나는 모습을 그린 일본 그림.

5. 2. 동식물

곤륜산에는 다양한 종류의 상서로운 동물과 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호랑이는 서쪽을 상징하며 곤륜산이 서방 극락과 연관되기 때문에 자주 등장한다. 사슴이나 두루미와 같이 불멸을 상징하는 동물들도 곤륜산에서 자주 나타난다. 서왕모는 점박이 사슴을 애완동물로 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곤륜산에는 진주와 옥 나무, 불사의 나무, 곡물 나무(예: ''무허'', 높이가 약 12.19m, 두께가 5뼘) 등 특별한 식물들이 자란다고 전해진다.[2] 복숭아서왕모와 자주 연관된다. ''랑간''은 푸른색 또는 녹색을 띠는 요정 보석 나무로, 주나라와 초기 한나라 시대의 고전에서 곤륜산에서 자란다고 전해진다.

5. 3. 건축물 및 지형

곤륜산은 다양한 텍스트와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는데, 때로는 하늘이나 땅의 기둥으로 나타나며 여러 층으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1] 신화적 묘사에서는 "신비, 웅장함 또는 장엄함"이 강조되는 공통점을 가진다.[1] 곤륜산의 기저부는 땅 속 깊숙이 관통하고, 지상 부분은 하늘로 뻗어 있다고 한다.[2]

일반적으로 곤륜산은 주변의 물과 엄청난 높이의 가파른 절벽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신성한 장소로 묘사된다.[3] 곤륜산은 불멸 또는 장수를 얻는 다양한 수단과 강력한 연관성을 갖는다. 시적 묘사는 곤륜산에 보석 같은 바위와 벽옥과 옥으로 된 우뚝 솟은 절벽, 이국적인 보석 식물, 기괴한 모양과 색상의 마법 버섯, 수많은 새와 기타 동물과 함께 불멸의 존재가 된 인간 등 천국과 같은 세부 사항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3] 때로는 서왕모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온 팔선이 불멸의 음식을 즐기는 잔치에 초대받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3]

후대에 곤륜산은 도교의 낙원으로 묘사되었는데, 이곳에는 신선, 즉 초인적인 형태로 변모한 도교의 불사자가 살았으며, 서왕모가 관장했다. 신선들은 종종 마법의 학이나 용을 타고 곤륜산을 방문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곤륜산에는 다양한 구조물, 지역, 또는 중요한 특징들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 서왕모의 궁전: 금빛 성벽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곤륜산에 위치해 있었다. 그곳에 모인 복 받은 자들은 장수의 열매를 맛볼 수 있었다. 종종 그녀의 궁전은 옥 연못에 접해 있는 정원이나 공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 매달린 정원: 곤륜산에 있는 정원 중 하나로 언급된다.
  • : 곤륜산에서는 네 개의 강이 흘러나온다고 전해진다.


강 이름한자 표기
적수赤水중국어
황하
흑수黑水중국어
양수


  • 약수: 곤륜산 기슭을 따라 흐르는 강으로, 밀도가 너무 낮아 깃털조차 떠다닐 수 없는 액체로 흘렀다. 헤엄쳐 건너거나 배로 건너갈 수 없기 때문에 주요 장애물이었다.
  • 유사: 곤륜산으로 가는 또 다른 장벽으로, 위험하고 건너기 어려운 흐르는 모래이다. 산해경에 따르면, 곤륜산은 서해 남쪽, 적수 뒤편, 유사 기슭에 위치해 있었다.

6. 주요 사건

곤륜산은 다양한 신화, 전설, 종교적 묘사에서 파생된 문학 작품에서 주요한 무대로 등장한다.[1]


  • 복희여와의 결혼은 곤륜산에서 이루어졌다.[1] 이들은 남매이자 대홍수 이후 살아남은 마지막 인간으로 여겨진다. 신성한 존재에게 간절히 질문한 뒤 명시적인 징표를 통해 근친상간의 금기를 깼으며, 신은 그들의 결혼을 승인하여 세상을 다시 채우도록 했다.[1]
  • 목천자는 하늘의 아들로, 8마리의 특별한 말을 타고 곤륜산을 방문했다.[1] 그는 예술 작품에서 "기이하고 세상과 동떨어진" 존재로 묘사된다.[1]

7. 문화적 영향

곤륜산은 유명한 소설, 시, 연극을 포함한 전통 작품에서 중요한 문학적 소재로 자주 등장했으며, 현대 대중 소설에도 나타난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071형 상륙함 이름으로도 사용되었으며, 함명은 '''쿤룬산'''()이다. NATO 코드명은 "'''위자오'''(Yuzhao)형"이다.[1] 도카이 대학 응원가에도 곤륜산이 등장하는데, 제1절 첫머리가 "서쪽 곤륜산의 산의 물결, 동쪽 무한한 태평양~"으로 시작한다. 이는 도카이 대학 본거지인 도쿄도시부야구토미가야(요요기)에서 서쪽에 위치한 후지산을 중심으로 한 산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2]

7. 1. 문학 작품

곤륜산은 『봉신연의』, 『백사전』, 『목천자전』, 『곤륜노』, 『진혼』(가디언), 『서유기』 등 여러 문학 작품에 등장한다.봉신연의』에서는 선인이 사는 성스러운 산으로 묘사된다.

곤륜노(崑崙奴)는 '곤륜에서 온 노예'라는 뜻으로, 중국 희곡의 단골 등장인물이었으며, 일본 희곡에서는 "콘론"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국적인 외모와 초인적인 힘을 가진 존재로 그려졌다. 명나라 극작가 매정좌는 "곤륜노가 어떻게 불멸자가 되었는가"라는 희곡을 쓰기도 했다.

곤륜산은 취원의 고대 시 "이소"와 "천문", 중세 당나라 시에서 자주 언급되었으며, 모택동의 1935년 시 "곤륜"에도 등장한다.

이 외에도 곤륜산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작품에 등장한다.

작품 종류작품명비고
소설십이국기현실 세계의 "중국"을 가리킨다.
소설『곤양의 여왕』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지하 세계 쿤 얀에 "곤양"의 글자가 사용되고 있다.
소설『곤륜 유격대』
만화『아이언 피스트』주인공 대니 랜드가 수행한 환상의 땅은 쿤 룬이라고 불린다.
PBM · TRPG · 소설『봉래학원 시리즈』과거 타클라마칸에 존재했던 초고대 문명의 이름으로 등장한다.
소설마법과고교의 열등생"곤륜방원"이라는 조직이 등장한다.
TV 애니메이션『루팡 3세 PARTIII』"안녕 황금 전설"이라는 에피소드에서 전설의 수정이 잠든 황금향으로 등장한다.
만화3×3 EYES
소설『제육대륙』중국 국가항천국이 보유하고 있는 월면 기지의 명칭이 "곤륜 기지"가 되며, 이 기지를 구성하는 모듈의 형식명은 "서왕모"이다.
소설『창룡전』인간계의 뒷면에 존재하고, 서왕모가 통치하는 선인들이 사는 산. 인간계와는 용천향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7. 2. 현대 대중문화

곤륜산은 여러 유명 소설, 시, 연극을 포함한 전통 작품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며, 현대 대중 소설에도 등장한다.[3]

마블 코믹스의 아이언 피스트 이야기에는 K'un-Lun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이곳은 마블 유니버스의 7개 천상 수도 중 하나로, 지구에 주기적으로 나타난다.[3] 앨런 무어의 《젠틀맨 리그: 블랙 도시에》(2007)에서 쿤룬은 H. 라이더 해거드의 《아예샤》에 등장하는 불의 산과 동일한 장소로 묘사된다. 곤륜산은 만화 《3×3 EYES》를 비롯해 많은 중국 드라마에도 등장한다.

다음은 곤륜산이 등장하는 작품 목록이다.

작품 종류작품 제목작가/제작비고
만화3×3 EYES
만화아이언 피스트마블 코믹스쿤 룬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소설젠틀맨 리그: 블랙 도시에앨런 무어
소설봉신연의선인이 사는 성스러운 산으로 등장
소설십이국기오노 후유미현실 세계의 "중국"을 가리킴
소설곤양의 여왕아사마츠 켄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지하 세계 쿤 얀에 "곤양"의 글자가 사용됨
소설곤륜 유격대야마다 마사키
소설봉래학원 시리즈유연체과거 타클라마칸에 존재했던 초고대 문명의 이름으로 등장
소설마법과고교의 열등생사토 츠토무"곤륜방원"이라는 조직이 등장
애니메이션루팡 3세 PARTIII"안녕 황금 전설" 에피소드에서 전설의 수정이 잠든 황금향으로 등장
소설제육대륙오가와 잇스이중국 국가항천국이 보유하고 있는 월면 기지의 명칭이 "곤륜 기지"
소설창룡전다나카 요시키인간계의 뒷면에 존재하고, 서왕모가 통치하는 선인들이 사는 산


7. 3. 기타

참조

[1] 서적 Old Book of Tang
[2] 서적 Yíqièjīngyīnyì(一切经音义)
[3] 웹사이트 Iron Fist: K'un-Lun's Monastery & Danny's Powers Explained http://screenrant.co[...] 2017-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